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851B1 -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851B1
KR101960851B1 KR1020170144062A KR20170144062A KR101960851B1 KR 101960851 B1 KR101960851 B1 KR 101960851B1 KR 1020170144062 A KR1020170144062 A KR 1020170144062A KR 20170144062 A KR20170144062 A KR 20170144062A KR 101960851 B1 KR101960851 B1 KR 101960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s
subchannel
barrier
channe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유용
전욱
임희진
이용구
장주훈
김동연
문운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851B1/ko
Priority to CN201810968400.XA priority patent/CN109729339B/zh
Priority to TW107133809A priority patent/TWI696155B/zh
Priority to JP2018186301A priority patent/JP6672413B2/ja
Priority to DE102018125414.8A priority patent/DE102018125414B4/de
Priority to US16/162,765 priority patent/US1083822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B27/221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02B30/3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involving active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상기 배리어 패널은 하부 배리어 기판 상에 순서대로 적층된 하부 채널들, 채널 절연막 및 상부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채널들은 상기 상부 채널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하부 채널은 제 1 서브 채널, 제 2 서브 채널 및 하부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절연막은 상기 제 1 서브 채널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서브 채널은 상기 하부 절연막을 향한 상기 제 1 서브 채널의 단부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서브 채널은 상기 제 1 서브 채널을 향한 상기 하부 절연막의 측벽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하부 채널들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시청자의 위치에 따라 적정 시첨 범위가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Stereoscopic Display device having a barrier panel}
본 발명은 배리어 패널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 및/또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OLE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의해 구현된 영상을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배리어 패널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의해 구현된 영상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패널은 투과 영역들과 차광 영역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나란히 배치된 채널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 영역들은 상기 투과 영역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리어 패널은 상기 채널 전극들에 의해 회전되는 배리어 액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패널은 시청자의 위치에 따라 입체 영상의 적정 시청 범위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리어 패널은 시청자의 위치에 따라 각 채널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투과 영역들 및 상기 차광 영역들을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채널 전극들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시청자의 위치에 따른 적정 시청 범위의 이동이 자연스러워질 수 있다.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인접한 채널 전극에 인가된 전압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채널 전극이 인접한 채널 전극들과 충분히 절연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채널 전극들을 다중층 구조로 형성하여, 인접한 채널 전극들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채널 전극들의 형성 공정은 패터닝 공정을 포함하므로, 상기 채널 전극들의 적층 수가 증가할수록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은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 전극들의 적층 수에 비례하여 오정렬의 가능성이 증가하므로,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제조 수율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최소한으로 적층된 채널 전극들을 이용하여 시청자의 이동에 따라 적정 시청 범위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채널 전극들 사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들은 앞서 언급한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 상에는 배리어 패널이 위치한다. 배리어 패널은 배리어 기판 상에 순서대로 적층된 하부 채널들, 채널 절연막 및 상부 채널들을 포함한다. 하부 채널들 및 상부 채널들은 배리어 구동부에 의해 제어된다. 하부 채널들은 상부 채널들 사이에 위치한다. 각각의 하부 채널은 제 1 서브 채널, 제 2 서브 채널 및 하부 절연막을 포함한다. 제 2 서브 채널은 제 1 서브 채널과 연결되는 제 1 단부 영역을 포함한다. 하부 절연막은 배리어 기판과 제 2 서브 채널의 제 2 단부 영역 사이에 위치한다.
상부 채널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부 채널의 수평 폭과 동일할 수 있다.
각 하부 채널의 하부 절연막은 인접한 하부 채널의 제 1 서브 채널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제 2 서브 채널의 제 1 단부 영역은 상부 채널들을 향한 해당 제 1 서브 채널의 상부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 2 서브 채널의 제 2 단부 영역은 인접한 하부 채널의 제 1 서브 채널의 일부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제 2 단부 영역의 수평 길이는 제 1 단부 영역의 수평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시청 거리 감지부에 의해 시청자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배리어 구동부는 시청 거리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하부 채널들 및 상부 채널들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순서대로 적층된 하부 표시 기판, 하부 발광 전극, 발광층, 상부 발광 전극 및 상부 표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에는 하부 배리어 기판을 포함한다. 하부 배리어 기판은 액티브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주변 영역은 액티브 영역의 외측에 위치한다. 하부 배리어 기판 상에는 상부 채널들이 위치한다. 상부 채널들은 액티브 영역을 가로지른다. 상부 채널들 사이에는 하부 채널들이 위치한다. 하부 채널들은 액티브 영역을 가로지른다. 하부 채널들은 제 1 서브 채널들, 제 2 서브 채널들 및 하부 절연막을 포함한다. 하부 절연막은 제 1 서브 채널들과 제 2 서브 채널들 사이에 위치한다. 하부 절연막은 제 1 서브 채널들 각각의 일측 단부를 노출하는 하부 컨택홀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 2 서브 채널은 제 1 서브 채널들 사이에 위치하는 해당 하부 컨택홀의 측벽을 따라 연장하여 해당 제 1 서브 채널의 일측 단부와 연결된다.
각각의 하부 컨택홀은 해당 제 1 서브 채널과 중첩하는 제 1 측벽 및 해당 제 1 서브 채널과 이격되는 제 2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 2 서브 채널은 해당 제 1 서브 채널과 접촉하는 제 1 단부 영역, 하부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제 2 단부 영역 및 제 1 단부 영역과 제 2 단부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영역의 일부 영역은 해당 하부 컨택홀의 제 2 측벽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배리어 기판의 주변 영역 상에는 링크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있다. 링크 배선들은 액티브 영역의 가장 자리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상부 채널들 및 하부 채널들은 서로 다른 링크 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링크 배선들은 액티브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일 수 있다.
하부 절연막은 하부 배리어 기판의 주변 영역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링크 배선들은 하부 절연막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링크 배선들은 제 1 서브 채널들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컨택홀은 하부 배리어 기판의 주변 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하부 채널들이 하부 배리어 기판과 해당 제 2 서브 채널의 일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하부 채널들이 밀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제조 수율의 감소 없이, 시청자의 위치에 따라 입체 영상의 적정 시청 범위가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입체 영상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P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배리어 패널 상에 위치하는 배선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R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a는 도 3a의 I-I'선 및 3b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3b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6a 및 7 내지 9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6b는 도 6a의 IV-IV'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하며, 도면들에 있어서 층 또는 영역의 길이와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성 요소가 상기 제 2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성 요소와 상기 제 2 구성 요소 사이에 제 3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는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P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배리어 패널 상에 위치하는 배선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R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a는 도 3a의 I-I'선 및 3b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3b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2a 내지 4a 및 2b 내지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배리어 패널(200), 디스플레이 구동부(300) 및 배리어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시청자에게 제공될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100)은 순서대로 적층된 하부 표시 기판(110), 발광 소자(140) 및 상부 표시 기판(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40)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정한 색을 나타내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소자(140)는 순서대로 적층된 하부 발광 전극(141), 발광층(142) 및 상부 발광 전극(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142)은 상기 하부 발광 전극(141)과 상기 상부 발광 전극(142) 사이의 전압차에 대응하는 휘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142)은 유기 발광 물질 또는 무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OLED 패널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하부 표시 기판(110)과 상기 발광 소자(140) 사이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120)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20)를 덮는 오버 코트층(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40)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오버 코트층(13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20)에 의한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오버 코트층(13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20)와 상기 발광 소자(1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버 코트층(130)은 상기 하부 발광 전극(141)을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콘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하부 발광 전극(141)의 가장 자리를 덮는 뱅크 절연막(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뱅크 절연막(150)은 각 발광 소자(140)의 하부 발광 전극(141)을 인접한 발광 소자(140)의 하부 발광 전극(141)과 절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00)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다수의 발광 소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발광 소자(140)와 상기 상부 표시 기판(180)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보호막(160) 및 봉지층(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호막(160)은 외부 충격 및 수분으로부터 상기 발광 소자(140)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170)은 상기 상부 보호막(160)과 상기 상부 표시 기판(1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표시 기판(180)은 상기 봉지층(170)에 의해 상기 상부 보호막(160)이 형성된 상기 하부 표시 기판(11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170)은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봉지층(170)은 하부 봉지층(171) 및 상부 봉지층(1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봉지층(172)은 흡습 물질(170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봉지층(171)은 상기 상부 보호막(160)과 상기 하부 봉지층(17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00)에서는 상기 흡습 물질(170p)의 팽창에 의해 상기 발광 소자(140)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stress)이 상기 하부 봉지층(171)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패널(200)은 상기 표시 패널(1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패널(200)은 상기 표시 패널(100)에 의해 구현된 영상을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는 상기 배리어 패널(200)에 의해 다른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시청자는 상기 배리어 패널(200)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100)이 구현하는 영상을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패널(200)은 선택적으로 빛을 투과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리어 패널(200)은 하부 배리어 기판(210), 상부 배리어 기판(220), 배리어 액정층(230), 하부 채널들(240), 상부 채널들(250), 채널 절연막(260) 및 공통 전극(2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은 상기 표시 패널(100)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상부 표시 기판(18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은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에 의해 구현되는 영상은 상기 액티브 영역(AA)에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티브 영역(AA) 내에는 투과 영역들 및 차광 영역들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PA)은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티브 영역(AA)은 상기 주변 영역(P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PA)은 차광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은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배리어 기판(220)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배리어 기판(220)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과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배리어 기판(220)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의 상기 액티브 영역(AA) 및 상기 주변 영역(PA)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배리어 기판(22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배리어 기판(22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배리어 기판(220)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배리어 기판(220)은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액정층(230)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과 상기 상부 배리어 기판(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액정층(230)은 상기 하부 채널들(240), 상기 상부 채널들(250) 및 상기 공통 전극(270)에 의해 형성된 전계에 따라 투과율이 변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리어 액정층(230)은 TN 모드 액정 또는 ECB 모드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채널들(240) 및 상기 상부 채널들(250)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과 상기 배리어 액정층(2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270)은 상기 배리어 액정층(230)과 상기 상부 배리어 기판(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270)은 상기 하부 채널들(240) 및 상기 상부 채널들(250)과 수직 전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채널들(240) 및 상기 상부 채널들(250)은 각각 상기 배리어 액정층(230)의 일정 영역에 수직 전계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채널들(240)은 상기 상부 채널들(2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채널들(250)은 상기 하부 채널들(240)과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채널 절연막은 상기 하부 채널들(240)과 상기 상부 채널들(2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액정층(230) 내에 위치하는 액정은 해당 영역에 인가되는 수직 전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채널들(240) 또는 상기 상부 채널들(250)과 상기 공통 전극(27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배리어 액정층(230)의 일부 영역은 해당 하부 채널(240) 또는 해당 상부 채널(250)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투과 영역 또는 차광 영역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채널들(240)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채널들(240)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과 상기 채널 절연막(2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채널들(240)은 적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하부 채널(240)는 제 1 서브 채널(241), 제 2 서브 채널(242) 및 하부 절연막(2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과 나란한 평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은 ITO 또는 IZO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서브 채널(242)은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의 일측 단부로부터 인접한 하부 채널(240)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서브 채널(242)은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과 연결되는 제 1 단부 영역(242a), 상기 제 1 단부 영역(242a)과 대향하는 제 2 단부 영역(242b) 및 상기 제 1 단부 영역(242a) 및 상기 제 2 단부 영역(242b)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24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부 영역(242a)은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의 일측 단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단부 영역(242a)은 상기 상부 채널들(250)을 향한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의 상부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 1 단부 영역(242a)와 중첩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서브 채널(242)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서브 채널(242)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서브 채널(242)은 ITO 또는 IZO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서브 채널(242)은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절연막(243)은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절연막(243)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과 상기 제 2 서브 채널(242)의 상기 제 2 단부 영역(24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서브 채널(242)의 상기 중앙 영역(242c)은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을 향한 상기 하부 절연막(243)의 제 1 측벽(TS1)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배리어 패널(200)에서는 각 하부 채널(240)의 일측 단부가 해당 하부 채널(240)의 타측 단부와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배리어 패널(200)은 상기 하부 채널들(240) 사이를 충분히 절연하며, 인접한 하부 채널(240)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절연막(243)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절연막(243)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절연막(243)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절연막(243)은 인접한 하부 채널(240)의 제 1 서브 채널(241)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하부 채널(240)의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은 인접한 하부 채널(240)의 하부 절연막(243)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각 하부 절연막(243)은 인접한 하부 채널(240)의 제 1 서브 채널(241)와 중첩하는 제 2 측벽(TS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서브 채널(242)의 상기 제 2 단부 영역(242b)은 상기 상부 채널들(250)을 향한 상기 하부 절연막(243)의 상부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하부 절연막(243)의 상기 제 2 측벽(TS2)은 해당 제 2 서브 채널(242)에 의해 덮이지 않을 수 있다. 각 하부 채널(240)의 상기 제 2 서브 채널(242)은 해당 하부 절연막(243)에 의해 인접한 하부 채널(240)의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과 절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배리어 패널(200)에서는 각 하부 채널(240)의 제 2 서브 채널(242)이 인접한 하부 채널(240)의 제 1 서브 채널(241) 사이의 거리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배리어 패널(200)에서는 인접한 하부 채널들(24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서브 채널(242)의 상기 제 2 단부 영역(242b)은 인접한 하부 채널(240)의 제 1 서브 채널(241)의 일부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배리어 패널(200)에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하부 채널들(240)의 레이 아웃(lay-out)이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배리어 액정층(230)에 상기 상부 채널들(250) 또는 상기 하부 채널들(240)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일정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시청자의 위치에 따라 입체 영상의 적정 시청 범위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부 영역(242b)의 수평 길이(x2)는 상기 제 1 단부 영역(242a)의 수평 길이(x1)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배리어 패널(200)에서는 상기 제 2 서브 채널(242) 및/또는 상기 상부 채널들(250)이 오정렬(mis-alignment)되는 경우에도 상기 배리어 액정층(230)에 미구동 영역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공정 마진 및 제조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채널들(250)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 상부 채널(25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배리어 액정층(230)의 수평 길이는 각 하부 채널(24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배리어 액정층(230)의 수평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채널들(250) 사이의 이격 거리(d)는 상기 상부 채널들(250)의 수평 폭(W)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배리어 패널(200)에서는 투과 영역들 및 차광 영역들이 등간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배리어 패널(200)에서는 시청자의 이동에 따라 입체 영상의 적정 시청 범위가 일정 간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시청자의 이동에 따른 적정 시청 범위의 이동이 자연스러울 수 있다.
상기 상부 채널들(25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채널들(25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채널들(250)은 ITO 또는 IZO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채널들(250)은 상기 제 2 서브 채널(242)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절연막(26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절연막(26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절연막(260)은 상기 하부 채널막(243)과 굴절률이 비슷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채널 절연막(260)은 상기 하부 채널막(243)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27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27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통 전극(270)은 ITO 또는 IZO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270)은 상기 상부 채널들(25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채널들(240) 및 상기 상부 채널들(250)은 일측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채널들(240) 및 상기 상부 채널들(250)은 상기 액티브 영역(AA)을 가로지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배리어 패널(200)은 상기 주변 영역(PA) 상에 위치하는 링크 배선들(BL1-BLn)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 배선들(BL1-BLn)은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가장 자리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각각의 링크 배선(BL1-BLn)은 상기 하부 채널들(240) 및 상기 상부 채널들(250)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채널들(240) 및 상기 상부 채널들(250)은 각각 해당 링크 배선(BL1-BLn)과 연결되어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배선들(BL1-BLn)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 배선들(BL1-BLn)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절연막(243)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210)의 상기 주변 영역(PA)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배선들(BL1-BLn)은 상기 하부 절연막(243)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상기 하부 절연막(243)은 각 링크 배선(BL1-BLn)의 일부 영역을 노출하는 컨택홀들(CH1, CH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의 수평 길이는 상기 제 2 서브 채널(242)의 수평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하부 채널(240)는 상기 제 2 서브 채널(242)을 통해 해당 링크 배선(BL1-BLn)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크 배선들(BL1-BLn)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배선들(BL1-BLn)은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보다 낮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 배선들(BL1-BLn)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PA) 상에는 전원전압 공급을 위한 배선들도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전압 공급라인(Vcom) 및 접지 라인(GND)은 상기 주변 영역(P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통전압 공급라인(Vcom) 및 상기 접지 라인(GND)은 상기 링크 배선들(BL1-BLn)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통전압 공급라인(Vcom) 및 상기 접지 라인(GND)은 상기 링크 배선들(BL1-BLn)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절연막(243)은 상기 공통전압 공급라인(Vcom) 및 상기 접지 라인(GND)을 덮을 수 있다. 상기 공통전압 공급라인(Vcom)은 상기 공통 전극(27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가 공통 전극(270)과 상기 공통전압 공급라인(Vcom) 사이에는 도전성 밀폐 부재(28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밀폐 부재(280)는 도전성 씰재(conductive sealing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밀폐 부재(280)는 상기 하부 절연막(243)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신호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3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300)는 데이터 구동부(310) 및 스캔 구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10)는 상기 표시 패널(100)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캔 구동부(320)는 상기 표시 패널(100)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10)에 의해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는 상기 스캔 구동부(320)에 의해 인가되는 스캔 신호와 동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300)의 동작에 필요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밍 제어부(400)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310)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 및 소스 타이밍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캔 구동부(320)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400)로부터 클럭 신호들, 리셋클럭 신호들 및 스타트 신호들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시청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시청 위치 감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청 위치 감지부(500)는 상기 표시 패널(100) 및 상기 배리어 패널(200)에 의해 구현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시청 위치 감지부(500)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구동부(600)는 상기 배리어 패널(200)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리어 구동부(600)는 상기 하부 채널들(240) 및 상기 상부 채널들(250)에 개별적 또는 영역별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구동부(600)는 시청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배리어 패널(2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리어 구동부(600)는 상기 시청 위치 감지부(5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하부 채널들(240) 및 상기 상부 채널들(250)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배리어 패널(200)의 상기 액티브 영역(AA) 내에서 투과 영역들 및 차광 영역들을 쉬프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배리어 패널(200)이 투과 영역들 및 차광 영역들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 채널들(240) 및 상부 채널들(250)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채널들(240)의 양측 단부가 다른 높이를 가짐으로써, 인접한 하부 채널들(24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제조 수율의 감소 없이, 시청자의 이동에 따라 입체 영상의 적정 시청 범위가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입체 영상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가장 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링크 배선들(BL1-BLn)이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중심으로 기준으로 비대칭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배리어 구동부(600)와 연결되는 상기 링크 배선들(BL1-BLn)의 단부들이 상기 배리어 패널(200)의 중심에서 상기 배리어 패널(200)의 일측 측면 방향으로 다소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배리어 구동부(600)와 연결되는 상기 링크 배선들(BL1-BLn)의 단부들이 상기 하부 채널들(240) 및 상기 상부 채널들(250)의 연결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제조 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배리어 패널(200)의 상기 하부 절연막(243)이 각 하부 채널(240)의 상기 제 1 서브 채널(241)의 일측 단부를 노출하되, 상기 하부 채널들(240)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부 컨택홀들(TH)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하부 컨택홀(TH)이 해당 제 1 서브 채널(241)보다 길고, 해당 제 2 서브 채널(242)보다 짧은 수평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컨택홀들(TH)은 동일한 수평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각 하부 채널(240)의 제 1 서브 채널(241)의 수평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배리어 패널(200)이 액티브 영역(AA)을 가로지르는 하부 컨택홀들(TH)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하부 절연막(243)의 하부 컨택홀들(TH)이 해당 제 1 서브 채널(241)보다 짧은 수평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 패널(200)의 하부 절연막(243)이 액티브 영역(AA) 내에 위치하는 하부 컨택홀들(TH)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각 하부 채널(240)가 링크 배선들(BL1-BL5)과 확실히 절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배리어 액정층(230)의 구동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배리어 패널(200)이 트렌치 형상의 하부 컨택홀들(TH)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배리어 패널(200)의 하부 컨택홀들(TC)이 액티브 영역(AA) 내에서 해당 제 1 서브 채널(241)의 일측 단부를 부분적으로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하부 채널(240)에서 하부 컨택홀(TC)의 위치가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각 하부 채널(240)의 하부 컨택홀(TC)이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제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배리어 패널(200)의 하부 컨택홀들(TH)이 액티브 영역(AA) 내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주변 영역(P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 패널(200)이 액티브 영역(AA)과 첫 번째 링크 배선(BL1)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컨택홀들(T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하부 컨택홀(TC)의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하부 컨택홀(TC)에 의한 투과율 변화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제조 효율 및 입체 영상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선형 편광판(710), 후면 선형 편광판(720) 및 1/4 파장판(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패널(200)은 상기 전면 선형 편광판(710)과 상기 후면 선형 편광판(7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1/4 파장판(800)은 상기 표시 패널(100) 및 상기 전면 선형 편광판(7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4 파장판(800) 및 상기 전면 선형 편광판(710)은 상기 표시 패널(100) 상에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외광 반사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입체 영상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발광 소자(140)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 상에 배리어 패널(200)이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배리어 패널(200)이 표시 패널(100)과 발광 소자(9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00)은 액정 패널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900)는 백라이트 유닛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전면 선형 편광판(710) 및 후면 선형 편광판(720)은 상기 배리어 패널(20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의 외측 표면 상에는 이미지 선형 편광판(730)이 더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과 배리어 패널(200)의 상대적 위치에 관계 없이, 시청자의 위치에 따라 입체 영상의 시청 적정 범위가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발광 소자(900)와 표시 패널(100) 사이에 배리어 패널(200)이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이 발광 소자(900)와 배리어 패널(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발광 소자(900)와 표시 패널(100) 사이에는 이미지 선형 편광판(74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미지 선형 편광판(740)과 전면 선형 편광판(710)은 상기 표시 패널(10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다양한 위치의 표시 패널(100)과 배리어 패널(200)에서 이동하는 시청자에게 입체 영상이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다.
100 : 표시 패널 200 : 배리어 패널
210 : 하부 배리어 기판 220 : 상부 배리어 기판
230 : 배리어 액정층 240 : 하부 채널
241 : 제 1 서브 채널 242 : 제 2 서브 채널
243 : 하부 절연막 250 : 상부 채널
260 : 채널 절연막

Claims (15)

  1.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고, 배리어 기판 상에 순서대로 적층된 하부 채널들, 채널 절연막 및 상부 채널들을 포함하는 배리어 패널; 및
    상기 하부 채널들 및 상기 상부 채널들을 제어하는 배리어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채널들은 상기 상부 채널들 사이에 위치하고,
    각각의 하부 채널은 제 1 서브 채널, 상기 제 1 서브 채널과 연결되는 제 1 단부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서브 채널 및 상기 배리어 기판과 상기 제 2 서브 채널의 제 2 단부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절연막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채널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상부 채널의 수평 폭과 동일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하부 채널의 상기 하부 절연막은 인접한 하부 채널의 제 1 서브 채널을 부분적으로 덮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채널의 상기 제 1 단부 영역은 상기 상부 채널들을 향한 해당 제 1 서브 채널의 상부면과 직접 접촉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채널의 상기 제 2 단부 영역은 인접한 하부 채널의 제 1 서브 채널의 일부 영역과 중첩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 영역의 수평 길이는 상기 제 1 단부 영역의 수평 길이와 동일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시청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시청 거리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리어 구동부는 상기 시청 거리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하부 채널들 및 상기 상부 채널들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순서대로 적층된 하부 표시 기판, 하부 발광 전극, 발광층, 상부 발광 전극 및 상부 표시 기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9.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고,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하부 배리어 기판;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액티브 영역을 가로지르는 상부 채널들; 및
    상기 액티브 영역을 가로지르고, 상기 상부 채널들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채널들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채널들은 제 1 서브 채널들, 제 2 서브 채널들 및 상기 제 1 서브 채널들과 상기 제 2 서브 채널들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절연막은 상기 제 1 서브 채널들 각각의 일측 단부를 노출하는 하부 컨택홀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제 2 서브 채널은 상기 제 1 서브 채널들 사이에 위치하는 해당 하부 컨택홀의 측벽을 따라 연장하여 해당 제 1 서브 채널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하부 컨택홀은 해당 제 1 서브 채널과 중첩하는 제 1 측벽 및 해당 제 1 서브 채널과 이격되는 제 2 측벽을 포함하되,
    각각의 제 2 서브 채널은 해당 제 1 서브 채널과 접촉하는 제 1 단부 영역, 상기 하부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제 2 단부 영역 및 상기 제 1 단부 영역과 상기 제 2 단부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영역의 일부 영역은 해당 하부 컨택홀의 제 2 측벽 상에 위치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의 상기 주변 영역 상에 위치하고, 상기 액티브 영역의 가장 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링크 배선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 채널들 및 상기 하부 채널들은 서로 다른 링크 배선과 연결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배선들은 상기 액티브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절연막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의 상기 주변 영역 상으로 연장하되,
    상기 링크 배선들은 상기 하부 절연막에 의해 덮이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배선들은 상기 제 1 서브 채널들과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컨택홀은 상기 하부 배리어 기판의 상기 주변 영역 상에 위치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20170144062A 2017-10-31 2017-10-31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960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062A KR101960851B1 (ko) 2017-10-31 2017-10-31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N201810968400.XA CN109729339B (zh) 2017-10-31 2018-08-23 具有屏障面板的立体显示装置
TW107133809A TWI696155B (zh) 2017-10-31 2018-09-26 具有屏障面板的立體顯示裝置
JP2018186301A JP6672413B2 (ja) 2017-10-31 2018-10-01 立体映像表示装置
DE102018125414.8A DE102018125414B4 (de) 2017-10-31 2018-10-15 Stereoskopische anzeigevorrichtung mit einem barrierepaneel
US16/162,765 US10838223B2 (en) 2017-10-31 2018-10-17 Stereoscopic display device having a barrier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062A KR101960851B1 (ko) 2017-10-31 2017-10-31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851B1 true KR101960851B1 (ko) 2019-03-20

Family

ID=6603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062A KR101960851B1 (ko) 2017-10-31 2017-10-31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38223B2 (ko)
JP (1) JP6672413B2 (ko)
KR (1) KR101960851B1 (ko)
CN (1) CN109729339B (ko)
DE (1) DE102018125414B4 (ko)
TW (1) TWI696155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813A (ko) * 2011-07-07 2013-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16001234A (ja) * 2014-06-11 2016-01-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3次元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8870A (ja) * 1999-11-19 2001-05-29 Idemitsu Kosan Co Ltd 画像表示装置
JP2003149621A (ja) * 2001-11-12 2003-05-21 Ricoh Co Ltd 光路切替素子、空間光変調器及び画像表示装置
JP4076840B2 (ja) * 2002-11-07 2008-04-1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087568B1 (ko) * 2004-12-30 2011-1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용 패러랙스 베리어 액정패널 및 그제조방법
KR101781549B1 (ko) * 2010-12-02 2017-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51588B1 (ko) * 2011-09-22 2014-10-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5907758B2 (ja) * 2012-03-02 2016-04-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液晶バリア素子
CN202486462U (zh) * 2012-03-26 2012-10-10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光栅和使用该液晶光栅的显示装置
KR101476884B1 (ko) * 2012-06-22 2014-1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럴랙스 배리어 타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CN105745570B (zh) * 2013-11-15 2018-12-07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TWI504972B (zh) * 2013-11-20 2015-10-2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
JP6573467B2 (ja) * 2015-03-31 2019-09-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画像表示装置及び液晶パネル
GB2540376A (en) 2015-07-14 2017-01-18 Sharp Kk Parallax barrier with independently controllable regions
JP2017144062A (ja) 2016-02-17 2017-08-24 有限会社山田工業所 寸胴鍋及び鍋セット
JP6983547B2 (ja) 2017-06-22 2021-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813A (ko) * 2011-07-07 2013-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16001234A (ja) * 2014-06-11 2016-01-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3次元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125414B4 (de) 2024-03-21
US20190129194A1 (en) 2019-05-02
CN109729339A (zh) 2019-05-07
TWI696155B (zh) 2020-06-11
US10838223B2 (en) 2020-11-17
TW201919027A (zh) 2019-05-16
DE102018125414A1 (de) 2019-05-02
CN109729339B (zh) 2020-12-29
JP2019082679A (ja) 2019-05-30
JP6672413B2 (ja)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152930A (ja) センサ付き表示装置
CN102749755B (zh) 立体显示装置
US10120197B2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barrier electrode connected to one of a plurality of bus electrodes through a first barrier electrode and liquid crystal panel
JP7018424B2 (ja) 液晶表示装置
TW201539040A (zh) 立體顯示裝置
KR101960851B1 (ko)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6698768B2 (ja) バリアパネルを含む立体映像表示装置
KR101888449B1 (ko)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9983445B2 (en) Liquid crystal lens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liquid crystal lens panel
JP6751121B2 (ja) バリアパネルを含む立体映像表示装置
KR102630335B1 (ko) 2d 이미지 및 3d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9460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10855975B2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having a barrier panel
KR102270605B1 (ko) 액정 전계 배리어, 그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2016099481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