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667B1 -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667B1
KR102353667B1 KR1020210050968A KR20210050968A KR102353667B1 KR 102353667 B1 KR102353667 B1 KR 102353667B1 KR 1020210050968 A KR1020210050968 A KR 1020210050968A KR 20210050968 A KR20210050968 A KR 20210050968A KR 102353667 B1 KR102353667 B1 KR 102353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disposed
car
air
air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웅기
Original Assignee
권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웅기 filed Critical 권웅기
Priority to KR1020210050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Ventil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 외부 공간의 온도(t2), 카 내부 공간의 온도(t1) 및 기준온도(t0)를 비교하여, 공조장치 또는 댐퍼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카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면서 카 내부의 공기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기술의 발전과 인구 도시집중화의 영향으로 고층건물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층건물의 내부에는 수직이동 수단으로서 엘리베이터가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의 수직이동 경로인 엘리베이터 샤프트는 굴뚝과 유사하게 수직으로 형성된 빈 공간인 바, 건물 내외부의 온도차이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에 상승기류가 생성되어 상승하는 연돌효과(stack effect)가 발생한다.
다시 말하면, 엘리베이터 샤프트는 굴뚝과 같이 수직으로 형성된 빈 공간으로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공기는 실온으로 유지되고, 외기의 온도와는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열기구가 더운 공기에 의해 상승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공기는 상승기류가 생성되어 상승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저층부는 기압이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샤프트 저층부의 기압이 낮아지면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연통하는 엘리베이터 홀(엘리베이터 출입문이 구비된 건물 복도를 의미함)의 공기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홀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내부로 실내의 공기가 빨려들면 실내의 기압이 건물 외부의 기압보다 낮아지게 되고, 건물 외부에서 건물 내부로 외부 공기가 침투하는 침기현상(infiltration)이 발생되며, 실내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난방장치에 의하여 가열된 후 다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로 빨려드는 과정이 되풀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연돌효과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층부는 상승기류에 의하여 압력이 높아져 저층부와는 달리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엘리베이터 홀을 향하여 공기가 빨려든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홀로 공기가 유입되면 실내의 공기도 압력이 상승하여 건물의 외부로 실내의 공기가 유출되는 누기현상(exfiltration)이 발생된다.
건물의 저층부에서의 침기현상과 건물의 상층부에서의 누기현상이 반복되는 이러한 연돌효과는 모두 건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데, 특히 실내외 온도차이가 심한 겨울철 고층건물에서 그 정도가 심하게 발생한다.
한편, 종래 엘리베이터는 상부에 공기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공조장치에서 공기조화된 공기가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에 공급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 질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온도 조절을 위해 냉기 또는 온기를 엘리베이터 내부로 공급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0048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8257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75321호
본 발명은 공조장치 또는 댐퍼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카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면서 카 내부의 공기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샤프트에 배치되는 카; 상기 카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카에 배치되고 상기 카의 내부로 공조공기를 공급하는 공조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는, 내부에 탑승공간이 형성된 이너캐비닛(120); 상기 이너캐비닛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이너캐비닛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아우터캐비닛(130); 상기 이너캐비닛 및 아우터캐비닛의 이격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캐비닛 및 아우터캐비닛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에어채널(141); 상기 이너캐비닛 및 아우터캐비닛의 이격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캐비닛 및 아우터캐비닛의 우측에 배치된 제 2 에어채널(142); 상기 아우터캐비닛의 좌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채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에어채널의 상측을 개폐시키는 제 1 댐퍼(301); 상기 아우터캐비닛의 좌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에어채널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에어채널의 하측을 개폐시키는 제 2 댐퍼(302); 상기 아우터캐비닛의 우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에어채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에어채널의 상측을 개폐시키는 제 3 댐퍼(303); 상기 아우터캐비닛의 우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에어채널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에어채널의 하측을 개폐시키는 제 4 댐퍼(304);를 포함하고, 탑승공간(101)에 배치된 제 1 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탑승공간의 온도(t1)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탑승공간(101)의 온도(t1)가 기준온도(t0) 범위 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댐퍼, 제 2 댐퍼, 제 3 댐퍼 또는 제 4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는 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탑승공간(101)의 온도(t1)가 상기 기준온도(t0) 범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공조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S50); 상기 S4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댐퍼, 제 2 댐퍼, 제 3 댐퍼 및 제 4 댐퍼를 모두 폐쇄하는 단계(S60);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댐퍼, 제 2 댐퍼, 제 3 댐퍼 또는 제 4 댐퍼 중 일부를 개방하고, 나머지를 폐쇄하는 단계(S32); 상기 S32 단계 이후에,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제 1 댐퍼, 제 2 댐퍼, 제 3 댐퍼 및 제 4 댐퍼 중 상기 일부를 폐쇄하고, 상기 나머지를 개방하는 단계(S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카 내부의 탑승공간 온도에 따라 복수개의 댐퍼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탑승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카 내부의 탑승공간 온도에 따라 공조장치 및 댐퍼들을 제어하여 탑승공간의 온도를 능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카 외부의 온도 및 카 내부의 온도차가 작을 경우 댐퍼들 중 일부만을 개폐하여 점진적인 환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카 외부 공간의 온도(t2), 카 내부 공간의 온도(t1) 및 기준온도(t0)를 비교하여, 공조장치 또는 댐퍼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카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면서 카 내부의 공기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가 하강할 때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가 상승할 때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공조장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가 하강할 때의 작동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카가 상승할 때의 작동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건물의 샤프트(1)에 배치되는 카(100)와, 상기 카(10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미도시)와, 상기 카(100)에 배치되고 상기 카(100)의 내부로 공조공기를 공급하는 공조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카(100)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공간(10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조장치(200)는 상기 카(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카(100)의 탑승공간(101)으로 공조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1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개폐가능한 도어(110)가 배치된다.
상기 도어(110)는 엘리베이터 홀(엘리베이터 출입문이 구비된 건물 복도)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도어(110)의 작동 및 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카(100)는 내부에 탑승공간(101)이 형성된 이너캐비닛(120)과, 상기 이너캐비닛(120)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이너캐비닛(120)과 이격되어 에어채널(140)을 형성시키는 아우터캐비닛(130)과, 상기 아우터캐비닛(130)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채널(140)을 개폐시키는 댐퍼(300)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캐비닛(120)은 상기 일면을 제외하고 나머지 면이 막힌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아우터캐비닛(130)은 상기 일면을 제외하고 나머지 면이 막힌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이너캐비닛(120) 및 아우터캐비닛(130)은 프레임(105)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5)는 상기 카(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너캐비닛(120) 및 아우터캐비닛(130)은 상기 프레임(105)의 내측 및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너캐비닛(120) 및 아우터캐비닛(130)의 적어도 일측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에어채널(140)을 형성시킨다. 상기 에어채널(140)은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채널(140)은 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좌측, 우측 및 배면에 각각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좌측, 우측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좌측에 배치된 에어채널(140)을 제 1 에어채널(141)이라 하고, 우측에 배치된 에어채널(140)을 제 2 에어채널(142)이라 한다.
상기 제 1 에어채널(141)은 이너캐비닛(120)의 좌측벽(121) 및 아우터캐비닛(130)의 좌측벽(13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에어채널(142)은 이너캐비닛(120)의 우측벽(122) 및 아우터캐비닛(130)의 우측벽(13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에어채널(14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에어채널(141)은 이너캐비닛(120)의 좌측벽(121) 및 아우터캐비닛(130)의 좌측벽(13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에어채널(142)은 이너캐비닛(120)의 우측벽(122) 및 아우터캐비닛(130)의 우측벽(13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에어채널(140)은 카(10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채널(140)은 상기 탑승공간(101)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댐퍼(300)는 에어채널(140)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300)는 상기 제 1 에어채널(14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 1 에어채널(141)의 상측에 배치된 것을 제 1 댐퍼(301)라 하고, 제 1 에어채널(141)의 하측에 배치된 것을 제 2 댐퍼(302)라 한다.
상기 댐퍼(300)는 상기 제 2 에어채널(142)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 2 에어채널(142)의 상측에 배치된 것을 제 3 댐퍼(303)라 하고, 제 2 에어채널(142)의 하측에 배치된 것을 제 4 댐퍼(304)라 한다.
상기 댐퍼(300)는 상기 이너캐비닛(120) 또는 아우터캐비닛(13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300)는 상기 아우터캐비닛(130)에 배치된다.
상기 카(100)는, 상기 아우터캐비닛(13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댐퍼(301)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개구부(311)와, 상기 아우터캐비닛(13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댐퍼(302)에 의해 개폐되는 제 2 개구부(312)와, 상기 아우터캐비닛(130)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댐퍼(303)에 의해 개폐되는 제 3 개구부(313)와, 상기 아우터캐비닛(130)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댐퍼(304)에 의해 개폐되는 제 4 개구부(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부(311)는 상기 제 1 에어채널(141)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개구부(312)는 상기 제 1 에어채널(141)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개구부(313)는 상기 제 2 에어채널(142)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4 개구부(314)는 상기 제 2 에어채널(142)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개구부들(311)(312)(313)(314)을 통해 상기 샤프트(1) 내부의 공기와 상기 에어채널들의 공기가 소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댐퍼(301), 제 2 댐퍼(302), 제 3 댐퍼(303) 및 제 4 댐퍼(304)의 구성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3 댐퍼(303)를 예로 들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댐퍼(300)는, 상기 아우터캐비닛(13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개구부를 개패하는 댐퍼플레이트(310)와, 상기 아우터캐비닛(130) 및 댐퍼플레이트(31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댐퍼축(320)과, 상기 카(100)에 배치되고, 상기 댐퍼플레이트(310)를 회전시키는 댐퍼모터(330)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모터(330) 및 댐퍼축(320)을 연결하는 기어들 또는 벨트-풀리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댐퍼모터(330)의 토크 및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카(100)의 이동 및 외부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댐퍼모터(330)는 상기 에어채널(140)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플레이트(310)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댐퍼플레이트(310)는 상기 에어채널(140)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에어채널(140) 내에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플레이트(310)가 상기 아우터캐비닛(130)의 외측으로 회전될 경우, 카(100)의 이동과정에서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댐퍼플레이트(310)는 상기 댐퍼축(32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축(320)은 상기 아우터캐비닛(130)에 배치된다. 상기 댐퍼축(320)에 상기 댐퍼플레이트(310)가 결합되고, 상기 댐퍼축(3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댐퍼플레이트(31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댐퍼플레이트(310)는 댐퍼축(320)을 중심으로 로테이션될 수 있다. 상기 댐퍼플레이트(310)의 최대회전 시 상기 이너캐비닛(12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댐퍼플레이트(310)의 길이는 상기 에어채널(140)의 폭(좌우길이)보다 길다.
상기 댐퍼플레이트(310)의 끝단에 완충재(3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재(340)는 상기 이너캐비닛(120)과의 접촉 시 충격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100)의 이동 시 진동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완충재(340)가 상기 이너캐비닛(120) 및 댐퍼플레이트(310)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마찰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완충재(34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313)를 형성하는 아우터캐비닛(130)은 상기 완충재(340)가 지지되는 단(13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133)은 상기 완충재(113) 또는 댐퍼플레이트(310)가 아우터캐비닛(130) 밖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단(133)이 상기 완충재(133) 또는 댐퍼플레이트(3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댐퍼플레이트(310)는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이너캐비닛(120)에 지지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아우터캐비닛(130)에 지지될 수 있다.
각 댐퍼에 배치된 구성들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기 댐퍼플레이트, 댐퍼축, 댐퍼모터 또는 완충재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제 2", "제 3", "제 4"의 접두사를 붙여 구분할 수 있다.
제 1 댐퍼플레이트는 상측에 제 1 댐퍼축이 배치되기 때문에, 끝단이 하측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 2 댐퍼플레이트는 하측에 제 2 댐퍼축이 배치되기 때문에, 끝단이 상측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 3 댐퍼플레이트는 상측에 제 3 댐퍼축이 배치되기 때문에, 끝단이 하측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 4 댐퍼플레이트는 하측에 제 4 댐퍼축이 배치되기 때문에, 끝단이 상측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댐퍼플레이트는 상기 제 4 댐퍼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제 2 댐퍼플레이트는 상기 제 3 댐퍼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댐퍼플레이트는 상기 제 2 댐퍼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4 댐퍼플레이트는 상기 제 1 대퍼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댐퍼(301) 및 제 3 댐퍼(303)는 상기 카(100)의 수직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댐퍼(302) 및 제 4 댐퍼(304)는 상기 카(100)의 수직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댐퍼(301) 및 제 2 댐퍼(302)는 상기 카(100)의 수평방향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댐퍼(303) 및 제 4 댐퍼(304)는 상기 카(100)의 수평방향 중심선(C2)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댐퍼(301), 제 2 댐퍼(302), 제 3 댐퍼(303) 또는 제 4 댐퍼(304)는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되어 각 개구부(311)(312)(313)(314)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카(100)의 내부에 제 1 온도센서(201)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카(100)의 외부에 상기 제 2 온도센서(20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온도센서(201)는 상기 수평방향 중심선(C2)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탑승자의 얼굴 부분의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온도센서(202)는 상기 공조장치(200)의 외부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에어채널(140)과 접한 상기 이너캐비닛(120)에는 상기 에어채널(140)과 연통되는 에어벤트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에어채널(141)과 연통되는 에어벤트가 상기 이너캐비닛(120)의 좌측벽(12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채널(142)과 연통되는 에어벤트이 상기 이너캐비닛(120)의 우측벽(12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벤트는 다수개의 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벤트는 여러 위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개구부(311)의 하측에 제 1 에어벤트(35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부(312)의 상측에 상기 제 2 에어벤트(3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개구부(313)의 하측에 상기 제 3 에어벤트(35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개구부(314)의 상측에 상기 제 4 에어벤트(35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 및 에어벤트의 상대적 높이 차를 통해 상기 에어채널(140)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상기 탑승공간(101)으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100)가 하강될 경우, 상기 탑승공간(101)의 공기가 상기 제 1 에어벤트(351)를 통해 상기 제 1 개구부(311) 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100)가 하강될 경우, 상기 제 2 개구부(312)를 통해 상기 에어채널(14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2 에어벤트(352)를 통해 상기 탑승공간(101) 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채널(142)에 배치된 제 3 에어벤트(353) 및 제 4 에어벤트(354)도 동일하게 기능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카(100)가 상승될 경우, 상기 제 1 개구부(311)를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제 1 에어채널(141)로 유입될 수 있고, 제 3 개구부(313)를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제 2 에어채널(14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카(100)가 상승될 경우, 상기 제 2 개구부(312)를 통해 상기 탑승공간(101)의 공기가 상기 제 1 에어채널(141)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제 4 개구부(314)를 통해 상기 탑승공간(101)의 공기가 상기 제 2 에어채널(142)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1) 내에서는 연돌효과(stack effect)가 발생되고, 샤프트(1) 내의 높이에 따라 침기현상(infiltration) 또는 누기현상(exfiltration)이 발생된다.
그래서 상기 카(100)가 샤프트(1) 내에 정지하고 있을 경우, 상기 샤프트(1) 내의 온도 및 높이따라 상기 제 1 댐퍼(301), 제 2 댐퍼(302), 제 3 댐퍼(303) 또는 제 4 댐퍼(3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하여 상기 카(1) 내의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온도센서(201) 및 제 2 온도센서(202)를 통해 각각 온도를 감지한 후, 카(100) 내의 온도가 기준온도 보다 높을 경우, 제 1 댐퍼(301), 제 2 댐퍼(302), 제 3 댐퍼(303) 및 제 4 댐퍼(3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여 외부의 공기를 카(10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댐퍼(301), 제 2 댐퍼(302), 제 3 댐퍼(303) 및 제 4 댐퍼(304) 중 사선으로 배치되는 2개의 댐퍼를 개방하여 외부 공기를 대각선 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카(100)가 하강할 때, 제 2 댐퍼(302) 및 제 3 댐퍼(303)를 개방하고, 제 1 댐퍼(301) 및 제 4 댐퍼(304)를 폐쇄할 경우, 외부 공기는 제 2 개구부(312)를 통해 카(100) 내부로 유입된 후 제 3 개구부(313) 측으로 유동되어 배출될 수 있다.
반대의 경우, 제 1 댐퍼(301) 및 제 4 댐퍼(304)를 개방하고, 제 2 댐퍼(302) 및 제 3 댐퍼(303)를 폐쇄할 경우, 외부 공기가 제 4 개구부(314)를 통해 카(100) 내부로 유입된 후 제 1 개구부(311) 측으로 유동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댐퍼(301), 제 2 댐퍼(302), 제 3 댐퍼(303) 및 제 4 댐퍼(304)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카(100) 내부의 공기를 용이하게 환기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카(100)의 상승 또는 하강 시, 상기 제 1 에어채널(141) 및 제 2 에어채널(142)을 통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이 높기 때문에, 압력차에 의해 상기 카(100) 내부의 탑승공기(1)가 에어벤트들을 통해 각 에어채널들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온도센서(201) 및 제 2 온도센서(202)를 통해 각각 온도를 감지한 후, 카(100) 내의 온도가 기준온도를 만족할 경우, 제 1 댐퍼(301), 제 2 댐퍼(302), 제 3 댐퍼(303) 및 제 4 댐퍼(304)를 모두 폐쇄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개략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공조장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공조장치(200)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에어채널(140)로 흘려 증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조장치(200)는 상기 카(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220)와, 상기 압축기(220)의 냉매를 공급받아 응축시키는 응축기(230)와, 상기 응축기(230)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와, 상기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공급받아 증발시키는 증발기(240)와, 상기 증발기(240)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카(100) 내부로 유동시키는 증발기팬(250)과, 상기 응축기(230)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응축기팬(26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0)는 상기 카(100)의 상측면에 조립된다. 상기 케이스(210)에 상기 제 2 온도센서(20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20)는 인가된 전원을 제공받아 작동되고, 냉매를 압축한다.
상기 응축기(230) 및 증발기(240)는 열교환기이다.
상기 응축기(230)는 상기 압축기(220)로부터 냉매를 공급받고, 상기 샤프트(1) 내의 공기와 열교환된다.
상기 증발기(240)는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무화된 냉매를 공급받고, 카(100)에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증발기팬(250) 및 응축기팬(260)은 1개의 모터(270)에 연결된다. 상기 모터(270)는 양방향 모터로서 증발기팬(250) 및 응축기팬(26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증발기팬(250)은 터보팬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응축기팬(260)은 축류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100)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핸 덕트하우징(28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하우징(280)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덕트하우징(280) 내부에 상기 증발기(240) 및 증발기팬(250)이 배치된다. 상기 증발기(240)는 상기 덕트하우징(280)을 좌우로 구획한다.
상기 덕트하우징(280)은 상기 카(100)의 탑승공간(101)과 연통된 흡입덕트(282) 및 토출덕트(28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증발기(240)의 좌측에 흡입덕트(282)가 배치되고, 우측에 토출덕트(284)가 배치된다.
상기 덕트하우징(280)은 상기 증발기(240)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기 증발기(240)의 하단은 상기 덕트하우징(280)의 저면과 이격되어 드레인팬(285)을 형성한다.
상기 드레인팬(285)에 상기 증발기(240)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팬(285)은 상기 에어채널(140)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드레인팬(285)은 제 1 댐퍼(301) 및 제 3 댐퍼(303)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드레인팬(285)에 드레인호스(286)(287)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호스(286)(287)는 일단이 상기 드레인팬(285)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에어채널(14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호스(286)(287)의 일단이 상기 타단보다 높게 배치된다.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드레인호스(286)(287)에 밸브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밸브를 개폐하여 상기 응축수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밸브가 개방될 경우, 응축수의 자중에 의해 상기 드레인호스(286)(287)의 타단으로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호스(286)(287)는 상기 제 1 에어채널(141)으로 연장되어 배치된 제 1 드레인호스(286)와, 상기 제 2 에어채널(142)으로 연장되어 배치된 제 2 드레인호스(287)를 포함한다.
상기 공조장치(200)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증발기(240)의 표면에서 응축수가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제 1 드레인호스(286) 또는 제 2 드레인호스(287)를 통해 상기 제 1 에어채널(141) 또는 제 2 에어채널(142)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카(100)의 상승 또는 하강 시, 상기 제 1 댐퍼(301), 제 2 댐퍼(302), 제 3 댐퍼(303) 및 제 4 댐퍼(304)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에어채널(141) 또는 제 2 에어채널(142)로 유동된 응축수는 상기 제 1 에어채널(141) 또는 제 2 에어채널(142)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는 상기 아우터캐비닛(130)의 좌측벽(131) 또는 아우터캐비닛(130)의 우측벽(132)을 따라 흘러내는 과정에서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증발되는 응축수는 증발열을 통해 상기 아우터캐비닛(130)의 좌측벽(131) 또는 아우터캐비닛(130)의 우측벽(132)의 냉각시킬 수 있고, 상기 좌측벽(131) 또는 우측벽(132)의 냉각될 경우, 상기 카(100) 내부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공조장치(200)의 작동 중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에어채널(140)에서 자연증발시킴으로서 카(100) 내부의 온도는 더욱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 1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상기 제 1 제어방법은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 1 제어방법은 카(100) 내부의 온도가 소정 범위에 있을 때, 상기 댐퍼들(301)(302)(303)(304)을 제어하여 상기 카(10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제어방법은 탑승공간의 온도에 따라 상기 탑승공간(101)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한 제어방법이다.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은 카(100) 내부의 온도범위 및 높이에 따라 댐퍼들(301)(302)(303)(304)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은 탑승공간(101)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0)와, 상기 탑승공간(101)의 온도(t1)가 기준온도(t0) 범위 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와,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댐퍼를 개방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온도(t0) 범위는, "t0-a < t0 < t0 + a"로 표현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a 값은 섭씨 3 내지 5도이다.
상기 기준온도(t0)는 설치 지역(위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기 설정된 값이다.
상기 탑승공간(101)의 온도는 제 2 온도센서(202)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카(100) 외부의 온도는 제 1 온도센서(201)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상기 S20 단계는 상기 탑승공간(101)의 온도가 기준온도(t0) 범위 내인지 판단한다.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공조장치(200)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댐퍼들을 제어하여 상기 카(100) 내부 공기를 환기시킨다.
상기 S30 단계에서 상기 댐퍼들(301)(302)(303)(3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S30 단계에서 댐퍼들(301)(302)(303)(304)가 모두 개방된다.
상기 S30 단계 이후에 상기 S1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20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탑승공간(101)의 온도(t1)가 상기 기준온도 범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공조장치(200)를 작동시키는 단계(S50)와, 상기 댐퍼를 제어하는 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40 단계에서는 상기 탑승공간(101)의 온도가 기준온도(t0) 범위 초과("t0 + a < t2")인지를 판단한다.
탑승공간(101)의 온도가 기준온도(t0) 범위 초과("t0 + a < t2")인 경우, 카(100) 내부의 냉방이 요구된다.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공조장치(2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공조장치(200)를 작동시킨다.(S50)
또한, 탑승공간(101)의 온도가 기준온도(t0) 범위 초과("t0 + a < t2")인 경우, 카 외부 공기 및 카 내부 공기의 환기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댐퍼들(301)(302)(303)(304)가 모두를 폐쇄된다.
상기 댐퍼들(301)(302)(303)(304) 모두를 폐쇄하여 상기 공조장치(200)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카(10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이를 통해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40 단계는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탑승공간(101)의 온도가 기준온도(t0) 범위 미만("t2 < t0 - a")으로 판단한다. (S70)
상기 탑승공간(101)의 온도가 기준온도(t0) 범위 미만("t2 < t0 - a")인 경우 상기 댐퍼들(301)(302)(303)(304)가 모두를 폐쇄하여 상기 탑승공간(101)의 온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S60 단계 및 S70 단계 이후에 상기 S10 단계로 리턴되어 상술한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 2 제어방법이 도시된 다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제어방법은 탑승공간의 온도에 따라 상기 탑승공간(101) 내부의 공기를 점진적으로 환기하기 위한 제어방법이다.
상기 제 2 제어방법은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 2 제어방법은 카(100) 내부의 온도가 정 범위에 있을 때, 상기 댐퍼들(301)(302)(303)(304)을 제어하여 상기 카(10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제어방법의 온도범위는 상기 제 1 제어방법의 온도범위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제어방법의 온도범위가 섭씨 3도 내지 5도인 경우, 제 2 제어방법의 온도범위는 섭씨 1도 내지 2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방법에서는 상기 S30 단계에서 댐퍼들(301)(302)(303)(304)가 모두 개방된데 반해, 상기 제 2 제어방법에서는 댐퍼들(301)(302)(303)(304) 일부가 쌍을 이뤄 개폐된다.
예를 들어 대각선으로 배치된 제 1 댐퍼(301) 및 제 4 댐퍼(304)가 제 1 페어를 형성하고, 제 2 댐퍼(302) 및 제 3 댐퍼(303)가 제 2 페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제 1 페어를 개방하고, 제 2 페어가 폐쇄한다. (S32)
상기 S32 단계 이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제 1 페어를 폐쇄하고, 상기 제 2 페어를 개방한다.(S34)
상기 S34 단계 이후에 상기 S1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제어방법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 3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 3 제어방법은 카(100) 내부의 온도(t1), 카(100) 외부의 온도(t2)를 감지하는 단계(S110)와, 상기 감지된 t1, t2과 설정된 기준온도(t0)를 비교하는 단계(S120)와,
상기 S120 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공조장치(200) 또는 댐퍼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120 단계의 결과가 "t2 > t1 > t0"인 경우, 공조장치(200)를 작동시키고, 댐퍼들을 폐쇄한다. (S131)
상기 S120 단계의 결과가 "t2 > t1 = t0"인 경우, 공조장치(200)를 작동시키고, 댐퍼들을 폐쇄한다.(S132)
상기 S120 단계의 결과가 "t2 = t1 > t0"인 경우, 공조장치(200)를 작동시키고, 댐퍼들을 폐쇄한다.(S133)
상기 S120 단계의 결과가 "t2 < t1 < t0"인 경우, 상기 댐퍼들을 개방한다. (S134)
상기 S120 단계의 결과가 "t2 < t1 = t0"인 경우, 상기 댐퍼들 중 일부를 개방하고 나머지를 폐쇄한다. (S135)
상기 S120 단계의 결과가 "t2 = t1 < t0"인 경우, 상기 댐퍼들 중 일부를 개방하고 나머지를 폐쇄한다. (S136)
상기 S120 단계의 결과가 "t2 = t1 = t0"인 경우, 상기 댐퍼들 중 일부를 개방하고 나머지를 폐쇄한다. (S137)
S131, S132, S133의 경우, 외부공기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환기를 수행하지 않고 공조장치(200)를 작동시켜 탑승공간(101)에 냉기를 제공한다.(S140)
상기 공조장치(200)의 작동 시, 냉기가 카(10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댐퍼들(301)(302)(303)(304) 모두를 폐쇄한다. (S150)
상기 S134의 경우, 탑승공간(101)의 온도(t1)가 낮기 때문에, 외부공기를 카(100) 내부로 유입시켜 탑승공간(101)의 온도를 낮춘다.
이를 위해 상기 댐퍼들(301)(302)(303)(304) 모두를 개방한다. (S160)
한편, 상기 S135의 경우, 카 외부의 온도(t2)가 낮고 카 내부의 온도(t1)가 높은 상태에서 기준온도(t0)와 카 내부의 온도가 유사하기 때문에, 상기 카(100) 내부를 점진적으로 환기시킨다.
상기 S136의 경우에도, 카 외부의 온도(t2) 및 카 내부의 온도(t1)가 유사한 상태에서 기준온도(t0)가 높기 때문에, 상기 카(100) 내부를 점진적으로 환기시킨다.
상기 S137의 경우에도, 카 외부의 온도(t2), 카 내부의 온도(t1) 및 기준온도(t0)가 유사할 경우, 상기 카(100) 내부를 점진적으로 환기시킨다.
상기 S135, S136 및 S137 단계는 공조장치(200)를 구동시키지 않고, 상기 댐퍼들의 개폐를 통해 실외공기를 카 내부로 유입시키기 때문에, 공조장치의 구동에 비해 소비전력이 월등히 낮은 장점이 있다.
상기 S135, S136 및 S137 단계의 경우, 상기 댐퍼들(301)(302)(303)(304) 일부가 쌍을 이뤄 개폐된다.
예를 들어 대각선으로 배치된 제 1 댐퍼(301) 및 제 4 댐퍼(304)가 제 1 페어를 형성하고, 제 2 댐퍼(302) 및 제 3 댐퍼(303)가 제 2 페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제 1 페어를 개방하고, 제 2 페어가 폐쇄한다. (S180)
상기 S32 단계 이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제 1 페어를 폐쇄하고, 상기 제 2 페어를 개방한다.(S190)
상기 S150, S160 또는 S190 단계 이후에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제어방법은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카 120 : 이너캐비닛
130 : 아우터캐비닛 140 : 에어채널
141 : 제 1 채널 142 : 제 2 채널
200 : 공조장치 210 : 케이스
220 : 압축기 230 : 응축기
240 : 증발기 250 : 증발기팬
260 : 응축기팬 300 : 댐퍼
301 : 제 1 댐퍼 302 : 제 2 댐퍼
303 : 제 3 댐퍼 304 : 제 4 댐퍼
311 : 제 1 개구부 302 : 제 2 개구부
303 : 제 3 개구부 304 : 제 4 개구부
310 : 댐퍼플레이트 320 : 댐퍼축
330 : 댐퍼모터

Claims (5)

  1. 건물의 샤프트에 배치되는 카; 상기 카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카에 배치되고 상기 카의 내부로 공조공기를 공급하는 공조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는,
    내부에 탑승공간이 형성된 이너캐비닛(120);
    상기 이너캐비닛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이너캐비닛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아우터캐비닛(130);
    상기 이너캐비닛 및 아우터캐비닛의 이격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캐비닛 및 아우터캐비닛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에어채널(141);
    상기 이너캐비닛 및 아우터캐비닛의 이격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캐비닛 및 아우터캐비닛의 우측에 배치된 제 2 에어채널(142);
    상기 아우터캐비닛의 좌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에어채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에어채널의 상측을 개폐시키는 제 1 댐퍼(301);
    상기 아우터캐비닛의 좌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에어채널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에어채널의 하측을 개폐시키는 제 2 댐퍼(302);
    상기 아우터캐비닛의 우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에어채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에어채널의 상측을 개폐시키는 제 3 댐퍼(303);
    상기 아우터캐비닛의 우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에어채널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에어채널의 하측을 개폐시키는 제 4 댐퍼(304);를 포함하고,
    탑승공간(101)에 배치된 제 1 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탑승공간의 온도(t1)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탑승공간(101)의 온도(t1)가 기준온도(t0) 범위 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댐퍼, 제 2 댐퍼, 제 3 댐퍼 또는 제 4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는 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탑승공간(101)의 온도(t1)가 상기 기준온도(t0) 범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공조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S50);
    상기 S4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댐퍼, 제 2 댐퍼, 제 3 댐퍼 및 제 4 댐퍼를 모두 폐쇄하는 단계(S60);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댐퍼, 제 2 댐퍼, 제 3 댐퍼 또는 제 4 댐퍼 중 일부를 개방하고, 나머지를 폐쇄하는 단계(S32); 상기 S32 단계 이후에,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제 1 댐퍼, 제 2 댐퍼, 제 3 댐퍼 및 제 4 댐퍼 중 상기 일부를 폐쇄하고, 상기 나머지를 개방하는 단계(S34)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KR1020210050968A 2021-04-20 2021-04-20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KR102353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968A KR102353667B1 (ko) 2021-04-20 2021-04-20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968A KR102353667B1 (ko) 2021-04-20 2021-04-20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667B1 true KR102353667B1 (ko) 2022-01-19

Family

ID=8005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968A KR102353667B1 (ko) 2021-04-20 2021-04-20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6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488B1 (ko) 2014-12-26 2017-01-26 김진고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CN108046095A (zh) * 2017-12-25 2018-05-18 凌志电梯有限公司 一种节能电梯调温装置
KR101975321B1 (ko) 2018-10-22 2019-05-07 이휘동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
KR102082571B1 (ko) 2018-08-14 2020-04-23 황성수 공기 순환형 엘리베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488B1 (ko) 2014-12-26 2017-01-26 김진고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CN108046095A (zh) * 2017-12-25 2018-05-18 凌志电梯有限公司 一种节能电梯调温装置
KR102082571B1 (ko) 2018-08-14 2020-04-23 황성수 공기 순환형 엘리베이터
KR101975321B1 (ko) 2018-10-22 2019-05-07 이휘동 엘리베이터 냉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200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2335121B1 (ko) 엘리베이터
AU2016330563B2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device
US20170292732A1 (en) Air-conditioning-device indoor unit
JP2838941B2 (ja) ダクト式空気調和機
CN101932885A (zh) 空调机
KR102119098B1 (ko) 엘리베이터 샤프트 냉각 시스템 및 방법
KR102353667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JPH07158899A (ja) 空気調和機の換気制御装置
JP4619983B2 (ja) 空気調和機
JP4370461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20140072515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563327B1 (ko) 공기 조화기
EP2333436A2 (en) Supply air unit and method in ventilation
KR20180035291A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2522061B1 (ko) 공조 유닛
JPS63201447A (ja) 空気調和機
KR100333342B1 (ko) 외부공기가 자동 공급되는 에어콘
JP4169861B2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JPS63306329A (ja) アンダ−フロア−空調システム用空調機
KR20180035290A (ko) 공기조화 시스템
JP3762388B2 (ja) 空気調和装置と空気調和方法
KR100222932B1 (ko) 공조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2064764A1 (ja) 床置き型空気調和機
KR102485757B1 (ko) 공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