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854B1 - 선박장비용 보온커버 - Google Patents

선박장비용 보온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854B1
KR102400854B1 KR1020210141718A KR20210141718A KR102400854B1 KR 102400854 B1 KR102400854 B1 KR 102400854B1 KR 1020210141718 A KR1020210141718 A KR 1020210141718A KR 20210141718 A KR20210141718 A KR 20210141718A KR 102400854 B1 KR102400854 B1 KR 102400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aterial
outer skin
heating
cover
ship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14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36Transporting or testing stands ; Use of outboard propulsion units as pumps; Protection of power legs, e.g. when not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8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4Heating means manufactured by using nanotechn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방수 가능한 외피부재 및 내피부재 그리고 그 사이에 일정 온도로 발열되는 발열유닛이 구비됨에 따라 고속단정과 같이 외부에 정박되는 선박의 선외기를 비롯한 서치라이트, 윤활유 드럼통, 비트 및 보라드, 소화전 등과 같은 각종 선박장비가 혹한기 외부의 냉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음은 물론 예열 등의 준비과정 없이 장비들이 필요시 즉각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어 신속한 출동 및 안전한 작전이 가능한 선박장비용 보온커버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장비용 보온커버는 소정의 수용물체에 상부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덮어씌워져 그 측면과 상부를 가릴 수 있도록 내부에는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 된 외피부재와, 상기 외피부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부재 내부면 전체에 밀착 고정되는 내피부재와, 상기 외피부재 및 내피부재 사이에 기밀하게 개재되며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부 냉기에 대해 상기 수용물체가 보호되게 하는 발열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장비용 보온커버{HEATING COVER FOR SHIP EQUIPMENT}
개시된 내용은 고속단정의 선외기나 서치라이트와 같은 선박장비에 덮어씌워져 겨울철 냉기로부터 선박장비가 보호되게 함과 동시에 신속한 기동이 가능하게 하는 보온커버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고속단정(高速短艇)이란 경식 선체 팽창식 보트로 선체가 보강된 고무보트를 말하는 것으로, '리브 보트(RIB boat)', '레스큐 보트(rescue boat)'라고도 한다. 이러한 고속다정은 해양경찰, 해군, 해병대 등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해군 특수전전단, UDU, 육군 특전사 등 특수부대들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고속단정의 상부는 팽창식 튜브로 되어 있고 하부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되어있는데, 이로인해 상대적으로 가볍고 견고한 특성을 갖는다. 또한 튜브로 인해서 항시 높은 부력이 유지될 수 있음에 따라, 일반적인 소형 선박과 비교했을때 2-3m 정도의 파도가 있는 환경에서도 뛰어난 작전수행 능력이 발쉬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한국의 해양경찰에서는 4.9m급, 6.5m급, 7m급, 8.5m급, 10m급 등의 다양한 종류의 고속단정이 운용하고 있으며, 주요 임무로는 항만시설 및 산업시설의 순찰활동, 해상교통질서 유지 및 불법조업 단속 등 민생치안 확보, 각종 사건, 사고에 서 환자후송과 같은 초동조치, 수상레저 이용객의 안전관리 등이 있다.
이처럼 고속단정은 불법조업 단속이나 긴급환자 후송과 같이 긴급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어야 하는데, 겨울철 외부기온이 급격하게 하강된 환경에서는 안전한 운행과 선박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선외기가 일정시간 이상 예열되어야 함에 따라 그만큼 출동시간이 지연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선외기가 일정시간 이상 예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속단정이 운행될 경우 엔진의 실린더 헤드나 냉각계통의 부품이 파손되어 고가의 수리비용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파손된 부품이 수리되는 기간 중에 치안공백이 발생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선외기 뿐만 아니라, 고속단정에는 외부 냉기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예를 들면 서치라이트와 같은 다양한 장비들이 비치되어 있어 신속한 출동과 안전한 작전을 위해 이러한 장비들 또한 냉기로부터 보호될 필요성이 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74887호(2019.04.26)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58934호(2011.06.02)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004399호(2014.01.13)
고속단정과 같이 외부에 정박되는 선박의 선외기를 비롯한 각종 선박장비에 구비되도록 하여 혹한기 외부의 냉기로부터 장비들이 보호될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한 출동과 안전한 작전이 가능하도록 한 선박장비용 보온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소정의 수용물체에 상부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덮어씌워져 그 측면과 상부를 가릴 수 있도록 내부에는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 된 외피부재와, 상기 외피부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부재 내부면 전체에 밀착 고정되는 내피부재와, 상기 외피부재 및 내피부재 사이에 기밀하게 개재되며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부 냉기에 대해 상기 수용물체가 보호되게 하는 발열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장비용 보온커버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개시된 내용에서 상기 발열유닛은, 상기 내피부재 측에 밀착 위치되며 외부로 전원공급 가능한 전원선이 연장되는 한 개 이상의 발열패드와, 상기 발열패드 상에 적층 위치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 상에 적층 위치되고 상기 외피부재 측에 밀착 위치되는 부직포와, 상기 전원선이 전원공급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발열패드의 발열에 필요한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전원공급부가 포함되는 것으로 하며, 상기 발열패드는 자체적으로 온도상승이 억제되어 과열 및 화재가 예방될 수 있는 나노발열시트인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선박장비용 보온커버에 의하면, 방수 가능한 외피부재 및 내피부재 그리고 그 사이에 일정 온도로 발열되는 발열유닛이 구비됨에 따라 고속단정과 같이 외부에 정박되는 선박의 선외기를 비롯한 서치라이트 등과 같은 각종 선박장비가 혹한기 외부의 냉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음은 물론 예열 등의 준비과정 없이 장비들이 필요시 즉각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어 신속한 출동 및 안전한 작전이 가능한 탁월한 장점이 있다.
해경 등에서 사용되는 고속단정과 같은 선박 뿐만 아니라 소방, 경찰 및 해군 등의 기관에서 사용되는 윤활유 드럼통, 비트 및 보라드, 소화전과 같은 각종 장비 또한 외부의 냉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음에 따라 정상적이고 즉각적인 장비의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장비의 유지보수가 용이해 그 활용범위가 넓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장비용 보온커버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장비용 보온커버의 단면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장비용 보온커버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단면도이며, 도 3은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장비용 보온커버(1)의 구성부재들과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외피부재(10)가 구비된다. 이 외피부재(10)는 선박장비용 보온커버(1)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고, 방수기능과 1차적 냉기차단기능 그리고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사용 가능하게 구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외피부재(10)는 고속단정의 선외기와 같은 소정의 수용물체에 상부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덮어씌워져 그 측면과 상부를 가릴 수 있도록 내부에는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 형성된다.
그 형상은 전체적으로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원기둥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그 크기 또한 다양하게 변경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피부재(10)는 추후에 설명될 내피부재(20)와 함께 전체적으로 방수원단으로 제조되어 외부의 수분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외피부재(10)의 내부면 전체에는 내피부재(20)가 밀착 고정된다. 이 내피부재(20)는 전체적으로 외피부재(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재봉, 초음파융착,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서로 고정된다. 그리고 재봉 위치에는 별도의 방수테이핑 처리될 수 있다. 이때 외피부재(10)와 내피부재(20)의 고정은 그 사이에 추후에 설명될 발열유닛(30)이 위치된 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외피부재(10) 및 내피부재(20) 하단에는 스트링(40)이 내장된다. 이 스트링(40)은 외피부재(10) 및 내피부재(20)의 개방된 하부가 선택적으로 오므려지거나 벌려질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선외기에 덮어 씌우거나 벗겨낼 때는 스트링(40)을 벌려 그 하부가 넓게 개방되게 하고, 선외기에 엎어 씌운 후에는 스트링(40)을 오므려 외부의 냉기가 외피부재(10) 및 내피부재(20)의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 준다. 개시된 내용에서는 외피부재(10) 및 내피부재(20)의 개방된 하부를 오므리거나 벌려주는 용도로 스트링(40)이 사용되었으나 이 외에도 벨크로 테이프, 스냅단추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외피부재(10) 및 내피부재(20) 사이에는 발열유닛(30)이 기밀하게 개재된다. 이 발열유닛(30)은 자체적으로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부 냉기에 대해 선외기와 같은 수용물체가 안전하게 보호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발열유닛(30)은, 내피부재(20) 측에 밀착 위치되며 외부로 전원공급 가능한 전원선(32)이 연장되는 한 개 이상의 발열패드(31)와, 발열패드(31) 상에 적층 위치되는 단열재(33)와, 단열재(33) 상에 적층 위치되고 외피부재(10) 측에 밀착 위치되는 부직포(34)와, 전원선(32)이 전원공급 가능하게 연결되어 발열패드(31)의 발열에 필요한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전원공급부(35)로 구성된다.
전술한 발열유닛(30)은 외피부재(10) 및 내피부재(20) 사이에 한 개 이상이 구비되며, 선박장비용 보온커버(1)의 크기에 따라 그 설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발열패드(31)는 자체적으로 온도상승이 억제되어 과열 및 화재가 예방될 수 있는 나노발열시트가 사용된다. 이 나노발열시트는 자체적으로 발열온도가 제어될 수 있는데 외부온도가 상승되면 열가소성 수지가 이완되면서 저항 값이 상승하여 발열온도가 하강되고, 반대로 외부온도가 하강되면 열가소성 수지가 수축되면서 저항 값이 하강되어 발열온도가 상승하는 원리로 작동된다.
또한, 감전이 예방되고 전자파가 발생되지 않는 특성이 있어 화재와 화상, 과열 및 전자파 등으로 인한 사고가 예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나노발열시트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단열재(33)는 발열패드(31)로부터 발생되는 열기가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해주고, 전술한 부직포(34)는 단열재(33)를 보조하여 발열패드(31)로부터 발생되는 열기가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해 줌과 동시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발열패드(31)가 보호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이와 같은 발열유닛(30)은 외피부재(10) 및 내피부재(20)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원선(32)이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을 제외한 그 전체 가장자리가 재봉, 초음파융착,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기밀하게 차단되며, 재봉 처리될 경우 재봉 위치에는 별도의 방수테이핑이 처리될 수 있다.
발열패드(31)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전원선(32)은 전원공급부(35)에 연결되어 발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데, 전원공급부(35)는 선박 등에 설치된 배터리 일 수도 있고, 선박장비용 보온커버(1)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배터리 일 수도 있다. 전용 배터리가 사용될 경우 배터리는 방수 및 파손방지를 위해 내피부재(2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내피부재(20)의 내부 일측에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는 별도의 포켓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선박장비용 보온커버에 의하면, 방수 가능한 외피부재 및 내피부재 그리고 그 사이에 일정 온도로 발열되는 발열유닛이 구비됨에 따라 고속단정과 같이 외부에 정박되는 선박의 선외기를 비롯한 서치라이트 등과 같은 각종 선박장비가 혹한기 외부의 냉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음은 물론 예열 등의 준비과정 없이 장비들이 필요시 즉각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어 신속한 출동 및 안전한 작전이 가능하다.
또한, 해경 등에서 사용되는 고속단정과 같은 선박 뿐만 아니라 소방, 경찰 및 해군 등의 기관에서 사용되는 윤활유 드럼통, 비트 및 보라드, 소화전 등과 같은 각종 장비 또한 외부의 냉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음에 따라 정상적이고 즉각적인 장비의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장비의 유지보수가 용이해 그 활용범위가 넓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선박장비용 보온커버
10 : 외피부재
20 : 내피부재
30 : 발열유닛
31 : 발열패드
32 : 전원선
33 : 단열재
34 : 부직포
35 : 전원공급부
40 : 스트링

Claims (5)

  1. 소정의 수용물체에 상부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덮어씌워져 그 측면과 상부를 가릴 수 있도록 내부에는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 된 외피부재;
    상기 외피부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부재 내부면 전체에 밀착 고정되는 내피부재; 및
    상기 외피부재 및 내피부재 사이에 기밀하게 개재되며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부 냉기에 대해 상기 수용물체가 보호되게 하는 발열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발열유닛은,
    상기 내피부재 측에 밀착 위치되며 외부로 전원공급 가능한 전원선이 연장되는 한 개 이상의 발열패드;
    상기 발열패드 상에 적층 위치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 상에 적층 위치되고 상기 외피부재 측에 밀착 위치되는 부직포; 및
    상기 전원선이 전원공급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발열패드의 발열에 필요한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전원공급부;가 포함되며,
    상기 발열패드는 자체적으로 온도상승이 억제되어 과열 및 화재가 예방될 수 있는 나노발열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장비용 보온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재 및 내피부재는 방수원단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장비용 보온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재 및 내피부재 하단에는 개방된 하부가 선택적으로 오므려지거나 벌려질 수 있도록 스트링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장비용 보온커버.
  4. 삭제
  5. 삭제
KR1020210141718A 2021-10-22 2021-10-22 선박장비용 보온커버 KR10240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718A KR102400854B1 (ko) 2021-10-22 2021-10-22 선박장비용 보온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718A KR102400854B1 (ko) 2021-10-22 2021-10-22 선박장비용 보온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854B1 true KR102400854B1 (ko) 2022-05-23

Family

ID=8180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718A KR102400854B1 (ko) 2021-10-22 2021-10-22 선박장비용 보온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8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8490A (ko) * 2007-08-17 2009-0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외기 노출장비의 히팅수단
KR20110053872A (ko) * 2009-11-16 2011-05-24 김수호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발싸개
KR20110058934A (ko) 2009-11-27 2011-06-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플러드 라이트용 결빙 방지 장치
KR20140004399A (ko) 2012-07-02 2014-01-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구명보트의 격납구조물
KR101974887B1 (ko) 2019-01-18 2019-05-03 주식회사 우리조선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
KR20190002113U (ko) * 2018-02-10 2019-08-20 주식회사 이큐브머티리얼즈 금속나노와이어 코팅 발열시트 전극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8490A (ko) * 2007-08-17 2009-0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외기 노출장비의 히팅수단
KR20110053872A (ko) * 2009-11-16 2011-05-24 김수호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발싸개
KR20110058934A (ko) 2009-11-27 2011-06-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플러드 라이트용 결빙 방지 장치
KR20140004399A (ko) 2012-07-02 2014-01-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구명보트의 격납구조물
KR20190002113U (ko) * 2018-02-10 2019-08-20 주식회사 이큐브머티리얼즈 금속나노와이어 코팅 발열시트 전극구조
KR101974887B1 (ko) 2019-01-18 2019-05-03 주식회사 우리조선 엔진보호용 개폐커버가 마련된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4495B2 (ja) 船舶
JPH01197198A (ja) 水中スクーター
CN106081026B (zh) 一种用于潜水艇逃生的装置与方法
KR102400854B1 (ko) 선박장비용 보온커버
KR20190049988A (ko)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
CN106335620B (zh) 一种适用于极地航行船的防冻方法
FI20205418A1 (en) Extinguishing system and extinguishing procedure
KR102041563B1 (ko) 선박의 기자재용 히팅박스
KR101659916B1 (ko) 히팅필름이 내설된 선박 항해등
WO2022106748A1 (en) Extinguishing system
CN110234567A (zh) 救生筏的改进的储存
US5782196A (en) Sealing openings in hulls of vessels
JP2018176996A (ja) 船舶
US1353811A (en) Guard
CN212401499U (zh) 一种多功能游船
CN108263574A (zh) 一种水上应急救援装备
CN108408001A (zh) 一种应用于船舶船员舱的紧急救生系统
RU2646201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надувного спасательного плота
RU2222459C1 (ru) Атомная подводная лодка
KR102658649B1 (ko) 안전 구명조끼
KR102453148B1 (ko) 발열 튜브
CN207780245U (zh) 一种基于北斗卫星定位的个人信标
RU2731933C1 (ru) Комплекс спасения экипажа корабля
Olsen Preparing the Vessel for Arctic Operations
EP3192734B1 (en) Submerging prevention system for ship, and ship hav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