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090B1 - 스텐실 프레임들 - Google Patents

스텐실 프레임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090B1
KR101961090B1 KR1020177010844A KR20177010844A KR101961090B1 KR 101961090 B1 KR101961090 B1 KR 101961090B1 KR 1020177010844 A KR1020177010844 A KR 1020177010844A KR 20177010844 A KR20177010844 A KR 20177010844A KR 101961090 B1 KR101961090 B1 KR 10196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guide
elements
profile
tensio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770A (ko
Inventor
피터 카스즐리
Original Assignee
피터 카스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카스즐리 filed Critical 피터 카스즐리
Publication of KR20170063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B41F15/36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6Braz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07Solder feeding devices
    • B23K3/0623Solder feeding devices for shaped solder piece feeding, e.g. preforms, bumps, balls, pellets, drop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07Solder feeding devices
    • B23K3/0638Solder feeding devices for viscous material feeding, e.g. solder paste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0881Machines for printing on polyhedral 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25Screens or stencils; Holder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7Solder materials or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 H05K3/3485Applying solder paste, slurry or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15/00Screen printing machines
    • B41P2215/10Screen print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B41P2215/12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각진 형상의 스텐실들을 인장시키기 위한 스텐실 프레임이 제공된다. 상기 스텐실 프레임은 모서리 요소들(2), 에지 요소들(1), 고정 요소들(13) 및 인장 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 장치는 각각의 에지 요소(1)와 연계된다. 상기 모서리 요소들(2)은 2개의 상호 직각, 안내 프로파일들(12)을 각각 가지며, 상기 2개의 안내 프로파일들은 그 축들의 교차부에서 결합하고 상기 에지 요소들(1)은 단축방향 수용 프로파일(11)을 각각 가진다. 상기 각각의 수용 프로파일(11)은 헐거운 끼워맞춤에 의해서 상기 2개의 안내 프로파일들(12)에 연결가능하다. 각각의 인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5)를 가지며 2개의 이웃하는 모서리 요소들(2) 사이를 연결한다. 각각의 인장 장치에 의해서 작용되는 힘의 라인은 그 대응 수용 프로파일(11)의 축과 평행하다.

Description

스텐실 프레임들{STENCIL FRAMES}
본원은 스텐실 포일(stencil foil)들을 균일하게 인장시키기 위한 스텐실 프레임들에 관한 것이다. 스텐실 프레임들은 스텐실 포일이 스텐실 프레임에 해제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스텐실 프레임들은 표면 설치 장치(SMD) 회로 제조 중에 회로 기판 상에 솔더 페이스트(solder paste) 적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산업에서 사용된 최대 확산된 접합 기술은 소위 리플로우 솔더링(reflow soldering)이다. 본 기술에서 솔더의 외형은 솔더 합금 및 플럭스의 용매 현탁액(solvent suspension)인 솔더 페이스트이다. 대량 제조 시에 솔더 페이스트는 일반적으로 스텐실 또는 스텐실 포일로 언급되는 얇은 금속 고정구를 통해서 먼저 조립체 보드(일반적으로 직조된 유리 직물 보강 에폭시 수지)의 표면 또는 다른 회로 기판에 적용된다. 스텐실 포일은 조립체 보드의 접촉 표면들을 가공할 때 개방부(개구)를 갖는, 통상적으로 시트 형태의 가공된 금속 공구이다. 인쇄 중에 크림형 솔더 페이스트는 상기 솔더 페이스트가 상기 개방부들의 위치에만 조립체 보드에 적용되도록 스텐실 포일의 개방부들을 통해서 조립체 보드 상으로 얼룩(smeare)진다. 구성요소들은 조립체 보드의 구성요소들의 임시 부착 수단을 제공하는 솔더 페이스트와 접촉하게 조립체 보드 상에 배치된다. 연성 납땜된 접합부들은 그 다음 솔더 페이스트를 용융시키기 위하여 솔더 페이스트에 열을 인가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솔더 페이스트는 그 다음 구성요소들 및 조립체 보드 사이에 납땜된 접합부를 형성하게 냉각되도록 허용된다.
상기 솔더 페이스트의 인쇄 중에 상기 스텐실 포일이 상기 조립체 보드 위에서 균일하게 인장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스텐실의 불균일한 인장 뿐 아니라 상기 조립체 보드로부터의 임의의 돌출들은 원하는 용적과 상이한 솔더 페이스트 용적이 조립체 보드에 적용되게 할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단지 작은 피치 분리를 갖게 설계될 수 있는 구성요소 도선들 사이의 단락(short circuit) 또는 구성요소들의 변위를 유발할 수 있다. 조립체 보드, 예를 들어, 솔더 마스크 또는 자체 접착 마커들로 덮혀진, 전도성 경로들 상에 임의의 레벨 차이는 또한 비접촉 상황을 유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레벨 차이가 과도하게 크지 않거나 또는 납땜 표면들로부터 반드시 너무 멀지 않다면, 상기 스텐실 포일은 조립체 보드와 접촉하고 인쇄된 용적이 설계될 수 있다.
발생할 수 있는 2개의 전형적인 납땜 결합들은 구성요소 및 조립체 보드 사이의 전기 및/또는 기계적 접촉부가 적절하게 형성되지 않는 "스킵(skip)들" 및 원하지 않는 지점을 생성하는 구성요소 도선들 사이의 '솔더 브릿지(solder bridge)'이다. 솔더 브릿지는 과도한 양의 솔더 페이스트가 조립체 보드 상에 증착될 때 형성되고 스킵들은 불충분한 양의 솔더 페이스트가 제공될 때 형성된다.
전자 산업에서, 스텐실 포일은 해마다 전세계적으로 수십만개가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전자 회로를 제조하는 필요한 모든 큰 용적은 이들과 연계된 공구들을 가진다. 이들이 회로들의 전체 수명을 통해서 저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은 전자제품 제조 설비에서 거대한 용적을 점유한다. 저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많은 회사들은 스텐실 포일을 인장 프레임 안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에지를 따라서 좁은 하위 프레임들을 갖거나 또는 개방부들을 갖는 스텐실 포일을 구비한 모듈형 해결방안을 개발하였다. Messerschmitt에 의한 DE3043666A1호는 상기 프레임의 인장이 많은 수평 및 수직 조정 스크류들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조정될 수 있는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그러나, 조정 동작은 번거롭고 느리다. 더욱 실용적인 해결방안은 에지들 주위에 배열된 스프링들을 신속하게 해제하는 공압력을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들에 의해서 제공되고, 상기 스프링들은 인가된 공압력이 부족할 때 인장된 스텐실을 유지한다. 상기 해결방안의 예들은 Alpha Fry Limited에 의한 GB2317366A호, Meiko Electronics Co Ltd에 의한 WO2013061438A1호 및 Dek International GmbH에 의한 WO2009047012A2호에 기재된 프레임 시스템들이다.
이들 시스템들의 의심없는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결점은 이들이 다수의 복잡한 형상, 통상적인 금속, 구성요소들을 필요로 하고, 엄격한 제조 공차에 대한 조건은 고비용의 제조 비용을 유도하고 결과적 프레임들은 결함부를 갖기 쉽다는 것이다.
상기 배경에 대해서, 본원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스텐실 프레임을 제공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공된 스텐실 프레임 및 스텐실을 포함하는 조립체도 역시 제공된다.
제안된 해결방안은 스텐실 프레임이 서로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고 스프링들에 의해서 사전인장될 수 있는 에지 요소 및 모서리 요소로 분해될 수 있다는 것에 기초한다. 모서리 요소 및/또는 에지 요소는 선택적으로 직사각형으로 생성될 수 있고 공압식 해제 프레임보다 훨씬 저렴한 패턴형으로 압출될 프로파일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원의 스텐실 프레임은 모서리 요소, 에지 요소, 고정 요소 및 인장 장치들을 포함하고, 인장 장치는 각각의 에지 요소와 연계된다. 상기 모서리 요소들은 2개의 상호 수직인 안내 프로파일들을 각각 가지며, 상기 2개의 안내 프로파일들은 그 축들의 교차부에서 결합된다. 상기 에지 요소들은 단축방향 수용 프로파일을 각각 가지고, 상기 각각의 수용 프로파일은 헐거운 끼워맞춤에 의해서 상기 2개의 안내 프로파일들에 연결가능하다. 각각의 인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를 가진다. 각각의 인장 장치는 2개의 이웃하는 모서리 요소들 사이를 연결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각각의 인장 장치는 하나의 에지 요소에 연결된다. 각각의 인장 장치에 의해서 작용되는 힘의 라인은 그 대응 수용 프로파일의 축과 평행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각각의 인장 장치에 의해서 작용되는 힘의 라인은 그 대응 수용 프로파일의 축과 단축방향이다.
상기 스텐실 프레임은 양호하게는 평면도에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갖는 스텐실들을 인장시키기에 적합하다.
각각의 모서리 요소의 2개의 안내 프로파일들은 서로 동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사용된 각각의 안내 프로파일의 길이는 제공된 인장 장치의 유형(및 길이)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안내 프로파일은 상기 안내 프로파일이 수용되는 상기 에지 요소의 길이의 10% 내지 45%의 길이를 가진다. 안내 프로파일의 짧은 길이, 예를 들어, 안내 프로파일이 수용되는 에지 요소의 길이의 10% 내지 25%의 길이는 스텐실 프레임의 중량 및 재료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스텐실 프레임의 전체 크기는 인장될 스텐실의 크기와 맞추어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인장된 크기 585x585x39mm(L x W x D)의 스텐실 프레임의 예에 대해서 - 여기서 '인장된 크기'는 고정 요소들에 결합된 스텐실과 함께 사용될 때의 크기이고 - 상기 스텐실 프레임의 중량은 양호하게는 3000g 미만이다. 인장된 크기 585x737x39mm의 스텐실 프레임의 예에 대해서, 상기 스텐실 프레임의 중량은 양호하게는 3500g 미만이다. 인장된 크기 737x737x39mm의 스텐실 프레임의 예에 대해서, 상기 스텐실 프레임의 중량은 양호하게는 4000g 미만이다.
각각의 모서리 요소의 2개의 안내 프로파일들은 2개의 안내 프로파일들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이들을 단일 유닛으로 주조함으로써 그 축들의 교차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안내 프로파일들은 서로로부터 분리되게 형성되고 그 다음 함께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내 프로파일들은 함께 볼트체결될 수 있다.
상기 안내 프로파일들은 그 교차부에서 서로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모서리 유닛은 상기 2개의 안내 프로파일들 사이에 제공되어서, 상기 2개의 안내 프로파일들이 함께 간접 결합된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안내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볼트체결에 의해서 상기 모서리 유닛에 결합된다.
각각의 에지 요소의 수용 프로파일은 상기 수용 프로파일의 각각의 단부에서 하나의 안내 프로파일을 수용함으로써 2개의 안내 프로파일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용 프로파일은 에지 요소의 수용 프로파일 내에서 상기 안내 프로파일의 활주 삽입에 의해서 간단하게 안내 프로파일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내 프로파일 및 수용 프로파일 사이에서 연장되는 추가의 물리적 상호연결 요소에 대한 필요성이 없다. 그러나, 스텐실이 상기 스텐실 프레임과 결합되지 않고 스텐실 프레임이 외력의 적용없이 안착될 때, 상기 안내 프로파일들이 상기 수용 프로파일로부터 완전히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안내 프로파일과 상기 안내 프로파일이 수용되는 상기 수용 프로파일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호연결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상호연결 요소들은 스텐실 프레임의 분리 낙하를 유도하는 에지 요소들로부터의 모서리 요소들의 완전한 분리를 방지한다.
상기 상호연결 요소는 다수의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수용 프로파일로부터 안내 프로파일의 완전한 철수를 방지하면서 상기 안내 프로파일 및 상기 수용 프로파일 사이의 제한된 정도의 상대 활주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 예에서, 상기 상호연결 요소는 상기 안내 프로파일로부터 돌출하고 수용 프로파일에 형성된 세장형 슬롯에 수용되는 로킹 핀을 포함한다. 상기 로킹 핀은 상기 세장형 슬롯의 한정 내에서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안내 프로파일 및 상기 수용 프로파일 사이의 제한된 정도의 상대 이동을 허용한다. 상기 세장형 슬롯의 위치 및 길이는 양호하게는, 상기 스텐실 프레임의 최대 치수(길이 및/또는 폭)가 인장 장치에 의해서 잔여 탄성력만이 모서리 요소들에 부여된 상태에서, 연계된 세장형 슬롯의 일단부에 대해서 접대 상태로 로킹된 로킹 핀들에 의해서 동반되도록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세장형 슬롯의 길이는 스텐실을 고정 요소들에 결합시킬 수 있게 충분하게 스텐실 프레임의 치수(길이 및/또는 폭)를 감소시키기 위해 모서리 요소들이 서로를 향하여 압착되게 할 수 있을 만큼 길어야 한다.
대안으로, 상기 로킹 핀은 수용 프로파일로부터 돌출할 수 있고 안내 프로파일에 형성된 세장형 슬롯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안내 프로파일은 수용 프로파일에 느슨하게 끼워진다. 이는 더욱 용이한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안내 프로파일 및 수용 프로파일 사이의 마찰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안내 프로파일 및 상기 수용 프로파일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는 저마찰 재료 또는 코팅이 적용될 수 있다. 가능한 재료들의 예들은 PTFE 및 아세탈 수지를 포함한다.
서로 느슨하게 끼워진 상기 수용 프로파일 및 상기 안내 프로파일은 상기 수용 프로파일의 축 둘레의 상기 수용 프로파일 및 상기 안내 프로파일의 상대 회전을 방지 또는 제한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서 키이 고정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대 이동은 수용 프로파일의 축의 라인만을 따라 활주 이동하게 구속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안내 프로파일의 외부 단면 형상은 일반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용 프로파일의 내부 단면 형상과 정합하고 안내 프로파일의 외부 치수들은 필요한 헐거운 끼워맞춤을 보장하기 위해 수용 프로파일의 내부 치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안내 프로파일들 및/또는 상기 수용 프로파일들이 사각형 튜브들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사각형 튜브 및 다른 형태의 폐쇄된 박스 섹션은 상기 수용 프로파일 및/또는 상기 안내 프로파일의 큰 강도를 제공할 때 유리할 수 있다. 강도가 클 수록 더욱 가벼운 상기 수용 프로파일 및/또는 상기 안내 프로파일이 사용될 수 있게 한다. 강도가 클 수록 작은 강도의 종래 스텐실 프레임에 의해서는 가능하지 않은 큰 인장력을 스텐실 프레임이 스텐실에 부여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어, 본원의 스텐실 프레임들은 과부하없이 최대 120N/cm의 인장력을 지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스텐실 프레임의 디자인은 양자 모두 사용 시에 작동될 에지 요소 외부의 구성요소들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는, 에지 요소들의 내부에 임의의 공압 장치 또는 기계식 기어장치를 제공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대조적으로, 본원의 편향 수단은 에지 요소들의 내부에 완전히 자체 수용될 수 있고 이들이 결합된 스텐실 프레임을 인장시키기 위해 외부 작동 장치에 의한 작동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자체 작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안내 프로파일에 대해서 박스 구조체를 사용하고 사용 중에 프로파일들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본질적인 조건이 없기 때문에 특히 수용 프로파일이 제조될 수 있다.
각각의 에지 요소는 하나의 인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인장 장치는 하나 이상의 탄성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탄성 요소는 스프링이거나 또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스텐실 프레임이 인장되지 않을 때(즉, 상기 프레임이 적재 상태가 아닐 때 또는 스텐실이 상기 고정 요소에 결합되지 않을 때), 상기 스프링들에 의해서 작용되는 힘이 대략 0이 되도록 상기 스프링들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들은 300 내지 500N/mm의 힘 등급을 가질 수 있고 스프링들의 전체 스트로크는 고정 요소들에 결합되고 스텐실이 적재된 상태에서 전체 힘이 스텐실에 필요한 힘에 대해서 충분해지도록 [통상적으로 각각의 에지를 따라 커지도록 50N/cm 또는 그 이상] 한정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들은 단일 스프링들 또는 이중 스프링들일 수 있다[여기서 큰 직경의 스프링이 작은 직경의 스프링 위에 동심으로 배치되어서, 작은 스프링을 큰 스프링에 의해서 끼운다].
각각의 인장 장치는 에지 요소와 연계된다. 인장 장치는 에지 요소와 결합됨으로써 에지 요소와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인장 장치는 에지 요소의 내부 내에 제공됨으로써 에지 요소와 연계될 수 있다.
각각의 인장 장치는 2개의 이웃 모서리 요소들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인장 장치가 모서리 요소들에 부착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것은 본질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인장 장치는 모서리 요소들의 안내 프로파일들을 향하여 간단하게 접대하고 눌러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다면, 인장 장치는 안내 프로파일들에 부착되거나 또는 결합하고 그리고/또는 탄성 요소들을 안내 프로파일들과 결합하게 안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인장 장치는 인장 장치가 수용되는 에지 요소에 연결된다. 인장 장치는 상기 인장 장치와 상기 인장 장치가 수용되는 상기 에지 요소 사이로 연장되는 중심맞춤 요소에 의해서 상기 에지 요소에 연결된다. 상기 중심맞춤 요소는 중심맞춤 핀일 수 있다. 상기 중심맞춤 핀은 에지 요소의 길이의 중간부에 인장 요소를 위치시키고 고정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에지 요소가 사용 시에 스텐실에 예측가능하고 균일한 인장력을 제공하는 것을 보조하는 인장 장치 및/또는 이웃 모서리 요소에 대해서 사용중에 중심맞춤 상태로 잔류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각각의 인장 장치에 의해서 발휘되는 힘 또는 영향의 라인은 대응하는 수용 프로파일의 축과 평행하고, 양호하게는 단축방향이다. 수용 프로파일의 축은 또한 양호하게는 수용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에지 요소이 축이다.
각각의 인장 장치는 이웃하는 모서리 요소들을 떨어지게 밀쳐내도록 단일하게 또는 조합하게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본원의 인장 장치들의 예는 하기에 요약된다.
인장 장치의 제 1 예에서, 탄성 요소는 수용 프로파일에 활주식으로 수용되는 2개의 안내 프로파일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프링을 단순히 포함한다. 이 경우에, 양호하게는 (인장 장치가 좌정되는) 수용 프로파일은 수용 프로파일에 대한 스프링의 일반적 및 정렬된 위치를 보유하기 위하여 스프링 외부로부터 안내된다.
제 1 변형예에서, 상기 스프링은 선택적으로 수용 프로파일에 의해서 또는 적어도 단지 수용 프로파일에 의해서 안내되지 않고 선형 안내 요소들에 의해서 안내되고, 상기 선형 안내 요소들은 상기 각각의 안내 프로파일들의 단부들로부터 돌출하거나 또는 상기 단부들 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단부들에 축방향으로 부착된다. 상기 선형 안내 요소들은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양호하게는 그 길이를 따라 기둥 형상이다. 상기 선형 안내 요소들은 각각 단일 부재이거나 또는 절첩식 프로파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장 장치는 안내 프로파일들의 단부들에 축방향으로 부착되는 2개의 선형 안내 요소들에 의해서 안내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인장 장치의 제 2 예는 탄성 요소, 양호하게는 인장 스프링 및 적어도 하나의 안내 핀을 포함한다. 각각의 안내 프로파일은 상기 안내 핀이 느슨하게 끼워지는 그 단부 상에 축방향 구멍을 가진다. 상기 탄성 요소는 상기 안내 핀 상에 안착되고 상기 이웃하는 모서리 요소들을 떨어지게 편향시킨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안내 핀이 축방향 구멍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각각의 인장 장치에 제공된다. 양호하게는, 각각의 안내 핀은 안내 핀이 수용되는 수용 프로파일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요소에 고정되는 수직인 고정 핀 또는 스크류를 사용하여 수용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이는 탄성 요소 및 안내 핀을 중심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유리한 인장 장치의 제 3 예는 적어도 인장 스프링, 하나의 나사형 샤프트, 하나의 나사형 너트 및 상기 나사형 샤프트에 고정된 회전가능한 세팅 휠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된 모서리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나사형 샤프트가 느슨하게 끼워지는 상기 안내 프로파일의 단부에 있는 축방향 구멍을 가진다. 상기 인장 스프링들은 상기 안내 프로파일들 및 상기 나사형 너트들 사이에 있는 상기 나사형 샤프트에 설치된다. 상기 나사형 너트는 상기 에지 요소들의 내벽을 향하여 헐거운 끼워맞춤을 가지며 상기 나사형 샤프트 둘레의 나사형 너트들의 회전은 키이고정된 연결부에 의해서 방지된다. 상기 에지 요소들은 회전가능한 세팅 휠들 옆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가질 수 있다. 만약 나사형 샤프트가 연결된 2개의 나사형 너트들을 가지면, 상기 나사형 샤프트의 일 측부는 반대방향으로 지향된 나사부를 가진다.
유리한 인장 장치의 제 4 예는 스페이서 요소 및 양호하게는 스프링인 적어도 2개의 탄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 요소를 사용하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텐실 프레임의 모서리들에 더욱 근접하게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모서리 요소의 안내 프로파일들이 짧고 탄성 요소들이 짧을 수록, 재료가 절약되고 스텐실 프레임의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2개의 탄성 요소들은 양호하게는 스페이서 요소의 단부들 위로 탄성 요소들을 매달아서 스페이서 요소의 양쪽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스페이서 요소는 각 탄성 요소의 힘 또는 영향을 인장 장치의 다른 단부에 전달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비교적 짧은 탄성 요소들이 사용될 수 있고 양호하게는 비탄성인 스페이서 요소는 인장 장치의 길이의 잔여부를 점유한다. 이 방식에서, 스페이서 요소 및 2개의 결합된 탄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인장 장치는 스프링과 같은 연속 탄성 요소를 사용하여 가능해지는 매우 큰 길이에 대해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요소는 스페이서 바아일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바아는 고형 섹션이거나 또는 원형 또는 별형 또는 다른 단면 형상일 수 있는 관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바아는 확대 직경 중심 섹션 및 각 단부에 하나씩 있는 2개의 좁은 직경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형태의 탄성 요소들은 각각의 좁은 직경 섹션 위에 매달리고 양호하게는 개재된 와셔들에 의해서 상기 확대 직경 중심 섹션에 대해서 접대한다.
상기 스페이서 바아의 확대 직경 중심 섹션의 길이는 스텐실 프레임이 사용 시에 작용할 수 있는 인장력을 조정하고 사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확대 직경 중심 섹션이 길 수록, 더욱 압축되는 스프링으로 인하여 인장력이 커지고 따라서 더욱 큰 사전 인장을 가진다.
양호하게는, 각각의 스페이서 요소는 상기 스페이서 요소가 수용되는 수용 프로파일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요소에 고정되는 수직인 고정 핀 또는 스크류를 사용하여 수용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이는 중심 위치에서 스페이서를 유지하는 것을 보조한다.
본원의 임의의 인장 장치들에서, 힘 분배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탄성 요소에 의해서 편향되는 구성요소와 탄성 요소 사이에 와셔들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에지 요소는 사용 시에 스텐실을 에지 요소에 결합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를 포함한다. 고정 요소는 에지 요소에 수직으로 정렬된 일련의 핀들 또는 스플라인들 또는 에지 요소에 따른 체결 림 또는 뒤로 굽혀지거나 또는 에지 요소를 따른 숄더에 수직인 프로파일일 수 있다. 상기 고정 요소는 예를 들어 동일 주조 또는 압출의 부분으로서 에지 요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텐실 프레임은 그 기능에 대한 재료 특징 및 필요한 강도를 갖는 적당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모서리 요소는 알루미늄으로 주조 및/또는 압출되어 형성된다. 양호하게는, 에지 요소는 압출된 알루미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인장 장치들의 구성요소들 및 잡다한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중심맞춤 핀, 로킹 핀, 너트 등이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은 하기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를 통해서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원에 따른 일반적 형태의 인장 프레임을 도시하는 상단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인장 프레임의 단면 개략도.
도 3은 인장 장치를 포함하는 본원에 따른 인장 프레임의 하단 개략도.
도 4는 변형된 도 3에 도시된 일반적 유형의 인장 프레임의 부분 사시 단면도.
도 5는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된 임의의 부분들을 갖는 도 4의 인장 프레임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인장 프레임의 수용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인장 프레임의 모서리 요소의 부분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4의 인장 프레임의 인장 장치의 부분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원의 인장 프레임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용 프로파일의 다른 디자인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본원의 인장 프레임들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용 프레임의 추가 디자인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원의 인장 프레임에서 사용하기 위한 변형된 모서리 요소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인장 장치의 더욱 단순한 변형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3은 하나의 조정 휠 타입의 인장 장치의 측단면도.
도 14는 다른 조정 휠 타입의 인장 장치의 측단면도.
도 15는 본원에 따른 다른 인장 프레임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인장 프레임의 하위 조립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5의 인장 프레임의 사시 부분 단면도.
도 18은 도 15의 인장 프레임의 모서리 요소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을 참조할 때, 고정 요소(13)가 실제로 스크류들로 조립된 굽혀진 금속 스트립이고 스텐실 포일의 에지 요소를 고정할 수 있는 일반적 프레임 구조체를 인식할 수 있다. 고정 요소(13) 대신에, 프레임은 체결 에지 또는 핀들, 스크류들 또는 에지 요소(1)와 수직인 스플라인과 같은 다른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스텐실 포일에 고정될 수 있고 스텐실 포일의 에지를 따라 제조된 개방부에 부착될 수 있다. 고정 요소(13)는 또한 에지 요소(1)에 묶여진 스텐실의 평면에 수직인 숄더일 수 있다. 인장 프레임은 모서리 요소(2)가 모서리 요소(2)의 축방향으로 에지 요소(1)와 연결되고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텐실 포일을 인장시킨다. 상술한 부분들 사이에는, 마주하는 에지 요소들(1)을 서로 분리시키도록 작용하는 인장 장치들이 설치된다. 모서리 요소(2)는 실제로 정사각형이지만 또한 더욱 많은 에지 수들을 예상할 수 있는 에지 요소(1)의 상대 각도를 한정한다.
모서리 요소(2)는 에지 요소(1)와 연결되는 안내 프로파일(12)을 가진다. 2개의 상호 수직인 안내 프로파일(12)이 있고 그 축들은 교차하며 직접 결합하거나 또는 모서리 결합부에 의해서 결합한다. 상기 에지 요소(1)의 연결 부분은 안내 프로파일(12)과 연결되도록 수용 프로파일(11)로서 성형된다. 유리한 해결방안에서, 에지 요소(1)는 그 전체 길이를 따라서 수용 프로파일(11)로서 작용할 수 있고 전체 부분은 사각형 튜브일 수 있고 모서리 요소(2)는 또한 전체 길이를 따라 안내 프로파일(12)로서 작용할 수 있고 역시 사각형 튜브로 제조된다.
도 2는 스텐실 프레임의 일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용이한 제조성이 목표이기 때문에 수용 프로파일(11)은 사각형 튜브(스틸, 알루미늄 또는 섬유 보강 플라스틱)이고, 안내 프로파일(12)은 사각형 튜브 또는 고형 블록일 수 있다. 안내 프로파일(12) 및 수용 프로파일(11)은 선형 안내부로서 작용하고 그 기능은 여러 다른 프로파일 쌍들에 의해서 작용할 수 있고 더욱 작용하거나 또는 연속적이지 않은 단면 요소들은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프로파일들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다. 고정 요소(13)는 가장 단순한 경우에는 30 내지 60도로 굽혀지고 스크류들에 의해서 에지 요소(1)에 부착된 금속 리본일 수 있다.
도 3에는, 인장 장치의 하나의 단순한 변형예가 도시된다. 4개의 수용 프로파일(11)의 방향 및 그에 따른 스텐실의 평면은 모서리 요소(2)의 안내 프로파일(12)에 의해서 한정된다. 안내 프로파일(12)을 따라서, 수용 프로파일(11)은 변위될 수 있다. 수용 프로파일(11)은 단축방향이지만, 최적의 경우에는 2개의 수용 프로파일은 동일 작업편으로 제조되고 직사각형 튜브로 제조된다. 안내 프로파일(12)은 그 단부 상의 축방향 구멍(10)을 갖는 기둥 형상이다. 구멍(10)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분, 예를 들어 스프링(5)이 안착되는 안내 핀(3)과 연결된다. 스프링(5) 및 안내 핀(3)을 중심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하여, 안내 핀(3), 실제로 관통 구멍과 연결되는 고정 핀(4)(또는 고정 스크류)이 있다. 고정 핀(4)(또는 고정 스크류)은 에지 요소(1)의 측부 상의 구멍을 통과한다. 구멍(10) 및 안내 핀(3)은 도면에 도시된 배열에 대해서 헐거운 끼워맞추어진다. 프레임의 인장력의 해제는 서로에 대하여 2개의 에지 요소(1)를 가압함으로써 행해지고 이에 의해서 고정 요소(13)에 대한 인장력을 해제한다. 인장 장치는 에지 요소(1) 내부에서 용이하게 감추어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더욱 유리한 제조성 및 사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변형된 도 3에 도시된 일반적 유형의 스텐실 프레임을 도시한다. 일반적 작용 원리는 도 3의 스텐실 프레임에 대한 것과 동일하다. 유사 도면부호는 유사 부분들에 대해서 사용되었다.
도 4에서, 하나의 에지 요소(1)가 인장 장치가 보여지도록 부분 단면으로 도시된다.
도 5에서, 에지 요소(1)는 안내 프로파일(12)이 더욱 잘 도시되도록 생략되었다.
도 6은 수용 프로파일(11)이 어떻게 폐쇄된 박스 섹션의 형태 - 본 예에서 사각형 튜브 - 를 가질 수 있는지를 격리 상태로 에지 요소(1)를 도시한다. 고정 요소(13)는 뒤로 굽혀진 프로파일로서 동일 압출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어떻게 안내 프로파일(12)이 모서리 유닛(20)의 형태로 모서리 결합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함께 결합되는지를 격리 상태로 모서리 요소(2)를 도시한다. 안내 프로파일(12)은 안내 프로파일(12)의 근위 단부들에 형성된 나사형 구멍들에 수용되는 볼트(21)에 의해서 모서리 유닛(20)에 결합될 수 있다. 본원의 스텐실 프레임들 중 임의의 것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모서리 유닛(20)의 변형 형태는 도 11 및 도 18에 도시된다. 이러한 변형 형태에서, 모서리 유닛(20)은 모서리 유닛의 최내측 모서리로부터 최외측 모서리로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공된 분할 웨브(30)를 갖는 일반적인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분할 웨브(30)는 모서리 유닛(20)이 모서리 유닛(20)의 내부 안으로 2개의 개방부들(31)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분할 웨브(30)는 안내 프로파일(12)의 결합 및 결합해제를 위하여 볼트(21)에 대한 공구 접근성을 허용하도록 윈도우(34)를 구비한다. 알렌 키이(Allen key)와 같은 공구는 개방부(31)로 진입하고 윈도우(34)를 통과하여 볼트(21) 중 하나와 결합할 수 있다. 도 11은 또한 모서리 유닛(20)이 모서리 유닛(20) 및 안내 프로파일(12)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내 프로파일(12)에 있는 구멍 또는 리세스(36)와 정합 시에 결합할 수 있는 로킹 스터드(32)를 구비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또한 안내 프로파일(12)이 수용 프로파일(11)로부터 완전히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떻게 상호연결 요소들이 각각의 안내 프로파일(12) 및 수용 프로파일(11) 사이에서 연장되는지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호연결 요소는 안내 프로파일(12)로부터 돌출하는 로킹 핀(23)을 포함하고 수용 프로파일(11)에 형성된 세장형 슬롯(24)에 수용된다. 로킹 핀(23)은 세장형 슬롯(24)의 구속 내에서 이동할 수 있어서, 안내 프로파일(12) 및 수용 프로파일(11) 사이에서 제한된 정도의 상대 이동을 허용한다.
도 8은 본 예에서 안내 핀(3) 상에 매달리는 2개의 스프링(5)을 포함하는 인장 장치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고정 핀(4)은 안내 핀(3)을 통과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들이 각각의 스프링(5) 및 고정 핀(4) 사이 및/또는 고정 핀(4)으로부터 원격인 스프링(5)의 원위 단부들에 제공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수용 프로파일(11)의 단면에 대한 2개의 변형예들의 디자인을 도시한다. 하나의 변형예에서, 고정 요소(13)의 뒤로 굽혀진 프로파일은 에지 요소(1)의 하부면과 평행하고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지향된 각진 팁(26)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레벨링 립(levelling lip;27)이 수용 프로파일(11)의 내부 에지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레벨링 립(27)은 고정 수단(13)과 결합될 때 스텐실 포일에 지지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에지 요소(1)의 기준면(datum face)으로부터 스텐실 포일의 사전 결정된 오프셋을 달성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도 12는 스프링(5)이 안내 프로파일(12)의 단부에 축방향으로 부착되는 2개의 안내 요소(14)에 의해서 안내되는 더욱 단순한 인장 장치를 도시한다. 조립 상태에서, 충분한 작동 공간을 갖기 위해 안내 요소들(14) 사이에 1 내지 2cm의 갭을 남겨 두는 것이 중요하다. 스프링(5)을 안내하는 책무는 상이한 형상의 일정한 단면 선형 안내 요소들(튜브들 또는 다중 바아들)에 의해서 해결되지만, 절첩식 프로파일들 조차도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의 구성은 (인장 장치가 좌정되는) 수용 프로파일(11)이 비록 안내 요소들(14)이 생략될 수 있는 방식으로서 스프링(5) 외부로부터 안내될 수 있다면 더욱 단순해질 수 있다.
도 13은 수용 프로파일(11)의 축방향 섹션을 갖는 조정가능한 인장 장치를 도시한다. 여기서, 안내 프로파일(12)의 단부에 있는 구멍(10)이 도시되지만, 이 경우 나사형 샤프트(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구멍들 안으로 진입한다. 나사형 샤프트(7)는 그 단부들에서 나사부들을 가지며 중간에 있는 조정 휠(6)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조정 휠(6)은 기어일 수 있지만 적어도 리브형이어야 한다. 나사형 샤프트(7) 상의 조정 휠(6)의 양 측부들 상에는, 나사형 샤프트(7) 상에서 안내 프로파일(12)에 의해서 스프링(5)을 구속하는 하나의 나사형 너트(8)가 있다. 나사형 너트(8)의 나사부는 동일 측부의 샤프트 나사부와 정합되고 이는 수용 프로파일(11)에 대한 자유 회전이 방지되는 특징 구성이다. 이를 달성하는 가장 단순한 방식은 나사형 너트(8)의 외측 형상이 수용 프로파일(11)의 내부 섹션과 유사할 경우이다. 인장 장치의 조정가능한 성질은 개방부(9)를 통해서 조정 휠(6)이 예를 들어, 양 측의 스프링(5)의 선회 방향에 따라서 스크류드라이버에 의해서 선회될 때 사전 인장력이 감소되거나 또는 증가하는 원리에 있다. 그러므로, 인장력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스프링(5)을 통한 포일의 인장력은 프레임들에 대해서 더욱 온화하고 더욱 넓은 범위의 조정 가능성을 제공한다.
추가로 도 14에는, 이전 이행형태의 더욱 단순화된 변형예가 도시된다. 일 측부 상의 나사부는 전체적으로 생략될 수 있고 안내 핀(3)은 상기 측부에서 사용될 수 있다. 조정 휠(6)은 스프링(5)을 사전 인장시키는 힘을 상기 측부 상의 수용 프로파일(11)로 전달한다. 조정 휠(6)의 회전은 축방향으로 회전 로킹된 나사부 너트(8)에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스프링(5)의 사전 인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원에 따른 다른 인장 프레임을 도시한다. 일반적 작용 원리는 도 3의 스텐실 프레임과 동일하고 하기에 기술되는 임의의 변형을 가진다. 유사 도면부호들은 유사 부분들에 대해서 사용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장치는 스페이서 바아(50) 형태의 스페이서 요소 및 2개의 스프링(5)을 포함한다. 스페이서 바아(50)는 확대 직경 중심 섹션(51) 및 각 단부에 하나씩 있는 2개의 좁은 직경 섹션(52)을 포함한다. 스페이서 바아(50)를 사용하면, 스프링(5)이 모서리 유닛(20)에 더욱 인접한 서로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예보다 짧은 안내 프로파일(12)이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스프링(5)은 스페이서 바아(50)의 양 단부에 있는 좁은 직경 섹션(52) 위에 매달린다. 와셔(40)는 각 스프링(5)의 각 단부에 개재되고 하나의 와셔(40)가 안내 프로파일(12)과 접대하고 다른 와셔(40)가 확대 직경 중심 섹션(51) 및 좁은 직경 섹션(52) 사이의 접합부에 있는 스페이서 바아에 형성된 숄더와 접대한다. 스페이서 바아(50)는 수용 프로파일(11)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스페이서 바아는 에지 요소(1)에 고정되는 수직 고정 핀 또는 스크류(4)에 의해서 수용되어서 수용 프로파일(11)을 형성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스텐실 프레임들은 스텐실 포일들의 인장을 위해 유용하고 종래 기술 설비보다 상당히 저렴하고 가볍다. 스텐실 프레임들은 또한 복잡한 작동 장치 또는 공압 공급부들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및 사용하기에 더욱 단순하다. 스텐실 프레임들은 스텐실 포일에 인가된 인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실용성을 유지한다.

Claims (26)

  1. 각진 형상의 스텐실들을 인장시키기 위한 스텐실 프레임으로서,
    모서리 요소들, 에지 요소들, 고정 요소들 및 인장 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 장치는 각각의 에지 요소와 연계되며,
    상기 모서리 요소들은 2개의 상호 수직인 안내 프로파일들을 각각 가지며, 상기 2개의 안내 프로파일들은 그 축들의 교차부에서 결합되고;
    상기 에지 요소들은 단축방향 수용 프로파일을 각각 가지고, 각각의 상기 수용 프로파일은 헐거운 끼워맞춤에 의해서 2개의 안내 프로파일들에 연결가능하고;
    각각의 인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를 가지며;
    각각의 인장 장치는 2개의 이웃하는 모서리 요소들 사이를 연결하고, 각각의 인장 장치는 하나의 에지 요소에 연결되고;
    각각의 인장 장치에 의해서 작용되는 힘의 라인은 그 대응 수용 프로파일의 축과 평행하거나, 또는 각각의 인장 장치에 의해서 작용되는 힘의 라인은 그 대응 수용 프로파일의 축과 동축인 하나의 축을 가지는, 스텐실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안내 프로파일은 상기 안내 프로파일이 수용되는 상기 에지 요소의 길이의 10% 내지 45% 길이, 또는 상기 안내 프로파일이 수용되는 상기 에지 요소의 길이의 10% 내지 25%의 길이를 갖는, 스텐실 프레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모서리 요소는 상기 2개의 안내 프로파일들 사이에 제공된 모서리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의 안내 프로파일은 상기 모서리 유닛에 결합되는, 스텐실 프레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텐실이 상기 스텐실 프레임과 결합되지 않을 때, 상기 안내 프로파일들이 상기 수용 프로파일로부터 완전히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또는 각각의 안내 프로파일과 상기 안내 프로파일이 수용되는 상기 수용 프로파일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호연결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텐실 프레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 요소는 상기 안내 프로파일 및 상기 수용 프로파일 사이에서 제한된 정도의 상대 활주 이동을 허용하는, 스텐실 프레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프로파일 및 상기 수용 프로파일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는 저마찰 재료 또는 코팅이 적용되는, 스텐실 프레임.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프로파일들 및/또는 상기 수용 프로파일들은 폐쇄된 박스 섹션 튜브들, 또는 사각형 튜브들로 제조되는, 스텐실 프레임.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인장 장치는 상기 에지 요소의 내부 안에 완전히 자체 수용되는, 스텐실 프레임.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인장 장치는 하나 이상의 탄성 요소를 포함하는, 스텐실 프레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실 프레임이 인장되지 않을 때(즉, 상기 스텐실 프레임이 적재 상태가 아닐 때 또는 스텐실이 상기 고정 요소들에 결합되지 않을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 요소에 의해서 작용되는 힘이 0이 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 요소가 위치하는, 스텐실 프레임.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인장 장치는 상기 인장 장치가 수용되는 상기 에지 요소에 연결되는, 스텐실 프레임.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들은 선형 안내 요소들에 의해서 안내되고, 상기 선형 안내 요소들은 상기 각각의 안내 프로파일들의 단부들로부터 돌출하거나 또는 상기 단부들 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단부들에 축방향으로 부착되는, 스텐실 프레임.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인장 장치는 탄성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안내 핀을 포함하고, 각각의 안내 프로파일은 상기 안내 핀이 느슨하게 끼워지는 그 단부 상의 축방향 구멍을 가지며, 상기 탄성 요소는 상기 안내 핀 상에 안착되고 이웃하는 모서리 요소들을 떨어지게 편향시키는, 스텐실 프레임.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인장 장치는 적어도, 인장 스프링, 하나의 나사형 샤프트, 하나의 나사형 너트 및 상기 나사형 샤프트에 고정된 회전가능한 세팅 휠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된 모서리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나사형 샤프트가 느슨하게 끼워지는 상기 안내 프로파일의 단부에 있는 축방향 구멍을 가지며, 상기 인장 스프링들은 상기 안내 프로파일들 및 상기 나사형 너트들 사이에서 상기 나사형 샤프트에 설치되는, 스텐실 프레임.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인장 장치는 스페이서 요소 및 적어도 2개의 탄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스텐실 프레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요소는 확대 직경 중심 섹션 및 각 단부에 하나씩 있는 2개의 좁은 직경 섹션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요소들은 각각의 좁은 직경 섹션 위에 매달리고 상기 확대 직경 중심 섹션에 대해서 인접하는, 스텐실 프레임.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스페이서 요소는 상기 수용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상기 에지 요소에 고정되는 수직인 고정핀 또는 스크류에 의해서, 상기 스페이서 요소가 수용되는 상기 수용 프로파일에 연결되는, 스텐실 프레임.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고정 요소는 상기 에지 요소와 수직으로 정렬된 일련의 핀들 또는 스플라인들; 상기 에지 요소를 따른 체결 림; 뒤로 굽혀진 프로파일; 및 상기 에지 요소를 따른 수직인 숄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요소는 상기 에지 요소와 일체로 형성되는, 스텐실 프레임.
  19. 각진 형상의 스텐실들을 인장시키기 위한 스텐실 프레임으로서,
    모서리 요소들(2), 에지 요소들(1), 고정 요소들(13) 및 상기 에지 요소들(1)의 수로 있는 인장 장치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서리 요소들(2)은 2개의 상호 수직인 안내 프로파일들(12)을 가지며, 상기 2개의 안내 프로파일들(12)은 그 축들의 교차부에서 결합되고, 상기 에지 요소들(1)은 2개의 단축방향 수용 프로파일들(11)을 가지며, 상기 수용 프로파일들(11)은 헐거운 끼워맞춤에 의해서 상기 안내 프로파일들(12)에 연결되고, 하나의 인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를 가지며, 모든 인장 장치들은 하나의 에지 요소(1) 및 2개의 이웃하는 모서리 요소들(2)에 연결되고, 상기 인장 장치에 의해서 작용되는 힘의 라인은 대응하는 수용 프로파일(11)의 축과 평행하거나, 또는 상기 인장 장치에 의해서 작용되는 힘의 라인은 대응하는 수용 프로파일(11)의 축과동축인 하나의 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 프레임.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프로파일들(12) 및/또는 상기 수용 프로파일들(11)은 사각형 튜브들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 프레임.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장치의 탄성 요소는 스프링(5)이고, 상기 스프링(5)은 안내 핀(3) 상에 매달리고, 상기 인장 장치에 연결된 상기 모서리 요소들(2)의 안내 프로파일들(12)의 단부에는 축방향 구멍(10)이 있고, 상기 안내 핀(3)은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상기 구멍들(10)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고 가압 스프링이 상기 안내 핀(3) 상에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 프레임.
  22.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장치의 탄성 요소는 스프링(5)이고, 상기 스프링들(5)은 선형 안내 요소들(14) 상에 매달리고 상기 안내 요소들(14)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이웃하는 단축방향 안내 프로파일들(12)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 프레임.
  23. 제 21 항에 있어서,
    고정 핀(4) 또는 고정 스크류는 상기 안내 핀(3)과 수직으로 있고; 상기 고정 핀(4) 또는 고정 스크류는 상기 에지 요소(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 프레임.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5), 하나의 나사형 샤프트(7), 적어도 하나의 나사형 너트(8) 및 상기 나사형 샤프트(7)와 함께 회전하는 조정 휠(6)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된 모서리 요소들(2)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안내 프로파일(12)의 단부에서 축방향 구멍(10)을 가지며, 상기 나사형 샤프트(7)는 헐거운 끼워맞춤에 의해서 상기 구멍들(10) 안으로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들(5)은 상기 나사형 너트들(8) 및 상기 안내 프로파일들(12) 사이에서 상기 나사형 샤프트(7) 상에 매달리고, 상기 나사형 너트들(8)은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상기 에지 요소(1)의 내벽들에 끼워지며, 상기 나사형 너트들(8)의 그 축들 둘레의 회전은 상기 나사형 너트들(8) 및 상기 수용 프로파일들(11) 사이의 키이 끼워맞춤(key fit)에 의해서 방지되고, 상기 수용 프로파일들(11)은 상기 조정 휠(6) 옆의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9)를 가지며, 상기 나사형 너트들(8)은 반대 나사부들을 가지며, 그리고 2개의 나사형 너트들(8)이 하나의 나사형 샤프트(7)에 있다면, 상기 나사형 샤프트(7)의 일 측부는 다른 측부에 대해서 반대 나사 방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 프레임.
  25.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요소(1)를 따른 상기 고정 요소(13)는 상기 에지 요소(1)와 수직인 일련의 핀들 또는 스플라인들이거나 또는 상기 에지 요소(1)를 따라 조립된 체결 림이거나 또는 굽혀진 형상의 프로파일이거나 또는 상기 에지 요소(1)를 따라 정렬된 수직 숄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 프레임.
  26.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따른 스텐실 프레임 및 스텐실을 포함하는 조립체로서,
    상기 스텐실은 상기 스텐실 프레임의 고정 요소들에 결합되고 상기 스텐실은 상기 스텐실 프레임의 인장 장치들에 의해서 인장되는 조립체.
KR1020177010844A 2014-10-18 2015-10-16 스텐실 프레임들 KR101961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1400231U HU4533U (en) 2014-10-18 2014-10-18 Stencil frame
HUU1400231 2014-10-18
PCT/EP2015/074046 WO2016059227A1 (en) 2014-10-18 2015-10-16 Stencil fram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770A KR20170063770A (ko) 2017-06-08
KR101961090B1 true KR101961090B1 (ko) 2019-03-25

Family

ID=5298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844A KR101961090B1 (ko) 2014-10-18 2015-10-16 스텐실 프레임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60215B2 (ko)
EP (1) EP3206877B1 (ko)
KR (1) KR101961090B1 (ko)
DK (1) DK3206877T3 (ko)
ES (1) ES2907943T3 (ko)
HU (2) HU4533U (ko)
MY (1) MY191959A (ko)
WO (1) WO2016059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899B1 (ko) 2016-04-28 2016-12-13 (주)본트로닉스 인쇄스크린 프레임 고정장치
IT201600076902A1 (it) * 2016-07-21 2018-01-21 Tecnofoil S R L Telaio ritensionante per stampe serigrafiche
CN106079860B (zh) * 2016-08-16 2018-10-23 北方电子研究院安徽有限公司 一种网版中心位置校准装置
BE1025762B1 (nl) * 2017-12-08 2019-07-08 Peleman Industries Naamloze Vennootschap Inrichting voor opspannen van een canvas
CN112976779B (zh) * 2021-02-09 2022-02-15 广东捷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丝印可调框架及丝印网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4614A1 (en) 2001-01-16 2005-02-17 Furetsu Kasuya Screen printing screen, screen, screen frame, screen joining method, screen spreading method, painting canvas, advertisement sheet, and planer mirror
WO2007091630A1 (ja) 2006-02-08 2007-08-16 Furetsu Kasuya シート状素材の張設具
JP2009525894A (ja) 2006-02-08 2009-07-16 ディーイーケ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ジーエムビーエイチ 印刷スクリーン、印刷スクリーン用フレーム及び印刷スクリーン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3666A1 (de) 1980-11-19 1982-07-08 Elmar Dipl.-Kfm. Dr. 8000 München Messerschmitt Siebdruck-rahmen mit loesbarer befestigung des geweberahmens
US5076162A (en) 1990-10-04 1991-12-31 Goin Bobby G Expandable mesh frame
US5271171A (en) * 1992-02-10 1993-12-21 Smith David C Compressible and expandable stretching frame with adjustable corner brackets
GB2317366B (en) 1996-09-19 2000-09-20 David Godfrey Williams Improved stencil tensioning frame and stencil mounting/dismounting apparatus therefor
GB2455493A (en) 2007-10-08 2009-06-17 Dek Int Gmbh Frame assembly for tensioning de-mountable printing screens
WO2013061438A1 (ja) 2011-10-27 2013-05-02 株式会社メイコー スクリーン印刷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4614A1 (en) 2001-01-16 2005-02-17 Furetsu Kasuya Screen printing screen, screen, screen frame, screen joining method, screen spreading method, painting canvas, advertisement sheet, and planer mirror
WO2007091630A1 (ja) 2006-02-08 2007-08-16 Furetsu Kasuya シート状素材の張設具
JP2009525894A (ja) 2006-02-08 2009-07-16 ディーイーケ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ジーエムビーエイチ 印刷スクリーン、印刷スクリーン用フレーム及び印刷スクリーン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91959A (en) 2022-07-21
KR20170063770A (ko) 2017-06-08
DK3206877T3 (da) 2022-02-07
EP3206877B1 (en) 2022-01-19
ES2907943T3 (es) 2022-04-27
US10660215B2 (en) 2020-05-19
HU4533U (en) 2015-04-28
US20170245371A1 (en) 2017-08-24
HUE059177T2 (hu) 2022-10-28
WO2016059227A1 (en) 2016-04-21
EP3206877A1 (en)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090B1 (ko) 스텐실 프레임들
AT502834A4 (de) Elektrisches gerät mit einem auf einem schaltungsträger angeordneten kunststoffsteckerteil
KR20170038885A (ko) 로드형 프로파일 요소를 위한 코너 커넥터
EP1600781B1 (de) Prüfeinrichtung zur elektrischen Prüfung eines Prüflings
KR19980033114A (ko) 모듈 지지 구조체
WO2017186431A1 (de) Befesti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wenigstens eines sensors an einer eisenbahnschiene
US20180320718A1 (en) Torque limiter wedges
EP0292890B1 (de) Verbindungsanordnung zweier winklig aneinanderstossender Profilstäbe für Fenster- od. Türrahmen
EP3492809B1 (de) Fahrzeugscheinwerfer und verfahren zur justierung einer lichtquelle und einer vorsatzoptik
AT519926A2 (de) Leuchte für feuchte Umgebungen
DE102005017761B3 (de) Reling für Fahrzeuge
DE102018131125A1 (de) Arretierungsvorrichtung für einen Wägesensor
DE102011050896B4 (de) Befestigungsvorrichtung
CH715292B1 (de) Optikrohling, Verfahren und Linearleuchte.
DE102017213231A1 (de) Sensoreinheit für ein Lager
DE102005048450A1 (de) Sensorgehäuse für auswechselbares Sensorelement und Sensor, insbesondere Drucksensor
WO2008083878A1 (de) Fixierungselement für leiterplatten
DE3803469A1 (de) Elektronisches geraet mit einem kuehlkoerper und mit an diesem befestigten bauelementen
DE10324818A1 (de) Abdichtung eines Sensorelementes
DE19615058C2 (de) Spannvorrichtung und Schablonen für Schablonen- oder Siebdruck
DE102017125228B4 (de) Dehnungsmessvorrichtung
EP2669530B1 (en) Anchoring arrangement for fixing members together
DE10353849B4 (de) Anpresselement zum Anpressen eines zu kühlenden elektrischen Beuteils an ein Kühlelement, System zum Kühlen eines elektrischen Bauteils, und Bauteilanordnung mit einem zu kühlenden elektrischen Bauteil
EP2288246A1 (de) Leistungshalbleitermodul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Leistungshalbleitermoduls
WO1998045084A1 (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von bauelemen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