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989B1 -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고분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고분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989B1
KR101972989B1 KR1020170119455A KR20170119455A KR101972989B1 KR 101972989 B1 KR101972989 B1 KR 101972989B1 KR 1020170119455 A KR1020170119455 A KR 1020170119455A KR 20170119455 A KR20170119455 A KR 20170119455A KR 101972989 B1 KR101972989 B1 KR 101972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se layer
color
color bas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674A (ko
Inventor
김정린
이선민
곽재민
이진형
문한식
Original Assignee
김정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린 filed Critical 김정린
Priority to KR102017011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9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치 보수용 필름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층; 그라비아 인쇄방법에 의해서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보수용 필름의 색상을 결정하는 컬러 베이스층; 및 상기 컬러 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안료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수지와 용제를 포함하는 투명 코팅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컬러 베이스층과 상기 투명 코팅층 사이에 형성되고, 운모를 잘게 쪼갠 후 코팅을 한 펄마이카 입자를 포함하는 펄 베이스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컬러 베이스층은 운모를 잘게 쪼갠 후 코팅을 한 펄마이카 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컬러 베이스층은 0.05 내지 0.1 밀리미터(mm)의 두께로 구성되며, 상기 투명코팅층은 0.05 밀리미러(mm)이하의 두께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과 접촉하여 상기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고분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OLYMER FILM USING GRAVURE PRIN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고분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장 및 코팅 형성된 차량이나 전자제품에 흠집이 발생시 스크래치를 보수함에 있어, 누구나 간편하면서도 신속한 보수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가져오는 등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식품 포장용 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고분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이나 차량의 경우 그 외관에는 도장 및 코팅 형성되어 외관상의 미려함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근자에 들어서는 산업기술의 발달로 인한 전자제품이나 자동차의 발달이 상당한 수준에 도달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러한 기술의 발달로 차량이나 전자제품이 고급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러한 차량이나 전자제품의 경우 내구 구성은 물론, 외관상으로도 그 미려함이 한층 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차량이나 전자제품의 경우 사용중 외부요인의 충돌 등으로 인해 도장면이 손상되는 스크래치가 발생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자제품의 경우 이러한 스크래치 등을 보수하기 위한 보수방법이 마땅히 준비되지 않아 사용자로 하여금 부득이 그대로 방치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경우에는 외부요인에 상당히 노출되어 있는 것인바, 본인의 부주의로 인한 경미한 접촉사고나 주차중 옆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 크고 작은 스크래치나 도장의 벗겨짐 등 흠집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러한 흠집이 발생시 수분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한 부식 등 2차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보수를 수행하여야 한다.
한편, 이러한 차량의 경우 그 흡집이 중한 경우 판금 등의 단계를 거쳐 다시 도장하여 보수하는 것이 대부분인 것으로, 이러한 보수방법은, 자동차의 흠집부분을 청결하게 하는 단계, 상기 흠집부분을 사포 등으로 연마하여 평탄화하는 단계, 주위에 서페이서를 도포하고 이를 부드럽게 연마하는 단계, 이물질과 왁스를 제거한 다음 원래의 도장 색과 동일한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 클리어를 도포하는 단계, 클리어와 블렌딩 시너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 블렌딩 시너를 도포하는 단계 및 건조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수방법은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특히 보험처리시 할증 적용으로 인한 보험료가 인상되는 등 2차적인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것인바, 비교적 중한 흠집의 경우 당연히 실시하여야 하지만, 비교적 경미한 흠집의 경우 이러한 시간과 비용을 지출하기에는 상당한 부담이 있었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교적 경미한 흠집의 경우 소비자가 직접 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단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터치펜 타입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터치펜을 이용한 보수는 미세한 흠집의 보수를 수행할 수는 있었으나, 터치 위치가 정교하지 못할경우 자칫 타 부분에 도료가 묻어나는 등 오히려 차량의 외관을 해치고, 특히 기존의 도장면과 표면이 고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수방법은, 그 터치펜의 도료가 최초 차량의 도료과 다른 성분으로 조성되어 있으면서도 도장의 열처리가 불가한 건인바, 기간이 경과시 그 도장 부분의 색상이 변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 문헌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00143호는 자동차용 보수용 페인트로서 현재 붓에 의한 터치업 방식과 펜 방식의 서로 개별적 방식을 한 개의 방식으로 합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0014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장 및 코팅 형성된 차량이나 전자제품에 흠집이 발생시 스크래치를 보수함에 있어, 누구나 간편하면서도 신속한 보수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가져오는 등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고분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필름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층; 그라비아 인쇄방법에 의해서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보수용 필름의 색상을 결정하는 컬러 베이스층; 및 상기 컬러 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안료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수지와 용제를 포함하는 투명 코팅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컬러 베이스층과 상기 투명 코팅층 사이에 형성되고, 운모를 잘게 쪼갠 후 코팅을 한 펄마이카 입자를 포함하는 펄 베이스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 베이스층은 운모를 잘게 쪼갠 후 코팅을 한 펄마이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 베이스층은 0.05 내지 0.1 밀리미터(mm)의 두께로 구성되며, 상기 투명코팅층은 0.05 밀리미러(mm)이하의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과 접촉하여 상기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 베이스층은 안료이외의 색을 표현하는 고형입자를 함유하지 않고, 도막을 형성하는 수지, 도막에 색상을 부여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안료 및 유동성을 부여하는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 베이스층은 도막을 형성하는 수지, 도막에 색상을 부여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안료, 유동성을 부여하는 용제, 기능을 보완하는 첨가제 및 빛을 반사하여 반짝이는 효과를 주는 메탈릭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탈릭 입자는 과산화알루미늄(Al2O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펄마이카 입자의 운모를 코팅한 코팅물질은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이산화티타늄, 이소프로필 알코올, 초산 에틸, 메틸 에틸 케톤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필름층과 상기 컬러 베이스층 사이에 형성되고, 철판의 부식을 막기 위하여 20 내지 30 마이크로미터(um) 두께의 도막을 형성하는 하도 도장층; 및 상기 하도 도장층과 상기 컬러 베이스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컬러 베이스층가 잘 형성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는 중도 도장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필름 제조방법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 그라비아 인쇄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상부에 보수용 필름의 색상을 결정하는 컬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 베이스층의 상부에 안료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수지와 용제를 포함하는 투명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컬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투명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컬러 베이스층 상부에 운모를 잘게 쪼갠 후 코팅을 한 펄마이카 입자를 포함하는 펄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필름 제조방법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 그라비아 인쇄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상부에 보수용 필름의 색상을 결정하는 컬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 베이스층의 상부에 안료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수지와 용제를 포함하는 투명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 베이스층은 운모를 잘게 쪼갠 후 코팅을 한 펄마이카 입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분자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 이후 상기 컬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고분자 필름층 상부에 철판의 부식을 막기 위하여 20 내지 30 마이크로 미터(um)두께의 도막을 형성하는 하도 도장층 형성단계; 및 상기 하도 도장층의 상부에 상기 컬러 베이스층이 잘 형성될 수 있도록 평탄하게 중도 도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하부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제층과 접촉하여 상기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이형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장 및 코팅 형성된 차량이나 전자제품에 흠집이 발생시 스크래치를 보수함에 있어, 누구나 간편하면서도 신속한 보수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가져오게 되어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식품 포장용 용기로서도 활용할 수 있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고분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방법이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치 보수용 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치 보수용 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100)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층(110); 그라비아 인쇄방법에 의해서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필름의 색상을 결정하는 컬러 베이스층(140); 및 상기 컬러 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안료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수지와 용제를 포함하는 투명 코팅층(160)을 포함한다.
고분자 필름층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phthalate) 중 어느 하나로 된 투명의 수지를 필름층으로 형성한 것이며, 이때 필름층의 두께는 최소 0.05mm 이하를 이루게 구성함이 가장 바람직한다.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소재는 열에 강한 소재로 주방용품에 많이 사용되고, 가공이 쉬워 다양한 제품군에 사용되며, 페트병의 주원료가 되기도 한다. 또한, 장시간 햇빛에 노출돼도 변색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비교적 안전한 소재로 아이들의 장난감에도 많이 사용된다.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소재는 밀도에 따라 고밀도, 저밀도, 중밀도, 초고밀도, 초저밀도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1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필름층은 고체상태에서의 밀도가 0.91 내지 0.94 g/cm³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층(LDPE, Low Density Polyethyle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층(LDPE, Low Density Polyethylene)은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합성수지로서 상온에서 투명한 고체(밀도가 0.91~0.94의 것임)로 결정화가 낮아 가공성과 유연성, 투명성이 우수해 농업용·포장용 투명필름, 전선피복, 각종 랩 등의 원료로 사용된다.
컬러 베이스층은 안료이외의 색을 표현하는 고형입자를 함유하지 않고, 도막을 형성하는 수지, 도막에 색상을 부여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안료 및 유동성을 부여하는 용제를 포함한다. 컬러 베이스층은 0.05 내지 0.1 밀리미터(mm)의 두께로 구성되며, 상기 투명코팅층은 0.05 밀리미러(mm)이하의 두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컬러 베이스층은 도막을 형성하는 수지, 도막에 색상을 부여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안료, 유동성을 부여하는 용제, 기능을 보완하는 첨가제 및 빛을 반사하여 반짝이는 효과를 주는 메탈릭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탈릭 입자는 과산화알루미늄(Al2O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1과 도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가지 실시예를 반영하고 있으며, 도1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름과 도2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필름의 차이는 펄마이카 입자가 포함되는 층의 종류가 다르다는 것이다.
도1과 같이 컬러 베이스층 상부에 별도의 펄베이스층을 형성하여, 여기에 펄마이카 입자를 포함하거나, 도2와 같이 컬러베이스층이 펄마이카 입자를 직접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펄마이카 입자는 천연진주의 발색원리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진주색을 발하게 만든 입자로서 운모를 잘게 쪼갠 후 코팅을 하여 제조하며, 운모코팅의 재료는 백색안료(TiO2)나 산화철(Fe2O3)등의 금속 산화물을 사용한다. 펄마이카의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펄마이카 입자 제조공정]
운모채취 - 미립화 - 전기성부여 - 안료코팅 - 여과 - 다른 안료코팅
본 발명에 의한 고분자 필름에 사용되는 펄마이카 입자의 운모를 코팅한 코팅물질은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이산화티타늄, 이소프로필 알코올, 초산 에틸, 메틸 에틸 케톤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접착제층(170); 및 상기 접착제층과 접촉하여 상기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이형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은 본 발명의 고분자 필름을 가전이나 자동차의 흠집부분에 접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이형지층은 접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코팅종이 등으로 구성되어 접착제층을 포함한 전체 필름층을 커버하여 마감하며,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경우에는 접착제층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분자 필름층과 상기 컬러 베이스층 사이에 형성되고, 철판의 부식을 막기 위하여 20 내지 30 마이크로미터(um) 두께의 도막을 형성하는 하도 도장층; 및 상기 하도 도장층과 상기 컬러 베이스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컬러 베이스층가 잘 형성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는 중도 도장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치 고분자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치 고분자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필름 제조방법은 도3과 같이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층을 준비하고, 그라비아 인쇄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상부에 고분자 필름의 색상을 결정하는 컬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이후, 상기 컬러 베이스층의 상부에 안료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수지와 용제를 포함하는 투명 코팅층을 형성한다. 도3은 도1의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컬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투명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컬러 베이스층 상부에 운모를 잘게 쪼갠 후 코팅을 한 펄마이카 입자를 포함하는 펄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필름은 가전 및 자동차에 발생한 스크래치를 보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식품 포장용 용기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그라비아 인쇄방법을 통하여 모양이 인쇄된 고분자 필름층에 펄마이카 입자층과 투명코팅층을 포함하여 잘 찢어지지 않으면서 인체에도 무해한 식품 포장용 용기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필름 제조방법은 도4와 같이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 그라비아 인쇄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상부에 고분자 필름의 색상을 결정하는 컬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 베이스층의 상부에 안료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수지와 용제를 포함하는 투명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 베이스층은 운모를 잘게 쪼갠 후 코팅을 한 펄마이카 입자를 포함한다. 도4는 도2의 스크래치 보수용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하 공정은 도3과 도4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공통적인 부분인 바, 같이 설명한다.
상기 고분자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 이후 상기 컬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고분자 필름층 상부에 철판의 부식을 막기 위하여 20 내지 30 마이크로 미터(um)두께의 도막을 형성하는 하도 도장층 형성단계; 및 상기 하도 도장층의 상부에 상기 컬러 베이스층이 잘 형성될 수 있도록 평탄하게 중도 도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하부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제층과 접촉하여 상기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이형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방법이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도5의 그라비아 인쇄판을 단면으로 보았을 때의 모습이며, 각 공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번 공정은 오목하게 조각된 동판 표면을 나타낸 것이며, 2번 공정은 이러한 동판 표면에 잉크를 도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후, 3번 공정에서와 같이 나이프로 동판 표면의 잉크를 제거하여, 4번 공정에서와 같이 동판의 오목한 홈부분에만 잉크가 전이되게 된다.
이후 5번 공정과 같이 도5의 압통롤러를 이용하여 필름과 동판을 압착시키고 6번 공정에서 최종적으로 필름에 잉크를 전이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그라비아 인쇄방법을 고분자 필름층에 컬러 베이스층을 형성할 때 사용한다. 기존에는 자동차 및 가전제품 스크래치 보수용 필름이라는 개념이 없었으며, 여기에 컬러베이스층을 형성한 구조는 당연히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렇게 새로운 개념의 스크래치 보수용 필름을 제작하면서 컬러 베이스층을 그라비아 인쇄방법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것을 실험결과 알아내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고분자 필름
110 : 고분자 필름층
120 : 하도 도장층
130 : 상도 도장층
140 : 컬러베이스층
150 : 펄베이스층
151 : 펄마이카 입자
160 : 투명코팅층
170 : 접착제층
180 : 이형지층

Claims (22)

  1.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층;
    그라비아 인쇄방법에 의해서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보수용 필름의 색상을 결정하는 컬러 베이스층; 및
    상기 컬러 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안료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수지와 용제를 포함하는 투명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 베이스층과 상기 투명 코팅층 사이에 형성되고, 운모를 잘게 쪼갠 후 코팅을 한 펄마이카 입자를 포함하는 펄 베이스층을 더 포함하거나 상기 컬러 베이스층에 운모를 잘게 쪼갠 후 코팅을 한 펄마이카 입자를 포함시키고,
    상기 컬러 베이스층은 0.05 내지 0.1 밀리미터(mm)의 두께로 구성되며,
    상기 투명코팅층은 0.05 밀리미러(mm)이하의 두께로 구성되고,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과 접촉하여 상기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이형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컬러 베이스층은
    안료이외의 색을 표현하는 고형입자를 함유하지 않고,
    도막을 형성하는 수지, 도막에 색상을 부여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안료 및 유동성을 부여하는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 베이스층은
    도막을 형성하는 수지, 도막에 색상을 부여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안료, 유동성을 부여하는 용제, 기능을 보완하는 첨가제 및 빛을 반사하여 반짝이는 효과를 주는 메탈릭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탈릭 입자는 과산화알루미늄(Al2O3)을 포함하고,
    상기 펄마이카 입자의 운모를 코팅한 코팅물질은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이산화티타늄, 이소프로필 알코올, 초산 에틸, 메틸 에틸 케톤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필름층과 상기 컬러 베이스층 사이에 형성되고,
    철판의 부식을 막기 위하여 20 내지 30 마이크로미터(um) 두께의 도막을 형성하는 하도 도장층; 및
    상기 하도 도장층과 상기 컬러 베이스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컬러 베이스층가 잘 형성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는 중도 도장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치 보수용 필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
    그라비아 인쇄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상부에 보수용 필름의 색상을 결정하는 컬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 베이스층의 상부에 안료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수지와 용제를 포함하는 투명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투명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컬러 베이스층 상부에 운모를 잘게 쪼갠 후 코팅을 한 펄마이카 입자를 포함하는 펄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컬러 베이스층에 운모를 잘게 쪼갠 후 코팅을 한 펄마이카 입자를 포함시키고,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
    그라비아 인쇄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상부에 보수용 필름의 색상을 결정하는 컬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 베이스층의 상부에 안료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수지와 용제를 포함하는 투명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 이후 상기 컬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고분자 필름층 상부에 철판의 부식을 막기 위하여 20 내지 30 마이크로 미터(um)두께의 도막을 형성하는 하도 도장층 형성단계; 및
    상기 하도 도장층의 상부에 상기 컬러 베이스층이 잘 형성될 수 있도록 평탄하게 중도 도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하부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제층과 접촉하여 상기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이형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치 보수용 필름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층;
    그라비아 인쇄방법에 의해서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보수용 필름의 색상을 결정하는 컬러 베이스층; 및
    상기 컬러 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안료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수지와 용제를 포함하는 투명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 베이스층과 상기 투명 코팅층 사이에 형성되고,
    운모를 잘게 쪼갠 후 코팅을 한 펄마이카 입자를 포함하는 펄 베이스층을 더 포함하거나 상기 컬러 베이스층에 운모를 잘게 쪼갠 후 코팅을 한 펄마이카 입자를 포함시키고,
    상기 컬러 베이스층은 0.05 내지 0.1 밀리미터(mm)의 두께로 구성되며,
    상기 투명코팅층은 0.05 밀리미러(mm)이하의 두께로 구성되고,
    상기 고분자 필름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과 접촉하여 상기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이형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컬러 베이스층은
    안료이외의 색을 표현하는 고형입자를 함유하지 않고,
    도막을 형성하는 수지, 도막에 색상을 부여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안료 및 유동성을 부여하는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 베이스층은
    도막을 형성하는 수지, 도막에 색상을 부여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안료, 유동성을 부여하는 용제, 기능을 보완하는 첨가제 및 빛을 반사하여 반짝이는 효과를 주는 메탈릭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탈릭 입자는 과산화알루미늄(Al2O3)을 포함하며,
    상기 펄마이카 입자의 운모를 코팅한 코팅물질은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이산화티타늄, 이소프로필 알코올, 초산 에틸, 메틸 에틸 케톤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고분자 필름.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70119455A 2017-09-18 2017-09-18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고분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2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455A KR101972989B1 (ko) 2017-09-18 2017-09-18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고분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455A KR101972989B1 (ko) 2017-09-18 2017-09-18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고분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674A KR20190032674A (ko) 2019-03-28
KR101972989B1 true KR101972989B1 (ko) 2019-04-29

Family

ID=6590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455A KR101972989B1 (ko) 2017-09-18 2017-09-18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고분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9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0441A (ja) * 1998-12-25 2000-07-11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材
JP2000343649A (ja) 1999-06-02 2000-12-12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102A (ja) * 1995-08-09 1997-02-18 Sumitomo Bakelite Co Ltd 意匠性複合鏡面シート
KR200200143Y1 (ko) 2000-03-31 2000-10-16 유상춘 자동차 보수용 페인트 터치 업 펜
JP2007048102A (ja) * 2005-08-11 2007-02-22 Hitachi Ltd 車室内の音警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0441A (ja) * 1998-12-25 2000-07-11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材
JP2000343649A (ja) 1999-06-02 2000-12-12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674A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7068B1 (en) Decorative plate formed on lid of compact cas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2694286B1 (en) Panel with anti-fingerprint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7515701A (ja) 3次元パターンを非繊維基材上に印刷及び固定するためのプロセス、並びに3次元パターンを有する非繊維基材を含む物品
EP0842989A3 (en) Pigment compositions and effect coatings
JP4972600B2 (ja) フィルム貼着金属缶及びその製造方法
CN205705588U (zh) 具有纹路装饰的非平面钢化玻璃
JP2017200764A (ja) 鏡面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72989B1 (ko)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고분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5285996B2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92960B1 (ko) 차량 및 가전제품 스크래치 보수 스티커 및 그 보수 스티커 제조방법
JP2010089399A (ja) 加飾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628516B2 (ja) 模様付成形品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模様付成形品
JP6799849B2 (ja) 濃淡重なり模様付成形品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濃淡重なり模様付成形品
JP7390190B2 (ja) 缶蓋用多層仕上げ
CN209505133U (zh) 窗花用膜
JP6857382B2 (ja) 切欠き模様付成形品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切欠き模様付成形品
JP2003200521A (ja) フィルム貼着金属缶
CN110201865A (zh) 表面油漆自我修复的汽车内饰件的制作工艺
JP7153382B1 (ja) 容器の製造方法
JP2831733B2 (ja) 塗膜転写シート
TW201518076A (zh) 表面具裝飾膜層之金屬基材
CN204473420U (zh) 一种晶纹铁罐
JP2003201445A (ja) ホログラム性メタリック塗料
JP2009057081A (ja) 光輝性金属缶
JP2003225611A (ja) 塗膜の補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