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701B1 - 차량용 블럭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3701B1 KR101553701B1 KR1020140194249A KR20140194249A KR101553701B1 KR 101553701 B1 KR101553701 B1 KR 101553701B1 KR 1020140194249 A KR1020140194249 A KR 1020140194249A KR 20140194249 A KR20140194249 A KR 20140194249A KR 101553701 B1 KR101553701 B1 KR 1015537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heat dissipating
- fixing
- vehicle block
- compon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06—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on insulating boards, e.g. wiring harness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54—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부품이 안착되는 제1수납공간(12)이 형성되는 제1케이스(10)와, 상기 제1케이스(10)에 결합되고 내부에 부품이 안착되는 제2수납공간(32')이 형성되는 제2케이스(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30) 사이에는 회로기판(50)이 위치하여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30)의 결합에 의해 수납되고 여기에 다수개의 부품이 실장된다. 이때, 상기 제1수납공간(12) 또는 제2수납공간(32')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고정부(40)가 구비되어 상기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이를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부(40)에는 상기 부품이 삽입되는 삽입홈(4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41)에는 방열채널(4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이 실장되는 차량용 블럭의 고정부(40)에 방열채널(43)이 형성되어,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고정부(40)에 갇혀 있지 않고 고정부(4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터미널을 비롯한 다수의 전장부품이 실장되어 차량의 내부에서 다양한 전기적 연결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사용되는 차량용 블럭에서는 다양한 부품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용 블럭의 내부에는 퓨즈, 릴레이 및 터미널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부품이 다수개씩 구비되어 차량용 블럭 내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차량용 블럭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차량용 블럭의 내부에 실장되는 부품들은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므로 그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차량용 블럭의 내부에 포크터미널과같이 작은 크기의 부품들이 밀집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발열이 더 심하게 나타나고, 발생한 열이 효과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차량용 블럭의 일부가 녹거나 부품자체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차량용 블럭의 전기적 용량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차량용 블럭의 케이스는 합성수지 사출물로 만들어지므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휘어지거나 형태가 변형되며, 케이스가 서로 조립되는 2개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외력에 의해 케이스의 조립부 사이가 쉽게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용 블럭은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차량 내부에 고정되는데, 이에 따라 체결구가 삽입되는 고정브라켓과 케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연결 부분이 쉽게 손상되거나 백화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블럭의 내부에 실장되는 부품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차량용 블럭 내부에서 대류하여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용 블럭의 케이스 외면에 단차부를 두어 케이스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용 블럭의 케이스에 구비된 변형방지편에 의해 차량용 블럭을 구성하는 두 케이스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중이 집중되는 고정브라켓과 케이스 사이에 보강리브를 구비하여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부품이 안착되는 제1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고 내부에 부품이 안착되는 제2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2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수납되고 다수개의 부품이 실장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제1수납공간 또는 제2수납공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부품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방열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방열채널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의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방열채널은 그 일측이 상기 삽입홈과 연결된다.
상기 방열채널은 상기 삽입홈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칭되도록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부품이 실장되는 실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실장홀의 주변에는 상기 실장홀을 둘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홀이 상기 회로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열채널와 상기 방열홀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제2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외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를 기준으로 양측의 외면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상기 제2케이스의 외면에는 제2케이스 또는 제1케이스를 향해 돌출되는 변형방지편이 구비된다.
상기 변형방지편은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제2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2케이스 또는 제1케이스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케이스 또는 제1케이스에는 상기 변형방지편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변형방지홈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제2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된 변형방지편은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제2케이스 또는 제1케이스의 외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2케이스에는 체결홀이 형성된 고정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홀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과 인접한 상기 제2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을 향해 연장되는 보강리브가 상기 제2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부품이 실장되는 차량용 블럭의 고정부에 방열채널이 형성되어,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고정부에 갇혀 있지 않고 고정부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부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블럭의 방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블럭의 케이스 뿐 아니라, 케이스에 내장되는 회로기판의 실장홀에도 방열채널와 대응되는 위치에 방열홀이 형성되어, 부품으로부터 발생한 열이 이들을 통해 대류하여 보다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방열성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블럭의 케이스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케이스의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케이스의 휘어짐이나 비틀림이 줄어들고, 케이스(제1케이스)에 구비된 변형방지편이 상대케이스(제2케이스)의 외면에 밀착되어 차량용 블럭의 조립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용 박스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블럭을 차량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의 주변에 보강리브가 구비되어 고정브라켓과 차량용 블럭의 케이스가 연결되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고, 이에 따라 고정브라켓 주변의 백화현상이나 고정브라켓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에 의한 차량용 블럭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케이스의 중요부를 저면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고정부의 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케이스의 일부를 보인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회로기판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에 의한 차량용 블럭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케이스의 중요부를 저면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고정부의 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케이스의 일부를 보인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회로기판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럭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부품이 조립되어 하나의 블럭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차량용 블럭은 크게 제1케이스(10) 및 이와 조립되는 제2케이스(30)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는 회로기판(50)이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30)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공간에는 다수개의 부품이 실장되며, 이때 실장되는 부품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1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상기 제1케이스(10)는 도 2에서도 보듯이 차량용 블럭의 하부몸체를 구성하고, 대략 육면체 형상의 제1케이스몸체(11)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제1케이스(10)의 내부에는 제1수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수납공간(12)에는 다수개의 부품이 실장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50) 역시 상기 제1수납공간(12)에 안착된다. 상기 제1수납공간(12)에는 다수개의 실장블록(13)이 구비되고, 상기 실장블록(13)에는 터미널을 비롯한 다수의 부품이 실장될 수 있으며, 각각의 실장블록(13)은 실장되는 부품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실장블록(13)에는 회로기판(50)에 실장된 터미널(T1,T2)의 일부가 이를 통해 삽입되어 제1케이스(10)의 하방으로 노출된다.
상기 제1케이스(10)에는 체결돌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돌부(14)는 제1케이스(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제2케이스(30)의 체결홈(미도시)과의 조립을 통해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3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돌부(14)의 외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조립시 제2케이스(30)의 체결홈에 안내된다.
상기 제1케이스(10)의 외면에는 변형방지편(15,17)이 구비된다. 상기 변형방지편(15,17)은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3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30) 사이가 벌어지거나 또는 이들 중 일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제1케이스(10)에는 제1방지편(15) 및 제2방지편(17) 두 종류의 변형방지편(15,17)이 구비된다. 상기 제1방지편(15) 및 제2방지편(17)은 모두 상기 제1케이스(10)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고, 그 일단은 제2케이스(30)를 향해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방지편(15)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돌출된 일단이 아래에서 설명될 제2케이스(30)의 제1방지홈(38)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방지편(15)은 제1방지홈(38)에 걸어져, 상기 체결돌부(14)가 구비되지 않은 위치에서도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30)가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방지편(17)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대략 'T'자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면서 상기 제1케이스(10)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방지편(17)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케이스(30)의 제2방지홈(38')에 삽입되고, 제1방지편(15)과 마찬가지로 상기 체결돌부(14)가 구비되지 않은 위치에서도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30)가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방지편(15) 및 제2방지편(17)은 상기 제1케이스(10)의 서로 같은 외면에 형성되지 않고 이웃한 다른 외면에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방지편(15) 및 제2방지편(17)이 모두 제1케이스(10)에 구비되나, 상기 제1방지편(15) 또는 제2방지편(17)이 제2케이스(30)에 구비되거나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만 제2케이스(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케이스(10)는 제2케이스(30)와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2케이스(30)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상방에 위치되고, 제1케이스(10)와 마찬가지로 대략 6면체 입체형상의 제2케이스몸체(31)에 의해 외관 및 골격이 형성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제2케이스(3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제1수납공간(12)과 마주보는 제2수납공간(32')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2케이스(3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실장부(32)가 구비되는데, 상기 실장부(32)를 통해 상기 제2수납공간(32')에 수납된 부품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실장부(32)에는 상대부품이 삽입되어 제2수납공간(32')에 실장된 부품과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장부(32)는 삽입되는 상대부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30)에는 고정브라켓(33)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브라켓(33)은 차량용 블럭이 차량 내부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브라켓(33)에 형성된 체결홀(도면부호 미부여)을 통해 볼트와 같은 체결구(미도시)가 삽입되어 차량 내부에 고정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총 4개의 고정브라켓(33)이 상기 제2케이스(30)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홀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리브(35)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리브(35)는 상기 체결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대략 링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체결홀 가장자리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체결홀에는 별개물인 부시(bush)가 삽입되어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체결구의 체결과정이나 체결 후 사용과정에서 체결홀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돌출리브(35)가 대체하여 체결홀의 강도보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 1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는 4개의 고정브라켓(33) 중에서 2개의 고정브라켓(33)의 체결홀에 돌출리브(35)가 형성되나, 4개의 체결홀 모두에 돌출리브(35)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케이스(30)에는 변형방지홈(38,38')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방지홈(38,38')은 상기 제2케이스(30)의 외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케이스(10)의 변형방지편(15,17)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케이스(30)의 외면에는 상기 제1방지편(15)이 삽입되는 제1방지홈(38)과, 제2방지편(17)이 삽입되는 제2방지홈(38')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방지홈(38)은 상기 제2케이스(30)의 측면 하부의 일부가 요입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방지홈(38')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제2케이스(30)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부분의 저면에 요입되어 형성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제2케이스(30)의 상면에는 단차부(39)가 형성된다. 상기 제2케이스(30)는 상기 단차부(39)를 기준으로 양측의 외면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데, 도 2를 기준으로 좌측 부분이 우측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케이스(30)의 상면이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됨으로써, 같은 높이의 평면으로 구성되는 구조에 비해 제2케이스(30)의 강도가 개선되어 외력에 의한 휘어짐이나 비틀림 발생이 줄어들게 된다. 물론 상기 단차부(39)는 제1케이스(10)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케이스(30)의 제2수납공간(32')에는 고정부(4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40)는 제2수납공간(32')에 수납되는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케이스(3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수납공간(32')에 수납된 부품의 일부가 상기 고정부(40)에 의해 고정됨과 동시에, 이를 통과하여 적어도 일부과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상대부품과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부(40)를 통과하는 부품은 회로기판(50)에 실장된 터미널(T1,T2)을 포함한다.
도 5에는 고정부(40)의 형상이 확대된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고정부(40)에는 부품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41)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41)은 부품의 크기에 대응되거나 이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삽입홈(41)에 삽입되는 부분은 포크터미널(T2)의 포크부(도면부호 미부여)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41)에는 방열채널(43)이 형성된다. 상기 방열채널(43)은 상기 삽입홈(41)에 인접하여 상기 고정부(40)에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부(40)를 관통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40)의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채널(43)은 상기 삽입홈(41)과 달리 부품이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이 아니며, 상기 고정부(40)에 일종의 빈 공간을 형성하여 부품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방열채널(43)은 그 일측이 상기 삽입홈(41)과 연결되고, 도 5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방열채널(43)은 상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채널(43)은 상기 삽입홈(4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칭되도록 쌍을 이루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부(40)를 위에서 바라보면 상기 삽입홈(41) 및 방열채널(43)은 대략 '+'자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방열채널(43)의 형상 및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고정부(40)에 3개 이상의 방열채널(43)이 형성되거나, 상기 삽입홈(41)의 모서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케이스(30)의 저면에는 보강리브(47)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47)는 상기 제2케이스(3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제2케이스(3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보강리브(47)는 상기 고정브라켓(33)과 인접한 상기 제1케이스(10)의 저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중이 집중되는 고정브라켓(33)과 인접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보강리브(47)는 다수개가 서로 격자무늬를 구성하면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30) 사이에는 회로기판(50)이 수납된다. 상기 회로기판(50)은 인쇄회로기판(50,printed circuit board)으로, 여기에는 다수개의 실장홀(57)이 형성되고 실장홀(57)에 다수개의 전장 부품(T1,T2)이 꽂혀져 솔더링(soldering)을 통해 고정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회로기판(50)의 기판몸체(51)에는 각 모서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고정홀(5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53)은 상기 제1케이스(10)에 구비된 고정돌기(19)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회로기판(50)이 제1케이스(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돌기(19)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총 네개의 모서리 중에서 세개의 모서리부에만 형성됨으로써, 고정돌기(19)를 성형하기 위한 한 공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가능하며, 또한 3개의 고정돌기(19)는 대칭이 아니므로 회로기판(50)에 방향을 안내할 수 있어 회로기판(50)이 잘못된 방향으로 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회로기판(50)에는 다수개의 실장홀(57)이 형성되고, 상기 실장홀(57)의 주변에는 방열홀(58)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방열홀(58)은 상기 실장홀(57)을 둘러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데, 상기 방열홀(58)은 전원이 인가되어 부품(T1,T2)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되는 열이 집중되는 실장홀(57) 주변의 방열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열홀(58)은 상기 방열채널(43)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는 상기 방열채널(43)이 형성된 고정부(40)에 삽입된 부품(T1,T2)의 일부가 상기 방열홀(58)을 통과하게 되므로, 방열홀(58)과 방열채널(43)이 서로 인접하면 부품(T1,T2)에서 발생되는 열이 이들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보다 원활하게 대류하여 방열성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럭이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회로기판(50)에는 다수개의 부품(T1,T2)들이 솔더링된다. 즉, 포크터미널(T2)을 비롯한 부품(T1,T2)들의 일부가 상기 회로기판(50)의 실장홀(57)을 통과한 상태로 솔더링되어 부품(T1,T2)들이 회로기판(50)에 고정된다. 이렇게 되면, 도 2에서 보듯이, 부품(T1,T2)들이 기립된 상태로 고정되고, 포크터미널(T2)의 경우 포크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케이스(10)의 제1수납공간(12)에 회로기판(50)이 수납된다. 상기 회로기판(50)의 고정홀(53)이 상기 제1케이스(10)에 구비된 고정돌기가 삽입되면 상기 회로기판(5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돌기(19)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네개의 모서리 중에서 세개의 모서리부에만 형성되어, 회로기판(50)에 방향을 안내할 수 있어 회로기판(50)이 잘못된 방향으로 안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케이스(10)의 상방에 제2케이스(30)가 결합된다.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30)의 결합은 체결돌부(14)와 체결홈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케이스(10)의 체결돌부(14)가 상기 제2케이스(30)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걸어짐으로써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30)가 조립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3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방지편(15)은 제1방지홈(38)에 삽입되고, 제2방지편(17)은 제2방지홈(38')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30)는 여러 위치에서 서로 걸어진 상태가 되어,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30)가 외력에 의해 서로 벌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30)가 결합되면, 상기 제1케이스(10)의 하부 또는 제2케이스(30)의 상부로 상기 부품(T1,T2)의 일부가 노출된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제2수납공간(32')에 수납된 포크터미널(T2)의 포크부가 상기 제2케이스(30)의 실장부(32)를 통해 상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포크부에 상대물, 예를 들어 퓨즈(미도시)를 결합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상기 차량용 블럭을 차량 내부에 체결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케이스(30)의 고정브라켓(33)의 고정홀(53)에 볼트가 삽입되어 차량 내부에 체결됨으로써 차량용 블럭이 차량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홀(53)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리브(35)가 구비되므로, 체결홀에는 별개물인 부시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고정브라켓(33)의 체결홀 주변에 강도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33)의 주변에는 보강리브(47)가 구비되어 고정브라켓(33)과 차량용 블럭의 제2케이스(30)가 연결되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고, 이에 따라 차량용 박스의 설치과정이나 설치후 사용과정에서 고정브라켓(33) 주변의 백화현상이나 고정브라켓(33)의 손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차량용 박스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포크터미널(T2)을 비롯한 부품(T1,T2)들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필연적으로 이들의 발열에 의해 차량용 블럭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2케이스(30)의 고정부(40)에 방열채널(43)이 형성되어, 부품(T1,T2)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고정부(40)에 갇혀 있지 않고 고정부(4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차량용 블럭 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50)의 실장홀(57)에도 방열채널(43)와 대응되는 위치에 방열홀(58)이 형성되어, 부품(T1,T2)으로부터 발생한 열이 이들을 통해 대류하면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차량용 블럭의 방열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방열채널(43)이 형성된 고정부(40)가 제2케이스(30)에 구비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방열채널(43)이 형성된 고정부(40)는 제1케이스(10)에도 구비될 수 있다.
10: 제1케이스 12: 제1수납공간
13: 실장블록 14: 체결돌부
15: 제1방지편 17: 제2방지편
30: 제2케이스 32: 실장부
32': 제2수납공간 33: 고정브라켓
35: 돌출리브 38: 제1방지홈
38': 제2방지홈 39: 단차부
40: 고정부 41: 삽입홈
43: 방열채널 47: 보강리브
50: 회로기판 51: 기판몸체
53: 고정홀 57: 실장홀
58: 방열홀
13: 실장블록 14: 체결돌부
15: 제1방지편 17: 제2방지편
30: 제2케이스 32: 실장부
32': 제2수납공간 33: 고정브라켓
35: 돌출리브 38: 제1방지홈
38': 제2방지홈 39: 단차부
40: 고정부 41: 삽입홈
43: 방열채널 47: 보강리브
50: 회로기판 51: 기판몸체
53: 고정홀 57: 실장홀
58: 방열홀
Claims (11)
- 내부에 부품이 안착되는 제1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고 내부에 부품이 안착되는 제2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2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수납되고 다수개의 부품이 실장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제1수납공간 또는 제2수납공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부품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방열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방열채널은 상기 부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방열채널은 그 일측이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부품이 실장되는 실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실장홀의 주변에는 상기 실장홀을 둘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홀이 상기 회로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방열채널와 상기 방열홀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부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채널은 상기 삽입홈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칭되도록 쌍을 이루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제2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외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를 기준으로 양측의 외면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상기 제2케이스의 외면에는 제2케이스 또는 제1케이스를 향해 돌출되는 변형방지편이 구비되는 차량용 블럭.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편은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제2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2케이스 또는 제1케이스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케이스 또는 제1케이스에는 상기 변형방지편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변형방지홈이 요입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블럭.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제2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된 변형방지편은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제2케이스 또는 제1케이스의 외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에는 체결홀이 형성된 고정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홀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과 인접한 상기 제2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을 향해 연장되는 보강리브가 상기 제2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럭.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4249A KR101553701B1 (ko) | 2014-12-30 | 2014-12-30 | 차량용 블럭 |
CN201511000842.8A CN105730373B (zh) | 2014-12-30 | 2015-12-28 | 用于车辆的块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4249A KR101553701B1 (ko) | 2014-12-30 | 2014-12-30 | 차량용 블럭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3701B1 true KR101553701B1 (ko) | 2015-09-30 |
Family
ID=5424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4249A KR101553701B1 (ko) | 2014-12-30 | 2014-12-30 | 차량용 블럭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3701B1 (ko) |
CN (1) | CN105730373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7996A (ko) * | 2017-11-21 | 2019-05-29 |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94810B2 (ja) * | 2002-07-09 | 2007-10-24 | 住友電装株式会社 | バッテリーヒューズを内蔵したボックス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62300B2 (ja) * | 2007-07-17 | 2010-05-12 | 住友電装株式会社 | 電気接続箱 |
JP5212019B2 (ja) * | 2008-10-28 | 2013-06-19 | 住友電装株式会社 | 電気接続箱および該電気接続箱の組立方法 |
JP5242655B2 (ja) * | 2010-09-29 | 2013-07-24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電気接続箱 |
JP5605633B2 (ja) * | 2010-11-04 | 2014-10-15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電気接続箱 |
CN102611054A (zh) * | 2011-01-24 | 2012-07-25 | 住友电装株式会社 | 电连接盒 |
JP2012165590A (ja) * | 2011-02-08 | 2012-08-30 | Sumitomo Wiring Syst Ltd | 電気接続箱 |
US9282655B2 (en) * | 2012-12-11 | 2016-03-08 | Delphi Technologies, Inc. | 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 |
-
2014
- 2014-12-30 KR KR1020140194249A patent/KR1015537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12-28 CN CN201511000842.8A patent/CN105730373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94810B2 (ja) * | 2002-07-09 | 2007-10-24 | 住友電装株式会社 | バッテリーヒューズを内蔵したボックス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7996A (ko) * | 2017-11-21 | 2019-05-29 |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
KR101987389B1 (ko) * | 2017-11-21 | 2019-06-12 |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730373B (zh) | 2018-12-07 |
CN105730373A (zh) | 2016-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21171B2 (ja) | 回路構成体 | |
US10297998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JP5995113B2 (ja) | 電気接続箱 | |
WO2016111143A1 (ja) | 蓄電ユニット | |
WO2015194666A1 (ja) | 電気接続箱及びコネクタハウジング | |
CN108293311B (zh) | 电气接线盒 | |
US7905732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US9145099B2 (en) | Electric junction box | |
CN109196965B (zh) | 基板单元 | |
JP2014103747A (ja) | 電気接続箱 | |
KR101553701B1 (ko) | 차량용 블럭 | |
JP6551338B2 (ja) | コイル組立体、回路構成体、および、電気接続箱 | |
JP5946023B2 (ja) | 電気回路装置 | |
JP6021481B2 (ja) | ヒューズホルダとヒューズカバーとの固定構造 | |
JP6575930B2 (ja) | 基板ユニット | |
JP5088229B2 (ja) | 電気接続箱 | |
KR102415119B1 (ko) | 회로기판을 구비한 장치 | |
US10971853B2 (en) | Bus bar holding structure,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 |
JP4794977B2 (ja) | 電気接続箱 | |
KR20220059758A (ko) | 배터리용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JP2017084927A (ja) | コイル組立体および電気接続箱 | |
JP7535227B2 (ja) | 電気接続箱 | |
JP7535228B2 (ja) | 電気接続箱 | |
WO2017169228A1 (ja) | 電気接続構造体 | |
JP6823633B2 (ja) | バスバー組み付け構造、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