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218B1 -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 - Google Patents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218B1
KR101964218B1 KR1020170172880A KR20170172880A KR101964218B1 KR 101964218 B1 KR101964218 B1 KR 101964218B1 KR 1020170172880 A KR1020170172880 A KR 1020170172880A KR 20170172880 A KR20170172880 A KR 20170172880A KR 101964218 B1 KR101964218 B1 KR 101964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guide
roller
unit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는 파운데이션; 상기 파운데이션의 상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 및 상기 파운데이션의 내부의 양 측면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가 구비되는 가이드유닛; 상기 가이드유닛에 구비되는 클램프유닛; 및 상기 클램프유닛에 의해, 상기 가이드유닛의 특정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롤러유닛;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The universal fair leader device}
본 발명은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체와 간격조절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고 안전사용하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페어리더(Fair leader)는 선박이 안벽에 계류할 시, 사용되는 로프나 와이어가 선체에 닿아서 닳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로프나 와이어가 바른 위치로 감기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롤러를 이용하여 사방으로 조합한 형태의 페어리더를 유니버셜 페어리더(Universal fair leader)라 한다.
최근 확장된 파나마 운하를 통과하기 위해서 선박에 설치된 계류장치(moorig fitting) 류의 안전사용하중(SWL) 은 기존 대비 30~40% 향상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계류장치 류의 수리를 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교체하지 않아 많은 사고가 보고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 기존 선박에 장착된 계류장치의 안전사용하중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시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8539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롤러부를 결합할 수 있는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만큼의 롤러부를 파운데이션에 결합할 수 있는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는 파운데이션; 상기 파운데이션의 상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 및 상기 파운데이션의 내부의 양 측면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가 구비되는 가이드유닛; 상기 가이드유닛에 구비되는 클램프유닛; 및 상기 클램프유닛에 의해, 상기 가이드유닛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롤러유닛; 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클램프유닛은 상기 제1가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클램프;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운데이션은 일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유닛은 일측이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클램프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제1롤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클램프유닛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가이드에 구비되고, 내부에 홀이 형성되는 제2클램프;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클램프는 상부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제2고정클램프; 및 하부가 상기 함몰부에 결합되어 일정거리를 유동하도록 구비되는 제2유동클램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롤러유닛은 상기 제2가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롤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선박에 설치되는 계류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개수만큼 롤러유닛를 결합하여 사용환경에 대응할 수 있어 선박의 안전사용 하중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롤러부의 탈부착이 편리하여 용이하게 롤러부를 결합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의 전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의 제1롤러 및 제1클램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의 제2롤러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의 제2롤러 및 제2클램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의 전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의 제1롤러 및 제1클램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의 제2롤러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의 제2롤러 및 제2클램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는 파운데이션(100), 가이드유닛(200), 롤러유닛(300) 및 클램프유닛(400)을 포함한다.
파운데이션(100)은 본 발명의 유니버셜 페어리더의 바디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면의 일부와 양 측면의 일부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파운데이션(100)은 위와 같은 형상 외에 일반적인 유니버셜 페어리더의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로프 또는 와이어 등을 감아 선박의 계류 장치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파운데이션은(100) 선박의 특정 위치에만 고정되지 않고 주변 환경 등에 따라 이동하여 선체의 일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유닛(200)은 제1가이드(220) 및 제2가이드(24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가이드유닛(200)에 의해 후술할 클램프유닛(400)은 가이드유닛(200)에 결합되고, 롤러유닛(300)은 원하는 위치에 이동 또는 회전한 후 클램프유닛(4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의 결합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유닛(200)은 레일과 같이 형성될 수 있으나 위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은 문제되지 않는다.
제1가이드(220)는 파운데이션(100)의 상면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가이드(240)는 파운데이션(100)의 내부의 양 측면에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가이드(240)는 쌍을 이루어 구비될 수 있다.
클램프유닛(400)은 가이드유닛(200)에 구비되어 후술할 롤러유닛(300)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클램프유닛(400)은 가이드유닛(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롤러유닛(300)은 주변 환경 등에 따라 그 개수와 각도 등을 조정하여 위치되어 클램프유닛(400)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롤러유닛(300)의 단면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롤러유닛(300)에 로프 또는 와이어 등이 감기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1가이드(220)에 제1클램프(420)가 결합되고 제1롤러(320)가 고정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가이드(220)는 파운데이션(100)의 상면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가이드(2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파운데이션(100)은 제1가이드(220)와 대향되는 타측에 돌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롤러(320)는 일측이 돌출부(120)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1클램프(420)에 힌지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변 해양 환경 등에 따라 사용자는 페어리더 상면에 설치할 제1롤러(320)의 개수와 각도를 설정한 후에 제1롤러(320)를 돌출부(120)에 결합한 다음 제1클램프(420)에 결합하여 제1클램프(420)를 고정한다.
이 때, 제1클램프(420)를 고정하는 방법은 볼트결합 또는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볼트결합은 제1롤러(320)의 설치 또는 교체 등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환경에 따라 파운데이션(100)에 결합하는 제1롤러(320)의 각도를 미세한 조정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제1롤러(320)의 길이는 제1클램프(420)가 제1가이드(220)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제1롤러(320)의 길이는 동일하게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하나의 제1롤러(320)가 끝단에 위치하는 경우 다른 하나의 제1롤러(320)는 가장 짧은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위와 같은 경우로도 본 발명의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는 다양한 해양 환경에 대응하여 유니버셜 페어리더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롤러(320)는 상기와 같이 하나의 제1클램프(420)에 두 개의 제1롤러(320)가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고 2개의 제1클램프(420)에 각각 결합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파운데이션의 내부에만 롤러부가 구비되는 종래의 유니버셜 페어리더와 달리 파운데이션의 상면의 공간까지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은 유니버셜 페어리더의 목적인 계류장치로써의 효과를 더욱 높여 안전사용하중(SWL)이 증대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제2가이드(240)에 제2클램프(440)가 결합되고 제2롤러(340)가 고정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에서와 같이, 제2가이드(240)는 파운데이션(100)의 내부의 양 측면에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클램프(440)는 적어도 하나가 제2가이드(240)에 구비되고 내부에 홀이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때, 제2클램프(440)는 제2고정클램프(440a)와 제2유동클램프(4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및 유동의 의미는 제2가이드(240)의 길이방향으로의 고정 및 유동의 의미가 아니라 후술할 제2클램프(440)를 이용하여 제2롤러(340)를 고정시키는 관계에서의 의미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제2클램프(44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제2롤러(340)와 제2클램프(440)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제2고정클램프(440a)는 제2클램프(440)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성으로써, 상부에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동클램프(440b)는 제2클램프(440)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으로써, 하부의 일부가 제2고정클램프(440a)의 함몰부에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롤러(340)는 제2가이드(2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클램프(440)에 형성되는 홀에 위치하면 제2고정클램프(440a)에 형성된 반원형의 홀에서 멈추게 되고, 제2유동클램프(440b)를 제2고정클램프(440a)에 구비되는 함몰부에 결합하여 제2롤러(340)를 고정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이 때 제2고정클램프(440a)에 구비되는 형상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으나, 제2고정클램프(440a)의 양 단의 단면의 형상이 제2롤러(340)의 양 단의 단면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롤러(340)는 제2가이드(240)의 길이방향으로 탈착 또는 부착 할 수 있다.
제2롤러(34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되는 개수와 위치는 주변 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니버셜 페어리더를 통해 사용자는 신속하게 주변 환경에 대응하여 페어리더를 구성할 수 있으며 롤러유닛(300)에 감기는 로프 또는 와이어의 방향 또는 위치에 따라 안전사용하중(SWL)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파운데이션
120: 돌출부
200: 가이드유닛
220: 제1가이드
240: 제2가이드
300: 롤러유닛
320: 제1롤러
340: 제2롤러
400: 클램프유닛
420: 제1클램프
440: 제2클램프
440a: 제2고정클램프
440b: 제2유동클램프

Claims (6)

  1. 파운데이션;
    상기 파운데이션의 상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 및 상기 파운데이션의 내부의 양 측면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가 구비되는 가이드유닛;
    상기 가이드유닛에 구비되는 클램프유닛; 및
    상기 클램프유닛에 의해, 상기 가이드유닛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롤러유닛;
    을 포함하는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유닛은
    상기 제1가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클램프;
    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운데이션은 일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유닛은
    일측이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클램프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제1롤러;
    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유닛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가이드에 구비되고, 내부에 홀이 형성되는 제2클램프;
    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램프는
    상부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제2고정클램프; 및
    하부가 상기 함몰부에 결합되어 일정거리를 유동하도록 구비되는 제2유동클램프;
    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은
    상기 제2가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롤러;
    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
KR1020170172880A 2017-12-15 2017-12-15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 KR101964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880A KR101964218B1 (ko) 2017-12-15 2017-12-15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880A KR101964218B1 (ko) 2017-12-15 2017-12-15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218B1 true KR101964218B1 (ko) 2019-08-07

Family

ID=6762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880A KR101964218B1 (ko) 2017-12-15 2017-12-15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82805A (zh) * 2023-12-12 2024-01-12 泰州市鸿宇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船用多功能导缆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399B1 (ko) 2010-06-04 2012-09-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페어리드
KR20140018600A (ko) * 2012-08-02 2014-02-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핸드레일 일체형 무어링 피팅
KR20150065442A (ko) * 2013-12-05 2015-06-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70001661U (ko) * 2015-11-04 2017-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니버셜 페어리드
KR20170064848A (ko) * 2015-12-02 2017-06-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계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399B1 (ko) 2010-06-04 2012-09-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페어리드
KR20140018600A (ko) * 2012-08-02 2014-02-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핸드레일 일체형 무어링 피팅
KR20150065442A (ko) * 2013-12-05 2015-06-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70001661U (ko) * 2015-11-04 2017-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니버셜 페어리드
KR20170064848A (ko) * 2015-12-02 2017-06-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계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82805A (zh) * 2023-12-12 2024-01-12 泰州市鸿宇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船用多功能导缆器
CN117382805B (zh) * 2023-12-12 2024-02-23 泰州市鸿宇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船用多功能导缆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917B1 (ko) 펜더 대빗 장치
US10053327B2 (en) Rotating fairlead device
US9199697B2 (en) Dual axis chain support with chain guide
KR101762832B1 (ko) 선박용 계류 장치
KR101964218B1 (ko)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
KR20130000733U (ko) 선박의 앵커 주시용 플랫폼
KR102111988B1 (ko)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954798B1 (ko) 선박용 페어리드
KR20130007409U (ko) 고소 작업용 안전벨트 장치
AT515061A1 (de) Vorrichtung zum Festlegen von Schwimmkörpern
KR102400054B1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JP2012116304A (ja) 係船索用保護装置
JP2017144851A (ja) 係留索拘束機構および係留構造体
US2919110A (en) Fairlead
KR20140005359U (ko) 앵커 체인의 정렬 기구
KR101616837B1 (ko) 계류장치
KR10155626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설치방법
KR20140018600A (ko) 선박의 핸드레일 일체형 무어링 피팅
KR101640047B1 (ko) 이동식 페어리드를 지닌 계류장치
CN205574231U (zh) 一种船用保护装置
KR20130039490A (ko) 잠수함 예인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예인방법
KR20160001031U (ko) 희생양극이 사용된 계류체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KR101617188B1 (ko) 멀티 체인 스토퍼 유닛
KR101722088B1 (ko) 크레인선의 연동작업을 위한 계류설비
KR20180003558U (ko) 선박용 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