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321B1 -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321B1
KR101975321B1 KR1020180125726A KR20180125726A KR101975321B1 KR 101975321 B1 KR101975321 B1 KR 101975321B1 KR 1020180125726 A KR1020180125726 A KR 1020180125726A KR 20180125726 A KR20180125726 A KR 20180125726A KR 101975321 B1 KR101975321 B1 KR 10197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housing
elevator
condensed wat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휘동
Original Assignee
이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휘동 filed Critical 이휘동
Priority to KR1020180125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을 지지하는 받침앵글; 하우징과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되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덕트;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응축기로 분사하는 응축수처리부; 엘리베이터 카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ELEVATOR COOLING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자체적으로 설치되는 냉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응축기로 분사하여 건조되도록 하며, 카메라부를 통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인원수를 파악하고,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각종 건물이나 지하시설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계단을 이용하지 않고 원하는 층으로 보다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시설되는 것으로, 실내환경의 개선방안에 따라 최근에는 승강기 내부 공간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에 에어컨을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에어컨은 크게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축기는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구성이고, 응축기는 압축된 기체상태의 냉매가 액체상태로 변하면서 방출하는 응축잠열을 대기와 열교환하는 구성이며, 증발기는 팽창된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체상태로 변하면서 흡수하는 증발잠열을 대기와 열교환하는 구성이다.
증발기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내려간 차가운 동기는 하강한 상태로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되고,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온도가 올라간 더운 공기는 상승하여 증발기에서 다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증발기와 열교환되는 공기에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증발기의 표면에서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하부로 떨어뜨리는 배수형이 있었으나, 배수과정에서 다른 기계장치에 묻거나 습도를 높여 전자장치의 오류를 야기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생된 응축수를 가열하고 비산시켜 제거하기 위한 가열식이 있었으나, 응축수를 가열하기 위한 경우, 과도한 열랑 소모로 인한 전력소비가 가중되고, 응축수가 일정량 미만인 경우에 작동될 경우 화재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859096호(2018.05.1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응축기로 분사하여 건조되도록 하며, 카메라부를 통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인원수를 파악하고,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을 지지하는 받침앵글; 하우징과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되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덕트;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응축기로 분사하는 응축수처리부; 엘리베이터 카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응축기로 분사하여 건조되도록 함으로써, 발생되는 응축수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에서 발생된 차가운 공기는 네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카에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면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카 내부를 순환한 더운 공기가 나머지 한 쌍의 면 측을 통해 하우징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차가운 공기가 고르게 공급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부를 통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인원수를 파악하고,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을 지지하는 한 쌍의 받침앵글이 엘리베이터 카의 상단에 구비되는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받침앵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우징의 이동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무게중심을 유지한 채 하우징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단면이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받침앵글에 결합되어 하우징의 이탈이 방지되되, 상기 받침앵글에 결합되는 하우징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냉방 시스템 동작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엘리베이터 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과 덕트가 연결되는 부분에 필터부가 구비됨으로써,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하우징이 설치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받침앵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받침앵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덕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덕트의 다른 예를 나탄낸 도면이다.
도 9의 (a)는 도 8의 A-A`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8의 B-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응축수처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카메라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카메라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필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응축기로 분사하여 건조되도록 하며, 카메라부를 통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인원수를 파악하고,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하우징(10)은 에어컨을 의미하는 것으로, 내부에 증발기(11), 압축기(12) 및 응축기(13) 등 다양한 구성들이 내부에 구비되며, 덕트(20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20)와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고,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받침앵글(100)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20) 상단에 구비된 프레임(21)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증발기(evaporator, 11)는 압축기(12)로부터 전달된 저온/저압의 액체가 열을 흡수하여 증발되며, 변환된 저온/저압의 가스를 압축기(12)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며, 압축기(compressor, 12)는 증발기(11)로부터 전달된 저온/저압의 가스를 고온/고압의 가스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고, 응축기(condenser, 13)는 압축기(12)로부터 전달된 고온/고압의 가스를 물 또는 공기로 냉각시키고 저온/고압의 액체로 응축시켜 팽창변으로 보내어 저온/저압의 액체로 변환시켜 증발기(11)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엘리베이터 카(20)는 엘리베이터(승강기)에서 사용자가 탑승 또는 하차하는 공간이며, 도어가 구비되고, 카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어 권상기의 동작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엘리베이터 카(20) 상단에는 별도의 프레임(21)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권상기와 연결되는 로프(와이어) 등이 결합되고,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구성들이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하우징(10), 즉 에어컨의 구성과 엘리베이터(승강기)의 구성은 이미 사용되어지고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20)의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의 구조를 변환하여 효율적인 냉방이 이루어지고, 증발기(11)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용이하게 처리하며, 하우징(10) 설치시 엘리베이터 카(20)의 무게중심이 변하지 않도록 설치하여 편심 발생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20)의 특정한 방향으로 무리가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카메라부(40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2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인원수에 맞추어 공급되는 풍량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은 증발기(11), 압축기(12), 응축기(13) 및 하우징(10)으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20)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0)을 지지하는 받침앵글(100), 하우징(10)과 엘리베이터 카(20)에 연결되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덕트(200), 상기 증발기(11)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응축기(13)로 분사하는 응축수처리부(300),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400) 및 상기 카메라부(40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받침앵글(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하우징이 설치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받침앵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받침앵글(100)은 엘리베이터 카(20)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0)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하우징(10)의 양측 바닥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받침앵글(100)은 각각 단면이'ㄴ'자 형태로 이루어져 하우징(10)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지지판(110)과 상기 지지판(110) 끝단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0)의 측면에 인접하는 이탈방지가이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단면이 'ㄴ'자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받침앵글(100)은 하우징(10)의 바닥면과 측면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하우징(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받침앵글(100) 한쌍은 서로 이격된 채 엘리베이터 카(20) 상부에 구비되는 프레임(21)에 결합되되, 서로 이격된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고, 프레임(21)의 길이 방향으로 하우징(10)의 폭에 제한없이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하우징(10)을 견고하고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지지판(110)은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는 관통공(111)이 형성되되, 받침앵글(1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 개의 관통공(111) 중 일부분은 엘리베이터 카(20) 상단에 구비되는 프레임(21)에 지지판(110)이 결합되도록 하며, 나머지 일부분은 상기 지지판(110)의 상측에 하우징(10)의 바닥면이 접촉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나아가, 관통공(111)은 지지판(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고 폭이 좁은 긴타원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11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볼트(112) 또는 SUS밴드에 의해 하우징(10)의 바닥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볼트(112) 또는 SUS밴드를 이용하여 프레임(21)과 지지판(110) 및 지지판(110)과 하우징(10)이 상호 간에 결합되도록 하되, 긴타원형 형태로 이루어진 관통공(111)을 따라 볼트(112) 또는 SUS밴드가 소정간격 유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0) 동작시 엘리베이터 카(20)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고,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받침앵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지지판(110)과 이탈방지가이드(120) 사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30)는 받침앵글(100)과 하우징(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 동작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고 소음 전달을 억제하여 엘리베이터 카(20)로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테프론 재질의 탄성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테프론 재질은 불소와 탄소의 강력한 화학적 결합으로 인해 매우 안정된 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내약품성이 뛰어나고 -260℃에서 +260℃까지 넓은 온도범위에서도 특성이 변화하지 않아 사용이 가능하며, 물이나 기름이 잘 묻지 않아 표면이 오염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쉽게 청소할 수 있어 보수시간을 단축시키는 이점이 있고, 마찰계수가 낮은 저마찰성이 우수하며, 불연성이고 내후성도 좋다.
나아가, 탄성부재(130)는 테프론 재질 이외에 유리수지, 탄소섬유 또는 흑연과 같은 금속가루 등의 무기계 충전제를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하우징(10)이 반복 사용되어도 마모가 발생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탄성부재(130)는 지지판(110)과 이탈방지가이드(120) 사이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바닥면과 측면 일부분에 접촉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엘리베이터 카(20) 상단에 구비되는 프레임(21)과 한 쌍의 받침앵글(100) 사이에도 구비될 수 있다.
즉 프레임(21)과 받침앵글(100) 사이에 탄성부재(130)가 구비됨으로써,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고,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덕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덕트(200)는 하우징(10)과 엘리베이터 카(20)에 연결되어, 하우징(10)에서 발생된 차가운 공기가 엘리베이터 카(20)로 공급되고, 엘리베이터 카(20) 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토출덕트(210) 및 흡입덕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토출덕트(210)는 하우징(10)의 일측과 엘리베이터 카(20)를 연결하며, 증발기(11)로부터 발생된 차가운 공기를 상기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흡입덕트(220)는 하우징(10)의 타측과 엘리베이터 카(20)를 연결하며,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토출덕트(210) 또는 흡입덕트(22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성에는 보온을 위한 패드(도면에 미표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패드는 토출덕트(210) 또는 흡입덕트(2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토출덕트(210) 또는 흡입덕트(220)와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카(20)의 상단면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토출덕트(210) 또는 흡입덕트(220)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냉방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덕트의 다른 예를 나탄낸 도면이며, 도 9의 (a)는 도 8의 A-A`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8의 B-B`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덕트(200)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2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을 통해 공급하고, 나머지 서로 마주보는 측면을 통해 흡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토출덕트(210)는 네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카(20)에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면 측으로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덕트(210)는 하우징(10)의 일측에 연결되되, 양갈래로 분기되어 엘리베이터 카(20)의 정면과 배면측 각각에 연결됨으로써,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면 측으로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흡입덕트(220)는 네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카(20)에서 토출덕트(210)를 통해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을 제외한 나머지 한 쌍의 면 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덕트(220)는 하우징(10)의 타측에 연결되되, 양갈래로 분기되어 엘리베이터 카(20)의 좌,우측면 각각에 연결됨으로써,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 측으로 더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다.
이에, 토출덕트(210)를 통해 차가운 공기는 네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카(20)에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면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를 순환한 더운 공기가 나머지 한 쌍의 면 측과 연결된 흡입덕트(220)를 통해 하우징(10)으로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온도를 빠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냉방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차가운 공기가 고르게 공급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에서의 온도 차이를 최소화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토출덕트(210)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카(20)의 정면과 배면측 각각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흡입덕트(220)는 엘리베이터 카(20)의 좌,우측면 각각에 연결, 즉 엘리베이터 카(20)의 도어가 형성되지 않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위해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토출덕트(21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공급된 차가운 공기가 도어가 열린 공간을 통해 차단막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한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온도가 빠르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응축수처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응축수처리부(300)는 증발기(11)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응축기(13)로 분사하여 처리하는 장치로, 집수부(310) 및 펌프(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집수부(310)는 응축수가 모여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증발기(1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통과하는 공기보다 증발기(11)의 온도가 현저히 낮기 때문에 통과하는 공기의 수분이 증발기(11) 표면에서 응축되어 응축수로 되고, 증발기(11)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됨에 따라, 집수부(310)는 증발기(11) 하측에 구비되어 증발기(11)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응축수가 모여지도록 한다.
펌프(320)는 집수부(310)에 모여진 응축수를 응축기(13)로 이동시켜 상기 응축기(13)에 분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펌프(320)는 응축수가 이동되도록 별도의 배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관의 일단은 집수부(310)의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응축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타단은 응축기(13) 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집수부(310)의 바닥면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배관의 일단은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집수부(310)의 바닥면에서 가장 낮게 형성된 부분에 위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응축수는 집수부(310)의 경사진 바닥면에서 가장 낮게 형성된 부분에서부터 차오르기 때문에, 배관의 일단이 위치한 바닥면에서 가장 낮게 형성된 부분에서 응축수를 이동시킴으로써, 집수부(310)에 응축수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펌프(320) 동작에 의해 집수부(310)에 모여진 응축수를 이동시켜 응축기(13)로 분사함으로써, 상기 응축기(13)는 가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분사된 응축수는 응축기(13) 표면에서 기화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펌프(320)에 형성되는 배관의 타단은 응축수를 이동시켜 응축기(13)로 분사시키되, 분무 노즐(atomizing nozzle)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무 노즐은 펌프(320) 동작시, 배관을 통해 이동된 응축수가 분사되는 과정에서 안개처럼 작은 알갱이고 작게 쪼개어 분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분사되는 응축수는 작은 알갱이로 분사되기 때문에 가열된 상태의 응축기(13) 표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기화되도록 하여 응축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응축수처리부(300)는 집수부(310)에 모여진 응축수 또는 펌프(320)를 통과하는 응축수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별도의 가열부(도면에 미표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는 액체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응축수처리부(300)에 구비될 경우, 응축기(13)로 분사되는 응축수의 온도를 상승시킴에 따라, 기화되는 정도와 속도를 향상시켜 처리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카메라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카메라부(400)는 엘리베이터 카(20)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화상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를 촬영하는 것으로, 움직임 감지모듈(410), 얼굴영역 추출모듈(420) 및 카운팅모듈(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카메라부(400)는 엘리베이터 카(20) 내부 공간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움직임 감지모듈(410), 얼굴영역 추출모듈(420) 및 카운팅모듈(430)은 후술되는 제어부(500)와 연동되도록 설계되거나 또는 제어부(500)에 포함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화상인식 기법은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배경, 움직임 변화, 사람 등을 입력기기(카메라)를 통하여 화상신호를 생성하고 컴퓨터에서 화상처리가 가능하도록 디지털화하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그러짐이나 노이즈 제거, 확대, 축소, 회전 등의 보정처리를 거친 후, 특징 검출을 수행하여 특징 파라메타 또는 특징 벡터를 산출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특징들 중에서 식별과정을 통하여 표준 패턴에 일치하는 특징 또는 유사한 특징들을 식별하여 특징들이 속하는 카테고리에 대응시키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의 움직임 감지, 얼굴영역 추출, 사용자 인원수 파악, 도어 개폐 여부 및 사람들의 이동 방향성 감지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움직임 감지 및 도어 개폐 여부 등 일부분은 별도의 센서가 구비되어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화상인식 기법을 이용한 측정과 센서에 의한 측정이 모두 이루어져 얻어진 데이터를 합산 또는 비교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모듈(410)은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를 촬영한 영상정보로부터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얼굴영역 추출모듈(420)은 움직임 감지모듈(410)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움직이는 객체가 사람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화상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영역을 추출한다.
카운팅모듈(430)은 얼굴영역 추출모듈(420)에서 추출된 결과로부터 사용자 인원수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얼굴영역 추출모듈(420)에서 움직이는 객체가 사람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람(사용자)으로 판단된 경우, 인원수를 파악함으로써, 현재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에 사용자 인원수가 몇명인지 카운팅한다.
이에, 후술되는 제어부(500)는 카운팅모듈(43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함으로써, 자동 온도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카메라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카메라부(400)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어개폐 감지모듈(440) 및 방향 감지모듈(4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어개폐 감지모듈(440)은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엘리베이터 카(20)의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엘리베이터 카(20)의 도어가 열린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외부에서 새로운 사용자가 탑승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사람이 하차할 예정이라는 것을 미리 인식하고, 이에 맞추어 후술되는 제어부(500)를 통해 풍량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된다.
방향 감지모듈(450)은 엘리베이터 카(20)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사람들의 이동(움직임) 방향성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예로, 1명 이상의 사용자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탑승하는 경우, 카운팅모듈(430)을 통해 파악된 엘리베이터 카(20)에 이미 탑승하고 있던 사용자 인원수를 제외하고, 방향 감지모듈(450)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20) 외부에서 내부로 탑승하고 있는 새로운 사용자, 즉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성을 고려하여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탑승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후술되는 제어부(500)를 통해 풍량의 세기가 강해지도록 한다.
이때, 도어개폐 감지모듈(440)에서 엘리베이터 카(20)의 도어가 닫히면, 움직임 감지모듈(410), 얼굴영역 추출모듈(420) 및 카운팅모듈(430)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사용자 인원수를 파악하고, 상기 방향 감지모듈(450)을 통해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시점에서 조절된 풍량의 세기와 카운팅모듈(43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에 대비하여 조절되는 풍량의 세기와 비교 후, 비교 값이 서로 다른 경우, 카운팅모듈(43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를 기준으로 하여 풍량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한다.
다른 예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사용자가 하차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성을 고려하여 엘리베이터 카(20) 외부로 하차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후술되는 제어부(500)를 통해 풍량의 세기가 약해지도록 한다.
이때, 도어개폐 감지모듈(440)에서 엘리베이터 카(20)의 도어가 닫히면, 움직임 감지모듈(410), 얼굴영역 추출모듈(420) 및 카운팅모듈(430)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사용자 인원수를 파악하고, 상기 방향 감지모듈(450)을 통해 사용자가 하차하고 있는 시점에서 조절된 풍량의 세기와 카운팅모듈(43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에 대비하여 조절되는 풍량의 세기와 비교 후, 비교 값이 서로 다른 경우, 카운팅모듈(43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를 기준으로 하여 풍량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한다.
이에, 엘리베이터 카(20)의 도어가 열린 상태의 시점에서 탑승하거나 또는 하차하는 사용자의 방향성을 감지하여 이미 풍량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가 닫힌 후 사용자 인원수에 맞추어 풍량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과정보다 빠른 시점에 풍량이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빠른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부(500)는 카메라부(40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카메라부(400)의 카운팅모듈(430)에서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사용자 인원수가 파악되면,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에 비례하여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이 조절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카운팅모듈(430)을 통해 파악된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사용자 인원수가 적으면 풍량의 세기를 약하게하고, 반대로,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사용자 인원수가 많으면 풍량의 세기가 강해지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인원수에 비례하여 풍량이 조절되는 조건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원과 카운팅모듈(43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 간의 비율을 근거로 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엘리베이터의 이용 가능한 사용자의 정원이 총 10명인 경우, 카운팅모듈(43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가 4명으로 파악되면, 엘리베이터 카(20)로 유입되는 풍량이 40% 이루어지도록 하고, 다른 예로, 카운팅모듈(43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가 8명으로 파악되면, 엘리베이터 카(20)로 유입되는 풍량이 80%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카운팅모듈(43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를 엘리베이터의 이용 가능한 사용자의 정원으로 나눈 값에 비례하여 풍량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00)는 도어개폐 감지모듈(440)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로 판단되면, 방향 감지모듈(450)에서 감지된 사람들의 이동 방향성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어가 열리 상태에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탑승하거나 또는 하차하는 과정에서 해당 사용자의 이동 방향성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엘리베이터의 이용 가능한 사용자의 정원이 총 10명이고, 카운팅모듈(43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가 5명인 경우, 제어부(500)는 엘리베이터 카(20)로 유입되는 풍량이 50% 이루어지도록 유지하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방향 감지모듈(450)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사용자 5명 중 2명이 하차를 하고, 새로운 사용자 4명이 탑승하는 결과가 감지된 경우, 도어가 닫히는 시점을 기준으로 사용자 인원수는 7명임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20)로 유입되는 풍량이 70%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사용자가 하차하고, 새로운 사용자가 탑승하는 과정에서 풍량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풍량 조절에 따른 빠른 대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집수부(310)에 수집된 응축수의 양을 측정하되, 측정된 응축수의 양에 근거하여 펌프(320)를 동작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집수부(310)에 수집된 응축수의 양에 비례하여 펌프(320)의 동작 세기가 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320)를 동작시켜 집수부(310)에 수집된 응축수를 응축기(13)로 분사하는 과정에서, 집수부(310)에 수집된 응축수의 양이 많을수록 펌프(320)의 동작 세기를 강하게 하여 동일한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응축수가 응축기(13)로 분사되도록 하고, 반대로, 집수부(310)에 수집된 응축수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으면 펌프(320)의 동작 세기를 약하게 함으로써, 펌프(320)를 동작시키기 위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서 필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필터부(600)는 하우징(10)과 덕트(200) 사이에 구비되어 증발기(11)로 흡입되는 공기중의 불순물을 걸러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필터수납홈(610) 및 필터(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터수납홈(610)은 하우징(10)과 덕트(20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필터(620)가 탈부착되도록 한다.
필터(620)는 필터수납홈(610)에 탈부착되되, 증발기(11)로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불순물에 의해 막히는 현상과 오염이 방지되어 쾌적한 엘리베이터 실내 환경이 유지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필터수납홈(610)은 부착된 필터(620)에 진동을 가하여 축적된 먼지의 박리를 유도하는 진동부(도면부호 미표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500)를 통해 일정 기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하우징(10)의 동작 시간이 일정 기준치에 도달하거나 또는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여 필터(6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일정 기준치 이하로 감소되면, 상기 진동부가 동작되도록 하여 필터(620)에 축정된 먼지가 박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수납홈(610)은 부착된 필터(620)에 응축수를 분사하도록 펌프(320)에 구비된 배관이 상기 필터수납홈(610)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필터(620)에 응축수 일부분을 미세한 알갱이 형태로 분사함으로써, 공기중에 떠다니는 미세한 먼지와 결합되어 하측으로 가라앉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덕트(20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공기중에 떠다니는 미세한 먼지가 상기 덕트(20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응축수 일부분을 필터(620)로 분사하는 과정은 상기 진동부와 함께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진동부가 동작되어 필터(620)에 걸러진 불순물이 박리되는 과정에서 미세한 먼지가 가라앉도록 유도하여 공기중으로 흩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은 증발기(11)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응축기(13)로 분사하여 건조되도록 함으로써, 발생되는 응축수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에서 발생된 차가운 공기는 네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카(20)에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면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를 순환한 더운 공기가 나머지 한 쌍의 면 측을 통해 하우징(10)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에 차가운 공기가 고르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400)를 통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인원수를 파악하고,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을 지지하는 한 쌍의 받침앵글(100)이 엘리베이터 카(20)의 상단에 구비되는 프레임(21)에 결합되되, 상기 받침앵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우징(10)의 이동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무게중심을 유지한 채 하우징(10)의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단면이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받침앵글(100)에 결합되어 하우징(10)의 이탈이 방지되되, 상기 받침앵글(100)에 결합되는 하우징(10)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냉방 시스템 동작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엘리베이터 카(2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과 덕트(200)가 연결되는 부분에 필터부(600)가 구비됨으로써,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하우징 11 : 증발기
12 : 압축기 13 : 응축기
20 : 엘리베이터 카 21 : 프레임
100 : 받침앵글 110 : 지지판
111 : 관통공 112 : 볼트
120 : 이탈방지가이드 130 : 탄성부재
200 : 덕트 210 : 토출덕트
220 : 흡입덕트 300 : 응축수처리부
310 : 집수부 320 : 펌프
400 : 카메라부 410 : 움직임 감지모듈
420 : 얼굴영역 추출모듈 430 : 카운팅모듈
440 : 도어개폐 감지모듈 450 : 방향 감지모듈
500 : 제어부 600 : 필터부
610 : 필터수납홈 620 : 필터

Claims (10)

  1. 증발기(11), 압축기(12), 응축기(13) 및 하우징(10)으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20)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0)을 지지하는 받침앵글(100);
    하우징(10)과 엘리베이터 카(20)에 연결되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덕트(200);
    상기 증발기(11)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응축기(13)로 분사하는 응축수처리부(300);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400); 및
    상기 카메라부(40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받침앵글(100)은
    하우징(10)의 양측 바닥면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단면이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엘리베이터 카(20) 상단에 구비되는 프레임(21)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지지판(110);
    상기 지지판(110) 끝단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0)의 측면에 인접하는 이탈방지가이드(120); 및
    상기 지지판(110)의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받침앵글(1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 관통공(11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통공(111)은
    지지판(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고 폭이 좁은 긴타원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공(11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볼트(112)에 의해 하우징(10)의 바닥면과 결합되고,
    상기 받침앵글(100)은
    지지판(110)과 이탈방지가이드(120)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탄성부재(130)는 하우징(10)의 바닥면에 접촉되며, 측면에 인접하여 구성되며,
    엘리베이터 카(20)의 상단에 구비되는 프레임(21)에 하우징(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결합되되, 상기 받침앵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우징(10)의 이동 설치가 가능하고,
    상기 덕트(20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과 엘리베이터 카(20)를 연결하며, 증발기(11)로부터 발생된 차가운 공기를 상기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공급하는 토출덕트(210);
    상기 하우징(10)의 타측과 엘리베이터 카(20)를 연결하며,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덕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토출덕트(210)는
    네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카(20)에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면인 정면과 배면측 각각에 연결되어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흡입덕트(220)는
    네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카(20)에서 토출덕트(210)를 통해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을 제외한 나머지 한 쌍의 면인 좌,우측면 각각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카메라부(400)는
    촬영된 영상정보로부터 엘리베이터 카(20)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모듈(410);
    상기 움직임 감지모듈(410)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움직이는 객체가 사람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얼굴영역 추출모듈(420); 및
    상기 얼굴영역 추출모듈(420)에서 추출된 결과로부터 사용자 인원수를 파악하는 카운팅모듈(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카운팅모듈(43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인원수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하고,
    상기 카메라부(400)는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엘리베이터 카(20)의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모듈(440); 및
    엘리베이터 카(20)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사람들의 이동 방향성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모듈(45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도어개폐 감지모듈(440)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로 판단되면, 방향 감지모듈(450)에서 감지된 사람들의 이동 방향성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처리부(300)는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 상측에 구비되어 증발기(11)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도록 하는 집수부(310); 및
    상기 집수부(310)에 수집된 응축수를 응축기(13) 측으로 이동시켜 분사하는 펌프(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집수부(310)에 수집된 응축수의 양을 측정하되,
    측정된 응축수의 양에 근거하여 펌프(320)를 동작시키고, 측정된 응축수의 양이 설정된 한계치에 도달하면 압축기(12)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과 덕트(200)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며, 증발기(11)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를 걸러 주는 필터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
KR1020180125726A 2018-10-22 2018-10-22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 KR101975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726A KR101975321B1 (ko) 2018-10-22 2018-10-22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726A KR101975321B1 (ko) 2018-10-22 2018-10-22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321B1 true KR101975321B1 (ko) 2019-05-07

Family

ID=6665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726A KR101975321B1 (ko) 2018-10-22 2018-10-22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3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5850A (zh) * 2020-01-14 2020-06-02 吴江多菱电梯配套有限公司 一种电梯轿架钣金结构及生产工艺
KR102335121B1 (ko) 2021-04-20 2021-12-02 권영창 엘리베이터
KR102353667B1 (ko) 2021-04-20 2022-01-19 권웅기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CN114636220A (zh) * 2022-04-02 2022-06-17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电梯空调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230053776A (ko) 2021-10-14 2023-04-24 (주)더블스퀘어 살균 기능이 구비된 모듈형 엘리베이터 에어컨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0476A (ja) * 1985-12-25 1987-07-04 Canon Inc 表示装置
JPH04182278A (ja) * 1990-11-19 1992-06-29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における空調機の制御装置
JPH0821651A (ja) * 1994-07-06 1996-01-23 Kajima Corp 空調設備
JPH09240966A (ja) * 1996-03-07 1997-09-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000065409A (ja) * 1998-08-24 2000-03-03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2013155924A (ja) * 2012-01-30 2013-08-15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20150054299A (ko) * 2013-11-11 2015-05-20 이태숙 엘리베이터용 에어콘
JP2017021423A (ja) * 2015-07-07 2017-01-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リア環境管理装置及びエリア環境管理方法
KR101859096B1 (ko) 2016-12-23 2018-06-27 김진고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0476A (ja) * 1985-12-25 1987-07-04 Canon Inc 表示装置
JPH04182278A (ja) * 1990-11-19 1992-06-29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における空調機の制御装置
JPH0821651A (ja) * 1994-07-06 1996-01-23 Kajima Corp 空調設備
JPH09240966A (ja) * 1996-03-07 1997-09-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000065409A (ja) * 1998-08-24 2000-03-03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2013155924A (ja) * 2012-01-30 2013-08-15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20150054299A (ko) * 2013-11-11 2015-05-20 이태숙 엘리베이터용 에어콘
JP2017021423A (ja) * 2015-07-07 2017-01-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リア環境管理装置及びエリア環境管理方法
KR101859096B1 (ko) 2016-12-23 2018-06-27 김진고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5850A (zh) * 2020-01-14 2020-06-02 吴江多菱电梯配套有限公司 一种电梯轿架钣金结构及生产工艺
KR102335121B1 (ko) 2021-04-20 2021-12-02 권영창 엘리베이터
KR102353667B1 (ko) 2021-04-20 2022-01-19 권웅기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KR20230053776A (ko) 2021-10-14 2023-04-24 (주)더블스퀘어 살균 기능이 구비된 모듈형 엘리베이터 에어컨 시스템
KR102582501B1 (ko) * 2021-10-14 2023-10-04 (주)더블스퀘어 살균 기능이 구비된 모듈형 엘리베이터 에어컨 시스템
CN114636220A (zh) * 2022-04-02 2022-06-17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电梯空调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4636220B (zh) * 2022-04-02 2023-08-25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电梯空调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321B1 (ko)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
FI58971C (fi) Ventilationsanordning saerskilt koeksflaekt
KR100913285B1 (ko)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US3728866A (en) Exhaustless clean room work stations
US201101857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air to be supplied to a room to a desired temperature and a desired humidity
US20180010814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air humidity in a room
KR2003006723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어셈블리
JP6232116B2 (ja) 液体フィルターユニット、乾燥機、及び空気調和機
KR20190028841A (ko) 환기 시스템
US9557082B1 (en) Apparatus for converting hot air and steam emissions into cooler air and condensate
CN108072157B (zh) 空间和空调的组合结构以及空调的控制方法
JP2011200431A (ja) ミストサウナ装置
CN110107952A (zh) 物联网室内环境综合处理器
CN208269306U (zh) 一种半导体除湿机
CN214155111U (zh) 一种计算机网络设备存储柜
KR200487525Y1 (ko) 중계기 장비의 자동 냉각장치
WO2015057072A1 (en) Kitchen air extraction canopy having a cavity with air guiding and directing delimiting wall
CN210374369U (zh) 垂直送风烘箱
CN106949543B (zh) 室内机及空调
CN208536208U (zh) 湿度控制设备和湿度控制系统
CN109595734A (zh) 新风系统的控制方法、装置及新风系统
CN110774146A (zh) 密封式抛光打磨房
KR200416095Y1 (ko) 세탁물 건조기용 솔벤트 회수기
KR200343235Y1 (ko) 크레인 쿨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CN213753484U (zh) 一种应用于开关柜的靶向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