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285B1 -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285B1
KR100913285B1 KR1020090010986A KR20090010986A KR100913285B1 KR 100913285 B1 KR100913285 B1 KR 100913285B1 KR 1020090010986 A KR1020090010986 A KR 1020090010986A KR 20090010986 A KR20090010986 A KR 20090010986A KR 100913285 B1 KR100913285 B1 KR 100913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air
evaporator
condenser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고
Original Assignee
김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고 filed Critical 김진고
Priority to KR1020090010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285B1/ko
Priority to PCT/KR2010/000778 priority patent/WO20100931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Ventil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작동중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기화하여 제거하되 전력 소비를 절감하고 기화된 응축수의 재응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은, 냉매순환관로를 통해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 주위를 통과하도록 이송하여 냉각시키는 냉기팬; 엘리베이터 외부의 공기를 상기 응축기 주위를 통과하도록 이송하여 응축기를 방열시키는 방열팬; 상기 증발기 및 냉기팬이 각각 수용되는 제1챔버 및 제2챔버와 엘리베이터 내부로 연통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가 구비된 증발기하우징; 상기 증발기하우징에 연결되어 증발기하우징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이송하는 집수관; 및 상기 집수관에 연결된 응축수제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하우징의 제1챔버와 제2챔버 사이에는 제2챔버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하부에 경사진 응축수안내부가 형성된 연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상기 집수관의 입구가 연결되며, 상기 응축수제거장치는 상기 집수관을 통해 이송된 응축수를 수용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집수조에 구비되어 히터에 의해 기화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응축기의 공기 배출 측으로 연장되어 응축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이송 경로에 기화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배출구 또는 배출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10986
응축수, 증발기하우징, 집수조, 집수관, 히터, 배출관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AIR CONDITIONER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의 작동시 발생되는 응축수를 기화시켜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에는 층간 이동을 위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이 엘리베이터에는 하절기와 같이 날씨가 더울 때 탑승자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의 내부 공기를 냉각하는 에어컨이 설치된다.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역시, 통상의 에어컨과 동일하게 냉매가 순환되는 냉동사이클을 이루도록 압축기, 증발기, 팽창기, 응축기 등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엘리베이터 내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를 통해 냉각시켜 다시 엘리베이터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에어컨이 작동되면 공기가 냉각되면서 수분이 응결되어 증발기 외부에 계속 응축수가 발생되므로, 이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예전에는 엘리베이터의 상부에 집수탱크를 설치하여 응축수를 수집하고, 수집된 응축수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엘리베이터를 건물의 최하층으로 하강시켜 승강기 통로에 구비된 배수시설을 통해 배출하는 방식으로 에어컨 응축수를 처리했었다.
이러한 방식은 엘리베이터의 상부에 큰 공간을 차지하는 집수탱크를 설치해야 하고, 이 집수탱크의 응축수를 승강기 통로의 배수시설 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관과 수집된 응축수의 양에 따라 상기 배관을 통한 배수 조절을 위한 자동밸브와 제어기 등이 구비되어야 하며, 엘리베이터 통로의 하부에도 집수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받기 위한 배수탱크와 이 배수탱크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관과 펌프 등의 배수 시설을 별도로 설치해야 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및 주변 시설이 복잡하게 되어 시공 및 유지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집수탱크에 수집된 응축수를 배수탱크로 배출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가 불필요한 승강동작을 행하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이용상의 불편과 에너지 낭비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증발식 에어컨 응축수 처리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상부에 에어컨의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집수탱크의 내부에 전열히터가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수집된 응축수를 가열하여 증발시키는 것으로, 응축수 배출을 위한 복잡한 배수시설이 필요 없고, 엘리베이터의 불필요한 승강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응축수 처리장치는 전열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만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제거하는 구조였기 때문에, 응축수를 기화시키는데 많은 전력이 소요되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며, 특히 처리장치 외부로 배출된 수증기가 외기와 접촉되면서 재응결되어 엘리베이터 상부에 결로로 인한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동중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기화하여 제거하되 전력 소비를 절감하고 기화된 응축수의 재응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매순환관로를 통해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 주위를 통과하도록 이송하여 냉각시키는 냉기팬; 엘리베이터 외부의 공기를 상기 응축기 주위를 통과하도록 이송하여 응축기를 방열시키는 방열팬; 상기 증발기 및 냉기팬이 각각 수용되는 제1챔버 및 제2챔버와 엘리베이터 내부로 연통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가 구비된 증발기하우징; 상기 증발기하우징에 연결되어 증발기하우징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이송하는 집수관; 및 상기 집수관에 연결된 응축수제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하우징의 제1챔버와 제2챔버 사이에는 제2챔버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하부에 경사진 응축수안내부가 형성된 연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상기 집수관의 입구가 연결되며, 상기 응축수제거장치는 상기 집수관을 통해 이송된 응축수를 수용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집수조에 구비되어 히터에 의해 기화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응축기의 공기 배출 측으로 연장되어 응축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이송 경로에 기화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배출구 또는 배출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을 제공한다.
삭제
상기 집수관은 상기 증발기하우징에 연결된 입구 측이 높고 상기 집수조에 연결된 출구 측이 낮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집수조의 일측에 설치되어 집수조 내부에 수집된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히터의 작동이 조절되도록 하는 수위감지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수위감지기는 상기 집수조의 일측에 집수조와 동일한 응축수 수위를 갖도록 연결된 감지수조 및 상기 감지수조의 내부에 설치된 감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관의 출구가 상기 감지수조에 연결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에어컨은,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이송경로 상에 위치되고 외부에 다수의 흡열핀이 형성된 흡열부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이송경로 상에 위치되고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분산배출부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히터의 가열에 의해 기화된 응축수를 배출관을 통해 응축기 후단의 고온 공기가 배출되는 위치로 배출하여 히터에 의한 열 뿐 아니라 응축기에서 발생된 폐열 및 공기의 이송력을 함께 이용하여 응축수를 제거함으로써, 응축수 제거에 소요되는 전력을 절감하여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증발기하우징에 증발기와 냉기팬이 각각 수용되는 제1챔버와 제2챔버를 구비하고, 제1챔버와 제2챔버 간의 연통로에 응축수안내부를 형성하여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제2챔버에 유입되지 않고 제1챔버에 수집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를 외부 누설 없이 효율적으로 수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
(3) 집수관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증발기하우징에 수집된 응축수가 별도의 동력 없이 응축수제거장치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4) 응축수제거장치의 집수조와 연통된 감지수조를 구비하여 이 감지수조에 설치된 감지봉에 의해 수위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히터 주위의 응축수 비 등으로 인한 수위 감지 오류가 방지되어 히터의 작동을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집수관으로부터 전달된 응축수가 상기 감지수조를 통해 집수조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집수조 내부에서 가열된 응축수가 저온의 응축수 유입으로 인해 급격히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여 히터에 의한 응축수 배출이 항상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출된 응축수의 재응결을 더욱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5) 응축수제거장치의 배출관에 흡열핀이 형성된 흡열부를 구비하여 응축기를 통과한 고온 공기의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이용 효율을 더욱 높이고 배출되는 응축수의 재응결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6) 응축수제거장치의 배출관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분산배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분산배출부가 고온 공기의 열을 흡수하는 동시에 상기 배출공을 통해 응축수가 소량씩 넓은 영역에 걸쳐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배출된 응축수의 재응결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은 엘리베이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냉각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케이스(100)와, 이 본체케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증발기하우징(110)과, 이 증발기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121) 및 냉기팬(122)과,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타측에 설치되는 응축기(123) 및 방열팬(124)과, 상기 냉기팬(122)과 방열팬(124)을 구동시키는 모터(125)와, 상기 응축기(123) 및 증발기(121) 사이의 냉매순환관로에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팽창기(127) 및 압축기(126)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하부에 설치된 응축수제거장치(130)와, 상기 증발기하우징(110)과 응축수제거장치(130) 간에 연결 설치된 집수관(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케이스(100)는 엘리베이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응축기(123)를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도록 전/후면부와 측면부에 외부로 연통된 다수의 통기구(103, 104)가 구비되고,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증발기(121)를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도록 하면부에 엘리베이터 내부로 연결되는 흡기관(101) 및 배기관(102)이 결합된다.
상기 증발기하우징(110)은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121) 주변의 공간을 외부와 차폐하여 냉각된 공기의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하는 것으로, 상기 증발기(121)가 설치되는 제1챔버(111) 및 상기 냉기팬(122)이 설치되는 제2챔버(1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챔버(111)의 하부에는 상기 흡기관(101)으로 연결되는 흡기구(1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챔버(112)의 하부에는 상기 배기관(102)으로 연결되는 배기 구(116)가 형성되며, 제1챔버(111)와 제2챔버(112)의 사이에는 제1챔버(111)에서 냉각된 공기가 제2챔버(112)로 이송될 수 있도록 연통로(113)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로(113)는 제2챔버(112)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특히 하측 부분에는 제2챔버(112)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고 제1챔버(111)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진 응축수안내부(114)가 구비된다. 이 응축수안내부(114)는 상기 증발기(121)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냉기팬(122)의 풍압에 의해 날려 제2챔버(11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연통로(113) 부분에 낙하된 응축수가 모두 제1챔버(111) 내부로 자연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증발기(121)는 냉매의 증발을 통해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것으로, 냉매가 이송되는 관로의 외부에 다수의 흡열핀이 구비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기팬(122)은 제1챔버(111)로부터 제2챔버(112)로 공기를 압송하는 것으로, 이 냉기팬(122)에 의해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가 흡기구(115)를 통해 유입되어 증발기(121)에 의해 냉각된 후 배기구(116)를 통해 다시 엘리베이터 내부로 공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터(125)의 우측 출력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원심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응축기(123)는 냉매의 응축을 통해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것으로, 냉매가 이송되는 관로의 외부에 다수의 방열핀이 구비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열팬(124)은 본체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압송하는 것으로, 이 방열팬(124)에 의해 엘리베이터 외부의 공기가 본체케이스(100)의 전/후면측 통기구(103)를 통해 유입되어 응축기(123)의 열을 흡수한 후 측면측 통기 구(104)를 통해 엘리베이터 외부로 배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터(125)의 좌측 출력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축류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팽창기(127)는 냉매순환관로의 응축기(123)의 후단과 증발기(121)의 전단 사이에 설치되어 액화된 냉매를 무화시켜 증발기(121)에서의 증발을 촉진하는 통상의 것이며, 상기 압축기(126) 역시 통상의 것으로 압축기(126)의 후단과 응축기(123)의 전단 사이의 냉매순환관로에 설치되어 기화된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123)에서의 응축을 촉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응축수제거장치(130)는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된 집수조(131)와, 상기 집수조(131)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132)와, 상기 집수조(131)의 일측에 설치된 수위감지기(137)로 구성된다.
상기 집수조(131)는 상기 집수관(133)을 통해 유입된 응축수를 내부에 수용하는 것으로, 상부에 기화된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관(135)이 구비된다. 이 배출관(135)은 집수조(131)의 상부로 연장되어 그 배출구(136)가 상기 응축기(123)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이송경로 후단에 위치된다.
상기 히터(132)는 집수조(131)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것으로, 집수조(131) 측방에 설치된 전원단자(139)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으며, 낮은 수위에서도 응축수의 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집수조(131)의 바닥부 측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감지기(137)는 집수조(131)의 내부에 수집된 응축수의 양에 따라 히터(13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수위 변화에 따른 플로트의 위치 변화 를 감지하는 구조를 비롯하여 다양한 통상의 수위센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물에 접촉되면 통전되어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의 감지봉(134)이 서로 다른 수위를 감지하도록 다른 높이로 설치된 구조를 예시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위감지기(137)는 상기 집수조(131)의 하측에 연결관(138)을 통해 결합되어 집수조(131)와 동일한 수위가 형성되도록 응축수가 출입되는 감지수조(145)를 구비하고, 이 감지수조(145)의 상부에 내향하도록 상기 감지봉(134)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집수조(131)에 감지봉(134)을 설치하는 경우 히터(132) 주위의 응축수 비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감지 오류가 방지되어 히터(132)의 작동을 수위에 따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집수관(133)은 상기 증발기(121)에 의해 결로된 응축수를 상기 집수조(131)로 전달하는 것으로, 응축수가 모이게 되는 증발기하우징(110)의 제1챔버(111) 하부에 입구 측이 연결되고,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응축수가 이송될 수 있도록 집수조(131)에 연결된 출구 측이 낮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수관(133)의 출구는 감지수조(145)에 연결되어 응축수가 상기 감지수조(145)를 거쳐 집수조(131)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집수조(131) 내부에서 가열된 응축수가 저온의 응축수 유입으로 인해 급격히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여 히터(132)에 의한 응축수 배출이 항상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기화된 상태로 배출되는 응축수가 재응결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은 상기 응축기(123), 팽 창기(127) 및 증발기(121)를 통해 연결된 냉매관로를 따라 냉매가 순환되면서 엘리베이터 내부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즉, 냉기팬(122)에 의해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가 상기 흡기관(101)을 통해 증발기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되어 증발기(121)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상기 배기관(102)을 통해 다시 엘리베이터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증발기(121)에서 기화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126)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상기 응축기(123)로 이송되고, 이 응축기(123)를 통과하면서 열을 방출하여 액화된다. 이때, 방출되는 열은 상기 방열팬(124)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에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액화된 냉매는 상기 팽창기(127)에 의해 무화된 상태로 다시 증발기(121)로 이송되어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순환된다.
상기와 같이 냉각이 이루어질 때, 증발기(121)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결로되어 증발기하우징(110)의 내부에 응축수가 고이게 되고, 이 응축수는 상기 집수관(133)을 통해 상기 응축수제거장치(130)의 집수조(131) 내부로 이동된다.
집수조(131) 내부에 수집된 응축수의 높이가 상기 수위감지기(137)에 의해 감지되고, 설정된 수위에 따라 상기 히터(132)가 작동되어 응축수를 가열하게 된다. 가열에 의해 기화된 응축수는 상기 배출관(13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응축수가 상기 배출관(135)에 의해 응축기(123)의 후방으로 방출되므로, 응축기(123)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의 이송력에 의해 넓은 공간으로 신속하게 확산되고, 응축기(123)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의 열에 의해 온도를 유지하게 되 어 배출된 응축수의 재응결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컨의 작동에 따라 발생된 응축수가 응축수제거장치(130)에 수집되어 상기 히터(132)의 발열에 의해 기화되고, 기화된 응축수가 방열팬(124)의 이송력 및 응축기(123)의 열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되므로, 전열히터만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제거하는 종래의 응축수 처리장치에 비해 히터(132)의 작동에 소요되는 전력을 절감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에어컨 및 엘리베이터 주변에 재응결된 응축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응축수에 의한 부식 및 누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되, 상기 응축수제거장치(130)에 구비되는 배출관(135)의 단부에 상기 응축기(123)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이송경로 상에 위치되도록 흡열부(141)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흡열부(141)의 외부 표면에 다수의 흡열핀(142)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응축기(123)를 통과한 공기의 열이 상기 흡열부(141)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되므로, 배출되는 응축수의 재응결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제3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되, 상기 배출관(135)의 단부에 상기 응축기(123)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 이송 경로에 위치되는 분산배출부(151)가 연장 형성되고, 이 분산배출구(151)에는 소정 간격으로 작은 크기의 배출공(152)이 다수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응축수의 배출이 다수의 배출공(152)을 통해 소량씩 넓은 영역에 걸쳐 분산되어 이루어지므로, 배출된 응축수의 재응결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제3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케이스 101 : 흡기관
102 : 배기관 110 : 증발기하우징
111 : 제1챔버 112 : 제2챔버
114 : 응축수안내부 115 : 흡기공
116 : 배기공 121 : 증발기
122 : 냉기팬 123 : 응축기
124 : 방열팬 125 : 모터
126 : 압축기 130 : 응축수제거장치
131 : 집수조 132 : 히터
133 : 집수관 134 : 감지봉
135 : 배출관 137 : 수위감지기
141 : 흡열부 142 : 흡열핀
151 : 분산배출부 152 : 배출공

Claims (7)

  1. 냉매순환관로를 통해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 주위를 통과하도록 이송하여 냉각시키는 냉기팬; 엘리베이터 외부의 공기를 상기 응축기 주위를 통과하도록 이송하여 응축기를 방열시키는 방열팬; 상기 증발기 및 냉기팬이 각각 수용되는 제1챔버 및 제2챔버와 엘리베이터 내부로 연통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가 구비된 증발기하우징; 상기 증발기하우징에 연결되어 증발기하우징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이송하는 집수관; 및 상기 집수관에 연결된 응축수제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하우징의 제1챔버와 제2챔버 사이에는 제2챔버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하부에 경사진 응축수안내부가 형성된 연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상기 집수관의 입구가 연결되며,
    상기 응축수제거장치는 상기 집수관을 통해 이송된 응축수를 수용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집수조에 구비되어 히터에 의해 기화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응축기의 공기 배출 측으로 연장되어 응축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이송 경로에 기화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배출구 또는 배출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관은 상기 증발기하우징에 연결된 입구 측이 높고 상기 집수조에 연결된 출구 측이 낮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의 일측에 설치되어 집수조 내부에 수집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기는 상기 집수조의 일측에 집수조와 동일한 응축수 수위를 갖도록 연결된 감지수조 및 상기 감지수조의 내부에 설치된 감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관의 출구가 상기 감지수조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이송경로 상에 위치되고 외부에 다수의 흡열핀이 형성된 흡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이송경로 상에 위치되고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분산배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KR1020090010986A 2009-02-11 2009-02-11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KR100913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986A KR100913285B1 (ko) 2009-02-11 2009-02-11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PCT/KR2010/000778 WO2010093157A1 (ko) 2009-02-11 2010-02-09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986A KR100913285B1 (ko) 2009-02-11 2009-02-11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285B1 true KR100913285B1 (ko) 2009-08-21

Family

ID=4121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986A KR100913285B1 (ko) 2009-02-11 2009-02-11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13285B1 (ko)
WO (1) WO2010093157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099B1 (ko) * 2013-11-11 2015-06-09 이태숙 엘리베이터용 에어콘
KR20160079542A (ko) 2014-12-26 2016-07-06 김진고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KR20170002345A (ko) 2016-12-23 2017-01-06 김진고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CN106482236A (zh) * 2016-11-23 2017-03-08 南京朗得科技有限公司 一种外置风机的电梯空调及其使用方法
CN108507143A (zh) * 2018-04-28 2018-09-07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中层接水盘及具有该接水盘的移动空调
KR101888943B1 (ko) * 2016-11-03 2018-09-20 (주) 첨성시스템 산소 발생기와 에어컨이 구비된 승강기
CN113086811A (zh) * 2021-03-31 2021-07-09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可调节温度的轿厢结构
CN113864975A (zh) * 2021-09-29 2021-12-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变频空调的低温制冷控制方法、装置和空调
KR102381720B1 (ko) 2021-09-29 2022-04-01 이우종 엘리베이터용 이온아이저 시스템
KR20220072266A (ko)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센추리산업 Uv 살균 필터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에어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3246A (zh) * 2016-09-29 2017-02-15 西安华为技术有限公司 冷凝水处理装置及无冷凝水空调系统
CN107543297B (zh) * 2017-09-07 2019-10-25 张伟飞 一种用于对空调废热进行导流的导流罩
CN108394793A (zh) * 2018-02-12 2018-08-14 陈秀珍 一种节能的电梯空气清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009A (ko) * 1999-06-19 2001-01-15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에어콘 배출수 증발장치
JP3556730B2 (ja) 1995-04-28 2004-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空気調和機
KR20050104576A (ko) * 2004-04-29 2005-11-03 김전식 엘리베이터 에어컨의 응축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20070043754A (ko) * 2007-04-05 2007-04-25 박승민 엘리베이터용 에어컨디셔너의 응축수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6730B2 (ja) 1995-04-28 2004-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空気調和機
KR20010003009A (ko) * 1999-06-19 2001-01-15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에어콘 배출수 증발장치
KR20050104576A (ko) * 2004-04-29 2005-11-03 김전식 엘리베이터 에어컨의 응축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20070043754A (ko) * 2007-04-05 2007-04-25 박승민 엘리베이터용 에어컨디셔너의 응축수 제거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099B1 (ko) * 2013-11-11 2015-06-09 이태숙 엘리베이터용 에어콘
KR20160079542A (ko) 2014-12-26 2016-07-06 김진고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1888943B1 (ko) * 2016-11-03 2018-09-20 (주) 첨성시스템 산소 발생기와 에어컨이 구비된 승강기
CN106482236A (zh) * 2016-11-23 2017-03-08 南京朗得科技有限公司 一种外置风机的电梯空调及其使用方法
KR20170002345A (ko) 2016-12-23 2017-01-06 김진고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1859096B1 (ko) 2016-12-23 2018-06-27 김진고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CN108507143A (zh) * 2018-04-28 2018-09-07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中层接水盘及具有该接水盘的移动空调
CN108507143B (zh) * 2018-04-28 2024-02-02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中层接水盘及具有该接水盘的移动空调
KR20220072266A (ko)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센추리산업 Uv 살균 필터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에어콘
CN113086811A (zh) * 2021-03-31 2021-07-09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可调节温度的轿厢结构
CN113864975A (zh) * 2021-09-29 2021-12-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变频空调的低温制冷控制方法、装置和空调
KR102381720B1 (ko) 2021-09-29 2022-04-01 이우종 엘리베이터용 이온아이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3157A1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285B1 (ko)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CN110331566B (zh) 烘干系统及其使用方法
US10006650B2 (en) Energy-saved smart safety cooling/warming wind apparatus for the four seasons
KR101859096B1 (ko)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US20030037905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performing composite heat transfer through change of water two phases (liquid vapor)
US20190293302A1 (en) Subatmospheric heating and cooling system
CN109237910A (zh) 一种节能型闭式热泵污泥烘干除湿系统与工艺
CN103748279A (zh) 在热泵衣物处理设备中的基座装置
KR100845312B1 (ko) 엘리베이터용 에어컨디셔너의 응축수 제거장치
KR20110090760A (ko) 냉방시스템
KR20180126823A (ko) 랙 구조물의 항온 및 항습 장치
US2794624A (en) Apparatus for removal of condensate water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367176B1 (ko) 히트 펌프식 냉난방장치
CN207247606U (zh) 冷风机及ct机冷却系统
CN106403246A (zh) 冷凝水处理装置及无冷凝水空调系统
CN115503443A (zh) 一种加湿装置、汽车空调及其控制方法
JP2004324941A (ja) エレベータ用空気調和機
WO2022043978A1 (en) Cooling apparatus with hybrid cooling cycle and closed water cycle with double wall heat transfer system
KR20070009019A (ko) 제어반 냉각기 응축수 증발기
KR200222092Y1 (ko) 수냉식 이동형 에어콘의 결합구조
CN205579785U (zh) 一种节能制冷装置及空调系统及一体化空调
KR100830404B1 (ko) 난방기
CN219100198U (zh) 一种空气制水装置
KR100395569B1 (ko) 에어컨의 응결수 처리장치
KR102666196B1 (ko) 3종환기 겸용 제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