KR101993181B1 - 다공성 구조에 기반한 결합력이 강화된 금속-세라믹 치과용 보철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구조에 기반한 결합력이 강화된 금속-세라믹 치과용 보철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181B1
KR101993181B1 KR1020180083031A KR20180083031A KR101993181B1 KR 101993181 B1 KR101993181 B1 KR 101993181B1 KR 1020180083031 A KR1020180083031 A KR 1020180083031A KR 20180083031 A KR20180083031 A KR 20180083031A KR 101993181 B1 KR101993181 B1 KR 101993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upport
metal
holes
minutes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임중연
Original Assignee
(주)더스타일코리아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스타일코리아,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더스타일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83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3Porcelain or ceramic teeth
    • A61C13/0835Ceramic coating on metallic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61C5/77Methods or devices for making crow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다공성 구조에 기반한 결합력이 강화된 금속-세라믹 치과용 보철물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금속지지체와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으로 구성된 치과용 보철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지지체를 복수의 홀들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로 제조함으로써, 세라믹 파우더가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도포될 때, 세라믹 파우더와 상기 금속지지체 간의 결합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하여 세라믹 파우더에 열처리가 수행되는 소결과정을 통해 상기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과 상기 금속지지체 간의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공성 구조에 기반한 결합력이 강화된 금속-세라믹 치과용 보철물 및 그의 제조방법{METAL-CERAMIC DENTAL PROSTHESIS WITH ENHANCED BONDING STRENGTH BASED ON POROUS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공성 구조에 기반한 결합력이 강화된 금속-세라믹 치과용 보철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특허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하는 2017년도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No. C0511440)의 연구수행으로 인한 결과물임을 밝힙니다.
최근, 치아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효율적인 치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다.
치과용 보철물은 자연 치아의 일부분에 충치가 발생하거나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부분을 절삭한 후 절삭된 부분을 메우기 위한 부품으로 활용되는 치과용 치료 부품이다.
보통, 금속-세라믹 치과용 보철물은 내부 표면이 자연 치아의 표면과 접합되는 금속지지체와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crown)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기존의 금속-세라믹 치과용 보철물은 금속지지체와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 간의 결합 강도가 약한 문제가 있어서, 금속지지체로부터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이 파절되어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많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금속-세라믹 치과용 보철물에 있어서, 금속지지체와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 간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와 이에 대한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6031호(2008.09.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0568호(2008.08.06)
본 발명은 금속지지체와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crown)으로 구성된 치과용 보철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지지체를 복수의 홀(hole)들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로 제조함으로써, 세라믹 파우더가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도포될 때, 세라믹 파우더와 상기 금속지지체 간의 결합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하여 세라믹 파우더에 열처리가 수행되는 소결과정을 통해 상기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과 상기 금속지지체 간의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은 내부 표면이 접착제를 통해 자연 치아의 표면과 접착되고, 선정된(predetermined)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hole)들이 선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금속지지체 및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세라믹 파우더가 도포된 후 열처리를 통해 소결됨으로써,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crown)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홀들 각각은 지름이 1mm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금속지지체 상에서 상기 복수의 홀들의 중점을 기준으로 2mm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지지체는 상기 선정된 크기를 갖는 상기 복수의 홀들이 상기 선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체에 대한 3D 모델링 데이터를 기초로 금속 파우더를 금속 3D 프린터에 원료로 인가하여 3D 프린팅을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인공 치관은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1차로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92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킨 후 상온에 30분 동안 냉각시키고,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2차로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900~92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 방법은 자연 치아의 표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면서 선정된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들이 선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3D 모델링 데이터를 기초로 금속 3D 프린터에 금속 파우더를 원료로 인가하여 3D 프린팅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선정된 크기를 갖는 상기 복수의 홀들이 상기 선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금속지지체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킴으로써,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는 상기 자연 치아의 표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면서 지름이 1mm의 크기를 갖는 상기 복수의 홀들이 상기 복수의 홀들 각각의 중점을 기준으로 2mm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모델링 데이터이고, 상기 금속지지체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금속 3D 프린터에 금속 파우더를 원료로 인가하여 3D 프린팅을 수행함으로써, 지름이 1mm의 크기를 갖는 상기 복수의 홀들이 상기 복수의 홀들 각각의 중점을 기준으로 2mm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상기 금속지지체를 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1차로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92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킨 후 상온에 30분 동안 냉각시키고,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2차로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900~92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킴으로써,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세라믹 소재의 상기 인공 치관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인공 치관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1차로 페이스트 오펙(paste opaque)을 도포하고 10분 동안 980℃로 열처리를 수행한 후 상온에 30분 동안 냉각시키고,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2차로 페이스트 오펙을 도포하고 10분 동안 95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대한 불투명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공 치관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인공 치관의 외부 표면에 1차로 글레이즈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870℃로 열처리를 수행한 후 상온에 30분 동안 냉각시키고, 상기 인공 치관의 외부 표면에 2차로 글레이즈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85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인공 치관의 외부 표면에 대한 글레이징(Glazing)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지지체와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crown)으로 구성된 치과용 보철물에 있어서, 상기 금속지지체를 복수의 홀(hole)들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로 제조함으로써, 세라믹 파우더가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도포될 때, 세라믹 파우더와 상기 금속지지체 간의 결합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하여 세라믹 파우더에 열처리가 수행되는 소결과정을 통해 상기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과 상기 금속지지체 간의 결합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10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외형을 도시한 3D 모델 데이터이고, 도면부호 120은 상기 치과용 보철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3D 모델 데이터이다.
도면부호 1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은 내부 표면이 접착제를 통해 자연 치아(111)의 표면과 접착되고, 선정된(predetermined)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hole)들이 선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금속지지체(112)와 금속지지체(112)의 외부 표면에 세라믹 파우더가 도포된 후 열처리를 통해 소결됨으로써, 금속지지체(112)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crown)(113)으로 구성된다.
관련해서, 도 2에는 금속지지체(112)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속지지체(112)에는 선정된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211)들이 선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은 도면부호 120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자연 치아(111)에 충치 등이 발생한 경우, 자연 치아(111)에서 충치가 발생한 부분을 절삭한 후 절삭한 자연 치아(111)의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금속지지체(112)가 자연 치아(111)의 상단에 접착되고, 금속지지체(112)의 상단에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113)이 결합됨으로써, 자연 치아(111)의 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지지체(112)의 내부 표면은 레진과 같은 치과용 접착제를 통해 자연 치아(111)의 표면과 접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홀들 각각은 지름이 1mm의 크기를 가지며, 금속지지체(112) 상에서 상기 복수의 홀들의 중점을 기준으로 2mm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지지체(112)는 상기 선정된 크기를 갖는 상기 복수의 홀들이 상기 선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체에 대한 3D 모델링 데이터를 기초로 금속 파우더를 금속 3D 프린터에 원료로 인가하여 3D 프린팅을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인공 치관(113)은 금속지지체(112)의 외부 표면에 1차로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92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킨 후 상온에 30분 동안 냉각시키고, 금속지지체(112)의 외부 표면에 2차로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900~92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금속지지체(112)에 상기 복수의 홀들을 형성하게 되면, 세라믹 파우더가 금속지지체(112)의 외부 표면에 도포될 때, 세라믹 파우더가 금속지지체(112)의 표면과 상기 복수의 홀들에 침투하게 됨에 따라 세라믹 파우더와 금속지지체(112) 간의 결합 표면적이 넓어져서 세라믹 파우더에 열처리가 수행되어 소결과정을 거치게 되면,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113)과 금속지지체(112) 간의 결합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도 3 내지 도 5에는 금속지지체(112)와 인공 치관(113) 간의 결합력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3의 도면부호 320에 도시된 그림에서 도면부호 311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가로 25mm, 세로 3mm, 두께 0.5mm의 규격을 갖는 금속시편을 준비하되, 표면에 홀이 뚫려있지 않은 금속시편 1, 지름이 1mm이고, 중점을 기준으로 2mm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홀들이 뚫려있는 금속시편 2, 복수의 사다리꼴 형상의 천공을 갖는 금속시편 3, 지름이 0.8mm이고, 중점을 기준으로 1.2mm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홀들이 뚫려있는 금속시편 4를 준비하였다.
이때, 금속시편 1, 2, 3, 4 각각의 표면에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92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킨 후 상온에 30분 동안 냉각시키고, 상기 금속시편 1, 2, 3, 4의 외부 표면에 2차로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900~92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킴으로써, 도 3의 도면부호 320에 도시된 그림에서 도면부호 312로 표시한 바와 같이, 금속시편 1, 2, 3, 4의 표면에 가로가 8mm, 세로가 3mm, 두께가 1mm의 크기의 인공 치관을 형성하였다.
참고로, 도 3의 도면부호 310은 금속시편에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한 후 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인공 치관을 형성한 결과물의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의 도면부호 410은 금속시편 1에 인공 치관을 형성한 결과물에 대한 사진, 도 4의 도면부호 420은 금속시편 2에 인공 치관을 형성한 결과물에 대한 사진, 도 5의 도면부호 510은 금속시편 3에 인공 치관을 형성한 결과물에 대한 사진, 도 5의 도면부호 520은 금속시편 4에 인공 치관을 형성한 결과물에 대한 사진이다.
이렇게,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사진과 같이, 금속시편 1, 2, 3, 4에 인공 치관을 형성한 후 각 금속시편에 대해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금속시편 1, 2, 3, 4로부터 인공 치관이 이탈되는 시점에 대한 균열생성강도를 측정하였으며, 하기의 표 1은 금속시편 1, 2, 3, 4를 총 10번 반복해서 제작한 후 균열생성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 수행 차수 균열생성강도(MPa)
금속시편 1 금속시편 2 금속시편 3 금속시편 4
1차 30.9 42.3 32.4 28.9
2차 31.9 35.3 35.5 29.2
3차 25.6 34.4 30.2 31.4
4차 33.0 45.9 31.5 35.8
5차 27.3 39.6 29.9 32.6
6차 26.3 43.0 28.2 24.3
7차 31.2 33.8 34.5 34.8
8차 26.2 30.0 29.1 25.9
9차 28.2 34.2 31.2 30.1
10차 33.2 40.0 33.4 29.5
평균 값 29.38 37.85 31.59 30.25
상기 표 1과 같은 실험 결과에 따르면, 금속시편 1, 2, 3, 4 중 금속시편에서 인공 치관이 이탈되는 시점의 압력을 나타내는 균열생성강도의 평균 값이 금속시편 2에서 가장 높게 나왔다는 점에서, 지름이 1mm이고, 중점을 기준으로 2mm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홀들이 금속시편에 형성되어 있을 때,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과 금속시편 간의 결합 강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610)에서는 자연 치아의 표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면서 선정된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들이 선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3D 모델링 데이터를 기초로 금속 3D 프린터에 금속 파우더를 원료로 인가하여 3D 프린팅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선정된 크기를 갖는 상기 복수의 홀들이 상기 선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금속지지체(112)를 제작한다.
이와 관련해서, 사람의 자연 치아는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해서 개개인별로 맞춤형으로 금속지지체를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단계(S610)에서는 환자의 자연 치아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제작한 후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기초로 금속 3D 프린터에 금속 파우더를 원료로 인가하여 3D 프린팅을 수행함으로써, 환자 개인에 맞는 다공성 구조의 금속지지체(112)를 제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는 상기 자연 치아의 표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면서 지름이 1mm의 크기를 갖는 상기 복수의 홀들이 상기 복수의 홀들 각각의 중점을 기준으로 2mm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모델링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단계(S610)에서는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금속 3D 프린터에 금속 파우더를 원료로 인가하여 3D 프린팅을 수행함으로써, 지름이 1mm의 크기를 갖는 상기 복수의 홀들이 상기 복수의 홀들 각각의 중점을 기준으로 2mm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금속지지체(112)를 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S620)에서는 금속지지체(112)의 외부 표면에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킴으로써, 금속지지체(112)의 외부 표면에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113)을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620)에서는 금속지지체(112)의 외부 표면에 1차로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92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킨 후 상온에 30분 동안 냉각시키고, 금속지지체(112)의 외부 표면에 2차로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900~92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킴으로써, 금속지지체(112)의 외부 표면에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113)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 방법은 단계(S620) 이전에 금속지지체(112)의 외부 표면에 1차로 페이스트 오펙(paste opaque)을 도포하고 10분 동안 980℃로 열처리를 수행한 후 상온에 30분 동안 냉각시키고, 금속지지체(112)의 외부 표면에 2차로 페이스트 오펙을 도포하고 10분 동안 95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금속지지체(112)의 외부 표면에 대한 불투명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단계(S620) 이후에 인공 치관(113)의 외부 표면에 1차로 글레이즈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870℃로 열처리를 수행한 후 상온에 30분 동안 냉각시키고, 인공 치관(113)의 외부 표면에 2차로 글레이즈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85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인공 치관(113)의 외부 표면에 대한 글레이징(Glazing)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페이스트 오펙이란 금속지지체(112)의 금속 색상을 불투명으로 처리하여 심미감을 일으키게 하기 위한 치과 재료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페이스트 오펙을 기초로 금속지지체(112)에 대한 불투명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치과용 보철물에서 금속 색상이 보임으로 인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글레이즈 파우더는 인공 치관(113)에 광택을 부여함으로써, 심미감을 일으키게 하기 위한 치과 재료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글레이즈 파우더를 기초로 인공 치관(113)에 대한 글레이징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치과용 보철물에 자연 치아와 거의 유사한 수준의 광택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1: 자연 치아
112: 금속지지체
113: 인공 치관

Claims (7)

  1. 내부 표면이 접착제를 통해 자연 치아의 표면과 접착되고, 선정된(predetermined)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hole)들이 선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금속지지체; 및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세라믹 파우더가 도포된 후 열처리를 통해 소결됨으로써,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crown)
    으로 구성되는 치과용 보철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들 각각은
    지름이 1mm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금속지지체 상에서 상기 복수의 홀들의 중점을 기준으로 2mm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치과용 보철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지지체는
    상기 선정된 크기를 갖는 상기 복수의 홀들이 상기 선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체에 대한 3D 모델링 데이터를 기초로 금속 파우더를 금속 3D 프린터에 원료로 인가하여 3D 프린팅을 수행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인공 치관은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1차로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92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킨 후 상온에 30분 동안 냉각시키고,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2차로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900~92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치과용 보철물.
  4. 자연 치아의 표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면서 선정된(predetermined)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hole)들이 선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3D 모델링 데이터를 기초로 금속 3D 프린터에 금속 파우더를 원료로 인가하여 3D 프린팅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선정된 크기를 갖는 상기 복수의 홀들이 상기 선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금속지지체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킴으로써,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세라믹 소재의 인공 치관(crown)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는
    상기 자연 치아의 표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면서 지름이 1mm의 크기를 갖는 상기 복수의 홀들이 상기 복수의 홀들 각각의 중점을 기준으로 2mm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모델링 데이터이고,
    상기 금속지지체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금속 3D 프린터에 금속 파우더를 원료로 인가하여 3D 프린팅을 수행함으로써, 지름이 1mm의 크기를 갖는 상기 복수의 홀들이 상기 복수의 홀들 각각의 중점을 기준으로 2mm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상기 금속지지체를 제작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1차로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92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킨 후 상온에 30분 동안 냉각시키고,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2차로 세라믹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900~92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결시킴으로써,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세라믹 소재의 상기 인공 치관을 형성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관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1차로 페이스트 오펙(paste opaque)을 도포하고 10분 동안 980℃로 열처리를 수행한 후 상온에 30분 동안 냉각시키고,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2차로 페이스트 오펙을 도포하고 10분 동안 95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 표면에 대한 불투명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공 치관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인공 치관의 외부 표면에 1차로 글레이즈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870℃로 열처리를 수행한 후 상온에 30분 동안 냉각시키고, 상기 인공 치관의 외부 표면에 2차로 글레이즈 파우더를 도포하고 10분 동안 850℃로 열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인공 치관의 외부 표면에 대한 글레이징(Glazing)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 방법.
KR1020180083031A 2018-07-17 2018-07-17 다공성 구조에 기반한 결합력이 강화된 금속-세라믹 치과용 보철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93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31A KR101993181B1 (ko) 2018-07-17 2018-07-17 다공성 구조에 기반한 결합력이 강화된 금속-세라믹 치과용 보철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31A KR101993181B1 (ko) 2018-07-17 2018-07-17 다공성 구조에 기반한 결합력이 강화된 금속-세라믹 치과용 보철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181B1 true KR101993181B1 (ko) 2019-06-27

Family

ID=6705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031A KR101993181B1 (ko) 2018-07-17 2018-07-17 다공성 구조에 기반한 결합력이 강화된 금속-세라믹 치과용 보철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1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861B1 (ko) * 2020-05-25 2020-09-09 이노범 3d 프린팅 및 분체 도장을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7422B2 (ja) * 1984-02-01 1996-08-21 デンツプラ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歯科用修復物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100850568B1 (ko) 2007-05-09 2008-08-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다공성 표면을 가진 세라믹 임플란트의 제조방법과 그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임플란트
KR100856031B1 (ko) 2007-03-19 2008-09-02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성 임플란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539089B1 (ko) * 2014-03-21 2015-07-24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 방법
KR20160085780A (ko) * 2013-10-17 2016-07-18 다니엘 연일 정 치아 보철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180067015A (ko) * 2016-12-12 2018-06-20 (주)더스타일코리아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7422B2 (ja) * 1984-02-01 1996-08-21 デンツプラ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歯科用修復物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100856031B1 (ko) 2007-03-19 2008-09-02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성 임플란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850568B1 (ko) 2007-05-09 2008-08-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다공성 표면을 가진 세라믹 임플란트의 제조방법과 그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임플란트
KR20160085780A (ko) * 2013-10-17 2016-07-18 다니엘 연일 정 치아 보철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539089B1 (ko) * 2014-03-21 2015-07-24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 방법
KR20180067015A (ko) * 2016-12-12 2018-06-20 (주)더스타일코리아 부분금속 보강부가 구비된 치과용 보철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861B1 (ko) * 2020-05-25 2020-09-09 이노범 3d 프린팅 및 분체 도장을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05066B (zh) 基于激光选区烧结的生物陶瓷零件的加工方法
CN108495598A (zh) 用于生产坯料的方法、坯料和牙科修复体
CN102302381B (zh) 不饰瓷的全解剖形态氧化锆牙冠的制备方法
US20120148988A1 (en) Indirect restoration technology
US20100256773A1 (en) Surgical implant composed of a porous core and a dense surface layer
JP5952381B2 (ja) 多孔性ケイ酸セラミック体、歯科修復物、及びその製造法
WO2008026316A1 (fr) Os artificiel composite
KR102144685B1 (ko) 디지털 메탈-세라믹 치아보철물 제작방법 및 이를 위한 용융 접착용 글라스
ES2817758T3 (es)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 prótesis dentales
EP0543832A4 (ko)
KR20050057198A (ko) 강화된 세라믹 치아 수복물
DE602007014343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ntalen Produkts
KR101627083B1 (ko) 접착 강도가 개선된 치아수복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9501595A (ja) 歯科補綴物
KR101993181B1 (ko) 다공성 구조에 기반한 결합력이 강화된 금속-세라믹 치과용 보철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047622A (ja) 歯科セラミック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並びに該フレームを含む歯科補綴物
CN111513882A (zh) 基于光固化快速成型的氧化锆底冠及修复体制作方法
EP0991369A1 (en) Dental restorations
JP2000507137A (ja) インレー、冠およびブリッジのためのフレームワークを製作するための方法
CN113461421B (zh) 一种叠层氧化锆牙科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717255B1 (ko) 재생 지르코니아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723569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76610B1 (ko) 기성형 세라믹 치아수복물의 제조방법
CN111004037A (zh) 3d打印陶瓷个人塑像纪念品及塑像骨灰盒的成型方法
EP0621764A1 (en) Ceramic inlay and process for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