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661U - 유니버셜 페어리드 - Google Patents

유니버셜 페어리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661U
KR20170001661U KR2020150007154U KR20150007154U KR20170001661U KR 20170001661 U KR20170001661 U KR 20170001661U KR 2020150007154 U KR2020150007154 U KR 2020150007154U KR 20150007154 U KR20150007154 U KR 20150007154U KR 20170001661 U KR20170001661 U KR 201700016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pe
universal
door
open fro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민종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7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661U/ko
Publication of KR201700016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6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B63B2704/00
    • B63B27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갑판 상에 설치되고, 개방된 전후방을 통해 선박의 계류를 위한 로프가 통과될 수 있게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전후방을 통과하는 로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원통형 롤러 및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전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유니버셜 페어리드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계류가 필요 없는 운항 중에 페어리드가 물이나 기후로 인해서 정작 계류 작업시 작동이 불가하거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페어리드가 보호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유니버셜 페어리드{Universal fairlead}
본 고안은 선박의 계류(mooring)를 위한 장치들 중 특히 유니버셜 페어리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용 계선 설비(moorings arrangement)라 함은 선박의 계박(繫泊)을 위해 사용되는 설비의 총칭으로, 대표적으로는 닻과 닻 사슬 및 닻줄 등이 있으며, 선수의 갑판 상에서 사슬 고리를 회전시켜서 사슬에 연결된 체인을 감아 올리고 내리는 양묘기(windlass)가 있고, 같은 목적의 캡스턴(capstan)도 있다. 이외에도 계류라인(로프)을 매어두기 위한 볼라드(bollard)와 비트(bit) 및 상기 계선 줄을 가이드 하기 위한 페어리드(fairlead) 등이 있다.
볼라드와 비트는 계류라인을 갑판 위에서 매어서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페어리드는 선박의 외부로 계류라인을 유도함과 동시에, 계류라인이 선박의 현측(舷側)에서 과도하게 구부러져 마찰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중 유니버셜 페어리드(universal fairlead)는 로프의 인장 방향에 따라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로프에 대한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로프의 단락을 미연에 방지하고,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니버셜 페어리드를 도시한 것으로서, 유니버셜 페어리드(10)는 두꺼운 강철로 된 프레임(11) 내에 수평 롤러(12)와 수직 롤러(13)가 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프레임(11)의 전후는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개방된 프레임(11)의 전후를 통해서 로프가 이동되고, 로프가 이동될 때 롤러에 의해서 마찰을 최소화하고, 휘어지는 각을 최소화하여 로프가 풀리고 권취되게끔 한다.
도시에는 수평 롤러(12)가 상하로 두 개가 배치되고, 수직 롤러(13)가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페어리드는 계류를 위해 선박의 측면 방향에 구비되게 되는데, 그렇다 보니 개방된 페어리드의 프레임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경우가 많은데, 추운 지역을 항해하는 경우에는 프레임 내부로 유입된 물이 얼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눈보라가 들이치게 된다.
페어리드는 계류를 하는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필요한데, 운항 중에 프레임 내측으로 물이 들어오는 등 프레임 내측의 각 부속물들이 얼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정작 계류를 위한 동작시에는 정상 작동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0828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계류가 필요 없는 운항 중에 페어리드가 물이나 기후로 인해서 정작 계류 작업시 작동이 불가하거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페어리드가 보호될 수 있도록 고안된 유니버셜 페어리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페어리드는, 갑판 상에 설치되고, 개방된 전후방을 통해 선박의 계류를 위한 로프가 통과될 수 있게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전후방을 통과하는 로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원통형 롤러 및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전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한 쌍의 도어가 상기 프레임의 좌우 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한 쌍의 도어 중 적어도 일 도어는 2단으로 구성되어, 2단의 도어는 서로 힌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도어 내측에는 히팅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페어리드는, 갑판 상에 설치되고, 개방된 전후방을 통해 선박의 계류를 위한 로프가 통과될 수 있게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전후방을 통과하는 로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원통형 롤러,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전방을 통한 외기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밀폐수단 및 상기 프레임 내측의 온도 유지를 위한 보온 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유니버셜 페어리드에 의하면, 계류가 필요없는 운항 중에 개폐수단에 의해서 페어리드의 현측 개방부를 차단시킴으로써, 물이 유입되어 부속 장치들이 손상을 입지 않게 한다.
또한, 프레임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얼거나 들이닥친 눈보라 등으로부터 페어리드를 구성하는 장치들을 보호함으로써, 페어리드에 의해 계류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수단이 2단의 도어로 이루어짐으로써, 두께와 무게가 큼에도 불구하고 개폐수단의 작동이 용이하게 한다.
나아가, 개폐수단 내측에 열선이 구비됨으로써, 물리적인 보호 외에 열적으로도 페어리드를 보호하여 보다 안전하다.
도 1은 종래의 페어리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니버셜 페어리드를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니버셜 페어리드를 평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유니버셜 페어리드를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유니버셜 페어리드를 평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니버셜 페어리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니버셜 페어리드는 계류를 위한 로프의 인장 방향에 따라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로프에 대한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로프의 단락을 미연에 방지하고,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유니버셜 페어리드는 선박의 측면 방향에 마련되어 로프가 양묘기(windlass)에 잘 감기거나 양묘기로부터 잘 풀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니버셜 페어리드를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니버셜 페어리드를 평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니버셜 페어리드(100)는 프레임(110)과 원통형 롤러(120) 및 개폐수단 등을 포함한다.
유니버셜 페어리드(100)는 선박의 계류를 위한 로프의 가이드를 위해서 일정한 외곽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110)이 갑판 상 선박의 측면 방향에 설치된다.
프레임(110)은 로프가 통과될 수 있도록 전후방이 개방되고, 원통형 롤러(120) 등이 지지될 수 있게 마련된다.
프레임(110)의 전방은 선박의 측면 방향을 뜻하고, 후방은 반대 방향을 뜻한다.
원통형 롤러(120)는 프레임(110)의 내측에 마련되어 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는 원통형 부재로서, 프레임(110)의 개방된 전후방을 통해 통과되는 로프의 각도를 유지시켜 주고, 원만하게 말아지거나 풀어질 수 있도록 마찰력을 감소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 롤러(120)는 로프가 접촉되어 로프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프레임(110)에 회전 지지된다.
이를 위해 원통형 롤러(120)는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축이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원통형 롤러(120)는 수평 롤러와 수직 롤러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프레임(110)의 구조상 각각 하나 또는 두 개로 마련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직 롤러(120)만 도시된 것을 일 예로 표시하였지만, 수직 롤러가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직 롤러(120)는 프레임(110)의 상부와 하부에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로프가 접촉되면서 이동됨에 따라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로프가 받는 마찰력을 저감시키고, 로프의 이동을 보조한다.
개폐수단은 전후방이 개방된 프레임(110)의 전방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는 일 예로 개방된 전방에 한 쌍의 도어(140)가 프레임(110)의 좌우 전방 좌우 측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프레임(110)의 전방을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즉, 개폐수단에 의해서 선박이 정박하여 로프가 풀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도어(140)를 회전시켜 열어서 로프를 가이드하고, 로프가 풀어져 있을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는 도어(140)를 다시 회전시켜 닫음으로써 프레임(110)의 개방된 내측에 물 등이 유입되지 않게 하고, 차가운 외기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도어(140)는 닫아졌을 때는 한 도어가 다른 도어를 일부 덮을 수 있는 형태로 일부 겹쳐지도록 구성하거나, 별도의 도어 결합 플레이트를 부가하여 두 도어(140)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의해서 외기나 물 등이 도어(140) 간의 간극을 통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도어(140)의 조작을 위해서 도어(140)에는 손잡이(141)가 구비될 수 있고, 프레임(110)과는 힌지(151)에 의해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도어(140)는 3톤 이상으로 무거운 플레이트로 구비된다. 이는 페어리드가 무겁고 두꺼운 플레이트로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인데, 페어리드가 이 같이 구성되는 것은 수중으로 내려지는 로프의 하중을 견뎌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도어(140)의 개폐 조작은 그 무게로 인해 어려움이 존재하는데, 본 고안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적어도 일 도어는 2단으로 구성하고, 2단의 도어는 서로 힌지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도어(140)의 개폐 조작이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유니버셜 페어리드(100)에서는 양 도어(140) 모두 2단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도어(140)를 구성하는 2단 플레이트는 서로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었다.
나아가, 추운 외기에도 프레임(110) 내의 구성들이 보호될 수 있도록 프레임 내측에는 보온 수단이 구성될 수 있고, 그 일 예로는 도어(140)의 내측에 히팅 수단으로서 열선 등이 배열되게 구성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개폐수단은 이와 같이 구성됨에 의해, 외기나 외부 물질로부터 페어리드를 보호하고, 온도도 유지시켜 부속 부재의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러면서도 조작이 보다 용이하도록 구현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유니버셜 페어리드를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유니버셜 페어리드를 평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유니버셜 페어리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니버셜 페어리드(200)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평면상 사각 형상의 프레임과 달리 프레임(210)이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고, 확장된 프레임(210) 상에 수직 외곽 롤러(221)가 더 구비된 실시예이다.
즉, 앞선 실시예와 같은 수직 롤러(220)와 수평 롤러(230)가 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추가적으로 수직 외곽 롤러(221)가 구비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210)은 전방이나 후방 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도시에는 전방 측, 즉 선박의 측면 방향으로 확장되어 선박의 측면 방향에 수직 외곽 롤러(221)가 추가된 것을 예로 들었는데, 후방 측에도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외곽 롤러(221)는 두 개까지 구성될 필요가 없으므로, 도시와 같이 프레임(210)의 확장부는 평면상 삼각 형상이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의 개폐수단으로서의 도어(240)는 프레임(210)의 전방 개방부를 차단시키되, 프레임(210) 확장부에 맞게 양 도어(240)가 비대칭적인 크기와 프레임(21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각도도 각각 다른 형태로 마련된다.
이는 수직 외곽 롤러(221)가 프레임(210)의 정면상 중앙에 위치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즉, 도시상 좌측의 도어는 우측의 도어보다 길이가 더 길고, 프레임(21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의 도어보다 각이 작다.
반면에 도시상 우측의 도어는 좌측의 도어보다 길이가 더 짧고, 프레임(21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의 도어보다 각이 크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수평하게 만나는 도어 간의 결합을 위해서 하나의 도어에 결합부가 연장된 형태로 가능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와 도어가 수평하게 만나지 못하기 때문에 도어간 결합을 위한 별도의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앞선 실시예와 같이, 각 도어는 2단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도어를 형성하는 2단의 도어가 힌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데, 도시와 같이, 길이가 비교적 짧은 우측 도어의 경우에는 2단으로 구성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200 : 유니버셜 페어리드
110, 210 : 프레임
120, 220 : 수직 롤러
230 : 수평 롤러
140, 240 : 도어
151, 152, 251, 252 : 힌지

Claims (5)

  1. 갑판 상에 설치되고, 개방된 전후방을 통해 선박의 계류를 위한 로프가 통과될 수 있게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전후방을 통과하는 로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원통형 롤러; 및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전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유니버셜 페어리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한 쌍의 도어가 상기 프레임의 좌우 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페어리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도어 중 적어도 일 도어는 2단으로 구성되어, 2단의 도어는 서로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페어리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도어 내측에는 히팅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페어리드.
  5. 갑판 상에 설치되고, 개방된 전후방을 통해 선박의 계류를 위한 로프가 통과될 수 있게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전후방을 통과하는 로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원통형 롤러;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전방을 통한 외기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밀폐수단; 및
    상기 프레임 내측의 온도 유지를 위한 보온 수단을 포함하는,
    유니버셜 페어리드.
KR2020150007154U 2015-11-04 2015-11-04 유니버셜 페어리드 KR201700016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154U KR20170001661U (ko) 2015-11-04 2015-11-04 유니버셜 페어리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154U KR20170001661U (ko) 2015-11-04 2015-11-04 유니버셜 페어리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661U true KR20170001661U (ko) 2017-05-12

Family

ID=58716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154U KR20170001661U (ko) 2015-11-04 2015-11-04 유니버셜 페어리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66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798B1 (ko) * 2017-11-30 2019-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페어리드
KR101964218B1 (ko) * 2017-12-15 2019-08-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0828A (ko) 2009-09-18 2011-03-24 미래산업기계 주식회사 유니버셜 페어리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0828A (ko) 2009-09-18 2011-03-24 미래산업기계 주식회사 유니버셜 페어리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798B1 (ko) * 2017-11-30 2019-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페어리드
KR101964218B1 (ko) * 2017-12-15 2019-08-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1661U (ko) 유니버셜 페어리드
US20150299973A1 (en) Land-mounted flap gate
US20160265260A1 (en) Closure With Roller Endlock
KR102646929B1 (ko) 연기확산방지용 커튼모듈이 구비된 수밀문
US5577541A (en) Rolling door assembly having pass door arrangement
KR102111988B1 (ko)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614059B1 (ko) 선박용 파일럿 도어장치
KR20140001394U (ko) 선박용 루버장치
KR101278571B1 (ko) 안전강화 수밀 및 풍우밀 선박 강재문
KR101031267B1 (ko) 선박용 도어
KR20130002513U (ko) 선박용 실 도어
KR20150002247U (ko) 문풀 셔터 장치
US20110107673A1 (en) Movable barrier for controlling accesses in general
KR200413716Y1 (ko) 현관 방화문과 그 문틀의 구조
KR101259943B1 (ko) 선박용 도어
KR102205022B1 (ko) 선박용 해치 어셈블리
KR101704755B1 (ko) 건조선박의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
KR20150048314A (ko) 경사를 갖는 풍우밀 스틸도어
KR20130002512U (ko) 선박용 실 도어
KR101964218B1 (ko) 유니버셜 페어리더 장치
JP2015071857A (ja) 防波扉
KR20150022053A (ko) 커버장치
KR101298628B1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잠수사 이송장치용 도어 모듈 및 이것의 운용 방법
CN113482470B (zh) 一种船舶舱门双向限位装置及双向限位方法
KR20150002614U (ko) 선박의 롤링 감소 문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