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474B1 - 천연원료를 포함하는 천연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원료를 포함하는 천연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474B1
KR101967474B1 KR1020120072196A KR20120072196A KR101967474B1 KR 101967474 B1 KR101967474 B1 KR 101967474B1 KR 1020120072196 A KR1020120072196 A KR 1020120072196A KR 20120072196 A KR20120072196 A KR 20120072196A KR 101967474 B1 KR101967474 B1 KR 101967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oil
vanilla
weight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477A (ko
Inventor
백순선
김나미
이종원
홍순기
강봉구
권오택
오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120072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474B1/ko
Publication of KR2014000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2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from fruit, e.g. essential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1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15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by distilling, stripping, or recovering of volati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4Flavour masking or redu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6Addition of bitterness inhib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원료를 포함하는 천연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천연향료 조성물은 바닐라 추출액, 바닐라 오일, 오렌지 오일, 포도 오일, 코코아 오일, 코코넛 오일, 레몬 오일 및 주정을 포함하며, 상기 천연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천연원료의 조합으로 인하여 종래의 화학적 합성품으로 제조된 합성요구르트향에 비하여 건강지향성뿐만 아니라 기호성 및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천연요구르트향을 재현하였으므로, 다양한 식품에 첨가되어 식품의 기능성을 유지하면서 기호성 향상 및 관능 개선을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원료를 포함하는 천연향료 조성물{Natural Flavor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Materials}
본 발명은 천연원료를 포함하는 천연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향료는 방향성을 지니고 있으며, 인간의 일상생활에 기여하는 유익한 향기를 내는 물질로서, 향수, 비누, 화장품, 식료품, 추잉검, 치약, 담배, 과자, 및 의약품 등 생활용품의 향내를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향료로 이용되는 물질은 상온에서 휘발성이 뛰어나며, 그 종류는 약 400~500종에 이른다. 향료는 장미·레몬 등에서 얻는 천연향료, 값이 싼 천연향료 및 콜타르 등의 원료로부터 분리, 정제한 단리향료, 화학반응을 거쳐 합성시킨 합성향료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단리향료와 합성향료를 합하여 인조향료라고도 한다. 또한, 용도별로는 화장품 향료와 식품 향료로 구별되는데, 화장품 향료는 단지 향기 부여를 목적으로 하지만 식품 향료는 냄새에 맛을 가미한 플레이버(flavor)를 주체로 한다.
천연향료에는 동물성 향료와 식물성 향료가 있는데, 동물성 향료로는 사향, 시벳(civet), 앰버그리스(ambergris: 용연향), 카스토르(castor)의 4종이 있다. 이들 향료는 알코올로 향기의 성분을 추출하여 사용하므로 생산량이 적으며, 향료 중 가장 비싸고 사용량도 극히 적어 향수와 조합 향료의 소재로서 사용된다. 식물성 향료는 방향성 식물의 꽃, 꽃망울, 과실, 잎, 가지, 줄기, 뿌리 및 천연수지 등에서 얻을 수 있다. 그 대부분은 휘발성인 유상물질로서 물보다 가볍고, 정유라 하여 유지와 구별된다.
한편, 소득증대와 함께 진행되는 입맛의 서구화는 향료에 대한 소비를 촉진시키고 있다. 그리고 더욱 강해지는 고급스러운 맛에 대한 욕구와 건강지향적, 천연지향적인 식생활 방식은 여러 가지 합성첨가물들, 즉 글루탐산모노나트륨(monosodium glutamate, MSG) 등이 가미되지 않은 제품을 요구하고 있다. 즉, 근래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치는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식품의 소비를 통하여 영양과 맛의 즐거움은 물론, 건강지향적이고 천연지향적인 요구에 부응하는 제품을 찾고 있다. 따라서, 식품의 고급화 및 천연화를 위하여, 선진 향료 업계에서 아직 초기 시장 진입 단계인 천연 향료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원료를 포함하는 천연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닐라 추출액, 바닐라 오일, 오렌지 오일, 포도 오일, 코코아 오일, 코코넛 오일, 레몬 오일 및 주정을 포함하는 천연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향료 조성물은 바닐라 추출액 20 내지 40 중량%, 바닐라 오일 1 내지 5 중량%, 오렌지 오일 5 내지 30 중량%, 포도 오일 5 내지 10 중량%, 코코아 오일 1 내지 5 중량%, 코코넛 오일 1 내지 5 중량%, 레몬 오일 0.1 내지 3 중량%, 및 주정 3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바닐라 추출액 25 내지 30 중량%, 바닐라 오일 2 내지 4 중량%, 오렌지 오일 10 내지 20 중량%, 포도 오일 7 내지 9 중량%, 코코아 오일 2 내지 3 중량%, 코코넛 오일 1 내지 3 중량%, 레몬 오일 0.5 내지 2 중량%, 및 주정 3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천연원료의 조합과 함량에 의해 본 발명의 천연향료 조성물은 천연요구르트향과 가장 유사하면서 기호성이 우수한 향취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천연원료의 각 성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 이하이거나 이상일 경우에는 천연요구르트향을 구현하기 어려우며 향취의 기호성 및 관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천연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연원료는 해당 식물로부터 추출된 천연 유래의 추출액 또는 오일로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하거나 직접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바닐라, 오렌지, 포도, 코코아, 코코넛 및 레몬은 통상 구입 가능한 임의의 품종이 모두 사용가능하며, 다양한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바닐라 추출액은 통상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바닐라를 용매로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정제수, 에틸알코올, 헥산 및 이소프로필알코올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에틸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된 용매들은 잔류용매의 규격에 적합하도록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은 각각의 식물로부터 분리한 기름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추출방법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특히 수증기 증류법, 압착법 또는 유기 용매를 이용한 직접 추출법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에틸알코올, 헥산, 이소프로필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닐라 오일, 오렌지 오일, 포도 오일, 코코아 오일, 코코넛 오일 및 레몬 오일은 각각 바닐라, 오렌지, 포도, 코코아, 코코넛 및 레몬을 정유(essential oil)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하방으로부터 수증기를 불어넣어 수증기와 함께 비등되어 나오는 오일 성분을 냉각 분리하여 제조하거나, 상기 식물을 가압하여 압착함으로써 오일 성분을 추출할 수 있으며, 정제수, 에틸알코올, 헥산, 이소프로필알코올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천연원료를 이용하여 천연향을 재현한 천연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바닐라 추출액 27.5%, 바닐라 오일 3.0%, 오렌지 오일 15%, 포도 오일 8.5%, 코코아 오일 2.8%, 코코넛 오일 2.2%, 레몬 오일 1.0% 및 주정 40.0%의 배합비로 혼합하여 천연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표 1 참조). 본 발명의 천연향료 조성물은 상기의 배합으로 인하여 천연요구르트향이 재현되며, 이는 기존의 합성요구르트향 대비 관능성 및 기호성이 증진된 100% 천연원료로 구성된 향료임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천연향료 조성물은 천연원료의 적절하고 효과적인 배합을 통해 기호성이 탁월한 향취를 제공하므로, 식품 등에 첨가될 수 있는 천연요구르트향의 천연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향료 조성물은 천연 유래의 천연원료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천연요구르트의 향취를 제공하면서 향취에 대한 기호성이 향상된 천연 유래의 향료이므로, 식품의 고미 제거 및 관능개선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천연향료 및 합성향료의 관능적 특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천연원료의 제조
바닐라 추출액의 경우 천연 바닐라를 에틸알코올로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고, 잔류용매의 규격에 적합하도록 알코올 성분을 완전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또한, 바닐라 오일, 오렌지 오일, 포도 오일, 코코아 오일, 코코넛 오일, 레몬 오일은 각각의 천연 원료로부터 분리한 기름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에틸알코올을 가하여 압착한 후 70~80℃의 온도에서 증류 및 농축하였다.
< 실시예 2> 천연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천연원료를 사용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배합비에 따라 혼합하여 천연 재료를 이용한 본 발명의 천연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배합비율(%)
1 바닐라 추출액 27.5
2 바닐라 오일 3.0
3 오렌지 오일 15.0
4 포도 오일 8.5
5 코코아 오일 2.8
6 코코넛 오일 2.2
7 레몬 오일 1.0
8 주정 40.0
원료 합계 100
그 결과, 상기와 같은 천연원료가 혼합됨으로써 천연 요구르트향이 재현된 천연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 비교예 1> 합성향료의 제조
본 발명의 천연향료와의 비교를 위하여 사용한 합성향료는 국내 향료 업체에서 제조하여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사용한 합성향료는 지방족알콜류, 케톤류, 에스테르류, 지방족알데히드류, 방향족알데히드류, 테르펜계탄화수소류 및 락톤류 등의 합성착향료의 일반적인 원료 성분들로 구성되었다.
< 실험예 1> 천연향료 조성물을 이용한 제품의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천연향료 조성물이 첨가된 홍삼농축액의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를 각각 첨가한 홍삼농축액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성별, 연령, 홍삼제품 섭취빈도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 기호 검사(Consumer Acceptance Test)를 실시하였다. 평가항목은 쓴맛, 신맛, 단맛, 한약맛 및 향강도에 대해 9점 강도 척도(9-point intensity scale)로 특성의 세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천연향료 조성물을 첨가한 홍삼농축액이 쓴맛은 상대적으로 낮았고, 단맛은 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전체적인 향의 강도, 신맛 및 생약재 등의 한약 맛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도 1). 따라서 합성향료를 천연향료로 대체하여 제품에 적용할 경우 전반적인 기호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삭제
  2. 바닐라 추출액 20 내지 40 중량%, 바닐라 오일 1 내지 5 중량%, 오렌지 오일 5 내지 30 중량%, 포도 오일 5 내지 10 중량%, 코코아 오일 1 내지 5 중량%, 코코넛 오일 1 내지 5 중량%, 레몬 오일 0.1 내지 3 중량% 및 주정 3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고,
    요구르트향을 나타내는 천연향료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바닐라 추출액 25 내지 30 중량%, 바닐라 오일 2 내지 4 중량%, 오렌지 오일 10 내지 20 중량%, 포도 오일 7 내지 9 중량%, 코코아 오일 2 내지 3 중량%, 코코넛 오일 1 내지 3 중량%, 레몬 오일 0.5 내지 2 중량%, 및 주정 3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천연향료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닐라 추출액은 정제수, 에틸알코올, 헥산 및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인 천연향료 조성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수증기 증류법, 압착법 또는 에틸알코올, 헥산 및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를 이용한 직접 추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천연향료 조성물.
KR1020120072196A 2012-07-03 2012-07-03 천연원료를 포함하는 천연향료 조성물 KR101967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196A KR101967474B1 (ko) 2012-07-03 2012-07-03 천연원료를 포함하는 천연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196A KR101967474B1 (ko) 2012-07-03 2012-07-03 천연원료를 포함하는 천연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477A KR20140004477A (ko) 2014-01-13
KR101967474B1 true KR101967474B1 (ko) 2019-04-09

Family

ID=5014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196A KR101967474B1 (ko) 2012-07-03 2012-07-03 천연원료를 포함하는 천연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30864B (zh) * 2014-07-16 2016-09-07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用甜橙香料的制备方法
CN109207267A (zh) * 2018-11-14 2019-01-15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复配烟用椰子油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3827A (ja) * 2000-12-26 2002-07-10 Chugai Pharmaceut Co Ltd 漢方内服液剤
JP2005015686A (ja) * 2003-06-27 2005-01-20 Kiyomitsu Kawasaki フルーツ様香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3827A (ja) * 2000-12-26 2002-07-10 Chugai Pharmaceut Co Ltd 漢方内服液剤
JP2005015686A (ja) * 2003-06-27 2005-01-20 Kiyomitsu Kawasaki フルーツ様香料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477A (ko) 201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vandi et al. Eryngium foetidum L. Coriandrum sativum and Persicaria odorata L.: a review
CN103333743B (zh) 一种苔清香香精及其应用
CN106118880A (zh) 一种天然柠檬香精及其制备方法
KR102085097B1 (ko) 향료 조성물
KR101799027B1 (ko)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96903A (ko) 귤꽃류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TW202011821A (zh) 源自豆類蛋白質之豆臭之遮蔽劑
KR102032135B1 (ko) 풋귤 및 유산균 그리고 비타민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1818B1 (ko) 산국 정유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KR101967474B1 (ko) 천연원료를 포함하는 천연향료 조성물
JP6811805B2 (ja) アルコール含有量0.00%のジンテイストノンアルコール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58645B1 (ko) 비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US10150935B2 (en) Breakfast cereal with non-allergenic natural nut flavor and methods of preparation
KR101378321B1 (ko) 해당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81579B1 (ko) 초피나무 잎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73090B1 (ko) 미선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20162604A (ja) 柑橘飲料、容器詰柑橘飲料、及び柑橘飲料の製造方法
KR20160094777A (ko) 무화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08883B1 (ko)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20150062967A (ko)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Bauer et al. Natural raw materials in the flavor and fragrance industry
KR20140004476A (ko) 천연향료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KR100937340B1 (ko) 천녀목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09640700B (zh) 香料组合物、饮食品及饮食品的制造方法
KR20160055603A (ko) 자두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