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034B1 -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를 억제하고 노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관련 상승작용 조성물들 - Google Patents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를 억제하고 노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관련 상승작용 조성물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034B1
KR101990034B1 KR1020170033746A KR20170033746A KR101990034B1 KR 101990034 B1 KR101990034 B1 KR 101990034B1 KR 1020170033746 A KR1020170033746 A KR 1020170033746A KR 20170033746 A KR20170033746 A KR 20170033746A KR 101990034 B1 KR101990034 B1 KR 101990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ol
salt
hydroxamic acid
complex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189A (ko
Inventor
부르고 로코
윈 다니엘
Original Assignee
인올렉스 인베스트먼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올렉스 인베스트먼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올렉스 인베스트먼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134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의 양 및 글리콜의 양의 상승작용에 유효한 비율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표면으로의 국소 적용을 포함하는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글리콜의 중량 퍼센트에 대한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의 중량 퍼센트의 비율은(총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 약 1 대 1.4; 약 1 대 3; 약 1 대 5의 비율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피부 표면의 노화의 출현을 방지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들을 포함하는, 관련 방법들이 포함되며, 방법은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의 양 및 글리콜의 양의 상승작용에 유효한 비율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표면으로의 국소 적용을 포함하며; 글리콜의 효소적 억제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방법들은 상승작용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을 상승작용에 유효한 비율의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의 양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승작용 혼합물의 효소적 억제 가능성은 글리콜 단독 또는 하드록삼산 단독의 효소적 억제 가능성보다 크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또한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의 양 및 글리콜의 양의 상승작용에 유효한 비율을 포함하는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들(MMPs) 활성을 억제하는 노화 방지 조성물들이 고려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비율은 약 1 대 1:4, 약 1 대 3; 약 1 대 5의, 중량 퍼센트(총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로부터 선택된다.

Description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를 억제하고 노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관련 상승작용 조성물들{METHODS THAT INHIBIT MATRIX METALLOPROTEINASES AND REDUCE AGING IN SKIN AND RELATED SYNERGISTIC COMPOSITIONS}
본 발명은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의 양 및 글리콜의 양의 상승작용에 유효한 비율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표면으로의 국소 적용을 포함하는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cutaneous aging) 현상은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두 가지 독특한 생물학적 과정, 즉 내인성(intrinsic) 및 외인성 노화에 의해 결정된다. 두 경우 모두는 점진적으로 구조적 완전성 및 생리학적 기능의 손실에 이르게 한다. 내인성 피부 노화는 사람에 따라 변할 수 있으나 명백하게 필연적인, 시간에 따른 생리학적 유전학적으로 결정되는 변화의 자연스런 결과이다. 내인성으로 노화된 피부의 임상적 특징은 피부 표면이 창백해지고 때때로 과장된 표현 라인들을 갖는 미세 주름들을 특징으로 한다. 기능적으로, 내인성으로 노화된 피부는 건조하며 더 젊은 피부보다 덜 탄력적이다.
다른 한편으로, 외인성 피부 노화는 어느 정도는 제어 가능하고 이는 태양광, 오염 또는 니코틴(nicotine), 얼굴을 찌푸리는 것과 같은 반복적인 근육 운동뿐만 아니라, 다이어트, 수면 위치 및 전체 건강과 같은 다양한 생활 방식과 같은, 환경 영향들로의 노출을 포함한다. 외인성으로 노화된 피부는 깊고 고친 주름, 반상 과색소침착(mottled hyperpigmentation) 및 탄력 반동(elastic recoil)의 현저한 손상에 의해 예시된다.
피부 노화와 관련된 주요 인자는 활성 산소 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발생, 색소 변경, 감소된 콜라겐의 합성 및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들(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이하 MMPs로 표기)의 활성의 유도를 포함한다. 후자는 궁극적으로 더 강력한 콜라겐 손상을 야기하는, 콜라겐 파괴를 촉진할 것이다. 콜라겐 기질의 제공 없이, 피부는 처지게 되고 주름이 나타난다. 정상 조건들에서, 콜라겐 레벨들은 새로운 콜라겐의 합성 및 이전 콜라겐의 효소성 저하(enzymatic degradation) 사이의 균형을 보장함으로써 유지된다. 노화되거나 및/또는 광 손상된(photodamaged) 피부에서, 섬유아세포(fibroblast) 내의 프로콜라겐(procollagen)의 합성은 자연적으로 감소되고 콜라겐을 저하하는 효소들의 발현이 증대된다.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MMPs)를 포함하는,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는 포유동물들 내의 세포 외 기질과 결합 조직의 거의 모든 성분의 단백질 분해 파괴의 역할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 분해 효소의 슈퍼패밀리(superfamily)이다. 구조 및 기능적 고려사항들을 기초로 하여, MMPs는 콜라게나아제들(collagenases, MMP-1, -8, 및 -13), 겔라티나아제들(gelatinases, MMP-2 및 -9), 메탈로엘라스타아제들(mettaloelastases, MMP-12), MT(막 형태, membrane type)-MMPs(MMP-14, -15, -16, -17, -24, 및 -25), 마트릴리신들(matrilysins, MMP-7 및 -26), 스트로멜리신들(stromelysins, MMP-3, -10, 및 -11) 및 종양 괴사 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전환 효소들(TACE 및 ACE)과 같은, 쉐다아제(sheddase)들과 같은 상이한 패밀리들 및 서브패밀리들로 분류되어왔다. 특히, MMP-1은 피부 내의 콜라겐의 가장 흔한 형태인, Ι-형 콜라겐의 저하에 책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젊은 피부 내의 MMPs의 기초 발현(basal expression)은 상대적으로 낮다. MMPs는 피부 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단백질 가수 분해 효소에 의해 활성화되거나, 또는 티올 조절제(thiol modifying agents, 4-아미노페닐머큐릭 아세테이트(4-aminophenylmercuric acetate), 수은, N-에틸말레이미드(ethylmaleimide)), 산화 글루타티온(oxidized glutathione), 카오트로픽제(chaotropic agent)들, 및 활성 산소들과 같은 특정 화학 작용제에 의해 체외에서 활성화된다. 낮은 pH 및 열 처리가 또한 활성에 이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흡연과 무방비의 일광욕과 같은 생활방식 선택들이 콜라겐 Ι, Ⅲ 및 Ⅵ 유전자들의 기초 발현을 하향조절하며; 열 충격 단백질 47(Hsp 47) 유전자들이 또한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1(MMP-1) 및 9(MMP-9)의 기초 발현을 증가시킨다. 실제로, 태양광에 의해 야기되는 손상은 계속되는 단백질분해 효소의 방출 및 및 그 결과 피부 기질을 파괴하는, 만성 염증의 상태를 촉진한다. "광노화(photoaging)"로 알려진 이러한 과정은 마이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RK, 이하 MARK로 표기) 경로를 통하여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MMP)의 증가에 이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MARK 경로 또는 세포들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들의 활성 및/또는 발현이 억제될 수 있으면, 피부 품질을 위한 향상/관리의 효과들이 달성될 수 있다.
실제로, 일부 물질들이 MMPs 활성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종래에 알려졌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8,853,271호는 위능채산(tormentic acid)이 MMPs 활성을 억제하는데 뛰어난 효과를 가지며, 피부를 더 향상시키고 복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중국특허 제105,087,735호는 차례대로, 자외선 노출 후에 MMPs 함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어류 피부 젤라틴으로부터 획득된 폴리펩티드를 언급한다. 부가적으로, 미국특허 제7,618,638호는 피부 노화 및 다른 장애들에 도움을 주는 MMP 억제 특성들을 나타내는, 영지류(ganoderma) 버섯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피부 내의 세포 외 기질의 가장 중요한 성분 중의 하나의 저하에 책임이 있는, MMPs, 특히 MMP-1의 과발현에 의해 매개되는 외인성 피부 노화 및 조기 피부 노화의 징후를 억제하는 상이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위한 산업에서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MMPs, 특히 MMP-1을 억제하는 뛰어난 능력을 나타내는 분자들 및 분자들의 조합들을 위한 검색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승작용에 유효한 히드록삼산(hydroxamic acid), 염(salt)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의 양 및 글리콜의 양의 조합을 발견하였다. MMPs의 억제의 이러한 시너지(synergy)의 레벨은 이러한 특정 분자들이 여기에 설명되는 방법에 따라, 함께 사용될 때만 획득된다.
본 발명은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의 양 및 글리콜의 양의 상승작용에 유효한 비율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표면으로의 국소(topical) 적용을 포함하는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글리콜의 중량 퍼센트에 대한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의 중량 퍼센트의 비율은(총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 약 1 대 1.4; 약 1 대 3; 약 1 대 5의 비율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피부 표면의 노화의 출현을 방지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들을 포함하는, 관련 방법들이 포함되며, 방법은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의 양 및 글리콜의 양의 상승작용에 유효한 비율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표면으로의 국소 적용을 포함하며; 글리콜의 효소적 억제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방법들은 상승작용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을 상승작용에 유효한 비율의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의 양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승작용 혼합물의 효소적 억제 가능성은 글리콜 단독 또는 하드록삼산 단독의 효소적 억제 가능성보다 크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또한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의 양 및 글리콜의 양의 상승작용에 유효한 비율을 포함하는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들(MMPs) 활성을 억제하는 노화 방지 조성물들이 고려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비율은 약 1 대 1.4; 약 1 대 3; 약 1 대 5의, 중량 퍼센트(총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의 비율로부터 선택된다.
이전의 요약뿐만 아니라, 아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이 목적을 위하여, 도면들에 현재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도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들과 수단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MMP-1 활성의 퍼센트 및 컬 방정식(Kull equation)에 의해 계산되는 것과 같은 테스트 조성물의 시너지 지수로서, 실시 예 1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2는 MMP-1 활성의 퍼센트 및 컬 방정식에 의해 계산되는 것과 같은 테스트 조성물의 시너지 지수로서, 실시 예 2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3은 MMP-1 활성의 퍼센트 및 컬 방정식에 의해 계산되는 것과 같은 테스트 조성물의 시너지 지수로서, 실시 예 3으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4는 MMP-1 활성의 퍼센트 및 컬 방정식에 의해 계산되는 것과 같은 테스트 조성물의 시너지 지수로서, 실시 예 5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5는 MMP-1 활성의 퍼센트 및 컬 방정식에 의해 계산되는 것과 같은 테스트 조성물의 시너지 지수로서, 실시 예 5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도시한다.
유해 환경 인자들의 결과로서, 진핵 세포듣, 바람직하게는 연결 조직의 세포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의 연결 조직의 세포들의 세포외 기질의 콜라겐 및 다른 섬유들의 저하는 깊고, 거친 주름들 및 탄력 반동의 현저한 손상뿐만 아니라 건강하지 않은 외모에 의해 설명되는, 감소된 피부 품질을 야기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은 해결책을 제공하며 - 여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은 기능장애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들(MMPs) 촉매작용으로부터 야기하는 콜라겐 저하를 방지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능력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글리콜 및 유기산(organic acid)의 조성물들은 놀랍게도 컬 방정식을 사용하여 평가되는 것과 같이, 각각의 물질의 개별적인 사용보다 2, 3, 5, 6, 및/또는 7배 더 큰 유효성으로 MMP-1 활성을 억제하도록, 상승작용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시너지의 레벨은 이전에는 달성되지 않았으며 이는 많은 다른 퍼스널 케어(personal care) 및 약학 제품들에서의 산업적 적용을 위하여 매우 전도유망하다.
따라서, 요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은 MMPs, 바람직하게는 MMNP-1과 같은,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의 조절뿐만 아니라, 제형들 내의 그러한 조성물들의 약학 및 퍼스널 케어로의 사용에 의해 피부 콜라겐 저하를 억제하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조성물들을 포함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은 태양광, 공해 또는 니코틴 및 다이어트 등과 같은, 환경적 및 생활방식 손상 인자들로의 노출 후에 포유동물 연결 조직의 세포외 기질의 성분들을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콜라겐 저하"는 특히 그러한 효소들이 외인성 요인들 및/또는 인자들에 의해 활성화되거나 및/또는 조절되었을 때 MMPs와 같은, 단백질분해 효소들을 포함하는 메커니즘들에 의한 콜라겐 단백질 섬유들의 파괴를 의미한다. 게다가, 여기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MMPs 활성의 억제"는 MMPs 단백질분해 활성 및 그 결과, 콜라겐 섬유들을 파괴하는 그것들의 능력을 하향조절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의 사용을 의미한다.
MMPs 활성의 억제/비-억제는 종래에 알려졌거나 또는 개발되려는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정량화될 수 있다. 적합한 기술들은 MMPs 단백질분해 동역학을 측정하는 기술들을 포함한다. 적합한 기술은 Sigma Aldrich(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소재)에 의해 제공되는 반응 키트, MMP-1 Inhibitor Screening Kit에서 발견된다.
상승작용 활성을 제공하는 양의 두 가지 성분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방법들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글리콜 및 유기산은 확인된 비율로 함께 존재할 때 상승작용으로 작용한다.
특히, 유기산은 히드록삼산 또는 두 가지 이상의 히드록삼산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히드록삼산은 알킬히드록삼산(alkylhydroxamic acid)을 포함할 수 있다. 히드록삼산은 그것들의 유리(비-중화된) 또는 염(중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염들 및/또는 복합물들(또는 이들의 조합)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그러한 화합물들, 염들 및 복합물들을 형성하도록 작용하는, 그러한 화합물들, 염 및 복합물들의 전구체인 물질들이 포함된다.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이, 히드록삼산(들)은 알킬히드록삼산(들)일 수 있다. 적합한 알킬히드록삼산(들)은 약 2 내지 22 탄소 원자, 및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12 탄소 원자의 선형 또는 분지(branched) 탄소 사슬들을 가질 수 있다. 탄소사슬들은 이중 결합들, 즉 불포화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기능성(원하는 최종 사용 및 특성들에 의존하여, 탄소 사슬을 따라 수소 원자들을 위한 기능 기들의 치환)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산기(hydroxy group)들은 더 나은 물 호환성에 이르게 하는, 선택된 히드록삼산의 사슬 상의 이로운 측(side- 또는 터미널(terminal)-치환일 수 있다. 퍼스널 케어 및/또는 약학 제형들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호환 가능하거나 및/또는 추정되는 표준을 충족하는 다른 유사 기능 기들이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에 대하여 치환될 수 있다.
그러한 치환들이 만들어진 화합물들의 예들은 제한 없이, 헥사노히드록삼산(hexanohtydroxamic acid), 카프릴로히드록삼산(caplylohydroxamic acid), 카프로히드록삼산(caprohydroxamic acid), 라우로히드록삼산(laurohydroxamic acid)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본 발명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선택된,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히드록삼산은 예를 들면 리파아제(lipase) 촉매뿐만 아니라, 종래에 알려졌거나 또는 개발되려는 히드록사믹 합성 기술들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천연 오일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승작용 비율이 유지되는 한,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은 히드록삼산, 그 염 또는 복합물이 각각 총 조성물의 중량에 의해, 약 0.001% 내지 약 50%, 약 0.10% 내지 약 45%, 약 3% 내지 약 30%, 또는 약 1% 내지 약 20%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성분들로서 전구 물질들이 사용되면, 조성물들 내의 원하는 형성된 화합물의 최종 양으로 중량 퍼센트가 언급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방법들 및 조성물들은 글리콜의 양을 포함한다. 퍼스널 케어, 약학 또는 인간 또는 동물 소비에 적합한 어떠한 글리콜 또는 글리콜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예들은 제한 없이,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펜틸렌 글리콜(pentylene glycol), 헥실렌 글리콜(hexylene glycol), 헵틸렌 글리콜(heptylene glycol), 카프릴릴 글리콜(caprylyl glycol), 글리세린(glycerin),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1,2-헥산디놀(hexanediol), 프로판디올(propanediol), 메틸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소르비톨(sorbitol), 레조르시놀(resorcinol) 등, 또는 이것들의 두 가지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글리콜은 상승작용 비율이 유지되는 한, 조성물의 모든 총 중량의, 약 0.001 내지 약 50%, 약 5.0% 내지 약 40.0%, 약 15.0% 내지 약 35%, 및 약 20.0% 내지 약 28%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총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 제안되는 양에도 불구하고,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북합물 및 글리콜은 서로에 대하여 상승작용에 유효한 비율로 조성물 내에 존재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용어 "상승작용에 유효한 비율(synergically effective ratio)"은 물질들 중 어느 하나의 단독으로부터 야기하는 MMPs 활성의 억제보다 큰 MMPs 활성의 억제를 제공하기 위한 나머지에 대한 양(비율)으로의 각각의 물질들의 존재를 의미한다.
그러한 상승작용 효과는 종래에 알려졌거나 또는 개발되려는 어떠한 수단에 의해 측정되거나 또는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상승작용으로 간주되는 어떠한 효과들은 컬 방정식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F.C. Kull 등의, Applied Microbiology Vol. 9, pp. 538-541 (1961); David C. Steinberg의, Cosmetics & Toiletries Vol. 115 (No. 110), pp. 59-62, November 2000;이 참조된다. 두 개의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조합 사이의 상승작용은 동시에 평가될 때(시너지 지수<1.0), 내인성 활성을 서로 향상시키거나 또는 추가하기 위한, 그러한 화합물들, 또는 화합물들의 조합의 독특한 능력으로서 이해된다. 두 가지 상이한 혼합물 또는 혼합물들의 두 가지 상이한 조합은 활성에 어떠한 진전도 야기하지 않고, 어떠한 상승작용도 관찰되지 않는다(시너지 지수 = 1.0). 다른 한편으로, 동일한 혼합물이 내인성 활성의 감소 또는 억제를 야기할 때, 혼합물은 대항물질(antogonist)로서 특징을 갖는다(시너지 지수>1.0).
컬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SI = CxD/A + CxE/B, 여기서
"A"는 시간 "t"에서 물질 A, 또는 물질 A의 조성물에 대한 반응을 나타낸다.
"B"는 시간 "t"에서 물질 B, 또는 물질 B의 조성물에 대한 반응을 나타낸다.
"C"는 시간 "t"에서 혼합물 A+B에 대한 반응을 나타낸다.
"D"는 C 내의 A의 양을 나타내며, 그리고
"E"는 C 내의 B의 양을 나타낸다.
"양의(amount of)"에서 이는 결합에서 사용된 양(C에서 사용된 양)으로 나누어진 단독으로 사용될 때 테스트에서 사용된 양(a 또는 B에서 사용된 양)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글리콜에 대한 히드록삼산의 상승작용에 유효한 비율은 약 1 대 1.4; 약 1 대 3; 약 1 대 5의 중량 퍼센트의 비율들(총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로부터 선택되는 글리콜의 중량 퍼센트에 대한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의 중량 퍼센트의 비율(총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글리콜에 대한 히드록삼산의 비율은 약 1:2 내지 약 1:10; 약 1:3 내지 약 1:7; 약 1:4 내지 약 1:5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에서,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 및 산화방지제(antioxidant)의 혼합물은 혼합물의 직접적으로 피부 또는 다른 표면으로 국소적 적용을 허용하거나 및/또는 2차 제형, 예를 들면 퍼스널 케어 제형 또는 약학 제형으로 조성물의 양의 쉬운 운반을 허용하는 운반 비히클(delivery vehicle) 내로 운반된다. 적합한 비히클들의 예들은 제한 없이, 물, 증류수 또는 순수(pure water), 알코올, 디올(diol), 글리콜, 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식물성 오일, 광물성 오일, 실리콘 오일,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디메틸 이소소르비드(dimethyl isosorbide), 왁스(wax), 활석(talc), 콘스타치(cornstarch), 실리카, 키토산, 셀룰로오스, 타피오카(tapioca), 염 및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비히클은 물 및 중합체 또는 에멀전(emulsion)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들 내의 글리콜(들) 및 알킬히드록삼산(들)의 용해도 및 다른 물리-화학적 특성들에 의존하여, 여기에 설명되는 조성믈들 내에 가용화제 및/또는 유화제(emulsifier)가 요구될 수 있다. 적합한 가용화제 및/또는 유화제의 예들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카프릴릴 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글리세릴 운데실레네이트(glyceryl undecylenate), 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propylene glycol dibenzoate),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neopentyl glycol diheptanoate), 에탄올,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페네틸 알코올(phenethyl alcohol), 벤질 알코올,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20, 폴리소르베이트-60, 폴리소르베이트-80, 알킬 글루코시드(alkyl glucoside), 코카마이드(cocamide), 및 디메틸 이소소르비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가용화제 및/또는 유화제는 본 발명의 총 조성물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000%,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0%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MMPs 활성을 억제하거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의, 피부 표면에(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또는 그렇지 않으면 피부 내로 직접적으로 도입된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퍼스널 케어(화장품 또는 위생용품을 포함하는) 제형들 및 의학, 약학 제형들과 같은, 2차 제형들과 통합될 수 있다.
그러한 제형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 이외의 성분들을 포함한다. 제형들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성분들은 제형의 최종 사용자에 의존하여 다양할 것이나 색료(colorants), 향수(fragrances), 활성 성분, 리이올로지 조절제(rheology modifier), 착색제(pigments), 계면활성제(surfactants), 실리카, 키토산, 알코올, 실리콘, 식물 추출물, 검(gum), 페트롤라텀(petrolatum), 왁스, 에스테르, 텍스처라이저(texturizer), UV 여과제, UV 차단제, 보존제, 비타민, 전분, 및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제형들은 어떠한 바람직한 제품, 예를 들면, 예를 들면, 스킨 토너(skin toner), 스킨 클렌저(skin cleanser), 나이트 크림(night cream), 스킨 크림(skin cream), 면도용 크림, 스킨 케어 로션(skin care lotion), 노화방지용 피부 제품들, 또는 화장품 제품들; 파운데이션(foundation), 액체 및 분말 기반 메이크-업, 마스카라, 립스틱, 블러시(blush), 글로스(gloss), 아이-라이너(eye-liner) 등과 같은, 메이크-업; 또는 연고(ointments), 겔-크림(gel-cream), 로션(lotion), 선크림(sunscreen), 립 밤(lip balm), 향수, 마사지 오일, 샴푸, 컨디셔너, 컨디셔닝 샴푸, 헤어 스타일링 겔, 모발 회복제(hair reparative), 헤어 토닉, 모발 고정제(hair fixatives), 헤어 무스(hair mousse), 배스 및 샤워 겔, 액체 비누, 보습 스프레이(moisturizing spray), 메이크업, 압축 분말 제형들, 목욕 첨가제, 안과용 약제, 거품 비누, 및 바디 워시(body wash), 선스크린, 위생 와이프(sanitizing wipe), 손 세정제(hand sanitizer), 냅킨(towelette) 및 와이프 등과 같은, 다른 생활용품 및/또는 약학 조성물들;이 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의 조성물이 물 기반 2차 제형과 통합되면, 친수성 희석(hydrophilic delution)으로서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2차 제형의 수상(water phase)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오일- 또는 실리콘 기반 제형과 관련하여, 소수성 희석으로서 조성물들을 제조하고 이를 제형의 오일- 또는 실리콘 상에 첨가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고체 제형들에서, 조성물들은 실리카, 활석,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magnesium aluminum silicate), 카올린(kaolin), 이산화 티탄(titanium dioxide), 산화 아연(zinc oxide), 전분, 변성 전분 등과 같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분말 기질 상으로 흡수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조성물들은 유화된 시스템으로서, 또는 친수성 시스템으로서, 또는 소수성 시스템으로서 제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5-45℃ 사이에서, 제조 과정의 최종 단계에서 첨가된다. 그러한 제형들은 종래에 또는 개발되려는 운용들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어떠한 2차 제형 내에 존재하는 조성물의 양은 제형의 최종 사용자에 의존하여 변경될 것이다. 그러나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전체 제형의 중량에 대하여 약 0.01% 내지 약 50%, 약 0.50% 내지 약 20%, 또는 약 0.1% 내지 약 5%의 양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제형에 첨가되면, 이는 전제될 수 있고 제형에 첨가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조성물의 각각의 성분이 제형에 개별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승작용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을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의 상승작용에 유효한 양에 결합함으로써 글리콜의 효소적 억제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포함하며, 상승작용 혼합물의 억제 가능성은 글리콜 단독의 억제 가능성보다 보다. 결과로서 생기는 제품은 약학 및 소비자 체품 작용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요소의 존재 또는 부재를 포함하여, 위에 설명된 요소들의 모든 순열은 본 발명의 조성물들, 제형들, 및/또는 방법들의 실시 예들 내에 고려된다.
실시 예 1 - MMP-1 활성의 억제
에탄올(qsp 100% w/w) 내에 희석된 카프릴로히드록삼산(caprylohydroxamic acid, 3.5% w/w)을 함유하도록 테스트 조성물 1을 준비하였다. 테스트 조성물 2는 테스트 조성물 1과 동일한 용제 내에 희석된 부틸렌 글리콜(5.0% w/w)을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테스트 조성물 1 및 2로서 희석된 카프릴로히드록삼산(3.5% w/w) 및 부틸렌 글리콜(5.0% w/w) 모두를 포함하는 테스트 조성물 3을 준비하였다.
Sigma Aldrich사(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소재)에 의해 제공되는, MMP-1 Inhibitor Screening Kit(cat. MAK212)에 설명된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테스트 조성물 1-3에 대하여 MMP-1 활성의 억제를 평가하였다.
간단히 설명하면, 테스트 조성물들은 실온에서 저장하고, 0.4%(v/v)의 최종 농도로 25배(에탄올 내에서) 희석하여 3회 분석하였다. 에탄올은 음 대조군으로서 사용되었다. GM6001, 잠재적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억제제(키트 내에 포함된)는 13 nM에서 양 대조군으로서 사용되었다. 가수분해된 FRET-표지 지질의 방출의 동역학은 민감도(이득) 40에서 Applied BioSystems Cytofluor 400 마이크로플레이트 형광계(microplate fluorometer)로 485/530㎚의 여기/방출 파장을 사용하여 3시간 동안 2분 간격으로 측정되었다. 그 뒤에 자 신호들이 표시되고, 선형 회귀 선들이 확립되었으며 경사들(b)은 다음의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되었으며:
Figure 112017026606844-pat00001
여기서 x 및 y는 각각, 샘플 및 시간 좌표이다.
% MMP-1 활성은 키트 제조사의 설명에 따라 규명되었다: % MMP-1 활성 = {[대조군(b)-샘플b)]/대조군(b)}x100%.
유의적 임계수준(significance threshold)은 임의로 최소 20% 변조로서 정의되었다. 통계적 유의도는 양측 t 검정으로 계산되었고 p 값 유의적 임계수준은 0.05에서 설정되었다(0.05보다 낮은 p 값들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고려되었다).
데이터를 사용하여, 테스트 조성물 3에 대한 시너지 지수를 컬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도 1은 MMP-1 억제를 위한 시너지 지수 결과들을 나타낸다.
실시 예 2 - MMP-1 활성의 억제
본 실시 예에서, 에탄올(qsp 100% w/w) 내에 희석된 카프릴로히드록삼산(3.5% w/w)을 함유하도록 테스트 조성물 4를 준비하였다. 테스트 조성물 5는 테스트 조성물 4와 동일한 용제 내에 희석된 카프릴릴 글리콜(5.0% w/w)을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테스트 조성물 4 및 5로서 희석된 카프릴로히드록삼산(3.5% w/w) 및 카프릴릴 글리콜(5.0% w/w) 모두를 포함하는 테스트 조성물 6을 준비하였다.
MMP-1 활성의 평가는 실시 예 1에서와 같이 수행되었다. 발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테스트 조성물 6에 대한 시너지 지수를 컬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도 2는 NNP-1 억제를 위한 시너지 지수 결과들을 나타낸다.
실시 예 3 - MMP-1 활성의 억제
에탄올(qsp 100% w/w) 내에 희석된 카프릴로히드록삼산(3.5% w/w)을 함유하도록 테스트 조성물 7을 준비하였다. 테스트 조성물 8은 테스트 조성물 7과 동일한 용제 내에 희석된 카프릴릴 글리콜(5.0% w/w)을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테스트 조성물 7 및 8로서 희석된 카프릴로히드록삼산(3.5% w/w) 및 카프릴릴 글리콜(10.0% w/w) 모두를 포함하는 테스트 조성물 9를 준비하였다.
MMP-1 활성의 평가는 실시 예 1에서와 같이 수행되었다. 발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테스트 조성물 9에 대한 시너지 지수를 컬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도 3은 NNP-1 억제를 위한 시너지 지수 결과들을 나타낸다.
실시 예 4 - MMP-1 활성의 억제
에탄올(qsp 100% w/w) 내에 희석된 카프릴로히드록삼산(3.5% w/w)을 함유하도록 테스트 조성물 10을 준비하였다. 테스트 조성물 11은 테스트 조성물 10과 동일한 용제 내에 희석된 에틸헥실글리세린(2.0% w/w), 메틸프로판디올(2.0% w/w), 프로판디올(2.0% w/w), 1,2-헥산디올(2.0% w/w) 및 헥실렌 글리콜(2.0% w/w/)을 포함하는, 글리콜들의 풀(pool)을 함유하도록 준비하였다. 마지막으로, 테스트 조성물 10 및 11로서 희석된 카프릴로히드록삼산(3.5% w/w) 및 글리콜들(10.0% w/w)의 풀 모두를 포함하는 테스트 조성물 12를 준비하였다.
MMP-1 활성의 평가는 실시 예 1에서와 같이 수행되었다. 발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테스트 조성물 12에 대한 시너지 지수를 컬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도 4는 NNP-1 억제를 위한 시너지 지수 결과들을 나타낸다.
실시 예 5 - MMP-1 활성의 억제
1:2 하이드로알코올 용액(hydroalcoholic solution, qsp 100% w/w) 내에 희석된 카프릴로히드록삼산(1.5% w/w)을 함유하도록 테스트 조성물 13을 준비하였다. 테스트 조성물 14는 테스트 조성물 13과 동일한 용제 내에 희석된 소르비톨(sorbitol, 5.0% w/w)을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테스트 조성물 13 및 14로서 희석된 카프릴로히드록삼산(1.5% w/w) 및 소르비톨(5.0% w/w) 모두를 포함하는 테스트 조성물 15를 준비하였다.
MMP-1 활성의 평가는 실시 예 1에서와 같이 수행되었다. 발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테스트 조성물 15에 대한 시너지 지수를 컬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도 5는 NNP-1 억제를 위한 시너지 지수 결과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광범위한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위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변경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사실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명된 특정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의 변형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5)

  1.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 및 글리콜을 포함하고, 상기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 대 상기 글리콜의 중량 퍼센트(총 조성물에 대한) 비율은 1 대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유지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은 알킬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유지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은 2 내지 22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유지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은 분지되는 탄소 사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유지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은 선형인 탄소 사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유지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의 영역을 포함하는 탄소 사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유지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치환의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유지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은 천연 오일로부터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유지 화장료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은 헥사노히드록삼산, 카프릴로히드록삼산, 카프로히드록삼산, 라우로히드록삼산 및 그것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유지 화장료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은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헵틸렌 글리콜, 카프릴릴 글리콜, 글리세린, 에틸헥실글리세린, 1,2-헥산디올, 프로판디올, 메틸프로판디올, 소르비톨, 레조르시놀, 및 그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유지 화장료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포유동물 조직들 내의 MMPs 활성뿐만 아니라, 그 뒤의 콜라겐 파괴, 세포외 기질 파괴 및 주름 형성의 억제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유지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고, 색료, 향수, 레올로지 조절제, 착색제, 계면활성제, 실리카, 키토산, 알코올, 실리콘, 식물 추출물, 검, 페트롤라텀, 왁스, 에스테르, 텍스처라이저, UV 여과제, UV 차단제, 보존제, 비타민, 전분, 글리세린, 물, 증류수 또는 순수, 알코올, 디올, 글리콜, 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식물성 오일, 광물성 오일, 실리콘 오일, 트리글리세리드, 디메틸 이소소르비드, 왁스, 활석, 콘스타치, 실리카, 키토산, 셀룰로오스, 타피오카, 염 및 이들의 조합들로부터 선택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제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삼산, 그 염 및/또는 그것들의 복합물은 6 내지 12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유지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33746A 2016-05-26 2017-03-17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를 억제하고 노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관련 상승작용 조성물들 KR101990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5335 2016-05-26
JP2016105335A JP2017210442A (ja) 2016-05-26 2016-05-26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イナーゼを阻害して皮膚の老化を軽減する方法及び関連の相乗的組成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233A Division KR20180064340A (ko) 2016-05-26 2018-05-28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를 억제하고 노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관련 상승작용 조성물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189A KR20170134189A (ko) 2017-12-06
KR101990034B1 true KR101990034B1 (ko) 2019-06-17

Family

ID=5960433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746A KR101990034B1 (ko) 2016-05-26 2017-03-17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를 억제하고 노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관련 상승작용 조성물들
KR1020180060233A KR20180064340A (ko) 2016-05-26 2018-05-28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를 억제하고 노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관련 상승작용 조성물들
KR1020200128006A KR20200117951A (ko) 2016-05-26 2020-10-05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를 억제하고 노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관련 상승작용 조성물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233A KR20180064340A (ko) 2016-05-26 2018-05-28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를 억제하고 노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관련 상승작용 조성물들
KR1020200128006A KR20200117951A (ko) 2016-05-26 2020-10-05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를 억제하고 노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관련 상승작용 조성물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7210442A (ko)
KR (3) KR101990034B1 (ko)
CN (1) CN1070498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383A1 (ko) * 2020-12-14 2022-06-23 ㈜ 헬씨티슈 저유해성 약액을 포함하는 천연 대나무 물티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9818A2 (en) * 2004-09-16 2006-03-23 Dsm Ip Assets B.V.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n hydroxamic acid compound optionally in combination with a retinoi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6742A1 (en) * 1997-02-25 1998-08-2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hronological aging in human skin
TWI234467B (en) * 1997-06-04 2005-06-21 Univ Michigan Composition for inhibiting photoaging of skin
JP2001335478A (ja) * 2000-05-26 2001-12-04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ITFI20040174A1 (it) * 2004-08-03 2004-11-03 Protera S R L Derivati arilsolfonammidici dell'acido idrossammico ad azione inibitoria di metalloproteinasi
JP2006312590A (ja) * 2005-05-06 2006-11-16 Sunstar Inc 口腔用組成物
KR20140048177A (ko) * 2014-03-31 2014-04-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Μμρ―1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9818A2 (en) * 2004-09-16 2006-03-23 Dsm Ip Assets B.V.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n hydroxamic acid compound optionally in combination with a retino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210442A (ja) 2017-11-30
KR20200117951A (ko) 2020-10-14
KR20170134189A (ko) 2017-12-06
KR20180064340A (ko) 2018-06-14
CN107049814A (zh)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6389B2 (ja) テトラペプチドとトリペプチドの混合物を含む組成物
JP2006131633A (ja) 皮膚の老化の徴候を抑制する尿素化合物の使用
JP2008013564A (ja) 少なくとも1のc−グリコシド誘導体の鎮静剤としての使用
US20060134156A1 (en) Method for caring for the skin and associated kit
ES2281395T3 (es) Uso de alfa-cehc en preparaciones cosmeticas.
DE10033717A1 (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 zur Beseitigung von Sebum
US11918666B2 (en) Topical formulations comprising strontium and methylsulfonylmethane (MSM) and methods of treatment
KR101990034B1 (ko) 피부 내의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를 억제하고 노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관련 상승작용 조성물들
JP2009242311A (ja) Scf分泌抑制剤、及び毛穴目立ち軽減用皮膚外用剤
JP2001302439A (ja) 白桃花から抽出した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2080373A (ja) 皮脂の除去のためのある含有量のシクロデキストリンを含む化粧用および皮膚科用製剤
KR102012798B1 (ko) 자외선 유도된 지질 과산화를 감소시키는 상승작용 조성물, 제형 및 방법
JP2011195539A (ja) 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
US20230312495A1 (en) New isobutyramide derivatives,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preparations containing said compounds, and their use for the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sensitive, in particular inflamed skin or inflammatory skin conditions
JP2018168177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イナーゼを阻害して皮膚の老化を軽減する方法及び関連の相乗的組成物
KR102548089B1 (ko) 살리실산 및 비타민 c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JP7481876B2 (ja) コラーゲンに関連した処置のための剤
DE102008009799B4 (de) Verwendung von 3-(4-Hydroxy-3-methoxyphenyl)-1-(4-hydroxyphenyl)-propan-1-on gegen Hyperpigmentierung
JP2001002527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AU2006283168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rotease activator
KR100515951B1 (ko)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05015453A (ja) フェルラ酸イソステアリル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WO2000051562A1 (en) Matrix metalloprotease inhibitor and utilization thereof
FR2991877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extrait de perichlaena richardii
KR20200110078A (ko) 포졸란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억제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