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569B1 -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569B1
KR101723569B1 KR1020150039272A KR20150039272A KR101723569B1 KR 101723569 B1 KR101723569 B1 KR 101723569B1 KR 1020150039272 A KR1020150039272 A KR 1020150039272A KR 20150039272 A KR20150039272 A KR 20150039272A KR 101723569 B1 KR101723569 B1 KR 101723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rconia
weight
glass ceramic
core
ceramic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880A (ko
Inventor
김용수
전현준
임형봉
오경식
하성호
김철영
김준형
홍영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스
Priority to KR1020150039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56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10Ceramics or gla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설정 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치과용 보철물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르코니아 코어; 상기 지르코니아 코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블록 형태로 고형화되며, 지르코니아 코어의 외측에 배치되어 치과용 보철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글라스 세라믹 블록; 및 상기 지르코니아 코어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 사이에 형성되어 지르코니아 코어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을 결합시키는 라이너;를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용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치과용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는 파절강도가 높은 지르코니아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외부는 견고한 강도와 함께 지르코니아 사용시의 색상 재현의 부자연스러움을 해결할 수 있는 글라스 세라믹으로 형성한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가 손상되거나 결손되는 등 여러 이유로 치아를 상실하게 되면, 발음하거나 음식을 씹는 저작 운동에 지장을 초래함과 아울러, 심미적인 면에서도 많은 불편함을 겪게 된다. 또한, 치아를 상실한 상태로 오랜 시간 방치할 경우 치아가 상실된 빈 공간으로 인접치아들이 이동함으로써 치아의 정상적인 배열이 어긋나게 되며, 그로 인하여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끼게 되어 충치나 풍치의 발생 가능성도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치아를 상실한 환자에게 임플란트 등의 보철 시술을 통하여 인공치아를 식재함으로써 발음하거나 저작 운동시 발생되는 불편함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자연 치아의 색과 유사한 재질로 인공치아를 제조함으로써 심미적인 면도 개선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 등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기 위해 이용되는 재료는 일반 재료와는 달리 구강 내의 특수한 환경으로 인하여 많은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즉, 상대습도가 100%에 가까운 습윤한 환경, 저작 시에 발생되는 높은 교합압, 급격한 온도 변화, 생체 조직과의 긴밀한 접촉, 과민 반응과 같은 부작용의 빈발 및 무수한 세균 종의 구강 내 상주 등 다수의 인자를 고려하여 인공치아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가 선택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장기적으로 변색이 없고, 파절 및 파편이 없는 우수한 물성을 지닌 세라믹 소재들이 주로 이용되는데, 특히 심미성이 뛰어난 세라믹 재료에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유리침투 복합체, 캐드(computer aided design : CAD)/캠(computer-aided manufacturing : CAM) 지르코니아, 결정화유리 등을 이용하여 인공치아를 제조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중 1990년 초에 모만(Mormann)에 의해 고안된 세렉 시스템(CEREC system)은 고강도, 고인성인 지르코니아를 캐드/캠(CAD/CAM)으로 가공하여 코핑을 제작한 최초의 방식인데, 이때 사용되는 지르코니아는 도재보다 10배 강한 물성을 갖고 있어 저작시 발생되는 높은 교합압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러한 지르코니아는 생체적합성이 뛰어나 주위 조직에 대한 양호한 생체 친화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부식에 대한 저항이 크며, 생체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어 임플란트 픽스쳐와 같이 치과용 보철물로 이용하기 적합한 재료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르코니아는 투과도가 10~30%로 낮아 단일 일체형 크라운(crown)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지금까지 지르코니아를 이용하여 제조되었던 인공치아 등 실제의 치과용 보철물은 지르코니아 코핑(coping) 위에 다른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진 도재를 올려 크라운을 제작하였으므로, 치과용 보철물이 시술된 상태에서 발생되는 파절여부는 지르코니아가 아닌 도재의 물성에 좌우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지르코니아를 이용하여 종래에 제조되던 치과용 보철물은, 먼저 지르코니아(ZrO2)를 이용하여 코어(core)를 제작하고, 그 외주면에 라이너를 도포하여 900℃ 이상에서 구운 다음 왁스(wax)로 최종적인 치아모양을 재현하며, 그 외주면에 강도가 100MPa인 베니어링 세라믹(Veneering ceramics)을 프레스하여 결합함으로써 형성되었다.
이처럼 종래에는 1200MPa에 이르는 지르코니아 자체의 높은 물성에도 불구하고, 지르코니아 표면에 결합되는 소재들은 지르코니아와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일부 세라믹 소재에 국한될 수 밖에 없었는바, 치과용 보철물로 사용시 지르코니아 자체의 높은 물성적 특징을 십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400MPa에 이르는 높은 물성을 갖는 글라스 세라믹(예컨대, 리튬 디실리케이트, Lithium Disilicate)가 개발되어 이용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글라스 세라믹은 지르코니아와의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치과용 보철물 제조를 위해 함께 사용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188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파절강도가 우수한 지르코니아(Zirconia, ZrO2)로 형성된 코어부의 외주면에 지르코니아 분말이 포함되어 있는 지르코니아 슬러리를 도포한 후에 소결(sintering) 처리하여 지르코니아 코어부의 외주면을 거칠게 형성하고, 표면이 거칠게 형성된 지르코니아 코어부의 외주면에 라이너를 바른 후 리튬 디실리케이트(Lithium Disilicate, LS2)를 프레스로 주입하여 거칠게 형성된 지르코니아 코어부의 외주면에 리튬 디실리케이트가 견고하게 결합되게 함으로써, 내부는 파절강도가 높은 지르코니아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외부는 견고한 강도와 함께 지르코니아 사용시의 색상 재현의 부자연스러움을 해결할 수 있는 리튬 디실리케이트로 형성하여 상호 결합이 어려운 물질들로 보철물의 내부와 외부를 각각 구현할 수 있게 한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이용한 치과용 지르코니아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설정 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치과용 보철물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르코니아 코어; 상기 지르코니아 코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블록 형태로 고형화되며, 지르코니아 코어의 외측에 배치되어 치과용 보철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글라스 세라믹 블록; 및 상기 지르코니아 코어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 사이에 형성되어 지르코니아 코어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을 결합시키는 라이너;를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용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Li2O 0.2~31.0중량%, K2O 1.0~11.0중량%, SiO2 50.0~70.0중량%, ZrO2 0.5~1.0중량%, BaO 0.5~1.3중량%, La2O3 0.1~7.6중량%, Al2O3 1.5~15.0중량%, P2O5 1.0~7.0중량%, TiO2 0.1~1.0중량%, ZnO 1.0~6.0중량%, B2O3 0.3~5.0중량%, Na2O 2.0~15.0중량%, CaO와 CaF2 2.0~7.0중량%, MgO 0.5~3.0중량%, CeO2 0.7~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르코니아를 가공하여 설정된 형태로 성형한 후, 보철물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지르코니아 코어 성형단계; 보철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글라스 세라믹 블록의 성형 단계; 상기 지르코니아 코어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 사이에 라이너를 개재하여 지르코니아 코아의 외측에 글라스 세라믹 블록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지르코니아 코어의 외측면 또는 글라스 세라믹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 또는 양쪽 모두에 도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르코니아 코어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의 결합 단계는, 20 ~ 400℃에서 공정을 개시하며, 분당 10~60℃의 승온속도로 600~1200℃의 최고온도에서 1~60분의 유지시간을 갖도록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르코니아 코어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의 결합 단계는, 최고온도로 승온하는 과정에서 진공도 1~750mmHg로 실시되는 진공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를 높은 파절강도를 갖는 지르코니아(Zirconia, ZrO2)로 형성하고, 그 외부를 자연치아와 유사한 색상의 구현이 용이함과 아울러 우수한 파절강도를 갖는 글라스 세라믹으로 구현함으로써, 시술 후에도 파절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르코니아 코어와 글라스 세라믹 사이에 개재되는 라이너의 결합력에 의해 상호 결합이 어려운 지르코니아와 글라스 세라믹 간을 견고하게 결합시켜 우수한 치과용 보철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보철물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의 셈(SEM)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보철물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의 셈(SEM)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은 지르코니아(ZrO2)를 가공하여 설정된 형태로 성형된 후 보철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코어(10), 코어(10)와 대응 결합되도록 블록화하여 형성되며 보철물의 외관을 이루는 글라스 세라믹 블록(20) 및 코어(10)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20) 간을 견고하게 결합시켜 주는 라이너(30)를 포함한다.
지르코니아 코어(10)는 캐드/캠 방식 또는/및 밀링(milling) 방식을 이용하여 원하는 보철물의 형태로 성형한 후 보철물의 내부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르코니아 코어(10)는 단일 일체형 크라운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지르코니아(Zirconia) 자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종전처럼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코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르코니아 코어(10)의 내부에는 석고나 시멘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르코늄(Zr)은 산과 알칼리에 극히 높은 내식성을 갖는 전이금속 원소로서, 이러한 지르코늄의 산화물이 지르코니아(Zirconia)로 불린다. 지르코니아 코어는 지르코니아 분말을 유기물 바인더와 혼합하여 형성되는데, 지르코니아 분말은 대략 100㎚ ~ 10㎛의 평균 입자 지름을 가지며 구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르코니아 코어(10)는 통상적인 지르코니아 보철물과 마찬가지로 제조하고자 하는 보철물의 종류에 적합한 형상을 만들기 위해 몰드(mold)를 이용하여 성형하게 된다. 이처럼 몰드를 이용하여 지르코니아 코어(10)를 형성함에 있어 내부 밀도의 불균형 현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성형된 결과물에 10~200MPa 범위의 압력으로 1~120분 동안 냉간정수압(Cold Isotropic Pressure: CIP)을 인가하는 냉간정수압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냉간정수압 공정을 수행한 성형된 결과물로부터 바인더를 제거하기 위해 100~500℃ 정도의 온도에서 10분 ~ 120시간 정도 탈지 공정을 수행하고, 600~1000℃ 정도의 하소 온도에서 10분 ~ 24시간 동안 하소공정을 수행한 후, 하소된 결과물을 언로딩하여 냉각시키고, 그 결과물을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ler) 등의 밀링기에서 가공하거나, 캐드/캠 방식을 이용하여 가공하여 원하는 보철물의 형태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지르코니아 코어(10)의 외주면에 지르코니아 슬러리를 도포한 후 지르코니아 분말만이 남도록 소결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지르코니아 코어의 외주면을 샌드블라스팅하여 거칠게 형성할 수도 있다.
글라스 세라믹 블록(20)은 지르코니아 코어(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주물 등으로 제조되며, 고형화된 블록의 상태로 코어(10)의 외측에 결합된다.
글라스 세라믹 블록은 강도가 350~450MPa에 이를 정도로 견고하고, 수축팽창계수가 10.5~11인 물질로서, 종래에는 지르코니아 표면에 잘 결합되지 않아 지르코니아와 함께 단일의 치과용 보철물을 생성하는데 이용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지르코니아 코어(10)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20) 사이에 개재되는 라이너(30)에 의해 상호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라이너(30)는 서로 다른 물질인 지르코니아 코어(10)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20)을 상호 결합하는 중간 매개체로서, 코어(10)의 표면 또는 글라스 세라믹 블록(20)의 내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도포될 수 있다.
예컨대, 라이너(30)가 매끈한 지르코니아 코어부의 표면에 직접 도포될 경우 상호 결합되는 물질의 상이함으로 인하여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그로 인하여 치과용 보철물이 시술된 상태에서 저작 과정 중 또는 급작스럽게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그 결합면이 쉽게 분리되면서 치과용 보철물의 외면이 쉽게 파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지르코니아 코어(10)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20)은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고 있으므로, 두 표면 전체가 직접 접하여 있을 경우 구강 내에서의 온도 변화로 야기되는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하여 상호 접하고 있는 표면에서 균열이 발생되는 등 파절이 발생할 우려가 있게 된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서는 지르코니아 코어(10)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20) 사이에 개재되는 라이너(30)에 의해 상호 결합면에서의 마찰력을 크게 증가시키고, 그로 인하여 상호 간의 결합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Li2O 0.2~31.0중량%, K2O 1.0~11.0중량%, SiO2 50.0~70.0중량%, ZrO2 0.5~1.0중량%, BaO 0.5~1.3중량%, La2O3 0.1~7.6중량%, 유리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Al2O3 1.5~15.0중량%, 핵 형성제 역할을 하는 P2O5 1.0~7.0중량%, TiO2 0.1~1.0중량%, 결정의 생성온도를 낮추고 생성되는 결정의 크기를 미세화하며 화학적 내구성을 증진하기 위한 ZnO 1.0~6.0중량%, 용융 시에 점도를 감소시켜 결정의 생성온도를 낮추고 상기 결정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한 B2O3 0.3~5.0중량%, 유리의 형성을 위한 용융시 점성을 좋게 하기 위한 알칼리 산화물인 Na2O 2.0~15.0중량%, CaO와 CaF2 2.0~7.0중량%, MgO 0.5~3.0중량%, CeO2 0.7~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호 결합이 어렵고 열 팽창계수가 상이하여, 결합면이 상호 접하여 이루어지는 적층구조로 함께 사용되지 못하였던 지르코니아와 글라스 세라믹을 상호 완벽히 결합하여 하나의 치과용 보철물을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내부에는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외부자극에 견고히 대처하면서도 생체 친화적인 지르코니아로 코어를 형성하고, 외부에는 색상재현의 부자연스러움을 해결하면서도 높은 강도로 구현될 수 있는 글라스 세라믹으로 외곽을 형성하여, 종래의 금속 보철물보다 생체 친화적이고 강도가 높으며 자연치아와도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치과용 보철물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은, 지르코니아를 가공하여 원하는 보철물의 형태로 성형한 후 보철물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지르코니아 코어 성형단계(S100)와, 보철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글라스 세라믹 블록 성형단계(S200), 코어의 표면에 고형화된 글라스 세라믹 블록을 결합하는 결합단계(S300)를 포함한다.
지르코니아 코어 성형단계(S100)는 캐드/캠 방식이나 밀링방식을 이용하여 지르코니아를 원하는 보철물의 형태로 성형하여, 보철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지르코니아 코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지르코니아 코어의 내부에는 석고나 시멘트로 기본 모델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지르코니아 코어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지르코니아 코어 성형단계(S100)는,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르코니아 분말을 유기물 바인더와 혼합하는 지르코니아 분말 혼합과정과, 몰드를 이용한 프레스 성형을 통하여 지르코니아 분말 혼합과정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제조하고자 하는 보철물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몰드 성형과정과, 몰드 성형과정 중 발생될 수 있는 내부 밀도의 불균형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성형된 결과물에 대하여 10~200MPa 범위의 압력으로 1~120분 동안 냉간정수압(CIP)을 인가하는 냉간정수압 과정과, 성형된 결과물로부터 유기물 바인더를 제거하는 탈지과정(S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후, 600~1000℃ 정도의 하소 온도에서 10분 ~ 24시간 동안 하소과정을 수행한 후, 하소된 결과물을 냉각시키고 그 결과물을 CNC 등의 밀링기에서 가공하거나 캐드/캠 방식으로 가공하여 원하는 보철물의 형태를 정밀하게 제조하는 가공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르코니아를 이용하여 보철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지르코니아 코어를 형성하는 것은 통상적인 지르코니아 보철물과 마찬가지인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글라스 세라믹 블록의 성형단계(S200)는 지르코니아 코어의 외측에 결합되는 글라스 세라믹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글라스 세라믹을 준비하고 이를 분쇄 및 용해한 후 주물 등을 이용해서 지르코니아 코어의 표면에 대응되는 내면을 갖고 치아의 형태에 대응되는 외관을 갖도록 글라스 세라믹 블록을 제조한 후 이를 고형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형화된 글라스 세라믹 블록은 지르코니아 코어와의 견고한 화학적 결합을 구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지르코니아 코어의 표면 또는 글라스 세라믹 블록의 내면에 라이너를 개재한 상태로 결합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결합단계(S300)는 지르코니아와 글라스 세라믹을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상호 결합 매개체로서 라이너를 개재하게 된다.
라이너는 지르코니아 코어의 표면 또는 글라스 세라믹 블록의 내면 중 어느 한 면 또는 둘 모두에 고르게 도포되어 글라스 세라믹 블록이 코어에 결합되기 위한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르코니아 표면에 결합시 마찰력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면과 면이 모두 접할 경우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하여 결합면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호 간에 견고한 결합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결합단계는, 시작온도가 20 ~ 400℃에서 공정을 개시하며, 분당 10~60℃의 승온속도로 600~1200℃의 최고온도에서 1~60분의 유지시간을 갖는다. 이때 공정 진행 중에 미세한 기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포는 제품의 접착력 저하로 이어지므로 진공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진공작업은 최고온도(20~1200℃)로 승온하는 과정에서 실시하고 진공도는 0~750mmHg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지르코니아 코어
20; 글라스 세라믹 블록
30; 라이너

Claims (6)

  1. 치과용 보철물에 있어서,
    설정 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치과용 보철물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르코니아 코어;
    상기 지르코니아 코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블록 형태로 고형화되며, 지르코니아 코어의 외측에 배치되어 치과용 보철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글라스 세라믹 블록; 및
    상기 지르코니아 코어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 사이에 형성되어 지르코니아 코어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을 결합시키는 라이너;
    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는 Li2O 0.2~31.0중량%, K2O 1.0~11.0중량%, SiO2 50.0~70.0중량%, ZrO2 0.5~1.0중량%, BaO 0.5~1.3중량%, La2O3 0.1~7.6중량%, Al2O3 1.5~15.0중량%, P2O5 1.0~7.0중량%, TiO2 0.1~1.0중량%, ZnO 1.0~6.0중량%, B2O3 0.3~5.0중량%, Na2O 2.0~15.0중량%, CaO와 CaF2 2.0~7.0중량%, MgO 0.5~3.0중량% 및 CeO2 0.7~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2. 삭제
  3.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지르코니아를 가공하여 설정된 형태로 성형한 후, 보철물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지르코니아 코어 성형단계;
    보철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글라스 세라믹 블록의 성형단계;
    상기 지르코니아 코어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 사이에 라이너를 개재하여 지르코니아 코아의 외측에 글라스 세라믹 블록을 결합하는 결합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는 Li2O 0.2~31.0중량%, K2O 1.0~11.0중량%, SiO2 50.0~70.0중량%, ZrO2 0.5~1.0중량%, BaO 0.5~1.3중량%, La2O3 0.1~7.6중량%, Al2O3 1.5~15.0중량%, P2O5 1.0~7.0중량%, TiO2 0.1~1.0중량%, ZnO 1.0~6.0중량%, B2O3 0.3~5.0중량%, Na2O 2.0~15.0중량%, CaO와 CaF2 2.0~7.0중량%, MgO 0.5~3.0중량% 및 CeO2 0.7~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라이너는 지르코니아 코어의 외측면 또는 글라스 세라믹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 또는 양쪽 모두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르코니아 코어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의 결합 단계는, 20 ~ 400℃에서 공정을 개시하며, 분당 10~60℃의 승온속도로 600~1200℃의 최고온도에서 1~60분의 유지시간을 갖도록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르코니아 코어와 글라스 세라믹 블록의 결합 단계는, 최고온도로 승온하는 과정에서 진공도 1~750mmHg로 실시되는 진공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방법.
KR1020150039272A 2015-03-20 2015-03-20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23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272A KR101723569B1 (ko) 2015-03-20 2015-03-20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272A KR101723569B1 (ko) 2015-03-20 2015-03-20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880A KR20160112880A (ko) 2016-09-28
KR101723569B1 true KR101723569B1 (ko) 2017-04-06

Family

ID=5710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272A KR101723569B1 (ko) 2015-03-20 2015-03-20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5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279A (ko) 2019-06-10 2020-12-18 송두빈 6 이상의 반투명도를 갖는 지르코니아 코어-세라믹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686B1 (ko) 2017-08-18 2019-04-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라이너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2034A1 (en) 2003-02-05 2004-08-05 Cummings Kevin M. Use of ceramics in dental and orthodontic applications
KR100546712B1 (ko) * 2003-06-12 2006-01-26 강동진 인공치관용 글래스-세라믹의 제조방법
KR101450190B1 (ko) * 2013-11-19 2014-10-13 (주)더스타일코리아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이용한 치과용 지르코니아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96237A1 (en) * 2002-09-05 2004-03-10 Elephant Dental B.V. Strengthened ceramic restoration
KR101251888B1 (ko) 2012-09-19 2013-04-08 주식회사 디맥스 다공성 임플란트 픽스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2034A1 (en) 2003-02-05 2004-08-05 Cummings Kevin M. Use of ceramics in dental and orthodontic applications
KR100546712B1 (ko) * 2003-06-12 2006-01-26 강동진 인공치관용 글래스-세라믹의 제조방법
KR101450190B1 (ko) * 2013-11-19 2014-10-13 (주)더스타일코리아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이용한 치과용 지르코니아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279A (ko) 2019-06-10 2020-12-18 송두빈 6 이상의 반투명도를 갖는 지르코니아 코어-세라믹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31349B1 (ko) 2019-06-10 2021-03-23 송두빈 6 이상의 반투명도를 갖는 지르코니아 코어-세라믹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880A (ko)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3428B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zirconium dioxide based prostheses
JP6374808B2 (ja) ZrO2成分を含有するケイ酸リチウムガラスセラミックおよびガラス
US10064708B2 (en) Blank for dental purposes
US10405952B2 (en) Blank f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US9039947B2 (en) Methods for making layered dental appliances from the outside in
US20130180110A1 (en) Methods for making layered dental appliances
KR101450190B1 (ko)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이용한 치과용 지르코니아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WO2005115268A1 (en) Method of making ceramic dental restorations
US20100028835A1 (en) Pedodontic/veterinary dental crown system
US9655690B2 (en) Pedodontic/veterinary dental crown system
US20100133711A1 (en) Method of forming a dental article
KR101137013B1 (ko) 사출성형에 의한 치과용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부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부재
KR101723569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51422B1 (ko) 심미성 임플란트용 당일보철 완소결 지르코니아 블록
KR101645357B1 (ko)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
WO2020129918A1 (ja) ジルコニア焼結体
WO2014034736A1 (ja) 歯冠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Rao et al. An overview on zirconia
KR100837571B1 (ko) 치과용 코어 및 그 제조방법
JPH0449972A (ja) 生体硬組織代替体および複合成形体の製造方法
JP7319925B2 (ja) 靭性を向上させた歯科用製品
Protopapadaki Fracture resistance of pressable ceramic fused to metal custom implant abu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