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236B1 - 흡입관을 건식 설치형 원심 펌프에 연결하기 위한 흡입 연결부 - Google Patents

흡입관을 건식 설치형 원심 펌프에 연결하기 위한 흡입 연결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236B1
KR101961236B1 KR1020127033433A KR20127033433A KR101961236B1 KR 101961236 B1 KR101961236 B1 KR 101961236B1 KR 1020127033433 A KR1020127033433 A KR 1020127033433A KR 20127033433 A KR20127033433 A KR 20127033433A KR 101961236 B1 KR101961236 B1 KR 101961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tube socket
hole
suction
suc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9329A (ko
Inventor
벵트 쇠데르고드
Original Assignee
자일럼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일럼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자일럼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30129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27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suction ey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22Adaptations of pumping plants for lifting sew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2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using already existing parts of the sewer system for runoff-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6Passive flow control devices, i.e. not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2Emergency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Discharge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293Details of fluid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5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606Mounting in cavities
    • F04D29/607Mounting in cavities means for positioning from out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Sewag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 연결부에 관한 것으로, 이 흡입 연결부는 중앙 관통 구멍(11)을 포함하고 흡입관의 출구에 연결되는 제 1 플랜지(10) 및 중앙 관통 구멍(13)을 포함하고 원심 펌프의 입구에 연결되는 제 2 플랜지(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흡입 연결부는 제 1 관 소켓(15)을 포함하고, 이 소켓은 유동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 1 관 소켓(15)이 제 1 플랜지(10)와 제 2 플랜지(12)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하여 제 1 플랜지(10)의 관통 구멍(11)이 제 2 플랜지(12)의 관통 구멍(13)과 유체 연통하게 되는 작동 위치와, 상기 제 1 관 소켓(15)이 제 2 플랜지(12)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되어 그 제 2 플랜지(12)에의 접근이 허용되는 서비스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다.

Description

흡입관을 건식 설치형 원심 펌프에 연결하기 위한 흡입 연결부{SUCTION CONNECTION FOR CONNECTING A SUCTION PIPE TO A DRY INSTALLED CENTRIFUGAL PUMP}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예컨대 고형물을 포함할 수 있는 폐수 또는 하수를 퍼올리기 위한 펌프 사용에 관한 것으로, 이 펌프 사용은 건식 설치형 원심 펌프 및 액체 유지 탱크로부터 원심 펌프까지 이르는 흡입관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흡입관을 건식 설치형 원심 펌프에 연결하기 위한 흡입 연결부에 관한 것으로, 이 흡입 연결부는, 중앙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흡입관의 출구에 연결되는 제 1 플랜지 및 중앙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원심 펌프의 입구에 연결되는 제 2 플랜지를 포함한다.
건식 설치형 원심 펌프를 사용하는 펌프 사용은, 원심 펌프가 퍼올릴 액체 속으로 액체 펌핑 원심 펌프가 내려가지 않는 펌프 사용을 말한다. 대신에 원심 펌프는 보통 액체 유지 탱크의 바닥 높이에서 그 액체 유지 탱크의 외부에 설치된다. 또한, 그러한 펌프 사용에서는 흡입관이 액체 유지 탱크로부터 원심 펌프의 입구 개구까지 이르는 것이 필요하다.
퍼올릴 액체 속으로 원심 펌프가 내려가는 펌프 사용에서는, 펌프의 입구 개구를 정화하는데 보통 문제가 없다. 펌프를 들어 올리고, 들어 올릴 때 입구 개구는 중력으로 인해 자동적으로 정화되거나, 펌프가 액체 유지 탱크 밖으로 들어 올려질 때 입구 개구를 물로 씻거나 폐기물을 손으로 제거하여 그 입구 개구를 손으로 정화할 수 있다. 소위 개방 임펠러를 갖는 원심 펌프에서, 펌프가 액체 유지 탱크 밖으로 들어 올려질 때, 임펠러의 베인의 하측 가장자리와 펌프의 임펠러 시트 사이에 제공된 틈새를 설정 및 조정하는 것이 또한 쉽다. 이 틈새에 대한 검사 및 조정은 임펠러의 베인의 마모 때문에 주기적으로 행해져야 하며, 따라서 틈새의 증대는 펌프 성능을 악화시키게 된다.
대신에 원심 펌프가 건식으로 설치되는 펌프 사용에서는, 펌프의 입구 플랜지는 흡입 연결부에 볼트 체결되고, 어떤 사용에서는 펌프는 흡입 연결부에 의해 지지되며, 압력관이 펌프의 출구 플랜지에 볼트 체결된다. 다시 말해, 펌프의 유압 유닛은 분리하기가 매우 번거로우며, 실제로는 다소 고정되어 설치된다. 흡입 연결부는 다른 단부에서 액체 유지 탱크에 연결되는 흡입관에 볼트 체결된다. 흡입관은 거의 모든 사용 경우에 조작하기 쉬운 차단 밸브를 종종 포함하는 도관이며, 그 차단 밸브는 펌프가 제거되면 폐쇄 위치에서 액체 유지 탱크 내의 액체가 유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펌프의 입구 개구와 임펠러를 정화하기 위해, 구동축에 의해 지지되는 임펠러와 함께 펌프의 구동 유닛을 펌프의 유압 유닛에서 제거해야 한다. 이는 스트랩등을 구동 유닛에 부착하여 행해지며 그 후에 펌프의 구동 유닛과 유압 유닛을 결합하는 다수의 볼트를 푼다. 그 후, 임펠러를 노출시키기 위해 구동 유닛을 유압 유닛으로부터 멀어지게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임펠러의 베인의 하측 가장자리와 펌프의 임펠러 시트 사이의 상기 틈새를 조절할 때(소위 임펠러의 조정(trimming)), 구동 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임펠러를 구동 유닛의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이 변위는 흥미롭게도 구동 유닛의 끼워맞춤 및 재결합시 임펠러의 베인이 임펠러 시트에 접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그후, 유지 보수 작업자가 구동 유닛의 실제 받침 표면과 유압 유닛 사이의 얻어진 거리를 측정하게 되며, 이때 구동 유닛은 유압 유닛으로부터 한번 더 들어 올려지게 되며, 임펠러는 측정된 거리와 상기 틈새의 미리 정해진 높이의 합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구동 유닛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마지막으로, 구동 유닛의 끼워맞춤과 재결합이 이루어지고, 다음에 임펄러가 자유롭게 움직이는지 또한 실제 받침 표면들이 서로에 접하는지만 유지 보수 작업자가 검사할 수 있으며, 다른 점에서 유지 보수 작업자는 측정과 조정(trimming)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상기 틈새의 높이의 차가 십분의 수 밀리미터가 되어도 펌프의 성능에 영향을 주게 된다.
오늘날 몇몇 흡입 연결부는 작은 검사 구멍을 포함하는데, 구동 유닛이 유압 유닛에서 불필요하게 분리되어 제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멍을 통해 거울을 어렵게 집어넣어 임펠러 및/또는 입구 개구가 막혔는지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 구멍은 임펠러 및/또는 입구 개구를 정화하고 또한 임펠러의 위치를 조정 및/또는 검사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미 공지된 흡입 연결부의 전술한 단점 및 실패를 없애고 또한 개선된 흡입 연결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유압 유닛에서 구동 유닛을 제거할 필요 없이 원심 펌프의 입구 개구 및/또는 임펠러를 정화할 수 있는 상기한 종류의 개선된 흡입 연결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압 유닛에서 구동 유닛을 제거하지 않아도 임펠러의 조정이 가능한 흡입 연결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상기 주 목적은, 제 1 관 소켓을 포함하고, 이 소켓은 유동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 1 관 소켓이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하여 제 1 플랜지의 관통 구멍이 제 2 플랜지의 관통 구멍과 유체 연통하게 되는 작동 위치와, 상기 제 1 관 소켓이 제 2 플랜지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되어 그 제 2 플랜지에의 접근이 허용되는 서비스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흡입 연결부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식 설치형 원심 펌프의 입구 개구에의 접근이 들어 올려진 잠수가능한 원심 펌프의 입구 개구에의 접근과 유사할 수 있다면 검사와 유지 보수가 신속하고 보다 만족스럽게 수행될 것이라는 통찰에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종속 청구항들에 더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관 소켓은 그의 하류 단부의 영역에서 반경 방향 돌출 단부 플랜지를 포함하며, 이 단부 플랜지는 제 2 플랜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관 소켓은 이 제 1 관 소켓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반경 방향 돌출 밀봉 플랜지를 포함하며, 이 밀봉 플랜지는 제 1 플랜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관 소켓이 간단한 방식으로 제 1 및 2 플랜지와 각각 타이트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동시에 제 1 관 소켓은 간단한 작동으로 서비스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관 소켓은 제 1 플랜지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고 그 관통 구멍에 대해 변위가능하다. 그리하여, 제 1 관 소켓은 흡입관 안으로 변위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흡입 연결부는 제 1 플랜지에 연결되는 제 2 관 소켓을 더 포함하고, 그 제 2 관 소켓은 제 2 플랜지로부터 멀어지는 축방향으로 돌출되며, 제 1 플랜지가 상기 제 2 관 소켓을 통해 흡입관의 출구 플랜지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관 소켓은 상기 제 2 관 소켓 안에서 신축자재하게 변위가능하다. 따라서, 흡입관의 내경/크기를 알 필요가 없으며, 또한 조작가능한 차단 밸브는 제 1 관 소켓의 변위를 방지함이 없이 본 발명의 흡입 연결부와 직접 연결되어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흡입 연결부는 제 2 관 소켓을 더 포함하고, 이 관 소켓은 제 1 플랜지에 연결되고 또한 제 2 플랜지 쪽으로 향하는 축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 1 관 소켓은 제 2 관 소켓 안에서 신축자재하게 변위가능하며 또한 제 1 관 소켓을 따라 변위가능한 밀봉 플랜지를 포함하며, 이 밀봉 플랜지는 제 2 관 소켓을 통해 제 1 플랜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 1 관 소켓은 제 2 관 소켓의 외부로 신축자재하게 변위가능하며 또한 제 2 관 소켓을 따라 변위가능한 밀봉 플랜지를 포함하며, 이 밀봉 플랜지는 제 1 관 소켓의 상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뿐만 아니라 및 다른 종속 청구항으로부터도 명확히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것 및 다른 특징과 이점들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흡입관과 원심 펌프 사이에 배치되는 본 발명의 흡입 연결부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 작동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대응하는 부분 절개 측면도로, 흡입 연결부는 서비스 위치에 있다.
도 3 은 흡입관과 원심 펌프 사이에 배치되는 본 발명의 흡입 연결부가 직립된 상태에서 서비스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흡입 연결부의 제 1 실시 형태의 부분 절개 측면도로, 제 1 관 소켓은 작동 위치에 있다.
도 5 는 도 4 에 대응하는 부분 절개 측면도로, 제 1 관 소켓은 서비스 위치에 있다.
도 6 은 도 4 의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흡입 연결부의 제 2 실시 형태의 부분 절개 측면도로, 제 1 관 소켓은 작동 위치에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흡입 연결부의 제 2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의 부분 절개 측면도로, 제 1 관 소켓은 서비스 위치에 있다.
도 10 은 도 8 에 따른 흡입 연결부의 후방 사시도로, 제 1 관 소켓은 작동 위치에 있다.
도 11 은 도 10 에 따른 흡입 연결부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8 에 따른 흡입 연결부의 후방 사시도로, 제 1 관 소켓은 서비스 위치에 있다.
도 13 은 도 12 에 따른 흡입 연결부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흡입 연결부의 제 3 실시 형태의 부분 절개 측면도로, 제 1 관 소켓은 작동 위치에 있다.
도 15 는 본 발명의 흡입 연결부의 제 4 실시 형태의 부분 절개 측면도로, 제 1 관 소켓은 작동 위치에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펌프 사용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 - 2 및 3 을 참조하면, 원심 펌프/폐수 펌프가 전체적으로 "1"로 표시되어 있고 누워 있는 상태와 직립된 상태로 각각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은 누워 있거나 직립하여 배향된 원심 펌프(1)에 한정되지 않고, 원심 펌프의 다른 배향도 포함된다.
원심 펌프(1)는 실제 펌핑이 일어나고 원심 펌프(1)의 임펠러(미도시)가 위치되는 부분인 유압 유닛(2) 및 구동 유닛(3)을 포함하며, 이 구동 유닛은 모터, 있을 수 있는 다른 작동 장치(미도시) 및 임펠러가 현가되어 있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부분이다. 원심 펌프(1)의 유압 유닛(2)은 입구 개구(5)를 갖는 입구(4) 및 출구 개구를 갖는 출구(6)를 갖는다. 입구(4)는 흡입관(7)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출구(6)는 압력관(8)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입 연결부(전체적으로 "9"로 표시되어 있음)가 도 1, 2 및 3 에 나타나 있는데, 이 흡입 연결부는 흡입관(7)의 출구와 건식 설치형 원심 펌프(1)의 입구(4)를 연결한다.
이제 도 4 및 5 를 참조하면, 이 도에는 본 발명의 흡입 연결부의 제 1 실시 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 흡입 연결부(9)는 중앙 관통 구멍(11)을 포함하는 제 1 플랜지(10) 및 중앙 관통 구멍(13)을 포함하는 제 2 플랜지(12)를 포함한다. 제 1 플랜지(10)는 흡입관(7)의 출구에 연결되며 제 2 플랜지(12)는 원심 펌프(1)의 입구(4)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플랜지(10)와 제 2 플랜지(12)는 연결관 이음부 등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식으로 다수의 볼트에 의해 흡입관(7)과 원심 펌프(1)에 각각 연결되는데, 하지만 다른 부착 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입 연결부는 제 1 플랜지(10)와 제 2 플랜지(12) 사이에서 이들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강성화 바아(14)를 포함한다. 이 강성화 바아(14)는 흡입 연결부(9)를 함께 유지하고 또한 제 1 플랜지(10)의 관통 구멍(11)과 제 2 플랜지(12)의 관통 구멍(13)을 정렬하도록 되어 있다. 나타난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강성화 바아 및 하측 강성화 바아가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흡입 연결부(9)는 제 1 관 소켓(15)을 포함한다. 흡입관(7)으로부터 압력관(8)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볼 때, 제 1 관 소켓(15)은 축방향으로 작동 위치(도 4 참조요)와 서비스 위치(도 5 참조요)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작동 위치에서, 제 1 관 소켓(15)은 제 1 플랜지(10)를 제 2 플랜지(12)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고, 그리하여 제 1 관 소켓(15)은 제 1 플랜지(10)의 관통 구멍(11)을 제 2 플랜지(12)의 관통 구멍(13)에 유체 연통시킨다. 유체 연통은 제 1 관 소켓(15)과 제 1 플랜지(10)의 관통 구멍(11) 사이의 접속부 및 제 1 관 소켓(15)과 제 2 플랜지(12)의 관통 구멍(13) 사이의 접촉부에서 유체가 새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서비스 위치에서 제 1 관 소켓(15)은 제 2 플랜지(12)에서 떨어져 위치되어 제 2 플랜지(12)의 관통 구멍(13)에 접근할 수 있다. 흡입 연결부(9)는 원심 펌프(1)의 입구(4)에 연결되어 설치되므로, 제 1 관 소켓(15)이 서비스 위치에 있을 때, 원심 펌프(1)의 입구 개구 및 그 원심 펌프(1)의 유압 유닛(2) 안에 있는 임펠러에의 접근이 허용된다. 흡입 연결부(9)의 제 1 관 소켓(15)이 서비스 위치에 있을 때, 임펠러는 간단하게 조정 및 정화될 수 있다. 나타난 제 1 실시 형태에서, 제 1 관 소켓(15)은 제 1 플랜지(10)의 관통 구멍(11)을 통과해 있고 그 구멍에 대해 변위가능하다. 제 1 관 소켓(15)은 도 5 에 따른 서비스 위치에 있을 때 흡입관(7) 안으로 돌출된다.
제 1 관 소켓(15)과 제 2 플랜지(12)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제 1 관 소켓(15)이 그의 하류 단부의 영역에서 반경 방향 돌출 단부 플랜지(16)를 포함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도 6 을 참조한다. 나타난 실시 형태에서 이 단부 플랜지(16)는 다수의 스크류(17)에 의해 제 2 플랜지(12)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스크류는 제 1 관 소켓(15)의 원주를 따라 분산된다. 또한, 나타난 실시 형태에서 단부 플랜지(16)는 용접 이음부(18)에 의해 제 1 관 소켓(15)의 외측부에 고정 연결된다. 단부 플랜지(16)가 제 2 플랜지(12)에 볼트 체결되면, 원주 방향 밀봉링(19)이 단부 플랜지(16)의 모따기부, 제 2 플랜지(12) 및 제 1 관 소켓(15) 사이에서 압착되며, 이렇게 해서, 제 1 관 소켓(15)이 제 2 플랜지(12) 에 유체가 새지 않게 연결된다. 그러나, 단부 플랜지(16)는 반드시 제 1 관 소켓(15)에 고정 연결될 필요는 없는데, 왜냐하면 단부 플랜지(16)가 제 2 플랜지(12)에 볼트 체결되면 제 1 관 소켓(15)이 원주방향 밀봉링(19)에 클램핑되기 때문이다. 나타난 실시 형태에서, 단부 플랜지(16)는 제 1 관 소켓(15)의 하류 단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되며, 따라서 제 1 관 소켓(15)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그 제 1 관 소켓(15)의 하류 단부가 제 2 플랜지(12)의 관통 구멍(13) 안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 1 관 소켓(15) 또한 이 제 1 관 소켓을 따라 변위될 수 있는 반경방향 돌출 밀봉 플랜지(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밀봉 플랜지는 제 1 플랜지(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7 을 참조한다. 밀봉 플랜지(20)는 나타난 실시 형태에서 다수의 스크류(21)에 의해 제 1 플랜지(10)에 연결가능하며, 그 스크류들은 제 1 관 소켓(15)의 원주를 따라 분산된다. 밀봉 플랜지(20)가 제 1 플랜지(10)에 볼트 체결되면, 원주방향 밀봉링(22)이 밀봉 플랜지(20)의 모따기부, 제 1 플랜지(10) 및 제 1 관 소켓(15) 사이에서 압착되며, 이렇게 해서, 제 1 관 소켓(15)이 제 1 플랜지(10)에 유체가 새지 않게 연결된다. 원주방향 밀봉링(22) 뿐만 아니라 밀봉 플랜지(20)는 제 1 관 소켓(15)을 따라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다. 나타나 있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유체가 새지 않는 원주방향 슬라이드 시일이 제 1 플랜지(10)의 관통 구멍(11)과 제 1 관 소켓(15)의 외측부 사이의 접속부에 배치되어, 밀봉 플랜지(20)는 여분의 것이 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흡입 연결부의 제 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 8 - 13 을 참조하여, 제 1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원심 펌프(1) 및/또는 흡입관(7)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흡입 연결부(9)의 제 1 실시 형태와는 대조적으로, 제 1 플랜지(10)와 제 2 플랜지(12)는 그라운드 플레이트(23)에 연결되어 흡입 연결부(9)는 스스로 지지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도 1 및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흡입 연결부(9)는 적절한 바아(24)와 함께 원심 펌프(1)를 지지하게 된다. 나타난 실시 형태에서, 제 1 플랜지(10) 및 제 2 플랜지(12)는 대형 괘종 시계 형태로 되어 있다. 보충적 또는 대안적으로, 원심 펌프(1)는 유압 유닛(2)에 있는 결합된 숄더와 같은 다른 요소(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그 숄더는 원심 펌프(1)의 입구(4)에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있는 베드 또는 별도의 스탠드에 볼트 체결된다.
제 2 실시 형태에서, 흡입 연결부(9)는 제 2 관 소켓(25)도 포함하는데, 이 관 소켓은 제 1 플랜지(10)에 연결되며 제 2 플랜지(12)로부터 멀어지는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그 제 2 관 소켓을 통해 제 1 플랜지(10)가 흡입관(7)의 출구 플랜지에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제 1 관 소켓(15)은 제 2 관 소켓(25) 안에서 신축자재하게 변위가능하며, 그리하여 본 발명의 흡입 연결부의 기능은 흡입관(7)의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제 2 관 소켓(25)은 흡입관(7) 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벌려진 원추형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제 2 관 소켓(25)은 제 1 플랜지(10)에 연결될 수 있는 비부착 요소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흡입 연결부(9)를 다른 직경과 길이를 갖는 흡입관(7)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다른 형상을 갖는 다른 제 2 관 소켓(25)들을 서로 교환할 수 있다. 제 2 관 소켓(25)의 존재와 그라운드 플레이트(23)의 존재는 서로 독립적이다. 제 2 관 소켓(25)의 내부 및/또는 제 1 관 소켓(15)의 외부에는, 제 2 관 소켓(25)에 대한 제 1 관 소켓(15)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중심맞춤 수단(미도시)이 배치된다.
도 9 를 참조하면, 흡입 연결부(9)의 제 2 실시 형태는 도 8 에 나타나 있는 것 외에도, 추가적인 강성화 바아(26)를 포함하는데, 이 바아는 제 2 관 소켓(25)을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10 - 11 및 도 12 - 13 에는, 본 발명의 흡입 연결부(9)의 제 2 실시 형태가 작동 위치와 서비스 위치에 각각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흡입 연결부(9)의 제 3 및 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 14 및 15 를 참조하여, 제 1 및 2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3 및 4 실시 형태에 따르면, 흡입 연결부(9)는 상기 제 2 관 소켓(25)을 포함하며, 이 관 소켓은 제 1 플랜지(10)에 연결되며 제 2 플랜지(12) 쪽으로 향하는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 1 관 소켓(15)은 작동 위치와 서비스 위치 사이에서 제 2 관 소켓(25)에 대해 축방향으로 신축자재하게 변위가능하다. 작동 위치에서 제 1 관 소켓(15)은 제 1 플랜지(10)와 제 2 플랜지(12)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며, 그래서 제 1 플랜지(10)의 관통 구멍(11)을 제 2 플랜지(12)의 관통 구멍(13)에 유체 연통시킨다. 서비스 위치에서, 제 1 관 소켓(15)은 제 2 플랜지(12)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그래서 제 2 플랜지(12)의 관통 구멍(13)에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 에 따른 제 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관 소켓(15)은 상기 제 2 관 소켓(25) 안에서 신축자재하게 변위가능하다. 제 1 관 소켓(15)은 그의 하류 단부의 영역에서 반경 방향 돌출 단부 플랜지(1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단부 플랜지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 1 관 소켓(15)은 제 1 관 소켓을 따라 변위될 수 있는 반경방향 돌출 밀봉 플랜지(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밀봉 플랜지는 제 2 관 소켓(25)을 통해 제 1 플랜지(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그 밀봉 플랜지는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5 에 따른 제 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관 소켓(15)은 상기 제 2 관 소켓(25)의 외부에서 신축자재하게 변위가능하다. 제 1 관 소켓(15)은 그의 하류 이 단부의 영역에서 반경 방향 돌출 단부 플랜지(1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부 플랜지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 1 관 소켓(15)은 제 2 관 소켓(25)을 따라 변위될 수 있는 반경방향 돌출 밀봉 플랜지(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밀봉 플랜지는 제 1 관 소켓(15)의 상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관 소켓(15)은 제 2 관 소켓(25)을 통해 제 1 플랜지(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가능하다.
본 발명의 가능한 변형예
본 발명은 전술하고 도면(이는 주로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목적임)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지 않다. 본 특허 출원은 여기서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모든 조정 및 변형예를 포함하며,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의 등가물로 규정된다. 그래서, 첨부된 청구 범위 내에서 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상측, 하측 등과 같은 용어에 대한 모든 정보는, 장치가 도면에 따라 배향되어 있고 참조 번호를 적절히 읽을 수 있도록 도면의 방향을 잡을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는 나타난 실시 형태에서 상호간의 관계만 나타내며, 이 관계는 본 발명의 장치에 다른 구조/설계가 주어진다면 변경될 수 있다.
특정 실시 형태의 특징들이 다른 실시 형태의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음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이 결합은 가능한 것이라면 명백한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흡입관을 건식 설치형 원심 펌프에 연결하기 위한 흡입 연결부로서,
    중앙 관통 구멍(11)을 포함하고 흡입관의 출구에 연결되는 제 1 플랜지(10) 및 중앙 관통 구멍(13)을 포함하고 원심 펌프의 입구에 연결되는 제 2 플랜지(12)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연결부는 제 1 관 소켓(15)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관 소켓은 유동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 1 관 소켓(15)이 상기 제 1 플랜지(10)와 상기 제 2 플랜지(12)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제 1 플랜지(10)의 중앙 관통 구멍(11)이 상기 제 2 플랜지(12)의 중앙 관통 구멍(13)과 유체 연통하게 되는 작동 위치와, 상기 제 1 관 소켓(15)이 상기 제 2 플랜지(12)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되어 상기 제 2 플랜지(12)의 중앙 관통 구멍(13)으로의 접근이 허용되는 서비스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흡입 연결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 소켓(15)은 자신의 하류 단부의 영역에서 반경 방향 돌출 단부 플랜지(16)를 포함하며, 상기 단부 플랜지(16)는 상기 제 2 플랜지(12)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흡입 연결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 소켓(15)은 제 1 관 소켓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반경 방향 돌출 밀봉 플랜지(20)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플랜지(20)는 상기 제 1 플랜지(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흡입 연결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 소켓(15)은 상기 제 1 플랜지(10)의 중앙 관통 구멍(11)을 통과하고 상기 중앙 관통 구멍(11)에 대해 변위가능한, 흡입 연결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연결부는 상기 제 1 플랜지(10)에 연결되는 제 2 관 소켓(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관 소켓(25)은 상기 제 2 플랜지(12)로부터 멀어지는 축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플랜지(10)는 상기 제 2 관 소켓을 통해 흡입관의 출구 플랜지에 연결되는, 흡입 연결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 소켓(15)은 상기 제 2 관 소켓(25) 안에서 신축자재하게 변위가능한, 흡입 연결부.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연결부는 제 2 관 소켓(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관 소켓(25)은 상기 제 1 플랜지(10)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 2 플랜지(12) 쪽으로 향하는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흡입 연결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 소켓(15)은 상기 제 2 관 소켓(25) 안에서 신축자재하게 변위가능하며 또한 제 1 관 소켓을 따라 변위가능한 밀봉 플랜지(20)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플랜지(20)는 상기 제 2 관 소켓(25)을 통해 상기 제 1 플랜지(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흡입 연결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 소켓(15)은 상기 제 2 관 소켓(25)의 외부로 신축자재하게 변위가능하며 또한 제 2 관 소켓을 따라 변위가능한 밀봉 플랜지(20)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플랜지(20)는 상기 제 1 관 소켓(15)의 상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흡입 연결부.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랜지(10)와 상기 제 2 플랜지(12)는 적어도 하나의 강성화 바아(14)에 의해 서로 고정 연결되는, 흡입 연결부.
KR1020127033433A 2010-06-09 2011-06-08 흡입관을 건식 설치형 원심 펌프에 연결하기 위한 흡입 연결부 KR101961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050590A SE534906C2 (sv) 2010-06-09 2010-06-09 Suganslutning för förbindning av en sugledning till en torrt uppställd centrifugalpump
SE1050590-7 2010-06-09
PCT/SE2011/050700 WO2011155894A1 (en) 2010-06-09 2011-06-08 Suction connection for connecting a suction pipe to a dry installed centrifugal pu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329A KR20130129329A (ko) 2013-11-28
KR101961236B1 true KR101961236B1 (ko) 2019-03-22

Family

ID=4509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433A KR101961236B1 (ko) 2010-06-09 2011-06-08 흡입관을 건식 설치형 원심 펌프에 연결하기 위한 흡입 연결부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8844977B2 (ko)
EP (1) EP2580401B1 (ko)
JP (1) JP5624676B2 (ko)
KR (1) KR101961236B1 (ko)
CN (1) CN103025973B (ko)
AU (1) AU2011262545B2 (ko)
BR (1) BR112012031411B1 (ko)
CA (1) CA2799889C (ko)
CL (1) CL2012003439A1 (ko)
DK (1) DK2580401T3 (ko)
ES (1) ES2784128T3 (ko)
MX (1) MX2012013903A (ko)
MY (1) MY160273A (ko)
NO (1) NO20121450A1 (ko)
NZ (1) NZ603788A (ko)
PL (1) PL2580401T3 (ko)
RU (1) RU2559950C2 (ko)
SE (1) SE534906C2 (ko)
SG (1) SG186185A1 (ko)
UA (1) UA109279C2 (ko)
WO (1) WO2011155894A1 (ko)
ZA (1) ZA2012088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1909684T4 (tr) * 2015-11-30 2019-07-22 Xylem Europe Gmbh Bi̇r boru bağlanti parçasi ve bi̇r boru bağlanti parçasi bi̇ri̇mi̇
US11092164B2 (en) * 2015-12-29 2021-08-17 Baker Hughes Esp, Inc. Non-welded suction chamber for surface pumping systems
CN105782117B (zh) * 2016-03-07 2018-06-26 合肥通用机械研究院 一种离心压缩机扩稳装置
EP3434909B1 (en) * 2017-07-25 2023-09-27 CIRCOR Pumps North America, LLC Pump casing with integral support flange and suction flange
JP6944327B2 (ja) * 2017-09-29 2021-10-06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ポンプ及びポンプ組立体
USD881365S1 (en) 2018-02-28 2020-04-14 S. C. Johnson & Son, Inc. Dispenser
USD880670S1 (en) 2018-02-28 2020-04-07 S. C. Johnson & Son, Inc. Overcap
USD872245S1 (en) 2018-02-28 2020-01-07 S. C. Johnson & Son, Inc. Dispenser
USD872847S1 (en) 2018-02-28 2020-01-14 S. C. Johnson & Son, Inc. Dispenser
USD853548S1 (en) 2018-05-07 2019-07-09 S. C. Johnson & Son, Inc. Dispenser
USD852938S1 (en) 2018-05-07 2019-07-02 S. C. Johnson & Son, Inc. Dispenser
WO2021241081A1 (ja) * 2020-05-26 2021-12-02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ポンプケーシングおよびポン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817A (en) * 1898-12-09 1904-03-01 Wallace C Andrews Apparatus for supplying cities with steam.
US1502678A (en) * 1921-01-22 1924-07-29 Herbert E Merseles Pump
GB579441A (en) * 1944-04-03 1946-08-02 Waterous Co Centrifugal pump
GB1013341A (en) * 1961-02-02 1965-12-15 Tetmark Patents Ltd Improvements in volute pumps, turbines and the like
US3131642A (en) * 1962-11-30 1964-05-05 Wilfley & Sons Inc A Standpipe connection for centrifugal pumps
JPS51157002U (ko) * 1975-06-09 1976-12-14
FR2315022A1 (fr) * 1975-06-16 1977-01-14 Materiel Telephonique Pompe de circulation a montage universel
US4913619A (en) * 1988-08-08 1990-04-03 Barrett Haentjens & Co. Centrifugal pump having resistant components
JPH0667896A (ja) 1992-08-19 1994-03-11 Nec Corp シングルチップ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H0683986A (ja) 1992-09-01 1994-03-25 Nec Corp シングルチップ・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H0667896U (ja) * 1993-02-25 1994-09-22 株式会社クボタ モータ台
JPH0683986U (ja) * 1993-05-14 1994-12-02 株式会社クボタ ポンプ装置
RU2065999C1 (ru) * 1993-10-28 1996-08-27 Проектно-изыск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Ленгидропроект" 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
JPH08219345A (ja) * 1995-02-13 1996-08-30 Hitachi Ltd 伸縮管継ぎ手
IT232119Y1 (it) * 1996-12-06 1999-09-10 Bacchiocchi Alberto Gruppo di aspirazione per cappe, forni e simili, avvalentesi di una carcassa formata da due coclee affiancate e distanziate tra loro
JP3621016B2 (ja) * 2000-03-22 2005-02-16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流体輸送用伸縮継手
US6599086B2 (en) 2001-07-03 2003-07-29 Marc S. C. Soja Adjustable pump wear plate positioning assembly
CN1570398A (zh) * 2003-07-18 2005-01-26 杨明标 自吸清水泵
US20070036643A1 (en) * 2005-08-10 2007-02-15 Envirotech Pumpsystems, Inc. Tool-free adjustable clean out assembly for a pump
CN101258331B (zh) * 2005-08-10 2011-09-28 环境技术泵设备公司 具有清除组件的离心泵
EP1960632B1 (en) * 2005-11-30 2019-08-21 Dresser-Rand Company End closure device for a turbomachine casing
RU2332591C2 (ru) * 2006-07-27 2008-08-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пейский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
CN100458181C (zh) * 2007-01-30 2009-02-04 镇江正汉泵业有限公司 立式输卤泵的安装方法
EP2112380A1 (de) * 2008-04-21 2009-10-28 DP Industries B.V. Mehrstufige Kreiselpumpe in Inline-Bauart
CN101476346B (zh) * 2009-01-23 2010-09-08 魏华 一种污废水强排装置
US8210804B2 (en) * 2009-03-20 2012-07-03 Dresser-Rand Company Slidable cover for casing access 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80401B1 (en) 2020-01-15
SE1050590A1 (sv) 2011-12-10
UA109279C2 (uk) 2015-08-10
EP2580401A1 (en) 2013-04-17
AU2011262545A1 (en) 2013-01-10
DK2580401T3 (da) 2020-04-06
CN103025973A (zh) 2013-04-03
CA2799889C (en) 2018-07-24
KR20130129329A (ko) 2013-11-28
CN103025973B (zh) 2014-09-10
EP2580401A4 (en) 2014-12-31
BR112012031411A2 (pt) 2016-11-08
MX2012013903A (es) 2013-02-21
RU2559950C2 (ru) 2015-08-20
AU2011262545B2 (en) 2014-09-18
RU2012157214A (ru) 2014-07-20
PL2580401T3 (pl) 2020-08-10
JP5624676B2 (ja) 2014-11-12
NZ603788A (en) 2015-04-24
ZA201208825B (en) 2014-01-29
WO2011155894A1 (en) 2011-12-15
NO20121450A1 (no) 2013-02-28
ES2784128T3 (es) 2020-09-22
US8844977B2 (en) 2014-09-30
SE534906C2 (sv) 2012-02-14
MY160273A (en) 2017-02-28
SG186185A1 (en) 2013-01-30
JP2013529737A (ja) 2013-07-22
BR112012031411B1 (pt) 2020-02-18
US20130082464A1 (en) 2013-04-04
CL2012003439A1 (es) 2013-04-01
CA2799889A1 (en)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236B1 (ko) 흡입관을 건식 설치형 원심 펌프에 연결하기 위한 흡입 연결부
CN110124516B (zh) 一种滤芯以及具有该滤芯的过滤器
CN108291674B (zh) 管道连接器和管道连接器单元
KR101509234B1 (ko) 스트레이너 필터조립체
US20100078375A1 (en) Filter assembly
KR101624037B1 (ko) 터빈의 윤활유 세정장치
JP3576919B2 (ja) 油圧機器のドレンフィルタ
JP3219306U (ja) 水中ポンプ用連結アダプター及びこれを用いた水中ポンプ装置
JP6860188B2 (ja) ロータリージョイントおよびロータリージョイントの使用方法
CN208268424U (zh) 一种全自动园林排水设备
CN219072278U (zh) 一种旋转式全自动反冲洗过滤器
JP7345990B2 (ja) 立軸ポンプ
CN117803760A (zh) 一种具有堵塞监控功能的空气阀阀组以及监控方法
JP2006125462A (ja) フィルタ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