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288B1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 - Google Patents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288B1
KR101989288B1 KR1020187003871A KR20187003871A KR101989288B1 KR 101989288 B1 KR101989288 B1 KR 101989288B1 KR 1020187003871 A KR1020187003871 A KR 1020187003871A KR 20187003871 A KR20187003871 A KR 20187003871A KR 101989288 B1 KR101989288 B1 KR 101989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welding
stainless steel
less
austenitic stain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0140A (ko
Inventor
요시토모 후지무라
가즈나리 이마카와
오사무 야마모토
마나부 오쿠
이사무 하야카와
히로아키 시치
요시히데 나루세
Original Assignee
닛테츠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테츠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테츠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5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8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 B23K9/028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for welding tube sections
    • B23K9/0284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for welding tube sections with an electrode working inside the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67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and of a non-consumable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73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and of a consumable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3Arc welding or cut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elded joints
    • C21D9/505Cooling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06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 B23K2103/05Stainless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01Interlayers, transition pieces for metallurgical bonding of workpieces
    • B23K35/004Interlayers, transition pieces for metallurgical bonding of workpieces at least one of the workpieces being of a metal of the iron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8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 B23K35/3086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containing Ni or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용접 결함이 발생하기 어려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을 제공한다. 질량%로, 0.08% 이하의 C, 1.5 ~ 4.0%의 Si, 2.0% 이하의 Mn, 0.04% 이하의 P, 0.01% 이하의 S, 16.0 ~ 22.0%의 Cr, 10.0 ~ 14.0%의 Ni, 및, 0.08% 이하의 N를 함유함과 함께, Nb 및 Ti 중 적어도 1종을 합계 1.0%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구성된 판 두께 0.6 ~ 1.0mm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중첩하여 아크 용접으로 중첩부를 용접한다. 또한, 용착 이면부를, 110℃/초 이상의 냉각 속도로 1200℃에서 900℃까지 냉각한다.

Description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중첩하여 용접하기 위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문제의 관점으로부터 배기 가스의 규제가 엄격해지고, 연비나 엔진의 연소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배기 가스 온도를 상승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엔진 시동시의 배기 가스 정화 성능의 효율화를 목적으로서, 내관과 외관을 구비하고, 이들 내관과 외관 사이에 공극이 마련된 이중구조 이그저스트 매니폴드(exhaust manifold)가 탑재되는 일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이러한 종류의 이중구조 이그저스트 매니폴드에서는, 내관이 단구조 이그저스트 매니폴드의 관보다 두께가 얇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통상, 단구조 이그저스트 매니폴드에는 열팽창 계수가 작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이용되는데, 이중구조 이그저스트 매니폴드의 내관에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보다 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이용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9365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3340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334018호
이중구조 이그저스트 매니폴드의 내관 및 외관은, 프레스 성형된 관 부품을 중첩하여 맞추어서 MIG 용접 등의 아크 용접에 의한 필릿 용접으로 제조되는 일이 많다.
그렇지만, 이중구조 이그저스트 매니폴드의 내관은, 통상의 단구조 이그저스트 매니폴드의 관보다 두께가 얇기 때문에, 용접에 있어서의 입열량의 제어가 매우 어렵고, 특히 용접 이음매부에서, 고온 균열이나 연성 저하 균열 등의 용접 결함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용접 결함이 발생하기 어려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은, C:0.08질량% 이하, Si:1.5질량% 이상 4.0질량% 이하, Mn:2.0질량% 이하, P:0.04질량% 이하, S:0.01질량% 이하, Cr:16.0질량% 이상 22.0질량% 이하, Ni:10.0질량% 이상 14.0질량% 이하, 및, N:0.08질량% 이하를 함유함과 함께, Nb 및 Ti의 적어도 1종을 합계 1.0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구성된 판 두께 0.6mm 이상 1.0mm 이하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중첩하여 아크 용접으로 중첩부를 용접하고, 용접 이면에서 용접시에 온도가 최고가 되는 부위인 용착 이면부를, 110℃/초 이상의 냉각 속도로 1200℃에서 900℃까지 냉각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은, 청구항 1 기재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은, Al, Zr 및 V 중 적어도 1종을 합계 1.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은,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은, Mo 및 Cu의 적어도 1종을 합계 4.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은, B를 0.01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에 있어서, 중첩부를 용접할 때의 용접 이음매부의 중첩 마진의 길이를 2.5mm 이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 이면에서 용접시에 온도가 최고가 되는 부위인 용착 이면부를, 110℃/초 이상의 냉각 속도로 1200℃에서 900℃까지 냉각하기 때문에, 용접시에 발생한 열을 이동할 수 있고, 용접 결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용접 이음매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용접 이음매부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냉각 속도와 균열 발생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중구조 이그저스트 매니폴드는, 외관과, 이 외관보다 내측에 간극을 개재하여 배치된 내관을 구비한다. 이들 외관 및 내관은, 각각 도 1에 나타내는 용접 이음매부(1)에서, 용접 와이어 등의 용접봉을 이용하여 MIG 용접되고, 외관과 내관과의 사이에 중공의 단열층이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용접하는 것으로써, 용접 이음매부(1)는, 관 모재부(2)와, 관 모재부(3)와, 이들 관 모재부(2, 3)가 용착되어 있는 용착부(4)와, 관 모재부(2, 3)와 용착부(4)와의 경계인 본드부(5)를 가지는 구성이 된다. 또한, 도 1의 파선은 용착 전의 관 모재부(2, 3)의 세트 상태를 나타낸다.
내관은, 외관보다 두께가 얇으며, 용접에 있어서의 입열량의 제어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예를 들면 고온 균열이나 연성 저하 균열 등의 용접 결함이 발생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내관에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보다 가공성이 우수한 판 두께 0.6mm 이상 1.0mm 이하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내관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이 성분 설계되어 있다.
내관의 모재 성분(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0.08질량% 이하의 C(탄소), 1.5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의 Si(규소), 2.0질량% 이하의 Mn(망간), 0.04질량% 이하의 P(인), 0.01질량% 이하의 S(유황), 16.0질량% 이상 22.0질량% 이하의 Cr(크롬), 10.0질량% 이상 14.0질량% 이하의 Ni(니켈), 및, 0.08질량% 이하의 N(질소)를 함유함과 함께, Nb(니오브) 및 Ti(티탄) 중 적어도 1종을 합계 1.0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Fe(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필요에 대응하여, Al(알루미늄), Zr(지르코늄) 및 V(바나듐) 중 적어도 1종을 합계 1.0질량% 이하 함유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필요에 대응하여, Mo(몰리브덴) 및 Cu(구리) 중 적어도 1종을 합계 4.0질량% 이하 함유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필요에 대응하여, 0.01질량% 이하의 B(붕소)를 함유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C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고온 강도의 향상에 유효하지만, 0.08질량%를 초과하여 과잉으로 함유시키면, 사용 중에 Cr 탄화물을 형성하여 인성이 열화될 가능성이 있음과 함께, 내고온 산화성의 향상에 유효한 고용 Cr량이 감소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C의 함유량은, 0.08질량% 이하(무첨가를 포함하지 않음)로 한다.
Si는, 고온 산화 특성의 향상에 매우 유효하고, 모재에서 1.5질량% 이상 함유시키는 것으로, 850 ~ 900℃의 온도역에서 Si 농화 피막을 Cr 산화물의 내측에 형성시키고, 내스케일박리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한편, Si를, 모재에 있어서 4.0질량%를 초과하여 과잉으로 함유시키면, σ 취화 감수성을 높이고, 사용 중에 σ 취화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Si의 함유량은, 1.5질량% 이상 4.0질량%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 4.0질량% 이하로 한다.
Mn은, 오스테나이트상 안정화 원소이며, 주로 δ상 밸런스를 조정하는 작용을 가지지만, 2.0질량%를 초과하여 과잉으로 함유시키면, 내고온 산화성의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Mn의 함유량은 2.0질량% 이하(무첨가를 포함하지 않음)로 한다.
P는, 0.04질량%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함유량을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P의 함유량은 0.04질량% 이하로 한다.
S는, P와 마찬가지로 0.01질량%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함유량을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S의 함유량은 0.01질량% 이하로 한다.
Cr는, 고온에서의 스케일 생성을 억제하고, 고온 산화 특성의 향상에 유효한 원소이며, 이러한 작용을 가지기 위해서는 16.0질량%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Cr를 22.0질량%를 초과하여 과잉으로 함유시키면, σ 취화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Cr의 함유량은 16.0질량% 이상 22.0질량% 이하로 한다.
Ni는, 오스테나이트상 안정화 원소이며, 주로 δ상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해서 함유시키는데, 이러한 작용을 가지기 위해서는, 10.0질량%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Ni를 과잉으로 함유시키면,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것으로부터, Ni의 함유량의 상한은 14.0질량%로 한다. 따라서, Ni의 함유량은 10.0질량% 이상 14.0질량% 이하로 한다.
N은, 고용 강화에 의해 고온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인데, 0.08질량%를 초과하여 과잉으로 함유시키면, Cr 질화물의 형성에 의해, 인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N의 함유량은, 0.08질량% 이하(무첨가를 포함하지 않음)로 한다.
Nb 및 Ti는, C나 N과 결합하여 고온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인데, 과잉으로 함유시키면, 저융점화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고온 강도를 향상하는 목적으로 Nb 및 Ti를 함유시키는 경우는, Nb 및 Ti 중 적어도 1종을 합계 1.0질량% 이하로 함유시킨다.
Al은, 강력한 페라이트 생성 원소이며, δ상의 안정화에 유효하다. 또한, Zr 및 V는, C나 N과 결합하여 고온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그렇지만, Al, Zr 및 V는, 과잉으로 함유시키면, 저융점화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고온 강도를 향상하는 목적으로 Al, Zr 및 V를 함유시키는 경우는, Al, Zr 및 V 중 적어도 1종을 합계 1.0질량% 이하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Mo는, 페라이트 생성 원소이며, 고온 강도의 향상에 유효하지만, 과잉으로 함유시키면 σ 취화를 초래하여, 인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Cu는, 오스테나이트 생성 원소이며, 고온 강도의 향상에 유용하지만, 과잉으로 함유시키면 내고온 산화성의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고온 강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Mo 및 Cu를 함유시키는 경우는, Mo 및 Cu 중 적어도 1종을 합계 4.0질량% 이하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B는, 용접 이음매부의 입계 강도를 향상시켜서 내열성의 향상에 유효하지만, 다량으로 함유시키면 열간 가공성이 저하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내열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B를 함유시키는 경우의 B의 함유량은, 0.01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용접할 때의 용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관을 용접할 때에는, 내관의 일부끼리를 중첩하여 맞춘 상태에서, MIG 용접을 행한다.
또한, MIG 용접에 있어서의 용접 조건, 용접 심선의 종류 및 실드 가스의 유량 등은, 적절히 설정 선택 가능하다. 실드 가스의 종류에 대해서는, 아르곤이나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용접부에서의 산화물의 혼입 방지의 관점으로부터 불활성 가스 중의 산소 농도는 5.0체적%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IG 용접에 있어서의 용접 고온 균열 등의 용접 결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용접 후에 냉각하는 것으로써, 용접시에 발생한 열을 조기에 다른 부위에 전달시켜서 열이동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용접 후에 신속하게 열이동시켜서 효과적으로 용접 결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용접 이음매부(1)에 있어서, 용접을 실시한 면과는 반대측의 용접 이면(6)의 냉각 속도를 제한하는 것이 유효하다.
구체적으로는, 용접 후에 용접 이면(6)에 있어서 온도가 최고가 되는 부위인 용착 이면부(7)를, 110℃/초 이상의 냉각 속도로 1200℃에서 900℃까지 냉각한다.
용접 후의 냉각 속도를 상승시켜서, 냉각 속도를 110℃/초 이상으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접에서의 입열 그 자체를 제품의 성질상 허용되는 범위로 저감하는 방법, 열전달을 촉진하기 위해서 용접 이면(6)에 Cu 등의 덧댐판을 부착하는 방법, 백 실드 가스의 유량을 조정하는 방법, 및, 실드 가스를 용접 이면(6)에 직접 내뿜는 방법 등으로 적절히 실시 가능하다.
여기서, 용접시에 가장 열이동하기 어려운 것은, 강판끼리가 중첩된 중첩부(8)이다. 여기서, 중첩부(8)의 체적을 크게 하여 열전도(열이동)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중첩부(8)의 중첩 마진(W)의 길이를 2.5mm 이상으로 하는 구성이 바람직하고, 중첩 마진(W)의 길이가 4.0mm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에 의하면, 용접 이면(6)에 있어서 용접시에 온도가 최고가 되는 부위인 용착 이면부(7)를 1200℃에서 900℃까지 냉각할 때의 냉각 속도를 110℃/초 이상으로 하기 때문에, 용접 결함이 발생하기 쉬운 용접 이면(6)에 있어서 용접시에 발생한 열을 조기에 다른 부위에 이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용접 결함의 원인이 되는 용접시에 발생한 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고, 고온 균열이나 HAZ부(열영향부)의 연성 저하 균열 등의 용접 결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첩부(8)을 용접할 때의 중첩 마진(W)의 길이를 2.5mm 이상으로 하는 것으로써, 중첩부(8)의 체적을 크게 하여 열전도(열이동)를 촉진할 수 있고, 냉각 속도를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 결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첩 마진(W)의 길이를 4.0mm 이상으로 하면, 용접 결함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에서는, 아크 용접으로서 MIG 용접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TIG 용접법, MAG 용접법 및 피복 아크 용접법 등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에서는, 중첩부(8)을 필릿 용접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중첩부(8)의 중앙부 부근을 용접해도 좋다.
또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끼리를 용접하는 경우, 및,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다른 재료와 용접하는 경우의 어느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 1에 나타내는 성분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용융 제조하고, 판 두께 0.8mm의 냉연 소둔판으로 했다. 또한, 각 냉연 소둔판으로부터 100×200mm의 판 형상의 공시재(供試材)를 잘라냈다.
Figure 112018013899946-pct00001
각 강종의 공시재를 2매 중첩하여 맞추고, 전류 120A, 전압 14.4V, 용접 심선 308(φ1.2mm), 실드 가스 Ar + 5체적% O2, 및, 실드 가스 유량 10L/분의 조건으로 MIG 용접을 실시한 후, 백 실드 가스로서 Ar를 용접 이면에 직접 내뿜어서 용착 이면부를 냉각했다. 또한, 냉각 속도는, 백 실드 가스의 유량을 조정하는 것으로 컨트롤했다.
각 강종에서 5개의 검체를 제작하고 평가수를 5로 하여, 용착 이면부에 균열이 발생하고 있던 것을 균열 판정으로 하고 균열의 발생률을 산출했다.
각 강종에 있어서의 중첩 마진, 용착 이면부를 1200℃에서 900℃까지 냉각할 때의 냉각 속도, 및, 균열 발생률을 표 2에 나타내고, 냉각 속도와 균열 발생률과의 관계를 도 3에 나타낸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던 경우를 나타내고, ◆는 균열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013899946-pct00002
표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착 이면부를 1200℃에서 900℃까지 냉각할 때의 냉각 속도가 110℃/초 이상의 본 실시예인 강종 No. 1 내지 강종 No. 10의 모두 용착 이면부에 균열이 발생하고 있지 않고, 용접성이 우수했다.
한편, 용착 이면부를 1200℃에서 900℃까지 냉각할 때의 냉각 속도가 110℃/초 미만의 비교예인 강종 No. 11 내지 강종 No. 15의 모두 용접 균열이 발생하고 있고, 용접성이 불충분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이중구조 이그저스트 매니폴드 등을 제조하는 경우 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중첩하여 용접할 때에 이용할 수 있다.
1: 용접 이음매부
6: 용접 이면
7: 용착 이면부
8: 중첩부
W: 중첩 마진

Claims (5)

  1. C:0.08질량% 이하, Si:1.5질량% 이상 4.0질량% 이하, Mn:2.0질량% 이하, P:0.04질량% 이하, S:0.01질량% 이하, Cr:16.0질량% 이상 22.0질량% 이하, Ni:10.0질량% 이상 14.0질량% 이하, 및, N:0.08질량% 이하를 함유함과 함께, Nb 및 Ti의 적어도 1종을 합계 1.0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구성된 판 두께 0.6mm 이상 1.0mm 이하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중첩하여 아크 용접으로 중첩부를 용접하고,
    용접 이면에서 용접시에 온도가 최고가 되는 부위인 용착 이면부를, 110℃/초 이상의 냉각 속도로 1200℃에서 900℃까지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은, Al, Zr 및 V 중 적어도 1종을 합계 1.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은, Mo 및 Cu의 적어도 1종을 합계 4.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은, B를 0.01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첩부를 용접할 때의 용접 이음매부의 중첩 마진의 길이를 2.5mm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
KR1020187003871A 2015-09-08 2016-08-30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 KR101989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76734 2015-09-08
JP2015176734A JP6499557B2 (ja) 2015-09-08 2015-09-08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溶接方法
PCT/JP2016/075349 WO2017043374A1 (ja) 2015-09-08 2016-08-30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溶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140A KR20180040140A (ko) 2018-04-19
KR101989288B1 true KR101989288B1 (ko) 2019-06-13

Family

ID=58239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871A KR101989288B1 (ko) 2015-09-08 2016-08-30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039165A1 (ko)
JP (1) JP6499557B2 (ko)
KR (1) KR101989288B1 (ko)
CN (1) CN108025385A (ko)
CA (1) CA2995056C (ko)
MX (1) MX2018002886A (ko)
TW (1) TWI690606B (ko)
WO (1) WO20170433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6217A (ja) * 2017-04-12 2018-11-15 株式会社Uacj 溶接継手
JP6879133B2 (ja) * 2017-09-05 2021-06-02 日本製鉄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溶接部材
JP6977409B2 (ja) * 2017-09-05 2021-12-08 日本製鉄株式会社 安定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溶接部材
CN111715982A (zh) * 2020-05-21 2020-09-29 太原科技大学 一种新型高合金奥氏体耐热不锈钢的焊接方法
KR20230106174A (ko) * 2020-11-13 2023-07-12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이중관 및 용접 이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9262A (ja) 2004-12-08 2006-06-22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継手および溶接材料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3646A (en) * 1977-12-16 1979-07-03 Hitachi Ltd Welding method for austenitic stainless steel
JPS5545555A (en) * 1978-09-25 1980-03-31 Hitachi Zosen Corp Welding method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JPS58167723A (ja) * 1982-03-30 1983-10-04 Kubota Ltd ステンレス鋼材の加工方法
JPH08334018A (ja) 1995-06-07 1996-12-17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二重排気管
JPH08334017A (ja) 1995-06-07 1996-12-17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二重排気管
JPH1161275A (ja) * 1997-08-07 1999-03-05 Mitsubishi Heavy Ind Ltd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溶接部
JPH1193654A (ja) 1997-09-24 1999-04-06 Nippon Soken Inc エキゾーストマニホールド
JP3232033B2 (ja) * 1997-10-06 2001-11-26 大阪瓦斯株式会社 Fe−Ni系低熱膨張率合金の溶接方法
JP2003074339A (ja) * 2001-06-18 2003-03-12 Calsonic Kansei Corp 二重管エキゾーストマニホールド
FR2835456B1 (fr) * 2002-02-01 2004-04-02 Air Liquide Procede de soudage d'elements de vehicules automobiles, en particulier de flancs raboutes
JP4262018B2 (ja) * 2002-09-18 2009-05-1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構造物構築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317489A (zh) * 2007-10-04 2012-01-11 住友金属工业株式会社 奥氏体系不锈钢
CN101229605A (zh) * 2008-02-02 2008-07-30 泰山集团泰安市普瑞特机械制造有限公司 奥氏体不锈钢氩弧焊水冷焊接法
CN101733523B (zh) * 2010-01-12 2011-12-07 中国石油大学(华东) 中厚板双相不锈钢焊接工艺
CN102225487A (zh) * 2011-06-03 2011-10-26 唐山三友集团兴达化纤有限公司 用超低碳奥氏体不锈钢制作喷射泵的焊接方法
CN102357718B (zh) * 2011-10-14 2013-06-05 河北首钢燕郊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防止产生焊缝裂纹的不锈钢薄板的焊接方法
CN102732803A (zh) * 2012-06-26 2012-10-17 江苏兴海特钢有限公司 一种奥氏体不锈钢
WO2014038510A1 (ja) * 2012-09-04 2014-03-13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941401B (zh) * 2012-10-30 2015-02-25 太原理工大学 一种铁素体不锈钢的随焊激冷焊接方法
CN104878316A (zh) * 2014-02-27 2015-09-02 南京理工大学 一种高强韧高氮奥氏体不锈钢
CN104480409B (zh) * 2014-12-10 2017-05-03 无锡鑫常钢管有限责任公司 一种06Cr17Ni12Mo2Ti奥氏体不锈钢管及生产工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9262A (ja) 2004-12-08 2006-06-22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継手および溶接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95056C (en) 2019-04-23
CA2995056A1 (en) 2017-03-16
MX2018002886A (es) 2018-06-18
JP6499557B2 (ja) 2019-04-10
CN108025385A (zh) 2018-05-11
WO2017043374A1 (ja) 2017-03-16
TWI690606B (zh) 2020-04-11
JP2017051968A (ja) 2017-03-16
KR20180040140A (ko) 2018-04-19
US20190039165A1 (en) 2019-02-07
TW201715057A (zh) 2017-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288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 방법
JP4310664B1 (ja) 溶接材料および溶接継手構造体
JP5202862B2 (ja) 耐低温割れ性に優れた溶接金属を有する高強度溶接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52387B2 (ja) 耐熱性と加工性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7276597B2 (ja) 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ワイヤ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接継手部の製造方法
JP4584002B2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KR20180123592A (ko) 강도, 인성 및 내sr균열성이 우수한 용접 금속
KR102639546B1 (ko) 가스 메탈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및 가스 메탈 아크 용접 방법
JP6811609B2 (ja) 成形性に優れたテーラードブランク材の製造方法
KR101657836B1 (ko) 극저온 인성, 내열성 및 내균열성이 우수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WO1994020258A1 (en) Inert-gas arc welding wire for high-chromium ferritic heat-resisting steel
JP6249839B2 (ja) 二重構造エキゾーストマニホールド
TW202220779A (zh) 焊接接頭及其製造方法
JPS6048584B2 (ja) 溶接部のじん性および加工性に優れる極低炭素・窒素フエ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20170082304A (ko) 내 균열성이 우수한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20190087846A (ko) 극저온 Ni 합금강용 Ni기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WO2022124274A1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ワイヤ
KR20180109130A (ko)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이음부
JP7029034B1 (ja) 溶接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436793B2 (ja) フェライト系耐熱鋼の溶接継手の製造方法
KR102065227B1 (ko) 스테인리스강용 용접재료 및 이를 이용하여 용접된 물품
JPS61147990A (ja) 高張力鋼用の潜弧溶接用ワイヤ
JP2622516B2 (ja) クリープ強度の優れた耐熱鋼用溶接材料
WO2024053280A1 (ja) ソリッドワイヤ及び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方法
JP6249840B2 (ja) 二重構造エキゾーストマニホール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