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371Y1 -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371Y1
KR200489371Y1 KR2020170005930U KR20170005930U KR200489371Y1 KR 200489371 Y1 KR200489371 Y1 KR 200489371Y1 KR 2020170005930 U KR2020170005930 U KR 2020170005930U KR 20170005930 U KR20170005930 U KR 20170005930U KR 200489371 Y1 KR200489371 Y1 KR 200489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insertion guide
hole
coupling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255U (ko
Inventor
정재윤
강원태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5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37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2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3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라켓의 전체 강도를 향상시켜서 브라켓이 전장 박스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체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부가 형성되되, 지지부는 체결홀의 내주연과 연결되도록 연장되어, 지지부는 체결부의 전체 강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결합돌출부에 의하여 강한 압력이 가해지는 체결홀 주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Electric Box for Vehicle using Supporting Part}
본 고안은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켓의 전체 강도를 향상시켜서 브라켓이 전장 박스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각종 전장 부품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편리성 및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장착하여 운전자보다 더 빠르게 차량의 동적 상태를 파악하고 제어하도록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대부분 전자적인 혁신으로 가능하며, 이에 따라 자동차 내부는 첨단의 전장 부품과 소프트웨어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전장 부품은 일반 기기에 비해 진동, 충격 등의 극한 환경에서도 자동차의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전장 부품은 전장용 박스 내부에 안전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전장용 박스는 브라켓에 의하여 견고하게 자동차 내부에 고정되며, 브라켓은 전장용 박스에 체결된 상태로 자동차 내부의 장착 공간에 장착된다. 그리고 브라켓이 전장용 박스에 체결될 때, 브라켓의 체결공에 전장용 박스의 체결부가 삽입된 상태로 걸림 결합된다.
한편, 브라켓은 자동차의 운행으로 인한 진동 등의 외부 충격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므로, 브라켓은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견고한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브라켓에는 그 구조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별도 구성이 없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브라켓의 형태가 임의로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05623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라켓의 전체 강도를 향상시켜서 브라켓이 전장 박스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 및 내부에 전장부품이 내장되되 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체결부의 양측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전장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면, 상기 체결부의 일면에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에 상기 전장 박스의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출부가 삽입된 상태로 걸림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의 일면 길이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는 상기 체결홀의 내주연과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타면에는 상기 지지부를 따라 오목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는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체결부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서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의 타측에서 상기 걸림부와 멀리 떨어진 상기 경사부의 전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에 삽입될 때, 상기 체결부의 전단부가 상기 걸림부와 상기 경사부를 차례로 지나가면,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홀은,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 1 홀과, 상기 경사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홀의 내주연 전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홀을 포함하되, 한 쌍의 상기 삽입가이드부와 대향되는 상기 제 1 홀의 내주연 양측에 상기 걸림부의 양측과 멀어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강도보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홀의 내주연 후측에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도록 볼록하게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의 내면이 상기 체결부와 일체로 연결될 때, 상기 걸림부의 외면은 사선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는 상기 체결부의 선단부에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삽입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을 따라 오목하게 안내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체결부의 후단부에 상기 체결부보다 큰 폭을 갖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체결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전단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 사이로 안내된 후, 양측이 상기 안내레일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 사이로 전진되어 상기 체결홀이 상기 결합돌출부에 걸림 결합되면, 상기 체결연장부는 상기 체결부가 더 이상 전진될 수 없도록 상기 삽입가이드부와 충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연장부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의 상호 마주보지 않는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지지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체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부가 형성되되, 지지부는 체결홀의 내주연과 연결되도록 연장되어, 지지부는 체결부의 전체 강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결합돌출부에 의하여 강한 압력이 가해지는 체결홀 주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홀에 강도보강홈이 구비되므로, 체결부의 전단부가 결합돌출부를 용이하게 지나가도록 안내하고, 체결홀이 결합돌출부의 경사부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연장부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므로, 체결연장부는 보강리브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되어, 체결연장부가 임의로 휘어지거나 구부러지지 않고 견고한 강도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브라켓을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브라켓을 아래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전장 박스에 브라켓이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전장 박스에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는 브라켓(100) 및 전장 박스(200)를 포함한다.
브라켓(100)은 금속 등의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며, 전장 박스(200)를 자동차의 내부, 예를 들면, 운전자의 전방에 위치되는 대시보드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전장 박스(200)는 내부에 센서 등의 각종 전장 부품이 위치되는 것으로,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며, 자동차의 내부의 다양한 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장 박스(20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에 제 1 면부(201)와 제 2 면부(202)가 구비되고, 제 1 면부(201)와 제 2 면부(202) 사이의 테두리를 따라 측면부(203)가 구비된다. 그리고 어느 한 면부, 예를 들면 제 1 면부(201)에는 브라켓(100)이 결합되도록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가 길게 형성된다. 삽입가이드부(210)는 복수 개의 브라켓(100)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전장 박스(200)의 제 1 면부(201), 제 2 면부(202) 및 측면부(203)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삽입가이드부(210)는 제 1 면부(201)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가이드부(210) 사이에 결합돌출부(220)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돌출부(220)는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222)와, 상기 체결부(110)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걸림부(222)의 전측에서 체결부(11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경사부(224)를 포함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전방 또는 전측이라 함은 제 1 면부(201)의 중앙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일컫고, 후방 또는 후측이라 함은 제 1 면부(201)의 중앙과 멀어지는 방향을 일컫는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브라켓을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브라켓을 아래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100)은 체결부(110), 체결연장부(120) 및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체결부(110)는 그 길이방향 일측이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부(110)의 일면에는 체결홀(112)이 형성된다. 체결홀(112)은 체결부(110)가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에 삽입될 때,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 사이에 위치되는 결합돌출부(220)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는 것으로, 체결홀(112)의 세부 구조는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체결연장부(120)는 체결부(110)의 길이방향 전단부가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 사이로 삽입될 때, 체결부(110)의 길이방향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체결부(110)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체결연장부(120)는 체결부(110)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체결연장부(120)는 체결부(11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체결연장부(120)는 체결부(110)의 양측보다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체결부(110)가 삽입가이드부(210) 사이로 전진되어 체결홀(112)이 결합돌출부(220)에 걸림 결합되면, 체결연장부(120)는 삽입가이드부(210)와 충돌되어, 체결부(110)가 물리적으로 더 이상 전진될 수 없도록 한다.
그리고 체결연장부(120)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보강리브(120a)가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체결연장부(120)에는 보강리브(120a)가 돌출 형성되므로, 체결연장부(120)는 보강리브(120a)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되어, 체결연장부(120)가 임의로 휘어지거나 구부러지지 않고 견고한 강도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체결연장부(120)의 체결부(110)와 연결되지 않은 선단부에는 체결연장부(120)의 상부로 절곡되는 제 1 연결부(122) 및 제 1 연결부(122)에서 체결연장부(120)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연장부에는 볼트 등이 결합되도록 결합공(124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체결부(110)의 일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부는 체결홀(112)의 내주연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고, 타단부는 체결부(110)를 지나 체결연장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130)는 체결부(110) 및 체결연장부(120)의 일면에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체결부(110) 및 체결연장부(120)의 타면에는 지지부(130)를 따라 오목하게 가이드홈(132)이 형성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체결부(110) 및 체결연장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부(130)가 형성되되, 지지부(130)는 체결홀(112)의 내주연과 연결되도록 연장되므로, 지지부(130)는 체결부(110) 및 체결연장부(120)가 그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전체 강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결합돌출부(220)에 의하여 강한 압력이 가해지는 체결홀(112) 주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체결부(110)의 중앙에는 체결홀(112)이 관통 형성된다. 체결홀(112)은 결합돌출부(220)의 걸림부(222)가 삽입되는 제 1 홀(113) 및 결합돌출부(220)의 경사부(224)가 삽입되는 제 2 홀(114)을 포함한다. 제 1 홀(113)은 걸림부(222)가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며, 그 내주연을 따라 제 1 홀(113)의 전측에 위치되는 전측부(113b), 제 1 홀(113)의 후측에 위치되는 후측부(113a) 및 전측부(113b)와 후측부(113a) 사이의 양측에 위치되는 강도보강홈(113c)을 포함한다. 한편, 전측부(113b)에 제 2 홀(114)이 일체로 연결되므로, 도 4에서 전측부(113b)는 가성선으로 표시함을 첨언한다.
후측부(113a)의 중앙에는 지지부(130)와 연결되도록 볼록하게 볼록부(113a-1)가 형성된다. 이처럼 체결홀(112)에는 볼록부(113a-1)가 구비되므로, 체결홀(112)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30)는 체결홀(112)의 볼록부(113a-1)와 연결되어, 지지부(130)는 체결홀(112)과 연결된 상태로 체결홀(112)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강도보강홈(113c)은 제 1 홀(113)의 내주연 양측에 걸림부(222)의 양측과 멀어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에 체결홀(112)의 전체 내주연 길이는 강도보강홈(113c)의 길이만큼 결합돌출부(220)의 전체 외주연 길이보다 길어지게 되어, 체결홀(112)에 결합돌출부(220)가 삽입될 때, 강도보강홈(113c)이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돌출부(22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도 6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부(110)가 삽입가이드부(210)로 삽입될 때, 결합돌출부(220)의 걸림부(222)와 마주보는 체결부(110)의 전단부에 결합돌출부(220)의 걸림부(222)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삽입유도부(116)가 형성된다. 이처럼 체결부(110)에 삽입유도부(116)가 형성되므로, 삽입가이드부(210)로 삽입되는 체결부(110)의 전단부가 결합돌출부(220)를 지나갈 때, 걸림부(222)가 삽입유도부(116)로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체결부(110)의 전단부는 결합돌출부(220)를 안전하게 가이드된 상태로 지나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전장 박스에 브라켓이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의 전장 박스에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장 박스(200)의 제 1 면부(201)에는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 및 결합돌출부(220)가 형성된다.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는 제 1 면부(201)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4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제 1 면부(201)의 중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안내레일(212)이 형성된다. 안내레일(212)의 길이는 체결부(110)가 충분히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의 상호 마주보지 않는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지지돌출부(214)가 돌출 형성된다. 지지돌출부(214)는 삽입가이드부(210)의 외측을 지지하기 위하여 일측은 삽입가이드부(210)의 외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 1 면부(201)에 연결된다.
결합돌출부(220)는 측면부(203)의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체결부(110)가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에 삽입되면, 체결부(110)에 형성된 체결홀(112)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돌출부(220)는 측면부(203)의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210)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222)와, 체결부(110)와 마주보지 않는 걸림부(222)의 전측에서 체결부(11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경사부(224)를 포함한다. 그리고 걸림부(222)의 후측에서 걸림부(222)와 멀리 떨어진 경사부(224)의 전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걸림부(222) 및 경사부(224)의 상면은 사선으로 경사지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돌출부(220)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체결부(110)의 전단부가 안내레일(212)에 삽입된 후, 결합돌출부(220)의 후측에서 전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걸림부(222) 및 경사부(224)의 경사진 상면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체결부(110)의 전단부에는 삽입유도부(116)가 형성되므로, 체결부(110)의 삽입유도부(116)가 걸림부(222)에 삽입된 상태로 경사부(224)의 외면으로 더욱 용이하게 안내되는 효과가 있다. 그 후, 체결부(110)의 전단부가 걸림부(222) 및 경사부(224)를 차례로 슬라이딩되면서 지나가게 되면, 체결홀(112)의 제 1 홀(113)과 제 2 홀(114)이 걸림부(222) 및 경사부(224)에 삽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걸림 결합된다. 이때, 체결부(110)의 후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체결연장부(120)는 삽입가이드부(210)에 충돌되어, 더 이상의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체결부(110)는 결합돌출부(220)에 견고하게 끼움 결합된다.
한편, 체결부(110)의 전단부가 결합돌출부(220)를 지나간 후 제 2 홀(114)에 경사부(224)가 삽입되기 직전, 체결부(110)의 양측은 삽입가이드부(210)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체결부(110)의 전단부는 경사부(224)의 높이만큼 상부로 이격된다. 이때, 강도보강홈(113c)이 약간 펴지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체결부(110)의 전단부가 상부로 용이하게 이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체결홀(112)에 강도보강홈(113c)을 구비하므로, 체결부(110)의 전단부가 결합돌출부(220)를 용이하게 지나가도록 안내하고, 체결홀(112)의 제 2 홀(114)이 결합돌출부(220)의 경사부(224)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브라켓 110: 체결부
112: 체결홀 113: 제 1 홀
113a: 후측부 113a-1: 볼록부
113b: 전측부 113c: 강도보강홈
114: 제 2 홀 116: 삽입유도부
120: 체결연장부 120a: 보강리브
122: 제 1 연결부 124: 제 2 연결부
124a: 결합공 130: 지지부
132: 가이드홈 200: 전장 박스
201: 제 1 면부 202: 제 2 면부
203: 측면부 210: 삽입가이드부
212: 안내레일 214: 지지돌출부
220: 결합돌출부 222: 걸림부
224: 경사부

Claims (9)

  1. 일측에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 및
    내부에 전장부품이 내장되되 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체결부의 양측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전장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면, 상기 체결부의 일면에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에 상기 전장 박스의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출부가 삽입된 상태로 걸림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의 일면 길이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는 상기 체결홀의 내주연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결합돌출부는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체결부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서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의 타측에서 상기 걸림부와 멀리 떨어진 상기 경사부의 전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에 삽입될 때, 상기 체결부의 전단부가 상기 걸림부와 상기 경사부를 차례로 지나가면,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결합되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 1 홀과, 상기 경사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홀의 내주연 전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홀을 포함하되, 한 쌍의 상기 삽입가이드부와 대향되는 상기 제 1 홀의 내주연 양측에 상기 걸림부의 양측과 멀어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강도보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타면에는 상기 지지부를 따라 오목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의 내주연 후측에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도록 볼록하게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내면이 상기 체결부와 일체로 연결될 때, 상기 걸림부의 외면은 사선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는 상기 체결부의 선단부에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삽입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을 따라 오목하게 안내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체결부의 후단부에 상기 체결부보다 큰 폭을 갖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체결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전단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 사이로 안내된 후, 양측이 상기 안내레일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 사이로 전진되어 상기 체결홀이 상기 결합돌출부에 걸림 결합되면, 상기 체결연장부는 상기 체결부가 더 이상 전진될 수 없도록 상기 삽입가이드부와 충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연장부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삽입가이드부의 상호 마주보지 않는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지지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KR2020170005930U 2017-11-21 2017-11-21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KR200489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930U KR200489371Y1 (ko) 2017-11-21 2017-11-21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930U KR200489371Y1 (ko) 2017-11-21 2017-11-21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55U KR20190001255U (ko) 2019-05-29
KR200489371Y1 true KR200489371Y1 (ko) 2019-06-10

Family

ID=6665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930U KR200489371Y1 (ko) 2017-11-21 2017-11-21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3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233B1 (ko) * 2023-11-14 2024-02-29 (주)세일 제품 평탄도 교정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307A (ja) * 2005-04-28 2006-11-09 Ngk Spark Plug Co Ltd 回路基板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75Y1 (ko) * 2008-07-18 2010-08-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
KR20120001399U (ko) * 2010-08-19 2012-02-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장착장치
KR101405623B1 (ko) 2012-08-13 201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전장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307A (ja) * 2005-04-28 2006-11-09 Ngk Spark Plug Co Ltd 回路基板ケー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233B1 (ko) * 2023-11-14 2024-02-29 (주)세일 제품 평탄도 교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55U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2857B2 (en) Attaching structure
US7052076B2 (en) Front side-part structure of vehicle
US8899532B2 (en) Band clip
US6948967B2 (en) Retaining rail for fixing a slide-in module in a mounting cradle of a computer
US20070096482A1 (en) Bumper fixture, and bumper mounting structure
US9061650B2 (en) Device for assembling airbag cover
US10967808B2 (en) Interior cover mount assembly
US20150102616A1 (en) Bumper attachment structure
KR200489371Y1 (ko)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US20180238364A1 (en) Clip mounting seat
US5915767A (en) Bumper side supporting structure
US8590659B2 (en) Apparatus for protecting feet
US11142140B2 (en) Noise insulation element for the bulkhead of a vehicle body
KR101987389B1 (ko)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JP6670027B2 (ja) ハーネスの保持構造
US9358935B2 (en) Roof drip molding attachment
KR20070047465A (ko) 안티핀치 스트립센서 장착구조
JP2014055641A (ja) 部品の掛止構造
JP2005233255A (ja) クリップ
KR100537000B1 (ko) 자동차의 도어 풀 핸들 고정구조
KR200198401Y1 (ko) 자동차 내장재용 취부구조체
KR20120029938A (ko) 차량용 범퍼의 바디킷 결합장치
KR100371711B1 (ko)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의 장착구조
JP5109428B2 (ja) 長尺状部材の保持構造
JP5574278B2 (ja) 車載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