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270B1 -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270B1
KR101975270B1 KR1020170068280A KR20170068280A KR101975270B1 KR 101975270 B1 KR101975270 B1 KR 101975270B1 KR 1020170068280 A KR1020170068280 A KR 1020170068280A KR 20170068280 A KR20170068280 A KR 20170068280A KR 101975270 B1 KR101975270 B1 KR 101975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weight
salt
water
gab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2190A (ko
Inventor
정상용
Original Assignee
동의초석잠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초석잠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동의초석잠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7006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27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8Gamma-amino buty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6Yeas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마늘을 포함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은 초석잠 추출물이 함유되어 뇌기능 및 치매예방에 효과적이면서, 마늘 추출물, 가바(GABA) 강화 곡물분말을 혼합하여 기능성을 증가시킨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The manufacture method of stachys sieboldii drink with garlic}
본 발명은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석잠은 여러해살이 풀로 여러 갈래로 뿌리가 퍼져 있고 땅 속을 옆으로 뻗어나가는 흰 땅속 줄기를 가지고 있고 그 끝에 누에 모양의 작은 구근이 달려 있다. 뿌리는 담백한 단 맛이 있고, 줄기는 네모꼴모양으로 자라며 이른 여름에 보랏빛 꽃이 줄기 끝에 핀다.
초석잠은 뇌기능을 활성화 시켜주는 콜린, 페닐에타노이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기억력 향상과 치매예방에 효과적이고 아르긴산, 스타키드린 등의 성분은 지방이 쌓이는 것을 막아주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초석잠의 작용으로 볼 때 초석잠은 뇌 기능을 향상시키고, 피를 맑게하는 효능이 있어 치매 및 뇌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기억력증진 및 뇌기능 활성에 탁월한 효과를 가진 초석잠은 중국 및 일본 등에서 요리 및 약재로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에서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노인성 치매가 급증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치매발병률이 1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치매예방 및 뇌질환에 좋은 식품에 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초석잠의 다양한 약리효능을 이용한 제품개발 및 상품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마늘은 백합과의 파속에 속하는 다년생 채소로서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나 이집트로 추정되고 있고, 한국에는 중국을 거쳐 전래된 것으로 보고 있다. 마늘은 특유한 맛과 향기성분 뿐만아니라 각종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예로부터 향신료와 의약품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 다양한 마늘제품이 건강보조식품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늘을 열수추출하여 제조한 마늘제품은 마늘 특유의 매운맛 과 향으로 인하여 기호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758250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초석잠 추출물이 함유되어 뇌기능 및 치매예방에 효과적이면서, 마늘 추출물 및 가바(GABA) 강화 곡물분말을 혼합하여 기능성을 증가시킨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은 건조된 초석잠을 열수수출하여 초석잠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초석잠 추출물을 여과하는 제 2단계; 마늘 혼합물을 발효하여 마늘 발효액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초석잠 추출물과 마늘 발효액, 가바(GABA) 강화 곡물분말을 혼합하여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를 제조하는 제 4단계;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를 포장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은 초석잠 추출물이 함유되어 뇌기능 및 치매예방에 효과적이면서, 마늘 추출물, 가바(GABA) 강화 곡물분말을 혼합하여 기능성을 증가시킨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는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
먼저, 제 1단계(S1)에서 초석잠 추출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건조된 초석잠 1중량부에 대하여 물 1중량부를 추출기에 투입하고, 95 내지 115℃의 온도에서 10 내지 14시간 동안 가열하여 초석잠 추출물을 제조한다.
초석잠 추출물 제조시, 건조된 초석잠 1중량부에 대하여 물이 1중량부 보다 적으면 초석잠 내의 유용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으며, 물이 1중량부 보다 많으면 제조된 초석잠 추출물의 농도가 다소 낮은 문제점이 있다.
초석잠 추출물 제조시 온도가 95℃보다 낮으면 추출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지 않으며 추출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온도가 115℃보다 높으면 초석잠 내의 유용성분이 높은 온도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으므로 초석잠 추출시 온도는 95 내지 11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초석잠 추출물 제조시 95 내지 115℃의 온도에서 10시간 보다 짧은 시간 동안 가열하면 초석잠 내의 유용성분을 충분하게 추출할 수 없으며, 14시간 보다 오래 가열하면 작업 시간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작업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초석잠 추출시 95 내지 115℃의 온도에서 10 내지 14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2단계(S2)에서는 초석잠 추출물을 여과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단계에서 제조한 초석잠 추출물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제 3단계(S3)에서는 마늘 혼합물을 발효하여 마늘 발효액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마늘, 물, 설탕, 효모를 혼합하여 발효하여 마늘 발효액을 제조한다.
마늘 1중량부에 대하여 물 1중량부, 설탕 0.4 내지 0.5중량부, 효모 0.01중량부를 혼합하여 1개월 이상 발효하여 마늘 발효액을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마늘의 allicin은 향균작용, 항진균작용, 항암작용, 저혈당작용, 혈압강하작용, 동맥경화예방 등 각종 효능이 있다. 상기 마늘 1중량부에 대하여 설탕이 0.4중량부보다 적으면, 마늘의 매운 맛이 중화되지 않으며, 설탕이 0.5중량부보다 많으면 마늘 발효액이 단 맛이 강하게 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마늘 발효액을 제조할 때는 마늘 1중량부에 대하여 물 1중량부, 설탕 0.4 내지 0.5 중량부, 효모 0.01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발효기간은 1개월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발효기간이 1개월보다 적을 경우, 발효가 완전히 진행되지 않으며, 마늘의 유용성분들이 충분히 분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 4단계(S4)에서는 초석잠 추출물과 마늘 발효액, 가바(GABA) 강화 곡물분말을 혼합하여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는 초석잠 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발효액 0.2 내지 0.3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초석잠 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발효액이 0.2중량부보다 적을 경우 마늘의 유용성분 함량이 미미하며, 마늘 발효액이 0.3중량부보다 많을 경우 마늘 고유의 향이 과하여 기호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가바(GABA) 강화 곡물은 발아 전 건조된 곡물에 물을 첨가한다. 이때 물과 건조된 곡물의 비율은 10:3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곡물에 수분이 완전히 흡수되도록 정치한 다음 40 내지 65℃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동안 숙성시키는 전처리단계를 거친 후 발아시키고 충분히 발아된 곡물을 분말화하여 제조한다. 상기 초석잠 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바(GABA) 함량이 증대된 곡물이 0.1중량부보다 적으면 상기 가바(GABA) 함량이 증대된 곡물의 유용성분이 충분하게 첨가되지 않으며, 상기 가바(GABA) 함량이 증대된 곡물이 0.3중량부보다 많으면 초석잠 혼합물이 과도하게 걸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 5단계(S5)에서는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를 포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4단계에서 제조한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를 포장하여 외부의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의 재료 조성비에 따른 관능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1. 관능평가
본 실험은 본 발명의 마늘을 포함한 초석잠 음료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시킨 후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맛, 향으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초석잠 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발효액 1중량부를 혼합하여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초석잠 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발효액 0.5중량부를 혼합하여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초석잠 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발효액 0.3중량부를 혼합하여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초석잠 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발효액 0.2중량부를 혼합하여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초석잠 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발효액 0.1중량부를 혼합하여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를 제조하였다.
항목
관능평가
전제적인 기호도
비교예 1 3 4 4
실시예 1 5 5 5
실시예 2 7 8 8
실시예 3 8 7 8
실시예 4 5 6 6
실험결과, 실시예 2와 실시예 3의 관능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초석잠 고유의 아린 맛과 싱거운 맛이 마늘 발효액의 맛과 혼합되어, 보다 기호성이 높아졌다.
실시예 1은 마늘 발효액이 향과 맛이 강하게 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실시예 4는 마늘 발효액의 양이 미미하여 싱거운 맛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는 GABA 함량이 증대된 곡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실험과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2. GABA함량이 증대된 곡물의 제조 방법
1) GABA 함량 증대를 위한 곡물과 불림 물의 비율 결정
보리와 물의 비율을 무게비로 10:0, 10:1, 10:2. 10:3, 10:4, 10:5로 달리하여 동일한 용기에 담아 물이 완전히 보리에 흡습되는 시간을 측정한 결과는 아래의 표 4와 같다.
보리와 물의 비율 10:1 10:1 10:2 10:3 10:4 10:5
완전 흡습까지 걸리는 시간 - 1.5 3 4.5 10.5 15
흡습시간의 비율 - - 1.5 1.5 2.3 1.4
20±3℃의 실온에서 보리에 가해진 물을 완전히 흡습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물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점차 길어지는데, 물을 보리 무게 대비 무게의 비로 10:3 이하로 첨가하였을 때 물의 비율이 1씩 증가할 때마다 흡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5시간(1시간 30분)씩 증가하였다. 그러나 10:4로 물의 비율이 증가하면 10시간 이상이 소요되어 보리의 전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 경우 가공을 위한 전처리 공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여름철이나 기온이 높은 환경에서는 미생물의 오염에 따른 부패 위험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2) 물의 혼합 비율을 달리한 보리의 숙성에 따른 GABA 생성량 변화
흡습이 완료된 보리를 5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보관한 후 GABA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GABA 함량은 효소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숙성된 보리를 분쇄한 후 10배의 물을 가하여 진탕 추출한 다음 여과한 여액 1mL에 70mM LaCl3 1mL를 가하여 15분 동안 잘 섞어준 후 4,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 400㎕를 취하여 0.1M KOH 160㎕를 미리 넣어둔 centrifuge tube에 넣어 5분간 교반하였다. 다시 4,000rpm에서 5분간 원심 분리한 상등액 50㎕에 0.5M K4P2O7완충용액(pH 8.6) 50㎕, 4mM NADP 150㎕를 첨가한 후, 2.0 unit/mL GABase 50㎕를 혼합하여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initial A), 20mM α-ketoglutarate를 50㎕ sjgrh 37℃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final A)하였다. 농도별 GABA(final A- initial A)를 대입하여 생성된 GABA 함량을 산출하였다.
보리 : 물의 무게비 GABA함량(mg/100g)
10:0 3.64±0.19
10:1 10.24±0.29
10:2 10.74±0.22
10:3 12.34±0.89
10:4 17.84±0.98
10:5 18.34±0.54
아무런 처리를 거치지 않은 생보리의 GABA 함량은 1.10±0.01mg/100g이었으나, 물을 가하지 않고 열처리할 경우(10:0) 3.64mg/100g으로 증가하여 50℃에서 1시간 열처리하는 것만으로도 보리 중의 GABA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물을 일정량 이상 가하면 GABA의 함량은 더 많이 증가하는데 보리에 흡습된 물의 비율이 높을수록 GABA의 함량은 증가하여 보리와 물의 비율을 10:4와 10:5로 하였을 때 다른 시료에 비하여 GABA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GABA 함량 증진을 위해서는 보리에 대한 물의 첨가량을 더 증가시켜 보리와 물의 비율을 10:4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지만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10:4 이상의 비율에서는 물이 흡습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문제가 야기되므로 높은 GABA 생성량을 위한 적절한 혼합비는 10:3인 것을 알 수 있었다.
3) GABA 함량 증가를 위한 숙성 온도 설정
보리와 물을 10:3으로 혼합하고 동일하게 상온에서 4시간 30분동안 방치하여 물을 완전히 흡수시킨 후 30 내지 70℃의 온도조건을 가진 숙성기에 1시간동안 정치시킨 후 GABA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6과 같다.
전처리 온도 (℃) GABA 함량(mg/100g)
30 9.54±0.73
35 10.4±0.61
40 11.10±0.49
45 11.23±0.24
50 12.27±0.73
55 12.14±1.46
60 11.72±0.49
65 11.43±0.72
70 10.45±0.73
숙성 온도를 40 내지 65℃로 하였을 때 보리 중의 GABA 함량은 11.20~12.27mg/100g의 범위로 온도에 따른 GABA의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50℃에서 12.27mg/100g으로 가장 함량이 높았다.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GABA 함량이 온도의 증가와 더불어 서서히 감소하여 65℃와 70℃에서는 각각 11.43과 10.45mg.100g이 함유되어 있었다.
식물체 내에서 GABA를 생성하는 효소의 경우 50℃ 정도가 최적의 활성 온도로 알려져 있는데 본 실험에서 확인한 결과 60℃까지는 GABA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물에 불린 보리를 1시간 정도로 단시간 열처리하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열처리를 위한 숙성기 온도가 보리 내부로 침투되어 보리의 온도를 올리는 데 시간이 소요되며, 동시에 1시간 이내에 완전히 외기의 온도까지 상슨하여 온도가 평균화되지 않기 때문에 이론상 알려진 효소 활성의 온도에 비해 다소 높은 온도에도 GABA의 함량 증대가 가능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GABA 함량 증가를 위한 전처리 적정 온도는 50 내지 65℃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4) GABA 함량 증대를 위한 전처리 온도와 시간 설정
상기의 각 단계별 실험을 통하여 설정한 조건에 따라 보리와 물을 10:3의 비율로 혼합한 후 상온에 4.5시간 방치하여 물이 충분히 흡수되도록 한 다음 50, 55, 60 및 65℃로 온도를 달리하고 각각의 온도에서 1, 2, 3, 4, 5 시간 동안 전처리를 한 후 GABA 함량 및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전처리 온도와 시간을 확정하고자 하였다.
GABA의 함량분석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실시되었으며,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폴리페놀성 물질인 phosphomolybdic acid와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내는 원리로 Folin-Denis법에 따라 시료액 1mL에 2M Folin-Ciocalteau 시약 0.5mL를 넣고 3분 후 10% Na2CO3 용액 0.5mL씩을 혼합하여 실온의 암실에서 1시간 정치한 다음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7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준물질인 gallic acid를 분석하여 얻은 검량선으로부터 총 폴리페놀 함량을 계산하였다.
GABA함량은 전처리 온도가 높아질수록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55℃ 이상에서 처리하였을 때는 4시간과 5시간 처리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전처리 시간
(h)
전처리 온도에 따른 GABA 함량 (mg/100g)
50 55 60 65
1 12.71±2.79 12.24±0.91 11.92±0.80 11.63±0.34
2 9.80±2.11 9.46±0.53 7.97±0.91 8.08±1.21
3 8.77±0.53 7.20±1.70 6.93±0.34 6.08±1.21
4 7.08±1.77 4.44±0.72 4.67±0.11 4.09±0.20
5 5.93±0.60 4.21±0.60 4.55±0.34 3.98±0.87
전처리 시간
(h)
전처리 온도에 따른 GABA 함량 (mg/100g)
50 55 60 65
1 26.68±0.07 24.28±0.07 22.27±0.26 21.70±0.10
2 21.67±0.09 22.41±0.12 27.39±0.12 24.70±0.06
3 19.27±0.28 26.96±0.11 24.15±0.10 18.77±0.10
4 18.36±0.12 20.24±0.09 25.86±0.10 14.29±0.16
5 17.90±0.07 16.86±0.12 25.36±0.13 14.25±0.16
아무런 처리를 거치지 않은 보리 중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33.43±0.20mg/100g 이었는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을 가하여 50 내지 65℃에서 전처리하는 과정을 통하여 그 함량은 오히려 더 낮아졌다. 각각의 전처리 온도와 시간에 따라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차이가 있었는데, 50℃에서는 1시간 처리시 가장 페놀화합물의 함량이 높았고, 55℃에서는 3시간 처리시, 60℃와 65℃에서는 2시간처리시 가장 페놀화합물의 함량이 높았다. 모든 시료에서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이 최고치를 보이기까지는 증가하다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변화의 폭은 60℃에서 처리되었을 때 가장 차이가 적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로부터 적절한 GABA 함량 및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가지면서 경제적인 전처리 조건으로는 50 내지 55℃에서 1 내지 3시간이 적절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50℃에서 1시간 전처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5) 최적 발아시간의 결정
상기의 실험예들을 통하여 설정한 전처리 조건에 따라 처리된 보리의 발아 조건을 확립하고자 보리와 물의 비율을 10:3으로 하고, 4.5시간 동안 흡수시킨 후 5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보리(A)와 전처리를 전혀 거치지 않은 건조된 보리(B) 및 가볍게 세척한 후 4.5시간 불림 처리한 보리(C)로 시료를 달리하였다. 이와 같이 시료 전처리 방법을 3가지로 달리한 보리를 자동급수가 되는 콩나물 재배기에 넣어서 초기 12시간까지는 연속으로 급수하고, 그 이후부터는 20분마다 1분간 급수하면서 발아시키면서 5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취하였다. 발아 전 전치리만 거친 시료를 0로 하고, 5 내지 35시간까지 발아시키면서 GABA와 총 페놀화학물의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전처리 조건과 발아시간별 보리의 GABA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의 표 9와 같이 모든 시료에서 발아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GABA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다시 감소하였는데, 전처리 조건에 따라 그 경향은 다소 상이하였다. 즉, 보리와 물의 비율을 10:3으로 하고, 4.5시간 동안 흡수시킨 후 50℃에서 1시간동안 열처리한 보리를 사용한 A시료의 경우 발아 25시간까지 GABA의 함량은 증가하여 최고치를 보인 후 감소하였다. 전처리를 전혀 거치지 않은 건조된 B시료의 경우 3가지 시료중 GABA의 함량이 낮았으며, 발아 30시간에 최고치를 보인 후 그 함량이 다시 감소하였다. 가볍게 세척한 후 4.5시간 불림처리한 C시료의 경우도 발아 30시간에 최고치를 보인 이후 그 함량이 다시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서 설정한 조건에 따라 전처리한 후 발아시켰을 때, 전처리를 거치지 않거나 불림처리만 거친 시료에 비해 더 높은 함량의 GABA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발아시간
(h)
전처리 방법과 시간에 따른 보리의 발아 중 GABA함량 (mg/100g)
A B C
0 12.48±0.69 1.72±0.34 5.45±1.22
5 13.87±1.44 4.31±1.03 7.89±0.53
10 15.32±0.53 8.84±1.55 10.71±2.30
15 17.77±0.72 9.24±1.22 11.33±0.40
20 19.55±0.24 10.55±0.49 12.02±1.55
25 22.25±0.20 10.90±0.00 14.44±0.53
30 17.78±1.44 12.31±1.92 16.15±1.11
35 16.51±2.08 11.52±0.34 15.01±1.05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 초석잠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S2. 초석잠 추출물을 여과하는 제 2단계
S3. 마늘 발효액을 제조하는 제 3단계
S4. 마늘을 포함한 초석잠 음료를 제조하는 제 4단계
S5. 마늘을 포함한 초석잠 음료를 포장하는 제 5단계

Claims (5)

  1. 건조된 초석잠을 열수추출하여 초석잠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초석잠 추출물을 여과하는 제 2단계;
    마늘 혼합물을 발효하여 마늘 발효액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초석잠 추출물과 마늘 발효액, 가바(GABA) 강화 곡물분말을 혼합하여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를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를 포장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초석잠 추출물은,
    상기 건조된 초석잠 1중량부에 대하여 물 1중량부를 투입하고, 95 내지 115℃의 온도에서 10 내지 1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늘 발효액은 마늘 1중량부에 대하여 물 1중량부, 설탕 0.4 내지 0.5 중량부, 효모 0.01중량부를 혼합하여 1개월 이상 발효하여 제조하며,
    상기 초석잠 음료는 초석잠 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발효액 0.2 내지 0.3중량부, 가바(GABA) 강화 곡물분말 0.1 내지 0.3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상기 가바(GABA) 강화 곡물분말은,
    건조된 곡물에 물을 10:3의 무게비로 첨가하여 완전히 흡수시킨 후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전처리 단계를 거친 다음 발아시켜 분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을 포함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68280A 2017-06-01 2017-06-01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 KR101975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280A KR101975270B1 (ko) 2017-06-01 2017-06-01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280A KR101975270B1 (ko) 2017-06-01 2017-06-01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190A KR20180132190A (ko) 2018-12-12
KR101975270B1 true KR101975270B1 (ko) 2019-10-01

Family

ID=6467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280A KR101975270B1 (ko) 2017-06-01 2017-06-01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2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350B1 (ko) * 2010-06-11 2012-09-27 김종현 토마토와 양파를 주재로 한 음료 및 소스의 제조방법
KR101685198B1 (ko) * 2016-04-19 2016-12-13 산지마늘양파 영농조합법인 홍마늘 맥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543A (ko) * 1999-11-22 2001-06-15 강경래 음용수용 첨가물의 제조방법 및 그 첨가물
KR100758250B1 (ko) 2006-08-01 2007-09-12 한국식품연구원 마늘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늘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90011677A (ko) * 2007-07-27 2009-02-02 주식회사 밀다원 감마-아미노부티릭산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곡물의 처리방법
KR20130069227A (ko) * 2011-12-16 2013-06-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엔에이치지리산 초석잠을 이용한 액상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814170B1 (ko) * 2015-10-28 2018-01-02 농업회사법인 늘솔길 주식회사 초석잠을 포함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350B1 (ko) * 2010-06-11 2012-09-27 김종현 토마토와 양파를 주재로 한 음료 및 소스의 제조방법
KR101685198B1 (ko) * 2016-04-19 2016-12-13 산지마늘양파 영농조합법인 홍마늘 맥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190A (ko)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904338A (en) Blended tea beverage packed in container
KR101808648B1 (ko) 블루베리 열매와 유색현미를 이용한 발효주 및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20130110910A (ko) 뽕잎 차 제조방법
KR20200072138A (ko) 홍시 조청의 제조방법
KR101920799B1 (ko) 초석잠을 이용한 에너지바 제조방법
KR102073303B1 (ko) 관능적으로 뛰어나고 가바(gaba)함량이 높은 발아, 발효 현미를 활용한 누룽지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숭늉 음료 제조관련 기술
KR101975270B1 (ko) 마늘을 함유한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
KR101874330B1 (ko) 도라지를 이용한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102073393B1 (ko) 발효 차가버섯 분말과 죽염을 이용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KR102703360B1 (ko) 전통식 장류 공법을 활용한 발효커피 제조 방법
KR101781109B1 (ko) 유색 맥아를 이용한 유색 조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유색 조청
KR101920802B1 (ko) 초석잠 음료 제조방법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101636877B1 (ko) 양파소금 제조방법
KR101736079B1 (ko) 엉겅퀴가 함유된 삼양주를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KR102296716B1 (ko) 아로니아 조미액의 제조방법
KR102284919B1 (ko) 쑥 발효숙성 차 제조방법
KR101400080B1 (ko) 수수발효차의 제조방법
KR100719965B1 (ko) 우엉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910002B1 (ko) 초석잠 환 제조방법
KR101352027B1 (ko) 연잎을 활용한 약주 기호 향상 방법
KR101922078B1 (ko) 초석잠 겔 제조방법
WO2019214692A1 (zh) 一种有机富硒黑米啤酒及其制备方法
KR102587754B1 (ko) 메밀을 이용한 오메기 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2726127B1 (ko) 다시마 발효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다시마 발효소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