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531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531B1
KR101983531B1 KR1020190017184A KR20190017184A KR101983531B1 KR 101983531 B1 KR101983531 B1 KR 101983531B1 KR 1020190017184 A KR1020190017184 A KR 1020190017184A KR 20190017184 A KR20190017184 A KR 20190017184A KR 101983531 B1 KR101983531 B1 KR 101983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ut
lever
clutch lev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712A (ko
Inventor
요우헤이 시모다
료오우스께 히라이
도모야 마쯔바야시
히로아끼 마쯔시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01470A external-priority patent/JP56125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01469A external-priority patent/JP579250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020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3Steering or guiding of machines or implements pushed or pulled by or mounted on agricultural vehicles such as tractors, e.g. by lateral shifting of the towing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6Combines with hea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02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driven by power take-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Soil Sciences (AREA)

Abstract

변속 레버와 예취 클러치 레버의 서로의 조작을 견제하는 견제 기구를 비교적 낮은 정밀도로 작은 스페이스에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예취부의 상승에 연동하여 예취 클러치를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연동 조작 기구를 적은 부품 개수로 조립하기 쉽게 구성한다.
예취 클러치 레버(16)를, 기단부(16A)와 주 레버부(16B)가 굴곡하여 이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예취 클러치 레버(16)를 오프 위치 「오프」로 설정한 상태에서, 부 변속 레버(15)를 고속 위치 「H」로 조작한 경우에는, 가이드 플레이트(30)의 하면의 견제 부재(31)가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기단부(16A)의 상측에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온 위치 「온」측으로의 조작을 견제 부재(31)가 저지하도록 구성하였다.
예취 클러치(106)의 텐션 아암(1046)과, 예취 클러치 레버(1016)를 조작 와이어(1050)의 이너 와이어(1050A)로 연결하고, 이 조작 와이어(1050)의 아우터 와이어(1050B)의 일단부를 중간 부재(1055)에 연결하였다. 예취부(B)에 구비한 규제 부재(1059C)와 중간 부재(1055) 사이에 작동 부재(1060)를 구비하고, 예취부(B)가 설정 레벨을 초과하여 상승한 경우에 작동 부재(1060)의 선단에 규제 부재(1059C)를 접촉시키고, 작동 부재(1060)로부터 중간 부재(1055)에 압박력을 작용시키고, 이 중간 부재(1055)의 요동에 의해 예취 클러치(106)의 오프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콤바인 {COMBINE}
본 발명은, 주행 기체의 주행 속도를 설정하는 요동 조작형의 변속 레버와, 예취부로의 구동력의 단속(斷續)을 행하는 요동 조작형의 예취 클러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가 온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변속 레버의 고속 위치측으로의 조작을 견제하는 견제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예취부에 전달되는 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예취 클러치를 구비하고, 이 예취 클러치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부의 상승에 연동하여, 온 상태에 있는 상기 예취 클러치의 오프 조작을 행하는 연동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콤바인으로서 특허 문헌 1에는, 변속 레버(문헌에서는 부 변속 레버)와 예취 클러치 레버가 전후 위치에 배치되고, 이들이 견제 기구(문헌에서는 견제 장치)에 의해 연계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견제 기구는, 예취 클러치 레버의 제2 아암에 연결하는 견제 로드와, 변속 레버의 제2 아암에 형성한 핀을 갖고, 견제 로드에 형성된 긴 구멍에 대하여 핀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변속 레버와 예취 클러치 레버의 조작량을 견제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서는, 견제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변속 레버가 고속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예취 클러치 레버의 온 위치로의 조작을 불능하게 하고, 또한, 예취 클러치 레버가 온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부 변속 레버의 고속 위치로의 조작을 불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변속 레버가 고속 위치에 있는 경우에 예취 클러치 레버를 클러치 온 위치로 조작하면, 변속 레버를 표준 주행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도 갖고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콤바인으로서 특허 문헌 2에는, 예취 클러치 레버(문헌에서는 수동 조작 레버)에 의해 예취 클러치를 조작하는 제1 릴리스 와이어를 구비하고, 이 제1 릴리스 와이어의 아우터부의 예취 클러치측의 단부를 지지하는 중계 요동 아암을 구비하고, 이 중계 요동 아암에 온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가압 기구를 구비하고, 예취부의 상승 작동 시에 요동하는 구동 아암과, 이 구동 아암의 요동력을 중계 요동 아암에 전달하는 제2 릴리스 와이어를 구비한 오토 클러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2에서는, 예취부의 지지 프레임에 캠 기구를 구비하고, 이 캠 기구의 캠면(원호면)에 접촉하는 롤러부를 구동 아암의 선단에 구비하고 있고, 예취부의 상승 시에 캠 기구의 캠면으로부터 롤러부에 작용하는 힘으로 구동 아암을 요동시키고, 이 요동력을 제2 릴리스 와이어로부터 중계 요동 아암에 전달하여 요동을 행하게 하고, 이 요동에 의해 예취 클러치의 오프 작동을 실현하도록 연동 조작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124764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56855 공보
콤바인으로 예취 작업을 행할 때에는, 예취 클러치를 온 위치로 설정하여 주행 기체를 주행시키는 것이지만, 주행 기체가 고속으로 주행하는 상태에서의 작업을 회피하는 목적으로부터, 특허 문헌 1에도 기재되는 견제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구성의 견제 기구에서는, 변속 레버와 예취 클러치 레버의 하측에 견제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들 레버의 하측에 견제 로드를 구비하는 공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견제 로드의 단부에 형성한 긴 구멍에 삽입 관통한 핀이 긴 구멍의 단부에 접촉함으로써, 변속 레버와 예취 클러치 레버의 조작 한계를 정하는 구성이므로, 긴 구멍과 핀의 상대적인 위치의 조절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구성에서는, 견제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의 배치 공간을 필요로 하고, 견제 기구를 적정하게 작동시키기 위해 소정의 정밀도도 필요로 하므로 스페이스의 점 및 조립 정밀도의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되는 오토 클러치는, 캠 기구와 구동 아암과 와이어를 필요로 하므로 부품 개수가 증대하기 쉽고, 또한, 캠 기구와 구동 아암의 롤러부의 위치 관계를 설정하고, 구동 아암의 요동량에 대한 와이어의 조작량의 관계를 설정하는 등, 중계 요동 아암을 요동시키기 위해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부품 개수가 많은 것에서는 비용의 상승으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조립에 수고와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되고, 또한, 복수의 부품의 조립에 정밀도가 요구되는 것에서는 조립 후에 조정의 수고를 필요로 하는 등, 생산성이 좋지 않아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변속 레버와 예취 클러치 레버의 서로의 조작을 견제하는 견제 기구를 비교적 낮은 정밀도로 작동 가능하고, 또한 작은 스페이스에 배치 가능하게 구성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예취부의 상승에 연동하여 예취 클러치를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연동 조작 기구를 적은 부품 개수로 조립하기 쉽게 구성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주행 기체의 주행 속도를 설정하는 요동 조작형의 변속 레버와, 예취부로의 구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요동 조작형의 예취 클러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가 온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변속 레버의 고속 위치측으로의 조작을 견제하는 견제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변속 레버의 고속 위치로의 조작 방향과,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의 오프 위치로의 조작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설정되고, 상기 변속 레버의 고속 위치로의 조작 방향의 연장 영역에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가 배치되고,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가, 오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요동 축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변속 레버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단부와, 이 기단부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단부의 연장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주 레버부를 갖고, 상기 견제 기구가, 상기 변속 레버의 조작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견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견제 부재는,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가 오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변속 레버가 고속 위치측으로 조작된 경우에,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의 상기 기단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변속 레버의 고속 위치로의 조작을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가 온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변속 레버가 고속 위치측으로 조작된 경우에, 상기 견제 부재가 상기 기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변속 레버의 고속 위치로의 조작을 견제하도록 상기 기단부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취 클러치 레버가 오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변속 레버를 고속 위치로 조작한 경우에는, 변속 레버의 조작에 수반하여 견제 부재가 예취 클러치 레버의 기단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변속 레버의 고속 위치로의 조작이 허용된다. 또한, 예취 클러치가 온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변속 레버를 고속 위치측으로 조작하려고 한 경우에는, 견제 부재가 예취 클러치 레버의 기단부에 접촉하므로, 변속 레버의 고속 위치로의 조작은 견제된다.
특히, 이 구성에서는, 견제 부재가 변속 레버의 조작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것이므로, 큰 배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견제 부재와 예취 클러치 레버의 기단부의 접촉에 의해 견제를 행하므로 견제 부재와 기단부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변속 레버와 예취 클러치 레버의 서로의 조작을 견제하는 견제 기구를 비교적 낮은 정밀도로 작동 가능하고, 또한, 작은 스페이스에 배치 가능하게 구성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변속 레버가 고속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가 오프 위치로부터 온 위치측으로 조작된 경우에, 상기 견제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자세의 소정면과,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의 상기 기단부의 일측면이 서로를 따르는 자세로 접촉하고,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의 온 위치로의 조작이 견제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변속 레버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예취 클러치를 온 위치로 조작하려고 한 경우에는, 견제 부재의 소정면과 예취 클러치 레버의 기단부의 일측면이 서로를 따르는 자세로 접촉하므로, 변속 레버를 저속 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분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변속 레버를 고속 위치에 유지한 채 예취 클러치 레버를 오프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변속 레버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변속 레버 가이드 구멍과,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 가이드 구멍이 형성된 수평 자세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견제 부재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이동 가능, 또한, 상방으로의 변위를 저지하는 상태에서 지지되고,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가 오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기단부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형성되고, 상기 주 레버부가 기단부의 연장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형성되고, 이 예취 클러치 레버가 오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변속 레버가 고속 위치로 조작된 경우에는, 상기 기단부와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견제 부재가 삽입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변속 레버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예취 클러치 레버를 온 위치측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예취 클러치 레버의 기단부가 가이드 플레이트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게 되지만, 이 기단부와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견제 부재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견제 부재가 기단부의 상방으로의 변위를 견제하게 되고, 예취 클러치 레버의 온 위치로의 조작이 견제된다. 또한, 견제 부재를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면에 배치함으로써, 이 견제 부재의 상방으로의 변위를 가이드 플레이트가 저지할 수 있게 되고, 가이드 플레이트를 가이드 부재로 겸용할 수 있어 부품 개수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부에 전달되는 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예취 클러치를 구비하고, 이 예취 클러치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부의 상승에 연동하여, 온 상태에 있는 상기 예취 클러치의 오프 조작을 행하는 연동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의 조작력을 상기 예취 클러치에 전달하는 조작 와이어가 이너 와이어와, 아우터 와이어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너 와이어의 한쪽의 단부를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에 연결하고, 다른 쪽의 단부를 상기 예취 클러치의 단속 조작 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측의 단부를 기체 프레임에 지지하고, 상기 예취 클러치측의 단부를 중간 부재에 지지하고, 상기 중간 부재가,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단부를 상기 단속 조작 부재에 근접시키는 근접 자세와, 상기 단속 조작 부재로부터 이격하는 이격 자세로 변위 가능하게 상기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는 동시에, 이 변위에 수반하는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예취 클러치의 온 오프 조작을 행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동 조작 기구가, 상기 중간 부재에 기단부측이 연계하는 막대 형상의 작동 부재와, 상기 예취부에 지지한 규제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 연동 조작 기구는, 상기 예취부가 설정 레벨을 초과하여 상승한 경우에 상기 작동 부재의 선단부에 상기 규제 부재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작동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박력에 의해 상기 중간 부재를 변위시켜 상기 예취 클러치를 오프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취 클러치 레버를 온 위치에 설정한 상태에 있어서, 예취부가 설정 레벨을 초과하여 상승한 경우에는, 규제 부재가 작동 부재의 선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이 규제 부재로부터 작동 부재에 압박력이 작용한다. 이 압박력이 막대 형상의 작동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중간 부재를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이 변위에 의해 중간 부재 지지되어 있는 아우터 와이어의 위치를 변경하여 예취 클러치의 오프 조작이 행해진다. 이 구성에서는, 중간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규제 부재와 작동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이므로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규제 부재로부터의 압박력을 작동 부재가 직접적으로 중간 부재에 전달하는 구성이므로, 예취 클러치를 오프 조작하는 타이밍을 설정하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규제 부재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나, 작동 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되고, 조립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고 조정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예취부의 상승에 연동하여 예취 클러치를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연동 조작 기구가 적은 부품 개수로 조립하기 쉽게 구성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작동 부재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한 롤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예취부에는, 상기 설정 레벨 미만에서의 승강 시에 상기 롤러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롤러의 이동을 허용하는 가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이 가이드 기구의 단부에 상기 규제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예취부가 설정 레벨 미만에 있는 경우에는 작동 부재의 선단의 롤러가 가이드 기구에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되고, 예취부의 승강에 수반하여 롤러가 회전함으로써 원활한 승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예취부가 설정 레벨을 초과하여 상승한 경우에는, 이 상승에 수반하여 가이드 기구에 롤러가 접촉하는 상태에서 이동하고, 이 이동의 단부에 있어서 규제 부재에 롤러가 접촉하므로, 작동 형태에 무리가 없는 상태에서 중간 아암을 변위시켜 예취 클러치의 오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운전부의 평면도.
도 3은 조작 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부 변속 레버와 예취 클러치 레버의 조작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예취 클러치 레버와 견제 부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견제 부재의 평면도.
도 7은 콤바인의 전동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브레이크 페달과 로크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전환 레버와 보유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전환 레버와 보유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12는 운전부의 평면도.
도 13은 콤바인의 전동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예취 클러치와 연동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5는 예취부의 상승 시에 있어서의 연동 조작 기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6은 가이드 기구와 작동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주 프레임과 승강 실린더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8은 승강 실린더와 아암체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9는 도 18의 Ⅸ―Ⅸ선 단면도.
도 20은 기체 프레임 전방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은 보조 종프레임과 무단 변속 장치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2는 다른 실시 형태 (a)의 연동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의해 주행하는 주행 기체(A)의 전단부에 승강 실린더(10)의 작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예취부(B)를 구비하는 동시에, 주행 기체(A)의 전방부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C)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A)에 대하여 예취부(B)로부터 예취 곡간(穀稈)이 공급되는 탈곡 장치(D)와, 이 탈곡 장치(D)에서 선별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E)를 구비하여 자탈형의 콤바인이 구성되어 있다.
이 콤바인은, 수확 작업 시에 예취부(B)와 탈곡 장치(D)를 구동한 상태에서 주행 기체(A)를 전진시킴으로써 예취부(B)에서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여 곡간의 예취를 행하고, 예취한 곡간을 탈곡 장치(D)에 반송하여 탈곡 처리를 행하고, 이 탈곡 장치(D)의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곡립 탱크(E)에 저류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부(C)에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스텝(11)과,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12)이 구비되는 동시에, 운전 좌석(12)의 전방 위치에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종 레버(13)가 구비되고, 운전 좌석(12)의 측방 위치에 주 변속 레버(14)와, 부 변속 레버(15)와, 예취 클러치 레버(16)와, 탈곡 클러치 레버(17)가 구비되고, 스텝(11)에는 브레이크 페달(18)이 구비되어 있다.
이 콤바인은,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를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독립하여 승강시키는 구동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이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롤링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예취부(B)에는, 예취한 곡간(예취 곡간)을 반송하는 곡간 반송 기구(8)를 구비하고 있고, 이 곡간 반송 기구(8)의 곡간의 반송 경로 중에 예취 곡간의 끼움 지지 위치를 변경하는 급심 조절 기구(8A)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급심 조절 기구(8A)는, 곡간 반송 기구(8)로 반송되는 곡간의 끼움 지지 위치의 변경에 의해, 피드 체인(FC)에서의 예취 곡간의 끼움 지지 위치를 변경하여 탈곡 장치(D)에서의 이삭 끝측의 삽입량을 조절하는 급심 제어를 실현한다. 이와 같이 롤링 제어의 인위적인 설정과, 급심 제어의 인위적인 설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 패널(21)이 운전 좌석(12)의 전방 좌측에 구비되어 있다.
조작 패널(21)의 좌측부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심 제어의 기동과 정지를 누름 조작에 의해 선택하는 급심 제어 스위치(22)와, 롤링 제어의 기동과 정지를 누름 조작에 의해 선택하는 롤링 제어 스위치(23)가 구비되어 있다. 이 롤링 제어 스위치(23)로 롤링 제어를 기동시킨 경우에는, 주행 기체(A)를 수평 자세로 유지하도록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를 승강하는 제어가 롤링 실행되고, 또한, 조작 패널(21)에는, 기준 선택 스위치(24)와, 경사각 설정 스위치(25)와, 승강량 설정 스위치(26)가 구비되어 있다.
기준 선택 스위치(24)는, 좌우 방향으로의 조작에서 ON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롤링 제어에 있어서의 제어 기준[주행 기체(A)의 대지(對地) 높이]을 고레벨로 설정하는 「올림 기준 제어」와, OFF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롤링 제어에 있어서의 제어 기준을 저레벨로 설정하는 「내림 기준 제어」의 선택을 행하는 토글 스위치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사각 설정 스위치(25)는, 비조작 상태에서 수평 자세를 유지하고, 우측 또는 좌측의 누름 조작이 가능한 구조의 것이 사용되어, 우측을 누름 조작한 경우에는 롤링 제어에 우선하여 주행 기체(A)의 우측을 하강시키고, 좌측을 누름 조작한 경우에는 롤링 제어에 우선하여 주행 기체(A)의 좌측을 하강시키는 제어를 실현한다. 승강량 설정 스위치(26)는, 비조작 상태에서 수평 자세를 유지하고, 상측 또는 하측의 누름 조작이 가능한 구조의 것이 사용되어, 상측을 누름 조작한 경우에는 주행 기체(A)를 수평 자세로 하강시키고, 하측을 누름 조작한 경우에는 주행 기체(A)를 수평 자세로 상승시키도록 크롤러 주행 장치(1)의 양쪽을 동시에 동등하게 작동시키는 제어를 실현한다.
또한, 이 조작 패널(21)에서는, 기준 선택 스위치(24)로서, 전후 방향으로 조작하는 토글 스위치형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해도 되고, 급심 제어 스위치(22)와, 롤링 제어 스위치(23)와, 기준 선택 스위치(24)와, 경사각 설정 스위치(25)와, 승강량 설정 스위치(26)의 배치를 도면에 도시하는 것 이외의 배치로 해도 된다.
운전 좌석(12)의 하부 위치에는 엔진(2)이 구비되고, 주행 기체(A)의 전방부 위치에서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는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케이스(3)가 배치되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3)의 상부에는 정유압식의 무단 변속 장치(4)(HST)가 연결되어 있다. 엔진(2)과 무단 변속 장치(4) 사이의 전동계에는 구동력을 단속하는 주 벨트 전동 기구(5)가 구비되고, 전동 케이스(3)로부터의 동력을 예취부(B)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계에는 벨트 텐션식의 예취 클러치(6)가 구비되고, 엔진(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탈곡 장치(D)에 전달하는 전동계에는 벨트 텐션식의 탈곡 클러치(7)가 구비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3)에는 무단 변속 장치(4)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고저 2단으로 변속하는 기어식의 부 변속 기구(3T)를 내장하고 있고, 이 부 변속 기구(3T)에서 변속된 구동력을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3S)으로부터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전달하는 주행 구동계가 전동 케이스(3)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전동 케이스(3)에는,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3S)에 전달하는 구동력을 독립하여 단속하는 조향 클러치 기구(3A)와,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3S)에 동시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브레이크 기구(3B)를 내장하고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좌우의 조향 클러치 기구(3A)는,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좌우의 조향 실린더에 의해 조작된다.
조종 레버(13)는, 비조작 상태에서 중립 자세를 유지하는 동시에,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로 조작된 경우에는 조향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좌우의 조향 클러치 기구(3A) 중 조작에 대응한 것[예를 들어, 우측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우측의 조향 클러치 기구(3A)]에 조향 제어 밸브로부터 작동유를 공급하여 동력을 차단하고 주행 기체(A)의 조향을 실현한다. 또한, 이 조종 레버(13)가 전후 방향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승강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승강 실린더(10)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행하고 예취부(B)의 승강을 실현한다.
주 변속 레버(14)는, 주행 기체(A)를 정차시키는 중립 위치 N과, 이 중립 위치 N으로부터 전방측의 전진 위치 F 사이의 전진 변속 영역과, 중립 위치 N으로부터 후방측의 후진 위치 R 사이의 후진 변속 영역에 있어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주 변속 레버(14)와 무단 변속 장치(4)가 로드나 와이어 등으로 연동 연계함으로써, 주 변속 레버(14)의 조작에 의한 무단계에서의 변속 조작이 실현된다. 부 변속 레버(15)는, 고속 위치 「H」와 저속 위치 「L」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부 변속 레버(15)와 부 변속 기구(3T)가 변속 로드(41)(도 4를 참조)에 의해 연동 연계함으로써, 부 변속 레버(15)의 조작에 의해 고속 주행과 저속 주행의 전환이 실현된다.
예취 클러치 레버(16)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조작에 의해 온 위치 「온」과 오프 위치 「오프」로 전환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예취 클러치 레버(16)와 예취 클러치(6)가 클러치 로드(44)에 의해 연동 연결됨으로써,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조작에 의해 예취 클러치(6)의 온 오프가 실현된다. 탈곡 클러치 레버(17)는, 요동 조작에 의해 온 위치 「온」과 오프 위치 「오프」의 전환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탈곡 클러치 레버(17)와 탈곡 클러치(7)가 조작 와이어(49)에 의해 연동 연결됨으로써, 탈곡 클러치 레버(17)의 조작에 의해 탈곡 클러치(7)의 온 오프가 실현된다.
브레이크 페달(18)은, 전동 케이스(3)에 내장된 브레이크 기구(3B)와 연동 연계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18)의 스텝핑 조작에 연계하여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제동력을 작용시킨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좌석(12)의 좌측부에, 측부 조종 탑으로서의 사이드 패널과, 이 사이드 패널의 상면을 구성하는 수평 자세의 가이드 플레이트(30)가 배치되고, 이 가이드 플레이트(30)에는 주 변속 레버(14)가 상하로 관통하는 주 변속 가이드 구멍(G14)과, 부 변속 레버(15)가 상하로 관통하는 부 변속 가이드 구멍(G15)과, 예취 클러치 레버(16)가 상하로 관통하는 예취 클러치 가이드 구멍(G16)과, 탈곡 클러치 레버(17)가 상하로 관통하는 탈곡 클러치 가이드 구멍(G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 변속 레버(14)와 부 변속 레버(15)는 좌우로 병렬 배치되고, 이 후방부 위치에 예취 클러치 레버(16)와 탈곡 클러치 레버(17)가 좌우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부 변속 레버와 예취 클러치 레버〕
이 콤바인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 레버(16)가 오프 위치 「오프」에 있는 경우에는 부 변속 레버(15)의 고속 위치 「H」로의 조작을 허용하고, 예취 클러치 레버(16)가 온 위치 「온」에 있는 경우에는 부 변속 레버의 고속 위치 「H」로의 조작을 견제하는 견제 기구로서 플레이트 형상의 견제 부재(31)를 구비하고 있다.
부 변속 레버(15)의 고속 위치 「H」로의 조작 방향과,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오프 위치 「오프」로의 조작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설정되고, 부 변속 레버(15)의 고속 위치 「H」로의 조작 방향의 연장 영역에 예취 클러치 레버(16)가 배치되어 있다. 부 변속 레버(15)는, 횡방향 자세의 제1 요동 축심(X1)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주행 기체(A)의 지지 프레임(35)에 지지되고, 예취 클러치 레버(16)는 횡방향 자세의 제2 요동 축심(X2)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 플레이트(30)의 하면측의 가이드 프레임(36)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예취 클러치 레버(16)는, 횡방향 자세의 제2 요동 축심(X2)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 이외에, 예를 들어, 제2 요동 축심(X2)을 경사 방향 자세나 종방향 자세로 함으로써, 예취 클러치 레버(16)를 경사지는 가상 평면 상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나, 수평 자세의 가상 평면 상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부 변속 레버(15)를 지지하는 제1 요동 축심(X1)의 자세는 제2 요동 축심(X2)의 자세와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평행 상태여도 된다.
부 변속 레버(15)와 일체적으로 요동하는 작동 아암(15A)이, 이 부 변속 레버(15)의 하단부 위치에 구비되고, 이 작동 아암(15A)의 요동 단부와 부 변속 기구(3T)의 변속 조작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변속 로드(41)를 통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요동 조작 시에 제2 요동 축심(X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작동축(42)의 축 단부에 작동 아암(43)의 기단부가 연결되고, 이 작동 아암(43)의 요동 단부에 클러치 로드(44)의 상단부가 지지되고, 이 클러치 로드(44)의 하단부에 코일 스프링(45)이 연결되고, 이 클러치 로드(44)와 코일 스프링(45)을 통해 작동 아암(43)과 예취 클러치(6)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작동축(42)에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하는 통 형상 축(46)에 대하여 전술한 탈곡 클러치 레버(17)의 기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통 형상 축(46)에 대하여 조작 아암(47)의 기단부가 연결되고, 이 조작 아암(47)의 요동 단부에 원호 형상의 조작 링크(48)의 일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조작 링크(48)의 타단부와 탈곡 클러치(7)가 조작 와이어(49)에 의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예취 클러치 레버(16)와 탈곡 클러치 레버(17)가 오프 위치 「오프」에 있는 상태에서, 예취 클러치 레버(16)를 온 위치 「온」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이 조작과 연계하여 탈곡 클러치 레버(17)도 온 위치 「온」으로 작동시키는 기계식의 연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동 기구는, 예취 클러치 레버(16)와 탈곡 클러치 레버(17)가 온 위치 「온」에 있는 상태에서 예취 클러치 레버(16)를 오프 위치 「오프」로 조작한 경우에는, 탈곡 클러치 레버(17)를 온 위치 「온」으로 유지한 채 예취 클러치(6)의 오프 조작을 실현한다. 또한, 이 연동 기구는, 예취 클러치 레버(16)와 탈곡 클러치 레버(17)가 오프 위치 「오프」에 있는 상태에서, 탈곡 클러치 레버(17)가 온 위치 「온」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예취 클러치 레버(16)를 오프 위치 「오프」로 유지한 채 탈곡 클러치(7)만을 온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견제 부재〕
견제 부재(31)는, 가이드 플레이트(30)의 하면측에 배치되고, 부 변속 레버(15)에 대하여 연계 핀(32)에 의해 연계되는 동시에, 이 견제 부재(31)에 형성된 긴 구멍(31A)에 삽입 관통하는 가이드 핀(33)에 의해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방향에 대하여 접근하는 작동과 이격하는 작동을 행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핀(33)은, 가이드 플레이트(3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는 상태에서 구비되고, 이 가이드 핀(33) 중 가이드 플레이트(3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부분이 견제 부재(31)의 긴 구멍(31A)에 삽입 관통하고, 이 돌출 부분에서 견제 부재(31)보다 하측 위치에 와셔(34)가 구비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가이드 핀(33)이 견제 부재(31)의 이동 방향을 설정하고, 와셔(34)가 견제 부재(31)의 하방으로의 변위(탈락)를 저지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30)와 와셔(34)는, 견제 부재(31)의 상방으로의 들어 올려짐을 저지하면서, 견제 부재(31)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는 가이드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이 가이드 부재로서, 견제 부재(31)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면서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는 레일 형상 등의 부재 등을 사용해도 된다.
부 변속 레버(15)는 고속 위치 「H」와 저속 위치 「L」의 중간에 중립 위치 (N)이 존재하지만, 중립 위치 (N)에 부 변속 레버(15)를 유지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예취 클러치 레버(16)가 온 위치 「온」으로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 부 변속 레버(15)는 저속 위치 「L」로부터 중립 위치 (N)에 걸친 영역에서의 조작은 가능하지만, 이 중립 위치 (N)을 넘어 고속 위치 「H」의 방향으로 조작할 수 없도록 견제 부재(31)에 의한 견제 형태가 설정되어 있다.
예취 클러치 레버(16)는, 오프 위치 「오프」에 있는 상태에서 제2 요동 축심(X2)을 기준으로 하여 부 변속 레버(15)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단부(16A)와, 이 기단부(16A)의 연장 단부로부터 상방(연장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의 일례)으로 연장되는 주 레버부(16B)를 갖고, 이 주 레버부(16B)의 돌출 단부에 그립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예취 클러치 레버(16)가 오프 위치 「오프」로 설정된 경우에 기단부(16A)가, 가이드 플레이트(30)보다 하측에서 가이드 플레이트(30)와 평행하는 자세로 되고, 온 위치 「온」으로 설정된 경우에 기단부(16A)의 일부가 가이드 플레이트(30)보다 상측에 노출되도록, 이 기단부(16A)와 가이드 플레이트(30)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견제 부재(31)의 구체적인 작동 형태를 설명한다.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 레버(16)가 오프 위치 「오프」에 있는 상태에서 부 변속 레버(15)가 고속 위치 「H」측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기단부(16A)의 연장 방향을 따라 견제 부재(31)가 이동하고, 기단부(16A)의 상방에서 가이드 플레이트(30)의 하측의 공간에 견제 부재(31)가 삽입된다. 즉, 부 변속 레버(15)의 고속 위치 「H」로의 조작이 허용된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 레버(16)가 온 위치 「온」에 있는 상태에서 부 변속 레버(15)가 고속 위치 「H」측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견제 부재(31)의 단부(31B)가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기단부(16A)에 접촉하고, 부 변속 레버(15)의 고속 위치 「H」로의 조작이 견제된다.
특히,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 변속 레버(15)가 고속 위치 「H」로 조작된 상태에서, 예취 클러치 레버(16)가 오프 위치 「오프」로부터 온 위치 「온」측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동 도면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견제 부재(31)의 저면(이동 방향을 따르는 자세의 소정면의 일례)과,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기단부(16A)의 상면(일측면의 일례)이 서로를 따르는 자세(평행에 가까운 자세)로 접촉하고,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온 위치 「온」으로의 조작이 견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견제 부재(31)의 저면과,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기단부(16A)의 상면이 접촉함으로써, 견제 부재(31)의 들어 올려짐을 가이드 플레이트(30)가 저지하여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온 위치 「온」으로의 조작을 저지할 뿐만 아니라, 견제 부재(31)의 저면과,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기단부(16A)의 상면이 서로를 따르는 자세(평행에 가까운 자세)로 접촉하므로, 예취 클러치 레버(16)를 강하게 조작한 경우라도, 이 조작력으로부터 견제 부재(31)를 이동시키는 분력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고, 이 조작력에 의해 부 변속 레버(15)를 저속 위치 「L」로 복귀시키는 작동이 행해지는 일도 없다.
또한, 예취 클러치 레버(16)가 온 위치 「온」에 있는 상태에서 부 변속 레버(15)가 고속 위치 「H」측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견제 부재(31)의 단부(31B)가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기단부(16A)에 접촉함으로써, 이 부 변속 레버(15)의 조작이 견제되는 것이지만, 이 조작에 한하여, 부 변속 레버(15)를 강하게 고속 위치 「H」측으로 조작함으로써, 견제 부재(31)의 단부(31B)로부터의 조작력을 강하게 작용시켜 예취 클러치 레버(16)를 오프 위치 「오프」로 작동시키고, 결과적으로 부 변속 레버(15)의 고속 위치 「H」로의 조작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
브레이크 페달(18)은, 도 8의 (a)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비조작 위치로부터, 동 도면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제동 위치를 넘는 영역까지 스텝핑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스텝핑 조작됨으로써 전동 케이스(3)에 내장한 브레이크 기구(3B)를 제동 조작하여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제동력을 작용시킨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텝(11)의 하면측의 기체 프레임(51)에 횡방향 자세의 지지 축심(Y)과 동 축심 상에 지지축(52)이 구비되고, 이 지지축(52)에 외부 끼움하는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통 형상 축부(53)가 구비되고, 이 통 형상 축부(53)에 브레이크 페달(18)의 페달 아암(18A)이 연결되어 있다. 이 페달 아암(18A) 중 지지축(52)보다 후단부측에는, 브레이크 페달(18)을 비조작 위치로 복귀시키는 가압력을 얻는 복귀 스프링(54)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통 형상 축부(53)에 연결된 요동 아암(55)의 요동 단부와 브레이크 기구(3B)가 브레이크 로드(56)를 통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18)의 스텝핑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브레이크 기구(3B)를 주차 브레이크로서 기능시키는 로크 플레이트(58)가 브레이크 페달(18)의 근방에 구비되어 있다. 이 로크 플레이트(58)는, 기체 프레임(51)에 대하여 횡방향 자세의 축체(59)를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단부측이 브레이크 페달(18)에 근접하도록 스프링(60)에 의해 가압되고, 이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의한 요동 한계를 정하는 스토퍼(61)가 기체 프레임(51)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크 플레이트(58)의 상단부에는 상방으로 신장되는 자세로 전환 레버(62)가 연결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18)의 페달 아암(18A)의 상단부 근처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결합 핀(63)이 설치되고, 브레이크 페달(18)을 제동 위치를 넘어 조작한 경우에 결합 핀(63)에 결합하는 결합 오목부(58A)가 로크 플레이트(58)에 형성되고, 이 로크 플레이트(58)의 상단부측에는, 브레이크 페달(18)의 스텝핑 조작 시에 결합 핀(63)이 접촉함으로써 로크 플레이트(58)의 상단부를 전방측으로 요동시키는 경사 자세의 가이드면(58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부(C)의 측벽 부분에는, 이 브레이크 페달(18)의 비조작 위치로의 복귀를 저지하도록 전환 레버(62)를 결합 유지하는 보유 지지 플레이트(64)가 구비되어 있다.
전환 레버(62)는, 탄성적으로 휨 변형 가능한 소재가 사용되고, 이 전환 레버(62)를 전방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 플레이트(64)에 결합 유지함으로써, 로크 플레이트(58)가, 그 결합 오목부(58A)에 결합 핀(63)이 결합하지 않는 비작용 자세로 설정된다. 이와는 반대로, 전환 레버(62)를 보유 지지 플레이트(64)에 결합 유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로크 플레이트(58)가, 그 결합 오목부(58A)에 대하여 결합 핀(63)이 결합 가능한 작용 자세로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수확 작업 시나 노상 주행 시와 같이 일시적인 브레이크 조작이 행해지는 상황에서는, 도 8의 (b),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레버(62)를 보유 지지 플레이트(64)에 결합 유지하고, 로크 플레이트(58)를 비작용 자세로 설정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18)을 스텝핑 조작한 경우에만 브레이크 기구(3B)를 조작하여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는 반대로, 차고 등에 장기간 정차시켜 두는 경우에는,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레버(62)를 자유 상태[보유 지지 플레이트(64)에 보유 지지하지 않는 상태]로 설정하여 로크 플레이트(58)를 작용 자세로 설정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18)을 스텝핑 조작한 경우에는, 결합 핀(63)이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로크 플레이트(58)의 가이드면(58B)에 접촉하여 로크 플레이트(58)의 상단부를 전방측으로 요동시키고, 이 후에, 결합 핀(63)이 로크 플레이트(58)의 결합 오목부(58A)에 결합하고,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의해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복귀 스프링(5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기구(3B)를 제동 상태로 유지하고, 브레이크 기구(3B)를 주차 브레이크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이와 같이, 예취 클러치 레버(16)가 오프 위치 「오프」에 있는 상태에서 부 변속 레버(15)를 고속 위치 「H」로 조작한 경우에는, 부 변속 레버(15)의 조작에 수반하여 견제 부재(31)가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기단부(16A)의 상방에서, 가이드 플레이트(30)의 하측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예취 클러치 레버(16)를 온 위치 「온」측으로 조작하려고 한 경우에는,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기단부(16A)의 상면과 견제 부재(31)의 하면이 서로를 따르는 자세로, 견제 부재(31)의 하면측에 기단부(16A)가 접촉한다. 이 접촉에서는 견제 부재(31)를 되미는 분력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고, 예취 클러치 레버(16)를 강하게 조작한 경우에도, 이 조작이 확실하게 저지되어, 예취 클러치(6)의 온 위치 「온」으로의 조작이 견제된다.
또한, 예취 클러치 레버(16)가 온 위치 「온」에 있는 상태에서 부 변속 레버(15)를 고속 위치 「H」측으로 조작하려고 한 경우에는, 견제 부재(31)가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기단부(16A)에 접촉하므로, 부 변속 레버(15)의 고속 위치 「H」로의 조작은 견제된다. 이러한 견제 상태에 있어서, 부 변속 레버(15)를 강하게 조작한 경우에는, 견제 부재(31)로부터 예취 클러치 레버(16)에 대하여 오프 위치 「오프」의 방향으로 조작시키는 힘이 작용하므로, 이 부 변속 레버(15)의 조작에 의한 예취 클러치 레버(16)의 오프 위치 「오프」로의 조작이 허용된다.
특히, 이 구성에서는, 견제 부재(31)로서,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를 사용하고, 가이드 플레이트(30)의 하면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므로, 견제 부재(31)를 작은 스페이스에 배치하여 공간 절약으로 견제 기구를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작동 형태로 예취 클러치 레버(16)와 부 변속 레버(15)의 견제를 실현하므로 고정밀도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견제 부재(31)도 적은 부품 개수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스텝핑 조작으로 브레이크 기구(3B)를 조작하는 브레이크 페달(18)을 스텝핑 위치에서 보유 지지하는 로크 플레이트(58)를 구비하고, 전환 레버(62)와 보유 지지 플레이트(64)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58)의 자세의 전환을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로크 플레이트(58)를 비작용 자세로 설정해 둠으로써, 주행 시에 브레이크 기구(3B)를 일시적으로 조작하여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로크 플레이트(58)를 작용 자세로 설정해 둠으로써, 브레이크 기구(3B)를 주차 브레이크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에 의해 주행하는 주행 기체(A)의 전단부에 승강 실린더(1010)의 작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예취부(B)를 구비하는 동시에, 주행 기체(A)의 전방부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C)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A)에 대하여 예취부(B)로부터 예취 곡간이 공급되는 탈곡 장치(D)와, 이 탈곡 장치(D)에서 선별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E)를 구비하여 자탈형의 콤바인이 구성되어 있다.
이 콤바인은, 수확 작업 시에 예취부(B)와 탈곡 장치(D)를 구동한 상태에서 주행 기체(A)를 전진시킴으로써 예취부(B)에서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여 곡간의 예취를 행하고, 예취한 곡간을 탈곡 장치(D)에 반송하여 탈곡 처리를 행하고, 이 탈곡 장치(D)의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곡립 탱크(E)에 저류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부(C)에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스텝(1011)과,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1012)이 구비되는 동시에, 운전 좌석(1012)의 전방 위치에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종 레버(1013)가 구비되고, 운전 좌석(1012)의 측방 위치의 측부 조종 탑으로서의 사이드 패널에, 주 변속 레버(1014)와, 부 변속 레버(1015)와, 예취 클러치 레버(1016)와, 탈곡 클러치 레버(1017)가 구비되고, 스텝(1011)에는 브레이크 페달(1018)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주 변속 레버(1014)와, 부 변속 레버(1015)와, 예취 클러치 레버(1016)와, 탈곡 클러치 레버(1017)는 사이드 패널의 상면을 형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019)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에 삽입 관통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운전 좌석(1012)의 하부 위치에는 엔진(102)이 구비되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A)의 전방부 위치에서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는,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케이스(103)가 배치되고, 이 전동 케이스(103)의 상부에는 정유압식의 무단 변속 장치(104)(HST)가 연결되어 있다. 엔진(102)과 무단 변속 장치(104) 사이의 전동계에는 구동력을 단속하는 주 벨트 전동 기구(105)가 구비되고, 전동 케이스(103)로부터의 동력을 예취부(B)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계에는 벨트 텐션식의 예취 클러치(106)가 구비되고, 엔진(10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탈곡 장치(D)에 전달하는 전동계에는 벨트 텐션식의 탈곡 클러치(107)가 구비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103)에는 무단 변속 장치(104)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고저 2단으로 변속하는 기어식의 부 변속 기구(103T)를 내장하고 있고, 이 부 변속 기구(103T)에서 변속된 구동력을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103S)으로부터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에 전달하는 주행 구동계가 전동 케이스(103)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전동 케이스(103)에는,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103S)에 전달하는 구동력을 독립하여 단속하는 조향 클러치 기구(103A)와,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103S)에 동시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브레이크 기구(103B)를 내장하고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좌우의 조향 클러치 기구(103A)는,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좌우의 조향 실린더에 의해 조작된다.
조종 레버(1013)는, 비조작 상태에서 중립 자세를 유지하는 동시에,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로 조작된 경우에는 조향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좌우의 조향 클러치 기구(103A) 중 조작에 대응한 것[예를 들어, 우측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우측의 조향 클러치 기구(103A)]에 조향 제어 밸브로부터 작동유를 공급하여 동력을 차단하고 주행 기체(A)의 조향을 실현한다. 또한, 이 조종 레버(1013)가 전후 방향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승강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승강 실린더(1010)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행하고 예취부(B)의 승강을 실현한다.
주 변속 레버(1014)는, 주행 기체(A)를 정차시키는 중립 위치 N과, 이 중립 위치 N으로부터 전방측에 형성되는 전진 변속 영역 F와, 중립 위치 N으로부터 후방측에 형성되는 후진 변속 영역 R에 걸쳐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주 변속 레버(1014)와 무단 변속 장치(104)가 로드나 와이어 등으로 연동 연계됨으로써, 주 변속 레버(1014)의 조작에 의한 무단계에서의 변속 조작이 실현된다. 부 변속 레버(1015)는, 고속 위치 「H」와 저속 위치 「L」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부 변속 레버(1015)와 부 변속 기구(103T)가 변속 로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동 연계됨으로써, 부 변속 레버(1015)의 조작에 의해 고속 주행과 저속 주행의 전환이 실현된다.
예취 클러치 레버(1016)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조작에 의해 온 위치 「온」과 오프 위치 「오프」로 전환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조작 와이어(1050)에 의해 예취 클러치(106)와 연동 연계되어 있고, 이 예취 클러치 레버(1016)의 조작에 의해 예취 클러치(106)의 온 오프가 실현된다. 탈곡 클러치 레버(1017)는, 요동 조작에 의해 온 위치 「온」과 오프 위치 「오프」의 전환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탈곡 클러치 레버(1017)와 탈곡 클러치(107)가 로드나 와이어 등에 의해 연동 연계됨으로써 탈곡 클러치 레버(1017)의 조작에 의해 탈곡 클러치(107)의 온 오프가 실현된다.
브레이크 페달(1018)은, 전동 케이스(103)에 내장된 브레이크 기구(103B)와 브레이크 조작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동 연계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1018)의 스텝핑 조작에 연계하여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에 제동력을 작용시킨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A)의 기체 프레임(AF)은, 전후 방향 자세로 양 사이드에 배치되는 종프레임(1071)과, 이들을 연결하는 횡방향 자세의 복수의 횡프레임(1072)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종프레임(1071) 중, 우측(운전부측)의 것이 스텝(1011)의 전단부 위치까지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이 연장 설치 부위와 평행하는 자세로 되는 보조 종프레임(1073)이 기체 내측에 구비되고, 이 보조 종프레임(1073)과 우측의 종프레임(1071)을 연결하는 횡방향 자세의 보조 횡프레임(1074)이 구비되어 있다.
보조 종프레임(1073)의 전단부에서 기체 내측에는, 이 보조 종프레임(1073)의 기체 중앙측의 내면측보다 더욱 기체 중앙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프레임(1075)을 구비하고 있고, 이 돌출 프레임(1075)에는 스텝(1011)을 지지하는 지주 형상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의 하단부가 연결된다.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스텝(1011)은 복수의 지주 형상 프레임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무단 변속 장치(104)는 전동 케이스(103)의 상부의 측면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무단 변속 장치(104)의 상부가 기체 프레임(AF)과 중복되는 레벨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 관계로부터 무단 변속 장치(104)의 수리나 점검 등의 목적으로 전동 케이스(103)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는, 이 무단 변속 장치(104)를 전동 케이스(103)로부터 이격하는 방향(기체 외측)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고, 이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단 변속 장치(104)의 외면과, 이것에 근접하는 보조 종프레임(1073) 사이에 제거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거리 S가 설정되어 있다.
즉, 보조 종프레임(1073)이 기체 외측으로 변위하는 배치를 채용하는 동시에, 지주 형상 프레임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돌출 프레임(1075)을, 보조 종프레임(1073)의 전단부측에서 무단 변속 장치(104)와 간섭하지 않는 전방부 위치에 연결함으로써 거리 S를 만들어 내면서, 스텝(1011)의 지지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예취부〕
도 11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부(B)는, 식립 곡간의 분초를 행하는 복수의 분초구(1021)와, 식립 곡간을 기립시키는 복수의 기립 장치(1022)와, 식립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는 클리퍼형의 예취 장치(1023)와, 이 예취 장치(1023)에서 밑동이 절단된 곡간을 반송하여 탈곡 장치(D)의 피드 체인(FC)에 공급하는 반송 장치(102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예취부(B)는, 기체 프레임(AF)의 전단부의 예취부 지지대(1025)에 대하여 횡방향 자세의 주축 코어(X)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둥근 파이프 형상의 지지 프레임(1026)과, 이 지지 프레임(1026)으로부터 전방 경사 하강으로 돌출되는 파이프 형상의 주 프레임(1027)과, 이 주 프레임(1027)의 하단부 위치에 연결되는 횡방향 자세로 파이프 형상의 전방부 프레임(1028)과, 이 전방부 프레임(1028)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는 자세로 기립 장치(102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프레임(1029)을 구비하는 동시에, 주 프레임(1027)의 상단부와 기립 장치(1022)의 상단부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030)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1026)에는 전동 축(1026A)이 내장되고, 이 전동 축(1026A) 중 엔진측의 단부에 입력 풀리(104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예취부(B)에서는, 전동축(1026A)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주 프레임(1027)의 내부의 전동 축(도시하지 않음)과, 전방부 프레임(1028)의 내부의 전동 축(도시하지 않음)과, 전동 프레임(1029)의 내부의 전동 축(도시하지 않음)에 순차 전달하는 전동계가 구성되고, 이 전동계로부터의 구동력이 기립 장치(1022)와 예취 장치(1023)와 반송 장치(1024)에 전달되고 있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 프레임(1027)의 중간부에서, 주행 기체(A)에 대향하는 부위에 브래킷(1032)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브래킷(1032)의 상방 위치의 주 프레임(1027)의 후방부에는 횡방향 자세의 지지 핀(1033)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좌우 한 쌍의 아암체(1034)가 아래로 드리워지는 자세로 구비되고, 승강 실린더(1010)의 피스톤 로드(1010A)의 선단 근처에 구동 핀(1035)이 관통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 구동 핀(1035)이 좌우의 아암체(1034)의 하단부에 관통하는 형태로 연결되고, 좌우의 아암체(1034)의 하단부에는, 이 아암체(1034)를 브래킷(1032)에 연결하도록 아암체(1034)와 브래킷(1032)을 관통하는 고정 핀(1036)이 구비되어 있다.
아암체(1034)의 중간 위치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보유 지지 프레임(1037)이 좌우의 아암체(1034)를 연결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이 보유 지지 프레임(1037)의 한 쌍의 단부가 아암체(1034)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037A)로서 형성되고, 이 돌출부(1037A)에 연결 구멍(1037B)이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1032)에는 구동 핀(1035)이 결합하기 위해 후방으로 개방하는 형상의 결합 오목부(1032A)가 형성되고, 이 브래킷(1032)의 상단부 위치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스토퍼(1038)가 고정되어 있다. 이 스토퍼(1038)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승강 실린더(1010)의 실린더부(1010B)의 전단부의 상부에는 블록체(1039)가 고정 설치되고, 이 블록체(1039)에 대하여 전후 방향 자세로 형성된 나사 구멍에 대하여 접촉 볼트(1040)가, 그 볼트 헤드(1040A)를 전방으로 돌출되는 자세로 나사 결합하고 있고, 블록체(1039)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는 접촉 볼트(1040)의 나사 부분에 로크 너트(1041)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승강 실린더(1010)의 피스톤 로드(1010A)의 선단을 브래킷(1032)의 결합 오목부(1032A)에 걸리게 하고 있으므로, 승강 실린더(1010)의 신축 작동에 의해 주축 코어(X)를 중심으로 하여 주 프레임(1027)을 요동시키고, 도 11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부(B)의 승강이 실현된다.
이 콤바인에서는, 크롤러 주행 장치(101)의 후단부측이 포장(圃場)에 가라앉은 경우와 같이 주행 기체(A)의 전방부가 기립된 자세에 있어서도 수확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크롤러 주행 장치(101)의 접지 위치를 연결하는 가상 라인보다 낮은 레벨까지 예취부(B)의 전단부를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예취부(B)를 지나치게 하강시킨 경우에는 주행 기체(A)의 자세가 변화되었을 때에 분초구(1021)가 포장면에 접촉하여 파손하는 경우도 있어, 스토퍼(1038)와 접촉 볼트(1040)의 위치 관계의 조절에 의해 예취부(B)의 하강 한계를 임의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접촉 볼트(1040)의 회전에 의해 돌출량을 임의로 설정하고, 로크 너트(1041)를 블록체(1039)의 후방면에 압접시킴으로써, 이 접촉 볼트(1040)의 볼트 헤드(1040A)가 스토퍼(1038)에 접촉할 때의 예취부(B)의 레벨을 예취부(B)의 하강 한계로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이 하강 한계 레벨을 초과하여 예취부(B)가 하강하는 작동이 저지되는 것이다.
또한, 이 콤바인에서는 승강 실린더(1010)를 크게 신장시켜 예취부(B)를 높은 레벨까지 상승시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보유 지지 프레임(1037)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승강 실린더(1010)의 신장 작동에 의해 예취부(B)를 상승시켜 엔진(102)을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지지 핀(1033)과 고정 핀(1036)을 빼내고,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핀(1035)을 중심으로 하여 아암체(1034)를 승강 실린더(1010)의 상방을 덮는 위치까지 요동시키고, 보유 지지 프레임(1037)의 돌출부(1037A)의 단부 테두리가 승강 실린더(1010)의 실린더부(1010B)의 전단부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보유 지지 프레임(1037)의 연결 구멍(1037B)에 대하여 지지 핀(1033)이나 고정 핀(1036) 등을 삽입 관통하는 조작이 행해진다.
이러한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보유 지지 프레임(1037)이 피스톤 로드(1010A)의 상면측에서, 이 보유 지지 프레임(1037)의 돌출부(1037A)의 단부 테두리가 승강 실린더(1010)의 실린더부(1010B)의 전단부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이 배치 상태에서 보유 지지 프레임(1037)의 연결 구멍(1037B)에 삽입 관통한 지지 핀(1033) 등이 피스톤 로드(1010A)의 하측에 배치되므로, 이 위치에 보유 지지 프레임(1037)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가 저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승강 실린더(1010)의 유로계로부터 오일이 누설해도, 피스톤 로드(1010A)의 수축을 보유 지지 프레임(1037)과 아암체(1034)가 저지하게 되고 예취부(B)의 하강이 저지된다.
〔예취 클러치〕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103)의 측면에 주행 속도에 동기한 회전력을 취출하는 출력 풀리(1043)가 구비되고, 이 출력 풀리(1043)와, 전술한 입력 풀리(1042)에 걸쳐 무단 벨트(1044)가 권회되어 있다. 이 무단 벨트(1044)에 장력을 작용시키는 전동 위치와, 장력을 해제하는 동력 차단 위치로 전환 가능한 텐션 풀리(1045)가 텐션 아암(1046)(단속 조작 부재의 일례)의 요동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텐션 아암(1046)은, 예취부 지지대(1025)에 대하여 횡방향 자세의 아암 축(1047)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텐션 아암(1046)의 조작부(1046A)와 예취 클러치 레버(1016)가 조작 와이어(1050)로 연동 연계되어 있다. 이 입력 풀리(1042)와 출력 풀리(1043)와 무단 벨트(1044)와 텐션 아암(1046)에 지지된 텐션 풀리(1045)로 전술한 예취 클러치(106)가 구성되어 있다.
예취 클러치 레버(1016)는, 가이드 플레이트(1019)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태에서 횡방향 자세의 축심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온 위치 「온」으로 조작함으로써 예취 클러치(106)를 온 상태로 설정하고, 오프 위치 「오프」로 조작함으로써 예취 클러치(106)를 오프 상태로 설정하도록 조작 와이어(1050)를 통해 연동 연계되어 있다(이 구성의 상세한 것은 후술함). 또한, 예취 클러치 레버(1016)를 온 위치 「온」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이 조작과 연계하여 탈곡 클러치 레버(1017)를 온 위치로 조작하도록 기계적인 연계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이 연계 기구는, 예취 클러치 레버(1016)를 온 위치 「온」으로부터 오프 위치 「오프」로 복귀시킨 경우에도 탈곡 클러치 레버(1017)는 온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콤바인에서는, 예취 클러치 레버(1016)를 온 위치 「온」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예취부(B)를 설정 레벨을 초과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킨 경우에는, 예취 클러치 레버(1016)를 온 위치 「온」으로 유지한 채 예취 클러치(106)를 오프 조작하고, 이 후에 예취부(B)를 설정 레벨 미만의 레벨까지 하강시킨 경우에 예취 클러치(106)를 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연동 조작 기구(G)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동 조작 기구(G)는 오토 클러치라고도 칭해지는 것이며, 이 연동 조작 기구(G)의 상세를 이하에 설명한다.
〔연동 조작 기구〕
횡방향 자세의 작동 축(1051)에 예취 클러치 레버(1016)의 기단부가 연결되고, 이 작동 축(1051)과 일체적으로 요동하는 작동 아암(1052)의 요동 단부에 원호 형상의 작동 링크(1053)의 일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조작 와이어(1050)는, 이너 와이어(1050A)와 아우터 와이어(1050B)로 구성되고, 이너 와이어(1050A)의 한쪽의 단부(도면에서는 상단부)가 작동 링크(1053)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이 이너 와이어(1050A)의 다른 쪽의 단부(도면에서는 하단부)가 텐션 아암(1046)(단속 조작 부재의 일례)의 조작부(1046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조작 와이어(1050)의 아우터 와이어(1050B) 중 예취 클러치 레버측의 단부[이하, 고정 단부(1050Bf)라고 칭함]가 기체 프레임(AF)에 지지되고, 이 아우터 와이어(1050B) 중 예취 클러치측의 단부[이하, 가동 단부(1050Bm)라고 칭함]가 중간 부재(1055)에 지지되어 있다.
중간 부재(1055)는, 고정 단부(1050Bf)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기체 프레임(AF)에 대하여 횡방향 자세의 축체(1056)를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요동에 의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단부(1050Bm)를 텐션 아암(1046)의 조작부(1046A)에 근접시키는 근접 자세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1046A)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 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중간 부재(1055)는, 코일 스프링(1057)에 의해 가동 단부(1050Bm)를 텐션 아암(1046)의 조작부(1046A)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 자세를 향해 가압되고, 또한, 이 중간 부재(1055)에는 아암부(1055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 부재(1055)가 도 14에 도시하는 이격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는, 아우터 와이어(1050B)의 고정 단부(1050Bf)와 가동 단부(1050Bm) 사이의 영역의 아우터 와이어(1050B)와, 그 내부의 이너 와이어(1050A)를 긴장시키므로 예취 클러치 레버(1016)의 온 위치 「온」으로의 조작에 수반하여 예취 클러치(106)의 온 조작을 실현하고, 예취 클러치 레버(1016)의 오프 위치 「오프」로의 조작에 의해 동 도면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106)의 오프 조작을 실현한다.
특히, 중간 부재(1055)가 도 15에 도시하는 근접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는, 아우터 와이어(1050B)의 고정 단부(1050Bf)와 가동 단부(1050Bm) 사이의 영역의 아우터 와이어(1050B)와, 그 내부의 이너 와이어(1050A)를 이완시키므로, 예취 클러치 레버(1016)가 온 위치 「온」으로 조작되어도(이미 온 위치 「온」에 있어도), 예취 클러치(106)가 오프 상태로 된다.
예취부(B)의 연결 프레임(1030)은, 중간부가 상방으로 일어나는 역U자 형상으로 성형되는 동시에, 전단부가 기립 장치(1022)의 후방면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지지 프레임(1026)에 연결되고, 예취부(B)의 승강에 수반하여 상하로 요동한다. 이 연결 프레임(1030)의 후방부의 후방면측에 가이드 기구(1059)가 구비되고, 이 가이드 기구(1059)와, 중간 부재(1055)의 아암부(1055A) 사이에 막대 형상의 작동 부재(1060)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연동 조작 기구(G)는, 중간 부재(1055)에 기단부가 연결되는 작동 부재(1060)와, 연결 프레임(1030)[예취부(B)]에 구비되는 가이드 기구(105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기구(1059)는, 연결 프레임(1030)의 후방면을 따르는 자세(전방측일수록 상방을 향하는 경사 자세)의 가이드부(1059A)와, 이 가이드부(1059A)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안내벽(1059B)과, 가이드부(1059A)의 상단부에 있어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규제 부재(1059C)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 부재(1060)는, 막대 형상의 작동 로드(1061)와, 이 선단의 나사부(1061A)에 나사 결합하는 베어링 블록(1062)과, 이 베어링 블록(1062)을 고정하기 위해 나사부(1061A)에 나사 결합하는 고정 너트(1063)와, 베어링 블록(1062)에 대하여 지지축(106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1065)를 구비하는 동시에, 작동 로드(1061)의 기단부에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106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 플레이트(1066)가 횡방향 자세의 연결 핀(1068)에 의해 아암부(1055A)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롤러(1065)가 가이드 기구(1059)의 가이드부(1059A)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부(B)가 설정 레벨 미만에 있는 상태에서 예취 클러치 레버(1016)를 온 위치 「온」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이 조작에 수반하여 텐션 아암(1046)이 전동 위치로 조작되므로, 텐션 풀리(1045)를 무단 벨트(1044)에 압접시켜 예취 클러치(106)의 온 조작이 실현된다. 또한, 예취 클러치(106)가 온 상태에 있는 상황에서 예취부(B)의 상승을 개시한 경우에는, 예취부(B)가 설정 레벨에 도달하기 직전에 가이드 기구(1059)의 규제 부재(1059C)에 대하여 작동 부재(1060)의 롤러(1065)가 접촉하고, 이 작동 부재(1060)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박력에 의해, 작동 부재(1060)가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변위하고, 코일 스프링(105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중간 부재(1055)를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킨다. 그리고 상승에 의해 예취부(B)가 설정 레벨에 도달하면, 중간 부재(1055)가 접근 자세에 도달하므로, 텐션 아암(1046)이 동력 차단 위치까지 조작되고, 예취 클러치(106)가 오프 조작된다.
특히, 예취부(B)의 상승에 수반하여 중간 부재(1055)가 이격 자세로부터 근접 자세로 요동함으로써, 아우터 와이어(1050B)의 고정 단부(1050Bf)와 가동 단부(1050Bm) 사이의 영역의 아우터 와이어(1050B)와, 그 내부의 이너 와이어(1050A)를 이완시키는 상태에 도달한다. 이 이완에 의해 이너 와이어(1050A)로부터 텐션 아암(1046)에 작용하는 장력을 저감하여, 텐션 아암(1046)의 동력 차단 위치로의 변위를 허용하므로, 예취 클러치 레버(1016)를 온 위치 「온」으로 유지한 채, 예취 클러치(106)의 오프 조작이 실현되는 것이다.
이 후, 예취부(B)가 설정 레벨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강하였을 때에는, 코일 스프링(1057)의 가압력에 의해 중간 부재(1055)가 역방향으로 요동하여 이격 자세에 도달하므로 예취 클러치(106)가 온 상태로 복귀한다.
이 연동 조작 기구(G)에서는, 작동 로드(1061)의 나사부(1061A)에 나사 결합하는 베어링 블록(1062)을 회전시킴으로써, 이 작동 로드(1061)에 대한 롤러(1065)의 돌출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롤러(1065)의 돌출량을 조절하고 고정 너트(1063)로 고정함으로써, 예취 클러치(106)를 오프 조작하는 예취부(B)의 설정 레벨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작동 부재(1060)의 기단부가 연결 핀(1068)을 통해 중간 부재(1055)의 아암부(1055A)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롤러(1065)가 가이드 기구(1059)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성이므로, 작동 부재(1060)의 선단측을 인위적으로 들어올리고, 롤러(1065)를 가이드 기구(1059)로부터 이격시키는 비작용 상태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비작용 상태로 유지한 경우에는, 예취부(B)가 설정 레벨을 초과하여 상승한 경우에도 예취 클러치(106)를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포장면이 연질이고 크롤러 주행 장치(101)가 크게 가라앉는 작업 환경에서는, 수확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예취부(B)를 통상의 작업 레벨보다 높은 레벨[대(對) 기체 레벨]에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통상의 작업 시에 예취부(B)가 설정 레벨을 초과하는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도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예취 클러치(106)를 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연동 조작 기구(G)의 작동 부재(1060)를 비작용 위치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이와 같이, 예취부(B)가 설정 레벨을 초과하여 상승한 경우에는 연동 조작 기구(G)가 예취 클러치(106)를 온 상태로부터, 강제적으로 오프 상태로 조작함으로써, 예를 들어, 주행 기체(A)를 침지(枕地)에서 선회시키는 경우에도 예취부(B)를 불필요하게 구동하는 일이 없다. 연동 조작 기구(G)가 예취부(B)의 연결 프레임(1030)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 기구(1059)와, 이 가이드 기구(1059)의 규제 부재(1059C)에 접촉하여 누름 조작되는 작동 부재(106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취 클러치(106)를 오프 조작하기 위한 구성이 단순해지고, 조립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고 적은 부품 개수로 조립하기 쉽게 구성되었다.
또한, 지지 프레임(1026)에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030)에 대하여 가이드 기구(1059)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 가이드 기구(1059)와 중간 부재(1055) 사이에 구비되는 작동 부재(1060)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이 작동 부재(1060)의 작동 로드(1061)에 대한 롤러(1065)의 돌출량을 나사식으로 조절하여 예취 클러치(106)를 오프 조작하는 설정 레벨의 조절을 임의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작동 부재(1060)로서 작동 로드(1061)의 단부에 롤러(1065)를 구비하고, 이 롤러(1065)를 가이드 기구(1059)로부터 이격하는 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취부(B)가 설정 레벨을 초과하여 상승하는 경우에도 예취 클러치(106)를 온 상태로 유지하여 수확 작업을 계속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예취부(B)의 하강 한계를 스토퍼(1038)와 접촉 볼트(1040)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예취부(B)를 과잉으로 하강시킨 경우와 같이, 분초구(1021)를 포장면에 접촉시켜 파손시키는 문제를 억제하고, 예취부(B)를 고레벨까지 상승시킨 상태에는 보유 지지 프레임(1037)을 이용하여 승강 실린더(1010)의 수축을 기계적으로 저지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예취부(B)를 상승시키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 이외에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이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먼저 설명한 실시 형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것에 실시 형태와 공통인 번호, 부호를 부여하고 있음).
(a)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106)의 텐션 아암(1046)에 대하여 클러치 온 방향으로 압박력을 작용시키는 클러치 스프링(1081)을 구비하는 동시에, 예취 클러치 레버(1016)의 조작에 수반하여 예취 클러치(106)를 조작하는 조작 와이어(1050)와, 축체(1056)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간 부재(105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다른 실시 형태 (a)에서도 연동 조작 기구(G)가, 중간 부재(1055)에 기단부가 연결되는 작동 부재(1060)와, 연결 프레임(1030)[예취부(B)]에 구비되는 가이드 기구(1059)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조작 와이어(1050)도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다른 실시 형태 (a)에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아우터 와이어(1050B)의 고정 단부(1050Bf)가 기체 프레임(AF)에 지지되고, 가동 단부(1050Bm)가 중간 부재(1055)에 지지되어 있지만, 이 중간 부재(1055)에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코일 스프링(1057)의 가압 방향이, 조작 와이어를 이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설정되고, 예취 클러치 레버(1016)를 온 위치 「온」으로 조작한 경우에 이너 와이어(1050A)를 이완시키고, 예취 클러치 레버(1016)를 오프 위치 「오프」로 조작한 경우에 이너 와이어(1050A)를 긴장시키도록 구성되고, 또한, 예취부(B)가 설정 레벨을 초과하여 상승한 경우에 작동 부재(1060)에 의해 중간 부재(1055)를 요동시키는 방향이 실시 형태와 역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예취부(B)가 설정 레벨 미만에 있는 상태에서 예취 클러치 레버(1016)를 온 위치 「온」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이너 와이어(1050A)가 이완하므로 클러치 스프링(1081)의 가압력에 의해 예취 클러치(106)가 온 상태로 된다. 또한, 예취 클러치 레버(1016)를 오프 위치 「오프」로 설정한 경우에 조작 와이어(1050)의 이너 와이어(1050A)를 당김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스프링(108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예취 클러치(106)를 오프 조작한다.
그리고 예취 클러치 레버(1016)를 온 위치 「온」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예취부(B)가 설정 레벨을 초과하여 상승한 경우에는, 작동 부재(1060)로부터의 누름 조작력에 의해 중간 부재(1055)가 요동하고, 이 요동에 의해 아우터 와이어(1050B)의 고정 단부(1050Bf)와 가동 단부(1050Bm) 사이의 영역의 아우터 와이어(1050B)와, 그 내부의 이너 와이어(1050A)를 긴장시키므로, 예취 클러치 레버(1016)를 온 위치 「온」으로 유지한 채 예취 클러치(106)의 오프 조작이 실현된다.
(b) 중간 부재(1055)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나, 링크 기구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것이라도 실시 형태와 같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 것과 마찬가지로 조작 와이어(1050)의 아우터 와이어(1050B)의 단부를 이동시켜 예취 클러치(106)의 단속 조작을 행할 수 있다.
(c) 예취 클러치(106)를, 복수의 마찰판을 압접시킴으로써 구동력의 전동을 행하고, 마찰판에 작용하는 압력을 해제함으로써 동력의 차단을 행하는 마찰 다판식으로 구성하는 등, 무단 벨트(1044)에 작용하는 장력의 전환으로 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구성 이외의 클러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통형의 콤바인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행 기체에 승강 가능하게 예취부를 구비하고, 이 예취부의 구동과 정지를 행하는 예취 클러치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보통형의 콤바인에도 이용할 수 있다.
15 : 변속 레버(부 변속 레버)
16 : 예취 클러치 레버
16A : 기단부
16B : 주 레버부
30 : 가이드 플레이트
31 : 견제 기구·견제 부재
106 : 예취 클러치
1016 : 예취 클러치 레버
1046 : 단속 조작 부재(텐션 아암)
1050 : 조작 와이어
1050A : 이너 와이어
1050B : 아우터 와이어
1050Bm : 단부(가동 단부)
1055 : 중간 부재
1059 : 가이드 기구
1059C : 규제 부재
1060 : 작동 부재
1065 : 롤러
A : 주행 기체
AF : 기체 프레임
B : 예취부
G : 연동 조작 기구
G15 : 변속 레버 가이드 구멍(부 변속 가이드 구멍)
G16 : 예취 클러치 레버 가이드 구멍(예취 클러치 가이드 구멍)
H : 고속 위치
X2 : 요동 축심(제2 요동 축심)
오프 : 오프 위치
온 : 온 위치

Claims (2)

  1. 예취부에 전달되는 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예취 클러치를 구비하고, 이 예취 클러치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부의 상승에 연동하여, 온 상태에 있는 상기 예취 클러치의 오프 조작을 행하는 연동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의 조작력을 상기 예취 클러치에 전달하는 조작 와이어가 이너 와이어와 아우터 와이어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너 와이어의 한쪽의 단부를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에 연결하고, 다른 쪽의 단부를 상기 예취 클러치의 단속 조작 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측의 단부를 기체 프레임에 지지하고, 상기 예취 클러치측의 단부를 중간 부재에 지지하고,
    상기 중간 부재가,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단부를 상기 단속 조작 부재에 근접시키는 근접 자세와, 상기 단속 조작 부재로부터 이격하는 이격 자세로 변위 가능하게 상기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는 동시에, 이 변위에 수반하는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예취 클러치의 온 오프 조작을 행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동 조작 기구가, 상기 중간 부재에 기단부측이 연계하는 막대 형상의 작동 부재와, 상기 예취부에 지지한 규제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 연동 조작 기구는, 상기 예취부가 설정 레벨을 초과하여 상승한 경우에 상기 작동 부재의 선단부에 상기 규제 부재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작동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박력에 의해 상기 중간 부재를 변위시켜 상기 예취 클러치를 오프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한 롤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예취부에는, 상기 설정 레벨 미만에서의 승강 시에 상기 롤러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상기 롤러의 이동을 허용하는 가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이 가이드 기구의 단부에 상기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
KR1020190017184A 2011-04-28 2019-02-14 콤바인 KR101983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01470A JP5612534B2 (ja) 2011-04-28 2011-04-28 コンバイン
JPJP-P-2011-101469 2011-04-28
JP2011101469A JP5792505B2 (ja) 2011-04-28 2011-04-28 コンバイン
JPJP-P-2011-101470 2011-04-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721A Division KR101951041B1 (ko) 2011-04-28 2012-04-27 콤바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712A KR20190020712A (ko) 2019-03-04
KR101983531B1 true KR101983531B1 (ko) 2019-05-28

Family

ID=475091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721A KR101951041B1 (ko) 2011-04-28 2012-04-27 콤바인
KR1020190017184A KR101983531B1 (ko) 2011-04-28 2019-02-14 콤바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721A KR101951041B1 (ko) 2011-04-28 2012-04-27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9510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8945B2 (ja) * 2013-05-09 2017-04-05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106A (ja) 2002-08-20 2004-03-1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作業車
JP2007300894A (ja) 2006-05-15 2007-11-22 Iseki & Co Ltd 刈取クラッチ機構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7385U (ko) * 1978-09-05 1980-03-10
JPH0551040U (ja) * 1991-12-24 1993-07-09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フートペダル式刈取クラッチ切換装置
JP3285491B2 (ja) * 1996-05-23 2002-05-27 三菱農機株式会社 刈取収穫作業機における高速切換装置
JP3806971B2 (ja) * 1996-06-07 2006-08-09 井関農機株式会社 刈取クラッチの操作装置
JP2787030B2 (ja) 1997-06-05 1998-08-13 株式会社クボタ 農作業機のクラッチ操作構造
JP2010124764A (ja) 2008-11-28 2010-06-10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JP5257245B2 (ja) * 2009-05-29 2013-08-07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KR101794347B1 (ko) * 2009-10-29 2017-11-0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106A (ja) 2002-08-20 2004-03-1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作業車
JP2007300894A (ja) 2006-05-15 2007-11-22 Iseki & Co Ltd 刈取クラッ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964A (ko) 2012-11-07
KR20190020712A (ko) 2019-03-04
KR101951041B1 (ko)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9971B2 (ja) 田植機
KR101983531B1 (ko) 콤바인
KR20100125250A (ko) 주행식 농작업기
JP7032974B2 (ja) 変速機付き車両
KR100375582B1 (ko) 수전작업기
JP5432871B2 (ja) 作業車
JP2010029134A5 (ko)
JP2010029134A (ja) 苗植機
KR100658009B1 (ko) 승용형 무논 작업기
JP2008253231A (ja) 走行車体
JP5792505B2 (ja) コンバイン
JP5612534B2 (ja) コンバイン
WO2019092992A1 (ja) 田植機
JP2009207437A (ja) 乗用型田植機
JP2011193816A (ja) 田植機
JP2006081539A (ja) 作業車の操作装置
JP6424785B2 (ja) 苗移植機
JP2004149052A (ja) 乗用形作業機の旋回操作構造
JP2015217741A (ja) 作業車両
JP2021003067A (ja) 移植機
KR101830972B1 (ko) 작업차
JP5802036B2 (ja) 作業車両
JP2001225651A (ja) 水田作業機の変速操作構造
JP2016185796A (ja) 作業車両
JP5769985B2 (ja) 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