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500B1 - 내장 파워 커넥터를 갖는 연료전지 부품 - Google Patents

내장 파워 커넥터를 갖는 연료전지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500B1
KR101967500B1 KR1020157000446A KR20157000446A KR101967500B1 KR 101967500 B1 KR101967500 B1 KR 101967500B1 KR 1020157000446 A KR1020157000446 A KR 1020157000446A KR 20157000446 A KR20157000446 A KR 20157000446A KR 101967500 B1 KR101967500 B1 KR 101967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electrically conductive
plate
conductive materi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0231A (ko
Inventor
데이빗 멜로 페레이라
크리스토퍼 존 카네발레
글렌 마이클 알렌
Original Assignee
아우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디 아게 filed Critical 아우디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03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9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comprising two or more groupings of fuel cells, e.g. modular assemb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예시적인 연료전지 부품은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는 상기 플레이트에 내장된 제1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2 부분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연장한다. 상기 제2 부분은 다른 장치와 전기 전도성 연결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내장 파워 커넥터를 갖는 연료전지 부품 {FUEL CELL COMPONENT WITH EMBEDDED POWER CONNECTOR}
[연방정부 지원의 연구 또는 개발에 관한 진술]
이 발명은 미국 운수부/연방 교통청(Department of Transportation/Federal Transit Agency)에 의한 계약번호 제CA-04-7003-00호 하에서 정부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정부는 이 발명에 특정 권리를 갖는다.
연료전지는 전기화학 반응으로부터 전기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연료전지 장치는 복수의 개별 연료전지 유닛의 셀 스택 어셈블리(cell stack assembly)를 포함한다. 상기 셀 스택 어셈블리의 단부에서 집전체는 전기화학 반응으로 인한 전류를 수집한다. 단부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상기 집전체에 붙여 배치된다. 상기 단부 플레이트는 셀 스택 어셈블리를 함께 유지하는 구조의 일부인 가압 플레이트로서 자주 이용된다.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얻는 것은 일반적으로 단부 플레이트에 커넥터를 부착함으로써 달성된다.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는 기계적인 연결부는 단부 플레이트에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형성한다. 그러한 배치는 효율적이고 유용하다고 입증되었지만,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기계적 연결 점은 상기 연결부를 가로질러 포텐셜 전압 손실에 대한 가능성을 도입한다. 추가로, 상기 기계적 연결부에 열이 축적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연결부는 또한 추가 노동 시간을 도입하고 어셈블리 오류의 대상이다.
예시적인 연료전지 부품은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는 상기 플레이트에 내장된 제1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2 부분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연장한다. 상기 제2 부분은 다른 장치와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연료전지 장치는 복수의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셀 스택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셀 스택 어셈블리의 일 단부에서 단부 플레이트는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는 상기 단부 플레이트에 내장된 제1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2 부분은 상기 단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한다. 상기 제2 부분은 다른 장치와 전기 전도성 연결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연료전지 부품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기 전도성 커넥터의 제1 부분은 상기 플레이트에 내장되며, 상기 커넥터의 제2 부분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연장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첨부된 도면들은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연료전지 장치의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연료전지 부품의 예시이다.
도 3은 전기 전도성 커넥터의 예시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의 예와 같은 연료전지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전기화학 반응에 기초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유용한 연료전지 장치(20)를 도시한다. 셀 스택 어셈블리(22)는 공지된 방식으로 배열된 복수의 개별 연료전지 유닛을 포함한다. 구조물(24)은 셀 스택 어셈블리(22)를 함께 유지하는 가압 플레이트(26)를 포함한다.
단부 플레이트(30)는 가압 플레이트(26)와 셀 스택 어셈블리(22) 사이에 수용된다. 상기 단부 플레이트(30)는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전도성 재료는 탄소계이다. 일 실시예의 단부 플레이트(30)는 흑연을 포함한다.
상기 단부 플레이트(30)는 셀 스택 어셈블리(22) 내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수집하는 집전체로서 구성된다.
도 2는 단부 플레이트(30)를 도시한다. 상기 단부 플레이트(30)는 단부 플레이트(30) 내에 내장된 전기 전도성 커넥터(32)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전도성 커넥터(32)는 연료전지 장치(20)에 의해 구동되는 부하와 같은 다른 장치와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이루기 위해 구성된 단부(34)를 갖는다. 상기 전기 전도성 커넥터(32)는 단부 플레이트(30) 내에 내장된 제1 부분(36)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 전도성 커넥터(32)의 제2 부분(38)은 상기 플레이트(30)로부터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32)의 제1 부분(36)은 플레이트(30)의 재료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부분(36)은 플레이트(30)의 재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도 3은 전기 전도성 커넥터(32)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가요성 와이어의 복수의 스트랜드(strand)를 포함한다. 상기 전체 커넥터(32)는 이 실시예에서 가요성이 있다. 일부 실시예는 상기 커넥터의 폭보다 더 큰 길이를 갖는 대체로 편평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폭은 상기 커넥터의 두께보다 더 크다.
도 3의 실시예는 편조 와이어(braided wire)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32)의 와이어 스트랜드들의 일부 사이에 간격들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32)가 플레이트(30) 내에 내장될 때, 플레이트(30)의 전기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넥터(32)의 다양한 스트랜드들 사이의 간격들 내에 수용된다. 전기 전도성 재료가 상기 커넥터(32)의 본체를 둘러싸고 상기 본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투하기 때문에, 더 확실한 기계적 연결부가 상기 플레이트(30)의 재료와 상기 커넥터(3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32)의 와이어 스트랜드들 사이의 간격들 내에 수용된 전기 전도성 재료는 플레이트(30)의 재료와 상기 커넥터(32) 사이의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강화시키기 위한 표면 접촉량을 증가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편조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플레이트(30)의 실시예와 같은 연료전지 부품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몰드(40)는 몰드 부분들(42,44)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몰드 부분(42)은 전기 전도성 재료의 몰드 가능한 형태가 적층될 수 있는 트레이로서 구성된다. 도 4a의 실시예에서, 흑연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의 파우더 형태가 몰드 부분(42) 내에 배치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32)의 적어도 제1 부분(36)은 몰드 부분(42) 내에 위치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의 전기 전도성 재료(42)는 몰드 부분(42)에 추가된다. 이 실시예에서, 추가의 전기 전도성 재료는 상기 커넥터(32)의 제1 부분(36)을 완전히 덮는다.
일단 몰드 가능한 전기 전도성 재료(46)의 소정량이 몰드(40) 내에 있으면, 제2 몰드 부분(44) 및 제1 몰드 부분(42)은 플레이트(30)를 형성하기 위해 합쳐진다. 일 실시예에서, 고체 플레이트(30)를 형성하기 위해 열과 압력이 가해지며, 상기 커넥터(32)의 제1 부분(36)은 상기 플레이트의 재료 내에 내장된다.
개시된 실시예는 전기 전도성 커넥터와 연료전지 장치 사이의 기계적 연결부를 이루기 위한 요건을 제거한다. 따라서, 통합 전기 커넥터(32)를 갖는 플레이트(30)는 열 축적, 전압 손실, 어셈블리 오류 또는 이들의 조합의 포텐셜 소스들을 제거한다. 상기 내장 커넥터(32)는 처리해야 하는 구성품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연료전지 장치 어셈블리 동안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킨다. 도시된 실시예로, 별도의 집전체 및 단부 플레이트는 요구되지 않고, 이것은 추가 비용 저감을 제공한다.
별도의 금속 집전체 플레이트에 대한 임의의 요구를 제거하는 것은 다른 이익을 제공한다. 비 다공성, 흑연 단부 플레이트(3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금속 집전체 플레이트가 이용되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부식(corrosion)에 대한 염려가 없다.
전술한 설명은 사실상 제한보다 예시적이다. 개시된 실시예의 변경 및 개조는 본 발명의 본질로부터 벗어날 필요 없이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주어진 법적 보호범위는 다음의 청구항들을 연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내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연장하며 다른 장치와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부분을 갖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가요성 와이어 스트랜드들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간격을 갖는 복수의 가요성 와이어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전도성 재료의 일부는 상기 간격에 수용되는,
    연료전지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전기 전도성 재료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연료전지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연료전지 스택 어셈블리의 단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단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연료전지 스택 어셈블리의 단부에 대해 집전체로서 구성된,
    연료전지 부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편조 케이블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부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길이, 폭 및 두께를 갖고,
    상기 두께 및 상기 폭은 상기 길이에 대해 직각이고,
    상기 폭은 상기 두께보다 더 큰,
    연료전지 부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카본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부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흑연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부품.
  10. 복수의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셀 스택 어셈블리와,
    상기 셀 스택 어셈블리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단부 플레이트와,
    상기 단부 플레이트에 내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단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하며 다른 장치와 전기 전도성 연결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부분을 갖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가요성 와이어 스트랜드들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간격을 갖는 복수의 가요성 와이어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전도성 재료의 일부는 상기 간격에 수용되는,
    연료전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전기 전도성 재료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연료전지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레이트는 상기 셀 스택 어셈블리의 상기 단부에서 집전체로서 구성된,
    연료전지 장치.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편조 케이블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레이트는 카본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레이트는 흑연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길이, 폭 및 두께를 갖고,
    상기 두께 및 상기 폭은 상기 길이에 대해 직각이고,
    상기 폭은 상기 두께보다 더 큰,
    연료전지 장치.
  18.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전기 전도성 커넥터의 제2 부분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연장하는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전기 전도성 커넥터의 제1 부분을 내장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 전도성 커넥터의 복수의 가요성 와이어 스트랜드들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간격에 상기 전기 전도성 재료의 일부를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 전도성 커넥터의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전기 전도성 재료로 완전히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파우더를 몰드에 도입하는 단계와,
    상기 몰드에 상기 전기 전도성 커넥터의 상기 제1 부분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몰드에 있는 동안 상기 몰드에 있는 상기 파우더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57000446A 2012-06-13 2013-06-10 내장 파워 커넥터를 갖는 연료전지 부품 KR101967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95,353 US10038201B2 (en) 2012-06-13 2012-06-13 Fuel cell component with embedded power connector
US13/495,353 2012-06-13
PCT/US2013/044912 WO2013188264A1 (en) 2012-06-13 2013-06-10 Fuel cell component with embedded power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231A KR20150030231A (ko) 2015-03-19
KR101967500B1 true KR101967500B1 (ko) 2019-04-09

Family

ID=4975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446A KR101967500B1 (ko) 2012-06-13 2013-06-10 내장 파워 커넥터를 갖는 연료전지 부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38201B2 (ko)
EP (1) EP2862224B1 (ko)
JP (1) JP6236438B2 (ko)
KR (1) KR101967500B1 (ko)
CN (1) CN104584296B (ko)
WO (1) WO20131882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2559B2 (ja) * 2017-06-01 2019-02-20 日本碍子株式会社 端部集電部材、及びセルスタック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4243A (ja) * 2000-12-13 2002-06-28 Inoue Seisakusho:Kk 可撓性接続端子
JP2006040586A (ja) * 2004-07-22 2006-02-09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の積層方法
JP2007265881A (ja) * 2006-03-29 2007-10-11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スタック及びカーボン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JP2010218951A (ja) 2009-03-18 2010-09-30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22699B (it) * 1979-08-03 1986-04-23 Oronzio De Nora Impianti Collettore elettrico resiliente e cella elettrochimica ad elettrolita solido comprendente lo stesso
JPS58166677A (ja) * 1982-03-26 1983-10-01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電池用端子装置
JPH0626184U (ja) 1992-07-31 1994-04-08 株式会社井上製作所 可撓性接続端子
US6001502A (en) 1997-06-27 1999-12-14 Plug Power, L.L.C. Current conducting end plate of fuel cell assembly
WO2005018025A1 (en) 2003-08-15 2005-02-24 Hydroge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for an electrochemical cell stack
RU2256981C1 (ru) * 2004-03-30 2005-07-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НТЕНСИС" (ООО "ИНТЕНСИС") Электрод щелочного топливного элемент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7704626B2 (en) 2004-07-29 2010-04-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Isolated and insulated stack end unit inlet/outlet manifold headers
JP4459793B2 (ja) * 2004-11-29 2010-04-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電池端板および燃料電池
KR20060087100A (ko) 2005-01-28 2006-08-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스택과 이를 갖는 연료 전지 시스템
US20080057368A1 (en) * 2006-08-29 2008-03-06 Mcelroy Richard L Motion fuel cell
US8026020B2 (en) 2007-05-08 2011-09-27 Relion, Inc.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stack and fuel cell stack module
JP5686988B2 (ja) * 2009-05-04 2015-03-18 シャープ株式会社 燃料電池用膜電極複合体に用いられる触媒層、それを用いる燃料電池用膜電極複合体、燃料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871379B2 (en) * 2009-10-30 2014-10-28 Greatbatch Ltd. Screen-less anode design concepts for low cost lithium electrochemical cells for use in implantable medical device applications
DE102011120252A1 (de) * 2010-12-28 2012-06-28 Clearedge Power, Inc. Senken von Elektrolytverlust in PEM-Brennstoffzel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4243A (ja) * 2000-12-13 2002-06-28 Inoue Seisakusho:Kk 可撓性接続端子
JP2006040586A (ja) * 2004-07-22 2006-02-09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の積層方法
JP2007265881A (ja) * 2006-03-29 2007-10-11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スタック及びカーボン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JP2010218951A (ja) 2009-03-18 2010-09-30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62224A1 (en) 2015-04-22
US10038201B2 (en) 2018-07-31
JP2015519716A (ja) 2015-07-09
JP6236438B2 (ja) 2017-11-22
EP2862224A4 (en) 2015-12-30
EP2862224B1 (en) 2018-03-14
US20130337363A1 (en) 2013-12-19
CN104584296A (zh) 2015-04-29
KR20150030231A (ko) 2015-03-19
WO2013188264A1 (en) 2013-12-19
CN104584296B (zh)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1119B (zh) 用于耦合到电池模块的电端子的机械紧固件以及耦合到电端子的方法
JP7018225B2 (ja) ばね接点要素を備えた電気エネルギーを貯蔵するセルのための装置
US6730423B2 (en) Electrical contacting device for an electrochemical fuel cell
US11710865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cellular electrical elements and method for installing such a connector on a battery unit
JP6659559B2 (ja) 電気接続インタフェースを備えた少なくとも1つの雄型要素と雌型要素を有する電力貯蔵セル
US20030215678A1 (en) Electrical contacting device for a fuel cell
US20030054220A1 (en) Electrical contacting device for a fuel cell
KR101628455B1 (ko)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WO2017069209A1 (ja) 導電部材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パック
US9912082B2 (en) Electric wire connection structure
KR20160077146A (ko) 전지의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전압원 및/또는 전원 싱크를 외부 전기 컴포넌트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장치
KR101967500B1 (ko) 내장 파워 커넥터를 갖는 연료전지 부품
JP2002124285A5 (ko)
JP2007018924A (ja) 燃料電池
JP2006140166A (ja) 燃料電池セルモニタ装置
JP2004127778A (ja) 燃料電池
JP2009217939A (ja) 燃料電池セパレータ
JP2006140166A5 (ko)
JP2016131088A (ja) 燃料電池
JP2010113884A (ja) 燃料電池
DE102012018046A1 (de) Elektrochemische Batterie mit mehreren Einzelzellen
JP2011113900A (ja) 燃料電池
CA2459808A1 (en) Electrical contacting device for a fuel cell
Bourgeois et al. Compliant fuel cell system
US20080020259A1 (en) Current collection board for fuel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