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637B1 - 금속망 코팅장치 - Google Patents

금속망 코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637B1
KR101988637B1 KR1020190003333A KR20190003333A KR101988637B1 KR 101988637 B1 KR101988637 B1 KR 101988637B1 KR 1020190003333 A KR1020190003333 A KR 1020190003333A KR 20190003333 A KR20190003333 A KR 20190003333A KR 101988637 B1 KR101988637 B1 KR 101988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esh
spray
vertical
metal
metal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신일
Original Assignee
고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신일 filed Critical 고신일
Priority to KR1020190003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81Spray pistol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particulate material
    • B05B7/1486Spray pistol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particulate material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 in dry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objects or work being present in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8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20Arrangements for spray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operations, e.g. drying; Arrangements enabling a combination of spray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90Spray booths compris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objects or other work to be sprayed in and out of the booth, e.g. through the booth
    • B05B16/95Spray booths compris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objects or other work to be sprayed in and out of the booth, e.g. through the booth the objects or other work to be sprayed lying on, or being held above the conveying means, i.e. not hanging from the conve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분무선회롤러(51)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선회된 금속망(M)을 수직분무박스(52) 속의 양단에서 일측노즐(53a) 및 타측노즐(53b)로서 분체도료를 분무케 하여 금속망(M)의 양측면에 분체도료의 균일한 묻힘을 가능케 하고, 특히 금속망(M)을 신속하게 상승시키더라도 일측왕복액츄에이터(54a) 및 타측왕복액츄에이터(54b)의 신속한 왕복 운동으로 일측노즐(53a) 및 타측노즐(53b)로부터 분무되는 분체도료가 금속망(M)의 양측면에 충분히 균일하게 달라붙을 수 있도록 하여 불량없는 코팅작업의 실현으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금속망 코팅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금속망 코팅장치{APPARATUS FOR COATING METAL NET}
본 발명은 금속망 코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분무선회롤러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선회된 금속망을 수직분무박스 속의 양단에서 일측노즐 및 타측노즐로서 분체도료를 분무케 하여 금속망의 양측면에 분체도료의 균일한 묻힘을 가능케 하고, 특히 금속망을 신속하게 상승시키더라도 일측왕복액츄에이터 및 타측왕복액츄에이터의 신속한 왕복 운동으로 일측노즐 및 타측노즐로부터 분무되는 분체도료가 금속망의 양측면에 충분히 균일하게 달라붙을 수 있도록 하여 불량없는 코팅작업의 실현으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금속망 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망은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나, 그 중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 방충망 또는 방범망이다.
이와 같은 방충망 및 방법망은 스테인리스, 철, 황동, 구리 또는 사란(Saran) 등이 사용된다.
이렇게 금속으로 만들어진 금속망은 건물 외부로 드러나 있어 오염된 공기나 온도 내지 극한 기후 조건(비 또는 눈)에 따라 오염 또는 부식 등이 일어나며 염분에 매우 취약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조된 금속망에 페인트 등을 칠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금속망에 페인트 등을 칠하게 되면 페인팅에 필요한 시간이 많이 요구되고 페인팅 후 건조 시간도 불필요하게 많이 필요하며 페인팅 작업은 일일이 작업자의 손을 거쳐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 또한 매우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도 4a는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59357호)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4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를 나타내는 분무부를 중심으로 한 개략 좌측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망(M)을 롤투롤 공급 및 권취시키면서 분체도료로 코팅시키는 장치이다.
금속망(M)은 방충망 방범망 등 다양하게 있을 수 있고, 분체도료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57616호에 개시된 Roll형 방충망 도장용 폴리에스터 분체도료 조성물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 Roll형 방충망 도장용 폴리에스터 분체도료 조성물은 산가가 20 내지 30인 폴리에스터수지 100중량%에 대하여, 에폭시 당량이 50 내지 200g/eq인 폴리에스터 경화제 3 내지 15중량%, 경화촉진제 0.1 내지 10중량%, 무기 충진제 3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분체도료는 소성부(40)에서 180∼230℃의 온도에서 소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하나의 예로 제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는 금속망(M)을 롤투롤 공급하는 공급부(10)와, 공급부(10)를 경유한 금속망(M)에 분체도료를 분무시키는 분무부(20)와, 분무부(20)에 분체도료를 주입하는 주입부(30)와, 분무부(20)를 경유한 금속망(M)을 소성시키는 소성부(40)와, 소성부(40)를 경유한 금속망(M)을 리와인딩시키는 권취부(50)와, 분무부(20)에 연통되어 금속망(M)에 분무되면서 낙하되는 잔여 분체도료를 회수하여 주입부(30)를 통해 재공급하는 집진부(60)를 포함한다.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분무부(20)에 집진부(60)를 연통시켜 금속망(M)에 분무되면서 낙하되는 잔여 분체도료를 실시간으로 회수하여 주입부(30)를 통해 재공급토록 하여 고가의 분체도료를 낭비치 않으면서 환경오염까지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집진부(60)는 싸이클론(Cyclone)의 원리, 즉 원심력으로 분무부(20)로부터 빨아들인 공기 속의 잔여 분체도료를 골라내는 원리로서 분체도료의 재활용을 가능케 한다.
분무부(20)는 주입부(30)로부터 분체도료를 공급받아 금속망(M)을 향하여 상측방향으로 분무시키는 노즐(21)을 포함한다.
노즐(21)이 금속망(M)을 향하여 상측방향으로 분체도료를 분무시킬 경우 금속망(M)의 하측면에 분체도료가 묻히면서도 금속망(M)의 격자 사이를 통과하여 상측방향으로 분무된 분체도료가 다시 낙하하면서 금속망(M)의 상측면에 묻히게 되어 굳이 금속망(M)의 양측면에서 분체도료를 분무시키지 않더라도 효율적으로 코팅을 실현케 할 수 있다.
이때, 노즐(21)은 금속망(M)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왕복액츄에이터(22)에 연동되도록 하여 금속망(M)의 진행방향과 노즐(21)의 교차방향이 서로 입체화됨으로써 노즐(21)을 통한 분체도료의 분무시 금속망(M)에 전방위로 묻힐 수 있게 된다.
권취부(50)는 소성부(40)를 경유한 금속망(M)을 상하 압착시키면서 인출시키는 한 쌍의 인발 쿠션롤러(51)와, 이 인발 쿠션롤러(51)를 경유한 금속망(M)을 권취시키는 권취기(52)를 포함하며, 이때 인발 쿠션롤러(51)는 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진다.
소성부(40)를 경유한 권취부(50)를 한 쌍의 인발 쿠션롤러(51)로서 인출시켜 금속망(M)을 더욱 평탄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권취기(52)를 통해 밀착 리와인딩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견고 간편 및 간단한 롤링으로 보관 및 운송시의 편리함을 보장케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 우레탄수지로 된 인발 쿠션롤러(51)에 의해 분체도료의 코팅상태를 그대로 보존하면서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는 금속망(M)을 롤투롤 공급하는 공급부(10)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 서로 이격된 아이들롤러들에 의해 금속망(M)을 단순하게 공급하여(느슨하게 공급하여) 스테인리스, 철, 황동, 구리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망(M)의 두께[와이어(wire)의 직경]에 따른 펼침상태를 온전히 실현하지 못하여 분무부(20) 속에 결국 굴곡진 상태로 금속망(M)이 들어가 노즐(21)을 통한 분체도료의 분무시 그 묻힘상태가 균일하게 구현되지 못하여 코팅불량을 발생하고, 특히 분무부(20) 및 소성부(40)가 서로 이격된 지면 위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지면의 충분한 점유공간을 확보하여야만 할 뿐만 아니라 분무부(20)에서부터 소성부(40)에 이르는 이격거리까지 금속망(M)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공장 내 각종 이물질이 달라붙어 소성 후 불량을 초래하고, 나아가 분무부(20)에서부터 소성부(40)까지 노출된 금속망(20) 자체로부터 분체도료가 낙하되어 주변 작업환경을 극심하게 오염시켜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주고 있고, 더 나아가 소성부(40)가 권치부(50)에 이르는 거리까지 지면 위에 수평상태로 마련되어 그 수평거리까지의 대지의 점유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소성효율까지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수평상태의 소성부(40) 전체에 걸친 히터의 마련으로 충분한 전기에너지가 필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96625호 - 금속망, 금속망을 도장하기 위한 제조 공정 및 제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59357호 - 금속망 코팅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분무선회롤러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선회된 금속망을 수직분무박스 속의 양단에서 일측노즐 및 타측노즐로서 분체도료를 분무케 하여 금속망의 양측면에 분체도료의 균일한 묻힘을 가능케 하고, 특히 금속망을 신속하게 상승시키더라도 일측왕복액츄에이터 및 타측왕복액츄에이터의 신속한 왕복 운동으로 일측노즐 및 타측노즐로부터 분무되는 분체도료가 금속망의 양측면에 충분히 균일하게 달라붙을 수 있도록 하여 불량없는 코팅작업의 실현으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금속망 코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분무송풍팬을 통한 바람이 일측분무하부통 및 타측분무하부통을 경유하여 일측분무슬릿 및 타측분무슬릿을 경유하여 금속망의 양측을 향해 송풍되어 일측노즐 및 타측노즐의 분체도료가 하부분무입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하여 작업장 주변의 환경오염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분체도료의 손실을 철저히 방지토록 하는 금속망 코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분무슬릿 및 타측분무슬릿을 통한 송풍이 금속망의 양측을 향하여 상승 사선방향으로 구현되어 일측노즐 및 타측노즐로부터 분무되는 분체도료가 금속망의 양측에서 원을 그리면서 와류되어 금속망의 양측면으로의 지속적인 타겟팅을 가능케 하여 금속망으로의 분체도료의 묻힘을 보다 균일하게 실현할 수 있는 금속망 코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망의 양측에서 원을 그리면서 와류되는 분체도료가 일측터널 및 타측터널 방향으로 집결되면서 더욱 신속하게 집진부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여 분체도료의 재활용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금속망 코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망을 롤투롤 공급하는 수평공급부와, 상기 수평공급부를 경유한 금속망에 분체도료를 분무시키는 수직분무부와, 상기 수직분무부에 분체도료를 주입하는 주입부와, 상기 수직분무부를 경유한 금속망을 소성시키는 수직소성부와, 상기 수직소성부를 경유한 금속망을 리와인딩시키는 수평권취부를 포함하는 금속망 코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분무부는
상기 수평공급부를 경유한 금속망을 하부분무선회롤러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선회시켜 하부분무입구 및 상부분무출구를 경유하여 상기 수직소성부로 상승되도록 하는 수직분무박스와,
상기 수직분무박스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주입부로부터 분체도료를 공급받아 상기 금속망을 향하여 분무시키는 일측노즐 및 타측노즐과,
상기 금속망의 상승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일측노즐 및 타측노즐을 각각 왕복 운동시키는 일측왕복액츄에이터 및 타측왕복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분무선회롤러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선회된 금속망을 수직분무박스 속의 양단에서 일측노즐 및 타측노즐로서 분체도료를 분무케 하여 금속망의 양측면에 분체도료의 균일한 묻힘을 가능케 하고, 특히 금속망을 신속하게 상승시키더라도 일측왕복액츄에이터 및 타측왕복액츄에이터의 신속한 왕복 운동으로 일측노즐 및 타측노즐로부터 분무되는 분체도료가 금속망의 양측면에 충분히 균일하게 달라붙을 수 있도록 하여 불량없는 코팅작업의 실현으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부분무송풍팬을 통한 바람이 일측분무하부통 및 타측분무하부통을 경유하여 일측분무슬릿 및 타측분무슬릿을 통해 금속망의 양측을 향하여 송풍되어 일측노즐 및 타측노즐의 분체도료가 하부분무입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하여 작업장 주변의 환경오염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분체도료의 손실을 철저히 방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측분무슬릿 및 타측분무슬릿을 통한 송풍이 금속망의 양측을 향하여 상승 사선방향으로 구현되어 일측노즐 및 타측노즐로부터 분무되는 분체도료가 금속망의 양측에서 원을 그리면서 와류되어 금속망의 양측면으로의 지속적인 타겟팅을 가능케 하여 금속망으로의 분체도료의 묻힘을 보다 균일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금속망의 양측에서 원을 그리면서 와류되는 분체도료가 일측터널 및 타측터널 방향으로 집결되면서 더욱 신속하게 집진부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여 분체도료의 재활용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를 금속망 코팅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에 적용된 수평공급부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에 적용된 수평공급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에 적용된 수직분무부 및 수직소성부를 나타내는 요부절개 사시도.
도 4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4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를 나타내는 분무부를 중심으로 한 개략 좌측면도.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를 금속망 코팅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망(M)을 롤투롤 공급 및 권취시키면서 분체도료로 코팅시키는 장치이다.
금속망(M)은 방충망, 방범망 등 다양하게 있을 수 있고, 분체도료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57616호에 개시된 Roll형 방충망 도장용 폴리에스터 분체도료 조성물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 Roll형 방충망 도장용 폴리에스터 분체도료 조성물은 산가가 20 내지 30인 폴리에스터수지 100중량%에 대하여, 에폭시 당량이 50 내지 200g/eq인 폴리에스터 경화제 3 내지 15중량%, 경화촉진제 0.1 내지 10중량%, 무기 충진제 3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분체도료는 소성부(40)에서 180∼230℃의 온도에서 소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하나의 예로 제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금속망 코팅장치는 금속망(M)을 롤투롤 공급하는 수평공급부(100)와, 수평공급부(100)를 경유한 금속망(M)을 수직 상승시키면서 분체도료를 분무시키는 수직분무부(500)와, 수직분무부(500)를 경유한 금속망(M)을 연속 상승시키면서 소성시키는 수직소성부(600)와, 수직소성부(600)를 경유한 금속망(M)을 하강시키면서 냉각시키는 하강냉각부(800)와, 하강냉각부(800)를 경유한 금속망(M)을 리와인딩시키는 수평권취부(900)를 포함한다.
금속망(M)을 공급하고 리와인딩시키는 수평공급부(100)에서부터 수평권취부(900)에 이르는 구간에 분체도료를 분무시켜 소성시키는 수직분무부(500) 및 수직소성부(600)를 연속하여 수직으로 세워 금속망(M)으로 하여금 수직 상승되는 과정에서 분체도료의 분무와 더불어 분체도료의 소성을 통한 신속한 코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즉 아래층의 수직분무부(500)의 분무로서 금속망(M)에 분체도료를 신속하게 달라붙게 한 후 위층의 수직소성부(600)의 열로서 곧바로 소성되도록 하여 지면에 대한 공간점유를 극소화시키고, 아래층에서 분체도료가 달라붙은 금속망(M)이 위층으로 곧바로 수직 상승되면서 소성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금속망(M)에 묻힌 분체도료가 외부로 비산되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하여 작업환경의 오염현상을 철저하게 없앰과 동시에 역으로 공장 내 이물질이 금속망(M)에 달라붙는 현상까지 방지하고, 나아가 열(약 200℃ 안팎의 열)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상승하는 원리를 활용하여 금속망(M)이 수직으로 상승되는 과정에 수직소성부(600)의 열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수 있도록 하여 소성효율, 즉 최소화된 전기에너지로 분체도료의 소성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뜨거운 열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현상을 이용하여 하강냉각부(800)를 수직소성부(600)에 병렬 마련시켜 금속망(M)이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토록 하여 금속망(M)의 열이 급격한 변화없이 하강하면서 점차적으로 상온 상태의 낮은 열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진적 온도변화에 따른 소성상태의 온전한 보존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는 수직분무부(500)에 분체도료를 주입하는 주입부(J1)와, 수직분무부(500)에 연통되어 금속망(M)에 분무되면서 낙하되는 잔여 분체도료를 회수하여 주입부(J1)를 통해 재공급하는 집진부(J2)를 더 포함한다.
분체도료는 수직분무부(500)로 분무시켜 금속망(M)에 묻힐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금속망(M)은 격자구조로 된 선재(Wire)라는 특성이 있어 분체도료를 수직분무부(500)로 분무시킬 경우 대부분 소실될 수밖에 없고, 그 소실되는 양도 상당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수직분무부(500)에 집진부(J2)를 연통시켜 금속망(M)에 분무되면서 낙하되는 잔여 분체도료를 실시간으로 회수하여 주입부(J1)를 통해 재공급토록 하여 고가의 분체도료를 낭비치 않으면서 환경오염까지 철저히 방지케 한 것이다.
금속망(M)에 분무되면서 낙하되는 잔여 분체도료를 간헐적으로 쓸어 담아 활용할 수도 있겠지만, 이러할 경우 잔여 분체도료가 공기 중에 오랫동안 방치되어 산소와의 반응으로 인한 품질이 현격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도 치명적인 위해를 가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수직분무부(500)에 연통되는 집진부(J2)로서 잔여 분체도료를 회수하여 주입부(J1)를 통해 실시간으로 재공급토록 함으로써 분체도료의 품질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작업자까지 보호토록 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에 적용된 수평공급부(100)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에 적용된 수평공급부(1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에 적용된 수평공급부(100)는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분무부(500)를 향하여 평행하게 양측으로 세워진 양측프레임(10)과, 양측프레임(10)의 초입에 마련되어 금속망(M)을 롤투롤 공급하는 피딩뭉치(20)와, 양측프레임(10)에 횡방향으로 마련되어 공급모터(31)의 구동에 따라 피딩뭉치(20)로부터 공급받은 금속망(M)을 역상/정상/역상의 S형 및 역S형으로 순차 밀착 펼침 롤링시켜 수직분무부(500)로 보내는 밀착펼침롤링뭉치(40)를 포함한다.
금속망(M)은 스테인리스, 철, 황동 또는 구리로 된 선재(Wire)를 격자구조로 짜임시켜 심재(S)에 와인딩된 상태로 피딩뭉치(20)를 통해 롤투롤 공급되는데, 이러할 경우 선재의 특성상 심재(S)에 와인딩된 휨 상태 그대로의 감겨진(굴곡된) 구조를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어 수직분무부(500)에서 분체도료를 분무할 때 그 묻힘상태가 균일하게 구현되지 않아[굴곡진 금속망(M)의 일부에 분체도료가 뭉쳐지거나 다른 일부에 빈틈이 발생되어] 코팅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피딩뭉치(20)의 금속망(M)을 역상(逆象), 정상(正象) 및 역상(逆象)의 S형(形) 및 역S형(形)으로 순차 밀착 펴질 수 있도록 롤링시켜, 즉 금속망(M)의 롤링방향에 대하여 휨 범위를 거꾸로의 반대방향 그리고 또 그 거꾸로의 반대방향으로까지 휘어질 수 있도록 밀착시키면서 펼침 롤링시켜 수직분무부(500)로 유연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직분무부(500)에서 분체도료를 분무할 때 금속망(M)으로의 묻침상태를 더욱 균일하게 하여 코팅불량을 초래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때, 수평공급부(100)는 양측프레임(10)에 횡방향으로 마련되어 공급모터(31)의 구동에 따라 밀착펼침롤링뭉치(40)를 경유한 금속망(M)을 볼록/오목/볼록의 웨이브(Wave)형으로 순차 밀착 평탄 롤링시켜 수직분무부(500)로 보내는 밀착평탄롤링뭉치(45)를 더 포함한다[이때, 밀착펼침롤링뭉치(40) 및 밀착평탄롤링뭉치(45)는 공급모터(31)에 연결된 미 도시의 체인이나 벨트 또는 기어의 치합으로 일거에 구동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도면 및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밀착펼침롤링뭉치(40)에서 유연하게 펼쳐진 금속망(M)을 밀착평탄롤링뭉치(45)를 통해 금속망(M)의 휨 범위를 볼록, 오목, 볼록의 웨이브형으로, 즉 소폭의 휨 상태의 웨이브형으로 밀착 롤링 평탄화시켜, 다시 말하면 밀착펼침롤링뭉치(40)에서 이미 유연하게 펼쳐진 금속망(M)을 급격한 휨 상태[밀착펼침롤링뭉치(40)에서의 휨 범위를 거꾸로의 반대방향 그리고 또 그 거꾸로의 반대방향으로까지 휘는 급격한 휨 상태]가 아닌 소폭의 웨이브형의 휨 상태로 밀착 롤링 평탄화시켜 수직분무부(500)로 평탄하게 공급하여 수직분무부(500)에서 분체도료를 분무할 때 금속망(M)으로의 묻침상태를 더 더욱 균일하게 하여 코팅불량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밀착펼침롤링뭉치(40)는 양측프레임(10)에 나란히 이격 장착되어 역방향 회전되면서 금속망(M)을 역상으로 순차 밀착 펼침 롤링시키는 일측역회전펼침롤러(41) 및 타측역회전펼침롤러(42)와, 양측프레임(10)에 일측역회전펼침롤러(41) 및 타측역회전펼침롤러(42)를 향하여 밀착 장착되어 정방향 회전되면서 금속망(M)을 정상으로 센터 밀착 펼침 롤링시키는 센터정회전펼침롤러(43)를 포함한다.
밀착펼침롤링뭉치(40)가 금속망(M)을 역상으로 순차 밀착 펼침 롤링시키는 일측역회전펼침롤러(41) 및 타측역회전펼침롤러(42)를 향하여 금속망(M)을 정상으로 센터 밀착 펼침 롤링시키는 센터정회전펼침롤러(43)의 밀착 구조로 이루어져 피딩뭉치(20)로부터 공급받은 금속망(M)을 역상/정상/역상의 S형 및 역S형으로 순차 밀착 펼침 롤링시켜 수직분무부(500)로 신속 유연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밀착평탄롤링뭉치(45)는 양측프레임(10)에 나란히 이격 장착되어 정방향 회전되면서 금속망(M)을 볼록으로 순차 밀착 평탄 롤링시키는 일측정회전평탄롤러(45a) 및 타측정회전평탄롤러(45b)와, 양측프레임(10)에 일측정회정평탄롤러 및 타측정회전평탄롤러(45b)를 향하여 밀착 장착되어 역방향 회전되면서 금속망(M)을 오목으로 센터 밀착 평탄 롤링시키는 센터역회전평탄롤러(45c)를 포함한다.
밀착평탄롤링뭉치(45)가 금속망(M)을 볼록으로 순차 밀착 평탄 롤링시키는 정방향 회전의 일측정회전평탄롤러(45a) 및 타측정회전평탄롤러(45b)를 향하여 금속망(M)을 오목으로 센터 밀착 평탄 롤링시키는 역방향 회전의 센터역회전평탄롤러(45c)의 밀착 구조로 이루어져 밀착펼침롤링뭉치(40)를 경유한 금속망(M)을 볼록/오목/볼록의 웨이브(Wave)형으로 순차 밀착 평탄 롤링시켜 수직분무부(500)로 평탄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센터정회전펼침롤러(43)는 센터펼침승강뭉치(44)에 의해 일측역회전펼침롤러(41) 및 타측역회전펼침롤러(42)와의 밀착간격이 조절되고, 센터역회전평탄롤러(45c)는 센터평탄승강뭉치(46)에 의해 일측정회전평탄롤러(45a) 및 타측정회전평탄롤러(45b)와의 밀착간격이 조절되어, 금속망(M)의 두께에 따라 밀착펼침롤링뭉치(40)에서의 밀착간격 그리고 밀착평탄롤링뭉치(45)에서의 밀착간격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굵기의 선재로 이루어진 금속망(M)의 적용을 더욱 호환성 있게 실현토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센터펼침승강뭉치(44)는 센터정회전펼침롤러(43)를 잡아주면서 양측프레임(10)에 상하방향으로 뚫려진 센터펼침홀(44a)을 따라 형성된 센터펼침가이드(44b)에 승강 슬라이딩되는 센터펼침베어링뭉치(44c)와, 센터펼침베어링뭉치(44c)에 나사 결합되면서 양측프레임(10) 위로 관통된 센터펼침스크류(44d)와, 양측프레임(10)의 상단에 장착되어 센터펼침스크류(44d)를 회전시키는 센터펼침내외치기어(44e)와, 센터펼침내외치기어(44e)를 정역회전시키는 센터펼침스크류핸들(44f)을 포함한다.
센터펼침스크류핸들(44f)의 정역회전에 따라 센터펼침내외치기어(44e)를 통한 센터펼침스크류(44d)가 정역회전되면서 센터펼침베어링뭉치(44c)로 하여금 센터펼침가이드(44b)를 따라 승강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결국 센터정회전펼침롤러(43)의 승강을 가능케 하여 일측역회전펼침롤러(41) 및 타측역회전펼침롤러(42)와의 밀착간격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센터평탄승강뭉치(46)는 센터역회전평탄롤러(45c)를 잡아주면서 양측프레임(10)에 상하방향으로 뚫려진 센터평탄홀(46a)을 따라 형성된 센터평탄가이드(46b)에 승강 슬라이딩되는 센터평탄베어링뭉치(46c)와, 센터평탄베어링뭉치(46c)에 나사 결합되면서 양측프레임(10) 위로 관통된 센터평탄스크류(46d)와, 양측프레임(10)의 상단에 장착되어 센터평탄스크류(46d)를 회전시키는 센터평탄내외치기어(46e)와, 센터평탄내외치기어(46e)를 정역회전시키는 센터평탄스크류핸들(46f)을 포함한다.
센터평탄스크류핸들(46f)의 정역회전에 따라 센터평탄내외치기어(46e)를 통한 센터평탄스크류(46d)가 정역회전되면서 센터평탄베어링뭉치(46c)로 하여금 센터평탄가이드(46b)를 따라 승강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결국 센터역회전평탄롤러(45c)의 승강을 가능케 하여 일측정회전평탄롤러(45a) 및 타측정회전평탄롤러(45b)와의 밀착간격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밀착펼침롤링뭉치(40) 및 센터펼침승강뭉치(44)는 양측프레임(10)에 나란히 이격 마련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피딩뭉치(20)로부터 공급받은 금속망(M)을 역상/정상/역상의 S형 및 역S형으로 순차 밀착 펼침 롤링시키는 과정을 반복케 하여 금속망(M)을 더욱 유연하게 펼쳐 밀착평탄롤링뭉치(45)를 통해 수직분무부(500)로 이어지도록 한다.
또한, 수평공급부(100)는 양측프레임(10)의 말단에 마련되어 밀착평탄롤링뭉치(45)를 경유한 금속망(M)을 수평상태로 수직분무부(500)로 연속 공급하는 말단아이들롤러(32)를 더 포함하여 금속망(M)의 안전한 이송을 실현한다.
한편, 피딩뭉치(20)는 양측프레임(10)의 초입 양쪽에 세워진 양측피딩받침(21)과, 양측피딩받침(21) 위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피딩바(22)와, 피딩바(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금속망(M)을 와인딩하고 있는 심재(S)를 받쳐주는 양측피딩서포터(23)를 포함한다.
피딩바(22)에 양측피딩서포터(2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금속망(M)의 폭의 크기에 따라 양측피딩서포터(23)의 간격을 간단히 슬라이딩 조절케 하여 금속망(M)의 종류(크기)에 따른 호환성을 보장한다.
구체적으로, 양측피딩서포터(23)는 피딩바(22)를 감싸는 전측판(23b), 상측판(23c) 및 후측판(23d)으로 된 슬라이딩판(23a)과, 상측판(23c)에 직립되어 심재(S)를 받쳐주는 피딩홈(23f)을 지닌 피딩지지판(23e)과, 상측판(23c)을 관통하여 피딩바(22)에 조임되는 피딩스크류핸들(23g)을 포함한다.
피딩스크류핸들(23g)의 역회전으로 상측판(23c)을 통한 피딩바(22)로의 조임을 간단히 해제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판(23a)의 좌우 슬라이딩 조절로서 심재(S)에 감겨진 금속망(M)의 폭에 대응하여 피딩지지판(23e) 상호간의 간격을 신속하게 조절한 후 피딩스크류핸들(23g)의 정회전으로 상측판(23c)을 통한 피딩바(22)로의 조임을 견고하게 이루어낼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보장한다.
이때, 피딩바(22)는 양측피딩받침(21) 위에 중심수직판(22a)을 사이에 두고 상하 일체화된 상측수평판(22b) 및 하측수평판(22c)을 구비하고, 중심수직판(22a)을 향하도록 슬라이딩판(23a)의 전측판(23b) 및 후측판(23d)을 관통하여 상측수평판(22b) 및 하측수평판(22c)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볼트(22d)를 더 포함하여, 중심수직판(22a)에 의한 견고한 지지와 더불어 슬라이딩볼트(22d) 그리고 상측수평판(22b) 및 하측수평판(22c) 상호간의 슬라이딩에 의한 안전한 이동으로 금속망(M)의 폭의 크기에 따른 호환 작업의 안정성을 더불어 보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망 코팅장치에 적용된 수직분무부(500) 및 수직소성부(600)를 나타내는 요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분무부(500)는 수평공급부(100)를 경유한 금속망(M)을 하부분무선회롤러(51)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선회시켜 하부분무입구(52a) 및 상부분무출구(52b)를 경유하여 수직소성부(600)로 상승되도록 하는 수직분무박스(52)와, 수직분무박스(52)의 양단에 마련되어 주입부(J1)로부터 분체도료를 공급받아 금속망(M)을 향하여 분무시키는 일측노즐(53a) 및 타측노즐(53b)과, 금속망(M)의 상승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일측노즐(53a) 및 타측노즐(53b)을 각각 왕복 운동시키는 일측왕복액츄에이터(54a) 및 타측왕복액츄에이터(54b)를 포함한다.
선행기술문헌의 금속망 코팅장치와 같이 분무부가 주입부로부터 분체도료를 공급받아 수평상태로 지나가는 금속망을 향하여 상측방향으로 분무시키는 노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경우, 금속망의 하측면에 분체도료가 지나치게 묻히거나 금속망의 상측면에 분체도료가 충분하게 묻히지 않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망의 이동속도를 크게 줄이는 방법을 취할 수 있는 있는데, 이러할 경우 생산성이 오히려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부분무선회롤러(51)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선회된 금속망(M)을 수직분무박스(52) 속의 양단에서 일측노즐(53a) 및 타측노즐(53b)로서 분체도료를 분무케 하여 금속망(M)의 양측면에 분체도료의 균일한 묻힘을 가능케 하고, 특히 금속망(M)을 신속하게 상승시키더라도 일측왕복액츄에이터(54a) 및 타측왕복액츄에이터(54b)의 신속한 왕복 운동으로 일측노즐(53a) 및 타측노즐(53b)로부터 분무되는 분체도료가 금속망(M)의 양측면에 충분히 균일하게 달라붙을 수 있도록 하여 불량없는 코팅작업의 실현으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수직분무부(500)는 하부분무선회롤러(51)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선회되어 상승되는 금속망(M)의 양측을 향하여 상승 사선방향으로 일측분무슬릿(55a) 및 타측분무슬릿(55b)을 각각 지니면서 하부분무입구(52a)를 완성하는 일측분무하부통(56a) 및 타측분무하부통(56b)과, 일측분무하부통(56a) 및 타측분무하부통(56b)을 경유한 후 일측분무슬릿(55a) 및 타측분무슬릿(55b)을 통해 금속망(M)의 양측을 향하여 상승 사선방향으로 바람을 불어주는 하부분무송풍팬(57)을 포함한다.
하부분무송풍팬(57)을 통한 바람이 일측분무하부통(56a) 및 타측분무하부통(56b)을 경유하여 일측분무슬릿(55a) 및 타측분무슬릿(55b)을 통해 금속망(M)의 양측을 향하여 송풍되어 일측노즐(53a) 및 타측노즐(53b)의 분체도료가 하부분무입구(52a)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하여 작업장 주변의 환경오염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분체도료의 손실을 철저히 방지토록 하고, 특히 일측분무슬릿(55a) 및 타측분무슬릿(55b)을 통한 송풍이 금속망(M)의 양측을 향하여 상승 사선방향으로 구현되어 일측노즐(53a) 및 타측노즐(53b)로부터 분무되는 분체도료가 금속망(M)의 양측에서 원을 그리면서 와류되어 금속망(M)의 양측면으로의 지속적인 타겟팅을 가능케 하여 금속망(M)으로의 분체도료의 묻힘을 보다 균일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수직분무부(500)는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집진부(J2)를 통해 금속망(M)에 분무되면서 낙하되는 잔여 분체도료를 회수하면서 주입부(J1)로 재공급토록 하는 일측터널(58a) 및 타측터널(58b)을 포함하여, 금속망(M)의 양측에서 원을 그리면서 와류되는 분체도료가 일측터널(58a) 및 타측터널(58b) 방향으로 집결되면서 더욱 신속하게 집진부(J2)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여 분체도료의 재활용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수직소성부(600)는 수직분무부(500)로부터 상승되는 금속망(M)을 하부소성입구(61a) 및 상부소성출구(61b)를 경유한 후 상부소성선회롤러(62)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선회되어 하강냉각부(800)로 이어지도록 하는 수직소성박스(61)와, 수직소성박스(61) 내측에 상하 배열되어 금속망(M)의 양측을 향하여 열을 가해주는 히팅세트(63)를 포함한다.
수직분무부(500)에서 분체도료가 달라붙은 금속망(M)을 그대로 상승시키면서 히팅세트(63)를 통한 열(약 200℃ 안팎의 열)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열의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상승하는 원리에 따라 수직소성박스(61)의 하측 일부에 히팅세트(63)를 최소한의 구성으로 마련하더라도 수직소성박스(61) 하부에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열이 채워져 분체도료가 묻은 금속망(M)을 신속하게 소성케 함으로써 최소화된 전기에너지로도 분체도료의 소성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이때, 수직분무부(500)의 상부분무출구(52b)를 경유한 금속망(M)이 층간이격공간(700)을 통과한 후 수직소성부(600)의 하부소성입구(61a)로 이어지도록 하여, 수직소성박스(61) 내의 열기가 하부소성입구(61a)를 경유하여 빠져나가더라도 층간이격공간(700)에 의해 상부분무출구(52b)를 통해 수직분무박스(52) 속으로 더 이상 진입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수직소성부(600)의 고온의 열에 의해 수직분무부(500) 내의 분체도료가 미리 녹아버리는 현상을 철저하게 방지케 한다.
구체적으로, 히팅세트(63)는 수직소성박스(61)의 내측에 상하 배열된 반사판(63a)들과, 반사판(63a)들에 각각 끼워져 금속망(M)의 양측을 향하여 열을 발산하는 히터(63b)들을 포함한다.
수직소성박스(61)의 내측에 히터(63b)들이 각각 끼워진 반사판(63a)들이 상하 배열되어 열기의 상승을 통한 전기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을 가능케 하여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이때, 수직소성부(600)는 히팅세트(63)를 경유하여 상승되는 금속망(M)의 양측을 향하여 일측소성슬릿(64a) 및 타측소성슬릿(64b)을 각각 지니면서 상부소성출구(61b)를 완성하는 일측소성상부통(65a) 및 타측소성상부통(65b)과, 일측소성상부통(65a) 및 타측소성상부통(65b)을 경유한 후 일측소성슬릿(64a) 및 타측소성슬릿(64b)을 통해 금속망(M)의 양측을 향하여 바람을 불어주는 상부소성송풍팬(66)을 포함한다.
상부소성송풍팬(66)을 통한 바람이 일측소성상부통(65a) 및 타측소성상부통(65b)을 경유하여 일측소성슬릿(64a) 및 타측소성슬릿(64b)을 통해 금속망(M)의 양측을 향하여 송풍되도록 하여 수직소성박스(61) 내의 열기가 상부소성출구(61b)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차단하여 열에너지 및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소성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하강냉각부(800)는 수직소성부(600)를 지나온 금속망(M)을 상부냉각선회롤러(81)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하강시켜 상부냉각입구(82a) 및 하부냉각출구(82b)를 경유케 한 후 하부냉각선회롤러(83)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선회되어 수평권취부(900)로 이어지도록 수직소성부(600)에 병렬 마련되는 하강냉각박스(82)를 포함한다.
수직소성부(600)에서 분체도료가 소성된 금속망(M)이 급격한 냉각(급격한 온도변화)을 이룰 경우 소성표면이 미세하게 크랙이 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뜨거운 열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현상을 이용하기 위하여 하강냉각박스(82)를 수직소성부(600)에 병렬 마련시켜 상부냉각선회롤러(81)를 통한 금속망(M)이 상부냉각입구(82a)로 진입된 후 하부냉각출구(82b)에 이르기까지 하강토록 하여 하강냉각박스(82)의 상측으로 금속망(M)이 열의 급격한 변화없이 진입된 후 하강하면서 점차적으로 상온 상태의 낮은 열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진적 온도변화에 따른 소성상태의 온전한 보존을 실현토록 한다.
수평권취부(900)는 하강냉각부(800)를 경유한 금속망(M)을 상하 압착시키면서 인출시키는 한 쌍의 수평인발쿠션롤러(91)와, 수평인발쿠션롤러(91)를 경유한 금속망(M)을 권취시키는 수평권취기(92)를 포함하고, 이때, 수평인발쿠션롤러(91)는 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진다.
하강냉각부(800)를 경유한 금속망(M)을 한 쌍의 수평인발쿠션롤러(91)로서 인출시켜 금속망(M)을 더욱 평탄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수평권취기(92)를 통해 밀착 리와인딩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견고 간편 및 간단한 롤링으로 금속망(M)의 보관 및 운송시의 편리함을 보장케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 우레탄수지로 된 수평인발쿠션롤러(91)에 의해 분체도료의 코팅상태를 그대로 보존하면서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하여 바람직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방충망, 방범망을 소성하거나 적층 세라믹 캐패시터, 페라이트, 압전체 등과 같은 세라믹 전자부품의 소성시 쓰여지는 메쉬 등을 소성하기 위한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M : 금속망 S : 심재
100 : 수평공급부 10 : 양측프레임
20 : 피딩뭉치 21 : 양측피딩받침
22 : 피딩바 22a : 중심수직판
22b : 상측수평판 22c : 하측수평판
22d : 슬라이딩볼트 23 : 양측피딩서포터
23a : 슬라이딩판 23b : 전측판
23c : 상측판 23d : 후측판
23e : 피딩지지판 23f : 피딩홈
23g : 피딩스크류핸들 31 : 공급모터
32 : 말단아이들롤러 40 : 밀착펼침롤링뭉치
41 : 일측역회전펼침롤러 42 : 타측역회전펼침롤러
43 : 센터정회전펼침롤러 44 : 센터펼침승강뭉치
44a : 센터펼침홀 44b : 센터펼침가이드
44c : 센터펼침베어링뭉치 44d : 센터펼침스크류
44e : 센터펼침내외치기어 44f : 센터펼침스크류핸들
45 : 밀착평탄롤링뭉치 45a : 일측정회전평탄롤러
45b : 타측정회전평탄롤러 45c : 센터역회전평탄롤러
46 : 센터평탄승강뭉치 46a : 센터평탄홀
46b : 센터평탄가이드 46c : 센터평탄베어링뭉치
46d : 센터평탄스크류 46e : 센터평탄내외치기어
46f : 센터평탄스크류핸들 500 : 수직분무부
51 : 하부분무선회롤러 52 : 수직분무박스
52a : 하부분무입구 52b : 상부분무출구
53a : 일측노즐 53b : 타측노즐
54a : 일측왕복액츄에이터 54b : 타측왕복액츄에이터
55a : 일측분무슬릿 55b : 타측분무슬릿
56a : 일측분무하부통 56b : 타측분무하부통
57 : 하부분무송풍팬 58a : 일측터널
58b : 타측터널 600 : 수직소성부
61 : 수직소성박스 61a : 하부소성입구
61b : 상부소성출구 62 : 상부소성선회롤러
63 : 히팅세트 63a : 반사판
63b : 히터 64a : 일측소성슬릿
64b : 타측소성슬릿 65a : 일측소성상부통
65b : 타측소성상부통 66 : 상부소성송풍팬
700 : 층간이격공간 800 : 하강냉각부
81 : 상부냉각선회롤러 82 : 하강냉각박스
82a : 상부냉각입구 82b : 하부냉각출구
83 : 하부냉각선회롤러 900 : 수평권취부
91 : 수평인발쿠션롤러 92 : 수평권취기
J1 : 주입부 J2 : 집진부

Claims (3)

  1. 삭제
  2. 금속망을 롤투롤 공급하는 수평공급부와, 상기 수평공급부를 경유한 금속망에 분체도료를 분무시키는 수직분무부와, 상기 수직분무부에 분체도료를 주입하는 주입부와, 상기 수직분무부를 경유한 금속망을 소성시키는 수직소성부와, 상기 수직소성부를 경유한 금속망을 리와인딩시키는 수평권취부를 포함하는 금속망 코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분무부는 상기 수평공급부를 경유한 금속망을 하부분무선회롤러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선회시켜 하부분무입구 및 상부분무출구를 경유하여 상기 수직소성부로 상승되도록 하는 수직분무박스와, 상기 수직분무박스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주입부로부터 분체도료를 공급받아 상기 금속망을 향하여 분무시키는 일측노즐 및 타측노즐과, 상기 금속망의 상승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일측노즐 및 타측노즐을 각각 왕복 운동시키는 일측왕복액츄에이터 및 타측왕복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분무부는 상기 하부분무선회롤러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선회되어 상승되는 상기 금속망의 양측을 향하여 상승 사선방향으로 일측분무슬릿 및 타측분무슬릿을 각각 지니면서 상기 하부분무입구를 완성하는 일측분무하부통 및 타측분무하부통과, 상기 일측분무하부통 및 타측분무하부통을 경유한 후 상기 일측분무슬릿 및 타측분무슬릿을 통해 상기 금속망의 양측을 향하여 상승 사선방향으로 바람을 불어주는 하부분무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 코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분무부에 연통되어 상기 금속망에 분무되면서 낙하되는 잔여 분체도료를 회수하여 상기 주입부를 통해 재공급하는 집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분무부는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집진부를 통해 상기 금속망에 분무되면서 낙하되는 잔여 분체도료를 회수하면서 상기 주입부로 재공급토록 하는 일측터널 및 타측터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 코팅장치.
KR1020190003333A 2019-01-10 2019-01-10 금속망 코팅장치 KR101988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333A KR101988637B1 (ko) 2019-01-10 2019-01-10 금속망 코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333A KR101988637B1 (ko) 2019-01-10 2019-01-10 금속망 코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637B1 true KR101988637B1 (ko) 2019-06-12

Family

ID=6684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333A KR101988637B1 (ko) 2019-01-10 2019-01-10 금속망 코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6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0794A (zh) * 2020-03-28 2020-06-26 福州织步曲科技有限公司 一种刷漆速干控制装置
CN111744701A (zh) * 2020-07-12 2020-10-09 盐城工学院 一种用于汽车喷涂的自动化控制装置
CN113369036A (zh) * 2021-06-24 2021-09-10 昆山三樱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绝缘材料膜高效制备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625B1 (ko) 2003-09-15 2006-07-06 고신일 금속망, 금속망을 도장하기 위한 제조 공정 및 제조장치
KR20130022304A (ko) * 2011-08-26 2013-03-06 (주)피엔티 원단 양면 코팅 장치
KR101559357B1 (ko) 2015-05-14 2015-10-19 (주)에스아이테크 금속망 코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625B1 (ko) 2003-09-15 2006-07-06 고신일 금속망, 금속망을 도장하기 위한 제조 공정 및 제조장치
KR20130022304A (ko) * 2011-08-26 2013-03-06 (주)피엔티 원단 양면 코팅 장치
KR101559357B1 (ko) 2015-05-14 2015-10-19 (주)에스아이테크 금속망 코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0794A (zh) * 2020-03-28 2020-06-26 福州织步曲科技有限公司 一种刷漆速干控制装置
CN111330794B (zh) * 2020-03-28 2021-06-04 南通市濠洲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刷漆速干控制装置
CN111744701A (zh) * 2020-07-12 2020-10-09 盐城工学院 一种用于汽车喷涂的自动化控制装置
CN113369036A (zh) * 2021-06-24 2021-09-10 昆山三樱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绝缘材料膜高效制备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634B1 (ko) 금속망 코팅장치
KR101988637B1 (ko) 금속망 코팅장치
KR101988638B1 (ko) 금속망 코팅장치
CN207158465U (zh) 一种保鲜膜点断机
KR101988636B1 (ko) 금속망 코팅장치
CN211442876U (zh) 一种型材打包装置
CN210700780U (zh) 一种无机烤瓷铝板的喷涂装置
KR101559357B1 (ko) 금속망 코팅장치
CN211613217U (zh) 一种用于汽车碳纤维表面喷漆加工装置
CN101215188B (zh) 一种辊涂生产线装置中的双辊式辊涂机
KR101988635B1 (ko) 금속망 코팅장치
KR200435914Y1 (ko) 파이프용 자동 도장 장치
CN105855101A (zh) C型钢喷漆、晾晒、码垛一体机
KR100596625B1 (ko) 금속망, 금속망을 도장하기 위한 제조 공정 및 제조장치
CN116876808A (zh) 一种集成爬架外防护网回收清理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00012421A (ko) 건물도색로봇
CN207971017U (zh) 一种喷漆烘干装置
CN206794017U (zh) 一种托辊圆盘式高效静电喷涂装置
CN116459992A (zh) 一种彩钢结构制造用防氧化处理装置
KR101870195B1 (ko) 섬모가 부착된 방충망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13198677B (zh) 一种聚氨酯防水卷材生产加工方法
CN205613624U (zh) C型钢喷漆、晾晒、码垛一体机
CN213622481U (zh) 一种防水卷材抗老化加工设备
US2412138A (en) Apparatus for spraying crown caps
CN104209225B (zh) 吸塑油涂覆机及吸塑油涂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