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152B1 -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152B1
KR101974152B1 KR1020180020603A KR20180020603A KR101974152B1 KR 101974152 B1 KR101974152 B1 KR 101974152B1 KR 1020180020603 A KR1020180020603 A KR 1020180020603A KR 20180020603 A KR20180020603 A KR 20180020603A KR 101974152 B1 KR101974152 B1 KR 101974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ember
pressing
lever
spring
ben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규
서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to KR1020180020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Structural details or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sure elements and layer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착 롤러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를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로서, 하부에 회동축을 구비하고, 상부에 스프링이 장착되고, 2개의 측면 및 상기 측면들과 연결된 배면을 구비하며, 상기 측면들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 롤러를 설치하기 위한 베어링 조립공을 갖는 제1 레버 부재; 상기 베어링 조립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베어링 조립공을 구비한 2개의 측면 및 이 측면들과 연결된 배면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축에 의해 상기 제1 레버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 레버 부재와의 사이에 탄성력이 작용되고 있는 제2 레버 부재; 및 상기 제2 레버 부재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레버 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상측으로 치우진 위치에서 상기 제2 레버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제2 레버 부재를 상기 제1 레버 부재 측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도록 회동하는 조작 레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Engaging and disengaging device for fixing roller of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를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가압/해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공지된 전사 롤러에 의해 용지 표면에 전사된 현상액을 용지에 가압하여 융착시키는 정착 유닛이 구비된다. 이러한 정착 유닛은 서로 밀착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정착 롤러로 구성되며, 한 쌍의 정착 롤러는 열을 가하는 가열 롤러와 가열 롤러에 밀착되어 압력을 가하는 가압 롤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착 유닛은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 간의 압력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봉투 등의 두꺼운 용지를 통지하기 위해서 롤러 간의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기구를 장착하게 된다.
최근에는 정착 사양의 고속화(PPM 증가)에 따른 정착성 품질 향상을 위해 NIP 폭 및 NIP 하중 증가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여기서, NIP 폭, 즉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롤러의 외경을 증가시키거나 롤러의 경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롤러의 외경을 증가시키는 경우 구동 에너지 및 장치의 크기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롤러의 경도를 감소시키는 경우 롤러의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NIP 하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하중이 증가되도록 인장 스프링의 사양을 변경하거나 가압 기구의 레버(lever) 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인장 스프링의 사양을 변경하는 경우 고하중을 달성할 수 있지만 하중 증가로 인한 스프링 취부 부품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 부품이 요구되며, 가압 기구의 조작성(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가압 기구의 레버 비를 증가시키는 경우 가압 기구의 레버 간의 공간이 넓어져야 하므로 정착 사이즈의 소형화 및 주변 부품과의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장 스프링 기반의 가압 구조에서 고하중 정착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설계상의 제약이 따른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0819731호(2008.03.31.)
선행기술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441103호(2014.09.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NIP 하중 증가에 따른 부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착 롤러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를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로서, 하부에 회동축을 구비하고, 상부에 스프링이 장착되고, 2개의 측면 및 상기 측면들과 연결된 배면을 구비하며, 상기 측면들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 롤러를 설치하기 위한 베어링 조립공을 갖는 제1 레버 부재; 상기 베어링 조립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베어링 조립공을 구비한 2개의 측면 및 이 측면들과 연결된 배면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축에 의해 상기 제1 레버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 레버 부재와의 사이에 탄성력이 작용되고 있는 제2 레버 부재; 및 상기 제2 레버 부재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레버 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상측으로 치우진 위치에서 상기 제2 레버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제2 레버 부재를 상기 제1 레버 부재 측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도록 회동하는 조작 레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레버 부재는 상부에 상기 스프링이 안착될 수 있는 제1 벤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벤딩부는 상기 제1 레버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2 레버 부재 측을 향하여 연장된 판형 부재이고, 상기 제1 벤딩부의 단부는 상기 스프링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하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레버 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이탈 방지를 위한 제2 벤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벤딩부는 상기 제2 레버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1 레버 부재 측을 향하여 연장된 판형 부재로서 상기 스프링 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벤딩부의 단부는 상기 스프링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하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레버 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벤딩부의 하부에서 상기 제2 레버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1 레버 부재 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레버 부재 및 제2 레버 부재의 측면들에는 각각 상기 회동축을 설치하기 위한 축공을 구비하고, 상기 축공은 상기 베어링 조립공의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레버 부재의 베어링 조립공은 상기 제1 레버 부재를 향하여 개방된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 레버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레버 부재와 접촉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가압 부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가압 부재의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쳐서 상기 가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레버 부재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 롤러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비해 작은 힘으로 조작 레버를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이 장착된 레버 부재들의 상부에 작용하는 힘이 하부에 작용하는 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스프링 주변 부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가 설치된 가압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의 제1 레버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의 제2 레버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 및 6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의 일반 급지 모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7a 및 7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의 잼 제거 모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8a 및 8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의 봉투 급지 모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1)는 가압 롤러(10)로 정착 유닛의 정착 롤러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동축(110)을 중심으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스프링(120)이 장착된 제1 레버 부재(200)와 제2 레버 부재(300), 그리고 제2 레버 부재(300)가 제1 레버 부재(300)에 작용시키는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작 레버(400)를 포함한다.
제1 레버 부재(200)는 2개의 측면(201), 이 측면들(201)과 연결된 상면(202) 및 배면(203)을 구비한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의 부재로서, 개방된 전면 및 저면을 구비한다. 이 제1 레버 부재(200)는 하부에 회동축(110)을 구비하고, 상부에는 스프링(120)이 장착된다. 또한, 제1 레버 부재(200)의 측면들(201)에는 각각 가압 롤러(10)를 설치하기 위한 베어링 조립공(210)이 형성된다. 이 베이링 조립공(210)은 측면들(201)의 하부에, 정확하게는 회동축(110)의 바로 위에 형성된다.
제2 레버 부재(300)는 제1 레버 부재(200)와 마찬가지로, 2개의 측면(301), 이 측면들(301)과 연결된 배면(303)을 구비한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의 부재로서, 개방된 전면 및 저면을 구비한다. 이 제2 레버 부재(300)는 제1 레버 부재(200)와 서로 대향하도록, 즉 제1 레버 부재(200)의 개방된 전면과 제2 레버 부재(300)의 개방된 전면이 대면하도록 서로 결합된다. 여기서, 제1 레버 부재(200)와 제2 레버 부재(300)는 회동축(110)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면, 제2 레버 부재(300)는 제1 레버 부재(200) 안에 삽입되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레버 부재(200)와 제2 레버 부재(300)는 하부의 회동축(110)을 중심으로 스프링(120)이 장착된 상부가 회동(압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 이때, 제1 레버 부재(200)와 제2 레버 부재(300) 사이에는 스프링(120)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예를 들면, 반발력)이 작용한다. 또한, 제2 레버 부재(300)는 각각의 측면(301)에 제1 레버 부재(200)의 베어링 조립공(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베어링 조립공(310)을 구비한다.
조작 레버(400)는 제2 레버 부재(300)의 후방 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여 제2 레버 부재(300)를 제1 레버 부재(200) 측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한다. 이때, 조작 레버(400)는 제2 레버 부재(300)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상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제2 레버 부재(300)와 접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조작 레버(400)를 조작하여 제2 레버 부재(300)를 제1 레버 부재(300) 측으로 가압하면, 스프링(120)의 탄성력에 의해 제2 레버 부재(300)가 가압되고, 제2 레버 부재(300)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가압 롤러(10)가 정착 롤러(20; 도 6a 참조)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스프링(120)이 위치한 상부에 작용하는 하중에 비해 가압 롤러(10)가 위치한 하부에 작용하는 하중이 더욱 커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 가압 롤러(10)의 가압력에 비해 작은 힘으로 조작 레버(40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20)이 장착된 레버 부재들(200, 300)의 상부에 작용하는 힘이 하부에 작용하는 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스프링(120) 주변 부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레버 부재(200)는 상부에 스프링(120)이 안착될 수 있는 제1 벤딩부(220)를 구비한다. 이 제1 벤딩부(220)는 상면(202)과 하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배면(203)으로부터 제2 레버 부재(300) 측을 향하여 연장된 판형 부재이다. 따라서, 스프링(120)은 제1 레버 부재(200)의 상면(202)과 제1 벤딩부(220) 사이에 안착되어 스프링(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벤딩부(220)의 단부는 소정각도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벤딩되어 스프링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 레버 부재(300)는 스프링(120)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벤딩부(320)를 구비한다. 제2 벤딩부(320)는 제2 레버 부재(300)의 배면(303)으로부터 제1 레버 부재(200)를 향하여 연장된 판형 부재로서, 스프링(120)의 일단에 삽입되어 스프링(120)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제2 벤딩부(320)의 단부는 제1 벤딩부(220)와 마찬가지로 소정각도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벤딩되어 스프링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제2 레버 부재(300)는 스프링(120)의 위치를 결정하고 추가로 스프링(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돌출부(330)는 제2 벤딩부(320)의 하부에서 제2 레버 부재(300)의 배면(303)으로부터 제1 레버 부재(200) 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레버 부재(200)와 제2 레버 부재(300)의 측면들(201, 301)에는 각각 회동축(110)을 설치하기 위한 축공(240, 340)을 구비한다. 이 축공(240, 340)은 베어링 조립공(210, 310)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또한, 제2 레버 부재(300)의 베어링 조립공(310)은 제1 레버 부재(200)를 향하여 개방된 절개부(311)를 구비한다. 이 절개부(311)는 제1 레버 부재(200)와 제2 레버 부재(300)의 조립 시, 가압 롤러(10)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400)는 가압 부재(410) 및 손잡이(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가압 부재(410)는 측면에서 볼 때 소정의 두께 및 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긴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가압 부재(410)는 제2 레버 부재(300)의 배면과 접촉하여 제2 레버 부재(300)를 제1 레버 부재(200) 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손잡이(420)는 가압 부재(410)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압 부재(4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손잡이(42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회동되어 가압 부재(410)를 회동시킨다.
여기서, 조작 레버(400)의 손잡이(420)는 가압 부재(410)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쳐서 가압 부재(410)와 연결된다. 그러면, 가압 부재(410)는 손잡이(420)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측부(411) 및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단측부(412)로 나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420)의 회동에 의해 가압 부재(410)의 장측부(411)가 제2 레버 부재(300)의 배면에 접촉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큰 가압력이 작용하여 가압 롤러(10)와 정착 롤러(20) 사이의 NIP 하중이 증가한다. 또한, 손잡이(420)의 회동에 의해 가압 부재(410)의 단측부(412)가 제2 레버 부재(300)의 배면에 접촉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작은 가압력이 작용하여 가압 롤러(10)와 정착 롤러(20) 사이의 NIP 하중이 감소한다.
이와 같이, 조작 레버(400)는 손잡이(420)의 회동 위치에 따라 제2 레버 부재(300)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410)의 가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1)는 가압 롤러(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한 쌍의 조작 레버(400)는 공통 축(43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 공통 축(430)은 손잡이(420)의 회동축 역할을 한다.
이하, 도 6a 내지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의 작동 모드를 설명한다.
먼저, 도 6a와 6b를 참조하면, 일반 급지 모드에서, 조작 레버(400)의 손잡이(420)는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가압 부재(410)의 장측부(411)가 제2 레버 부재(300)의 배면과 접촉하여 제2 레버 부재(300)를 제1 레버 부재(200) 측으로 가압하고 있고, 그러면 제1 레버 부재(200)와 제2 레버 부재(300) 사이의 스프링(120)이 압축되고, 이 압축 하중에 의해 가압 롤러(10)가 정착 롤러(2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120)의 작용하는 하중이 대략 50N인 경우, 가압 롤러(10)가 정착 롤러(20) 측으로 작용시키는 하중은 대략 420N이 되도록, 가압/해제 기구의 레버 비가 설정된다.
따라서, 가압 롤러(10)와 정착 롤러(20) 사이에는 소정의 NIP 하중이 생기고, 정착 유닛은 일반 급지 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이어서, 도 7a와 7b를 참조하면, 잼 제거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조작 레버(400)의 손잡이(420)를 90도 하방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손잡이(420)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고, 가압 부재(410)의 장측부(411)는 상방에 그리고 단측부(412)는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제1 레버 부재(200)는 회동축(110)을 중심으로 제2 레버 부재(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스프링(120)의 압축이 해제된다. 여기서, 스프링(120)에 작용하는 하중은 대략 9N이고, 가압 롤러(10)와 정착 롤러(20) 사이의 하중은 0이다.
따라서, 가압 롤러(10)와 정착 롤러(20)가 서로 이격되어, 이 롤러들(10, 20) 사이의 NIP 하중이 제거된다. 이에 따라, 정착 유닛에 발생한 용지의 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8a와 8b를 참조하면, 봉투 급지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잼 제거 모드에서 사용자는 조작 레버(400)의 손잡이(420)를 다시 90도 하방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손잡이(420)는 대략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가압 부재(410)의 단측부(412)가 제2 레버 부재(300)의 배면과 접촉하여 제2 레버 부재(300)를 제1 레버 부재(200) 측으로 가압하고 있고, 그러면 제1 레버 부재(200)와 제2 레버 부재(300) 사이의 스프링(120)이 압축되고, 이 압축 하중에 의해 가압 롤러(10)가 정착 롤러(2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120)의 작용하는 하중이 대략 7N이고, 가압 롤러(10)가 정착 롤러(20) 측으로 작용시키는 하중은 대략 59N이 된다.
따라서, 가압 롤러(10)와 정착 롤러(20) 사이의 NIP 하중은 일반 급지 모드에서보다는 작고, 잼 제거 모드에서보다는 커져서 봉투 급지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는 가압 롤러(10)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비해 작은 힘으로 조작 레버(400)를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스프링(120)이 장착된 레버 부재들(200, 300)의 상부에 작용하는 힘이 하부에 작용하는 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스프링(120) 주변 부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가압 롤러 20: 정착 롤러
110: 회동축 120: 스프링
200: 제1 레버 부재 201: 측면
202: 상면 203: 배면
210: 베어링 조립공 220: 제1 벤딩부
300: 제2 레버 부재 301: 측면
303: 배면 310: 베어링 조립공
311: 절개부 320: 제2 벤딩부
330: 돌출부 400: 조작 레버
410: 가압 부재 411: 장측부
412: 단측부 420: 손잡이
430: 공통 축

Claims (7)

  1. 정착 롤러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를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로서,
    하부에 회동축을 구비하고, 상부에 스프링이 장착되고, 2개의 측면 및 상기 측면들과 연결된 배면을 구비하며, 상기 측면들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 롤러를 설치하기 위한 베어링 조립공을 갖는 제1 레버 부재;
    상기 베어링 조립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베어링 조립공을 구비한 2개의 측면 및 이 측면들과 연결된 배면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축에 의해 상기 제1 레버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 레버 부재와의 사이에 탄성력이 작용되고 있는 제2 레버 부재; 및
    상기 제2 레버 부재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레버 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상측으로 치우진 위치에서 상기 제2 레버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제2 레버 부재를 상기 제1 레버 부재 측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도록 회동하는 조작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버 부재는 상부에 상기 스프링이 안착될 수 있는 제1 벤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벤딩부는 상기 제1 레버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2 레버 부재 측을 향하여 연장된 판형 부재이고, 상기 제1 벤딩부의 단부는 상기 스프링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하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 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이탈 방지를 위한 제2 벤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벤딩부는 상기 제2 레버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1 레버 부재 측을 향하여 연장된 판형 부재로서 상기 스프링 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벤딩부의 단부는 상기 스프링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하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 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벤딩부의 하부에서 상기 제2 레버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1 레버 부재 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 부재 및 제2 레버 부재의 측면들에는 각각 상기 회동축을 설치하기 위한 축공을 구비하고, 상기 축공은 상기 베어링 조립공의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 부재의 베어링 조립공은 상기 제1 레버 부재를 향하여 개방된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레버 부재와 접촉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가압 부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가압 부재의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쳐서 상기 가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레버 부재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
  7. 삭제
KR1020180020603A 2018-02-21 2018-02-21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 KR101974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603A KR101974152B1 (ko) 2018-02-21 2018-02-21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603A KR101974152B1 (ko) 2018-02-21 2018-02-21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152B1 true KR101974152B1 (ko) 2019-04-30

Family

ID=6628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603A KR101974152B1 (ko) 2018-02-21 2018-02-21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1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2243A (ja) * 2007-11-13 2009-06-04 Ricoh Co Ltd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86349A (ja) * 2010-03-11 2011-09-22 Ricoh Co Ltd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7009792A (ja) * 2015-06-22 2017-01-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7187702A (ja) * 2016-04-08 2017-10-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2243A (ja) * 2007-11-13 2009-06-04 Ricoh Co Ltd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86349A (ja) * 2010-03-11 2011-09-22 Ricoh Co Ltd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7009792A (ja) * 2015-06-22 2017-01-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7187702A (ja) * 2016-04-08 2017-10-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0708B1 (en) Thermal printer
US77040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42976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US20080036141A1 (en) Paper feeding mechanism
TWI501881B (zh) 原稿壓合板開闔裝置及事務機器
JP4761464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7178667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KR101974152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해제 기구
JP2008257167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4417925B2 (ja) 反転装置
JP3245249B2 (ja) 定着装置
CN213987181U (zh) 一种显影盒
JP3238070B2 (ja) 印刷装置の給紙装置
TWI399334B (zh) 自動饋紙裝置
JP3549407B2 (ja) 定着装置の加圧力切換機構
US2019004989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first to third pivot members pivotally movable in interlocking relation to each other
JPH09106014A (ja) 原稿圧着板の取付装置
JP3066119B2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2922637B2 (ja) 現像装置
JP3097874U (ja) 定着装置およびそれを含む画像形成装置
KR100233118B1 (ko) 프린터의 봉투 가압장치
KR900010837Y1 (ko) 팩시밀리의 송신원고 분리장치
JP2585400Y2 (ja) 静電複写機の定着部加圧機構
KR101878439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JP6052373B2 (ja) シート給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