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887B1 -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 - Google Patents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887B1
KR101974887B1 KR1020190006730A KR20190006730A KR101974887B1 KR 101974887 B1 KR101974887 B1 KR 101974887B1 KR 1020190006730 A KR1020190006730 A KR 1020190006730A KR 20190006730 A KR20190006730 A KR 20190006730A KR 101974887 B1 KR101974887 B1 KR 101974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opening
closing cover
spac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조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조선
Priority to KR1020190006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6Covers or casing arranged to protect plant or unit from marine enviro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6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engine ro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7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갑판에 조타공간과 엔진공간을 마련되고, 상기 조타공간과 상기 엔진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가 마련된 선박으로서, 상기 격벽부에는 상기 엔진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힌지되동되게 개폐커버가 체결되어, 엔진이 배치되는 상기 엔진공간으로 바닷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엔진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커버를 힌지회동시키도록 구동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개폐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엔진공간의 저면에 하단부가 회동되게 축결합되고, 승강축이 상기 브라켓에 회동되동되게 축결합되는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져, 선박에 설치되는 스크류에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을 보호하도록, 엔진이 배치된 엔진공간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커버를 설치하고, 개폐커버를 회동시키도록 구동수단을 마련하여, 바닷물이나 외력으로부터 엔진을 보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 { Ships with engine protection opening / closing cover }
본 발명은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 설치되는 스크류에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을 보호하도록, 엔진이 배치된 엔진공간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커버를 설치하고, 개폐커버를 회동시키도록 구동수단을 마련하여, 바닷물이나 외력으로부터 엔진을 보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모터 또는 엔진 등의 동력발생부로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루를 이용하게 되므로 추진력이 강하여 고속주행이 가능한바, 선박의 선체를 합성수지재(FRP) 및/또는 고무튜브로 구성한 소형선박 등이 현재 연근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선박은 엔진 RPM 조절을 통해 운항 속도를 제어하게 되고, 클러치 조작을 통해 전진, 중립, 후진 동작하게되며, 항구에 정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선박의 운항 제어는 갑판에 구비되는 선박용 수동조작 레버장치를 통해 수행된다.
이러한, 선박에 장착되는 스크루는 선체의 후단인 선미 부분내부 일측에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예를 들면 모터 또는 엔진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동력발생부와 이웃하게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스크루가 선미의 말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발생부로부터 발생한 동력은 스크루 및 동력발생부를 서로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인 연결밸트, 구동샤프트 또는 기어들에 의하여 스크루에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선박은 스크류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선미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구동되는데, 동력전달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어 있어, 운행중 스크류 또는 선박의 이동에 의해 바닷물이 튀면서 선미로 유입되어, 구동되는 동력전달부의 내부로 침투하여 기계의 내부부품이 부식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녀, 선행이 이동중 갑판에 배치되는 중량물이 엔진을 타격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장시간 주행시 엔진이 과열되는데 탑승자가 중심을 잃어 엔진과 맞닿아 화상을 입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22516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에 설치되는 스크류에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을 보호하도록, 엔진이 배치된 엔진공간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커버를 설치하고, 개폐커버를 회동시키도록 구동수단을 마련하여, 바닷물 및 빗물이나 외력으로부터 엔진을 보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은 갑판에 조타공간과 엔진공간을 마련되고, 상기 조타공간과 상기 엔진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가 마련된 선박으로서, 상기 격벽부에는 상기 엔진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힌지되동되게 개폐커버가 체결되어, 엔진이 배치되는 상기 엔진공간으로 바닷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엔진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커버를 힌지회동시키도록 구동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개폐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엔진공간의 저면에 하단부가 회동되게 축결합되고, 승강축이 상기 브라켓에 회동되동되게 축결합되는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은 상기 개폐커버는 곡선지게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지지리브가 더 형성되며 상기 지지리브에는 상기 브라켓의 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은 상기 개폐커버에는 내측면에 상기 엔진을 감싸도록 탄성감지틀이 더 형성되고, 상기 탄성감지틀과 상기 개폐커버는 연결샤프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가 탄성감지틀에는 바닷물이 상기 엔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차단망이 더 형성되고, 상기 차단망에는 물기를 감지함과 아울러 물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차단망 및 상기 엔진에 바람을 공급하여 물기를 제거하도록 송풍팬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은 상기 탄성감지틀에는 방열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엔진에 일단이 맞닿도록 상기 탄성감지틀에 형성되는 탄성방열핀들과, 상기 탄성감지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방열핀에서 전달되는 열기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와, 상기 탄성감지틀에 형성되어 상기 열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냉각팬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커버에는 정밀건조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정밀건조수단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이송실린더와, 상기 이송실린더의 이송축에 설치되는 회동모터와, 상기 회동모터의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어 회전되고 타단에 상기 송풍팬이 설치되는 회동거치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은 선박에 설치되는 스크류에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을 보호하도록, 엔진이 배치된 엔진공간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커버를 설치하고, 개폐커버를 회동시키도록 구동수단을 마련하여, 바닷물 및 빗물이나 외력으로부터 엔진을 보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개폐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개폐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개폐커버와 구동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개폐커버와 구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탄성지지틀과 차단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개폐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개폐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을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개폐커버와 구동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개폐커버와 구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탄성지지틀과 차단망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선박이라 명명함)는 갑판에 조타공간(100)과 엔진공간(200)을 마련되고, 상기 조타공간(100)과 상기 엔진공간(200)을 구획하는 격벽부(300)가 마련된 선박(10)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선박(10)에는 엔진이 바닷물에 젖어 오작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커버(20)와 상기 개폐커버(20)를 회동시키는 구동수단(30)이 마련된다.
상기 조타공간(100)과 스크류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엔진이 배치되는 상기 엔진공간(200)은 상부가 개방된 홈구조로 상기 갑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타공간(100)과 상기 엔진공간(200) 사이에는 상기한 공간들을 구획,분할하도록 상기 격벽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격벽부(300)는 일정두께의 블럭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갑판과 일체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개폐커버(20)는 일단이 상기 격벽부(300)의 상부에 회동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개폐커버(20)는 상기 엔진공간(200)의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엔진공간(200)을 덮으면서 끝단부가 상기 갑판의 단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공간(200)으로 바닷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개폐커버(20)의 끝단부에는 탄성패널을 더 융착하거나 부착하여, 상기 갑판의 후미에 마련되는 단부와 상기 개폐커버(20)과 충돌시 마찰되는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커버(20)의 끝단부에는 외면에 고리(도시생략)를 형성하고, 상기 갑판의 후미에는 상기 고리에 끼움되도록 후크(도시생략)를 마련하여, 상기 엔진공간(200)을 폐쇄하도록 덮은 상기 개폐커버가 항해중 이동되거나, 상기 엔진의 진동에 의해 상기 갑판의 후미와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엔진공간(200)에는 상기 개폐커버(20)를 힌지회동시켜 상기 엔진공간(200)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바닷물이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동수단(30)이 마련된다.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개폐커버(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브라켓(31)과, 상기 엔진공간(200)의 저면에 하단부가 회동되게 힌지결합되고, 승강축(321)이 상기 브라켓(31)에 회동되동되게 힌지결합되는 구동실린더(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실린더(3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축(321)이 승강되면서 상기 개폐커버(20)를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개폐커버(20)는 바닷물 및 빗물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일정한 강도를 갖는 알루미늄재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상기 개폐커버를 경량화 시키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엔진공간(300)의 하부에는 연결패널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패널의 상부에 한쌍의 결착패널을 마련하여, 상기 결착패널 사이에 상기 구동실린더(32)의 하단부를 회동되게 축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커버(20)는 곡선지게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지지리브(21)가 더 형성되며 상기 지지리브(21)에는 상기 브라켓(31)의 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31)은 상기 지지리브(21)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리브(21)에 의해 상기 개폐커버(20)가 외력에 의해 눌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브라켓(31)을 안정적으로 체결시킬 수 있어, 지지력과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31)은 한쌍의 지지패널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커버(20)에는 브라켓(31)을 갖는 지지리브(21)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한쌍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31)에 체결되는 구동수단(30)도 한쌍으로 형성하여, 상기 개폐커버(2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한쌍 이외에 상기 개폐커버(20)의 크기 및 길이에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다수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개폐커버(20)에는 양측에 마감패널을 더 용접하여 바닷물이 상기 엔진공간을 덮으면서 배치되는 개폐커버(20)의 양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커버(20)에는 외면에 상기 구동수단(30)이 파손시 인력에 의해 상기 개폐커버(2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손잡이를 더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커버(20)에는 내측면에 상기 엔진을 감싸도록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감지틀(22)이 더 형성되고, 상가 탄성감지틀(22)에는 바닷물이 상기 엔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진 차단망(222)이 상기 탄성감지틀(22)을 덮으면서 더 융착되며, 상기 차단망(222)에는 물기를 감지함과 아울러 물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3)들이 접착되고, 상기 개폐커버(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차단망(222) 및 상기 엔진에 바람을 공급하여 물기를 제거하도록 송풍팬(24)이 더 설치된다.
상기 탄성감지틀(22)은 상기 개폐커버(20)의 내측면에 연결사프트에 의해 융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탄성감지틀(22)은 합성수지재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감지틀(22)은 상부가 폐쇄된 " ㄷ "자 형상의 틀로 형성되어, 상기 엔지의 상면 양측면 및 배면을 덮으면서 배치된다. 이때, 상기 탄성감지틀(22)은 상기 연결샤프트(221)에 의해 상기 개폐커버(20)와 함께 회동하게 되며, 상기 개폐커버(20)로 상기 엔진공간(200)을 폐쇄시 상기 탄성감지틀(22)과 상기 엔진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탄성감지틀(22)을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센서(23)를 통해 개폐커버(20)와 선박(10)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어, 상기 탄성감지틀(22) 또는 차단망(222)에 묻은 바닷물을 상기 송풍팬(24)으로 건조시킴으로써, 바닷물이 엔진의 내부로 유입되어 오작동시키거나 엔진을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탄성감지틀(22)에는 방열수단(25)이 마련되고, 상기 방열수단(25)은 상기 엔진에 일단이 맞닿도록 상기 탄성감지틀(22)에 형성되는 탄성방열핀(251)들과, 상기 탄성감지틀(22)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방열핀(251)에서 전달되는 열기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252)와,상기 탄성감지틀(22)에 형성되어 상기 열감지센서(252)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냉각팬(2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방열핀(251)은 탄성을 갖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감지틀(22)에 융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엔진의 외면과 맞닿거나 가압하면서 접촉되어, 상기 엔진의 열기를 상기 탄성감지틀(22)로 전달하게 됨과 아울러 열기를 방열시키게 된다.
상기 열감지센서(252)는 상기 탄성감지틀(22)로 전달된 열기 또는 엔진공간(20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게 되고,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 그 신호를 상기 냉각팬(253)에 전달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냉각팬(253)의 바람이 상기 엔진에 전달되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열감지센서(252)를 다수를 상기 탄성감지틀(22)에 형성하고, 상기 탄성방열핀(251)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방열핀(251)의 열기를 직접전달받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개폐커버(20)에는 정밀건조수단(26)이 더 마련되고, 상기 정밀건조수단(26)은 상기 감지센서(23)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이송실린더(261)와, 상기 이송실린더(261)의 이송축에 나사체결 또는 용접되는 회동모터(262)와, 상기 회동모터(262)의 회전축에 일단이 용접되어 회전되고 타단에 상기 송풍팬(24)이 설치되는 회동거치패널(2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실린더(261)는 끝단이 상기 개폐커버(20)에 나사체결 또는 용접되어 고정되며, 상기 감지센서(23)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23)를 상기 탄성감지틀(22) 및 상기 차단망(222)에 바닷물이 배치된 상태 및 위치를 상기 이송실린더(261) 및 상기 회동모터(262)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이송실린더(261)와 상기 회동모터(262)의 구동에 의해 바닷물이 위치된 부분으로 상기 송풍팬(24)을 이동시켜 상기 송풍팬(24)의 바람을 바닷물을 말리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정밀한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바닷물의 빠르게 건조되면 상기 감지센서(23)가 그 신호를 이송실린더(261)와 회동모터(262)에 전달하여 원위치시킨 후 구동이 종료되도록 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24)은 상기 회동거치패널(263)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선박 20 : 개폐커버
30 : 구동수단
21 : 지지리브 22 : 탄성감지틀
221 : 연결샤프트 222 : 차단망
23 : 감지센서 24 : 송풍팬
25 : 방열수단 251 : 탄성방열핀
252 : 열감지센서 253 : 냉각팬
26 : 정밀건조수단 261 : 이송실린더
262 : 회동모터 263 : 회동거치패널
31 : 브라켓 32 : 구동실린더
321 : 승강축
100 : 조타공간 200 : 엔진공간
300 : 격벽부

Claims (4)

  1. 갑판에 조타공간과 엔진공간을 마련되고, 상기 조타공간과 상기 엔진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가 마련된 선박으로서,
    상기 격벽부에는 상기 엔진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힌지되동되게 개폐커버가 체결되어, 엔진이 배치되는 상기 엔진공간으로 바닷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엔진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커버를 힌지회동시키도록 구동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개폐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엔진공간의 저면에 하단부가 회동되게 축결합되고, 승강축이 상기 브라켓에 회동되동되게 축결합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커버에는 내측면에 상기 엔진을 감싸도록 탄성감지틀이 더 형성되고,
    상기 탄성감지틀과 상기 개폐커버는 연결샤프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가 탄성감지틀에는 바닷물이 상기 엔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차단망이 더 형성되고,
    상기 차단망에는 물기를 감지함과 아울러 물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차단망 및 상기 엔진에 바람을 공급하여 물기를 제거하도록 송풍팬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는 곡선지게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지지리브가 더 형성되며 상기 지지리브에는 상기 브라켓의 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감지틀에는 방열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엔진에 일단이 맞닿도록 상기 탄성감지틀에 형성되는 탄성방열핀들과,
    상기 탄성감지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방열핀에서 전달되는 열기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와,
    상기 탄성감지틀에 형성되어 상기 열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냉각팬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커버에는 정밀건조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정밀건조수단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이송실린더와,
    상기 이송실린더의 이송축에 설치되는 회동모터와,
    상기 회동모터의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어 회전되고 타단에 상기 송풍팬이 설치되는 회동거치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


KR1020190006730A 2019-01-18 2019-01-18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 KR101974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730A KR101974887B1 (ko) 2019-01-18 2019-01-18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730A KR101974887B1 (ko) 2019-01-18 2019-01-18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887B1 true KR101974887B1 (ko) 2019-05-03

Family

ID=6658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730A KR101974887B1 (ko) 2019-01-18 2019-01-18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854B1 (ko) 2021-10-22 2022-05-23 대한민국 선박장비용 보온커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1659A (ja) * 2010-11-09 2012-05-31 Suzuki Motor Corp 船外機エンジンケースのケースカバー構造
KR101225169B1 (ko) 2010-06-22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2015504813A (ja) * 2011-12-22 2015-02-16 エスツー ヨッ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イミングプラットフォーム支持および船外機隠し用のエクステンションを有する船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169B1 (ko) 2010-06-22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2012101659A (ja) * 2010-11-09 2012-05-31 Suzuki Motor Corp 船外機エンジンケースのケースカバー構造
JP2015504813A (ja) * 2011-12-22 2015-02-16 エスツー ヨッ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イミングプラットフォーム支持および船外機隠し用のエクステンションを有する船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854B1 (ko) 2021-10-22 2022-05-23 대한민국 선박장비용 보온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2104B1 (ko) 건설기계의 냉각장치 및 건설기계
EP2172631B1 (en) Vehicle engine cooling apparatus
US6427798B1 (en) Construction machine with muffler cooling vent
KR101974887B1 (ko)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
JP6322151B2 (ja) 作業機械の冷却構造及び作業機械
JP2008128077A (ja) 作業機械の冷却装置の清掃用構造
JP4268592B2 (ja) 重装備機械の運転室暖房装置
JP2008037343A (ja) 建設機械のラジエータグリル装置
KR101081633B1 (ko) 건설 기계의 냉각 장치
JPH0569890A (ja) 船舶推進機のカウリング構造
JP2015134512A (ja) 車両前部の空気取り入れ構造
JP2008001309A (ja) 車両床下構造
JP2005041387A (ja) 車両のエアダム装置
JP2005307921A (ja) 自動車のモータファンシュラウドのフラップ構造
KR20080043158A (ko) 휠로더의 냉각팬 배기장치
JP2007038989A (ja) 船外機
KR100193117B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그릴
KR102623495B1 (ko) 선외기 엔진룸 냉각용 공기 흡·배출구 개폐장치
JP4523401B2 (ja) 作業機械
JPH03220023A (ja) エンジンルームの放熱機構
JP7010114B2 (ja) グリルシャッタ装置
JP2009018710A (ja) 車両のパワートレイン配設構造
JP2512578Y2 (ja) 運搬車の原動部構造
JPH0650297Y2 (ja) トラックの整流装置
JP4469523B2 (ja) 全旋回式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