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960B1 -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960B1
KR101974960B1 KR1020170125060A KR20170125060A KR101974960B1 KR 101974960 B1 KR101974960 B1 KR 101974960B1 KR 1020170125060 A KR1020170125060 A KR 1020170125060A KR 20170125060 A KR20170125060 A KR 20170125060A KR 101974960 B1 KR101974960 B1 KR 101974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idth direction
pair
frame member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117A (ko
Inventor
쇼타 히가시하라
게이스케 도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8003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11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of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shape, e.g. hammock-like, plastic shells,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23Coach-like constructions
    • B60N2/7035Cushions
    • B60N2/7047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23Coach-like constructions
    • B60N2/7029Coach-like constructions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94Upholstery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차량용 시트(10)는,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40) 중 적어도 일방의 골격을 형성하고, 탑승자를 지지하는 시트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 부재(14, 44)와, 상기 시트 영역을 덮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14, 44) 사이에 걸쳐 놓여진 천 스프링 부재(22)를 포함한다.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는, 상기 프레임 부재(14, 44)의 길이 방향 중 적어도 일단측에 있어서의 상기 천 스프링 부재(2)가 상기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가, 상기 프레임 부재(14, 44)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가 상기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고,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는 탄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의 쿠션 부재에 대해서, 네트 부재를 천 스프링으로서 이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5-20596호 공보에는, 탑승자가 착좌하는 시트 쿠션에 대해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U자 형상의 파이프 프레임과, 파이프 프레임 사이에 넓게 설치된 천 스프링(네트재)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천 스프링을 쿠션 부재로서 이용함으로써, 우레탄 패드나 금속제의 스프링 등과 비교하여 쿠션 부재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5-20596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으로는, 강성이 높은 파이프 프레임을 이용함으로써, 천 스프링의 장력을 확보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천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 천 스프링이 걸쳐 놓여진 방향에 있어서는, 천 스프링의 장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천 스프링이 걸쳐 놓여진 방향(걸쳐진 방향)과 천 스프링의 면 내에서 직교하는 방향에서는, 천 스프링의 단부(端部)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상기 천 스프링의 자유단이 대향하는 방향에서는, 탑승자의 착좌에 의해 하중이 가해져도 장력이 작용하지 않아, 착좌 탑승자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은 어렵다. 즉, 천 스프링의 걸쳐 놓여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는, 천 스프링의 변형에 대해서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천 스프링 부재의 면 내에서 걸쳐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도, 착좌 탑승자로부터의 하중에 대한 천 스프링 부재의 변형량을 바꾸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는 시트 쿠션 및 시트백 중 적어도 일방의 골격을 형성하고, 탑승자를 지지하는 시트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 부재와; 상기 시트 영역을 덮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 사이에 걸쳐 놓여진 천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천 스프링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단측에 있어서의 상기 천 스프링 부재가 상기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가, 상기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상기 천 스프링 부재가 상기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고, 상기 천 스프링 부재는 탄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탑승자를 지지하는 시트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프레임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프레임 부재는, 시트 쿠션 및 시트백 중 적어도 일방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다. 천 스프링 부재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시트 영역을 덮도록 한 쌍의 프레임 부재 사이에 걸쳐 놓여져 있다. 그리고, 천 스프링 부재는,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단측에 있어서의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가,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다. 이에 따라, 천 스프링 부재의 일단측은, 중앙부보다도 탄성률이 높아진다. 또한, 여기에서의 탄성률은, 영률(Young's modulus)을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천 스프링 부재의 일단측의 탄성률을, 중앙부보다도 높게 한다. 이에 따라, 천 스프링 부재는, 일단측에 있어서, 착좌 탑승자로부터의 하중이 가해져도 변형되기 어려워지고, 변형량을 작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천 스프링 부재의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는, 천 스프링 부재가 걸쳐 놓여진 상태에 있는 부분의 길이를 의미하고 있다. 즉, 천 스프링 부재가 걸쳐 놓여진 상태에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부분의 길이를 의미하고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영역은, 탑승자의 대퇴부를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좌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는, 상기 시트면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시트 전후 방향에 간격을 두고 시트 폭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쿠션 전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 전후 프레임 사이에 걸쳐 놓여진 상기 천 스프링 부재의 시트 전후 방향의 길이는, 시트 폭 방향에 있어서, 시트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하면서 짧아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탑승자의 대퇴부를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좌면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프레임 부재는, 서로 시트 전후 방향에 간격을 두고 시트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전후 방향으로 걸쳐 놓여진 천 스프링 부재는, 시트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길이가 짧아진다. 따라서, 천 스프링 부재의 탄성률은, 시트 폭 방향 중앙부보다도 시트 폭 방향 외측의 탄성률이 높아지고, 착좌 탑승자로부터의 하중에 의한 변형량은, 시트 폭 방향 중앙부보다도 시트 폭 방향 외측이 작아진다. 이에 따라, 착좌 탑승자의 시트 폭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영역은, 탑승자의 대퇴부를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좌면(座面)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는, 상기 좌면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시트 폭 방향에 간격을 두고 시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쿠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걸쳐 놓여진 상기 천 스프링 부재의 시트 폭 방향의 길이는, 시트 전후 방향에 있어서, 시트 후방으로부터 시트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길어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탑승자의 대퇴부를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좌면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프레임 부재는, 서로 시트 폭 방향에 간격을 두고 시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폭 방향으로 걸쳐 놓여진 천 스프링 부재는, 시트 후방으로부터 시트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길이가 길고, 시트 후방측의 탄성률이 크다. 착좌 탑승자로부터 천 스프링 부재로의 하중은, 대퇴부측보다도 둔부측이 크기 때문에, 시트 후방측의 탄성률을 크게 함으로써, 천 스프링 부재로 안정적으로 착좌 탑승자의 하중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천 스프링 부재 중 적어도 시트 후방측에는, 시트 상하 방향의 높이가 시트 폭 방향의 양단보다도 낮은 부분이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천 스프링 부재 중 적어도 시트 후방측에 시트 상하 방향의 높이가 시트 폭 방향의 양단보다도 낮은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시트 상하 방향의 높이가 낮은 부분은, 시트 폭 방향의 양단과 비교하여, 착좌 탑승자로부터의 하중에 대한 변형 개시 위치(휨 개시 위치)가 낮아지기 때문에, 적어도 착좌 탑승자의 둔부측의 좌압을 국소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영역은, 탑승자의 배부(背部)를 지지하는 배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는, 상기 배부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시트 상하 방향에 간격을 두고 시트 폭 방향으로 연장된 상하 백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 백 프레임 사이에 걸쳐 놓여진 상기 천 스프링 부재의 시트 상하 방향의 길이는, 시트 폭 방향에 있어서, 시트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짧아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탑승자의 배부를 지지하는 배부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프레임 부재는, 서로 시트 상하 방향에 간격을 두고 시트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폭 방향으로 걸쳐 놓여진 천 스프링 부재는, 시트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길이가 짧아진다. 따라서, 천 스프링 부재의 탄성률은, 시트 폭 방향 중앙부보다도 시트 폭 방향 외측의 탄성률이 높아지고, 착좌 탑승자로부터의 하중에 의한 변형량은, 시트 폭 방향 중앙부보다도 시트 폭 방향 외측이 작아진다. 이에 따라, 착좌 탑승자의 시트 폭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영역은, 탑승자의 배부를 지지하는 배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는, 상기 배부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시트 폭 방향에 간격을 두고 시트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백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백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걸쳐 놓여진 상기 천 스프링 부재의 시트 폭 방향의 길이는, 시트 상하 방향에 있어서, 시트 하방으로부터 시트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 길어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탑승자의 배부를 지지하는 배부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프레임 부재는, 서로 시트 폭 방향에 간격을 두고 시트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폭 방향으로 걸쳐 놓여진 천 스프링 부재는, 시트 하방으로부터 시트 상방으로 향하면서 길이가 길고, 시트 상방측의 탄성률이 작다. 이와 같이, 시트 상방측의 탄성률을 작게 함으로써, 착좌 탑승자의 시트에 기댈 때의 쿠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는 상기 천 스프링 부재의 단변(端邊)을 지지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상기 프레임 부재에 장착하는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 스프링 부재에는, 상기 천 스프링 부재의 상기 프레임 부재를 따른 단변을 폴드 백하여 봉제된 고리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리 형상부에 삽입 통과되어 상기 천 스프링 부재의 단변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차량용 시트의 천 스프링 부재에는, 프레임 부재를 따른 단변을 폴드 백하여 봉제된 고리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리 형상부에 와이어를 삽입 통과함으로써, 천 스프링 부재의 단변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 부재에 의해 와이어를 프레임 부재에 장착함으로써, 와이어를 개재하여 천 스프링 부재를 용이하게 프레임 부재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시트 폭 방향에 간격을 두고 한 쌍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의 시트 후방측에는, 시트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시트 하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만곡부가 형성되서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와이어의 시트 후방측에 시트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시트 하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만곡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천 스프링 부재의 와이어의 만곡부에 대응되는 부위에서는, 착좌 탑승자의 둔부에의 맞춤이 좋아지고, 착좌 탑승자의 시트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는 상기 시트의 후방측에 있어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천 스프링 부재를 형성하는 탄성 섬유의 날실(warp yarns)의 밀도는 시트 전방측에 있어서 시트 후방측에 비해 조밀하고, 상기 시트 후방측에서 성긴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천 스프링 부재를 형성하는 탄성 섬유의 날실의 밀도는 시트 폭 방향 중앙부와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시트 폭 방향 중앙부와 상기 양단부와의 사이에 비해 조밀하고, 상기 시트 폭 방향 중앙부와 상기 양단부와의 사이에서 성긴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영역은, 탑승자의 배부를 지지하는 배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는, 상기 배부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시트 폭 방향에 간격을 두고 시트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백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시트는 상기 천 스프링 부재의 단변을 지지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상기 백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하는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 스프링 부재에는, 상기 천 스프링 부재의 상기 백 사이드 프레임을 따른 단변을 폴드 백하여 봉제된 고리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리 형상부에 삽입 통과되어 상기 천 스프링 부재의 단변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시트 하방측으로부터 중간부를 향하여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는 제 1 만곡부와, 중간부로부터 시트 상방측으로 향하여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는 제 2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만곡부는 상기 시트 하방으로부터 상기 시트 상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천 스프링 부재를 형성하는 탄성 섬유의 씨실(weft yarns)의 밀도는 상기 제 1 만곡부에 있어서 상기 제 2 만곡부에 비해 조밀하고, 상기 제 2 만곡부에서 성긴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걸쳐 놓여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천 스프링 부재의 일단측 또는 양단측의, 착좌 탑승자로부터의 하중에 의한 변형량을 중앙부보다도 작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시트 폭 방향 양단에 있어서, 천 스프링 부재의 탄성률을 크게 함으로써, 착좌 탑승자의 시트 폭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시트 후방측에 있어서, 천 스프링 부재의 탄성률을 크게 함으로써, 천 스프링 부재에서 안정적으로 착좌 탑승자의 하중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착좌 탑승자의 둔부측의 좌압을 국소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시트 폭 방향 양단에 있어서, 천 스프링 부재의 탄성률을 크게 함으로써, 착좌 탑승자의 시트 폭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시트 상방측에 있어서, 천 스프링 부재의 탄성률을 작게 함으로써, 착좌 탑승자의 시트에 기댈 때의 쿠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천 스프링 부재를 용이하게 프레임 부재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착좌 탑승자의 시트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및 천 스프링 유닛의 전체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천 스프링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천 스프링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천 스프링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및 천 스프링 유닛의 전체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천 스프링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천 스프링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는,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천 스프링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천 스프링 유닛을 화살표 8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c)는, 도 8(a)의 천 스프링 유닛을 화살표 8C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제 3 실시 형태의 천 스프링 유닛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3 실시 형태의 천 스프링 유닛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a)는, 제 4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천 스프링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천 스프링 유닛을 화살표 11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2는, 제 4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천 스프링 유닛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 4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천 스프링 유닛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14(a)는, 제 4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천 스프링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천 스프링 유닛을 화살표 14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5는, 제 4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천 스프링 유닛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16(a)는, 그 밖의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천 스프링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천 스프링 유닛을 화살표 16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6(c)는, 도 16(a)의 천 스프링 유닛을 화살표 16C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6(d)는, 도 16(a)의 천 스프링 유닛을 화살표 16D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7(a)는, 그 밖의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천 스프링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천 스프링 유닛을 화살표 17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7(c)는, 도 17(a)의 천 스프링 유닛을 화살표 17C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7(d)는, 도 17(a)의 천 스프링 유닛을 화살표 17D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제 1 실시 형태]
이하, 도 1∼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태양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제 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나타나는 화살표 FR은 시트 전후 방향 전측, 화살표 W는 시트 폭 방향, 화살표 UP은 시트 상하 방향 상측을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10)는, 탑승자가 착좌하는 시트 쿠션(12)과, 상기 시트 쿠션(12)의 후단부에 세워 설치되어 탑승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시트백(40)을 구비하고 있다. 시트 쿠션(12)은, 탑승자의 대퇴부를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시트 쿠션(12)에는, 시트 전후 방향의 양단에 한 쌍의 쿠션 전후 프레임(14)이 배치되어 있다. 쿠션 전후 프레임(14)은, 시트 영역의 일 예로서의, 탑승자의 좌면 영역(17)을 둘러싸는 시트 전후 방향의 양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쿠션 전후 프레임(14)은, 시트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시트 쿠션(12)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다. 쿠션 전후 프레임(14) 전측을 전(前)쿠션 프레임(14A), 후측을 후(後)쿠션 프레임(14B)으로 한다. 한 쌍의 쿠션 전후 프레임(14)에는, 천 스프링 유닛(20)이 걸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도 나타나는 바와 같이, 천 스프링 유닛(20)은, 천 스프링 부재(22), 제 1 와이어(30), 제 2 와이어(32) 및, 후크(34)를 구비하고 있다.
천 스프링 부재(22)는, 탄성 직물 등의 탄성을 가지는 천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에도 나타나는 바와 같이, 천 스프링 본체부(24), 일단부(26), 및 타단부(28)를 가지고 있다. 천 스프링 본체부(24)를 사이에 두고, 일단부(26)는 시트 전측에 배치되고, 타단부(28)는 시트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일단부(26)는, 접힘선(26A)에서 타단부(28)측으로 폴드 백하고,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재봉선(26B)에서 천 스프링 본체부(24)에 봉합되어 있다. 재봉선(26B)보다도 접힘선(26A)측에는, 천 스프링 본체부(24)와 일단부(26)에 의해 고리 형상부(26C)가 봉제되어 있다. 접힘선(26A)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타단부(28)는, 시트 폭 방향 중앙에 형성된 컷아웃(27)을 사이에 두고 시트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타단부(28)는, 평면에서 볼 때에 시트 폭 방향 외측이 일단부(26)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타단부(28)는, 접힘선(28A)에서 일단부(26)측으로 폴드 백되고,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재봉선(28B)에서 천 스프링 본체부(24)에 봉합되어 있다. 재봉선(28B)보다도 타단부(28)측에는, 천 스프링 본체부(24)와 타단부(28)에 의해 고리 형상부(28C)가 봉제되어 있다. 접힘선(28A)에 의해, 천 스프링 부재(22)의 후술하는 타단변(22C)이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천 스프링 부재(22)는, 평면에서 보아 외연으로써, 시트 전측에 배치되는 일단변(22A), 시트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측단변(22B), 및, 시트 후측에 배치되는 타단변(22C)을 가지고 있다. 일단변(22A)은, 시트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측단변(22B)은 시트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타단변(22C)은, 접힘선(28A)을 따른 위치에 형성되고, 시트 폭 방향 외측이 시트 전방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천 스프링 부재(22)의 고리 형상부(26C)에는, 제 1 와이어(30)가 장착되어 있다. 제 1 와이어(30)는,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삽입 통과부(30A), 및, 삽입 통과부(30A)의 양단부로부터 굴곡진 걸침부(30B)를 가지고 있다. 삽입 통과부(30A)는 고리 형상부(26C)에 삽입 통과되고, 걸침부(30B)는, 천 스프링 부재(22)의 외측에서 시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와이어(30)는, 개구부(23)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걸침부(30B)의 각각의 선단부에는, 후크(34)가 설치되어 있다. 후크(34)는 갈고리 형상(鉤狀)으로 되어, 전쿠션 프레임(14A)에 걸린다. 개구부(23)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걸침부(30B)에 설치된 후크(34)끼리는, 연결부(34A)로 연결되어 있다.
천 스프링 부재(22)의 고리 형상부(28C)에는, 제 2 와이어(32)가 장착되어 있다. 제 2 와이어(32)는,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삽입 통과부(32A), 및, 삽입 통과부(32A)의 양단부로부터 굴곡진 걸침부(32B)를 가지고 있다. 삽입 통과부(32A)는 고리 형상부(28C)에 삽입 통과되고, 걸침부(32B)는, 천 스프링 부재(22)의 외측에서 시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와이어(32)는, 컷아웃(27)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시트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는 걸침부(32B)의 길이는,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걸침부(32B)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걸침부(32B)의 각각의 선단부에는, 후크(34)가 설치되어 있다. 후크(34)는 갈고리 형상으로 되어, 후쿠션 프레임(14B)에 걸린다. 각각의 제 2 와이어(32)의 후크(34)의 선단끼리는, 연결부(34B)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컷아웃(27)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걸침부(32B)에 설치된 후크(34)끼리는, 연결부(34A)로 연결되어 있다.
천 스프링 부재(22)는, 일단부(26)측이 제 1 와이어(30) 및 후크(34)를 개재하여 전쿠션 프레임(14A)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타단부(28)측이 제 2 와이어(32) 및 후크(34)를 개재하여 후쿠션 프레임(14B)에 장착되어 있다. 즉, 천 스프링 부재(22)는, 전쿠션 프레임(14A)과 후쿠션 프레임(14B)의 사이에 걸쳐 놓여져 있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천 스프링 부재(22)의 걸쳐진 방향에 있어서, 측단변(22B)의 길이(L1)는, 시트 폭 방향 중간부의 길이(L2)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천 스프링 부재(22)의 「걸쳐진 방향의 길이」는, 천 스프링 부재(22)가 걸쳐 놓여진 상태에 있는 부분의 길이, 즉, 천 스프링 부재(22)가 걸쳐 놓여진 상태에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부분의 길이를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걸쳐 놓여진 방향에 있어서, 천 스프링 부재(22)의 타단부(28)측이 제 2 와이어(32)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자유단으로 되어 있어 탄성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후방으로의 연장 돌출 부분은 길이로부터 제외된다. 제 2 와이어(32)가 삽입 통과된 고리 형상부(28C) 부분이, 천 스프링 부재(22)의 길이의 단부가 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시트백(40)에는, 시트 상하 방향의 양단에 한 쌍의 상하 백 프레임(44)이 배치되어 있다. 상하 백 프레임(44)은, 시트 영역의 일 예로서의, 탑승자의 배부 영역(47)을 둘러싸는 시트 상하 방향의 양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하 백 프레임(44)은, 시트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시트백(40)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다. 상하 백 프레임(44)의 하측을 하(下)백 프레임(44A), 상측을 상(上)백 프레임(44B)으로 한다. 한 쌍의 상하 백 프레임(44)에는, 전술의 천 스프링 유닛(20)이 걸쳐 놓여져 있다.
천 스프링 유닛(20)은, 일단부(26)측이 상백 프레임(44B)측에 배치되고, 타단부(28)측이 하백 프레임(44A)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천 스프링 부재(22)는, 일단부(26)측이 제 1 와이어(30) 및 후크(34)를 개재하여 상백 프레임(44B)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타단부(28)측이 제 2 와이어(32) 및 후크(34)를 개재하여 하백 프레임(44A)에 장착되어 있다. 즉, 천 스프링 부재(22)는, 하백 프레임(44A)과 상백 프레임(44B)의 사이에 걸쳐 놓여져 있다.
또한, 시트 쿠션(12) 및 시트백(40)에 있어서, 탑승자의 하중은, 천 스프링 유닛(2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시트 쿠션(12) 및 시트백(40)의 천 스프링 유닛(20)보다도 착좌 탑승자측에는, 도시하지 않는 통풍 폼층이나 표면 시트층이 적층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용 시트(10)에 착좌하면, 시트 쿠션(12)에 의해 탑승자의 대퇴부 및 둔부가 하방측으로부터 지지되고, 시트백(40)에 의해 탑승자의 상반신이 배면측으로부터 지지된다. 이때, 천 스프링 부재(22)는, 탑승자로부터의 하중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좌면 영역(17)에 있어서, 쿠션 전후 프레임(14)에 걸쳐 놓여진 천 스프링 유닛(20)의 천 스프링 부재(22)는,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가, 시트 폭 방향의 중앙부보다도 시트 폭 방향 양외측의 쪽이 짧다. 또한, 배부 영역(47)에 있어서도, 상하 백 프레임(44)에 걸쳐 놓여진 천 스프링 유닛(20)의 천 스프링 부재(22)는,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가, 시트 폭 방향의 중앙부보다도 시트 폭 방향 양외측의 쪽이 짧다. 따라서, 천 스프링 부재(22)가 짧은 시트 폭 방향 양외측은, 시트 폭 방향 중앙부보다도 탄성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탄성률이 높은 천 스프링 부재(22)의 측단변(22B)측은, 중앙부와 비교하여, 착좌 탑승자로부터의 하중에 의한 변형량을 작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좌 탑승자의 시트 폭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천 스프링 부재(22)는, 일단부(26)측이 제 1 와이어(30) 및 후크(34)를 개재하여 전쿠션 프레임(14A)에 장착되고, 타단부(28)측이 제 2 와이어(32) 및 후크(34)을 개재하여 후쿠션 프레임(14B)에 장착되어 있지만, 다른 구성으로 전쿠션 프레임(14A), 후쿠션 프레임(14B)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천 스프링 부재(22)의 일단부(26), 타단부(28)에 직접 후크(34)를 장착하고, 후크(34)를 개재하여 전쿠션 프레임(14A), 후쿠션 프레임(14B)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쿠션 프레임(14A), 후쿠션 프레임(14B)의 길이 방향을 천 스프링 부재(22)의 일단부(26), 타단부(28)를 따르게 하고, 천 스프링 부재(22)를 직접 전쿠션 프레임(14A), 후쿠션 프레임(14B)에 장착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 2 실시 형태∼제 4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 적용해도 된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천 스프링 부재(22)의 타단부(28)는, 평면에서 볼 때에 시트 폭 방향 외측이 일단부(26)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고 있지만, 본 발명의 태양은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천 스프링 부재(22)의 타단부(28)는, 평면에서 볼 때에 시트 폭 방향 외측이 일단부(26)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지면서, 일단부(26)가 평면에서 볼 때에 시트 폭 방향 외측이 타단부(28)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 2∼제 4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 적용해도 된다.
[제 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차량용 시트의 제 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시트 쿠션(12)에는, 시트 폭 방향의 양단에 한 쌍의 쿠션 사이드 프레임(16)이 배치되어 있다. 쿠션 사이드 프레임(16)은, 탑승자의 좌면 영역(17)을 둘러싸는 시트 폭 방향의 양외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쿠션 사이드 프레임(16)은, 시트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시트 쿠션(12)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다. 한 쌍의 쿠션 사이드 프레임(16)에는, 천 스프링 유닛(50)이 걸쳐 놓여져 있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천 스프링 유닛(50)은, 천 스프링 부재(52), 제 3 와이어(60), 제 4 와이어(62) 및, 후크(64)를 구비하고 있다.
천 스프링 부재(52)는, 탄성 직물 등의 탄성을 가지는 천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7에도 나타나는 바와 같이, 천 스프링 본체부(54), 일단부(56), 및 타단부(58)를 가지고 있다. 천 스프링 본체부(54)를 사이에 두고, 일단부(56)는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일방측에 배치되고, 타단부(58)는 시트 폭 방향 외측의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일단부(56) 및 타단부(58)는, 평면에서 볼 때에 시트 전방측이 시트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일단부(56), 및 타단부(58)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는, 컷아웃부(55, 5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일단부(56)는, 접힘선(56A)에서 타단부(58)측으로 폴드 백되어,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재봉선(56B)에서 천 스프링 본체부(54)에 봉합되어 있다. 타단부(58)는, 접힘선(58A)에서 일단부(56)측으로 폴드 백되어, 재봉선(58B)에서 천 스프링 본체부(54)에 봉합되어 있다. 재봉선(56B)보다도 일단부(56)측에는, 천 스프링 본체부(54)와 일단부(56)에 의해 고리 형상부(56C)가 봉제되어 있다. 접힘선(56A)에 의해, 천 스프링 부재(52)의 후술하는 측단변(52B)이 형성된다. 재봉선(58B)보다도 타단부(58)측에는, 천 스프링 본체부(54)와 타단부(58)에 의해 고리 형상부(58C)가 봉제되어 있다. 접힘선(58A)에 의해, 천 스프링 부재(52)의 후술하는 측단변(52B)이 형성된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천 스프링 부재(52)는, 평면에서 볼 때의 외연으로써, 시트 전측 또는 시트 상측에 배치되는 장(長)단변(52A), 시트 폭 방향 일단측 및 타단측에 배치되는 측단변(52B), 및, 시트 후측 또는 시트 하측에 배치되는 단(短)단변(52C)을 가지고 있다. 장단변(52A) 및 단단변(52C)은, 시트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측단변(52B)은, 접힘선(56A, 58A)을 따라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천 스프링 부재(52)의 고리 형상부(56C)에는, 제 3 와이어(60)가 장착되어 있다. 제 3 와이어(60)는,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삽입 통과부(60A), 및, 삽입 통과부(60A)의 양단부로부터 굴곡진 걸침부(60B)를 가지고 있다. 삽입 통과부(60A)는 고리 형상부(56C)에 삽입 통과되고, 걸침부(60B)는, 천 스프링 부재(52)의 외측에서 시트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3 와이어(60)는, 컷아웃부(55)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시트 전방측에 배치되는 걸침부(60B)의 길이는, 시트 후방측에 배치되는 걸침부(60B)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걸침부(60B)의 각각의 선단부에는, 후크(64)가 설치되어 있다. 후크(64)는 갈고리 형상으로 되어, 일단측의 쿠션 사이드 프레임(16)에 걸린다. 컷아웃부(55)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걸침부(60B)에 설치된 후크(64)끼리는, 연결부(64A)로 연결되어 있다.
천 스프링 부재(52)의 고리 형상부(58C)에는, 제 4 와이어(62)가 장착되어 있다. 제 4 와이어(62)는, 삽입 통과부(62A), 및, 삽입 통과부(62A)의 양단부로부터 굴곡진 걸침부(62B)를 가지고 있다. 삽입 통과부(62A)는 고리 형상부(58C)에 삽입 통과되고, 걸침부(62B)는, 천 스프링 부재(52)의 외측에서 시트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4 와이어(62)는, 컷아웃부(57)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시트 전방측에 배치되는 걸침부(62B)의 길이는, 시트 후방측에 배치되는 걸침부(62B)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걸침부(62B)의 각각의 선단부에는, 후크(64)가 설치되어 있다. 후크(64)는 갈고리 형상으로 되어, 타단측의 쿠션 사이드 프레임(16)에 걸린다. 각각의 제 4 와이어(62)의 후크(64)의 선단끼리는, 연결부(64B)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컷아웃부(57)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걸침부(62B)에 설치된 후크(64)끼리는, 연결부(64A)로 연결되어 있다.
천 스프링 부재(52)는, 일단부(56)측이 제 3 와이어(60) 및 후크(64)를 개재하여 일단측의 쿠션 사이드 프레임(16)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타단부(58)측이 제 4 와이어(62) 및 후크(64)를 개재하여 타단측의 쿠션 사이드 프레임(16)에 장착되어 있다. 즉, 천 스프링 부재(52)는, 한 쌍의 쿠션 사이드 프레임(16)의 사이에 걸쳐 놓여 있다.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시트백(40)에는, 시트 폭 방향의 양단에 한 쌍의 백 사이드 프레임(46)이 배치되어 있다. 백 사이드 프레임(46)은, 탑승자의 배부 영역(47)을 둘러싸는 시트 폭 방향의 양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백 사이드 프레임(46)은, 시트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시트백(40)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다. 한 쌍의 백 사이드 프레임(46)에는, 전술의 천 스프링 유닛(50)이 걸쳐 놓여져 있다.
천 스프링 유닛(50)은, 측단변(52B)의 일방측이 백 사이드 프레임(46)의 일방측에 배치되고, 타방측이 백 사이드 프레임(46)의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천 스프링 부재(52)는, 일방측이 제 3 와이어(60) 및 후크(64)를 개재하여 백 사이드 프레임(46)의 일방측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타방측이 제 4 와이어(62) 및 후크(64)를 개재하여 백 사이드 프레임(46)의 타방측에 장착되어 있다. 즉, 천 스프링 부재(52)는, 한 쌍의 백 사이드 프레임(46)의 사이에 걸쳐 놓여져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용 시트(10)에 착좌하면, 시트 쿠션(12)에 의해 탑승자의 대퇴부 및 둔부가 하방측으로부터 지지되고, 시트백(40)에 의해 탑승자의 상반신이 배면측으로부터 지지된다. 이때, 천 스프링 부재(52)는, 탑승자로부터의 하중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좌면 영역(17)에 있어서, 쿠션 사이드 프레임(16)에 걸쳐 놓여진 천 스프링 유닛(50)의 천 스프링 부재(52)는,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가, 시트 전방보다도 시트 후방이 짧다. 따라서, 천 스프링 부재(52)가 짧은 시트 후방은, 전방보다도 탄성률이 높아진다. 착좌 탑승자로부터 천 스프링 부재(52)로의 하중은, 대퇴부측보다도 둔부측이 크기 때문에, 시트 후방측의 탄성률을 크게 함으로써, 천 스프링 부재(52)로 안정적으로 착좌 탑승자의 하중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배부 영역(47)에 있어서, 한 쌍의 백 사이드 프레임(46)에 걸쳐 놓여진 천 스프링 유닛(50)의 천 스프링 부재(52)는,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가, 시트 상방보다도 시트 하방이 짧다. 시트 폭 방향으로 걸쳐 놓여진 천 스프링 부재(52)는, 시트 하방으로부터 시트 상방으로 향하면서 길이가 길고, 시트 상방측의 탄성률이 작다. 이와 같이, 시트 상방측의 탄성률을 작게 함으로써, 착좌 탑승자의 시트에 기댈 때의 쿠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천 스프링 부재(52)의 걸쳐진 방향의 길이가, 시트 전방보다도 시트 후방이 짧아지도록, 천 스프링 유닛(50)을 쿠션 사이드 프레임(16)에 걸쳐 설치했지만, 천 스프링 부재(52)의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가, 전후를 반대로 하여, 시트 전방보다도 시트 후방이 길어지도록 천 스프링 유닛(50)을 걸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천 스프링 부재(52)가 짧은 시트 전방은, 후방보다도 탄성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급제동시 등에 있어서, 착좌 탑승자의 시트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쿠션(12) 및 시트백(40)에 천 스프링 유닛(50)을 배치하여 설치했지만, 시트 쿠션(12) 또는 시트백(40) 중 어느 일방에 천 스프링 유닛(50)을 배치하여 설치해도 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의 천 스프링 유닛(20)과 제 2 실시 형태의 천 스프링 유닛(50)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즉, 시트 쿠션(12)에 천 스프링 유닛(20)을 배치하여 설치하고, 시트백(40)에 천 스프링 유닛(50)을 배치하여 설치 해도 되고, 시트 쿠션(12)에 천 스프링 유닛(50)을 배치하여 설치하고, 시트백(40)에 천 스프링 유닛(20)을 배치하여 설치해도 된다.
[제 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차량용 시트의 제 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천 스프링 유닛(50)의 구성 이외는,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a)∼도 8(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천 스프링 유닛(70)은, 천 스프링 부재(22), 제 1 와이어(30), 제 2 와이어(72) 및, 후크(3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천 스프링 유닛(70)은, 제 2 와이어(72)의 구성을 제외하고 제 1 실시 형태의 천 스프링 유닛(20)과 동일하다.
천 스프링 부재(22)의 고리 형상부(28C)에는, 제 2 와이어(72)가 장착되어 있다. 제 2 와이어(72)는, 도 8(a)∼도 8(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삽입 통과부(72A)와, 삽입 통과부(72A)의 일단부로부터 굴곡진 걸침부(72B)와, 삽입 통과부(72A)의 타단부로부터 굴곡진 걸침부(72C)를 가지고 있다. 삽입 통과부(72A)는 고리 형상부(28C)에 삽입 통과되어 있으며,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부보다도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타단부가 시트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걸침부(72C)는, 천 스프링 부재(22)의 외측에서 시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걸침부(72B)는, 천 스프링 부재(22)의 시트 폭 방향의 내측(컷아웃(27)측)에서 시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2 와이어(72)는, 컷아웃(27)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트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는 걸침부(72B)의 길이는,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걸침부(72C)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천 스프링 부재(22)는, 제 2 와이어(72)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후방측에 있어서, 시트 상하 방향의 높이가 시트 폭 방향의 양단(측단변(22B))보다도 낮은 부분(22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에는 시트 폭 방향의 양단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시트 상하 방향의 위치가 낮은 부분(22D)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낮은 부분(22D)과 그것보다도 높은 부분과의 사이에 접힘선(22E)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천 스프링 유닛(70)은, 한 쌍의 쿠션 전후 프레임(14)에 걸쳐 놓여져 이용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서 얻어지는 작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와이어(72)에 의해 천 스프링 부재(22) 중 적어도 시트 후방측에 시트 상하 방향의 높이가 시트 폭 방향의 양단보다도 낮은 부분(22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 상하 방향의 높이가 낮은 부분(22D)은, 시트 폭 방향의 양단과 비해, 착좌 탑승자로부터의 하중에 대한 변형 개시 위치(휨 개시위치)가 낮아지기 때문에, 적어도 착좌 탑승자의 둔부측의 좌압을 국소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시트 상하 방향의 높이가 낮은 부분(22D)의 경계인 접힘선(22E)보다도 시트 폭 방향 외측이 시트 상하 방향의 높이가 낮은 부분(22D)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낮은 부분(22D)에 있어서의 착좌 탑승자의 좌압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와이어(72)의 삽입 통과부(72A)의 시트 폭 방향내측에 위치하는 일단부보다도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타단부를 시트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태양은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나는 변형예의 제 2 와이어(74)와 같이, 삽입 통과부(74A)를 시트 하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절곡하여 오목한 부분을 형성해도 된다. 제 2 와이어(74)에 오목한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천 스프링 부재(22)에도 오목한 부분에 대응되는 부위에 오목한 부분(22F)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천 스프링 부재(22)의 오목한 부분(22F)은, 다른 부분보다도 시트 상하 방향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착좌 탑승자로부터의 하중에 대한 변형 개시 위치(휨 개시 위치)가 낮아져, 적어도 착좌 탑승자의 둔부측의 좌압을 오목한 부분(22F)에 대응된 부분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목한 부분(22F)이 좌골에 대응되는 경우, 착좌 탑승자의 승차감이 향상된다.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와이어(72)의 삽입 통과부(72A)를,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부보다도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타단부가 시트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태양은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나는 다른 변형예의 제 2 와이어(76)와 같이, 삽입 통과부(76A)를 시트 전방 또는 시트 후 방향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절곡하여 볼록한 부분을 형성해도 된다. 제 2 와이어(76)에 볼록한 부분을 형성하고, 천 스프링 부재(78)의 제 2 와이어(76)에 볼록한 부분에 대응되는 부위에 볼록한 부분(78A)을 형성함으로써, 볼록한 부분(78A)에 있어서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가 길어진다. 상기 볼록한 부분(78A)에 대응되는 부분에 착석자의 좌골이 위치함으로써, 착석자의 승차감이 향상된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와이어(30)의 삽입 통과부(30A)를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부와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타단부가 시트 상하 방향에서 대략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연장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태양은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6(a)∼도 16(d)에 나타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천 스프링 유닛(110)과 같이, 제 1 와이어(112)의 삽입 통과부를,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부보다도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타단부가 시트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해도 된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착좌 탑승자의 좌압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7(a)∼도 17(d)에 나타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천 스프링 유닛(120)과 같이, 제 1 와이어(122)의 삽입 통과부를,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부로부터 시트 폭 방향 외측에서 또한 상기 일단부보다도 시트 상방에 위치하는 타단부를 향하여 시트 상하 방향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시트 상하 방향의 높이가 동일한 위치인 채로) 연장하고, 도중에 상기 타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해도 된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착좌 탑승자의 좌압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 형태]
다음으로, 차량용 시트의 제 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천 스프링 유닛(80)의 구성 이외는, 제 2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제 2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천 스프링 유닛(80)은, 천 스프링 부재(82), 제 1 와이어(84), 제 2 와이어(86) 및, 후크(34)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와이어(84) 및 제 2 와이어(86)는, 시트 폭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와이어(84) 및 제 2 와이어(86)의 각각의 양단부는, 서로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선단부에 후크(34)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 1 와이어(84) 및 제 2 와이어(86)의 천 스프링 부재(82)의 시트 폭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부(84A, 86A)에는, 시트 후방측으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는 만곡부(84B, 86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만곡부(84B, 86B)는, 시트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시트 하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만곡되어 있다.
천 스프링 부재(82)는, 제 2 실시 형태의 천 스프링 부재(52)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천 스프링 부재(82)는, 시트 폭 방향의 양단부가 각각 제 1 와이어(84) 및 제 2 와이어(86)에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서 얻어지는 작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와이어(84) 및 제 2 와이어(86)의 시트 후방측에 시트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시트 하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만곡부(84B, 86B)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천 스프링 부재(82)의 만곡부(84B, 86B)에 대응되는 부위에서는, 착좌 탑승자의 둔부에의 맞춤이 좋아지고, 착좌 탑승자의 시트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만곡부(84B, 86B)는,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시트 후방측을 향하여 시트 폭 방향의 폭이 넓어지고 있기 때문에, 착좌 탑승자의 대퇴부의 좌압을 저감하면서, 둔부에의 맞춤이 더욱 좋아지고, 착좌 탑승자의 시트 전후 방향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와이어(84) 및 제 2 와이어(86)는 매끄럽게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착좌 탑승자의 좌압을 매끄럽게(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좌 탑승자의 좌압 연속감이 향상된다.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실시 형태의 천 스프링 부재(52)와 동일한 천 스프링 부재(82)를 이용하고 있으며, 날실의 밀도(배치 간격)와 씨실의 밀도(배치 간격)이 각각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태양은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천 스프링 부재(88)와 같이, 천 스프링 부재(88)를 형성하는 탄성 섬유의 날실(89)의 밀도를, 시트 전방측에서 조밀하게 하고, 시트 후방측에서 성긴 것으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착좌 탑승자의 둔부에 위치하는 부위의 좌압을 저감하면서, 대퇴부에 위치하는 부위의 좌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섬유의 날실의 밀도를 바꾸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제 3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 적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 형태에 적용한 경우에는, 도 13에 나타나는 변형예의 천 스프링 부재(90)가 된다. 천 스프링 부재(90)에서는, 시트 폭 방향 중앙부와 양단부에 있어서 날실(91)의 밀도가 조밀해지고, 시트 폭 방향 중앙부와 양단부의 사이의 날실(91)의 밀도가 성긴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착좌 탑승자의 좌골 아래에 있어서, 날실(91)의 밀도가 성긴 것이 되기 때문에, 승차감이 향상된다. 또한, 도 12에서는, 날실(89)의 밀도의 조밀함을 판별하기 쉽도록 날실(89)의 배치 간격이 극단적으로 상이해지도록 날실(89)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 있어서도 도 12와 동일하게, 날실(91)의 밀도의 조밀함을 판별하기 쉽도록 날실(91)의 배치 간격이 극단적으로 상이해지도록 날실(91)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천 스프링 유닛(80)을 쿠션 사이드 프레임(16)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태양은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백 사이드 프레임(46)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천 스프링 유닛(80)을 대신하여, 도 14(a)에 나타나는 천 스프링 유닛(100)을 백 사이드 프레임(46)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천 스프링 유닛(100)의 제 1 와이어(102) 및 제 2 와이어(104)에는, 시트 하방측으로부터 중간부를 향하여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는 만곡부(102A, 104A)가 형성되고, 중간부로부터 시트 상방측을 향하여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는 만곡부(102B, 10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만곡부(102A, 104A)는, 시트 하방으로부터 시트 상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이들 제 1 와이어(102) 및 제 2 와이어(104)의 양단부는, 한 쌍의 백 사이드 프레임(46)에 각각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와이어(102) 및 제 2 와이어(104)에는, 천 스프링 부재(106)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천 스프링 부재(106)의 시트 하방측에 시트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와이어(16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천 스프링 부재(106)의 만곡부(102A, 104A)에 대응되는 부분, 즉, 착좌 탑승자의 요부의 홀드성이 향상된다. 한편, 천 스프링 부재(106)의 만곡부(102B, 104B)에 대응되는 부분, 즉, 착좌 탑승자의 견부의 쿠션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변형예의 천 스프링 부재(106)의 씨실(107)을 만곡부(102A, 104A)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조밀하게 하고, 만곡부(102B, 104B)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성긴 것으로 함으로써, 착좌 탑승자의 견부의 쿠션성이 더욱 향상된다(도 15 참조).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태양은, 상기 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이외에도 여러가지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5)

  1. 차량용 시트(10)에 있어서,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40) 중 적어도 일방의 골격을 형성하고, 탑승자를 지지하는 시트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 부재(14, 44; 16, 46); 및
    상기 시트 영역을 덮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14, 44; 16, 46) 사이에 걸쳐 놓여진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14, 44; 16, 46)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단측에 있어서의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가 상기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가, 상기 프레임 부재(14, 44; 16, 46)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가 상기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고,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중 적어도 시트 후방측에는, 시트 상하 방향의 높이가 시트 폭 방향의 양단보다도 낮은 부분이 형성되는 차량용 시트(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영역은, 탑승자의 대퇴부를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좌면 영역(17)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14)는, 상기 좌면 영역(17)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시트 전후 방향에 간격을 두고 시트 폭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쿠션 전후 프레임(14)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 전후 프레임(14) 사이에 걸쳐 놓여진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의 시트 전후 방향의 길이는, 시트 폭 방향에 있어서, 시트 폭 방향 중앙부보다도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짧아지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1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영역은, 탑승자의 대퇴부를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좌면 영역(17)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16)는, 상기 좌면 영역(17)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시트 폭 방향에 간격을 두고 시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쿠션 사이드 프레임(16)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 사이드 프레임(16) 사이에 걸쳐 놓여진 상기 천 스프링 부재(52)의 시트 폭 방향의 길이는, 시트 전후 방향에 있어서, 시트 후방으로부터 시트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길어지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10).
  4. 삭제
  5. 차량용 시트(10)에 있어서,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40) 중 적어도 일방의 골격을 형성하고, 탑승자를 지지하는 시트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 부재(14, 44; 16, 46); 및
    상기 시트 영역을 덮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14, 44; 16, 46) 사이에 걸쳐 놓여진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14, 44; 16, 46)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단측에 있어서의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가 상기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가, 상기 프레임 부재(14, 44; 16, 46)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가 상기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고,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시트 영역은, 탑승자의 배부를 지지하는 배부 영역(47)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44)는, 상기 배부 영역(47)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시트 상하 방향에 간격을 두고 시트 폭 방향으로 연장된 상하 백 프레임(44)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 백 프레임(44) 사이에 걸쳐 놓여진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의 시트 상하 방향의 길이는, 시트 폭 방향에 있어서, 시트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짧아지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10).
  6. 차량용 시트(10)에 있어서,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40) 중 적어도 일방의 골격을 형성하고, 탑승자를 지지하는 시트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 부재(14, 44; 16, 46); 및
    상기 시트 영역을 덮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14, 44; 16, 46) 사이에 걸쳐 놓여진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14, 44; 16, 46)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단측에 있어서의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가 상기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가, 상기 프레임 부재(14, 44; 16, 46)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가 상기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고,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시트 영역은, 탑승자의 배부를 지지하는 배부 영역(47)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46)는, 상기 배부 영역(47)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시트 폭 방향에 간격을 두고 시트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백 사이드 프레임(46)을 포함하고, 상기 백 사이드 프레임(46) 사이에 걸쳐 놓여진 상기 천 스프링 부재(52)의 시트 폭 방향의 길이는, 시트 상하 방향에 있어서, 시트 하방으로부터 시트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 길어지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10).
  7.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78; 90)의 단변을 지지하는 와이어(30, 32); 및
    상기 와이어(30, 32)를 상기 프레임 부재(14, 44)에 장착하는 장착 부재(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78; 88; 90)에는,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78; 88; 90)의 상기 프레임 부재(14, 44)를 따른 단변을 폴드 백하여 봉제된 고리 형상부 (26C, 28C)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30, 32)는 상기 고리 형상부(26C, 28C)에 삽입 통과되어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78; 88; 90)의 단변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10).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천 스프링 부재(52)의 단변을 지지하는 와이어(60, 62); 및
    상기 와이어(60, 62)를 상기 프레임 부재(16,46)에 장착하는 장착 부재(6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 스프링 부재(52)에는, 상기 천 스프링 부재(52)의 상기 프레임 부재(16, 46)를 따른 단변을 폴드 백하여 봉제된 고리 형상부(56C, 58C)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60, 62; 84, 86)는 상기 고리 형상부(56C, 58C)에 삽입 통과되어 상기 천 스프링 부재(52)의 단변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1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84, 86)는, 시트 폭 방향에 간격을 두고 한 쌍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84, 86)의 시트 후방측에는, 시트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시트 하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만곡부(84B, 86B)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1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84, 86)는 상기 시트의 후방측에 있어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는 만곡부(84B, 86B)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1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천 스프링 부재(90)를 형성하는 탄성 섬유의 날실의 밀도는 시트 전방측에 있어서 시트 후방측에 비해 조밀하고, 상기 시트 후방측에서 성긴 것인 차량용 시트(10).
  12. 차량용 시트(10)에 있어서,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40) 중 적어도 일방의 골격을 형성하고, 탑승자를 지지하는 시트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 부재(14, 44; 16, 46); 및
    상기 시트 영역을 덮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14, 44; 16, 46) 사이에 걸쳐 놓여진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14, 44; 16, 46)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단측에 있어서의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가 상기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가, 상기 프레임 부재(14, 44; 16, 46)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가 상기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고,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시트 영역은, 탑승자의 대퇴부를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좌면 영역(17)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14)는, 상기 좌면 영역(17)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시트 전후 방향에 간격을 두고 시트 폭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쿠션 전후 프레임(14)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 전후 프레임(14) 사이에 걸쳐 놓여진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의 시트 전후 방향의 길이는, 시트 폭 방향에 있어서, 시트 폭 방향 중앙부보다도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짧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천 스프링 부재(90)를 형성하는 탄성 섬유의 날실의 밀도는 시트 폭 방향 중앙부와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시트 폭 방향 중앙부와 상기 양단부의 사이에 비해 조밀하고, 상기 시트 폭 방향 중앙부와 상기 양단부와의 사이에서 성긴 차량용 시트(10).
  13. 차량용 시트(10)에 있어서,
    시트 쿠션 (12) 및 시트백(40) 중 적어도 일방의 골격을 형성하고, 탑승자를 지지하는 시트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 부재(14, 44; 16, 46); 및
    상기 시트 영역을 덮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14, 44; 16, 46) 사이에 걸쳐 놓여진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14, 44; 16, 46)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단측에 있어서의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가 상기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가, 상기 프레임 부재(14, 44; 16, 46)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가 상기 걸쳐 놓여진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고,
    상기 천 스프링 부재(22; 52; 78; 82; 88; 90; 106)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시트 영역은, 탑승자의 배부를 지지하는 배부 영역(47)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46)는, 상기 배부 영역(47)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시트 폭 방향에 간격을 두고 시트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백 사이드 프레임(46)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시트(10)는,
    상기 천 스프링 부재(106)의 단변을 지지하는 와이어(102, 104); 및
    상기 와이어(102, 104)를 상기 백 사이드 프레임(46)에 장착하는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 스프링 부재(106)에는, 상기 천 스프링 부재(106)의 상기 백 사이드 프레임(46)을 따른 단변을 폴드 백하여 봉제된 고리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102, 104)는 상기 고리 형상부에 삽입 통과되어 상기 천 스프링 부재(106)의 단변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10).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02, 104)는, 시트 하방측으로부터 중간부를 향하여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는 제 1 만곡부와, 중간부로부터 시트 상방측을 향하여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는 제 2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만곡부는 상기 시트 하방으로부터 상기 시트 상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는 차량용 시트(10).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천 스프링 부재(106)를 형성하는 탄성 섬유의 씨실의 밀도는 상기 제 1 만곡부에 있어서 상기 제 2 만곡부에 비해 조밀하고, 상기 제 2 만곡부에서 성긴 차량용 시트(10).
KR1020170125060A 2016-10-03 2017-09-27 차량용 시트 KR101974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96020 2016-10-03
JPJP-P-2016-196020 2016-10-03
JPJP-P-2017-047878 2017-03-13
JP2017047878A JP6835634B2 (ja) 2016-10-03 2017-03-13 車両用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117A KR20180037117A (ko) 2018-04-11
KR101974960B1 true KR101974960B1 (ko) 2019-05-03

Family

ID=6190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060A KR101974960B1 (ko) 2016-10-03 2017-09-27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35634B2 (ko)
KR (1) KR101974960B1 (ko)
BR (1) BR102017020202A2 (ko)
RU (1) RU2666005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5134B2 (ja) * 2018-09-25 2022-06-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7136A1 (en) 1984-09-04 1986-04-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A sling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41320Y2 (ko) * 1984-09-08 1989-12-07
US4869554A (en) * 1988-05-17 1989-09-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astomeric woven mat seat suspension
US6854805B2 (en) * 2002-03-27 2005-02-15 Delta Tooling Co., Ltd. Seat structure
CN1294866C (zh) * 2002-08-07 2007-01-17 株式会社三角工具加工 薄型座椅
JP4081347B2 (ja) * 2002-10-28 2008-04-23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座席構造
KR20040107578A (ko) * 2003-06-05 2004-12-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완충특성 가변형 시트
JP4634761B2 (ja) * 2004-08-26 2011-02-16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シート
US9216677B2 (en) * 2013-01-24 2015-12-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Quick-connect trim carrier attachment
JP6123508B2 (ja) * 2013-06-12 2017-05-1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支持体
JP2015020596A (ja) * 2013-07-19 2015-02-0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構造
JP2016159007A (ja) * 2015-03-04 2016-09-0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7136A1 (en) 1984-09-04 1986-04-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A sling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117A (ko) 2018-04-11
BR102017020202A2 (pt) 2018-05-02
JP2018058569A (ja) 2018-04-12
RU2666005C1 (ru) 2018-09-05
JP6835634B2 (ja)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5278B2 (ja) 車両用シート
JP5020448B2 (ja) 車両用シート
CN107891789B (zh) 车辆座椅
US8919878B2 (en) Vehicle seat
US7025423B2 (en) Seat structure
EP2727765A1 (en) Vehicle seat
JP6842045B2 (ja) シート
JP3592317B2 (ja) シート
CN104661871A (zh) 车用座椅
US20160114711A1 (en) Vehicle seat
CN109664859A (zh) 用于车辆的乘员约束装置
KR101974960B1 (ko) 차량용 시트
CN112996416B (zh) 座椅
JP3744210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
JP2018075885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6453414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及び車両用シート
JP4001502B2 (ja) シート
JP5951819B2 (ja) 車両用シート
JP5706219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及び車両用シート
JP2004001729A (ja) 車両用シート
JP2005185350A (ja) 車両用シート
JP6224172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及び車両用シート
JP5614042B2 (ja) 車両用シート
JP2021142867A (ja) 車両用シート
JP2022044704A (ja) 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