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755B1 - 건조선박의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 - Google Patents

건조선박의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755B1
KR101704755B1 KR1020150075703A KR20150075703A KR101704755B1 KR 101704755 B1 KR101704755 B1 KR 101704755B1 KR 1020150075703 A KR1020150075703 A KR 1020150075703A KR 20150075703 A KR20150075703 A KR 20150075703A KR 101704755 B1 KR101704755 B1 KR 101704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stopper
rotation
dry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1188A (ko
Inventor
김운수
김영택
이영철
주종흥
권혁진
이재현
정재석
최철수
Original Assignee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5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755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9/00
    • B63B9/06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중인 선박의 출입을 위해서 상기 선박의 측면에 형성하는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건조선박에 설치되는 기초 플랫폼; 상기 기초 플랫폼에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 플랫폼; 및 상기 기초 플랫폼에 입설되며, 회전 플랫폼이 수평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회전 플랫폼의 전단과 연결된 지지용 와이어를 연결해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조선박의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PLATFORM FOR PASSING TO A SIDE-OPENING ON THE SHIP BUILDING}
본 발명은 건조 중인 선박의 출입을 위해서 상기 선박의 측면에 형성하는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선박 건조는 크게 선박블록 제작, 선박블록 조립, 선박 내 설비 구축 순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선박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 조립을 완료하면 선박 내 설비와 각종 내장재 구축 등이 진행된다.
한편, 선박블록의 조립 등을 완료하면 일반적으로 건조선박을 해상에 부상시켜 후속 건조 작업을 진행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건조 부두에서 건조선박으로 출입하며 내부 설비 등을 위한 각종 자재를 운반해야 했다. 특히 건조 대상 선박이 LNG선인 경우에는 선박에 설비되는 LNG 전용 탱크 내벽의 보온 처리를 위해서 작업자와 각종 보온 자재 등의 빈번한 출입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건조선박의 측벽에 사이드 오프닝을 임시로 형성해서 상기 지점을 통해 작업자 및 자재의 용이한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했다.
해상에 부상시킨 건조선박은 현 위치를 유지하도록 건조 부두에 견고히 고정한다. 하지만, 건조선박이 건조 부두의 안벽과 접촉할 경우에는 건조선박 자체가 파손할 수 있으므로, 건조선박과 건조 부두 간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시켜야 한다. 따라서 건조선박과 건조 부두 사이에 발생한 간격에도 작업자가 사이드 오프닝을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건조선박과 건조 부두 사이를 잇는 플랫폼과 통행구조물을 설치했다.
도 1(종래 플랫폼의 설치 모습을 보인 이미지)을 참고해서 종래 플랫폼의 모습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사이드 오프닝에는 작업자 및 자재의 출입을 위한 플랫폼이 설치되고, 건조 부두와의 직접적인 연결을 위한 브릿지가 부가적으로 설치된다. 작업자는 브릿지 등을 통해 건조 부두에서 사이드 오프닝으로 진입할 수 있고, 크레인 등을 이용해서 건조 부두에 있는 각종 자재를 플랫폼에 운반할 수 있다.
종래에는 플랫폼의 일단을 사이드 오프닝의 가장자리에 고정하고, 건조 부두 쪽으로 돌출한 타단은 사이드 오프닝에 고정된 지지용 와이어로 연결해서 플랫폼을 수평하게 설치했다. 결국, 종래 플랫폼은 사이드 오프닝에 일단 설치하면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작업자 및 자재의 출입로로 기능을 유지했다.
이러한 플랫폼은 선박 건조에 있어 반드시 요구되는 설비이므로, 현재 선박 건조 공정에서는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동해와 같이 조수의 차이가 거의 없는 지역에서는 종래 고정식 플랫폼이 부담없이 널리 쓰이고 있다. 동해는 수위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사이드 오프닝과 건조 부두 간의 높이 차이가 거의 일정해서, 고정식 플랫폼이 건조 부두와 충돌할 위험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서해 또는 남해와 같이 조수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심한 지역에서는 조수 차이로 인해 수위변화가 크므로, 해상에 있는 건조선박은 수위변화에 따라 건조 부두와의 높이 차이가 급격히 변할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도 조수 변화에 따른 해상 건조선박의 고저 차이가 6 ~ 8 m에 달했고, 이러한 해상 환경에서 종래 고정식 플랫폼은 수위 변화에 따라 건조 부두의 안벽과 충돌하면서 그 파손이 빈번했다.
물론,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고정식 플랫폼과 건조 부두 간의 수평거리 또는 수직거리를 강제로 벌릴 수 있으나, 이는 작업자 및 자재의 통행에 큰 불편을 초래하므로 이 또한 다른 해결방안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해상의 건조선박이 수위 변화에 따라 승,하강해도 건조 부두의 안벽 등과 충돌해서 파손하는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사고 발생 방지를 위한 조작 또한 용이하도록 된 건조선박의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조선박에 설치되는 기초 플랫폼;
상기 기초 플랫폼에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 플랫폼; 및
상기 기초 플랫폼에 입설되며, 회전 플랫폼이 수평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회전 플랫폼의 전단과 연결된 지지용 와이어를 연결해 지지하는 서포터;
를 포함한 건조선박의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른 플랫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건조 부두의 안벽과 충돌하지 않도록 플랫폼을 접어 보호할 수 있고, 작업자와 자재의 보호를 위한 펜스를 갖추면서도 회전 플랫폼을 접을 때 펜스가 주는 간섭을 해소했으므로, 펜스 설치 또는 철거 등에 대한 작업자의 노동 부담을 이유로 펜스 설치를 생략해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플랫폼의 설치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이 건조선박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이 동작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이 건조선박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이 접힌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수위 변화에 따라 플랫폼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가 스토퍼에 탈착하는 모습을 순차로 보인 측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이 건조선박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은 건조선박(10)에 고정되는 기초 플랫폼(110)과, 기초 플랫폼(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플랫폼(120)과, 회전 플랫폼(120)의 측면에 설치되는 펜스(130)를 포함하고, 부가적으로 기초 플랫폼(110)에 설치되어 완전히 접힌 회전 플랫폼(120)을 지지하는 스토퍼(140)와, 펼쳐진 회전 플랫폼(120)을 지지용 와이어(151)를 이용해서 지지하는 서포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 플랫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와 자재의 출입을 위해서 건조선박(10)의 사이드 오프닝에 수평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플랫폼은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건조 부두의 안벽(20)과 충돌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은 해수면의 높이가 낮아지기 전에 플랫폼이 안벽(20)과 접하지 않도록 임시로 접어 고정할 수 있는 회전 플랫폼(120)을 포함한다. 그런데, 작업자는 플랫폼의 측면에 설치된 브릿지(도 1 참고)로 통행하므로, 플랫폼 전체가 회전하면서 브릿지 설치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은 건조선박(10)에 고정되는 기초 플랫폼(110)을 포함하고, 이를 기초로 회전 플랫폼(1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플랫폼의 각 구성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기초 플랫폼(110)은 건조선박(10)의 사이드 오프닝에 설치되어서, 상기 브릿지를 기초 플랫폼(110)의 측면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릿지는 상단이 기초 플랫폼(110)의 측면에 설치되고, 하단이 건조 부두에 설치된다. 따라서 건조 부두의 작업자는 상기 브릿지를 통해 기초 플랫폼(110)으로 진입한 후 사이드 오프닛으로 출입하고, 사이드 오프닝 또는 회전 플랫폼(120)의 작업자는 상기 브릿지를 통해 건조 부두로 진입한다. 참고로, 기초 플랫폼(110)은 작업자가 상기 브릿지를 통해 최초로 진입하는 구간이므로 이를 다른 구역과 식별하는 동시에 접힌 회전 플랫폼(120)이 다시 펼쳐지거나, 접혀진 회전 플랫폼(120)이 기초 플랫폼(110)을 통행하는 작업자를 덮치지 않도록, 스토퍼(140)를 보강 구축한다.
회전 플랫폼(120)은 기초 플랫폼(110)의 선단과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기초 플랫폼(110)과 회전 플랫폼(120)은 연결라인을 따라 플랫폼 힌지(121)를 매개로 연결된다. 한편, 회전 플랫폼(120)은 수평하거나 상방으로 기립한 자세가 되도록 회전하므로, 회전 플랫폼(120)은 수평 자세에서 하방으로 회전하는 것은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방으로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보가 보강 형성될 수 있다. 회전 플랫폼(120)은 각종 자재가 크레인에 의해 옮겨져서 일시로 위치하는 곳이므로, 기초 플랫폼(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이루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펜스(130)는 회전 플랫폼(120)에 위치하는 작업자 또는 자재가 부주의 등으로 인해서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다. 이를 위한 펜스(130)는 회전 플랫폼(120)의 측면 선단을 따라 일렬로 입설되는 지주(131, 132)와, 지주(131, 132)를 따라 수평하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재(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주(131, 132)는 접히는 과정에서 스토퍼(140) 등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지주 힌지(131a, 132a)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재(133) 또한 지주(131, 132)를 따라 회전하도록 수평재 힌지(132b)를 매개로 지주(131, 132)에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 예는 수평재(133)의 말단이 수평재 힌지(141)를 매개로 스토퍼(1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됐으나, 수평재(133)의 말단을 연결하는 지주를 추가로 보강해서 수평재(133)의 말단을 스토퍼(140)에 연결하지 않을 수도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는 지주(131, 132)가 한 측면을 따라 2개씩, 수평재가 한 측면을 따라 2개씩을 구성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회전 플랫폼(120)의 체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스토퍼(140)는 기초 플랫폼(110)에 설치되어서 완전히 접힌 회전 플랫폼(120)을 임시로 고정하거나, 완전히 접힌 회전 플랫폼(120)이 기초 플랫폼(110)을 통행하는 작업자를 덮치지 않도록 보호한다. 이를 위해 스토퍼(140)는 기초 플랫폼(110)에서 회전 플랫폼(120)과의 경계 부분에 입설한다. 스토퍼(140)는 작업자의 통행이 이루어지는 구간에 설치되므로, 본 실시 예와 같이 문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각종 자재의 낙하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면에 커버를 덮을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140)는 접힌 회전 플랫폼(120)이 접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브래킷(142)를 구비한다. 고정브래킷(142)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의 동작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서포터(150)는 수평하게 배치한 회전 플랫폼(12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플랫폼(120)에는 일정 중량의 각종 자재 등을 안착해야 하므로, 수평하게 배치한 회전 플랫폼(120)은 그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 예는 기초 플랫폼(110)에 서포터(150)를 입설해서, 서포터(150)의 상단부와 회전 플랫폼(120)의 전단을 지지용 와이어(151)로 연결한다. 따라서 대각으로 배선되는 지지용 와이어(151)는 서포터(150)를 기초로 회전 플랫폼(120)을 지지해서, 일정 중량의 자재 등을 회전 플랫폼(120)에 안정적으로 안착하게 한다.
미설명 도면부호인 '210'은 사이드 오프닝을 개폐하는 '도어'로, 건조선박(10)의 내부를 보호하면서도 작업자 및 자재의 출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이 동작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이 건조선박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이 접힌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인 바, 이를 참고해 설명한다.
1. 수위 변화 확인
작업자는 해수면의 높이가 낮아지는 시간 등을 체크해서 회전 플랫폼(120)의 절첩 여부를 결정한다.
우리나라에서 조수 변화는 1일 2회이므로, 회전 플랫폼(120) 역시 절첩 작업을 1일 2회 반복한다.
2. 회전 플랫폼 절첩 작업 준비
작업자는 회전 플랫폼(120)의 절첩을 위해서 회전 플랫폼(120)을 당길 크레인(미 도시)을 준비한다. 일반적으로 사이드 오프닝의 상단에는 상기 크레인이 설치되어서 건조 부두에 비치된 각종 자재 등을 회전 플랫폼(120)으로 운반한다. 이를 활용해서 회전 플랫폼(120) 또한 상기 크레인을 이용해 상방으로 회전시켜 들어올린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상기 크레인의 후크(H)를 내려서 회전 플랫폼(120)의 전단에 걸어 연결한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 플랫폼(120)의 전단에도 가장자리를 따라 펜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펜스용 와이어(134)를 설치하는데, 후크(H)를 펜스용 와이어(134)에 걸어 연결한다. 참고로, 펜스용 와이어(134)는 회전 플랫폼(120)에 위치한 작업자 또는 자재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펜스용 와이어(134)를 해체해서 대형 자재의 출입을 원활히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펜스용 와이어(134)는 회전 플랫폼(120)의 양측 가장자리에 입설한 지주(132, 132')에 양단이 각각 연결된다.
후크(H)를 이용한 회전 플랫폼(120)과의 연결은 펜스용 와이어(134)를 매개로 할 수도 있으나, 회전 플랫폼(120) 본체에 직접 고리 등을 구성해서 상기 고리를 매개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펜스(130)의 지주(131, 132)를 기초 플랫폼(110)을 향해 하단이 돌출된 형상으로 해서, 해당 돌출부(S)가 지주(131, 132)의 기초 플랫폼(110) 쪽 기울어짐을 저지하도록 한다. 또한 회전 플랫폼(120)이 수평 자세인 경우에는 지주(131, 132)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돌출부(S)를 회전 플랫폼(120)에 핀 등을 매개로 고정한다. 이를 위해서 돌출부(S)에 홀(131b)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해서 회전 플랫폼(120)에는 홀(131b)과 연통하는 홀을 갖는 브래킷(미 도시)을 형성한다. 결국 회전 플랫폼(120)이 수평 자세일 경우에는 상기 홀들이 서로 연통하므로, 상기 핀을 홀들에 관통해 고정시켜서 지주(131, 132)의 기울어짐을 저지한다. 결국, 본 실시 예와 같이 지주(131, 132)가 상기 핀을 매개로 회전 플랫폼(120)에 고정된 경우에는, 회전 플랫폼(120)을 회전시키기 전에 상기 핀을 제거한다.
3. 회전 플랫폼 회전
크레인의 동력을 활용해서 도 3의 (a)도면 및 (b)도면 순으로 회전 플랫폼(120)을 상방으로 회전시킨다. 회전 플랫폼(120)은 상기 크레인의 동력으로 인해 플랫폼 힌지(121)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한편, 수평재 힌지(141)를 매개로 말단이 스토퍼(140)에 연결된 수평재(133)는 플랫폼 힌지(121)의 회전축과 서로 다른 위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동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 플랫폼(120)의 회전각이 커질수록 수평재(133)와 회전 플랫폼(120) 간의 간격이 좁혀지고,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회전 플랫폼(120)이 완전히 접히면 펜스(130)와 회전 플랫폼(120)은 슬림한 구조를 이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은 회전 플랫폼(120)에 위치한 작업자와 자재의 보호를 위해서 상방으로 돌출한 펜스(130)도, 회전 플랫폼(120)을 접을 때 별다른 간섭없이 완전히 접어 임시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하나 이상의 수평재(133)를 가이드하는 지주(131, 132) 또한 하단이 지주 힌지(131a, 132a)를 매개로 회전 플랫폼(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회전 플랫폼(120)을 접을 때에도 수평재(133)의 변동을 안정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4. 회전 플랫폼 임시 고정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회전 플랫폼(120)이 완전히 접혔을 때 돌출부(S)에 형성된 홀(131b)과 연통하는 위치에 고정브래킷(142)가 배치되므로, 핀 등을 상기 홀(131b)과 고정브래킷(142)의 홀에 함께 끼워서 회전 플랫폼(120)을 스토퍼(140)에 임시로 고정한다. 이렇게 고정된 회전 플랫폼(120)은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크레인의 후크(H)를 해체한다.
이후, 해수면의 높이가 높아져서 회전 플랫폼(120)이 건조 부두의 안벽(20)과 접하지 않게 되면, 전술한 과정의 역방향으로 순차 진행해서 회전 플랫폼(120)을 수평하게 위치시킨다.
도 6은 수위 변화에 따라 플랫폼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6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해수면의 높이가 높아져서 회전 플랫폼(120)을 통한 작업이 가능한 경우에는 회전 플랫폼(120)을 수평 자세로 배치하고, 도 6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해수면의 높이가 낮아져서 회전 플랫폼(120)이 안벽(20)에 접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회전 플랫폼(120)을 접어서, 회전 플랫폼(120)과 안벽(20) 간의 접촉이 없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가 스토퍼에 탈착하는 모습을 순차로 보인 측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주(131)는 스토퍼(140)에 핀을 매개로 임시 고정되므로, 회전 플랫폼(120)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실시 예는 작업자가 회전 플랫폼(120)을 손쉽게 임시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지주(131)의 돌출부(S')는 스토퍼(140) 방향으로 경사진 걸이홈(131b')을 형성하고, 스토퍼(140)의 고정브래킷(142')는 걸이홈(131b')과 나란하게 경사지고 상단이 꺾이게 형성된 가이드홈(142a)과, 가이드홈(142a)을 따라 이동하는 걸이대(142b)와, 걸이대(142b)가 항상 가이드홈(142a)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탄발하는 걸이스프링(142c)을 구비한다.
도 7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지주(131)의 돌출부(S')가 스토퍼(140)의 고정브래킷(141')에 근접해서 걸이대(142b)에 접하면, 도 7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걸이대(142b)는 돌출부(S')의 압력을 받아 가이드홈(142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고, 도 7의 (c)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걸이스프링(142c)에 의해 탄발해서 돌출부(S')의 걸이홈(131b')에 맞물린다.
한편, 작업자가 회전 플랫폼(120)을 다시 펼치기 위해서 도 7의 (d)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걸이대(142b)를 강제로 내리면 돌출부(S')는 걸이대(142b)와의 맞물림이 해체되므로, 지주(131)는 고정력을 상실하면서 회전 플랫폼(120)은 스토퍼(140)로부터 이탈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건조선박 20; 안벽 110; 기초 플랫폼
120; 회전 플랫폼 121; 플랫폼 힌지 130; 펜스
131, 132; 지주 133; 수평재 134; 펜스용 와이어
140; 스토퍼 141; 수평재 힌지 142; 고정브래킷
150; 서포터 151; 지지용 와이어 210; 도어

Claims (6)

  1. 건조선박에 설치되는 기초 플랫폼; 상기 기초 플랫폼에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 플랫폼; 상기 기초 플랫폼에 입설되며, 회전 플랫폼이 수평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회전 플랫폼의 전단과 연결된 지지용 와이어를 연결해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되,
    상기 기초 플랫폼에 입설되는 스토퍼; 상기 회전 플랫폼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입설된 지주와, 상기 지주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말단이 스토퍼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수평재를 구비한 펜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기초 플랫폼 방향으로 돌출하되 제1홀을 형성한 돌출부를 갖추고;
    상기 스토퍼는, 회전 플랫폼이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홀을 관통한 핀이 끼워지는 제2홀을 형성한 고정브래킷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선박의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랫폼은, 돌출부의 제1홀과 연통하며 핀의 탈착이 가능한 제3홀을 갖춘 브래킷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선박의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랫폼의 전단에서 양단이 회전 플랫폼의 양측에 각각 입설된 지주에 연결된 펜스용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선박의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
  6. 건조선박에 설치되는 기초 플랫폼; 상기 기초 플랫폼에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 플랫폼; 상기 기초 플랫폼에 입설되며, 회전 플랫폼이 수평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회전 플랫폼의 전단과 연결된 지지용 와이어를 연결해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되,
    상기 기초 플랫폼에 입설되는 스토퍼; 상기 회전 플랫폼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입설된 지주와, 상기 지주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말단이 스토퍼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수평재를 구비한 펜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기초 플랫폼 방향으로 돌출하되 스토퍼 방향으로 경사진 걸이홈을 형성한 돌출부를 갖추며;
    상기 스토퍼는 걸이홈과 나란하게 경사지고 상단이 꺾이게 형성한 가이드홈과,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며 걸이홈이 삽탈하는 걸이대와, 걸이대가 항상 가이드홈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탄발하는 걸이스프링을 갖춘 고정브래킷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선박의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
KR1020150075703A 2015-05-29 2015-05-29 건조선박의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 KR101704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703A KR101704755B1 (ko) 2015-05-29 2015-05-29 건조선박의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703A KR101704755B1 (ko) 2015-05-29 2015-05-29 건조선박의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188A KR20160141188A (ko) 2016-12-08
KR101704755B1 true KR101704755B1 (ko) 2017-02-09

Family

ID=5757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703A KR101704755B1 (ko) 2015-05-29 2015-05-29 건조선박의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7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208B1 (ko) * 2018-07-26 2019-04-11 유한회사 선재테크 이동식 플랫폼 가설 발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5617A (zh) * 2018-10-26 2019-03-26 中船西江造船有限公司 一种采水瞭望平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237B1 (ko) * 2012-11-01 2014-05-16 유수원 각도 조절 가능한 계단형 사다리 잠금장치
KR20150024059A (ko) * 2013-08-26 2015-03-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복선 계류용 승선 사다리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208B1 (ko) * 2018-07-26 2019-04-11 유한회사 선재테크 이동식 플랫폼 가설 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188A (ko)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89275B (zh) 电梯装置和方法
JP5936869B2 (ja) 設備機器浸水対策システム
US20100326769A1 (en) Hatchway safety grab post safety barrier and grate
KR101704755B1 (ko) 건조선박의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
US11345571B2 (en) Rack-and-pinion elevator system having a protective roof
KR20130124207A (ko) 선박과 해양 구조물 간의 이송을 촉진시키기 위한 도킹 장치
KR101259945B1 (ko) 앵커 체인 스토핑 장치
TWI635998B (zh) 人員升降機安全防護裝置
JP2019085236A (ja) 船積み用雨除け装置
CN111409769A (zh) 一种组合式舱口盖装置
CN110937077A (zh) 船用洗窗装置
KR101756054B1 (ko) 갱폼 작업자 추락 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
US3183997A (en) Suspended working platform unit
KR101725373B1 (ko) 선박 건조를 위한 플랫폼의 통행용 브릿지를 갖춘 사이드 오프닝의 통행구조물
KR101785682B1 (ko) 탈부착이 자유로운 안전 맨홀커버
CN210882506U (zh) 一种船舶舷墙门结构
KR20140035110A (ko) 핸드그립이 구비된 맨홀
KR200188211Y1 (ko) 교량 점검용 방호벽을 이용한 이동식 출입장치
KR20110110496A (ko) 방호수단이 구성된 타워크레인
JP4448152B2 (ja) 開口部の養生柵装置
JP4833187B2 (ja) ゴンドラ設置工法
KR101574466B1 (ko) 갱폼과 레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적용한 갱폼 장치
KR20140002826U (ko) 선박용 플랫폼
CN208473515U (zh) 覆盖件侧门铰接安装结构及工程机械
KR20130002512U (ko) 선박용 실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