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010B1 - 파우치팩 밀봉 장치 - Google Patents

파우치팩 밀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010B1
KR101992010B1 KR1020170074257A KR20170074257A KR101992010B1 KR 101992010 B1 KR101992010 B1 KR 101992010B1 KR 1020170074257 A KR1020170074257 A KR 1020170074257A KR 20170074257 A KR20170074257 A KR 20170074257A KR 101992010 B1 KR101992010 B1 KR 101992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pair
pouch pack
bars
predetermined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707A (ko
Inventor
박은규
Original Assignee
박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규 filed Critical 박은규
Priority to KR1020170074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01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파우치팩을 밀봉하기 위한 기구의 작동이 실린더의 직선 왕봉 운동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고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파우치팩 밀봉 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파우치팩 밀봉 장치는 가운데로 진입되는 파우치팩을 열 접착을 위해 압착하는 한 쌍의 씰링바와, 상기 파우치팩이 상기 한 쌍의 씰링바에 의해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씰링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다수의 압착용 실린더와, 상기 한 쌍의 씰링바 중 어느 하나의 씰링바가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작동하는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와, 상기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하되, 상기 씰링바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씰링바 회전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우치팩 밀봉 장치{SEALING APPARATUS FOR POUCH PACK}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우치팩 밀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권취되어 있는 파우치 필름에 약액 등을 비롯한 각종 내용물을 일정량 투입한 후 밀봉하는 파우치팩 밀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우치팩 밀봉 장치는 약액이나 과즙 또는 식품의 일정량을 수용 및 포장하는 파우치팩을 밀봉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파우치팩 밀봉 장치는 파우치팩 포장 설비의 일부분이다. 이러한 파우치팩 포장 설비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폴리에틸렌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의 파우치 필름을 공급하고 이송하는 롤 장치와, 파우치 필름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장치와, 파우치 필름을 열 접착하여 밀봉하기 위한 밀봉 장치로 구성된다.
종래의 파우치백 밀봉 장치의 경우, 합성수지 필름을 서로 밀봉시키기 위해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였고, 모터의 회전과 맞물려 각종 롤 기구 및 밀봉 기구가 작동하도록 구성되었다.
한편, 종래와 같이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롤 기구 및 빌봉 기구가 회전하도록 장치를 구성할 경우, 장치가 차지하는 부피가 커져서 공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모터의 회전에 따라 각종 기구가 작동하였기에 잦은 고장을 불러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25363호(1998.10.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파우치팩을 밀봉하기 위한 기구의 작동이 실린더의 직선 왕봉 운동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고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파우치팩 밀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는, 가운데로 진입되는 파우치팩을 열 접착을 위해 압착하는 한 쌍의 씰링바와, 상기 파우치팩이 상기 한 쌍의 씰링바에 의해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씰링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다수의 압착용 실린더와, 상기 한 쌍의 씰링바 중 어느 하나의 씰링바가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작동하는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와, 상기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하되, 상기 씰링바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씰링바 회전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의 로드의 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씰링바 회전 레버는 상기 파우치팩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의 로드의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씰링바 회전 레버는 상기 파우치팩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씰링바 각각에는 구동 스퍼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씰링바가 상기 파우치팩을 압착하도록 그 간격이 가까워진 상태에서 상기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의 작동으로 상기 한 쌍의 씰링바 중 어느 하나가 일정 각도 회전할 때, 상기 구동 스퍼기어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한 쌍의 씰링바는 동시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씰링바에는 카트리지 히터를 장착할 수 있는 카트리지 히터 장착 홀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히터는 상기 카트리지 히터 장착 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씰링바 사이에서 압착되는 파우치팩에 간접적으로 열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파우치팩 밀봉 장치에 따르면, 파우치팩을 밀봉하기 위한 기구의 작동이 실린더의 직선 왕봉 운동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고장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를 구비하는 파우치팩 포장 설비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의 씰링바 사이에 파우치팩이 위치된 대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의 씰링바에 의해 파우치팩이 열 접착으로 압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의 씰링바가 열 접착으로 파우치팩을 압착한 후 일정 각도 더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의 씰링바가 파우치팩에 대한 압착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의 씰링바가 파우치팩에 대한 압착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의 씰링바가 파우치팩에 대한 압착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를 구비하는 파우치팩 포장 설비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의 씰링바 사이에 파우치팩이 위치된 대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의 씰링바에 의해 파우치팩이 열 접착으로 압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의 씰링바가 열 접착으로 파우치팩을 압착한 후 일정 각도 더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의 씰링바가 파우치팩에 대한 압착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에서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투시된 형태로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파우치팩 포장 설비의 일부 구성이다.
파우치팩 포장 설비는 폴리에틸렌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의 파우치 필름(1)이 이 권취된 권취 롤(2)과, 파우치 필름(1)을 이송하기 위해 마련된 다수의 이송 롤(3,4,5)과, 파우치 필름(1)을 여러 개로 분리하기 위해 마련된 커팅 롤(5)과, 커팅 롤(5)을 통과한 각각의 파우치 필름(1)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장치(7)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밀봉 장치(7)에 해당하는 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파우치팩(10)을 열 접착을 위해 압착하는 한 쌍의 씰링바(100)와, 상기 파우치팩(10)이 상기 한 쌍의 씰링바(100)에 의해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씰링바(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다수의 압착용 실린더(200)와, 상기 한 쌍의 씰링바(100) 중 어느 하나의 씰링바(100)가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작동하는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300)와, 상기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300)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하되, 상기 씰링바(100)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씰링바 회전 레버(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압착용 실린더(200)와 상기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300)는 메인 프레임(1)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씰링바(100)는 각각 씰링바 지지 프레임(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씰링바 회전 레버(400)는 일정 각도 회전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300)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하기 전 위치에서의 배치 상태와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30)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한 후의 배치 상태를 모두 도시하였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300)의 로드(310)는 화살표(A) 방향으로 전진 작동하거나 화살표(B) 방향으로 후진 작동하게 되며, 전진 작동시 상기 씰링바 회전 레버(400)를 도 4에 도시된 화살표(C)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키고, 후진 작동시 상기 씰링바 회전 레버(400)를 화살표(D)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씰링바 회전 레버(400)에 연결된 씰링바(100)는 상기 씰링바 회전 레버(400)와는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한다.
즉, 상기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300)의 로드(310)의 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씰링바 회전 레버(400)는 상기 파우치팩(10)의 진행 방향인 화살표(E) 방향을 향해 화살표(C)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작동하고, 이때, 상기 씰링바 회전 레버(400)에 연결된 씰링바(100)는 화살표(D)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300)의 로드(310)의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씰링바 회전 레버(400)는 상기 파우치팩(10)의 진행 방향인 화살표(E)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화살표(D)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작동하고, 이때, 상기 씰링바 회전 레버(400)에 연결된 씰링바(100)는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씰링바(100) 각각에는 구동 스퍼기어(500)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씰링바(100)가 상기 파우치팩(10)을 압착하도록 그 간격이 가까워진 상태(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300)의 작동으로 상기 한 쌍의 씰링바(100) 중 상기 씰링바 회전 레버(400)에 연결된 씰링바(100)가 일정 각도 회전할 때, 상기 구동 스퍼기어(500)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한 쌍의 씰링바는 동시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씰링바(100)에는 카트리지 히터(600)를 장착할 수 있는 카트리지 히터 장착 홀(11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히터(600)는 상기 카트리지 히터 장착 홀(110)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씰링바(100) 사이에서 압착되는 파우치팩(10)에 간접적으로 열을 가한다. 이처럼 간접적으로 열을 가함으로써, 파우치팩(10)이 순간적인 고온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카트리지 히터(600)가 일단에 장착되고 구동 스퍼기어(500)가 중간부 일측에 고정되는 프레임의 타단에는 전면 씰링바의 위치 제어를 위한 회전 실린더가 설치될 수 있다(도 2의 오른쪽 측면 하단의 구성부 참조).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에 의한 파우치팩(10)의 압착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의 씰링바(100) 사이에 화살표(E) 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우치팩(10)이 위치된 대기 상태가 되면, 좌우 양측의 압착용 실린더(200)의 로드(210)가 각각 화살표(A) 방향과 화살표(B) 방향으로 전진 작동을 하고, 이와 더불어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300)의 로드(310)가 는 화살표(A) 방향으로 전진 작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씰링바(100)가 각각 설치된 씰링바 지지 프레임(2)이 서로 가까워 지도록 이동하면서 한 쌍의 씰링바(100)는 그 사이에 위치하는 파우치팩(10)을 압착하게 된다.
이때, 씰링바 회전 레버(400)는 화살표(C)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씰링바 회전 레버(400)에 설치된 씰링바(100)는 화살표(D)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되는데, 구동 스퍼기어(500)가 맞물려 회전하기 때문에 좌측의 씰링바(100)는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한 쌍의 씰링바(100)가 파우치팩(10)의 진행 방향인 화살표(E)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각각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파우치팩(10)을 압착하게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이 압착이 시작될 때, 파우치팩(10)은 씰링바(100)에 설치된 카트리지 히터(600)에 의해 열 접착하게 된다.
이후,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300)의 로드(310)가 화살표(B) 방향으로 후진 작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씰링바 회전 레버(400)는 화살표(D)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씰링바(100)는 파우치팩(10)의 진행 방향인 화살표(E) 방향을 향하여 각각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계속적으로 파우치팩(10)을 압착하게 된다.
이후, 좌우 양측의 압착용 실린더(200)의 로드(210)가 각각 화살표(A) 방향과 화살표(B) 방향으로 후진 작동을 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씰링바(100)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한 상태인 압착 해제 상태가 되며, 이후,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에 따르면, 파우치팩을 밀봉하기 위한 기구의 작동이 실린더의 직선 왕봉 운동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고장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의 씰링바가 파우치팩에 대한 압착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는 복수의 씰링바(100)가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동작하며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파우치팩의 일단을 밀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의 씰링바가 파우치팩에 대한 압착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팩 밀봉 장치는 파우치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며 회동하는 회전 한 쌍의 씰링바(100) 중 어느 하나의 씰링바의 전면을 모두 나사산으로 형성하는 구성 외에 민자 혹은 평평한 곡면으로 형성하거나, 쿠션(120)을 장착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쿠션(120)은 실리콘, 바이톤, 기타 쿠션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0 : 씰링바 200 : 압착용 실린더
200 : 압착용 실린더 300 :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
400 : 씰링바 회전 레버 500 : 구동 스퍼기어
600 : 카트리지 히터

Claims (4)

  1. 가운데로 진입되는 파우치팩을 열 접착을 위해 압착하는 한 쌍의 씰링바;
    상기 파우치팩이 상기 한 쌍의 씰링바에 의해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씰링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다수의 압착용 실린더;
    상기 한 쌍의 씰링바 중 어느 하나의 씰링바가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작동하는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 및
    상기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하되, 상기 씰링바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씰링바 회전 레버;
    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씰링바 각각에는 구동 스퍼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씰링바가 상기 파우치팩을 압착하도록 그 간격이 가까워진 상태에서 상기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의 작동으로 상기 한 쌍의 씰링바 중 상기 씰링바 회전 레버에 연결된 어느 하나가 일정 각도 회전할 때, 상기 구동 스퍼기어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한 쌍의 씰링바는 동시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며,
    상기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의 로드의 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씰링바 회전 레버는 상기 파우치팩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씰링바 회전용 실린더의 로드의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씰링바 회전 레버는 상기 파우치팩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한 쌍의 씰링바에는 카트리지 히터를 장착할 수 있는 카트리지 히터 장착 홀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히터는 상기 카트리지 히터 장착 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씰링바 사이에서 압착되는 파우치팩에 간접적으로 열을 가하며,
    상기 한 쌍의 씰링바 중 어느 하나의 씰링바의 전면에 장착되는 쿠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팩 밀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74257A 2017-06-13 2017-06-13 파우치팩 밀봉 장치 KR101992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257A KR101992010B1 (ko) 2017-06-13 2017-06-13 파우치팩 밀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257A KR101992010B1 (ko) 2017-06-13 2017-06-13 파우치팩 밀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707A KR20180135707A (ko) 2018-12-21
KR101992010B1 true KR101992010B1 (ko) 2019-06-21

Family

ID=6496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257A KR101992010B1 (ko) 2017-06-13 2017-06-13 파우치팩 밀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0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5308A (ja) * 2002-05-17 2003-11-25 Ishida Co Ltd 製袋包装機の横シール機構および製袋包装機
JP5015524B2 (ja) * 2006-08-21 2012-08-29 オリヒ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横シール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縦型充填包装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592B1 (ko) * 1992-10-12 1995-09-20 대우전자주식회사 포장용 필림 자동 밀봉장치
KR0125363Y1 (ko) 1994-07-12 1998-10-15 노한래 레토르트 파우치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5308A (ja) * 2002-05-17 2003-11-25 Ishida Co Ltd 製袋包装機の横シール機構および製袋包装機
JP5015524B2 (ja) * 2006-08-21 2012-08-29 オリヒ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横シール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縦型充填包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707A (ko)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43352A1 (en) Longitudinal sealing mechanism
MXPA06012382A (es) Maquina llenadora-empacadora vertical, y metodo para fabricar bolsas de empaque.
US20070214749A1 (en) Flexible container forming apparatus having integrated web surface deformation
JP2016016870A (ja) ヒートシー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充填包装機
JP2006298390A (ja) 縦型充填包装機及び包装袋の製造方法
JP4664122B2 (ja) 2つの収容室を有する2液袋包装袋を製造する製造方法および縦型充填包装機
KR101992010B1 (ko) 파우치팩 밀봉 장치
JP3990680B2 (ja) 縦型充填包装機
KR101253662B1 (ko) 초음파 융착기가 구성된 스틱형 제품 포장기
KR200490957Y1 (ko) 과일 포장장치
JP6669431B2 (ja) 包装機
JP2971866B1 (ja) 製袋充填包装機
JP6684950B1 (ja) ブリスタ包装機
CN209834157U (zh) 一种封合装置及包装机
JP4263562B2 (ja) 縦型多列四方シール自動充填包装機におけるフォーミング機構
JP2011246186A (ja) 縦型製袋充填包装機で製袋の形を扁平状にする方法及び装置
JP3025266B1 (ja) 縦型充填包装機の横シ―ル装置
JP2006001552A (ja) 製袋包装機
JP2000255507A (ja) 縦型充填包装機
JP2004276930A (ja) 縦型充填包装機の縦シール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5313963A (ja) 縦型充填包装機および包装袋の製造方法
CN220114138U (zh) 一种枕式包装袋生产装置
CN211196822U (zh) 一种不停机连续封口的包装袋横封装置
JP2001080605A (ja) 縦型包装装置
JP2004238042A (ja) 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