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962B1 -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962B1
KR101973962B1 KR1020180034874A KR20180034874A KR101973962B1 KR 101973962 B1 KR101973962 B1 KR 101973962B1 KR 1020180034874 A KR1020180034874 A KR 1020180034874A KR 20180034874 A KR20180034874 A KR 20180034874A KR 101973962 B1 KR101973962 B1 KR 101973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urface portion
fitting
fitting groov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덕
Original Assignee
백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덕 filed Critical 백종덕
Priority to KR1020180034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유 공간에 원하는 조합으로 설치할 수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책상이나 책꽂이 등의 수평 또는 수직 판재에 거치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거치부재의 상면부 또는 수직면부의 끼움홈부중 한 곳 이상에 수납 블록 부재의 끼움연결부를 끼워지게 결합하며 이 수납 블록 부재에도 다른 수납 블록 부재의 끼움연결부가 끼움홈부 중 한 곳이상에 끼워지게 결합하여 책상이나 책꽂이 등의 주변 공간에서 연장되는 수납 블록 부재를 다양한 형태로 수요자가 선택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omitted}
본 발명은 필요한 수납 공간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게한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도 각종 잡화나 문구류 및 공구 등을 수납하는 수단으로 각종 수납수단이 제공되어 있으나 이들 수납수단은 함 형태이거나 통 형태로 테이블 위에 놓아 두거나 판을 세워 거치하는 방식으로 정해진 공간과 구획에 따라 각종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수납수단 자체가 공간 활용에 장애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수납 수단을 블록화하여 공간 활용도가 우수한 곳을 선택하여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수납공간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납 수단을 조립할 수 있도록 블록화하여 공간 활용도가 우수한 곳을 수요자가 선택하고 필요로 하는 수납공간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한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한쪽 측벽 상부에 외측으로 ㄱ자 모양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이부, 상기 걸이부의 상부에서 상기 한쪽 측벽과 폭이 걸이부보다 좁은 상태로 연결되게 형성된 끼움연결부, 상기 한쪽 측벽을 제외한 나머지 측벽의 상부에 상기 끼움연결부가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 제 1 끼움홈부, 상기 제 1 끼움홈부의 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의 상단부가 놓여지는 제 1 안착홈부, 바닥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이부가 삽입되는 제 1 공간부가 사방으로 형성된 제 1 돌출부, 상기 제 1 공간부에 연결되어 상기 끼움연결부가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 제 2 끼움홈부, 상기 제 2 끼움홈부의 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의 상단부가 놓여지는 제 2 안착홈부, 상기 제 2 안착홈부 위치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가 끼워지는 제 2 공간부, 상기 제 2 공간부와 연결되어 상기 측벽의 상부를 향해 형성되어 상기 끼움연결부가 끼워지는 제 3 끼움홈부로 이루어진 통 형상의 수납 블록 부재; 상면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이부가 삽입되게 제 3 공간부가 사방으로 형성된 제 2 돌출부, 상기 제 3 공간부에 연결되어 상기 끼움연결부가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 제 4 끼움홈부, 상기 제 4 끼움홈부의 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의 상단부가 놓여지는 제 3 안착홈부, 상기 상면부와 평행한 저면부, 상기 상면부와 저면부의 한쪽을 연결하는 수직면부, 상기 수직면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이부가 삽입되게 제 4 공간부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 3 돌출부, 상기 제 4 공간부에 연결되어 상기 끼움연결부가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 제 5 끼움홈부, 상기 제 5 끼움홈부의 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의 상단부가 놓여지는 제 4 안착홈부로 이루어진 ㄷ자 모양의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의 저면부에 나사결합되어 가압판이 상기 상면부와 저면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본 발명은 책상이나 책꽂이 등의 수평 또는 수직 판재에 상기 조임부재를 이용하여 거치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거치부재의 상면부 또는 수직면부의 끼움홈부중 한 곳 이상에 상기 수납 블록 부재의 끼움연결부를 끼워지게 결합하며 이 수납 블록 부재에도 다른 수납 블록 부재의 끼움연결부가 끼움홈부 중 한 곳이상에 끼워지게 결합하여 책상이나 책꽂이 등에서 연장되는 수납 블록 부재를 다양한 형태로 수요자가 선택 조립할 수 있게 한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한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납 블록 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납 블록 부재의 바닥부를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거치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거치부재의 저면부를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 보인 거치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수납 블록 부재(10)와 거치부재(20), 상기 거치부재(20)에 설치된 잠금부재(30)로 구성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상기 수납 블록 부재(10)를 보인 도면으로써,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통 형상으로, 한쪽 측벽(110) 상부에 외측으로 ㄱ자 모양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이부(120), 상기 걸이부(120)의 상부에서 상기 한쪽 측벽(110)과 폭이 걸이부(120)보다 좁은 상태로 연결되게 형성된 끼움연결부(121), 상기 한쪽 측벽(110)을 제외한 나머지 측벽(130)의 상부에 상기 끼움연결부(121)가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 제 1 끼움홈부(131), 상기 제 1 끼움홈부(131)의 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120)의 상단부가 놓여지는 제 1 안착홈부(132), 바닥부(14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이부(120)가 삽입되는 제 1 공간부(141)가 사방으로 형성된 제 1 돌출부(142), 상기 제 1 공간부(141)에 연결되어 상기 끼움연결부(121)가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 제 2 끼움홈부(143), 상기 제 2 끼움홈부(143)의 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120)의 상단부가 놓여지는 제 2 안착홈부(144), 상기 제 2 안착홈부(144) 위치의 바닥부(140)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120)가 끼워지는 제 2 공간부(145), 상기 제 2 공간부(145)와 연결되어 상기 측벽(130)의 상부를 향해 형성되어 상기 끼움연결부(121)가 끼워지는 제 3 끼움홈부(133)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수납 블록 부재(10)는 끼움연결부(121)를 다른 수납 블록 부재의 끼움홈부(131)(143)중 한 곳에 끼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방향으로 필요한 갯수만큼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걸이부(120)는 측벽(110)의 한 곳 또는 두 곳 이상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걸이부(120)를 두 곳에 형성한 경우 한 개의 수납 블록 부재의 끼움연결부(121)를 두 개의 수납 블록 부재의 끼움홈부(131)(143)중 동일한 변에 형성된 곳에 각각 끼워지게 결합 함으로써 한 개의 수납 블록 부재에 두 개의 수납 블록 부재를 조립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안착홈부(144)의 높이를 일정한 두께를 갖는 걸이부(120) 두께의 두 배 이상으로 형성하면, 상기 제 2 끼움홈부(143)에 끼움연결부(121)를 끼워 한 개의 수납 블록 부재의 한쪽 측벽(110)이 다른 수납 블록 부재의 바닥부(140)에 포개지게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공간부(145)를 통해 또 다른 수납 블록 부재의 끼움연결부를 상기 제 3 끼움홈부(133)에 끼워지게 조립할 수 있다.
통 형상인 상기 수납 블록 부재(10)의 입구는 끼움연결부(121)가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위를 향하거나 사방을 향하게 된다.
상기 수납 블록 부재(10)의 내측면에는 격벽이 형성되거나 서랍 모양의 다양한 보조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걸림턱부(150)가 돌출 형성된다(도 6 참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거치부재(20)와 조임부재(30)를 보인 도면으로써, 상기 거치부재(20)는 상면부(21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이부(120)가 삽입되게 제 3 공간부(211)가 사방으로 형성된 제 2 돌출부(212), 상기 제 3 공간부(211)에 연결되어 상기 끼움연결부(121)가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 제 4 끼움홈부(213), 상기 제 4 끼움홈부(213)의 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120)의 상단부가 놓여지는 제 3 안착부(214), 상기 상면부(210)와 평행한 저면부(220), 상기 상면부(210)와 저면부(220)의 한쪽을 연결하는 수직면부(230), 상기 수직면부(23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이부(120)가 삽입되게 제 4 공간부(231)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 3 돌출부(232), 상기 제 4 공간부(231)가 연결되어 상기 끼움연결부(121)가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 제 5 끼움홈부(233), 상기 제 5 끼움홈부(233)의 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120)의 상단부가 놓여지는 제 4 안착부(234)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수직면부(230)에는 좌우 방향으로도 상기 제 4 공간부(231)과 제 3 돌출부(232), 제 5 끼움부(233)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거치부재(20)의 내면에는 ㄷ자 모양의 금속재 브라켓트(240)를 설치하여 다수의 수납 블록 부재(10)가 연결되어도 변형되지 않도록 강도를 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거치부재(20)의 상면부(210)와 저면부(220)의 한쪽에 상기 수직면부(230)가 상하부가 끼워지는 홈부(215)(221)을 각각 형성하여 높이가 다른 수직면부(230)를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거치부재(20)가 설치되는 책상이나 책꽂이 등의 수평 또는 수직 판재의 두께에 따라 상기 수직면부(230)의 높이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만으로 어느 곳에나 본 발명의 거치부재(2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거치부재(20)는 끼움연결부(121)을 끼움홈부(213)(233)중 한 곳에 끼워 상기 수납 블록 부재(10)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끼움홈부(213)(233)는 동일한 변에 한 곳 또는 두 곳 이상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끼움홈부(213)(233)이 동일한 변의 두 곳에 형성된 경우에는 두 개의 수납 블록 부재(10)의 끼움연결부(121)를 동일한 면의 끼움홈부(213)(233)을 선택하여 각각 끼워지게 결합하여 거치부재(20)의 한 변에 대해 두 개의 수납 블록 부재(10)를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제 3 끼움홈부(133)에 끼움연결부(121)이 끼워지게 조립된 수납 블록 부재(10)는 입구가 사방을 향하게 되고, 상기 제 4 끼움홈부(234)에 끼움연결부(121)가 끼워지게 조립된 수납 블록 부재는 입구가 위를 향하게 된다. 상기 제 4 끼움부(234)에 입구가 위를 향하는 수납 블록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끼움홈부(133)에 입구가 전방을 향하는 수납 블록 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 1~4 공간부(141)(145)(211)(231)은 끼움연결부(121)가 끼움홈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때 상기 걸이부(120)가 끼워지는 부분이고, 상기 수납 블록 부재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걸이부(120)의 상단부위는 제 1~4 안착홈부(132)(144)(214)(234)에 놓여지게 된다.
도 4는 조임부재(30)를 보인 도면으로써, 이것은 상기 거치부재(20)의 저면부(220)에 나사결합되어 가압판(310)이 상면부(210)와 저면부(220)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한 것으로 손잡이(320)을 돌려주면 상기 가압판(31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사무실 또는 작업장의 책상이나 책꽂이 등의 판재를 상기 거치부재(20)의 상면부(210)와 저면부(220)사이에 놓이도록 한 상태에서 조임부재(30)의 손잡이(320)를 돌려 가압판(310)이 상기 판재를 눌러주도록 함으로써 판재에 거치부재(20)를 설치한다.
상기 거치부재(20)를 구성하는 상면부(210)와 수직면부(230)의 제 2,3 돌출부(212)(232)에 형성된 끼움홈부중 한 곳 이상에 끼움연결부(121)를 삽입하여 수납 블록 부재(10)를 조립하고, 이 수납 블록 부재(10)에 다른 수납 블록 부재를 끼움연결부가 끼움홈부중 한 곳 이상에 삽입되게 원하는 방향으로 조립하면 판재 주변의 공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납 수단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본 발명은 수납 수단이 더 필요하게 된 경우에는 공간만 허락된다면 수납 블록 부재(10)를 더 연결하여 수납 수단을 손쉽게 확장할 수 있고 일부 수납 블록 부재(10)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수납 블록 부재(10)중 일부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블록 부재(10)는 책꽂이 옆에 남은 공간을 장식하는 인테리어 소품으로서도 각별한 역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 수납 블록 부재(10)의 내부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부(150)에 놓여지는 보조부재는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제 1 보조부재(410)는 하단부가 상기 걸림턱부(150)에 놓여지는 것으로 상면에는 다수의 통공(411)과 압정,단추와 같은 작은 물품이 넣어지는 오목한 부분(412)이 형성된 것이다.
제 2,3 보조부재(420)(430)는 격벽(421)이 형성되어 구획이 나뉘어진 것으로 상기 격벽(421)(431)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격벽(421)(431)에 의해 나뉘어지 공간은 바닥이 열려 있어 길이가 긴 물품을 보관하는데 적합한 수납 공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서랍 모양의 제 4 보조부재(440)는 양쪽에 가이드부(441)가 상기 걸림턱부(150)에 놓여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는 책상이나 책꽂이 등의 수평 또는 수직 판재에 거치부재(20)를 설치하고 상기 거치부재(20)의 상면부(210) 또는 수직면부(230)의 끼움홈부중 한 곳 이상에 상기 수납 블록 부재(10)의 끼움연결부(121)를 끼워지게 결합하며 이 수납 블록 부재(10)에도 다른 수납 블록 부재의 끼움연결부가 끼움홈부 중 한 곳이상에 끼워지게 결합하여 책상이나 책꽂이 등의 주변 공간에서 연장되는 수납 블록 부재를 다양한 형태로 수요자가 선택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여유 공간에 수납 수단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0 : 수납 블록 부재 20 : 거치부재
30 : 조임부재 40 : 보조부재
120 : 걸이부 121 : 끼움연결부
210 : 상면부 220 : 저면부
230 : 수직면부

Claims (5)

  1. 한쪽 측벽(110) 상부에 외측으로 ㄱ자 모양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이부(120), 상기 걸이부(120)의 상부에서 상기 한쪽 측벽(110)과 폭이 걸이부(120)보다 좁은 상태로 연결되게 형성된 끼움연결부(121), 상기 한쪽 측벽(110)을 제외한 나머지 측벽(130)의 상부에 상기 끼움연결부(121)가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 제 1 끼움홈부(131), 상기 제 1 끼움홈부(131)의 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120)의 상단부가 놓여지는 제 1 안착홈부(132), 바닥부(14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이부(120)가 삽입되는 제 1 공간부(141)가 사방으로 형성된 제 1 돌출부(142), 상기 제 1 공간부(141)에 연결되어 상기 끼움연결부(121)가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 제 2 끼움홈부(143), 상기 제 2 끼움홈부(143)의 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120)의 상단부가 놓여지는 제 2 안착홈부(144), 상기 제 2 안착홈부(144) 위치의 바닥부(140)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120)가 끼워지는 제 2 공간부(145), 상기 제 2 공간부(145)와 연결되어 상기 측벽(130)의 상부를 향해 형성되어 상기 끼움연결부(121)가 끼워지는 제 3 끼움홈부(133)로 이루어진 통 형상의 수납 블록 부재(10); 상면부(21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이부(120)가 삽입되게 제 3 공간부(211)가 사방으로 형성된 제 2 돌출부(212), 상기 제 3 공간부(211)에 연결되어 상기 끼움연결부(121)가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 제 4 끼움홈부(213), 상기 제 4 끼움홈부(213)의 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120)의 상단부가 놓여지는 제 3 안착부(214), 상기 상면부(210)와 평행한 저면부(220), 상기 상면부(210)와 저면부(220)의 한쪽을 연결하는 수직면부(230), 상기 수직면부(23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이부(120)가 삽입되게 제 4 공간부(231)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 3 돌출부(232), 상기 제 4 공간부(231)가 연결되어 상기 끼움연결부(121)가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 제 5 끼움홈부(233), 상기 제 5 끼움홈부(233)의 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120)의 상단부가 놓여지는 제 4 안착부(234)로 이루어진 ㄷ자 모양의 거치부재(20); 상기 거치부재(20)의 저면부(220)에 나사결합되어 가압판(310)이 상면부(210)와 저면부(220)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한 조임부재(30);를 포함하는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착홈부(144)의 높이를 일정한 두께를 갖는 걸이부(120) 두께의 두 배 이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 블록 부재(10)의 내측면에는 보조부재(40)를 설치하기 위한 걸림턱부(15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면부(230)에도 좌우 방향으로도 상기 제 4 공간부(231)과 제 3 돌출부(232), 제 5 끼움부(233)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면부(210)와 저면부(220)의 한쪽에 상기 수직면부(230)가 상하부가 끼워지는 홈부(215)(221)을 각각 형성하여 높이가 다른 수직면부(230)를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
KR1020180034874A 2018-03-27 2018-03-27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 KR101973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874A KR101973962B1 (ko) 2018-03-27 2018-03-27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874A KR101973962B1 (ko) 2018-03-27 2018-03-27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962B1 true KR101973962B1 (ko) 2019-04-30

Family

ID=6628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874A KR101973962B1 (ko) 2018-03-27 2018-03-27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9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780U (ko) * 2008-07-15 2010-01-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WO2011157851A1 (en) * 2010-06-18 2011-12-22 Thijs Elferink Container and system
JP2016199296A (ja) * 2015-04-13 2016-12-01 三甲株式会社 折畳み容器
US20170217634A1 (en) * 2016-02-02 2017-08-03 Friendship Products Llc Modular Interlocking Contain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780U (ko) * 2008-07-15 2010-01-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WO2011157851A1 (en) * 2010-06-18 2011-12-22 Thijs Elferink Container and system
JP2016199296A (ja) * 2015-04-13 2016-12-01 三甲株式会社 折畳み容器
US20170217634A1 (en) * 2016-02-02 2017-08-03 Friendship Products Llc Modular Interlocking Contain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7801B2 (en) Combined storage shelf
KR101826487B1 (ko) 플라스틱 구조물이 제공된 옷장을 구성하는 모듈식 장치
US6216397B1 (en) Modular partition
JP6182860B2 (ja) 配線機能付きテーブル
KR200447520Y1 (ko) 수납함
JP2006095094A (ja) 組合せ収納家具
KR101973962B1 (ko) 공간 확장형 수납 블록 어셈블리
KR102123337B1 (ko) 다용도 선반
JP4388508B2 (ja) 収納棚
JP6451502B2 (ja) 組立式収納庫
KR200491824Y1 (ko) 수납장용 랙 구조
KR200474324Y1 (ko) 수납장 조립 셋트
KR101393691B1 (ko) 철제 가구
JP3208174U (ja) ラック
JP2020074817A (ja) 什器
JP5336121B2 (ja) ワゴン装置、およびこのワゴン装置とデスク装置との組合せ家具
JP7360831B2 (ja) 天板付き什器
JP6422121B2 (ja) 棚板の装着構造
JP6501387B2 (ja) デスクトップパネル、デスクおよびデスクトップパネルの連結構造
JP4943252B2 (ja) デスク装置
JP7150471B2 (ja) 天板付き什器
KR20120028417A (ko) 수납공간용 구획부재 및 그 구획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구획용구
JP4525279B2 (ja) 机上棚
JP2003011977A (ja) 仕切装置
JP4568071B2 (ja) 家具等のコンセント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