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137B1 -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137B1
KR101970137B1 KR1020170067482A KR20170067482A KR101970137B1 KR 101970137 B1 KR101970137 B1 KR 101970137B1 KR 1020170067482 A KR1020170067482 A KR 1020170067482A KR 20170067482 A KR20170067482 A KR 20170067482A KR 101970137 B1 KR101970137 B1 KR 101970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water supply
supply pipe
toilet
sanitar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801A (ko
Inventor
사토시 카와다
마사유키 모치타
타케시 야마카와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3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03D9/085Hand-held spray heads for bidet use or for clean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8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ushin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7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ushing 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과제) 의장성, 시공성을 높이는 것.
(해결수단)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는 케이싱과, 급수관과, 오목부를 구비한다. 급수관은 케이싱에 접속된다. 오목부는 케이싱의 좌우 중 어느 하나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케이싱의 하면에 있어서 급수관이 처리 가능한 개방 공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SANITARY WASHING DEVICE AND TOILET DEVICE}
개시의 실시형태는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변기의 상면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변기시트에 앉은 사람의 국부의 세정을 행하는 위생 세정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급수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예를 들면, 변기의 내부공간에 급수관을 숨겨서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때문에, 변기의 상면에는 변기의 내부공간으로 급수관을 도입하기 위해서 급수관이 삽입통과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4-18999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4-147445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변기의 관통구멍은 사양이 다르면 여러가지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가 있는 점에서, 관통구멍의 위치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급수관이 외부에 노출되어 버려, 의장적으로 보기에 좋지 않게 되고, 시공이 곤란해진다는 일이 있다. 즉, 종래의 위생 세정 장치는 의장성, 시공성을 높이는 점에 대해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실시형태의 일형태는 의장성,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일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접속되는 급수관과, 상기 케이싱의 좌우 중 어느 하나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하면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이 처리 가능한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급수관이 개방 공간 내에 임의로 배치 가능해지므로, 개방 공간에 있어서 급수관을 임의의 방향으로 인출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급수관을 개방 공간 내의 임의의 방향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급수관을 케이싱의 측면에 노출시키지 않고 케이싱의 배면에 있어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생 세정 장치를 변기에 설치하는 경우, 급수관을 변기 내에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져 의장성이 높아진다. 또한, 급수관의 처리도 용이하기 때문에,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상기 급수관은 상기 케이싱에 대해서 상기 하면의 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급수관을 회전시킴으로써 개방 공간 내에 있어서의 급수관의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위생 세정 장치를 변기에 설치할 경우, 급수관을 삽입통과시키기 위해서 변기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에 대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관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관통구멍에 삽입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 작업이 용이해져서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급수관은 케이싱의 외측에도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변기에 관통구멍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설치 작업이 용이해져서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상기 케이싱의 상기 하면 상에 있어서 접속되는 전원 코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 코드는 상기 개방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원 코드가 개방 공간 내에 배치되므로, 개방 공간에 있어서 전원 코드를 임의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전원 코드의 시공성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원 코드를 관통구멍에 삽입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코드를 숨길 수 있다. 또한, 전원 코드를 외부에 보이게 하지 않음으로써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상기 급수관의 접속 위치가 상기 전원 코드의 접속 위치보다 하방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급수관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에, 급수관이 회전해도 전원 코드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상기 케이싱은 상기 개방 공간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의 상기 케이싱의 전방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급수관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설치 작업을 행함으로써 설치 작업이 용이해져서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상기 케이싱은 변기의 상면에 설치된 부착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변기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상면 위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상기 부착 플레이트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케이싱의 슬라이드 이동량과 동등한 전후 방향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케이싱의 오목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케이싱을 부착하기 위한 슬라이드 이동량과 동등한 길이로 함으로써 케이싱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오목부를 소정의 위치(예를 들면, 관통구멍을 개방 공간 내에 포함하는 위치)에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즉, 케이싱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케이싱의 확실한 착탈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상기 케이싱에 부착되고, 적어도 상기 케이싱의 측면의 일부를 덮는 화장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장 커버는 상기 케이싱의 측면을 덮는 부분이 상기 개방 공간의 개방부를 덮도록 하방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방 공간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숨길 수 있다. 예를 들면, 급수관이나 전원 코드가 개방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이들을 숨길 수 있다. 또한, 급수관이나 전원 코드를 외부에 보이게 하지 않음으로써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일형태에 따른 변기 장치는 상기 위생 세정 장치와, 상기 위생 세정 장치가 설치되는 변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 급수관이나 전원 코드 등이 개방 공간과 변기 상면 사이에 배치되므로, 개방 공간에 있어서 급수관이나 전원 코드 등의 처리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변기 장치에서는 상기 변기는 상기 급수관 및, 상기 케이싱의 상기 하면 상에 있어서 접속되는 전원 코드 중 적어도 한쪽이 삽입통과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급수관이나 전원 코드를 관통구멍에 삽입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관이나 전원 코드를 숨길 수 있다. 또한, 급수관이나 전원 코드를 외부에 보이게 하지 않음으로써 의장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실시형태의 일형태에 의하면, 의장성,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변기 장치의 개략 사시도(그 1)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변기 장치의 개략 사시도(그 2)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a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개략 측면도(그 1)이다.
도 4b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개략 측면도(그 2)이다.
도 5는 케이싱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 6a는 급수관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6b는 급수관의 다른 예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변기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8은 급수관 및 전원 코드의 배색 설명도이다.
도 9a는 급수관 및 전원 코드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그 1)이다.
도 9b는 급수관 및 전원 코드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그 2)이다.
도 10a는 급수관의 회전 규제부의 다른 예(그 1)의 설명도이다.
도 10b는 급수관의 회전 규제부의 다른 예(그 2)의 설명도이다.
도 11a는 개방 공간의 다른 예(그 1)의 설명도이다.
도 11b는 개방 공간의 다른 예(그 2)의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원이 개시하는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변기 장치>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실시형태에 따른 변기 장치(1)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변기 장치(1)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 중, 도 2에는 위생 세정 장치(10)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연직 상향을 정방향으로 하는 Z축을 포함하는 3차원의 직교 좌표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직교 좌표계는 다른 도면에 있어서도 도시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직교 좌표계는 Y축의 정방향에서 보는 것을 정면이라고 규정하고, X축의 정방향에서 보는 것을 좌측면, X축의 부방향에서 보는 것을 우측면, Z축의 부방향에서 보는 것을 평면(「상면」이라고도 한다)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X축 방향을 좌우 방향, Y축 방향을 전후 방향,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변기 장치(1)는 변기부(2)와, 변기덮개부(3)와, 위생 세정 장치(10)를 구비한다. 또, 변기부(2)는 도시와 같은 바닥 설치식에 한정되지 않고, 벽걸이식이어도 좋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변기 장치(1)는 변기부(2)의 후방부에 세정수를 저류하는 세정수 탱크(도시생략)가 설치되지만, 변기부(2)의 후방부에 세정수 탱크가 설치되지 않는 소위 탱크리스식이어도 좋다.
또한, 변기부(2)는 변기본체(이하, 「변기」라고 한다)(2a)의 상면에 설치되고, 오물을 받는 볼(2b)(도 2 참조)을 갖는다. 또, 변기부(2)는 세정수를 볼(2b)에 도입하기 위한 도수로, 볼(2b)의 하부에 입구가 접속되고, 볼(2b) 내의 오물을 배수관로로 배출하는 트랩 관로 등을 더 갖는다. 또, 변기(2a)는 예를 들면 도기제이다.
또한, 변기 장치(1)는 예를 들면, 사이펀 작용을 이용해서 볼(2b) 내의 오물을 끌어들여서 트랩 관로로부터 배출하는 소위 사이펀식이다. 또, 변기 장치(1)는 사이펀식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볼(2b) 내의 세정수의 낙차에 의한 유수작용으로 오물을 씻어내는 소위 세락식이어도 좋다.
또한, 변기(2a)는 내부공간을 갖는다. 예를 들면, 변기(2a)의 후반부에 커버(2c)가 부착됨으로써 변기(2a)와 커버(2c) 사이에, 변기(2a)의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변기(2a)의 내부공간에는 위생 세정 장치(10)의 접속부품(13)(도 2 참조)이 수납된다.
변기덮개부(3)는 변기부(2)의 상방에 부착된다. 변기덮개부(3)는 변기덮개(3a)와, 변기시트(도시생략)를 구비한다. 변기덮개부(3)는 변기덮개(3a)나 변기시트 상하 방향의 회동 단부가 되는 후방 단부가 위생 세정 장치(10)에 부착된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10)는 변기(2a)의 상면에 설치된다. 즉, 위생 세정 장치(10)는 변기부(2)와 변기덮개부(3) 사이에 설치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위생 세정 장치(10)는 변기(2a)의 상면 후방부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변기시트에 앉은 사람의 국부를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해서 변기시트에 앉은 사람의 국부를 세정한다. 위생 세정 장치(10)에서는 케이싱(11)(도 3 참조)의 내부에 형성된 기능부(도시생략)의 접속부품(13)이 케이싱(11)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서 설치된다. 즉, 접속부품(13)은 케이싱(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접속부품(13)으로서는 예를 들면, 급수원(도시생략)과 접속되는 급수관(13a)이나, 전원(도시생략)과 접속되는 전원 코드(13b)가 있다. 또한, 접속부품(13)으로서는 변기 세정 플러그(13c)(도 4a 참조)가 접속되는 변기 세정 잭(13d)(도 4b 참조)이 있다.
즉, 접속부품(13)은 급수관(13a), 전원 코드(13b), 변기 세정 잭(13d)을 포함한다. 또, 접속부품(13)에 변기 세정 플러그(13c)를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변기 세정 플러그(13c)는 플러그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코드 부분을 포함한다.
또, 변기 세정 플러그(13c)는 예를 들면, 세정수 탱크의 외측부에 설치되어 변기(2a) 세정시에 조작되는 회동 레버를 리모컨으로부터의 조작으로 행하는 경우에, 회동 레버를 구동하는 모터와 위생 세정 장치(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위생 세정 장치(1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10)는 변기(2a)에 설치되는 경우에 접속부품(13)이 사용자의 시계에 들어오지 않도록, 즉, 접속부품(13)이 변기 장치(1)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급수 급전 은폐로 설치된다.
위생 세정 장치(10)는 변기(2a)의 상면 후방부에 설치되는 경우에, 접속부품(13)이 변기(2a)의 상면 후방부에 있어서의 좌우 중 어느 일측부(도시의 예에서는 좌측부)에 형성된 관통구멍(2d)에 삽입통과되고, 관통구멍(2d)을 통해 변기(2a)의 내부공간에 수납된다. 변기(2a)의 내부공간에 수납된 접속부품(13)은 변기 장치(1)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화장실의 벽(5)을 관통해서 벽(5) 내에 형성된 급수원이나 전원과 접속된다.
이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는 급수 급전 은폐로 바람직하게 설치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위생 세정 장치(10)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3 이후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듯이, 위생 세정 장치(10)는 변기(2a)에 대해서 부착 플레이트(4)를 통해 부착된다.
부착 플레이트(4)는 변기(2a)의 상면 후방부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변기(2a)의 상면과 케이싱(11)(케이스 플레이트(11b)) 사이에 있어서 케이싱(11)을 고정한다. 부착 플레이트(4)는 상면 상에 있어서 케이싱(11)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케이싱(11)이 착탈된다.
부착 플레이트(4)는 케이싱(11)을 소정량만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케이싱(11)이 부착된다. 또한, 부착 플레이트(4)는 케이싱(11)을 소정량만큼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케이싱(11)이 분리된다. 이렇게, 부착 플레이트(4)는 위생 세정 장치(10)를 고정하고, 위생 세정 장치(10)를 통해 변기부(2)와 변기덮개부(3)를 연결한다.
<위생 세정 장치>
다음에 도 3∼도 5를 참조해서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0)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케이싱(11)의 개략 저면도이다.
또, 도 4a 및 도 4b는 위생 세정 장치(10)의 좌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a에는 케이스 커버(11a)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에는 케이스 커버(11a)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위생 세정 장치(10)는 케이싱(11)과, 기능부(도시생략)와, 기능부에 있어서의 접속부품(13)(도 2 참조)인, 예를 들면 급수관(13a)을 구비한다. 케이싱(11)은 케이싱(11) 상부인 케이스 커버(11a)와, 케이싱(11) 저부인 케이스 플레이트(11b)를 구비한다. 기능부는 케이싱(11)에 수납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능부는 케이스 플레이트(11b)에 적재되고, 케이스 커버(11a)에 의해 상방이 덮여진다.
기능부는 급수, 급전 기능에 제공하는 장치 외에, 예를 들면, 변기시트에 앉은 사람의 국부를 세정하는 위생 세정 노즐이나, 볼(2b)(도 2 참조) 내의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 장치 등을 갖는다. 또, 기능부는 케이스 플레이트(11b) 상의 일면에 배치된다. 또한, 기능부는 외부접속용의 접속부품(13)(도 2 참조)을 갖는다.
접속부품(13)은 상기한 바와 같이, 급수관(13a)과, 전원 코드(13b)와, 변기 세정 플러그(13c)와, 변기 세정 잭(13d)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변기(2a)의 관통구멍(2d)(도 2 참조)은 예를 들면, 변기(2a)의 상면 후방부에 있어서의 좌측부에 형성된다. 이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접속부품(13), 즉, 급수관(13a), 전원 코드(13b), 변기 세정 플러그(13c) 및 변기 세정 잭(13d)은 케이싱(11)(케이스 플레이트(11b))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좌측에 집중해서 배치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급수 급전 은폐로 설치할 경우에, 급수관(13a)이나 전원 코드(13b)를 숨기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급수관(13a)이나 전원 코드(13b)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의장적으로 보기 좋아진다. 이에 따라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케이싱(11)은 변기(2a)(도 2 참조)의 상면에 적재된다. 케이싱(11)에는 급수관(13a)이나 전원 코드(13b)가 배치되는 부위, 즉, 케이싱(11)의 후방 단부이며 또한, 좌방 단부에 있어서 급수관(13a)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화장 커버(14)가 부착된다. 화장 커버(14)는 케이싱(11)의 적어도 측면을 덮는다. 또, 화장 커버(14)에 덮여지는 부분에는 케이싱(11)에 있어서의 내부와 외부를 가로막으면서 변기 세정 잭(13d) 등에 대해서 액세스 가능하게 노치나 구멍이 형성된다.
이렇게, 케이싱(11)의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을 화장 커버(14)로 숨김으로써 의장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화장 커버(14)를, 예를 들면, 케이싱(11)이나 변기부(2)(변기(2a)) 등의 색과 같은 색으로 하면, 의장성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 또, 화장 커버(14)는 예를 들면 수지제이다.
또한, 화장 커버(14)는 적어도 케이싱(11)의 측면에 배치되는 부분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1)은 급수관(13a)이나 전원 코드(13b)가 배치되는 부위, 즉, 케이싱(11)의 하면(「저면」이라고도 한다)에 있어서의 후방 단부이며 또한, 좌방 단부에 오목부(12)가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오목부(12)는 케이싱(11)의 좌우 중 어느 하나의 외주측에 배치된다. 오목부(12)는 케이싱(11)의 하면에 있어서 다른 부위와는 단차를 갖도록 카운터보링형상으로 형성된 부위이다.
오목부(12)는 케이싱(11)이 변기(2a)에 부착된 상태에서 케이싱(11)의 예를 들면 측면(예를 들면 좌측면)의 종단부로부터 배면의 시단부가 개방된 개방 공간(20)을 형성한다. 즉, 개방 공간(20)은 변기(2a)의 상면과 케이싱(11)(오목부(12))의 하면과, 오목부(12)의 측벽면으로 형성된다. 오목부(12) 및 개방 공간(20)에 대해서는 도 4a, 도 4b 및 도 5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듯이, 위생 세정 장치(10)에서는 케이싱(11)(케이스 플레이트(11b)라고도 한다)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12)(케이싱(11)이 변기(2a)에 설치된 경우에는 개방 공간(20)) 내에 급수관(13a), 전원 코드(13b), 변기 세정 플러그(13c) 및 변기 세정 잭(13d)이 배치된다. 또, 오목부(12)의 내부는 케이싱(11)에 화장 커버(14)가 부착됨으로써 외부로부터는 보이지 않는다.
또한, 급수관(13a)은 케이싱(11)의 하면, 바꿔 말하면, 케이싱(11)이 변기(2a)(도 2 참조)에 설치되는 경우에 변기(2a)의 상면과 대향하는 면의 면 위에 있어서 일단측이 급수구(도시생략)에 접속된다. 또한, 급수관(13a)의 타단측은 급수원에 접속된다. 또한, 급수관(13a)은 케이싱(11)의 하면에 대해서 하면의 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다.
도 5에 나타내듯이, 오목부(12)는 케이싱(11)의 하면에 형성된다. 또한, 오목부(1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급수관(13a)이 배치되고, 케이싱(11)이 변기(2a)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개방 공간(20)을 형성한다. 개방 공간(20) 내에는 급수관(13a)이나 전원 코드(13b) 등이 처리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개방 공간(20) 내에는 변기(2a)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구멍(2d)(도 2 참조)이 배치된다.
이렇게,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0)에 의하면, 급수관(13a)이 개방 공간(20) 내에 임의로 배치 가능해지므로, 개방 공간(20)에 있어서 급수관(13a)을 임의의 방향으로 인출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급수관(13a)을 개방 공간(20) 내의 임의의 방향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급수관(13a)을 케이싱(11)의 측면에 노출시키지 않고 케이싱(11)의 배면에 있어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개방 공간(20)에 있어서 급수관(13a)을 회전시킴으로써 개방 공간(20) 내에 있어서의 급수관(13a)의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변기(2a)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멍(2d)에 대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관(13a)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관통구멍(2d)에 삽입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변기(2a)에 대한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급수관(13a)은 케이싱(11)의 외측에도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변기(2a)에 관통구멍(2d)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설치 작업이 용이해져서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오목부(1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원 코드(13b)가 배치된다. 즉, 전원 코드(13b)는 케이싱(11)이 변기(2a)(도 2 참조)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는 개방 공간(20) 내에 배치된다.
이렇게,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0)에 의하면, 전원 코드(13b)가 개방 공간(20) 내에 배치되므로, 개방 공간에 있어서 전원 코드(13b)를 임의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전원 코드(13b)의 시공성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원 코드(13b)를 관통구멍(2d)에 삽입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코드(13b)를 숨길 수 있다. 또한, 전원 코드(13b)를 외부에 보이게 하지 않음으로써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개방 공간(20)은 케이싱(11)의 측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서 개방된 부분(이하, 「개방부」라고 한다)을 갖는다. 개방 공간(20)의 개방부는 하방으로 연신되어 있는 화장 커버(14)로 덮여진다.
이렇게,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0)에 의하면, 화장 커버(14)에 의해 개방 공간(2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숨길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 공간(20) 내에 배치되는 급수관(13a)나 전원 코드(13b) 등을 숨길 수 있다. 또한, 급수관(13a)이나 전원 코드(13b) 등을 외부에 보이게 하지 않음으로써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듯이, 급수관(13a)은 급수구에 접속되는 일단부를 회전지점으로 해서 케이싱(11)의 하면의 면 방향으로 회전한다. 케이싱(11)은 오목부(12)에 급수관(13a)을 접촉시켜서 급수관(13a)의 전방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21)를 구비한다. 또, 회전 규제부(21)는 급수관(13a)을 오목부(12)에 수납하는 위치에서 급수관(13a)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급수관(13a)은 회전 규제부(21)에 의해 소정의 회전각도(α)가 되도록 회전이 규제된다. 또한, 급수관(13a)은 회전 규제부(21)에 의해, 오목부(12)에 수납되도록 소정 위치에 유지된다.
이렇게,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0)에 의하면, 예를 들면, 회전 규제부(21)에 의해 급수관(13a)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설치 작업을 행함으로써 급수관(13a)의 회전이 설치 작업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부착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에서 설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도 유효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해서 급수관(13a)(및 급수관(130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는 급수관(13a)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6b는 급수관의 다른 예(급수관(130a))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6a에 나타내듯이, 급수관(13a)은 급수구에 접속되어 세정수를 케이싱(11)(도 5 참조)의 내부에 유입시키는 급수구측 단부(131)와, 급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급수관(플렉시블 호스)과 접속되는 급수원측 단부(132)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결부(133)와, 연직방향으로 연직되는 제 2 연결부(134)를 구비한다.
즉, 급수관(13a)은 크랭크형상으로 형성되고, 2개의 대략 직각의 굴곡부를 갖는다. 급수관(13a)에서는 급수원측 단부(132)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가 연직 방향의 제 2 연결부(134)의 유로(135b)를 흐른 후에 수평 방향의 제 1 연결부(133)의 유로(135a)를 흐르고, 급수구측 단부(131)의 유로를 흘러서 세정수가 급수구에 공급된다. 또, 급수관(13a)은 예를 들면 금속제이다.
또한, 급수관(13a) 대신에, 도 6b에 나타내듯이, 1개의 대략 직각의 굴곡부를 갖는 소위 엘보우 타입의 급수관(130a)을 사용해도 좋다. 즉, 위생 세정 장치(10)에 사용하는 급수관은 적어도 1개의 굴곡부를 갖는 것이면 좋다. 급수관(130a)은 관통구멍(2d)으로 빠트려 넣는 크랭크 타입의 급수관(13a)과는 달리 개방 공간(20)의 개방부로부터 케이싱(11)의 측방으로 인출하는 것이다. 또, 급수관(130a)은 급수구에 접속되어 세정수를 케이싱(11)(도 5 참조)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급수구측 단부(136)와, 급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급수관(플렛시블 호스)과 접속되는 급수원측 단부(137)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38)를 구비한다.
또한, 여기에서, 도 7을 참조해서 변기부(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변기부(2)의 개략 평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변기부(2)는 변기(2a)와, 볼(2b)과, 커버(2c)(도 2 참조)와, 관통구멍(2d)을 구비한다. 변기부(2)는 세정수 탱크(도시생략)가 설치되는 설치대(2e)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변기(2a)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부착 플레이트(4)가 부착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듯이, 급수관(13a)이나 전원 코드(13b)(도 5 참조)가 삽입통과되는 관통구멍(2d)은 변기(2a)의 중심선(O)의 좌측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부착 플레이트(4)의 좌방에 형성된다. 관통구멍(2d)에는 케이싱(11)이 변기(2a)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급수관(13a)이나 전원 코드(13b)가 삽입통과된다. 이밖에, 관통구멍(2d)에는 변기 세정 플러그(13c)(도 4b 참조), 상세하게는 변기 세정 플러그(13c)로부터 연장되는 코드가 삽입통과된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해서 케이싱(11)을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급수관(13a) 및 전원 코드(13b)의 배색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급수관(13a) 및 전원 코드(13b)의 배색 설명도이다. 또, 도 8에는 케이싱(11)(도 5 참조)을 부착한 상태의 개방 공간(20)을 평면에서 볼 때에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듯이, 케이싱(11)의 오목부(12)와 변기(2a)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 공간(20) 내에는 관통구멍(2d)이 배치된다. 또한, 개방 공간(20)에 있어서, 관통구멍(2d)에는 급수관(13a) 및 전원 코드(13b)가 삽입통과된다. 이 경우, 관통구멍(2d)이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어도 급수관(13a)을 회전시킴으로써 급수관(13a)을 관통구멍(2d)에 삽입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개방 공간(20), 즉, 케이싱(11)의 하면의 오목부(12)는 전후 방향(Y축 방향)의 길이(L)가 케이싱(11)을 부착 플레이트(4)(도 7 참조)에 부착할 때의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량과 동등한 길이로 형성된다.
이렇게,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0)에 의하면, 케이싱(11)의 오목부(12)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케이싱(11)을 부착하기 위한 슬라이드 이동량과 동등한 길이로 함으로써 케이싱(11)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오목부(12)를, 예를 들면, 관통구멍(2d)을 개방 공간(20) 내에 포함하는 위치에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즉, 케이싱(11)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케이싱(11)의 확실한 착탈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고, 케이싱(11)을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급수관(13a) 및 전원 코드(13b)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급수관(13a) 및 전원 코드(13b)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9a에 나타내듯이, 케이싱(11)의 오목부(12)와 변기(2a)의 상면으로 형성되는 개방 공간(20) 내에서는 급수관(13a)의 급수구와의 접속 위치가 전원 코드(13b)의 커넥터(15)와의 접속 위치보다 하방에 배치된다.
도 9b에 나타내듯이, 급수관(13a)의 접속 위치가 전원 코드(13b)의 접속 위치보다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급수관(13a)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전원 코드(13b)의 코드 부분과 간섭한다. 급수관(13a)이 전원 코드(13b)의 코드 부분과 간섭해도, 코드의 연성에 의해 실질적으로 급수관(13a)의 회전의 방해로는 되지 않는다.
이렇게,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0)에 의하면, 급수관(13a)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에, 급수관(13a)이 회전해도 전원 코드(13b)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해서 급수관(13a)의 회전 규제부의 다른 예(회전 규제부(21a,2lb,2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급수관(13a)의 회전 규제부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또, 도 10a 및 도 10b에는 케이싱(11)을 변기(2a)의 상면에 설치해서 형성된 개방 공간(20)을 하면(저면)에서 본 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0a에 나타내듯이, 급수관(13a)의 회전 규제부(21a,21b)는 케이싱(11)(케이스 플레이트(11b))의 오목부(12)에 형성된다. 회전 규제부(21a,21b)는 급수관(13a)의 회전을 회전각도(β)가 되도록 규제해서 급수관(13a)을 개방 공간(2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회전 규제한다. 이에 따라 급수관(13a)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데다가 개방 공간(20)에 있어서 관통구멍(2d)의 위치에 대응시킬 수 있다.
도 10b에 나타내듯이, 급수관(13a)의 회전 규제부(22)는 케이싱(11)(케이스 플레이트(11b))의 오목부(12)에 형성된다. 회전 규제부(22)는 급수관(13a)을 소정 위치에 핀포인트로 배치시킨다. 이에 따라 급수관(13a)을 관통구멍(2d)에 확실하게 삽입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규제부(22)를 복수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변기(2a)(도 7 참조)의 수단에 따라 여러가지 위치에 관통구멍(2d)이 있어도 관통구멍(2d)의 위치에 대응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해서 케이싱(11)의 오목부, 즉, 개방 공간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개방 공간의 다른 예(개방 공간(20a,20b))의 설명도이다. 또, 도 11a 및 도 11b에는 케이싱(11)을 변기(2a)의 상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하면(저면), 즉, 케이스 플레이트(11b)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는 예는 개방 공간(20)을 급수관(13a)의 배치에 맞춰서 카운터보링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 11a에 나타내듯이, 개방 공간(20a)(오목부(12a))은 제 1 공간부(121)와, 제 2 공간부(122)를 구비한다. 제 1 공간부(121)에서는 케이싱(11)의 측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서 급수관(13a)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2 공간부(122)에서는 케이싱(11)의 후방을 향해서 급수관(13a)이, 예를 들면 대략 핀포인트에서 위치가 결정되도록 배치된다. 또, 제 2 공간부(122)에서는 급수관(13a)이, 예를 들면 10도 정도의 작은 회전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제 1 공간부(121)에 배치되는 급수관으로서 엘보우 타입의 급수관(130a)(도 6b 참조)을 사용하고, 제 2 공간부(122)에 배치되는 급수관으로서 크랭크 타입의 급수관(13a)을 사용하는 등, 변기(2a) 등에 따라 급수관의 타입을 변경해도 좋다.
도 11b에 나타내듯이, 개방 공간(20b)(오목부(12b))은 제 1 공간부(123)와, 제 2 공간부(124)를 구비한다. 제 1 공간부(123)에서는 케이싱(11)의 측방을 향해서 급수관(13a)이, 예를 들면 대략 핀포인트에서 위치가 결정되도록 배치된다. 제 2 공간부(124)에서는 케이싱(11)의 후방을 향해서 급수관이, 예를 들면 대략 핀포인트에서 위치가 결정되도록 배치된다. 또, 제 1 공간부(123) 및 제 2 공간부(124)에서는 급수관(13a)이, 예를 들면 10도 정도의 작은 회전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크랭크 타입의 급수관(13a) 대신에 엘보우 타입의 급수관(130a)(도 6b 참조)을 사용해도 좋다.
이렇게, 급수관(13a)(또는 급수관(130a))의 배치에 맞춘 개방 공간(20a,20b)을 형성함으로써 급수관(13a)을 예를 들면 변기(2a)의 관통구멍(2d)에 확실하게 삽입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변기(2a)(도 7 참조)에 관통구멍(2d)이 없는 경우에도 대응 가능해진다. 즉,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른 변기 장치(1)는 상기해 온 위생 세정 장치(10)를 구비함으로써 위생 세정 장치(10)에 있어서 급수관(13a)이나 전원 코드(13b) 등이 개방 공간(20)과 변기(2a) 상면 사이에 배치되므로, 개방 공간(20)에 있어서 급수관(13a)이나 전원 코드(13b) 등의 처리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른 변기 장치(1)는 관통구멍(2d)을 구비함으로써 급수관(13a)이나 전원 코드(13b) 등을 관통구멍(2d)에 삽입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관(13a)이나 전원 코드(13b) 등을 숨길 수 있다. 또한, 급수관(13a)이나 전원 코드(13b) 등을 외부에 보이게 하지 않음으로써 의장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새로운 효과나 변형예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보다 광범위한 형태는 이상과 같이 나타내며 또한 기술한 특정 상세 및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의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총괄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변기 장치
2: 변기부
2a: 변기
2d: 관통구멍
10: 위생 세정 장치
11: 케이싱
12: 오목부
13: 접속 부품
13a: 급수관
13b: 전원 코드
13c: 변기 세정 플러그
13d: 변기 세정 잭
14: 화장 커버
20: 개방 공간
21: 회전 규제부

Claims (9)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접속되는 급수관과,
    상기 케이싱의 좌우 중 어느 하나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하면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이 처리 가능한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은,
    변기의 상면에 형성된 부착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변기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상면 위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상기 부착 플레이트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케이싱의 슬라이드 이동량과 동등한 전후 방향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상기 케이싱에 대해서 상기 하면의 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기 하면 상에 있어서 접속되는 전원 코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 코드는,
    상기 개방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의 접속 위치가 상기 전원 코드의 접속 위치보다 하방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개방 공간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의 상기 케이싱의 전방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부착되며, 적어도 상기 케이싱의 측면의 일부를 덮는 화장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장 커버는,
    상기 케이싱의 측면을 덮는 부분이 상기 개방 공간의 개방부를 덮도록 하방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위생 세정 장치와,
    상기 위생 세정 장치가 설치되는 변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는,
    상기 급수관 및 상기 케이싱의 상기 하면 상에 있어서 접속되는 전원 코드의 적어도 한쪽이 삽입통과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KR1020170067482A 2016-08-25 2017-05-31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 KR101970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5014 2016-08-25
JP2016165014A JP6623976B2 (ja) 2016-08-25 2016-08-25 衛生洗浄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801A KR20180023801A (ko) 2018-03-07
KR101970137B1 true KR101970137B1 (ko) 2019-04-18

Family

ID=5969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482A KR101970137B1 (ko) 2016-08-25 2017-05-31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44463B2 (ko)
EP (1) EP3287567B1 (ko)
JP (1) JP6623976B2 (ko)
KR (1) KR101970137B1 (ko)
CN (2) CN107780505B (ko)
TW (1) TWI6683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8088B (zh) * 2018-09-20 2024-04-09 胡在权 一种水箱隐藏式马桶
CN109758020B (zh) * 2019-01-31 2024-01-05 厦门佳普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马桶盖及其坐便器
CN111827435A (zh) * 2019-04-17 2020-10-27 骊住建材(苏州)有限公司 座便器及其装配方法
JP6765644B1 (ja) * 2019-06-14 2020-10-07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936447B2 (ja) * 2019-07-05 2021-09-1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939850B2 (ja) * 2019-07-05 2021-09-22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N114886322B (zh) * 2022-03-24 2024-05-24 浙江大学台州研究院 一种水动力驱动执行件及具有该执行件的智能坐便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132A (ja) 1999-10-14 2001-07-03 Toto Ltd 水洗式大便器
KR200320671Y1 (ko) * 2003-04-30 2003-07-25 주식회사 파세코 비데장치
JP2003278226A (ja) 2002-03-22 2003-10-02 Toto Ltd 便器本体への機能部取付機構
KR101559545B1 (ko) 2015-07-16 2015-10-15 주식회사 삼홍테크 비데 급수관의 록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87053C (zh) * 2000-06-01 2006-11-29 株式会社伊奈 西式抽水马桶
KR101104458B1 (ko) * 2002-08-29 2012-01-12 파나소닉 주식회사 위생 세정 장치
CN2642868Y (zh) * 2003-01-20 2004-09-22 刘超 空心螺杆引水式洁身器
ITUD20070031A1 (it) * 2007-02-14 2008-08-15 Gino Didone Accessorio per il vaso di un servizio igienico, particolarmente per un water closet
CN202039436U (zh) * 2010-11-26 2011-11-16 韩福来 一种洁身器的暖风温水一体控制盒
JP6001832B2 (ja) * 2011-08-19 2016-10-05 株式会社木村技研 水洗式便器
ES2515717T3 (es) * 2012-02-16 2014-10-30 Geberit International Ag Brazo de ducha para inodoro-bidé
JP6136063B2 (ja) 2013-01-31 2017-05-31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トイレ装置
DE202013001133U1 (de) * 2013-02-06 2014-03-07 Carsten Willers Consulting Gmbh WC mit Unterdusche
WO2014132306A1 (ja) * 2013-02-27 2014-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210191B2 (ja) 2013-03-26 2017-10-11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DE202015001722U1 (de) * 2015-03-06 2016-06-08 Geberit International Ag WC mit Duschaufsatz
CN105937259B (zh) * 2015-03-06 2018-05-08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装置
CN205116345U (zh) * 2015-11-12 2016-03-30 金华市源始动力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安装于马桶的冲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132A (ja) 1999-10-14 2001-07-03 Toto Ltd 水洗式大便器
JP2003278226A (ja) 2002-03-22 2003-10-02 Toto Ltd 便器本体への機能部取付機構
KR200320671Y1 (ko) * 2003-04-30 2003-07-25 주식회사 파세코 비데장치
KR101559545B1 (ko) 2015-07-16 2015-10-15 주식회사 삼홍테크 비데 급수관의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23976B2 (ja) 2019-12-25
EP3287567B1 (en) 2021-08-11
CN107780505A (zh) 2018-03-09
CN107780505B (zh) 2020-03-10
US10344463B2 (en) 2019-07-09
KR20180023801A (ko) 2018-03-07
JP2018031221A (ja) 2018-03-01
US20180058057A1 (en) 2018-03-01
TWI668350B (zh) 2019-08-11
EP3287567A1 (en) 2018-02-28
CN111501941A (zh) 2020-08-07
TW201807295A (zh)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137B1 (ko)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
TW469317B (en) Tank-less toilet, western style flush toilet, private part washing device, and spud for flush toilet
JP2006057453A (ja) 洋風水洗式便器
JP6805634B2 (ja) 衛生洗浄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JP6779374B2 (ja) 衛生可視性の付与のための洗浄及びビデノズル分離構造を有するビデ装置
JP7051280B2 (ja) 便器装置
JP4465627B2 (ja) トイレ内設備ユニット
CN108071156B (zh) 冲水大便器装置
KR102426305B1 (ko) 비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JP4247197B2 (ja) ハンドドライヤー設備ユニット
KR101606580B1 (ko) 회전식 양변기
JP2021151296A (ja) 便座装置
JP2019138020A (ja) 水洗式大便器
JP7389411B2 (ja) トイレ装置
JP7496203B2 (ja) 便器装置
JP4813166B2 (ja) 浴室ユニット
JP2002212995A (ja) トイレ洗浄装置
KR200419041Y1 (ko) 변기
JP2018100573A (ja) 小便器装置
JP2007120294A (ja) トイレ内設備ユニット
JP2510354Y2 (ja) 水洗便所装置
JP2023020481A (ja) 水洗大便器
KR20180044767A (ko) 세면대용 세탁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세면대
JP2024030707A (ja) 水洗大便器
JPH0756389Y2 (ja) 温水洗浄便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