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939B1 - 건물 옥상의 비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 Google Patents

건물 옥상의 비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939B1
KR101963939B1 KR1020160160022A KR20160160022A KR101963939B1 KR 101963939 B1 KR101963939 B1 KR 101963939B1 KR 1020160160022 A KR1020160160022 A KR 1020160160022A KR 20160160022 A KR20160160022 A KR 20160160022A KR 101963939 B1 KR101963939 B1 KR 101963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ubber asphalt
waterproof
present
waterproof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0488A (ko
Inventor
심국진
Original Assignee
심국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국진 filed Critical 심국진
Priority to KR1020160160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939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의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비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a) 옥상 바닥면을 전처리하여 전처리된 바닥면(10)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전처리된 바닥면(10)에 수용성 아스팔트 프라이머(20)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아스팔트 프라이머(20)가 도포된 바닥면에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a)를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a)가 도포된 바닥면에 복합 방수 시트(40)를 까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복합 방수 시트(40)에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b)를 도포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계 (e)의 도포된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위에 누름면(50)을 형성하는 단계. 본 발명의 방법으로 시공한 비노출형 방수 구조체는 방수 구조체의 내구성이 현저한 것은 물론, 시공 방법이 간단하고, 시공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물 옥상의 비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Non Exposure Type Rooftop Waterproofing Method and Rooftop waterproofing structure}
본 발명은 건물 옥상의 비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옥상 바닥면 상부에 아스팔트 프라이머 층, 상기 아스팔트 프라이머 층 상부에 고무 아스팔트 방수제 층, 상기 고무 아스팔트 방수제 층 상부에 복합 방수 시트 층, 상기 복합 방수 시트 층 상부에 고무 아스팔트 방수제 층 및 상기 고무 아스팔트 방수제 층 상부에 누름면을 포함하는 비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콘크리트가 철근 또는 철골과 결합하여 입체적인 구조물을 형성하면서 완성되는 모든 건축물은 소정 목적 높이의 마지막 단계에서 외측 상면에 해당하는 옥상 구조물이 형성된다. 상기 옥상은 위치에 따른 고유 명칭으로, 건축물의 기초에서부터 일체로 연결되는 연속 구조물의 상부 외면에 해당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옥상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그 기초적 형태가 평면 바닥 모양이나, 활용목적에 따라 그 용도가 다양한 방식으로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옥상 구조물은 전체 구조물의 외면에 해당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최상층의 내부 공간장소의 안전한 사용을 보장하는 기능적 조건을 근본적으로 필요로 한다. 다시 말해서, 눈, 비, 추위, 더위, 햇볕, 바람과 같은 자연현상과 재해로부터의 안전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어떠한 형태나 어떠한 용도의 옥상 구조물이라도 눈, 비에 의한 물이 아래의 내부공간으로 침투되는 누수를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필수적인 사항일 뿐만 아니라, 추위 및 더위와 같은 외부기온으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기능의 사항, 즉 옥상구조물은 외부와의 접촉면이 크고 햇볕에 정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인 만큼 기온차이에 따른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임으로 보온단열도 필수적인 조건의 사항으로 된다.
또한, 현재의 건축물은 그 단위가 대형화됨에 따라 옥상의 공간장소에 대한 활용성 및 경제적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있고, 내부 실내 생활환경의 쾌적성 증가 요구에 따른 에너지소요 유지비용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옥상 구조물에 있어 누수방지 및 보온단열을 위한 형태 또는 방식에 있어 다음 사항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건축물의 외면을 이루는 구조물 중, 4방 외벽과 같은 부분은 수직 방향으로 존재하는데 비하여, 옥상 구조물은 최상층에 수평방향으로 구성되며,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눈, 비, 태양광, 바람, 추위, 더위 등의 자연현상으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화학적인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다시 말해서, 눈, 비와 같은 물, 더욱이 공해로 인한 산성비와 같은 외부 유체는, 시멘트 콘크리트구조물 조직 자체의 물리적 특성인 모세관현상으로 아무리 작은 틈새나 공간에도 침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영하의 온도로 내려가면 액체상태인 유체는 고체화되어 부피가 팽창하면서 주변 조직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 구조물 조직을 파괴하고 부식시키는 원인을 제공한다.
또한, 계절에 따른 혹한이나 혹서에 따른 기온은 고체형태의 옥상구조물 부피에 열 수축팽창 자극을 반복하게 되어 조직의 피로도를 증가 누적시켜 옥상구조물을 파괴시킨다. 이러한 현상은 앞서 언급한 물리적인 특성과 결합하여 가해지면 그 영향은 촉진되고 확대된다. 더욱이, 태양광(햇볕)은 뜨거운 열과 자외선으로 인한 자극의 영향도 제공한다. 구조물 조직의 물리적 특성에는 열에 대한 전도성과 축열성이 있기 때문에, 태양광의 열에 따른 열팽창수축의 자극과 내부 실내의 열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자극뿐만 아니라 자외선의 화학작용은 조직성분의 변화까지 일으킨다.
따라서 옥상구조물은 자연현상으로부터 안전성이 유지되고, 에너지 낭비도 방지되어야 하며, 공간장소로서의 활용기능 보장을 요구한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재 및 시공실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옥상방수를 위해서 시공하는 방수공법은 다양하다. 또한, 방수공법에 이용되는 방수시트들도 방수공법의 종류에 따라 그 재질 및 특성을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옥상방수에 적용하는 대부분의 방수공법에서 방수시트 의 상부에 폴리우레탄 등의 방수용 조성물을 도말 하는 노출형 방수공법과 방수시트의 상부에 폴리우레탄 등의 방수용 조성물을 도말한 다음 다시 보호 콘크리트 등으로 피복하는 비노출형 방수공법이 공통적으로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비노출식의 종래의 방수공법은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 및 방수층이 상호 결합되어져 있다가 세월이 경과되면서 계절의 변화와 습도 및 기온의 변화에 따라 신장율의 차이점으로 인하여 방수층이 부풀어 오르거나 터지고 또 방수층 내의 콘크리트 수분이 유입되면 수분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층이 부식 또는 산화되어 방수상태가 해제되어 누수는 물론 건물 수명이 단축되는 폐단이 되풀이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노출식 방수공법은 보호 콘크리트의 면정리를 하고 접착제로 사용하는 프라이머를 롤라 등을 이용하여 일회로 얇게 발라주는 정도의 공법으로 일관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의 강도나 포괄적 부착력이 없기 때문에 방수층의 일부가 파손될 경우 방수층 밑으로 수분이 침투하여 번지게 되므로 일부분 하자발생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확대되기 때문에 일정한 하자부위를 식별할 수 없으므로 하수 보수를 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실예로 시공된 방수층 일부를 떼어보면 장판지 일어나듯이 힘없이 떨어져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보호 콘크리트층과 방수층을 접착시키는 프라이머의 양과 질 또는 시공방법의 한계이다.
관련 지적재산 문헌을 살펴보면, KR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73079호(발명의 명칭 :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과방수층 구조)에서는 건물 옥상 방수 바탕 면을 평탄하게 조정하는 바탕조정단계; 상기 건물 옥상 방수 바탕면에 다수개의 기반시트를 일측이 서로 포개지도록 설치하여 기반층을 형성하는 기반층 형성단계; 상기 기반시트의 겹쳐진 부분을 건물 옥상 방수 바탕면에 바탕 고정재로 부분 고정하는 기반층 고정단계; 상기 바탕고정재가 설치된 기반층의 겹쳐진 부분을 접착 고정재로 부착하는 이음부분 처리단계; 상기 기반층에 속경성 도막 방수재를 스프레이 분사하여 방수피막을 형성하는 방수피막 형성단계; 상기 방수피막 표면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도를 유지하고 속경성 도막 방수재를 스프레이에 의해 흩뿌려, 미끄럼방지를 위한 엠보싱 가공처리하는 엠보싱층 처리단계; 상기 엠보싱 처리된 방수피막에 상도(Top-Coat)재를 도포하여 상도재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고,
KR 특허출원번호 제 10-2004-0069637호(발명의 명칭 : 옥상벽을 갖는 옥상 구조물의 바닥 시스템에 있어서, 단열 및 방수 처리된 옥상 바닥층; 상기 옥상 바닥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소정 높이를 갖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되고, 격자형태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옥상 바닥층의 전체면에 대응하여 상기 옥상 바닥층을 커버하는 방수단열 패널부재를 포함한 초단열 및 다중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구조물의 바닥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의 경우 방수 구조체의 내구성이 충분하지 못하고, 구조체 공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발생하는 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없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의 비노출형 방수 시공방법으로 제작한 비노출형 방수 구조체의 경우 방수 구조체에 하자가 발생할 경우 하자 보수 비용이 매우 높아 비노출형 방수 구조체의 하자 발생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비노출형 방수 시공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SBS(Styrene- Butadiene-Styrene) 개질 고무 아스팔트 자착식 시트의 상하를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로 도포하여 건조한 후, 누름면을 형성할 경우 비노출형 방수 구조체의 하자 발생 가능성이 거의 차단되는 것은 물론, 방수 구조체의 수명도 비약적으로 늘릴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비노출형 옥상 방수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옥상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의 비노출형 방수 시공방법으로 제작한 비노출형 방수 구조체의 경우 방수 구조체에 하자가 발생할 경우 하자 보수 비용이 매우 높아 비노출형 방수 구조체의 하자 발생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비노출형 방수 시공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SBS(Styrene- Butadiene-Styrene) 개질 고무 아스팔트 자착식 시트의 상하를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로 도포하여 건조한 후, 누름면을 형성할 경우 비노출형 방수 구조체의 하자 발생 가능성이 거의 차단되는 것은 물론, 방수 구조체의 수명도 비약적으로 늘릴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비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a) 옥상 바닥면을 전처리하여 전처리된 바닥면(10)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전처리된 바닥면(10)에 수용성 아스팔트 프라이머(20)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아스팔트 프라이머(20)가 도포된 바닥면에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a)를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a)가 도포된 바닥면에 복합 방수 시트(40)를 까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복합 방수 시트(40)에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b)를 도포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계 (e)의 도포된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위에 누름면(50)을 형성하는 단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옥상’은 건물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물의 최상층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방수 시공이 필요한 어떠한 장소도 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d)의 복합 방수 시트(40)는 좌우측 단부가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400 mm 겹쳐져 중복층을 형성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m 내지 200 mm 겹쳐져 중복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mm 내지 110 mm 겹쳐져 중복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d)의 복합 방수 시트(40)가 중복층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중복층의 형성에 의해 방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기적 기온 변화에 의해 상기 복합 방수 시트의 길이 및 폭이 늘어났다 줄어드는 과정에서 아스팔트 방수층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복합 방수 시트 사이에 중복층을 형성할 경우 길이 변화에 의한 완충 공간을 확보하여 아스팔트 방수층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복층의 길이가 10 mm 미만일 경우 방수층 균열 방지를 위한 완충 기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중복층의 길이가 400 mm를 초과할 경우 시공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d)의 복합 방수 시트(4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4.0 mm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3.0 mm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2.0 mm일 수 있다.
상기 복합 방수 시트의 두께가 0.1 mm 미만일 경우 방수 효율 및 단열 효과가 떨어지고, 방수 구조체의 수명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고, 상기 복합 방수 시트의 두께가 4.0 mm 초과할 경우 방수 효율 및 단열 효과는 증가하나, 시공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d)의 복합 방수 시트(40)는 바람직하게는 SBS(Styrene- Butadiene-Styrene) 개질 고무 아스팔트로 제조된 자착식 시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SBS(Styrene- Butadiene-Styrene) 개질 고무 아스팔트 자착식 시트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SBS 개질 고무 아스팔트 자착식 시트를 사용할 경우 일반적인 고무 시트 내지는 합성수지 시트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소성변형 저항성, 피로균열 저항성, 장기공영성, 저온균열 저항성, 수분 저항성, 미끄럼 저항성 및 접착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중복층은 바람직하게는 중복된 부분 사이에 왁스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복된 부분 사이에 왁스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주기적 기온 변화에 의해 상기 복합 방수 시트의 길이 및 폭이 늘어났다 줄어드는 과정에서 아스팔트 방수층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복합 방수 시트 사이에 중복층에 왁스층을 포함할 경우 복합 방수 시트 길이 변화에 의한 윤활 수단을 확보하여 아스팔트 방수층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f)의 누름면(50)은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 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f)의 누름면(50)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3 cm 내지 20 cm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cm 내지 15 cm 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 cm 내지 12 cm 일 수 있다.
상기 누름면의 높이가 3 cm 미만일 경우 외부 충격이 방수 구조체에 그대로 전달되어 방수 구조체의 수명이 감축될 문제가 있고, 상기 누름면의 높이가 20 cm 초과할 경우 누름면의 무게가 증가하고, 방수 구조체의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처리된 바닥면, 상기 전처리된 바닥면 상부에 수용성 아스팔트 프라이머 층, 상기 수용성 아스팔트 프라이머 층 상부에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층, 상기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층 상부에 복합 방수 시트 층, 상기 복합 방수 시트 층 상부에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층 및 상기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층 상부에 누름면 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방수 시트는 좌우측 단부가 50 mm 내지 200 mm 겹쳐지고,
상기 복합 방수 시트의 두께는 1.0 mm 내지 2.0 mm이며,
상기 복합 방수 시트는 SBS(Styrene- Butadiene-Styrene) 개질 고무 아스팔트로 제조된 자착식 시트이고,
상기 누름면은 콘크리트 층이고, 그 높이는 5 cm 내지 20 cm인
비노출형 옥상 방수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누름면은 누름면에서 벽체로 가하는 횡압력을 벽체로 전달하는 것을 방지 위해 벽체로부터 형성된 누름면 또는 벽체와 누름면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0.5 cm 내지 2 cm 폭의 단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벽체로부터 형성된 누름면 또는 벽체와 누름면 사이에 단절부를 포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주기적 기온 변화에 의해 상기 누름면의 길이 및 폭이 늘어났다 줄어드는 과정에서 아스팔트 방수층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누름면에 단절부를 형성할 경우 누름면 길이 변화에 의한 완충 공간을 확보하여 아스팔트 방수층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절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충진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절부에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충진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상기 충진재에 의해 누름면 길이 변화에 의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절부 공간을 통해 방수 구조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은 다음의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비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a) 옥상 바닥면을 전처리하여 전처리된 바닥면(10)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전처리된 바닥면(10)에 수용성 아스팔트 프라이머(20)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아스팔트 프라이머(20)가 도포된 바닥면에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a)를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a)가 도포된 바닥면에 복합 방수 시트(40)를 까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복합 방수 시트(40)에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b)를 도포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계 (e)의 도포된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위에 누름면(50)을 형성하는 단계.
(2) 본 발명의 방법으로 시공한 비노출형 방수 구조체는 방수 구조체의 내구성이 현저한 것은 물론, 시공 방법이 간단하고, 시공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존의 옥상 방수 방법을 나타낸다(좌 : 비노출형, 우 : 노출형).
도 2는 본 발명의 비노출형 옥상 방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한 옥상 방수 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1 단계인 바닥면 형성 단계 및 수용성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포 단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2 단계인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도포 단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3 단계인 복합 방수 시트 설치 단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4 단계인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도포 단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최종 단계인 노름면 형성 단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노출형 옥상 방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한 옥상 방수 구조체의 벽체를 포함한 단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의 비노출형 및 노출형 옥상 방수 방법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으로 구축한 비노출형 옥상 방수 구조체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이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으로 구축한 비노출형 옥상 방수 구조체(벽체 및 단절부를 포함하는)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은 (a) 옥상 바닥면을 전처리하여 전처리된 바닥면(10)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전처리된 바닥면(10)에 수용성 아스팔트 프라이머(20)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아스팔트 프라이머(20)가 도포된 바닥면에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a)를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a)가 도포된 바닥면에 복합 방수 시트(40)를 까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복합 방수 시트(40)에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b)를 도포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계 (e)의 도포된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위에 누름면(5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a) 옥상 바닥면을 전처리하여 전처리된 바닥면(10)을 형성하는 단계
먼저 옥상 바닥면은 단차, 요철, 레이턴스, 휨, 파손, 균열, 들뜸 및 곰보현상 등을 해결한다.
(b) 상기 단계 (a)의 전처리된 바닥면(10)에 수용성 아스팔트 프라이머(20)를 도포하는 단계
바닥면에 수용성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붓, 롤러 및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다.
(c) 상기 단계 (b)의 아스팔트 프라이머(20)가 도포된 바닥면에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a)를 도포하는 단계
수용성 아스팔트 프라이머가 도포된 바닥면에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를 붓, 롤러 및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다.
(d) 상기 단계 (c)의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a)가 도포된 바닥면에 복합 방수 시트(40)를 까는 단계
시공 전 배수방향 및 구조상의 특성을 감안한 후 물 흐름 방향을 따라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형지를 박리시키면서 복합 방수 시트를 깔아 나간다. 시트 박리지를 제거하면서 바닥면과 고르게 밀착되도록 시공하고, 바닥면과 시트 사이에 공기층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시공한다. 시트간 겹치는 모든 부분은 100 mm 이상이 되도록 하되, 겹치는 부분에는 자동차 세차용 왁스를 발라 주도록 한다.
(e) 상기 단계 (d)의 복합 방수 시트(40)에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b)를 도포하는 단계
복합 방수 시트가 깔려진 바닥면에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를 붓, 롤러 및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다.
(f) 상기 단계 (e)의 도포된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위에 누름면(50)을 형성하는 단계
수용성 아스팔트 프라이머가 도포된 바닥면에 시멘트 누르면을 10 cm 내지 15 cm 두께로 형성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형 옥상 방수 구조체의 누름면은 벽체(11)로부터 형성된 누름면(50) 또는 벽체(11)와 누름면(50) 사이에 단절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절부(51)는 0.5 cm 내지 2 cm 폭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누름면(50) 길이 변화에 의한 완충 공간을 확보하여 아스팔트 방수층의 균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단절부(51)는 콘크리트 커터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단절부(51) 형성 후, 단절부(51) 공간에는 실리콘 폴리머를 충진하여 단절부(51)를 통해 방수층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닥면 10 벽체 11
수용성 아스팔트 프라이머 20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30
복합 방수 시트 40 누름면 50
단절부 51

Claims (10)

  1. (a) 옥상 바닥면을 전처리하여 전처리된 바닥면(10)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전처리된 바닥면(10)에 수용성 아스팔트 프라이머(20)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아스팔트 프라이머(20)가 도포된 바닥면에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a)를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a)가 도포된 바닥면에 복합 방수 시트(40)를 까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복합 방수 시트(40)에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30b)를 도포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계 (e)의 도포된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위에 누름면(5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d)의 복합 방수 시트(40)는 좌우측 단부가 50 mm 내지 200 mm 겹쳐져 중복층을 형성하며,
    상기 단계 (d)의 복합 방수 시트(40)의 폭은 50 cm 내지 200 cm이고,
    상기 단계 (d)의 복합 방수 시트(40)의 두께는 1.0 mm 내지 2.0 mm이며,
    상기 단계 (d)의 복합 방수 시트(40)는 SBS(Styrene- Butadiene-Styrene) 개질 고무 아스팔트로 제조된 자착식 시트이고,
    상기 중복층은 중복된 부분 사이에 왁스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의 누름면(50)은 콘크리트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의 누름면(50) 높이는 5 cm 내지 20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60022A 2016-11-29 2016-11-29 건물 옥상의 비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KR101963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022A KR101963939B1 (ko) 2016-11-29 2016-11-29 건물 옥상의 비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022A KR101963939B1 (ko) 2016-11-29 2016-11-29 건물 옥상의 비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488A KR20180060488A (ko) 2018-06-07
KR101963939B1 true KR101963939B1 (ko) 2019-03-29

Family

ID=6262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022A KR101963939B1 (ko) 2016-11-29 2016-11-29 건물 옥상의 비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9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151B1 (ko) * 2012-12-21 2013-06-17 주식회사 아이디에프 이앤씨 특수 합성고분자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654B1 (ko) * 2007-09-06 2011-04-12 배문옥 겔상태의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 및 아스팔트 펠트시트복합방수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151B1 (ko) * 2012-12-21 2013-06-17 주식회사 아이디에프 이앤씨 특수 합성고분자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488A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3479B2 (en) Roof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658052B2 (en) Roof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06988489A (zh) 一种屋面系统结构的实现方法
US8635825B2 (en) Modular roof panels
KR100806253B1 (ko) 건설 구조물의 옥상방수공법 및 방수구조
KR200451710Y1 (ko) 복합 박스형 패널 방수
KR102277939B1 (ko) 평지붕 옥상바닥 외방수, 외단열 배수판 구조 및 시공방법
KR101963939B1 (ko) 건물 옥상의 비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KR100875476B1 (ko)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1866333B1 (ko) 노출형 아크릴기반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180093571A (ko) 노출형 섬유강화 플라스틱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KR200424206Y1 (ko) 벽체형 탈기관
KR101963938B1 (ko) 건물 옥상의 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KR101466644B1 (ko) 건축물의 옥상바닥 시공방법
CN212053618U (zh) 一种抗拉伸的排气道结构
KR102039151B1 (ko) 탈기튜브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GB2482006A (en) Sealing or tracing a roof leak
KR101020607B1 (ko) 배습핀과 배습핀을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KR100954977B1 (ko) 경량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CN101936042A (zh) 小框体复合保温隔热体系防水构造
KR200445758Y1 (ko) 전천후 시공이 간편하고 완벽한 단열,방수 Al패널
KR101350666B1 (ko)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KR20190071650A (ko) 노출형 섬유강화 플라스틱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KR20010095461A (ko) 절연 필름을 이용한 방수구조
KR20190002379A (ko) 건물 옥상 모서리 방수층 시공방법 및 옥상 모서리 방수층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