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906B1 -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906B1
KR101983906B1 KR1020170160194A KR20170160194A KR101983906B1 KR 101983906 B1 KR101983906 B1 KR 101983906B1 KR 1020170160194 A KR1020170160194 A KR 1020170160194A KR 20170160194 A KR20170160194 A KR 20170160194A KR 101983906 B1 KR101983906 B1 KR 101983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honey
expanded
minut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준영
Original Assignee
하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준영 filed Critical 하준영
Priority to KR1020170160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 A23P30/38Puffing or expand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렌딩 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녹차 꿀은 녹차 특유의 향과 맛이 은은하게 나타나 일반적인 꿀에 비해 관능성이 우수하며, 수분 함량이 낮아 끈적거리거나 진득하지 않기 때문에 취식이 용이하여 여러 식품의 부재료로 활용되기 쉽고, 나아가 녹차의 유용성분을 그대로 함유하여 건강 기능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Honey Comprising Green Tea}
본 발명은 녹차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렌딩 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꿀은 당분과 여러 영양 성분들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섭취가 용이하여 오래 전부터 건강보조식품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꿀 속에는 각종 비타민과 효소 등이 포함되어 있어 면역력 강화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 물질인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암과 심장질환의 예방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꿀은 피부미용, 혈액순환, 장운동 개선, 숙취제거 등에도 효능이 있으며, 특히 포도당과 과당에 의한 피로회복 효과는 다른 어떤 식품보다 우수하다.
최근에는 꿀에 각종 보조재료들을 혼합하여 꿀 제품의 영양성분이나 기호도를 향상시키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가령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8294호에는 두통에 효과가 있는 로즈베리 추출물이 꿀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 중량% 함유되어 있는 꿀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3152호에는 소화불량에 효과가 있는 라벤더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는 꿀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70563호에는 몸의 기와 혈을 보하는 약초의 분말과 벌꿀을 조합한 꿀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9508호에는 수분 함유량이 20%가 되도록 건조된 후 직경이 20 내지 30 μm 의 분말 형태로 분쇄된 복분자와 꿀을 준비하고 이를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상기 복분자와 꿀을 벌이 수집가능하게 배치하는 단계; 및 벌이 수집한 꿀을 채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분자 꿀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지금까지 개시된 대부분의 블렌딩 꿀 제품들은 각종 보조재료들의 추출물을 꿀에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으나, 재료에 따라 꿀과 적절히 혼합시킬 수 있는 추출물을 만드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보조재료의 가공방법에 따라 완제품의 보존기간 등 물리적 성질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혼합재료에 따라 최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블렌딩 꿀의 제조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한편, 녹차는 동백나무과의 카멜리아 시넨시스 (Camellia Sinensis)의 싹이나 잎을 이용하여 녹차엽 속에 존재하는 산화효소를 덖거나 증기로 실활 (inactivation)시켜 제조한 것으로써, 기원전부터 기호차로서 음용되어져 왔고 녹차에 함유된 여러 성분들의 약리적인 메커니즘이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가치가 일반인들에게도 인식되어지고 있다. 특히, 녹차는 카테킨, 카페인, 아미노산, 섬유소, 펙틴, 비타민 등의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성분 중 카페인에 의한 흥분, 강심, 이뇨 수렴 등의 작용과 카테킨류에 의한 항산화작용, 항균작용, 콜레스테롤 상승억제 작용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녹차는 일반적으로 채엽 후 증열, 유념, 건조, 가향 공정 등을 통하여 제조되며, 음용형태는 제조된 차엽에 직접 뜨거운 물을 부어 차성분이 우러나게 하여 마시거나 뜨거운 물에 침출 후 캔이나 패트 등의 용기에 넣은 음료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녹차는 아이스크림, 과자, 빵 등에 분말 형태로 첨가되어 식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녹차를 분말 형태로 액상의 식품에 혼합될 경우 장기간 보관시 침전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지금까지 벌꿀과 혼합하는 경우에는 유용성분의 용출이 어려워 지금까지 녹차를 함유한 벌꿀이 제조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 성분들을 그대로 꿀에 녹여내면서도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는 좋은 향과 맛을 나타내는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440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0165호
본 발명은 관능성 및 기능성이 우수한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꿀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녹차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녹차를 팽화시키는 단계;
상기 팽화된 녹차에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수분이 공급된 팽화 녹차를 냉동한 후, 이를 다시 해동하여 조직을 연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조직이 연화된 팽화 녹차를 벌꿀에 혼합한 뒤 초음파 추출하는 단계.
본 발명자들은,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 성분들을 꿀에 손쉽게 녹여내는 방법을 찾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녹차를 건조하여 팽화하고, 수분을 공급한 후, 냉동과 해동을 반복하면서 조직을 연화시키고, 이를 다시 벌꿀과 혼합하여 초음파 추출하는 경우, 팽화과정과 냉동 및 해동 과정을 거쳐 녹차 잎의 세포벽이 파괴되고 연화된 조직의 틈 사이로 녹차의 유효성분들의 침출이 자연스럽게 촉진되며,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성분들이 벌꿀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게 되고, 관능성도 크게 개선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주재료로 사용되는 꿀에는 어떠한 액체 꿀도 포함될 수 있으며, 특정한 생산 기술에 의해 생산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첨가제가 첨가되지 않은 순수한 천연벌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꿀은 벌에 의해 조제된 식물의 밀원, 식물의 분비물 및 벌레들이 빨아먹는 식물의 배출물을 말하는데, 꿀의 화학 조성은 밀원의 출처, 계절 및 생산 방법에 따라 다르다. 상기 주재료로 사용되는 꿀은 어떤 밀원 출처에서 유래된 액체 꿀로도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밀원의 예로는 아카시아(Acacia), 알팔파(Alfalfa), 사과, 메밀, 캐놀라(Canola), 클로버(Clover), 자두, 목화, 민들레, 갈베리(Gall berry), 국화, 포도, 클로버(Clover), 밀크위드(Milkweed), 크랜베리(Cranberry), 블루베리(Blueberry), 라스베리(Raspberry), 세이지(Sage), 사우어나무(Sourwood), 해바라기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액체 꿀은 최종 산물의 원하는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단일 밀원 출처 또는 여러 밀원 출처의 조합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재료로 사용되는 꿀은 맛과 향이 강하지 않고, 품질이 일정하며 쉽게 변질되지 않는 액체 꿀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아카시아꿀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팽화’는 원료인 녹차를 압력 용기에 넣고, 고온 및 고압 상태에서 급속하게 대기 온도 및 대기압 상태로 분출함으로써 부피를 팽창시킨 녹차를 제조하는 것을 의미하며, 용어 ‘팽화 녹차’는 팽화 과정을 거쳐 생성된 부피를 팽창시킨 녹차를 의미한다.
상기 건조 녹차를 밀폐된 압력 용기에 넣고, 가온하면 용기 내부의 압력이 올라가게 되고, 압력이 증가한 용기를 순간적으로 개방하게 되면, 녹차가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대기 중으로 순간적으로 방출되게 되어 녹차는 부분적으로 다공질이 되고, 녹차의 조직과 세포벽이 파괴되어 내부의 유용성분들이 손쉽게 외부로 용출되기 적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녹차를 팽화시키는 과정에서, 건조 녹차의 수분 함량이 증가할수록, 또는 팽화시 팽화 온도를 높여줄수록, 다공질 생성이 증가하게 되고, 부스러기의 발생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에서, 팽화 과정을 거쳐 생성되는 팽화녹차의 원료 적합성을 고려하면, 상기 팽화시키는 단계는 10% 내지 30%의 수분함량을 갖는 건조 녹차를 230℃ 내지 270℃의 온도범위 내에서 2초 내지 10초 동안 가열한 후, 대기압으로 방출하여 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230℃의 온도범위 미만에서 팽화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전체적으로 부피 팽창이 충분히 되지 못해 생성된 팽화 녹차의 조직과 세포벽에 대한 불안정화가 충분하게 진행되지 못하게 되고, 이후 단계에서 녹차의 유용성분의 용출이 손쉽게 진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270℃의 온도범위를 초과하여 팽화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부피 팽창이 과도하게 진행되고, 부스러기의 발생이 증가하며, 이후 단계에서 유용성분이 용출되어 걸러지게 될 수 있는 녹차분말의 사이즈가 미세하게 되어 이를 제거하기 어려운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팽화과정을 거친 녹차는 이후 수분을 공급하여 수분을 흡수시킨 후, 냉동 및 해동을 반복하여 조직을 연화시키는 단계를 통해 내부의 유용성분의 용출이 더욱 촉진되게 된다. 상기 팽화 녹차에 수분을 공급하여 물을 충분히 흡수하게 한 후, 이를 냉동시키게 되면 팽화 녹차에 흡수된 물이 팽창하면서 그대로 동결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수분의 통로가 더욱 개방되고, 녹차의 조직은 더욱 연화되게 되고, 이 후 벌꿀과 혼합하여 초음파 추출 과정을 수행할 때, 녹차 내부의 유용 성분 침출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상기 녹차에 수분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녹차의 유용성분이 수분에 흡수된 후, 흘러내려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과도한 수분의 공급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팽화된 녹차 표면에 수분이 응결하여 물방울이 발생하지 않도록 습도가 높은 공간에 팽화 녹차를 일정시간 방치하는 방식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직을 연화시키는 단계의 냉동은 상기 수분이 공급된 팽화 녹차를 -10℃ 내지 -30℃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보관하여 냉동시키고, 상기 조직을 연화시키는 단계의 해동은 냉동된 팽화 녹차를 30℃ 내지 50℃에서 30 내지 50분 동안 보관하여 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냉동과 해동 과정은 3 내지 7회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에서 냉동과 해동을 반복하는 것이 녹차 조직의 연화를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녹차는 벌꿀 중량의 0.5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녹차가 0.5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녹차의 혼합 효과가 미미하거나 오히려 기호도를 감소시키게 되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녹차의 향과 맛이 너무 강하여 기호도를 오히려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추출은 40±5kHz의 주파수에서 24 내지 48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음파 추출은 녹차를 꿀에 혼합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팽화와 연화 과정을 거쳐 녹차에 함유된 유용성분의 침출이 용이하기 때문에 별도의 추출용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초음파 추출 이후에 추출물이 혼합된 꿀을 숙성하고, 유용성분이 침출된 녹차를 필터링 하여 제거시키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숙성 과정의 경우 30℃의 온도에서 30일 동안 숙성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녹차의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한 꿀은 필터를 통해 걸러낸 후 포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장은 열을 가하지 않고 25℃로 유지하며 압력을 이용하여 스틱 자동 포장기로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녹차를 함유한 꿀은 상기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꿀은 녹차 특유의 향과 맛이 은은하게 나타나 일반적인 꿀에 비해 관능성이 우수하며, 끈적거리거나 진득하지 않기 때문에 취식이 용이하며 여러 식품의 부재료로 활용되기 쉽고, 나아가 녹차의 유용 성분을 그대로 침출시켜 기능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을 설명한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꿀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녹차 꿀의 제조
갓 채취한 녹차 생엽을 수분함량 18 내지 22%로 건조시키고, 밀폐된 공간에서 250℃에서 6초 동안 가열한 후, 이를 대기 중으로 순간적으로 방출하여 팽화 녹차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팽화된 녹차를 상대습도 90% 이상의 분위기에서 방치하여 수분을 충분하게 흡수시킨 후, -20℃에서 30분 동안 보관하여 냉동시키고, 이를 다시 40℃에서 40분 동안 보관하여 해동하였다. 상기 냉동 및 해동 과정을 5회 반복한 후, 최종적으로 해동된 녹차를 벌꿀과 블랜딩 되는 원료로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녹차를 벌꿀의 5 중량%의 비율로 아카시아꿀(경북 상주시)에 혼합하고, 초음파추출기(Bearmax FW-300, 일본)를 이용하여 36시간 동안 추출하면서(40±5kHz, 20~35℃), 매 6시간 단위로 꿀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추출한 후에 녹차를 제거하여 녹차 꿀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녹차 꿀의 제조 방법의 틀을 유지하되, 공정 조건을 미세하게 변경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녹차 꿀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팽화, 연화, 및 초음파 추출 과정의 일부 단계들을 생략하는 방식으로 제조한 녹차 꿀을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원료 팽화 연화 초음파
실시예 1 녹차 250℃, 6초 5회: -20℃ 30분 및 40℃ 40분 40kHz 36시간
실시예 2 녹차 300℃, 6초 5회: -20℃ 30분 및 40℃ 40분 40kHz 36시간
실시예 3 녹차 200℃, 6초 5회: -20℃ 30분 및 40℃ 40분 40kHz 36시간
실시예 4 녹차 250℃, 6초 3회: -20℃ 30분 및 40℃ 40분 40kHz 36시간
실시예 5 녹차 250℃, 6초 7회: -20℃ 30분 및 40℃ 40분 40kHz 36시간
실시예 6 녹차 250℃, 6초 5회: -20℃ 30분 및 40℃ 40분 35kHz 36시간
실시예 7 녹차 250℃, 6초 5회: -20℃ 30분 및 40℃ 40분 45kHz 36시간
비교예 1 녹차 - 5회: -20℃ 30분 및 40℃ 40분 -
비교예 2 녹차 250℃, 6초 - -
비교예 3 녹차 - - 40kHz 36시간
비교예 4 녹차 250℃, 6초 5회: -20℃ 30분 및 40℃ 40분 -
비교예 5 녹차 - 5회: -20℃ 30분 및 40℃ 40분 40kHz 36시간
비교예 6 녹차 250℃, 6초 - 40kHz 36시간
실험예 1. 관능검사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7의 녹차 꿀과, 비교예 1 내지 6의 꿀에 대한 관능평가는 일반 아카시아 벌꿀에 대한 비교 만족도로 평가하였다.
20~60대 50명을 선정하여 꿀의 관능적 특성을 충분히 설명한 후 일반 아카시아 벌꿀을 시식하여 향, 맛, 색, 선호도 등을 인식시켰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꿀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관능 평가는 향, 맛, 색, 전체적인 선호도를 1점(아주 나쁘다)부터 5점(아주 좋다)까지 평점하도록 하고, 블랜딩하지 않은 일반 아카시아 벌꿀을 평가기준의 중간인 3으로 하였다.
시료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선호도
실시예 1 4.6 4.8 4.6 4.67
실시예 2 4.5 4.7 4.5 4.57
실시예 3 4.3 4.6 4.4 4.43
실시예 4 4.4 4.6 4.5 4.50
실시예 5 4.7 4.7 4.7 4.70
실시예 6 4.3 4.5 4.4 4.40
실시예 7 4.5 4.6 4.8 4.63
비교예 1 3.4 3.1 3.4 3.30
비교예 2 3.6 3.4 3.3 3.43
비교예 3 3.9 3.8 4.0 3.90
비교예 4 3.8 3.7 3.7 3.73
비교예 5 3.9 4.0 4.1 4.00
비교예 6 3.8 4.1 4.0 3.97
아카시아 벌꿀 3.0 3.0 3.0 3.00
상기 표 2의 관능검사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팽화, 연화, 및 초음파 추출을 모두 이용한 녹차 꿀의 경우, 이들 과정을 생략하여 제조한 녹차 꿀에 비해 향, 맛, 색 및 선호도 등이 전체적으로 모두 높게 평가되었다. 특히, 팽화, 연화, 및 초음파 추출을 각각 선택하여 추출한 비교예 1 내지 3의 꿀에 비해, 팽화, 연화, 및 초음파 추출을 조합하여 2단계 이상 추출된 비교예 4 내지 6의 평점이 더욱 높았고, 팽화, 연화, 및 초음파 추출 단계를 모두 채택한 꿀은 맛과 전체적인 선호도가 모두 4.4 이상으로 평가되어 기호도가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녹차 꿀의 제조에 있어서, 팽화, 연화, 및 초음파 추출의 3 단계가 각각 녹차 꿀의 관능성 개선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카테킨 함량 분석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꿀에 함유된 녹차 성분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분석용 시료는 HPLC용 메탄올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꿀을 용해한 후, 0.45 ㎛ 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분석하였으며, HPLC 분석기기는 Shimadzu LC system(CBM-20A, Japan)을 이용하였다. 분석조건은 kinetex c18 column(100 x 4.6 mm)을 사용하였고 이동상은 물(용매A)과 50% 에탄올(용매B)로 하여 21~75%로 구배(gradient)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유속은 1 ml/min으로 하여 흡광도 203nm에서 측정하였다. 분석된 녹차성분의 결과(g/100g) 값을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분석은 50% 에탄올 100mL에 각각의 제조된 녹차 꿀 1g을 넣고 60분간 교반 침출후 여과하여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고, HPLC 분석은 Shimadzu LC system(CBM-20A, Japan)을 사용하여 0.2% phosphoric acid와 methanol의 농도구배에 의해 40℃에서 유속 1 mL/min으로 하여 210 nm에서 검출하였다.
총 카테킨 데아닌 카페인
실시예 1 1.217 ± 0.052 0.124 ± 0.002 0.162 ± 0.003
비교예 1 0.342 ± 0.014 0.031 ± 0.004 0.041 ± 0.012
비교예 2 0.761 ± 0.035 0.071 ± 0.029 0.062 ± 0.019
비교예 3 0.617 ± 0.018 0.082 ± 0.004 0.073 ± 0.004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팽화, 냉동 및 해동 과정을 거친 조직 연화, 및 초음파 추출 공정의 3가지 방법을 모두 적용한 실시예 1의 추출방법에 따라 제조된 녹차 꿀에서 카테킨 성분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팽화 및 조직 연화 과정을 통해 녹차의 세포 조직과 세포벽이 파괴되어 카테킨 등 녹차의 유용 성분의 유출 통로가 확대된 상태에서 초음파 처리를 통해 녹차의 유용 성분의 벌꿀로의 유출이 더욱 촉진되게 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꿀은 녹차의 유용 성분을 더욱 많이 함유하게 된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6)

  1. 녹차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녹차를 팽화시키는 단계;
    상기 팽화된 녹차에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수분이 공급된 팽화 녹차를 냉동한 후, 이를 다시 해동하여 조직을 연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조직이 연화된 팽화 녹차를 벌꿀에 혼합한 뒤 초음파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팽화시키는 단계는 10% 내지 30%의 수분함량을 갖는 건조 녹차를 230℃ 내지 270℃의 온도범위 내에서 2초 내지 10초 동안 가열한 후, 대기압으로 방출하여 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직을 연화시키는 단계의 냉동은 상기 수분이 공급된 팽화 녹차를 -10℃ 내지 -30℃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보관하여 냉동시키고, 상기 조직을 연화시키는 단계의 해동은 냉동된 팽화 녹차를 30℃ 내지 50℃에서 30 내지 50분 동안 보관하여 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냉동과 해동 과정은 3 내지 7회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초음파 추출하는 단계는 40±5kHz의 주파수에서 24 내지 48 시간 동안 초음파를 조사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녹차는 벌꿀 중량 대비 0.5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를 함유한 꿀.
KR1020170160194A 2017-11-28 2017-11-28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KR101983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194A KR101983906B1 (ko) 2017-11-28 2017-11-28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194A KR101983906B1 (ko) 2017-11-28 2017-11-28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906B1 true KR101983906B1 (ko) 2019-05-29

Family

ID=6667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194A KR101983906B1 (ko) 2017-11-28 2017-11-28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9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490A (ko) * 2002-12-06 2004-06-12 민상규 신규한 녹차 당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81919A (ko) * 2003-03-17 2004-09-23 설혜영 달콤한바이오생잎녹차제조
KR20110049384A (ko) * 2009-11-05 2011-05-12 한국식품연구원 녹차의 새로운 가공방법
KR101204405B1 (ko) 2009-10-15 2012-11-28 서영철 각종영양성분을 첨가한 기능성 벌꿀의 제조가공 및 그 방법
KR20140132130A (ko) * 2013-05-07 2014-11-17 한국식품연구원 초음파 추출기술을 이용한 항산화활성이 높은 저카페인 함유 녹차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70100165A (ko) 2016-02-25 2017-09-04 최선여 녹차 및 솔잎 추출물을 첨가한 생강 조청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490A (ko) * 2002-12-06 2004-06-12 민상규 신규한 녹차 당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81919A (ko) * 2003-03-17 2004-09-23 설혜영 달콤한바이오생잎녹차제조
KR101204405B1 (ko) 2009-10-15 2012-11-28 서영철 각종영양성분을 첨가한 기능성 벌꿀의 제조가공 및 그 방법
KR20110049384A (ko) * 2009-11-05 2011-05-12 한국식품연구원 녹차의 새로운 가공방법
KR20140132130A (ko) * 2013-05-07 2014-11-17 한국식품연구원 초음파 추출기술을 이용한 항산화활성이 높은 저카페인 함유 녹차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70100165A (ko) 2016-02-25 2017-09-04 최선여 녹차 및 솔잎 추출물을 첨가한 생강 조청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91214B (zh) 一种保健玫瑰佛手脆片及其制备方法
CN102406175A (zh) 苦菜鲜汁粉的制备方法
KR100913448B1 (ko)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CN106616109A (zh) 一种灵芝饮品的制作方法
KR101891024B1 (ko) 양파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의 제조 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간장 및 된장
KR102003614B1 (ko)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KR101983906B1 (ko) 녹차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KR101991585B1 (ko) 베리류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KR20200059901A (ko) 유산균 발효 대추 제조방법
KR102263842B1 (ko) 반숙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숙란
KR100697621B1 (ko) 건강식 연국수의 제조방법
KR101921721B1 (ko) 침출식 구아바 과실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788801B1 (ko) 복분자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분자 고춧가루
KR20120103910A (ko) 헛개(줄기 및 열매)의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음료수 제조방법
KR20180040533A (ko) 침출능이 향상된 침출차 제조방법
KR101949975B1 (ko) 인삼 편강의 제조방법
KR101152874B1 (ko) 알카로이드 성분이 강화된 옥수수 수염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432381B1 (ko) 산양삼이 포함된 한우 곰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우 곰탕
CN104498271A (zh) 秋葵蓝莓果保健酒及其制备方法
KR101662147B1 (ko) 오디 식초를 이용한 초간장
KR102645613B1 (ko) 구기자 및 더덕을 이용한 발효 쌍화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80948B1 (ko) 울금을 이용한 캔디, 캐러멜, 젤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4023A (ko) 침출능이 향상된 침출차 제조방법
KR102200918B1 (ko) 꾸지뽕을 이용한 건강 단무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 단무지
KR102005982B1 (ko) 열매 발효액을 이용한 소화를 돕는 저염 동치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