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841B1 - 울음, 주름 및 찢김이 최소화된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울음, 주름 및 찢김이 최소화된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2841B1 KR101992841B1 KR1020170089031A KR20170089031A KR101992841B1 KR 101992841 B1 KR101992841 B1 KR 101992841B1 KR 1020170089031 A KR1020170089031 A KR 1020170089031A KR 20170089031 A KR20170089031 A KR 20170089031A KR 101992841 B1 KR101992841 B1 KR 1019928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pper foil
- copper
- secondary battery
- present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10—Moulds; Masks; Master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20—Separation of the formed objects from the electrodes with no destruction of said electro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38—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copp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6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exture of the layers
- C25D5/605—Surface topography of the layers, e.g. rough, dendritic or nodular lay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22—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ecursors of printed circuits, i.e. copper-clad substrates
- H05K3/025—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ecursors of printed circuits, i.e. copper-clad substrates by transfer of thin metal foil formed on a temporary carrier, e.g. peel-apart copper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2—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inhibiting the corrosion of the circuit, e.g. for preserving the solderability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2—Plated through-holes or plated via connections
- H05K3/423—Plated through-holes or plated via connections characterised by electroplating method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35—Layered conductors or foil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7—Treatments involving liquids, e.g. plating, rinsing
- H05K2203/0703—Plating
- H05K2203/0723—Electroplating, e.g. finish pla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리층을 포함하며, 29 내지 65 kgf/mm2 의 인장강도, 18 내지 148㎛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mean width of roughness profile elements)(Rsm) 및 0.52 이하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를 갖는 동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울음, 주름 및 찢김이 최소화된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박은 이차전지의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 다양한 제품들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한편, 전기 도금에 의하여 제조된 동박을 전해동박이라고도 하며, 이러한 전해동박은 일반적으로 롤투롤(Roll To Roll: RTR)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롤투롤(RTR) 공정에 의해 제조된 전해동박은 롤투롤(RTR) 공정을 통한 이차전지의 음극,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등의 제조에 이용된다. 연속적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롤투롤 공정은 제품의 대량 생산에 적합한 공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롤투롤 공정 중 동박이 접히거나, 찢어지거나, 또는 동박에 울음(bagginess) 또는 주름(wrinkle)이 발생하는 경우, 롤투롤 공정 설비를 중단하고 발생된 문제들을 해결한 후 설비를 재가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된다.
특히, 동박을 이용하여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동박에 울음, 주름 또는 찢김(tear)이 발생하는 경우, 안정적인 제품 생산이 어려워진다.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되는 동박의 울음, 주름 또는 찢김은 이차전지의 제조 수율을 저하시키고, 제품의 제조 단가를 높이는 요인이 된다.
동박에서 발생되는 울음, 주름 또는 찢김 불량의 원인들 중, 동박 자체에 기인하는 원인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동박의 중량편차를 낮은 수준으로 제어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동박의 중량편차 제어만으로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동박의 울음, 주름 또는 찢김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특히, 최근 이차전지의 용량 증대를 위해 초박형의 동박, 예를 들어, 8㎛ 이하의 두께를 갖는 동박이 음극 집전체로 사용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 경우, 동박의 중량편차가 정밀하게 제어되더라도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에서 울음, 주름 또는 찢김 불량이 간헐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동박에 울음, 주름 또는 찢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울음, 주름 또는 찢김이 최소화된 동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히, 얇은 두께를 가지더라도, 제조 공정 중 울음, 주름 또는 찢김의 발생이 방지되어, 우수한 롤투롤(RTR) 공정성을 갖는 동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이러한 동박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러한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이러한 동박을 포함하는 연성동박적층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제조 공정 중 울음, 주름 또는 찢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동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관점들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설명되거나, 그러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리층을 포함하며, 29 내지 65 kgf/mm2 의 인장강도, 18 내지 148㎛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mean width of roughness profile elements)(Rsm) 및 0.52 이하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를 갖는 동박을 제공한다.
상기 동박은 상기 구리층 상에 배치된 방청막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청막은 크롬(Cr), 실란 화합물 및 질소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동박은 0.6㎛ 이상의 최대 높이 조도(Rmax)를 갖는다.
상기 동박은 5% 이하의 중량편차를 갖는다.
상기 동박은 25±15℃의 상온에서 2%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다.
상기 동박은 4㎛ 내지 30㎛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동박 및 상기 동박 상에 배치된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양극(cathode), 상기 양극과 대향 배치된 음극(anode),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배치되어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전해질(electrolyte)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주는 분리막(separator)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은, 상기 동박 및 상기 동박 상에 배치된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고분자막 및 상기 고분자막 상에 배치된 상기 동박을 포함하는 연성동박적층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구리 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액 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양극판 및 회전 음극드럼을 30 내지 80 A/dm2의 전류밀도로 통전시켜 구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해액은 70 내지 100 g/L의 구리 이온. 80 내지 130 g/L의 황산, 2 내지 20 mg/L의 2-메르캅토티아졸린(2-Mercaptothiazoline), 2 내지 20mg/L의 비스(3-설포프로필) 디설파이드[bis-(3-sulfopropyl) disulfide](SPS) 및 50 mg/L 이하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를 포함하는 동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해액은 10 내지 30 mg/L의 염소(Cl)를 포함한다.
상기 전해액의 단위시간(초, second) 당 유량 편차가 5% 이하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한 일반적 서술은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은 울음, 주름 및 찢김에 대해 우수한 저항성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박의 제조 과정 또는 동박을 이용한 이차전지의 제조 과정에서 울음, 주름 또는 찢김의 발생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은 우수한 롤투롤 공정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울음, 주름 또는 찢김이 없거나 최소화된 이차전지용 전극이 제조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동박의 XRD 그래프에 대한 예시이다.
도 2b는 조도 프로파일 요소(roughness profile element)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동박적층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8는 도 3에 도시된 동박의 제조 공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동박의 울음(bagginess)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10은 동박의 주름(wrinkle)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동박의 XRD 그래프에 대한 예시이다.
도 2b는 조도 프로파일 요소(roughness profile element)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동박적층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8는 도 3에 도시된 동박의 제조 공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동박의 울음(bagginess)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10은 동박의 주름(wrinkle)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의 변경과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구성 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가 단수로 표현된 경우,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한다. 또한,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이 사용되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박(100)은 구리층(1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박(100)은 구리층(110) 상에 배치된 방청막(210)을 더 포함한다. 방청막(210)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리층(110)은 매트면(matte surface) (MS) 및 그 반대편의 샤이니면(shiny surface)(SS)을 갖는다.
구리층(110)은, 예를 들어, 전기 도금을 통해 회전 음극드럼 상에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이 때, 샤이니면(SS)은 전기 도금 과정에서 회전 음극드럼과 접촉하였던 면을 지칭하고, 매트면(MS)은 샤이니면(SS)의 반대편 면을 지칭한다.
샤이니면(SS)이 매트면(MS)에 비해 더 낮은 표면조도(Rz)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샤이니면(SS)의 표면조도(Rz)가 매트면(MS)의 표면조도(Rz)와 동일하거나 더 높을 수도 있다.
방청막(210)은 구리층(110)의 매트면(MS) 및 샤이니면(SS)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청막(210)이 매트면(MS)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청막(210)은 샤이니면(SS)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매트면(MS)과 샤이니면(SS)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방청막(210)은 구리층(110)을 보호한다. 방청막(210)은 보존 과정에서 구리층(110)이 산화되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리층(110) 상에 방청막(210)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구리층(110)에 표면 산화가 발생되어, 동박(100)을 포함하는 장치, 예를 들어, 이차전지의 수명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청막(210)을 보호층이라고도 한다. 방청막(210)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구리층(110)을 보호할 수 있는 막이나 층은 모두 방청막(210)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청막(210)은 크롬(Cr), 실란 화합물 및 질소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롬(Cr)을 포함하는 방청액, 즉, 크롬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청액에 의하여 방청막(210)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박(100)은 구리층(110)을 기준으로 매트면(MS) 방향의 표면인 제1 면(S1) 및 샤이니면(SS) 방향의 표면인 제2 면(S2)을 갖는다. 도 1에서, 동박(100)의 제1 면(S1)은 방청막(210)의 표면이고, 제2 면(S2)은 샤이니면(SS)이다. 구리층(110)에 방청막(210)이 배치되지 않는 경우, 구리층(110)의 매트면(MS)이 동박(100)의 제1 면(S1)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박(100)은 0.52 이하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exture Coefficient Bias, TCB)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박(100)의 (220)면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는 0.52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박(100)의 (220)면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를 동박(100)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라고도 한다.
(220)면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는 위치에 따른 (220)면의 집합조직계수[TC(220)]의 편차 또는 경향성을 나타낸다.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는 동박(100) 표면의 결정구조와 관련된다. (220)면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는 다음 식 1로 구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박(100)의 폭방향을 따라 좌측, 중앙 및 우측의 각 지점에서 에서 각각 3회씩 [TC(220)](220 면의 집합조직계수)를 측정하였다(아래 식 2 참조). 이때 가장 높은 [TC(220)] 값을 TCmax로 하고, 가장 낮은 [TC(220)] 값을 TCmin으로 한다.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는 TCmax와 TCmin의 차이, 즉, "TCmax - TCmin" 값으로 산출된다.
[식 1]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 = TCmax - TCmin
한편, 동박(100)의 폭방향을 따라 샘플을 채취하는 기준은 중량편차 측정법에서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식 1을 참조하면, (220)면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는 (220) 면이 집합조직계수[TC(220)]로부터 구해진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20)면의 집합조직계수[TC(220)]를 측정 및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a는 동박의 XRD 그래프에 대한 예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동박(100)의 XRD 그래프이다.
(220)면의 집합조직계수[TC(220)] 측정에 있어서, 먼저, 30ㅀ 내지 95ㅀ의 회절각(2θ) 범위에서 X선 회절법(XRD)에 의해, n개의 결정면들에 대응하는 피크들을 갖는 XRD 그래프가 얻어진다[Target: Copper K alpha 1, 2θ interval: 0.01ㅀ, 2θ scan speed: 3ㅀ/min]. 예를 들어,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111)면, (200)면, (220)면, 및 (311)면에 해당하는 4개의 피크들이 나타난 XRD 그래프가 얻어질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n은 4이다.
다음, 이 그래프로부터 각 결정면(hkl)의 XRD 회절강도[I(hkl)]가 구해진다. 또한, JCPDS(Joint Committee on Powder Diffraction Standards)에 의해 규정된 표준 구리 분말의 n개의 결정면들 각각에 대한 XRD 회절강도[I0(hkl)]가 구해진다. 이어서, n개의 결정면들의 "I(hkl)/I0(hkl)"에 대한 산술평균값이 산출되고, 그 산술평균값으로 (220)면의 I(220)/I0(220)가 나누어짐으로써 (220)면의 집합조직계수[TC(220)]가 산출된다. 즉, (220)면의 집합조직계수[TC(220)]는 다음의 식 2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식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박(100)의 (220)면은 0.52 이하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를 가질 수 있다. 즉, 동박(100)은 0.52 이하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220)]를 가질 수 있다.
(220)면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가 0.52를 초과하는 경우 구리층(110) 또는 동박(100) 내에서 국부적인 결정구조의 차이에 의한 국부적인 집합조직의 차이로 인해,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에 의한 동박(100) 제조 과정에서 동박에 인가되는 장력(Tension)에 의해 동박(100)이 쉽게 변형되고, 이로 인해 동박(100)에 주름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박(100)의 (220)면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220)]가 0.52 이하의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박(100)은 29 내지 65 kgf/mm2 의 인장강도를 갖는다. 인장강도는 IPC-TM-650 Test Method Manual의 규정에 따라 만능시험기(UTM)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nstron사(社)의 만능시험기에 의해 인장강도가 측정된다. 이 때, 인장강도 측정용 샘플의 폭은 12.7 mm이고, 그립(grip)간 거리는 50 mm이고, 측정 속도는 50 mm/min이다. 평가를 위해 샘플의 인장강도가 3회에 걸쳐 반복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동박(100)의 인장강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동박(100)의 인장 강도가 29kgf/mm2 미만이면, 제조 공정에서 동박(100)에 가해지는 장력(tension) 등의 힘을 동박(100)이 견디지 못하여, 롤투롤 공정 중 동박(100)에 주름이 발생될 수 있다.
반면, 동박(100)의 인장 강도가 65kgf/mm2를 초과하면, 동박(100)의 인장 강도가 우수하여 제조 공정에서 동박(100)에 가해지는 장력(tension) 등의 힘을 동박(100)이 충분히 견디지만, 동박(100) 자체의 취성이 증가되어, 롤투롤 공정 중 동박(100)에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여 동박(100)이 늘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동박(100)에 찢김이 발생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동박(100)의 사용성이 저하된다. 예를 들어, 동박의 제조 공정 또는 동박을 이용한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공정에서 찢김(tear)이 발생되어 안정적인 제품 제조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만약, 롤투롤 공정에 의한 동박의 제조 공정 중 이러한 찢김이 발생되는 경우, 롤투롤 공정 설비를 중단하고 찢긴 부분을 제거한 후 공정 설비를 재가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공정 시간 및 비용이 증가되고, 생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박(100)은 18 내지 148㎛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mean width of roughness profile elements)(Rsm)을 갖는다.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Rsm)은 JIS B 0601-2001 규격에 따라 조도계로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itutoyo社의 SJ-310 모델에 의해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Rsm)가 측정되었다. 이 때, 컷 오프(cut off) 길이를 제외한 측정 길이는 4mm이며, 컷 오프(cut off) 길이는 초기와 말기 각각 0.8mm이다. 스타일러스 팁(stylus tip)의 반지름(radius)는 2㎛이다.
도 2b는 조도 프로파일 요소(roughness profile element)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Rsm)은, 하나의 산(골)이 평균선(ML)과 교차하는 점에서 이웃하는 산(골)의 대응점까지의 거리(XSi, 여기서, i = 1, 2, 3, … m)의 산술 평균 값이다. 구체적으로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Rsm)은 다음 식 3으로 구해질 수 있다.
[식 3]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Rsm)은 주기적인 결이 있는 표면을 평가하는 데 적합하다.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Rsm)이 18㎛ 미만이면, 표면에 요철이 너무 많아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에 의한 동박(100)의 제조 과정 중 장력(Tension)이 요철에 집중될 가능성이 많아지고, 그에 따라 동박(100)에 찢김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반면,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Rsm)이 148㎛를 초과하면, 요철의 간격이 너무 넓어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에 의한 동박(100)의 제조 과정에서 미끄러짐(slip)이 발생하기 쉽고, 이로 인해 동박(100)에 주름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박(100)은 0.6㎛ 이상의 최대 높이 조도(Rmax)를 갖는다.
최대 높이 조도(Rmax)는 JIS B 0601-2001 규격에 따라 조도계로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itutoyo社의 SJ-310 모델에 의해 최대 높이 조도(Rmax)가 측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컷 오프(cut off) 길이를 제외한 측정 길이는 4mm이며, 컷 오프(cut off) 길이는 초기와 말기 각각 0.8mm로 한다. 스타일러스 팁(stylus tip)의 반지름(radius)은 2㎛로 하고, 측정 압력은 0.75mN으로 한다.
최대 높이 조도(Rmax)가 0.6㎛ 미만인 경우 동박(100)이 보빈 또는 와인더에 권취될 때 동박(100) 간의 중량 중첩으로 인해, 동박(100)이 국부적으로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되어 울음 불량을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박(100)은 3.5㎛ 이하의 최대 높이 조도(Rmax)를 가질 수 있다. 동박(100)의 최대 높이 조도(Rmax)가 3.5㎛를 초과하는 경우, 롤투롤(RTR) 공정에 의한 동박(100)의 제조 공정에서 동박(100)이 보빈 또는 와인더에 권취될 때, 동박과 동박 사이에 공기가 갇혀 울음(bagginess)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박(100)은 5% 이하의 중량 편차를 갖는 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박(100)은 0 내지 5%의 중량 편차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중량 편차가 0이라는 것은 중량 편차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 편차는 동박(100)의 폭 방향을 따라 임의의 3지점에서 측정된 중량의 평균(평균 중량) 및 중량의 표준 편차로부터 구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박(100)의 폭 방향 즉, 권취 방향에 수직한 방향(Transverse Direction, TD)을 따라 배열된 3개 지점들에서 5cmㅧ5cm의 샘플들을 취한 후 각 샘플의 중량을 측정하여 단위면적당 중량을 산출하고, 3개 샘플의 단위면적당 중량으로부터 3 지점의 "평균 중량"과 "중량의 표준편차"를 산출한 다음, 식 4에 따라 중량 편차를 구할 수 있다.
[식 4]
동박(100)의 중량 편차가 5%를 초과하면, 롤투롤 공정에서 동박(100)이 권취될 때 동박(100) 간의 중량 중첩으로 인해 동박(100)이 국부적으로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되어, 동박(100)에 울음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박(100)은 25±15℃의 상온에서 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진다. 연신율은 IPC-TM-650 Test Method Manual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만능시험기(UTM)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nstron社의 설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연신율 측정용 샘플의 폭은 12.7 mm이고, 그립(grip)간 거리는 50 mm이며, 측정 속도는 50 mm/min이다. 3회에 걸쳐 연신율이 측정된 후 그 평균값이 연신율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동박(100)의 연신율이 2% 미만이면, 동박(100)의 제조 과정에서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여 동박(100)이 늘어나지 못하고 찢어질 위험이 생길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박(100)은 2 내지 20%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박(100)은 4㎛ 내지 3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동박(100)의 두께가 4㎛ 미만인 경우, 동박(100)의 제조 공정 또는 동박(100)을 이용한 제품, 예를 들어, 이차전지용 전극 또는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에서 작업성이 저하된다. 동박(100)의 두께가 30㎛를 초과하는 경우, 동박(100)을 이용한 이차전지용 전극의 두께가 커지고, 이러한 큰 두께로 인하여 이차전지의 고용량 구현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울음(bagginess)과 주름(wrinkle)은 서로 구별된다.
도 9는 동박의 울음(bagginess)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9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이 울음이 발생한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울음은 동박(100)이 국부적으로 늘어나서 평평하게 펴지지 않은 상태 또는 그 부분을 지칭한다.
도 10은 동박의 주름(wrinle)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10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이 주름이 발생한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주름은 동박(100)이 국부적으로 접힌 상태 또는 그 부분을 지칭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울음(bagginess)과 주름(wrinkle)을 구별하지 않고 둘 중 하나의 용어로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박(100)이 국부적으로 늘어나서 평평하게 펴지지 않은 경우와 동박(100)이 국부적으로 접힌 경우를 구분없이 모두 "울음"이라고 표현하거나, 또는 "주름"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즉, 울음(bagginess)과 주름(wrinkle)을 구별하지 않고 이들 모두를 "울음"이라고 표현하거나, 또는 "주름"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2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미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200)은 구리층(110) 및 구리층(110)의 매트면(MS)과 샤이니면(SS)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방청막(210, 22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동박(100)과 비교하여, 도 3에 도시된 동박(200)은 구리층(110)의 샤이니면(SS)에 배치된 방청막(220)을 더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방청막(210, 220) 중 구리층(110)의 매트면(MS)에 배치된 방청막(210)을 제1 보호층이라고 하고, 샤이니면(SS)에 배치된 방청막(220)을 제2 보호층이라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동박(200)의 제1 면(S1)은 매트면(MS)에 배치된 방청막(210)의 표면과 동일하고, 제2 면(S2)은 샤이니면(SS)에 배치된 방청막(220)의 표면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방청막(210, 220)은 각각 크롬(Cr), 실란 화합물 및 질소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동박(200)의 (220)면은 0.52 이하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를 갖는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동박(200)은 29 내지 65 kgf/mm2 의 인장강도 및 18 내지 148㎛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mean width of roughness profile elements)(Rsm)을 갖는다. 또한, 동박(200)은 0.6㎛ 이상의 최대 높이 조도(Rmax) 및 5% 이하의 중량편차를 가지며, 25±15℃의 상온에서 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며, 4㎛ 내지 30㎛의 두께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3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이차전지용 전극(300)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이차전지(5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300)은 동박(100) 및 동박(100) 상에 배치된 활물질층(310)을 포함한다. 여기서, 동박(100)은 전류 집전체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300)은 제1 면(S1)과 제2 면(S2)을 갖는 동박(100) 및 동박(100)의 제1 면(S1)과 제2 면(S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활물질층(310)을 포함한다. 또한, 동박(100)은 구리층(110) 및 구리층(110) 상에 배치된 방청막(210)을 포함한다.
도 4에 전류 집전체로 도 1의 동박(100)이 이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동박(200)이 이차전지용 전극(300)의 집전체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동박(100)의 표면들(S1, S2) 중 제1 면(S1)에만 활물질층(310)이 배치된 구조가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박(100)의 제1 면(S1)과 제 2면(S2) 모두에 활물질층(310)이 각각 배치될 수도 있고, 동박(100)의 제 2면(S2)에만 활물질층(310)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활물질층(310)은 전극 활물질로 이루어지며, 특히 음극 활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이차전지용 전극(300)은 음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활물질층(310)은, 탄소, 금속, 금속의 산화물 및 금속과 탄소의 복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으로, Ge, Sn, Li, Zn, Mg, Cd, Ce, Ni 및 Fe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차전지의 충방전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활물질층(310)은 실리콘(Si)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박(100)이 사용되는 경우, 이차전지용 전극(300)의 제조 과정 중 동박(100)의 울음, 주름 또는 찢김의 발생이 방지된다. 그에 따라, 이차전지용 전극(300)의 제조 효율이 향상되며, 이러한 이차전지용 전극(300)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충방전 효율 및 용량 유지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4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400)은 동박(200) 및 동박(200) 상에 배치된 활물질층(310, 320)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동박(200)은 구리층(110) 및 구리층(110)의 양면(MS, SS)에 배치된 두 개의 방청막(210, 220)을 포함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이차전지용 전극(300)은 동박(200)의 양면에 배치된 두 개의 활물질층(310, 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동박(200)의 제1 면(S1) 상에 배치된 활물질층(310)을 제1 활물질층이라 하고, 동박(200)의 제2 면(S2)에 배치된 활물질층(320)을 제2 활물질층이라 할 수 있다.
두 개의 활물질층(310, 320)은 서로 동일한 재료에 의해 동일한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다른 재료 또는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5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이차전지(500)는, 예를 들어, 리튬 이차전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차전지(500)는, 양극(cathode)(370), 양극(370)과 대향 배치된 음극(anode)(340), 양극(370)과 음극(340) 사이에 배치되어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전해질(electrolyte)(350), 및 양극(370)과 음극(34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주는 분리막(separator)(3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양극(370)과 음극(340)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온은 리튬 이온이다. 분리막(360)은 하나의 전극에서 발생된 전하가 이차전지(500)의 내부를 통해 다른 전극으로 이동하여 무익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극(370)과 음극(340)을 분리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분리막(360)은 전해질(350) 내에 배치된다.
양극(370)은 양극 집전체(371) 및 양극 활물질층(372)을 포함한다. 양극 집전체(371)로, 예를 들어, 알루미늄 호일(foil)이 사용될 수 있다.
음극(340)은 음극 집전체(341) 및 활물질층(342)을 포함한다. 음극(340)의 활물질층(342)은 음극 활물질을 포함한다.
음극 집전체(341)로, 도 1 및 3에 개시된 동박(100, 200)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5에 도시된 이차전지용 전극(300, 400)이 도 6에 도시된 이차전지(500)의 음극(340)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동박적층필름(6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동박적층필름(600)은 고분자막(410) 및 고분자막(410) 상에 배치된 동박(10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동박(100)을 포함하는 연성동박적층필름(600)이 도 7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동박(200) 또는 다른 동박이 연성동박적층필름(600)에 사용될 수 있다.
고분자막(410)은 연성(flexibility)을 가지며 비전도성을 갖는다. 고분자막(410)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고분자막(410)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롤 프레스(Roll Press)를 통해 폴리이미드 필름과 동박(100)이 라미네이팅되어 연성동박적층필름(600)이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동박(100) 상에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이 코팅된 후 열처리되어 연성동박적층필름(600)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동박(100)은 매트면(MS)과 샤이니면(SS)을 갖는 구리층(110) 및 구리층(110)의 매트면(MS) 및 샤이니면(SS)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방청막(21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방청막(21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방청막(210) 상에 고분자막(410)이 배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분자막(410)이 구리층(110)의 샤이니면(SS)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박(200)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동박(200)의 제조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먼저, 구리 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액(11) 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양극판(13) 및 회전 음극드럼(12)을 30 내지 80 ASD(A/dm2)의 전류밀도로 통전시켜 구리층(11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전해조(10)에 담긴 전해액(11) 내에 배치된 양극판(13) 및 회전 음극드럼(12) 사이에 30 내지 80 ASD(A/dm2)의 전류밀도가 인가되어 회전 음극드럼(12) 상에 구리가 전착(electrodeposit)됨으로써 구리층(110)이 형성된다. 이 때, 양극판(13)과 회전 음극드럼(12) 사이의 간격은 8 내지 13 mm의 범위로 조정될 수 있다.
양극판(13)과 회전 음극드럼(12) 사이에 인가되는 전류밀도가 높을수록 균일한 전착이 이루어져 구리층(110)의 매트면(MS)의 표면조도가 감소하고, 전류밀도가 낮을수록 불균일한 도금이 이루어져 구리층(110)의 매트면(MS)의 표면조도가 커진다.
전해액(11)은 70 내지 100 g/L의 구리 이온 및 80 내지 130 g/L의 황산을 포함한다. 전해액의 농도는 50 내지 70℃로 유지된다. 이러한 농도를 갖는 전해액(11)에서, 회전 음극드럼(12) 상에 구리의 전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해액(11)은 유기물로, 2 내지 20 mg/L의 2-메르캅토티아졸린(2-mercaptothiazoline), 2 내지 20mg/L의 비스(3-설포프로필) 디설파이드[bis-(3-sulfopropyl) disulfide](SPS) 및 50 mg/L 이하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를 포함한다.
2-메르캅토티아졸린(2-mercaptothiazoline)은 "MTZ"라고도 하며,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2-메르캅토티아졸린(MTZ)은 구리층(110) 제조 과정에서 결정립 미세화 기능을 한다. 전해액(11) 내에서 2-메르캅토티아졸린(MTZ)의 농도가 2㎎/L 미만이면, 2-메르캅토티아졸린(MTZ)에 의한 결정립 미세화가 충분하지 않아, 동박(200)의 인장강도가 29 kgf/mm2 미만이 된다. 반면, 2-메르캅토티아졸린(MTZ)의 농도가 20㎎/L을 초과하면, 2-메르캅토티아졸린(MTZ)에 의한 결정립 미세화가 과도하여 동박(200)의 인장강도가 65 kgf/mm2 를 초과하게 된다.
전해액(11) 내에서 광택제 역할을 하는 비스(3-설포프로필) 디설파이드(SPS)의 농도가 20㎎/L를 초과하여 과도하게 높으면, 구리층(110)의 표면이 너무 균일하게 형성되어 단위 구간당 요철의 수가 적어지며, 이로 인해 동박(200)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Rsm)이 148㎛를 초과한다. 반면, 비스(3-설포프로필) 디설파이드(SPS)의 농도가 2㎎/L 미만이면, 구리 전착시 표면을 균일하게 만드는 광택제의 농도가 너무 낮아 구리층(110)의 표면이 불균일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동박(200) 단위 구간당 요철의 수가 많아지며,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Rsm)이 18㎛ 미만이 된다.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은 구리 전착시 구리층(110)의 표면을 평탄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해액(11) 내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구리층(110)의 평활도는 높아 진다. 전해액(11) 내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농도가 50㎎/L을 초과하면, 동박(200)의 표면의 평활도가 높아져 동박(200)의 최대 높이 조도(Rmax)가 0.6㎛ 미만이 된다.
전해액(11)은 50 mg/L 이하의 은(Ag)을 포함한다. 여기서, 은(Ag)은 전해액(11)에 해리된 이온 상태(Ag+) 및 해리되지 않은 상태(Ag)를 포함하며, 염으로 존재하는 상태도 모두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전해액(11) 내에서 은(Ag)은 불순물에 해당된다. 전해액(11) 내에서 은(Ag)의 농도가 50mg/L을 초과하면, 회전 음극드럼(12) 상에 구리가 과도하게 불균일하게 전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액(11) 내의 은(Ag)의 농도를 50mg/L 이하로 관리한다.
전해액(11) 내의 은(Ag) 농도를 50 mg/L 이하로 관리하기 위해, 전해액(11)에 염소(Cl)를 투입하여 은(Ag)이 염화은(AgCl) 형태로 침전되도록 함으로써, 은(Ag)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해액(11)은 10 내지 30 mg/L의 염소(Cl)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염소(Cl)는 염소 이온(Cl-) 및 분자 내에 존재하는 염소 원자를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염소(Cl)는 은(Ag) 이온을 염화은(AgCl) 형태로 침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염화은(AgCl)은 여과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전해액(11) 내의 불순물의 함량을 줄이기 위해 구리 이온의 재료가 되는 구리 와이어가 열처리되고, 열처리된 구리 와이어가 산세된 후, 산세된 구리 와이어가 전해액용 황산에 투입될 수 있다.
전해액(11)은 35 내지 50 m3/hour의 유량을 가질 수 있다. 즉, 전착에 의한 구리층(110) 형성 과정에서 전해액(11)에 존재하는 고형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전해액(11)은 35 내지 50 m3/hour의 유량으로 순환될 수 있다. 전해액(11)의 순환 과정에서 전해액(11)이 여과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에 의하여 염화은(AgCl)과 같은 불순물이 제거됨으로써, 전해액(11)의 청결도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시간(초)당 전해액(11)의 유량 변화량(이하 "유량 편차"라 한다.)이 5% 이하가 되도록 한다. 유량 편차가 5%를 초과하는 경우, 불균일 도금에 의해 불균일한 구리층(1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동박(100)의 (220)면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가 0.52를 초과하게 된다.
한편, 전해액(11)이 오존 처리되거나, 전기 도금에 의해 구리층(110)이 형성되는 동안 전해액(11)에 과산화수소 및 공기가 투입됨으로써 전해액(11)의 청정도가 유지 또는 향상될 수 있다.
다음, 세정조(20)에서 구리층(110)이 세정된다.
구리층(110)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세정조(20)에서 수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구리층(110)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산세(acid cleaning)가 수행되고, 이어서 산세에 사용된 산성 용액 제거를 위한 수세(water cleaning)가 수행될 수도 있다. 세정 공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 구리층(110) 상에 방청막(210, 220)이 형성된다.
도 8를 참조하면, 방청조(30)에 담긴 방청액(31) 내에 구리층(110)이 침지되어, 구리층(110) 상에 방청막(210, 2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청액(31)은 크롬을 포함하며, 방청액(31) 내에서 크롬(Cr)은 이온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청액(31)은 0.5 내지 5 g/L의 크롬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방청막(210, 220)을 보호층이라고도 한다.
한편, 방청막(210, 220)은 실란 처리에 의한 실란 화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고, 질소 처리에 의한 질소 화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청막(210, 220) 형성에 의해 동박(200)이 만들어진다.
다음, 동박(200)이 세정조(40)에서 세정된다. 이러한 세정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 건조 공정이 수행된 후 동박(200)이 와인더(WR)에 권취된다.
이하, 제조예들 및 비교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제조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제조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조예 1-6 및 비교예 1-6
전해조(10), 전해조(10)에 배치된 회전 음극드럼(12) 및 회전 음극드럼(12)과 이격되어 배치된 양극판(13)을 포함하는 제박기를 이용하여 동박을 제조하였다. 전해액(11)은 황산동 용액이며, 전해액(11)의 구리이온 농도는 75g/L, 황산 농도는 100g/L, 염소 이온(Cl-)의 농도는 17mg/L이었고, 전해액(11)의 온도는 55℃로 유지되었다.
전해액(11)은 표 1에 개시된 농도의 2-메르캅토티아졸린(MTZ), 비스(3-설포프로필) 디설파이드(SPS)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포함한다. 또한, 전해액(11)은 42m3/hour의 유량으로 순환되며, 유량 편차는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다.
먼저, 회전 음극드럼(12)과 양극판(13) 사이에 60 ASD의 전류밀도로 전류를 인가하여 구리층(110)을 형성하였다.
다음, 방청조(30)에 담긴 방청액(31)에 구리층(110)을 침지시켜 구리층(110) 표면에 크롬을 포함하는 방청막(210, 220)을 형성하였다. 이때, 방청액(31)의 온도는 30℃로 유지되었으며, 방청액(31)은 2.2g/L의 크롬(Cr)을 포함한다. 그 결과, 제조예 1-6 및 비교예 1-6의 동박들이 제조되었다.
구분 | 유량편차 (%) |
MTZ (mg/L) |
SPS (mg/L) |
PEG (mg/L) |
제조예 1 | 4.8 | 11 | 11 | 25 |
제조예 2 | 2.8 | 3 | 11 | 25 |
제조예 3 | 2.8 | 19 | 11 | 25 |
제조예 4 | 2.8 | 11 | 3 | 25 |
제조예 5 | 2.8 | 11 | 19 | 25 |
제조예 6 | 2.8 | 11 | 11 | 49 |
비교예 1 | 5.1 | 11 | 11 | 25 |
비교예 2 | 2.8 | 1 | 11 | 25 |
비교예 3 | 2.8 | 21 | 11 | 25 |
비교예 4 | 2.8 | 11 | 1 | 25 |
비교예 5 | 2.8 | 11 | 21 | 25 |
비교예 6 | 2.8 | 11 | 11 | 52 |
이와 같이 제조된 제조예 1-6 및 비교예 1-6의 동박에 대해 (i) (220)면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 (ii) 인장강도, (iii)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Rsm) 및 (iv) 최대 높이 조도(Rmax)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도시되었다.
(i) (220)면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 측정
먼저, 제조예 1-6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된 동박들의 (220)면의 집합조직계수[TCB(220)]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1-6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된 동박들에 대해 30ㅀ 내지 95ㅀ의 회절각(2θ) 범위에서 X선 회절법(XRD)[(i) Target: Copper K alpha 1, (ii) 2θ interval: 0.01ㅀ, (iii) 2θ scan speed: 3ㅀ/min]을 실시함으로써, n개의 결정면들에 대응하는 피크들을 갖는 XRD 그래프를 얻었고, 이 그래프로부터 각 결정면(hkl)의 XRD 회절강도[I(hkl)]를 구하였다. 또한, JCPDS(Joint Committee on Powder Diffraction Standards)에 의해 규정된 표준 구리 분말의 n개의 결정면들 각각에 대한 XRD 회절강도[I0(hkl)]를 구하였다. 여기서, 결정면은 (111)면, (200)면, (220)면 및 (311)면이고, n은 4이다.
이어서, n개의 결정면들의 I(hkl)/I0(hkl)의 산술평균값을 구한 후 구해진 산술평균값으로 (220)면의 I(220)/I0(220)을 나눔으로써 동박의 (220)면의 집합조직계수[TC(220)]를 산출하였다. (220)면의 집합조직계수[TC(220)]는 다음의 식 2에 따라 산출되었다.
[식 2]
(220)면의 집합조직계수[TC(220)]를 이용하여, 다음 식 1에 따라 (220)면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동박(100)의 폭방향을 따라 좌측, 중앙 및 우측의 각 지점에서 에서 각각 3회씩 [TC(220)](220 면의 집합조직계수)를 측정하여 그 평균을 구하였다. 이 때 가장 높은 [TC(220)] 값을 TCmax로 하고, 가장 낮은 [TC(220)] 값을 TCmin으로 한다. 다음, TCmax와 TCmin의 차이, 즉, "TCmax - TCmin" 값을 계산하여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를 산출하였다.
[식 1]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 = TCmax - TCmin
(ii) 인장강도 측정
IPC-TM-650 Test Method Manual의 규정에 따라 Instron사(社)의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제조예 1-6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된 동박들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측정 샘플의 폭은 12.7 mm이었고, 그립(grip)간 거리는 50 mm이었고, 측정 속도는 50 mm/min 이었다. 샘플의 인장강도를 3회에 걸쳐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을 측정 결과로 평가하였다.
(iii)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Rsm) 측정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Rsm)은 JIS B 0601-2001 규격에 따라 조도계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Mitutoyo社의 SJ-310 모델을 이용하여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Rsm)가 측정하였다. 이 때, 컷 오프(cut off) 길이를 제외한 측정 길이는 4mm이었으며, 컷 오프(cut off) 길이는 초기와 말기 각각 0.8mm이었다. 또한, 스타일러스 팁(stylus tip)의 반지름(radius)는 2㎛이었다.
표면 조도 프로파일에서 하나의 산(골)이 평균선(ML)과 교차하는 점에서 이웃하는 산(골)의 대응점까지의 거리를 XSi라고 할 때,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Rsm)은 다음 식 3으로 구해질 수 있다.
[식 3]
(iv) 최대 높이 조도(Rmax) 측정
JIS B 0601-2001 규격에 따라, 조도계를 이용하여 최대 높이 조도(Rmax)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Mitutoyo SJ-310 모델에 의해 최대 높이 조도(Rmax)가 측정되었다. 이 때, 컷 오프(Cut off) 길이를 제외한 측정 길이는 4mm이었으며, 컷 오프(Cut off) 길이는 초기와 말기 각각 0.8mm로 하였다. 스타일러스 팁(Stylus Tip)의 반지름(Radius)은 2㎛로 하고, 측정 압력은 0.75mN으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설정 후 측정하여, Mitutoyo 조도계 측정값 기준으로 최대 높이 조도(Rmax)에 대한 측정값을 얻었다.
(v) 울음, 주름 및 찢김 발생 관찰
1) 음극 제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음극 활물질용 카본 100 중량부에 2 중량부의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및 2 중량부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를 혼합하고, 증류수를 용제로 이용하여 음극 활물질용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10㎝ 폭을 가진 제조예 1-6 및 비교예 1-6의 동박 상에 40㎛ 두께로 음극 활물질용 슬러리를 도포하고, 이를 120℃에서 건조하고, 1 ton/㎠의 압력에서 가압하여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조하였다.
2) 전해액 제조
에틸렌카보네이트(EC) 및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를 1:2의 비율로 혼합한 비수성 유기용매에 용질인 LiPF6을 1M의 농도로 용해하여 기본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99.5중량%의 기본 전해액과 0.5중량%의 숙신산 무수물(Succinic anhydride)을 혼합하여 비수전해액을 제조하였다.
3) 양극 제조
Li1.1Mn1.85Al0.05O4인 리튬 망간 산화물과 o-LiMnO2인 orthorhombic 결정구조의 리튬 망간 산화물을 90:10(중량비)의 비로 혼합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양극 활물질, 카본 블랙, 및 결착제인 PVDF[Poly(vinylidenefluoride)]를 85:10:5(중량비)로 혼합하고, 이를 유기 용매인 NMP와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슬러리를 20㎛의 두께 Al박(foil) 양면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4) 시험용 리튬 이차전지 제조
알루미늄 캔의 내부에, 알루미늄 캔과 절연되도록 양극과 음극을 배치하고, 그 사이에 비수전해액 및 분리막을 배치하여, 코인 형태의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분리막으로 폴리프로필렌(Celgard 2325; 두께 25㎛, average poresize φ28 nm, porosity 40%)이 사용되었다.
5) 울음, 주름 및 찢김 발생 관찰
일련의 리튬 이차전지 제조 과정에서 동박의 울음, 주름 및 찢김을 관찰하였다. 특히, 동박 및 음극의 제조 과정에서 동박의 울음, 주름 및 찢김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울음, 주름 또는 찢김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양호"라 표시하였다. 그 평가 및 관찰 결과는 하기 표 2에 도시되었다.
TCB(220) (%) |
인장강도 (kgf/mm2) |
Rsm (㎛) |
Rmax (㎛) |
주름 | 찢김 | 울음 | |
제조예 1 | 0.51 | 46.2 | 76 | 1.70 | 양호 | 양호 | 양호 |
제조예 2 | 0.21 | 29.4 | 76 | 1.75 | 양호 | 양호 | 양호 |
제조예 3 | 0.21 | 64.7 | 76 | 1.75 | 양호 | 양호 | 양호 |
제조예 4 | 0.21 | 46.2 | 19 | 1.74 | 양호 | 양호 | 양호 |
제조예 5 | 0.21 | 46.2 | 147 | 1.75 | 양호 | 양호 | 양호 |
제조예 6 | 0.21 | 46.2 | 76 | 0.62 | 양호 | 양호 | 양호 |
비교예 1 | 0.53 | 46.2 | 76 | 1.70 | 주름 | 양호 | 양호 |
비교예 2 | 0.21 | 28.5 | 76 | 1.75 | 주름 | 양호 | 양호 |
비교예 3 | 0.21 | 65.8 | 76 | 1.75 | 양호 | 찢김 | 양호 |
비교예 4 | 0.21 | 46.2 | 17 | 1.74 | 양호 | 찢김 | 양호 |
비교예 5 | 0.21 | 46.2 | 149 | 1.75 | 주름 | 양호 | 양호 |
비교예 6 | 0.21 | 46.2 | 76 | 0.55 | 양호 | 양호 | 울음 |
비교예 1-6에 따른 동박 및 리튬 이차전지 제조 과정에서 동박에 울음, 주름 또는 찢김이 발생하였으나, 제조예 1-6에 따른 동박 및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동박에 울음, 주름 또는 찢김이 발생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동박을 이용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동박에 울음, 주름 또는 찢김이 발생하였다.
(1) 유량편차가 5%를 초과하고, (220) 면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가 0.52를 초과하는 비교예 1(주름 발생);
(2) 전해액 내의 2-메르캅토티아졸린(MTZ)의 농도가 1mg/L 미만이고, 인장강도가 29 kgf/mm2 미만인 비교예 2(주름 발생);
(3) 전해액 내의 2-메르캅토티아졸린(MTZ)의 농도가 20mg/L를 초과하고, 인장강도가 65 kgf/mm2 를 초과하는 비교예 3(찢김 발생);
(4) 전해액 내의 비스(3-설포프로필) 디설파이드 (SPS) 함량이 2mg/L 미만이고,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Rsm)이 18㎛ 미만인 비교예 4(찢김 발생);
(5) 전해액 내의 비스(3-설포프로필) 디설파이드 (SPS) 함량이 21mg/L를 초과하고,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Rsm)이 148㎛를 초과하는 비교예 5(주름 발생);
(6) 전해액 내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함량이 50mg/L를 초과하고, 최대 높이 조도(Rmax)가 0.6㎛ 미만인 비교예 6(울음 발생).
이러한 비교예 1-6에 따른 동박은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집전체로 부적합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건 범위에서 제조된 제조예 1 내지 6의 경우, 동박의 제조 과정 또는 동박을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과정에서 동박이 찢어지지 않으며, 동박에 울음이나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박은 우수한 롤투롤(RTR) 공정성을 가지며,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집전체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표현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동박
210, 220: 방청막
310: 활물질층
300, 400: 이차전지용 전극
340: 이차전지용 음극
370: 이차전지용 양극
MS: 매트면
SS: 샤이니면
210, 220: 방청막
310: 활물질층
300, 400: 이차전지용 전극
340: 이차전지용 음극
370: 이차전지용 양극
MS: 매트면
SS: 샤이니면
Claims (13)
- 구리층을 포함하며,
29 내지 65 kgf/mm2 의 인장강도;
18 내지 100㎛의 조도 프로파일 요소 평균 간격(mean width of roughness profile elements)(Rsm); 및
0.52 이하의 집합조직계수 바이어스[TCB(220)];
를 갖는 동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층 상에 배치된 방청막을 더 포함하는 동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막은 크롬(Cr), 실란 화합물 및 질소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박. - 제1항에 있어서,
0.6㎛ 이상의 최대 높이 조도(Rmax)를 갖는 동박. - 제1항에 있어서,
5% 이하의 중량편차를 갖는 동박. - 제1항에 있어서,
25±15℃의 상온에서 2%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 동박. - 제1항에 있어서,
4㎛ 내지 30㎛의 두께를 갖는 동박.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박; 및
상기 동박 상에 배치된 활물질층;
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양극(cathode);
상기 양극과 대향 배치된 음극(anode);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배치되어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전해질(electrolyte);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주는 분리막(separator);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박; 및
상기 동박 상에 배치된 활물질층;
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 고분자막; 및
상기 고분자막 상에 배치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박;
을 포함하는 연성동박적층필름. - 구리 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액 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양극판 및 회전 음극드럼을 30 내지 80 A/dm2의 전류밀도로 통전시켜 구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해액은,
70 내지 100 g/L의 구리 이온;
80 내지 130 g/L의 황산;
2 내지 20 mg/L의 2-메르캅토티아졸린(2-Mercaptothiazoline);
2 내지 20mg/L의 비스(3-설포프로필) 디설파이드[bis-(3-sulfopropyl) disulfide](SPS); 및
50 mg/L 이하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를 포함하는 동박의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10 내지 30 mg/L의 염소(Cl)를 포함하는 동박의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의 단위시간(초, second) 당 유량 편차가 5% 이하인 동박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9031A KR101992841B1 (ko) | 2017-07-13 | 2017-07-13 | 울음, 주름 및 찢김이 최소화된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US16/126,470 US10787752B2 (en) | 2017-07-13 | 2018-09-10 | Copper foil with minimized bagginess, wrinkle or tear, electrode including the sam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9031A KR101992841B1 (ko) | 2017-07-13 | 2017-07-13 | 울음, 주름 및 찢김이 최소화된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7705A KR20190007705A (ko) | 2019-01-23 |
KR101992841B1 true KR101992841B1 (ko) | 2019-06-27 |
Family
ID=64998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9031A KR101992841B1 (ko) | 2017-07-13 | 2017-07-13 | 울음, 주름 및 찢김이 최소화된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787752B2 (ko) |
KR (1) | KR10199284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26372A (zh) * | 2019-06-05 | 2019-08-16 | 河源广工大协同创新研究院 | 一种多层金属箔层结构覆铜板的制备方法 |
KR20210056073A (ko) * | 2019-11-08 | 2021-05-18 |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 찢김 또는 주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
KR20210062204A (ko) * | 2019-11-21 | 2021-05-31 |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 주름 발생이 방지된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
TWI705160B (zh) | 2019-12-09 | 2020-09-21 | 長春石油化學股份有限公司 | 電解銅箔、包含其的電極和覆銅積層板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22939A (ja) * | 2010-07-15 | 2012-02-02 | Ls Mtron Ltd | リチウム二次電池の集電体用銅箔 |
JP2013147755A (ja) * | 2006-03-10 | 2013-08-01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表面処理電解銅箔及びその表面処理銅箔を用いて得られる銅張積層板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91486B2 (ja) * | 1999-09-06 | 2002-06-10 |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 整面電解銅箔、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
US20050158574A1 (en) | 2003-11-11 | 2005-07-21 | Furukawa Circuit Foil Co., Ltd. | Ultra-thin copper foil with carrier and printed wiring board using ultra-thin copper foil with carrier |
CN101851769B (zh) | 2005-03-31 | 2012-07-04 | 三井金属矿业株式会社 | 电解铜箔及其制造方法、表面处理电解铜箔、覆铜层压板及印刷电路板 |
JP5588607B2 (ja) | 2007-10-31 | 2014-09-10 |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 電解銅箔及びその電解銅箔の製造方法 |
JP5416037B2 (ja) | 2009-05-29 | 2014-02-12 |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 リチウム電池集電体用圧延銅箔 |
JP5515785B2 (ja) * | 2010-01-27 | 2014-06-11 | ソニー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 |
TWI533496B (zh) * | 2013-07-23 | 2016-05-11 | Chang Chun Petrochemical Co | Electrolytic copper foil |
KR101449342B1 (ko) | 2013-11-08 | 2014-10-13 |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 전해동박, 이를 포함하는 전기부품 및 전지 |
TWI542739B (zh) | 2014-03-21 | 2016-07-21 | 長春石油化學股份有限公司 | 電解銅箔 |
KR101605071B1 (ko) | 2014-09-26 | 2016-03-23 |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 전해도금에 의한 구리호일 |
US20160312372A1 (en) | 2015-04-27 | 2016-10-27 |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 Acid copper electroplating bath and method for electroplating low internal stress and good ductiility copper deposits |
US10480090B2 (en) | 2015-06-24 | 2019-11-19 | Kcf Technologies Co., Ltd. | Electrolytic copper foil, current collector comprising the same, electrode comprising the sam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504252B1 (ko) * | 2015-09-03 | 2023-02-24 |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 연성동박적층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
KR20170036262A (ko) * | 2015-09-24 | 2017-04-03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초고강도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
CN106480479B (zh) | 2016-10-12 | 2019-02-15 | 东莞华威铜箔科技有限公司 | 挠性电解铜箔用添加剂的制备方法、制品及其应用 |
KR101905270B1 (ko) | 2016-11-14 | 2018-10-05 | 명화공업주식회사 | 워터펌프 |
KR102691091B1 (ko) | 2016-11-15 | 2024-08-01 |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 말림이 최소화된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
KR20180083515A (ko) | 2017-01-13 | 2018-07-23 |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 울음 불량이 실질적으로 없는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
-
2017
- 2017-07-13 KR KR1020170089031A patent/KR10199284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9-10 US US16/126,470 patent/US1078775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47755A (ja) * | 2006-03-10 | 2013-08-01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表面処理電解銅箔及びその表面処理銅箔を用いて得られる銅張積層板 |
JP2012022939A (ja) * | 2010-07-15 | 2012-02-02 | Ls Mtron Ltd | リチウム二次電池の集電体用銅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787752B2 (en) | 2020-09-29 |
US20190017188A1 (en) | 2019-01-17 |
KR20190007705A (ko) | 2019-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2840B1 (ko) | 울음과 찢김이 최소화된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
KR101992841B1 (ko) | 울음, 주름 및 찢김이 최소화된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
KR102180926B1 (ko) | 우수한 작업성 및 충방전 특성을 갖는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 |
KR102446550B1 (ko) | 고용량 이차전지용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 |
KR102546687B1 (ko) | 고용량 이차전지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 |
CN110495028B (zh) | 铜箔及其制造方法、电极、二次电池、铜箔层叠膜 | |
JP6767441B2 (ja) | たるみ、しわ及び引裂が最小化した銅箔、それを含む電極、それを含む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210067247A (ko) | 초극박 고강도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
JP7083029B2 (ja) | 高温寸法安全性及び集合組職安全性を有する電解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90030987A (ko) | 핸들링성이 우수한 고용량 이차전지용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 |
TWI679311B (zh) | 最小化隆起、皺紋或撕裂的銅箔、包含其的電極、包含其的二次電池、及製造其的方法 | |
KR20190135878A (ko) | 고강도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
CN110880602B (zh) | 具有最小化膨胀、起皱或撕裂的铜箔,包括其的电极,包括其的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 |
EP3608447B1 (en) | Copper foil with minimized bagginess, wrinkle and tear, electrode including the sam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518398B1 (ko) | 고신뢰성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
TWI687551B (zh) | 具有最小起皺和撕裂的銅箔、包含其的電極、包含其的二次電池、及製造其之方法 | |
CN110880601B (zh) | 具有最小化膨胀和撕裂的铜箔,包括其的电极,包括其的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 |
CN110880603B (zh) | 可使用性和充/放电特性改进的铜箔,包括其的电极,包括其的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 |
JP6700347B2 (ja) | たるみ及び引裂が最小化した銅箔、それを含む電極、それを含む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2377291B1 (ko) | 주름과 찢김이 최소화된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
EP3608448B1 (en) | Copper foil with minimized bagginess and tear, electrode comprising the sam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EP3608446B1 (en) | Copper foil having workability and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electrode including the sam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90140271A (ko) | 우수한 밀착력을 갖는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
KR20210101524A (ko) | 이차전지용 동박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