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678B1 -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게임기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678B1
KR101978678B1 KR1020177035477A KR20177035477A KR101978678B1 KR 101978678 B1 KR101978678 B1 KR 101978678B1 KR 1020177035477 A KR1020177035477 A KR 1020177035477A KR 20177035477 A KR20177035477 A KR 20177035477A KR 101978678 B1 KR101978678 B1 KR 101978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shaft
fitting
press
ope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6412A (ko
Inventor
히로시 하야사카
다이지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180006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63F13/245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game, e.g. steer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4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involving timing of operations, e.g. performing an action within a time sl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4Musical performances, e.g. by evaluating the player's ability to follow a n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Abstract

압입 조작 및 회전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조작부(11), 및 조작부(11)로부터 압입 조작의 방향으로 연장된 축형부(12)를 갖는 조작 부재(10)와, 축형부(12)가 그 축선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고도 축선의 둘레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베어링부(33)를 갖는 지지 구조체(30)와, 압입 조작에 대한 복원력을 조작 부재(10)에 부여하는 스프링 부재(37)와, 조작 부재(10)의 압입 조작에 수반하는 변위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압입 조작 검출 스위치(42)와, 조작 부재(10)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는 변위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 조작 검출 기구(45)를 입력 장치(5)에 설치한다.

Description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게임기
본 발명은 게임기 등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게임기 등의 각종 장치, 기기류에는, 유저의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입력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게임기의 분야에서는, 유저에 의해 압입 조작되는 푸쉬 버튼형 입력 장치와, 유저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디스크형 조작 부재를 구비한 입력 장치를 설치한 예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압입 조작 및 대략 수평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이 가능한 조작 부재의 외주에, 회전 조작이 가능한 링형 조작 부재를 별도로 배치한 입력 장치가 설치된 게임기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0-08425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2646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44087호 공보
압입 조작용의 조작 부재에 대하여 회전 조작용의 조작 부재를 별도로 준비하고 그들 조작 부재를 조합한 입력 장치에는, 몇 가지의 검토해야 할 과제가 있다. 예를 들어, 유저는, 압입 조작과 회전 조작을 명확하게 구별하여 조작 부재를 구분지어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유저가 잘못하여 다른 조작 부재를 조작하거나, 또는, 압입 조작과 회전 조작 간에서의 조작 전환이 잘 안된다는 불편함을 느낄 우려가 있다. 또한, 2종류의 조작 부재를 설치하는 것은, 부품 개수가 증가하여 장치의 구성이 복잡화되고, 또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함에 있어서도 불리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압입 조작 및 회전 조작에 적합한 비교적 간소한 구성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는, 압입 조작 및 회전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조작부, 및 그 조작부로부터 상기 압입 조작의 방향으로 연장된 축형부를 갖는 조작 부재와, 상기 축형부가, 그 축형부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고도 상기 축형부의 축선의 둘레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베어링부를 갖는 지지 구조체와, 상기 압입 조작에 대한 복원력을 상기 조작 부재에 부여하는 복원력 부여 수단과, 상기 조작 부재의 압입 조작에 수반하는 변위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압입 조작 검출 수단과,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는 변위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 조작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가 사용된 게임기의 사시도.
도 2는 게임기에서 실행되는 게임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제1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제1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제2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제2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의 이면측의 사시도.
도 9는 제2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의 도 5와 동일한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0은 제2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의 도 6과 동일한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1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가 사용된 게임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게임기(1)는 하우징(2)을 갖고 있다. 하우징(2)은 유저가 서서 플레 이하는 종형 하우징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의 전방면 중앙부에는 컨트롤 패널(3)이 설치되고, 그 상방에는 세로로 긴 표시 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 패널(3)에는, 복수(도시된 예에서는 5개)의 입력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각 입력 장치(5)는 디스크형 조작 부재(10)를 갖고, 그 조작 부재(10)에 대한 압입 조작과 회전 조작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한다. 입력 장치(5)는 하우징(2)의 표시 장치(4)와 대향하는 유저로부터 보아서, 조작 부재(10)가 전후 2열로 나누어서 배열되도록 하여 하우징(2)에 설치되어 있다. 전열에는 2개의 입력 장치(5)가 후열에는 3개의 입력 장치(5)가 설치되고, 그들 조작 부재(10)는 지그재그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의 저부 전방에는, 다른 입력 장치로서 풋 스위치(6)가 설치되어 있다. 풋 스위치(6)는 유저에게 의한 답입 조작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한다. 게임기(1)에는, 상기 이외에도, 소리 재생용의 좌우 한 쌍의 스피커 유닛(7L, 7R), 게임의 플레이 요금의 지불이나 유저의 인증 등을 처리하기 위한 콘솔 유닛(8)과 같은 각종 기기류가 설치되어 있다.
게임기(1)는 컴퓨터를 내장하고, 입력 장치(5)의 출력 신호를 참조하여 적당한 게임을 유저에게 플레이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게임기(1)에서 플레이되는 게임의 일례를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게임기(1)에서 플레이되는 게임은, 이하의 예에 제한하지 않는다. 입력 장치(5)로부터 출력되는 압입 조작 및 회전 조작 각각에 대응한 신호를 참조하여 제어되는 한, 게임기(1)에서 플레이되는 게임은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도 2의 게임 화면(100)은 음악에 맞춰서 유저에게 입력 장치(5)를 조작시키는 음악 게임에서 표시되는 게임 화면의 일례이다. 게임 화면(100)은 유저에게 조작을 지시할 목적으로 표시 장치(4)에 표시된다. 게임 화면(100)에는, 입력 장치(5)와 동일수(도시된 예에서는 5개)의 레인(101)이 표시되어 있다. 각 레인(101)은 게임 화면(100)의 안쪽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듯이 도시되어 있다. 5개의 레인(101)에는 상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상측에 3개의 레인(101)이 배열되고, 하측에는, 상측의 3개의 레인(10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2개의 레인(101)이 배열된다. 레인(101)의 배열은 컨트롤 패널(3)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5)의 조작 부재(10)의 배열에 대응한다. 즉, 상측의 3개의 레인(101)은 유저로부터 보아서 안쪽에 배열된 3개의 조작 부재(10)에 각각 대응하고, 하측의 2개의 레인(101)은 유저로부터 보아서 전방으로 배열된 2개의 조작 부재(10)에 각각 대응한다. 단, 게임의 오락성을 높인다고 하는 목적에서 레인(101)의 배열에 적당한 변화가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레인(101)이 연장되는 방향도 적절하게 변경되어도 된다.
각 레인(101)의 앞쪽에는 기준 마크(102)가 표시된다. 기준 마크(102)는 게임 상의 현재 시각에 대응한다. 기준 마크(102)의 배열도 레인(101)과 마찬가지로 조작 부재(10)의 배열과 대응지어져 있다. 또한, 레인(101) 상에는, 타이밍 마크(103A, 103B)가 적절하게 표시된다. 타이밍 마크(103A)는 유저에 대하여 조작 부재(10)의 압입 조작을 지시하기 위하여 표시되고, 타이밍 마크(103B)는 유저에 대하여 조작 부재(10)의 회전 조작을 지시하기 위하여 표시된다. 타이밍 마크(103A)는 레인(101)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얇은 물체로서 그려진다. 한편, 타이밍 마크(103B)는 레인(101)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적당한 길이를 갖는 물체로서 그려진다. 또한, 타이밍 마크(103B)는 회전 조작이 지시되어 있음을 유저에게 인식시키기 위해서, 나선상으로 비틀어진 형상으로 그려진다.
타이밍 마크(103A, 103B)는, 게임중에 재생되는 악곡 중의 적당한 시기에 레인(101)의 안쪽에 출현하고, 악곡의 재생에 동기한 속도로 레인(101) 상에서 앞쪽을 향하여 이동한다. 유저에게는, 타이밍 마크(103A)가 기준 마크(102)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맞춰서 그 기준 마크(102)에 대응하는 조작 부재(10)를 압입 조작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타이밍 마크(103B)가 기준 마크(102)에 달해 있는 동안, 그 기준 마크(102)에 대응하는 조작 부재(10)를 회전 조작할 것이 유저에게 요구된다. 게임중의 어느 시기에 어느 조작 부재(10)를 압입 조작 또는 회전 조작할 것인지는, 게임중에 재생될 악곡이나 그 악곡의 난이도 등에 따라서 미리 정해져 있다. 게임기(1)에 내장된 기억 매체에는, 조작 시기나 조작 대상의 조작 부재(10)를 지정하는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다. 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타이밍 마크(103A, 103B)의 출현 시기, 이동 속도 등이 게임기(1)의 컴퓨터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게임의 진행중에 있어서는, 게임 화면(100)을 통하여 지시되는 압입 조작 또는 회전 조작을 유저가 정확하게 행하고 있는지 여부가 입력 장치(5)의 출력 신호와 데이터의 대비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그 판정 결과에 따라서 유저의 스코어가 연산되어서, 그 스코어가 스코어 표시부(104)에 표시된다. 게임 화면(100)에서 지시되는 조작과 유저가 실제로 행한 조작의 일치도가 높을수록 유저의 스코어는 높게 연산되어, 유저가 획득한 스코어에 기초하여 곡이 클리어되었는지 여부와 같은 게임 결과가 판정된다.
이어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입력 장치(5)의 상세를 설명한다. 또한, 게임기(1)에 설치된 5개의 입력 장치(5)의 구성은 서로 같고, 이하에서는 단일의 입력 장치(5)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장치(5)는 상술한 조작 부재(10)에 추가로, 조작 부재(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30)를 갖고 있다. 도 4 내지 도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10)는 압입 조작 및 회전 조작의 대상으로 되어야 할 조작부(11)와, 그 조작부(11)의 이면측(도 5 및 도 6에 있어서 하면측)의 중심부로부터 압입 조작의 방향으로 연장된 축형부(12)를 갖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11)는 대략 원반상의 외관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11)의 표면 중앙부에는 육각 형상의 얕은 오목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13)는 조작부(11)의 중앙부를 압입 조작하도록 유저에게 의식시키는 표지로서 기능한다. 오목부(13)의 주위에는 복수의 돌조부(14)가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어 있다. 각 돌조부(14)는 조작부(11)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다소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1)의 외주에도 복수의 돌기부(15)가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돌조부(14) 및 돌기부(15)는 유저가 조작부(11)를 회전 조작할 때에 손가락이나 손을 걸기 쉽게 해서, 회전 조작 시의 미끄럼을 억제하는 작용을 행한다. 또한, 오목부(13), 돌조부(14) 및 돌기부(15)는 조작 부재(10)에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며, 적절하게 생략되어도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형부(12)는 제1 끼워맞춤 축부(16)와, 제1 끼워맞춤 축부(16)의 선단측에 동축적으로 설치되고 또한 제1 끼워맞춤 축부(16)보다도 다소 소직경으로 형성된 제2 끼워맞춤 축부(17)와, 제2 끼워맞춤 축부(17)의 선단측에 동축적으로 연결되는 캡부(18)와, 제1 끼워맞춤 축부(16)의 후단부측에 설치된 플랜지부(19)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부(19)는 조작부(11)의 중심부에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그에 의해, 조작부(11)와 축형부(12)는 서로 동축으로 고정되고, 또한 축형부(12)의 축선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30)는 기판(31)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31)은 대략 육각형상이며, 그 정점 부근에는 입력 장치(5)를 게임기(1)의 컨트롤 패널(3)에 설치하기 위한 복수(도에서는 3개)의 볼트 구멍(32)(도 3 및 도 6)이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31)의 이면측의 중심부에는, 베어링부로서의 축 홀더(33)가 설치되어 있다. 축 홀더(33)는 통형부(34)와, 그 통형부(34)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퍼지도록 설치된 플랜지부(35)를 갖고 있다. 통형부(34)는 대략 원통형이다. 플랜지부(35)는 기판(31)의 이면측의 중심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축 홀더(33)는 기판(31)과 함께 지지대(30)의 일부를 구성한다.
통형부(34)의 하단에는 통형부(34)의 중심측으로 다소 돌출되는 스프링 받이(36)가 형성되고, 스프링 받이(36)의 중심에는 관통 구멍(36a)이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받이(36)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통형부(34)의 내경은 일정하다. 통형부(34)의 내경은, 축형부(12)의 제1 끼워맞춤 축부(16)가 통형부(34)의 내면에 대하여 축선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적당한 느슨함을 갖고서 제1 끼워맞춤 축부(16)와 끼워 맞춰지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36a)의 내경은, 제2 끼워맞춤 축부(17)가 관통 구멍(36a)의 내면에 대하여 축선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적당한 느슨함을 갖고서 제2 끼워맞춤 축부(17)와 끼워 맞춰지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축 홀더(33)가 기판(31)에 고정된 상태에서, 통형부(34)의 내부에 축형부(12)가 삽입되어서 제1 끼워맞춤 축부(16)가 통형부(34)와, 제2 끼워맞춤 축부(17)가 스프링 받이(36)의 관통 구멍(36a)과 각각 감합되는 것에 의해, 축형부(12)는 축 홀더(33)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고도 축선의 둘레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축 홀더(33)에 설치된다. 축형부(12)를 축 홀더(33)에 장착할 때에, 제2 끼워맞춤 축부(17)의 외주에는 복원력 부여 수단의 일례로서의 스프링 부재(37)가 장착된다. 스프링 부재(37)는 일례로서 코일 스프링이며, 제2 끼워맞춤 축부(17)와 동축이다. 축형부(12)의 통형부(34)에의 삽입에 의해, 스프링 부재(37)는 스프링 받이(36)에 부딪혀서, 그 스프링 받이(36)와 제1 끼워맞춤 축부(16)의 제2 끼워맞춤 축부(17)측의 단부에 형성된 홈형 스프링 받이(16a) 사이에 끼워진다.
축형부(12)의 캡부(18)는 제2 끼워맞춤 축부(17)를 관통 구멍(36a)에 삽입한 후에, 스프링 받이(36)의 외측(하방)으로부터 제2 끼워맞춤 축부(17)에 연결된다. 캡부(18)가 연결됨으로써, 스프링 부재(37)는 다소 압축된다. 스프링 부재(37)의 압축에 수반하여, 조작 부재(10)에는 상방을 향하는 복원력(반발력)이 작용한다. 복원력은 스프링 받이(36)와 제1 끼워맞춤 축부(16)에 작용하고, 이들 스프링 받이(36)와 제1 끼워맞춤 축부(16)가 복원력의 작용부로서 기능한다. 스프링 부재(37)의 복원력으로 조작 부재(10)가 상방으로 압박됨으로써, 캡부(18)는 스프링 받이(36)의 하단으로 압박된다. 그에 의해, 압입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10)의 상하 방향 위치가 정해지고, 또한 조작 부재(10)의 상방으로의 누락이 저지된다. 즉, 캡부(18)는 압입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에 조작 부재(10)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고, 또한 조작 부재(10)를 빠짐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하에서는, 조작 부재(10)가 압입 조작되지 않고, 캡부(18)가 스프링 받이(36)에 접하고 있을 때의 조작 부재(10)의 위치를 정상 위치라 칭한다.
조작 부재(10)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축형부(12)의 플랜지부(19)와 축 홀더(33)의 상단 사이에는, 조작부(11)의 압입 조작을 허용하기 위한 간극(38)이 발생한다. 따라서, 조작부(11)는 플랜지부(19)가 축 홀더(33)의 상단에 부딪칠 때까지 압입 조작이 가능하다. 기판(31)의 표면측에는 오목부(39)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10)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조작부(11)의 외주는 그 오목부(39) 내로 다소 들어가 있다.
기판(31)의 이면측에는 브래킷(40)이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40)은 홈통 형상으로 굽힘 가공된 판금 부품이다. 브래킷(40)의 바닥에는 절개창(41)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10)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축형부(12)의 선단, 즉 캡부(18)의 선단은 절개창(41)의 약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브래킷(40)에는 마이크로스위치(42)가 설치되어 있다. 마이크로스위치(42)는 캡부(18)의 선단과 접촉하는 푸쉬 버튼형 플런저(42a)를 갖고 있다. 조작 부재(10)가 압입 조작에 따라 하방으로 변위하면, 플런저(42a)가 압입되어서 마이크로스위치(42)의 내부 접점이 도통하고, 그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42)로부터는 압입 조작의 검출을 의미하는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마이크로스위치(42)는 조작 부재(10)의 압입 조작에 수반하는 변위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압입 조작 검출 수단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장치(5)에는, 조작 부재(10)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는 변위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 조작 검출 수단의 일례로서 회전 조작 검출 기구(45)도 설치되어 있다. 회전 조작 검출 기구(45)는 캡부(18)에 동축적으로 설치되어서 축형부(12)의 축선 둘레로 축형부(12)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반(46)과, 그 회전반(46)의 회전 변위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한 쌍의 포토 센서(47)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반(46)은 가시광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회전반(46)의 외주에는 가시광을 차단하는 차광부(46a)가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일부의 차광부(46a)를 도시했지만, 차광부(46a)는 회전반(46)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일정한 각도 피치 PT로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 센서(47)는 센서 지지판(48)을 통하여 기판(31)에 설치되어 있다. 포토 센서(47)는 발광부(47a)로부터 수광부(47b)를 향하여 가시 파장 영역의 검사광을 조사하고, 수광부(47b)에서 검출된 검사광의 강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소위 포토 인터럽터형 센서이다. 각 포토 센서(47)는 발광부(47a)와 수광부(47b) 사이에 회전반(46)의 외주부가 위치하도록 하여 기판(31)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발광부(47a)와 수광부(47b) 사이를 차광부(46a)가 통과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포토 센서(47)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변화한다. 차광부(46a)를 검출부로 하면, 수광부(47b)에서 검사광을 수광하고 있지 않을 때의 포토 센서(47)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검출부의 검출에 대응한 신호가 된다. 단, 차광부(46a) 간의 간극 부분을 검출부로 하고, 수광부(47b)에서 검사광을 수광하고 있을 때의 포토 센서(47)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검출부의 검출에 대응한 신호로 해도 된다.
포토 센서(47)의 발광부(47a)와 수광부(47b)의 간격은, 조작 부재(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반(46)이 상하로 변위해도 회전반(46)과 접하지 않도록 정해져 있다. 또한, 한 쌍의 포토 센서(47)(도 6에서는 한쪽 포토 센서(47만이 도시되어 있다.)는 축형부(12)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적절하게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포토 센서(47)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각도 간격은, 차광부(46a)의 둘레 방향의 각도 피치 PT에 대하여 PT/2의 정수배 이외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 이유는, 한 쌍의 포토 센서(47)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회전반(46)의 회전 방향을 판별하기 위해서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입력 장치(5)에 의하면, 유저가 조작부(11)를 압입 조작하면, 조작 부재(10)가 전체로서 하방으로 변위하고, 그 변위에 따라 마이크로스위치(42)로부터 압입 조작의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유저가 조작부(11)를 회전 조작하면, 그 회전량 및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차광부(46a)의 검출 신호가 포토 센서(47)로부터 반복하여 출력되고, 그 검출 신호의 열에 기초하여 조작부(11)의 회전량,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차광부(46a)의 검출 횟수로부터 회전량을, 회전량과 시간으로부터 회전 속도를, 그리고 포토 센서(47)의 검출 신호의 위상차로부터 회전 방향을 각각 판별할 수 있다. 게임기(1)에서는, 마이크로스위치(4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밍 마크(103A)로 지시된 압입 조작을 유저가 정확하게 행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또한 포토 센서(47)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밍 마크(103B)로 지시된 회전 조작을 유저가 정확하게 행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그들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유저의 스코어 연산과 같은 각종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본 형태의 입력 장치(5)에 있어서는, 압입 조작 및 회전 조작이 공통의 조작 부재(10)의 조작부(11)에 대하여 행해진다. 따라서, 유저가 압입 조작과 회전 조작으로 조작해야 할 부재를 구별할 필요가 없이, 유저의 오조작 우려가 배제되거나, 또는 압입 조작과 회전 조작 간의 전환을 유저가 잘 못할 우려도 저감된다. 또한, 압입 조작과 회전 조작 간에 각각 별도의 조작 부재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 개수가 삭감되어, 입력 장치(5)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또한 입력 장치(5)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조작 부재(10)에 제1 및 제2 끼워맞춤 축부(16, 17)가 설치되고, 제1 끼워맞춤 축부(16)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범위와, 제2 끼워맞춤 축부(17)의 선단부를 통형부(34)와 끼워 맞추고 있으므로, 제1 끼워맞춤 축부(16)의 조작부(11)측에 있어서의 기초부(BP), 결국은 플랜지부(19)와 연결되는 측의 단부와, 제2 끼워맞춤 축부(17)의 선단부(TP)를 축 홀더(33)로 반경 방향으로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압입 조작에 대한 축형부(12)의 뒤틀림을 억제하여, 조작 부재(10)의 왕복 운동 및 회전 운동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10)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 부재(37)가 제1 및 제2 끼워맞춤 축부(16, 17)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부재(37)의 복원력을 축형부(12)의 축선을 따라서 균등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복원력의 치우침에 의한 축형부(12)의 뒤틀림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끼워맞춤 축부(17)의 선단부(TP)를 축 홀더(33)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축형부(12)의 선단측 움직임이 안정된다. 따라서, 압입 조작을 마이크로스위치(42)로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제2 형태)
이어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2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를 설명한다. 또한, 제1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게임기(1)에 적용되는 것이며, 게임기(1)에 관한 구성, 및 그 게임기(1)에서 플레이되는 게임은 도 1 및 도 2의 설명 부분이 그대로 적용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형태의 입력 장치(5A)도 조작 부재(50)와 지지대(70)를 갖고 있다. 단, 지지대(70)는 제1 형태에 있어서의 지지대(30)와 비교하여 상하 방향으로 얇게 구성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50)는 조작부(11)와, 그 조작부(11)의 이면측으로부터 압입 방향으로 연장된 축형부(52)를 갖고 있다. 조작부(11)는 제1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10)의 조작부(11)와 동일하다. 한편, 축형부(52)는 원통 형상의 끼워맞춤 축부(53)와, 축형부(52)의 축선 상에 설치된 조작축부(54)를 구비하고 있다. 끼워맞춤 축부(53)는 조작축부(54)와 동축이며, 그 상단은 조작부(11)의 이면측의 중심부에 조작부(11)와 동축으로 되도록 하여 접합된다. 끼워맞춤 축부(53)의 선단(하단)에는 외측을 향하여 펼쳐지는 플랜지부(5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지지대(70)에는, 기판(31)과, 그 기판(31)에 설치되는 축 홀더(71)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31)은 상대 부품의 설치용 나사 구멍 위치 등의 세부를 제외하면, 제1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5)의 그것과 동일하다. 축 홀더(71)는 하우징(72)과, 그 하우징(72)의 내주에 삽입되는 슬리브(73)를 갖고 있다. 하우징(72)은 내경 일정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통형부(74)와, 그 통형부(74)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퍼지도록 설치된 플랜지부(75)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75)가 기판(31)의 이면측의 중심부에 고정됨으로써, 축 홀더(71)는 기판(31)과 함께 지지대(70)의 일부를 구성한다.
통형부(74)의 상단에는 오목부(74a)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73)는 통형부(74)의 내주에 일체적으로 감합되고, 그 상단의 플랜지부(73a)는 오목부(74a) 내에 수용되어서 오목부(74a)의 저면과 축선 방향으로 맞대진다. 하우징(72)과 슬리브(73)는 상대 이동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축 홀더(71)(하우징(72)과 슬리브(73)의 조립 구조체)는 베어링부로서 기능한다. 끼워맞춤 축부(53)는 슬리브(73)의 내주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조작부(11)와 동축의 상태에서 조작부(11)의 이면 중앙의 보스(50a)에 접합된다. 슬리브(73)의 내경은, 끼워맞춤 축부(53)가 슬리브(73)의 내면에 대하여 축선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적당한 느슨함을 갖고서 끼워맞춤 축부(53)와 끼워 맞춰지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끼워맞춤 축부(53)가 슬리브(73)의 내주에 감합되는 것에 의해, 축형부(52)는 축 홀더(71)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고도 축선의 둘레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축 홀더(71)에 설치된다. 끼워맞춤 축부(53)의 플랜지부(55)는 하우징(72)의 하단에 부딪혀서, 그에 의해 조작 부재(50)의 상방으로의 누락이 저지된다.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는, 플랜지부(55)가 하우징(72)의 하단에 접하고 있을 때의 조작 부재(50)의 위치를 조작 부재(50)의 정상 위치라 칭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홀더(71)의 플랜지부(75)에는 복수(일례로서 3개)의 핀 구멍(77)이 설치되어 있다. 핀 구멍(77)은 축형부(52)의 주위에 위치하고, 또한 축형부(52)의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핀 구멍(77)에는 핀(78)이 축선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감합되어 있다. 각 핀(78)의 외주에는 복원력 부여 수단의 일례로서의 스프링 부재(79)가 장착되어 있다. 핀(78)의 상단은 마찰 부재의 일례로서의 마찰판(80)과 연결되어 있다. 마찰판(80)은 일례로서 링상이며, 축형부(52)와 동축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핀(78)과 연결된다. 핀(78)과 마찰판(80)은 축선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스프링 부재(79)는 일례로서 코일 스프링이다. 스프링 부재(79)는 플랜지부(75)와 마찰판(80)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50)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 부재(79)는 다소 압축된다. 스프링 부재(79)의 압축에 따라 마찰판(80)은 조작 부재(50)의 조작부(11)에 압박되고, 그에 의해 조작 부재(50)에는 상방을 향하는 복원력(반발력)이 작용한다. 축 홀더(71)와 조작 부재(50) 사이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79)의 복원력은 축 홀더(71)의 플랜지부(75)와, 조작 부재(50)의 조작부(11)의 중심에 설치된 보스(50a)에 작용하고, 이들 부분이 복원력의 작용부로서 기능한다. 스프링 부재(79)의 복원력으로 조작 부재(50)가 상방으로 압박됨으로써, 플랜지부(55)가 하우징(72)의 하단으로 압박되고, 조작 부재(50)가 정상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즉, 플랜지부(55)는 조작 부재(50)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고, 또한 조작 부재(50)를 빠짐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마찰판(80)이 조작부(11)의 이면측으로 압박되는 것에 의해, 조작 부재(50)와 마찰판(80) 사이에는, 스프링 부재(79)의 스프링 하중과 마찰판(80)의 표면 마찰 계수에 따른 마찰 저항이 발생한다. 따라서, 조작 부재(50)가 회전 조작될 때, 조작 부재(50)의 회전 운동에 대하여 적당한 마찰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스프링 부재(79)의 스프링 상수 및 휨양과, 마찰판(80)의 마찰 계수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조작 부재(50)의 관성에 의한 자유 회전을 적절하게 제한할 수 있다. 또는, 조작 부재(50)의 회전 조작에 대하여 적당한 저항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50)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 핀(78)의 하단은 핀 구멍(77)의 바닥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핀(78)이 핀 구멍(77)의 바닥에 접할 때까지 조작 부재(50)를 압입 조작할 수 있다.
기판(31)의 이면측에는 브래킷(81)(도 8 참조)이 설치되고, 그 브래킷(81)에는 제1 형태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스위치(42)가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81)에는 절개창(81a)이 형성되고, 그 절개창(81a)을 통하여 마이크로스위치(42)의 플런저(42a)와 조작축부(54)의 선단이 서로 접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 부재(50)가 압입 조작되면 플런저(42a)가 압입되어서 마이크로스위치(42)로부터 압입 조작의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도 9 및 도 10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조작부(11)의 이면측과 기판(31)의 표면측 사이에는, 회전 조작 검출 수단의 일례로서의 회전 조작 검출 기구(85)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조작 검출 기구(85)는 회전반(86)과 한 쌍의 포토 센서(47)(도 10에서는 한쪽 포토 센서(47)만이 나타나 있다.)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반(86)은 조작 부재(5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조작부(11)의 이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반(86)은 제1 형태의 회전반(46)과 마찬가지로 가시광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단, 그 형상은 링 형상이며, 그 내주부에 제1 형태의 차광부(46a)와 동일한 차광부가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 센서(47)는 센서 지지판(87)을 통하여 기판(31)에 설치되어 있다. 포토 센서(47)는 제1 형태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소위 포토 인터럽터형링형이다. 각 포토 센서(47)는 발광부(47a)와 수광부(47b) 사이에 회전반(86)의 내주부가 위치하도록 하여 기판(31)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발광부(47a)와 수광부(47b) 사이를 차광부(46a)가 통과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포토 센서(47)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변화한다. 또한, 축형부(52)의 둘레 방향에 관한 한 쌍의 포토 센서(47)의 간격은 제1 형태의 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입력 장치(5A)에 의하면, 조작 부재(50)의 조작 부재에 대한 유저의 압입 조작을 마이크로스위치(42)로, 회전 조작을 포토 센서(47)로 각각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를 게임기(1)의 컴퓨터에 제공함으로써, 제1 형태와 마찬가지로 게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압입 조작 및 회전 조작이 공통의 조작 부재(50)의 조작부(11)에 대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유저의 오조작 우려가 배제되거나, 또는 압입 조작과 회전 조작 간의 전환을 유저가 잘 못할 우려도 저감된다. 또한, 부품 개수가 삭감되어, 입력 장치(5A)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또한 입력 장치(5A)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조작 부재(50)에 끼워맞춤 축부(53)가 설치되고, 그 끼워맞춤 축부(53)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범위를 슬리브(73)에 끼워 맞추고 있으므로, 끼워맞춤 축부(53)의 조작부(11)측에 있어서의 기초부(BP)와 끼워맞춤 축부(53)의 선단부(TP)를 베어링부로서의 축 홀더(71)로 반경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압입 조작에 대한 축형부(52)의 뒤틀림을 억제하여, 조작 부재(50)의 왕복 운동 및 회전 운동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끼워맞춤 축부(53)의 선단부(TP)를 축 홀더(71)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축형부(52)의 선단측 움직임이 안정되어, 압입 조작을 마이크로스위치(42)로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게다가, 복수의 스프링 부재(79)가 축형부(52)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끼워맞춤 축부(53)에는 스프링 부재와의 감합 부분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로 인해, 끼워맞춤 축부(53)를 축선 방향으로 단축하여 입력 장치(5A)의 소형화, 특히 축형부(52)의 축선 방향에 관한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 또는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원력 부여 수단으로서의 스프링 부재는, 끼워맞춤 축부의 외주 또는 주위에 배치되는 예에 한하지 않고, 축형부의 내주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축형부의 끼워맞춤 축부를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주를 베어링부로 지지해도 된다. 복원력 부여 수단은, 코일 스프링에 한하지 않고, 비틀림 스프링, 판 스프링 등의 각종 스프링 부재가 사용되어도 되고, 복원력은 압축에 대한 반발력을 이용하는 예에 한하지 않고, 인장에 대한 반발력을 이용하여 발생시켜도 된다. 복원력 부여 수단은 스프링 부재에 한하지 않고, 고무, 우레탄과 같은 탄성 부재 등도, 압입 조작에 대한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한에 있어서 적절하게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형태에서는, 끼워맞춤 축부의 선단부(TP) 및 기초부(BP) 뿐만 아니라, 그들의 중간 위치도 베어링부로 지지하는 것으로 했지만, 축형부의 뒤틀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적어도 선단부(TP)와 기초부(BP)가 베어링부로 지지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제1 형태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37)는 지지대(30)측의 작용부로서의 스프링 받이(36)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능하게 장착되고, 조작 부재(10)측의 작용부로서의 제1 끼워맞춤 축부(16)의 스프링 받이(16a)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형태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79)는 지지대(70)측의 작용부로서의 플랜지부(75)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능하게 장착되고, 조작 부재(50)측의 작용부로서의 조작 부재(50)의 보스(50a)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스프링 부재(37, 79)는 조작 부재(10, 50)와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조작 부재(10, 50)측의 작용부에 장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스프링 부재(37, 79)는 지지대(30, 70)측의 작용부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마찰판(80)은 제2 형태의 입력 장치(5A)에만 설치되어 있지만, 제1 형태에 있어서도, 제1 끼워맞춤 축부(16)의 스프링 받이(16a)와 스프링 부재(37) 사이에 개재하도록 하여 마찰판이 설치되어도 된다. 스프링 부재(37, 79)가 조작 부재(10, 50)측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마찰판(80)도 스프링 부재(37, 79)와 마찬가지로 조작 부재(10, 50)측의 작용부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능한 상태에서 조작 부재(10, 50)에 장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형태에 있어서 조작 부재(50)측에 스프링 부재(79)를 장착하고, 스프링 부재(79)와 플랜지부(75) 사이에 마찰판(80)을 배치하는 변형이 가능하다. 마찰 부재는 판 형상의 부재에 한하지 않고, 패드형, 블록형 기타 각종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압입 조작 검출 수단은 마이크로스위치를 사용하는 예에 한하지 않고, 근접스윗치, 포토 센서 기타, 조작 부재의 압입 조작에 수반하는 변위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 가능한 한, 적당한 검출 기기가 사용되어도 된다. 조작 부재가 압입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출력 신호가 전환되는 검출 기기에 한하지 않고, 압입 조작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신호 강도가 변화하는 검출 기기가 압입 조작 검출 수단으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회전 조작 검출 수단도 도시된 예에 한하지 않고, 조작 부재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는 변위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 가능한 한, 적당한 검출 기기가 사용되어도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의 회전량,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판별할 수 있도록 회전 조작 검출 수단이 구성되어 있지만, 그들의 일부만이 검출 대상으로 되어도 된다.
상기 형태에서는, 입력 장치를 게임기에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입력 장치가 설치되어야 할 대상은 게임기에 한하지 않고, 각종 장치, 기기류가 대상으로 되어도 된다. 상기 형태에서는, 조작 부재가 축형부의 축선의 둘레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입력 장치가 구성되어 있지만, 조작 부재의 회전 각도를 일정 범위로 제한해도 된다. 회전 조작에 대한 복원 토크를 조작 부재에 부여하는 수단(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을 더 추가하여, 유저가 조작부로부터 손을 뗐을 때에 조작 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회전하게 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 각각으로부터 도출되는 본 발명의 각종 형태를 이하에 기재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는, 압입 조작 및 회전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조작부, 및 그 조작부로부터 상기 압입 조작의 방향으로 연장된 축형부를 갖는 조작 부재와, 상기 축형부가, 그 축형부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고도 상기 축형부의 축선의 둘레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베어링부를 갖는 지지 구조체와, 상기 압입 조작에 대한 복원력을 상기 조작 부재에 부여하는 복원력 부여 수단과, 상기 조작 부재의 압입 조작에 수반하는 변위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압입 조작 검출 수단과,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는 변위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 조작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형태의 입력 장치에 의하면, 조작 부재의 조작부로부터 압입 조작의 방향으로 연장된 축형부를 지지 구조체의 베어링부에 의해 왕복 이동 가능하고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압입 조작에 대해서는 복원력 부여 수단에 의해 조작 부재에 복원력을 부여하고 있으므로, 조작부를 압입 조작 및 회전 조작 중 어느 것에든 대응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입 조작과 회전 조작에서 조작 부재를 구별할 필요가 없어, 조작 부재의 혼동에 의한 오조작이 발생할 우려를 배제하거나, 또는, 압입 조작과 회전 조작의 전환에 갈팡질팡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압입 조작과 회전 조작에서 서로 다른 조작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삭감하고, 그에 의해 입력 장치를 비교적 간소하게 구성하여 그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얻어진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축형부에는 상기 베어링부와 왕복 이동 가능하고도 회전 가능하게 감합되는 끼워맞춤 축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끼워맞춤 축부의 적어도 선단부 및 상기 조작부측의 기초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고도 회전 가능하게 감합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끼워맞춤 축부의 적어도 선단부 및 기초부를 베어링부로 지지함으로써, 축형부의 뒤틀림을 억제하여, 조작 부재의 왕복 운동 및 회전 운동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입 조작 검출 수단은, 상기 압입 조작에 수반하는 상기 축형부의 상기 선단부의 변위를 검출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끼워맞춤 축부의 선단부를 베어링부로 지지하는 경우에는, 축형부의 선단측의 움직임이 안정되어, 압입 조작을 압입 조작 검출 수단으로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작 검출 수단은, 상기 조작 부재에 대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검출부가 간격을 두고서 설치된 회전반과,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는 상기 복수의 검출부의 각각의 통과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지지 구조체에 설치되고, 상기 검출부의 검출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구비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조작 부재와 회전반이 일체로 회전할 때에 센서의 검출 범위를 복수의 검출부가 순차 통과하고, 센서로부터 검출 신호가 순차 출력된다.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 횟수로부터 회전량을,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시간 간격으로부터 회전 속도를 산출해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구조체와 상기 조작 부재 사이에는, 상기 복원력 부여 수단으로서의 스프링 부재가, 상기 축형부와 동축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스프링 부재의 복원력을 축형부의 축선을 따라서 균등하게 작용시켜, 복원력의 치우침에 기인하는 축형부의 뒤틀림의 발생을 방지하여 조작 부재의 동작을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 구조체와 상기 조작 부재 사이에는, 상기 복원력 부여 수단으로서의 복수의 스프링 부재가, 상기 축형부의 주위에서 그 축형부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축형부의 주위에 복수의 스프링 부재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축형부 상에 스프링 부재와 조합되어야 할 부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의해, 축형부를 축선 방향으로 단축하고, 특히 압입 조작의 방향에 대하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 및 상기 지지 구조체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복원력의 작용부 중, 어느 한쪽 작용부에 대하여 상기 회전 조작의 방향의 상대 회전이 불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와 다른 쪽 작용부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 부재의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다른 쪽 작용부에 압박되는 마찰 부재가, 상기 한쪽 작용부에 대하여 상기 회전 조작의 방향의 상대 회전이 불능한 상태로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조작 부재가 회전 운동할 때에 마찰 부재와 다른 쪽 작용부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상수 및 휨양과, 마찰 부재의 마찰 계수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조작 부재의 관성에 의한 회전 운동을 적절하게 제한하거나, 또는 조작 부재의 회전 조작에 대하여 적당한 저항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게임기는, 상술한 각 형태 중 어느 것에 관한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그 입력 장치의 상기 압입 조작 검출 수단 및 상기 회전 조작 검출 수단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참조하여 게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의하면, 게임을 플레이할 때의 압입 조작, 및 회전 조작에 관한 유저의 오조작이나 조작의 전환 시의 갈팡질팡하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를 억제하여, 게임기의 입력 장치에 관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1: 게임기
5, 5A: 입력 장치
10, 50: 조작 부재
11: 조작부
12, 52: 축형부
16: 제1 끼워맞춤 축부
16a: 스프링 받이(작용부의 일례)
17: 제2 끼워맞춤 축부
30, 70: 지지대(지지 구조체의 일례)
33, 71: 축 홀더(베어링부의 일례)
36: 스프링 받이(작용부의 일례)
37, 79: 스프링 부재(복원력 부여 수단의 일례)
42: 마이크로스위치(압입 조작 검출 수단의 일례)
45, 85: 회전 조작 검출 기구(회전 조작 검출 수단의 일례)
46, 86: 회전반
46a: 차광부(검출부의 일례)
47: 포토 센서(센서의 일례)
50a: 보스(작용부의 일례)
53: 끼워맞춤 축부
75: 플랜지부(작용부의 일례)
80: 마찰판(마찰 부재의 일례)

Claims (9)

  1. 압입 조작 및 회전 조작의 대상으로 하여 공용되는 조작부, 및 그 조작부로부터 상기 압입 조작의 방향으로 연장된 축형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와 상기 축형부가 상기 축형부의 축선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조작 부재와,
    상기 축형부가, 상기 축선 방향 및 상기 둘레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감합되는 통형의 축 홀더를 베어링부로서 구비함으로써, 상기 축형부가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고도 상기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 구조체와,
    상기 지지 구조체와 상기 조작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압입 조작에 대한 복원력을 상기 조작 부재에 부여하는 복원력 부여 수단으로서의 스프링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압입 조작에 수반하는 변위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압입 조작 검출 수단과,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는 변위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 조작 검출 수단
    을 구비한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형부에는 상기 베어링부로서의 상기 축 홀더와 왕복 이동 가능하고도 회전 가능하게 감합되는 끼워맞춤 축부가 설치되고, 상기 축 홀더는, 상기 끼워맞춤 축부의 적어도 선단부 및 상기 조작부측의 기초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고도 회전 가능하게 감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 조작 검출 수단은, 상기 압입 조작에 수반하는 상기 축형부의 상기 선단부의 변위를 검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작 검출 수단은, 상기 조작 부재에 대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검출부가 간격을 두고서 설치된 회전반과,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는 상기 복수의 검출부의 각각의 통과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지지 구조체에 설치되고, 상기 검출부의 검출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부여 수단으로서의 스프링 부재가, 상기 축형부와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입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부여 수단으로서의 복수의 스프링 부재가, 상기 축형부의 주위에서 상기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어 있는 입력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 및 상기 지지 구조체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복원력의 작용부 중, 어느 한쪽 작용부에 대하여 상기 둘레 방향의 상대 회전이 불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와 다른 쪽 작용부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 부재의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다른 쪽 작용부에 압박되는 마찰 부재가, 상기 한쪽 작용부에 대하여 상기 둘레 방향의 상대 회전이 불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입력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 및 상기 지지 구조체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복원력의 작용부 중, 어느 한쪽 작용부에 대하여 상기 둘레 방향의 상대 회전이 불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와 다른 쪽 작용부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 부재의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다른 쪽 작용부에 압박되는 마찰 부재가, 상기 한쪽 작용부에 대하여 상기 둘레 방향의 상대 회전이 불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입력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그 입력 장치의 상기 압입 조작 검출 수단 및 상기 회전 조작 검출 수단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참조하여 게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게임기.
KR1020177035477A 2015-06-12 2016-06-07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게임기 KR101978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19035 2015-06-12
JP2015119035A JP6123129B2 (ja) 2015-06-12 2015-06-12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ゲーム機
PCT/JP2016/066892 WO2016199758A1 (ja) 2015-06-12 2016-06-07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ゲーム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412A KR20180006412A (ko) 2018-01-17
KR101978678B1 true KR101978678B1 (ko) 2019-05-15

Family

ID=5750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477A KR101978678B1 (ko) 2015-06-12 2016-06-07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게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099220A1 (ko)
JP (1) JP6123129B2 (ko)
KR (1) KR101978678B1 (ko)
CN (1) CN107683167A (ko)
WO (1) WO2016199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0231B1 (ja) * 2017-02-07 2018-05-30 株式会社コナミアミューズメント ゲーム機の入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ゲーム機
WO2020070783A1 (ja) * 2018-10-02 2020-04-09 株式会社マーベラス ゲーム装置
KR102469819B1 (ko) 2018-11-12 2022-11-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과충전 방지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JP7087977B2 (ja) * 2018-12-13 2022-06-21 オムロン株式会社 ゲーミングマシンのスイッチ装置およびゲーミングマシン
JP7269729B2 (ja) 2018-12-28 2023-05-09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CN111031414B (zh) * 2019-11-15 2021-06-01 歌尔股份有限公司 音频设备的控制方法、音频设备及存储介质
CN112691362B (zh) * 2020-12-31 2023-07-1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便携式游戏手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8654A (ja) * 1999-12-28 2001-07-10 Namco Ltd 回転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7188A (en) * 1993-05-10 1998-03-10 Hayes; Charles L. Flight-control simulator for computer games
JP3325685B2 (ja) * 1993-12-28 2002-09-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入力装置
JPH07211196A (ja) * 1994-01-25 1995-08-11 Sega Enterp Ltd ゲーム機用操作器
JP2922509B2 (ja) * 1997-09-17 1999-07-26 コナミ株式会社 音楽演出ゲーム機、音楽演出ゲーム用の演出操作指示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用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3031675B2 (ja) 1998-09-16 2000-04-10 コナミ株式会社 アーケードゲーム機
JP3500531B2 (ja) 1999-12-06 2004-02-23 コナミ株式会社 アーケードゲーム機
US8487872B2 (en) * 2000-11-14 2013-07-16 Blue Orb,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ata signals
US20020128064A1 (en) * 2001-03-06 2002-09-12 Sobota John F. Game controller
JP2003045293A (ja) * 2001-05-21 2003-02-14 Sony Corp 操作装置
JP4091871B2 (ja) * 2003-04-16 2008-05-2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US20050231469A1 (en) * 2004-04-14 2005-10-20 Mike Wittig Force reflecting interface system for games
CN2834644Y (zh) * 2005-05-30 2006-11-08 巍世科技有限公司 便携式游戏机的控制器
WO2009048001A1 (ja) * 2007-10-09 2009-04-16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ゲーム装置、ゲーム方法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101149324B1 (ko) * 2007-10-09 2012-05-24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게임 장치, 게임 방법 및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JP2009092543A (ja) * 2007-10-10 2009-04-30 Ishida Co Ltd 計量装置
JP5593569B2 (ja) * 2011-04-14 2014-09-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WO2013136540A1 (ja) * 2012-03-13 2013-09-1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操作デバイス
US9630101B2 (en) * 2012-03-13 2017-04-25 Sony Corporation Operating device
JP6182319B2 (ja) 2013-01-28 2017-08-16 株式会社タイトー ゲーム装置、操作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8654A (ja) * 1999-12-28 2001-07-10 Namco Ltd 回転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412A (ko) 2018-01-17
JP6123129B2 (ja) 2017-05-10
CN107683167A (zh) 2018-02-09
JP2017000528A (ja) 2017-01-05
WO2016199758A1 (ja) 2016-12-15
US20180099220A1 (en)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678B1 (ko)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게임기
US7199785B2 (en) Input device including a wheel assembly for scrolling an image in multiple directions
JP5373490B2 (ja) 遊技機用操作スイッチ及びそれを備えた遊技機
JP2004087307A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US10331238B2 (en) Magnetic scaling and positioning scroll wheel of mechanical mouse
US7616188B1 (en) Mouse roller with horizontal scrolling and horizontal tilting switch
JP2005317377A (ja) 複合操作入力装置
JP2014175194A (ja) 入力装置
US7075526B2 (en) Button simulating rotation of input device roller
WO2020105437A1 (ja) 操作装置
JP2005317376A (ja) 複合操作入力装置
JP4496921B2 (ja) トラックボール装置
JP2015066352A (ja) 遊技機
JP5818914B2 (ja) 操作子及び操作装置
JP5626197B2 (ja) ダイヤル式スイッチ
KR20030096465A (ko) 마우스
JP2014032844A (ja) 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5691513B2 (ja) レバースイッチ及び遊技機
JP5873695B2 (ja) スイッチ装置の回転検出機構
JP2009189503A (ja) 遊戯機用入力装置
JP2010148867A (ja) 遊技機用発射ハンドル及びそれを備えた遊技機
JP2008079802A (ja) 遊技機用の操作ハンドル
JP2009218116A (ja) 入力装置
JP2003150307A (ja) コンピュータ用マウス
JP4476562B2 (ja) 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