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389B1 -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389B1
KR101987389B1 KR1020170155552A KR20170155552A KR101987389B1 KR 101987389 B1 KR101987389 B1 KR 101987389B1 KR 1020170155552 A KR1020170155552 A KR 1020170155552A KR 20170155552 A KR20170155552 A KR 20170155552A KR 101987389 B1 KR101987389 B1 KR 101987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insertion guide
pair
guid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996A (ko
Inventor
정재윤
이우종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3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켓과 전장 박스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체결홀의 내주연을 따라 강도보강부가 돌출 형성되므로, 강도보강부는 강한 강도로 체결홀을 지지하게 되어, 강도보강부는 체결홀의 형태를 지속적으로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브라켓은 전장 박스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Electric 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켓과 전장 박스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각종 전장 부품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편리성 및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장착하여 운전자보다 더 빠르게 차량의 동적 상태를 파악하고 제어하도록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대부분 전자적인 혁신으로 가능하며, 이에 따라 자동차 내부는 첨단의 전장 부품과 소프트웨어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전장 부품은 일반 기기에 비해 진동, 충격 등의 극한 환경에서도 자동차의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전장 부품은 전장용 박스 내부에 안전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전장용 박스는 브라켓에 의하여 견고하게 자동차 내부에 고정되며, 브라켓은 전장용 박스에 체결된 상태로 자동차 내부의 장착 공간에 장착된다. 그리고 브라켓이 전장용 박스에 체결될 때, 브라켓의 체결공에 전장용 박스의 체결부가 삽입된 상태로 걸림 결합된다.
한편, 브라켓은 자동차의 운행으로 인한 진동 등의 외부 충격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므로, 브라켓은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견고한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브라켓의 체결공에는 그 구조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별도 구성이 없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결공의 형태가 변형되어, 체결부가 체결공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05623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켓과 전장 박스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 및내부에 전장부품이 내장되되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는 일면에 상기 체결부의 양측이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도록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전장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면, 상기 체결부의 일면에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에 상기 전장 박스의 한 쌍의 상기 삽입가이드부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출부가 삽입된 상태로 걸림 결합되고, 상기 체결홀의 내주연을 따라 강도보강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홀의 내주연은 상기 체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제 1 측부, 한 쌍의 상기 제 1 측부의 일단부를 연결시키는 제 2 측부 및 한 쌍의 상기 제 1 측부의 타단부를 연결시키는 제 3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에 삽입되면, 상기 체결부의 선단부와 가까이 위치되는 상기 제 2 측부는 상기 결합돌출부와 맞닿은 상태로 걸림 위치되고, 상기 강도보강부는, 한 쌍의 상기 제 1 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보강부 및 상기 제 3 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제 1 보강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 2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과 가까이 위치되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일측보다 상기 브라켓과 멀리 떨어진 상기 결합돌출부의 타측이 높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선단부가 상기 결합돌출부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후, 상기 체결홀이 상기 결합돌출부의 타측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전장 박스의 일면의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양측에서 상기 삽입가이드부와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안내돌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돌부의 외면은 사선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에 삽입될 때, 상기 체결부의 선단부가 상기 안내돌부의 외면과 상기 걸림부를 차례로 지나가면, 상기 체결홀에 상기 걸림부가 삽입된 상태로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돌출부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체결부의 선단부에 상기 결합돌출부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삽입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일측이 상기 삽입가이드부에 삽입될 때, 차량과 연결되도록 상기 체결부의 타측에 절곡된 상태로 돌출되는 절곡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의 양측과 상기 절곡돌출부의 양측에 지지리브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삽입가이드부에 삽입되지 않는 상기 체결부의 양측을 지나 상기 절곡돌출부의 양측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삽입가이드부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을 따라 오목하게 안내레일이 형성되되, 상기 안내레일의 길이방향 일측은 개방되고, 상기 안내레일의 길이방향 타측은 폐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에 삽입될 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안내레일의 일측을 통하여 상기 안내레일의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체결홀의 내주연을 따라 강도보강부가 돌출 형성되므로, 강도보강부는 강한 강도로 체결홀을 지지하게 되어, 강도보강부는 체결홀의 형태를 지속적으로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브라켓은 전장 박스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라켓을 두껍게 하지 않고서도 체결홀의 강도를 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상대적으로 가볍게 형성할 수 있어 차량의 연비 향상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연결부와 절곡돌출부의 양 측부 사이에 지지리브가 구비되므로, 절곡돌출부는 체결연결부에서 절곡된 각도가 임의로 구부러지거나 펴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삽입부의 선단부가 안내레일에 삽입된 후, 안내돌부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안내돌부의 경사진 외면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삽입가이드부로 삽입되는 체결삽입부의 선단부가 결합돌출부를 지나갈 때, 안내돌부가 삽입유도부로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체결삽입부의 선단부는 결합돌출부를 안전하게 가이드된 상태로 지나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브라켓을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브라켓을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브라켓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전장 박스에 브라켓이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전장 박스에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는 브라켓 및 전장 박스를 포함한다.
전장 박스(200)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며 자동차의 내부, 예를 들면 운전자의 전방에 위치되는 대시보드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장 박스(20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에 상면부(201)와 하면부(202)가 구비되고, 상면부(201)와 하면부(202) 사이의 테두리를 따라 측면부(203)가 구비된다. 측면부(203)에는 브라켓(100)이 결합되도록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가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전장 박스(200)의 내부에 센서 등의 각종 전장 부품이 위치된다.
브라켓(100)은 금속 등으로 형성되며 전장 박스(200)를 자동차의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브라켓을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브라켓을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100)은 체결부(110) 및 절곡돌출부(120)를 포함하며, 지지리브(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10)는 그 길이방향 일측이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에 삽입되는 체결삽입부(112)와, 체결삽입부(112)의 길이방향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체결삽입부(112)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체결연결부(1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체결삽입부(112)의 일면에는 체결삽입부(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홀(112a)이 관통 형성되고, 체결홀(112a)의 내주연에는 강도보강부(113)가 돌출 형성된다.
체결홀(112a)은 체결삽입부(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홀(112a)의 내주연의 구조를 살펴보면, 체결삽입부(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제 1 측부(112a-1), 한 쌍의 제 1 측부(112a-1)의 일단부를 연결시키는 제 2 측부(112a-2) 및 한 쌍의 상기 제 1 측부(112a-1)의 타단부를 연결시키는 제 3 측부(112a-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측부(112a-1)와 제 2 측부(112a-2)는 상호 라운드진 상태로 연결되고, 제 1 측부(112a-1)와 제 3 측부(112a-3) 또한 상호 라운드진 상태로 연결된다. 그리고 체결삽입부(112)가 삽입가이드부(210)에 삽입되면, 체결부(110)의 선단부와 가까이 위치되는 제 2 측부(112a-2)는 결합돌출부(220)와 맞닿은 상태로 걸림 위치된다.
강도보강부(113)는 한 쌍의 제 1 측부(112a-1)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보강부(113a) 및 제 3 측부(112a-3)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제 1 보강부(113a)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 2 보강부(113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측부(112a-2)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 1 보강부(113a)의 단부는 제 2 측부(112a-2)와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처럼 체결홀(112a)에 강도보강부(113)가 형성되되, 체결홀(112a)과 강도보강부(113)는 상호 절곡된 상태로 연결되고, 강도보강부(113)의 제 1 보강부(113a)와 제 2 보강부(113b) 또한 상호 절곡된 상태로 연결되므로, 강도보강부(113)는 강한 강도로 체결홀(112a)을 지지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강도보강부(113)를 이용하여 체결홀(112a)의 형태를 지속적으로 견고하게 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체결부(110)가 강한 강도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체결부(11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상대적으로 가볍게 형성할 수 있어 차량의 연비 향상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절곡돌출부(120)는 체결부(110)의 일측이 삽입가이드부(210)에 삽입될 때, 체결부(110)의 타측에 형성되는 체결연결부(114)에서 체결연결부(114)의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돌출부(120)는 차량 내부의 프레임(미도시) 등에 견고하게 용접 결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절곡돌출부(120)의 일면에 결합홀(122)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등에 견고하게 볼트 결합 또는 끼움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지지리브(130)는 체결연결부(114)의 양측 및 절곡돌출부(120)의 양측에 체결연결부(114)의 수직 방향 및 절곡돌출부(120)의 수직 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즉, 지지리브(130)는 삽입가이드부(210)에 삽입되지 않는 체결연결부(114)의 양측을 지나 절곡돌출부(120)의 양측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일체로 연장된다. 이처럼 지지리브(130)는 일체로 절곡된 상태로 체결연결부(114)와 절곡돌출부(120)에 연결되므로, 절곡돌출부(120)는 체결연결부(114)에서 절곡된 각도가 임의로 구부러지거나 펴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브라켓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체결부(110)의 체결삽입부(112)가 삽입가이드부(210)로 삽입될 때, 후술하는 결합돌출부(220: 도 5 도시)의 일측과 마주보는 체결삽입부(112)의 선단부에 결합돌출부(22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삽입유도부(112b)가 형성된다. 이처럼 체결삽입부(112)에 삽입유도부(112b)가 형성되므로 삽입가이드부(210)로 삽입되는 체결삽입부(112)의 선단부가 결합돌출부(220)를 지나갈 때, 결합돌출부(220)의 일측이 삽입유도부(112b)로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체결삽입부(112)의 선단부는 결합돌출부(220)를 안전하게 가이드된 상태로 지나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전장 박스에 브라켓이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전장 박스에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장 박스(200)의 측면부(203)에는 삽입가이드부(210) 및 결합돌출부(220)가 형성된다. 삽입가이드부(210)는 측면부(203)의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안내레일(212)이 형성된다. 안내레일(212)의 길이는 체결삽입부(112)가 충분히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안내레일(212)의 길이방향 일측은 개방되고, 안내레일(212)의 길이방향 타측은 폐쇄된다. 그리고 체결부(110)의 체결삽입부(112)가 삽입가이드부(210)에 삽입될 때, 체결삽입부(112)는 안내레일(212)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안내레일(212)의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결합돌출부(220)는 측면부(203)의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브라켓(100)의 체결삽입부(112)가 삽입가이드부(210)에 삽입되면, 체결삽입부(112)에 형성된 체결홀(112a)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돌출부(220)는 측면부(203)의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222)와, 걸림부(222)의 양측에서 삽입가이드부(210)와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안내돌부(2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측면부(203)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안내돌부(224)의 외면은 사선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브라켓(100)이 삽입가이드부(210)에 삽입되기 직전, 브라켓(100)과 가까이 위치되는 안내돌부(224)의 외면 일측보다 브라켓(100)과 멀리 떨어진 안내돌부(224)의 외면 타측이 높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돌출부(220)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체결삽입부(112)의 선단부가 안내레일(212)에 삽입된 후, 안내돌부(224)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안내돌부(224)의 경사진 외면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체결삽입부(112)의 선단부에는 삽입유도부(112b)가 형성되므로, 체결삽입부(112)의 삽입유도부(112b)가 안내돌부(2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내돌부(224)의 외면으로 더욱 용이하게 안내되는 효과가 있다. 그 후, 체결삽입부(112)의 선단부가 안내돌부(224)를 지난 후, 이어서 걸림부(222)를 지나가게 되면, 체결홀(112a)에 걸림부(222)가 삽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걸림 결합된다. 이때, 체결삽입부(112)의 선단부는 안내레일(212)의 폐쇄된 타측에 막혀 더 이상의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체결삽입부(112)는 결합돌출부(220)에 견고하게 끼움 결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브라켓 110: 체결부
112: 체결삽입부 112a: 체결홀
112a-1: 제 1 측부 112a-2: 제 2 측부
112a-3: 제 3 측부 112b: 삽입유도부
113: 강도보강부 113a: 제 1 보강부
113b: 제 2 보강부 114: 체결연결부
120: 절곡돌출부 122: 결합홀
130: 지지리브 200: 전장 박스
201: 상면부 202: 하면부
203: 측면부 210: 삽입가이드부
212: 안내레일 220: 결합돌출부
222: 걸림부 224: 안내돌부

Claims (7)

  1. 일측에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 및
    내부에 전장부품이 내장되되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는 일면에 상기 체결부의 양측이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도록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전장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면, 상기 체결부의 일면에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에 상기 전장 박스의 한 쌍의 상기 삽입가이드부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출부가 삽입된 상태로 걸림 결합되고,
    상기 체결홀의 내주연을 따라 강도보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의 내주연은 상기 체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제 1 측부, 한 쌍의 상기 제 1 측부의 일단부를 연결시키는 제 2 측부 및 한 쌍의 상기 제 1 측부의 타단부를 연결시키는 제 3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에 삽입되면, 상기 체결부의 선단부와 가까이 위치되는 상기 제 2 측부는 상기 결합돌출부와 맞닿은 상태로 걸림 위치되고,
    상기 강도보강부는, 한 쌍의 상기 제 1 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보강부 및 상기 제 3 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제 1 보강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 2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과 가까이 위치되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일측보다 상기 브라켓과 멀리 떨어진 상기 결합돌출부의 타측이 높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선단부가 상기 결합돌출부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후, 상기 체결홀이 상기 결합돌출부의 타측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전장 박스의 일면의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양측에서 상기 삽입가이드부와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안내돌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돌부의 외면은 사선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에 삽입될 때, 상기 체결부의 선단부가 상기 안내돌부의 외면과 상기 걸림부를 차례로 지나가면, 상기 체결홀에 상기 걸림부가 삽입된 상태로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돌출부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체결부의 선단부에 상기 결합돌출부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삽입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일측이 상기 삽입가이드부에 삽입될 때, 차량과 연결되도록 상기 체결부의 타측에 절곡된 상태로 돌출되는 절곡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의 양측과 상기 절곡돌출부의 양측에 지지리브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삽입가이드부에 삽입되지 않는 상기 체결부의 양측을 지나 상기 절곡돌출부의 양측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삽입가이드부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을 따라 오목하게 안내레일이 형성되되, 상기 안내레일의 길이방향 일측은 개방되고, 상기 안내레일의 길이방향 타측은 폐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에 삽입될 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안내레일의 일측을 통하여 상기 안내레일의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KR1020170155552A 2017-11-21 2017-11-21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KR101987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552A KR101987389B1 (ko) 2017-11-21 2017-11-21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552A KR101987389B1 (ko) 2017-11-21 2017-11-21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96A KR20190057996A (ko) 2019-05-29
KR101987389B1 true KR101987389B1 (ko) 2019-06-12

Family

ID=6667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552A KR101987389B1 (ko) 2017-11-21 2017-11-21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3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701B1 (ko) * 2014-12-30 2015-09-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블럭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75Y1 (ko) * 2008-07-18 2010-08-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
KR20120001399U (ko) * 2010-08-19 2012-02-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장착장치
KR101405623B1 (ko) 2012-08-13 201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전장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701B1 (ko) * 2014-12-30 2015-09-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96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0125B2 (en) Grommet assembly
US7628447B2 (en) Harness clip
US20070096482A1 (en) Bumper fixture, and bumper mounting structure
WO2013027582A1 (ja) クリップ
JP2012095434A (ja) バンドクリップ
WO2011013195A1 (ja) バンパーの取付構造
JP5194576B2 (ja) ブラケット及びブラケットが取り付けられる車載用電子機器
KR101987389B1 (ko)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JP6002327B2 (ja) 樹脂クリップ用補強板ばね
KR100953996B1 (ko)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KR200489371Y1 (ko)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US6890211B2 (en) Connector holding structure
JP6036060B2 (ja) 部品の掛止構造
JP5878140B2 (ja) モールのクリップ締結構造
KR20130018290A (ko) 차량용 룸 램프
CN112391809B (zh) 一种走线槽安装结构及洗衣机
JP2013116683A (ja) カバー部材の固定構造
CN110556683B (zh) 用于安装连接器的支架以及支架与连接器的连接结构
JP4340136B2 (ja) 箱体の取付ガタ防止構造
KR200326762Y1 (ko) 자동차의 코로게이트 튜브용 클립
KR200326763Y1 (ko) 자동차의 코로게이트 튜브용 클립
JP3955024B2 (ja) 荷室用掛止器
KR20150058694A (ko) 파스너
JP2012095437A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取付構造
KR101550937B1 (ko) 케이블 고정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