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813A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813A
KR20130005813A KR1020110067439A KR20110067439A KR20130005813A KR 20130005813 A KR20130005813 A KR 20130005813A KR 1020110067439 A KR1020110067439 A KR 1020110067439A KR 20110067439 A KR20110067439 A KR 20110067439A KR 20130005813 A KR20130005813 A KR 20130005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area
stereoscopic image
light block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186B1 (ko
Inventor
우희성
김영식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186B1/ko
Priority to US13/296,984 priority patent/US9229241B2/en
Priority to TW100145675A priority patent/TWI459035B/zh
Priority to CN201110461287.4A priority patent/CN102868895B/zh
Publication of KR20130005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02B30/3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involving active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04N13/31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the parallax barriers being time-vari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표시 모드의 초기 구동시 시청자의 시청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투과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배리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시청자의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3D 표시 모드의 초기 구동시 시청자의 시청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또는 3D) 영상 표시 장치는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시청자가 좌안과 우안의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에 의해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입체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안경 방식으로는, 원통형의 렌즈 어레이를 이용해 좌안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는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과 배리어(Barrier)를 이용하여 좌안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는 배리어 방식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배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좌안 영상(LI)과 우안 영상(RI)을 분리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광투과 영역(22)과 광차단 영역(24)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에 배치된 배리어 패널(20)을 구비한다.
시청자는 배리어 패널(20)의 광투과 영역(22)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게 되는데, 시청자의 좌안(LE)과 우안(RE)은 동일한 광투과 영역(22)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다른 영역을 보게 된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광투과 영역(22)을 통해 인접하게 표시되는 좌안 영상(LI)과 우안 영상(RI)을 시청하게 되어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배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배리어 패널(20)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22)과 광차단 영역(24)의 상태에 따라 2D 표시 모드 또는 3D 표시 모드의 변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텔레비전,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넷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및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배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배리어 패널(20)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22)과 광차단 영역(24)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청자의 시청 위치가 변경될 경우에는 시청자가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없게 되거나 어지러움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D 표시 모드의 초기 구동시 시청자의 시청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3D 표시 모드의 구동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시청자의 시청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투과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배리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시청자의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리어 모듈은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의 분자 배열 상태를 변경시키는 액정 구동 전극부를 가지는 배리어 패널; 및 상기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리어 패널에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배리어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액정 구동 전극부에 인가하는 배리어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 구동 전극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배치된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배리어 구동부로부터 배리어 전압이 개별적으로 어드레싱되는 복수의 하판 전극; 및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기판과 합착된 제 2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배리어 구동부로부터 공통 전압이 공통적으로 인가되는 상판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이 상기 시청자의 시청 위치에 정위치되도록 상기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하판 전극 각각에 인가되는 배리어 전압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제 1 전압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리어 구동부는 상기 제 1 전압 변경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하판 전극 각각에 개별적으로 인가되는 배리어 전압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가 보정되도록 상기 배리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가 보정되도록 상기 복수의 하판 전극 각각에 개별적으로 인가되는 배리어 전압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제 2 전압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리어 구동부는 상기 제 2 전압 변경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하판 전극 각각에 개별적으로 인가되는 배리어 전압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회전 각도와 회전 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 각도와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상기 제 2 전압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투과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배리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시청자의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리어 모듈에 형성되는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을 통해 상기 입체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청 위치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광차단 영역 또는 상기 광투과 영역의 위치를 쉬프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 정보에 연동하여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움직임 정보에 연동하여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회전 각도와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회전 각도와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광차단 영역 또는 상기 광투과 영역의 위치를 쉬프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3D 표시 모드 전환시 시청자의 시청 위치에 정위치되도록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불편함 없는 정확한 입체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둘째, 3D 표시 모드 동안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불편함 없는 정확한 입체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리어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배리어 패널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도 8a 및 도 8b는 시청자의 시청 위치와 광차단 영역의 위치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광차단 영역의 쉬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광차단 영역의 위치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투과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배리어 모듈(120),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시청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130), 및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2D 표시 모드에 따라 평면 영상을 표시하거나, 3D 표시 모드에 따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좌안 영상과 우상 영상은 소정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표시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및 패널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경우,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패널 구동부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및 표시 모드에 따라 평면 영상 데이터 또는 입체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에 공급함과 아울러 데이터 구동부와 스캔 구동부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리어 모듈(120)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10) 상부에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거나 차단시킨다. 이를 위해, 배리어 모듈(120)은 배리어 패널(122), 및 배리어 구동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리어 패널(1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210), 제 2 기판(220), 액정층(230), 및 액정 구동 전극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기판(21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10) 상에 정렬되어 배치된다. 이때, 제 1 기판(210)은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거나 안착될 수 있다.
제 2 기판(22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써 액정층(230)을 사이에 두고 제 1 기판(210)과 대향 합착된다.
액정층(230)은 제 1 및 제 2 기판(210, 2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트위스티드 네마틱(Twisted Nematic; TN), 또는 STN(Super Twisted Nematic) 액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액정층(230)은 액정 구동 전극부(240)에 인가되는 배리어 전압에 따라 액정의 분자 배열이 변화되어 배리어 패널(122)에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을 선택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영상의 투과 또는 차단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배리어 패널(122)은 노멀리 화이트 모드(Normally White Mode)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노멀리 화이트 모드의 배리어 패널(122)은 액정 구동 전극부(240)에 배리어 전압이 인가될 경우에만 광차단 영역을 형성한다.
액정 구동 전극부(240)는 복수의 하판 전극(242), 및 상판 전극(2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하판 전극(242)은 제 1 기판(210) 상에 형성되어 배리어 구동부(124)로부터 배리어 전압이 개별적으로 어드레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하판 전극(242) 각각은 제 1 기판(21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형성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하판 전극(242) 각각은 제 1 기판(21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형성되되 절연막(243)을 사이에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리는 복층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하판 전극(242) 각각은 절연막(243)을 사이에 두고 이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절연막(243) 상에 형성되는 하판 전극들(242) 각각은 제 1 기판(210) 상에 형성된 하판 전극들(242) 사이사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하판 전극(242) 각각을 복층 구조로 형성될 경우, 배리어 패널(122)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각각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 각각을 렌즈(Lens)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판 전극(244)은 제 1 기판(210)에 대향되는 제 2 기판(220) 상에 형성되어 배리어 구동부(124)로부터 공통 전압이 공급된다. 이때, 상판 전극(244)은 제 1 기판(210)에 대향되는 제 2 기판(220)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공통 전압이 공통적으로 공급되도록 제 1 기판(210)에 대향되는 제 2 기판(22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가지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복수의 하판 전극(242)과 상판 전극(244)은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선폭을 가질 경우에는 불투명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배리어 패널(122)은 복수의 하판 전극(242)을 덮도록 제 1 기판(210)에 형성된 제 1 배향막(미도시) 및 상판 전극(244)을 덮도록 제 2 기판(220)에 형성된 제 2 배향막(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배향막 각각은 액정층(230)을 사이에 두고 형성됨으로써 액정층(230)이 노멀리 화이트 모드(Normally White Mode)로 구동될 수 있도록 액정층(230)의 액정 분자들을 배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술한 배리어 패널(122)은 제 2 기판(220)의 상면(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부착된 편광 필름(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편광 필름(250)은 배리어 패널(122)에 형성된 광차단 영역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는 않은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편광 필름(250)은 배리어 패널(122)의 광투과 영역을 투과하는 광만이 외부로 출사되도록 한다.
다시 도 3 및 도 4에서, 배리어 구동부(124)는 2D 표시 모드에 따른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배리어 패널(122)의 액정 구동 전극부(240)에 배리어 전압을 인가하지 않음으로써 배리어 패널(122) 전체에 광투과 영역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표시되는 평면 영상은 노멀리 화이트 상태의 배리어 패널(122)을 투과하게 된다.
반면에, 배리어 구동부(124)는 3D 표시 모드에 따른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배리어 전압을 생성하여 배리어 패널(122)에 형성된 복수의 하판 전극(242) 각각에 개별적으로 인가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 모듈(122)에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을 교번적으로 형성한다. 이를 위해, 배리어 구동부(124)는 좌안 영상(LI)과 우안 영상(RI)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안 픽셀과 우안 픽셀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소정 개수의 하판 전극(242)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배리어 채널(BC) 각각의 하판 전극(242)들에 배리어 전압을 개별적으로 인가함으로써 각 배리어 채널(BC)마다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을 형성한다.
각 배리어 채널(BC)의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 각각을 형성하기 위한 하판 전극(242)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각 배리어 채널(BC)을 구성하는 하판 전극(242)의 개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 및/또는 해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배리어 채널(BC)은 16개의 하판 전극(2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배리어 채널(BC)은 16개의 하판 전극(242)으로 구성되고, 16개의 하판 전극(242)에 대하여 제 1 내지 제 16 채널(C1 내지 C16)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배리어 구동부(124)는 제 1 내지 제 16 채널(C1 내지 C16)에 배리어 전압을 개별적으로 인가하여 어드레싱함으로써 각 배리어 채널(BC)마다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을 형성한다. 이때, 배리어 구동부(124)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배리어 채널(BC)에 광투과 영역(LTA)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전압과 배리어 채널(BC)에 광차단 영역(LBA)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전압을 생성하여 제 1 내지 제 16 채널(C1 내지 C16)에 개별적으로 인가한다. 여기서, 제 1 전압은 그라운드 전압이 될 수 있고, 제 2 전압은 액정의 분자 배열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소정의 레벨 값으로 가지는 전압이 될 수 있다.
배리어 패널(122)의 액정층(230)은 채널(C1 내지 C16)에 제 1 전압이 인가될 경우, 액정의 분자 배열 상태를 노멀리 화이트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배리어 채널(BC)에 광투과 영역(LTA)을 형성한다. 반면에, 배리어 패널(122)의 액정층(230)은 채널(C1 내지 C16)에 제 2 전압이 인가될 경우, 액정의 분자 배열 상태를 변화시켜 배리어 채널(BC)에 광차단 영역(LBA)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광차단 영역(LBA)은 10개의 채널(도 6에서 "■")에 인가되는 제 2 전압에 의한 액정의 분자 배열 상태의 변화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광투과 영역(LTA)은 광차단 영역(LBA)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되 6개의 채널(도 6에서 "□")에 인가되는 제 1 전압에 의한 노멀리 화이트 상태의 액정 분자 배열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에서, 위치 검출부(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표시되는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시청 위치 정보를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즉, 위치 검출부(130)는 카메라 모듈(132)을 이용하여 시청자(101)의 눈, 안구, 및 눈썹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여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101)의 좌안(LE)과 우안(RE) 사이의 중심부(CP; 이하 "시청 위치(CP)"라고 칭하기로 함)에 대응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검출부(130)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100)가 2D 표시 모드에서 3D 표시 모드로 전환될 때에만 시청자(101)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D 표시 모드 동안에도 소정 주기 단위로 시청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평명 영상 또는 입체 영상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구동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 배리어 모듈(1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100)가 노트북 컴퓨터, 넷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일 경우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 비디오 처리 모듈이 될 수 있다. 한편, 입체 영상 표시 장치(100)가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일 경우 제어부(14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타이밍 제어부가 될 수 있다.
상기의 제어부(140)는 위치 검출부(130)로부터 제공되는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배리어 모듈(120)의 각 배리어 채널(BC)마다 형성될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 각각의 위치를 보정한다.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 표시 장치(100)는 2D 표시 모드에서 3D 표시 모드로 전환시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CP)가 정위치인지 유무에 상관없이 배리어 모듈(120)의 각 배리어 채널(BC)마다 설정된 위치에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 각각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CP)가 광차단 영역(LBA)의 중앙부에 일치하지 않을 경우 시청자는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없게 되거나 어지러움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40)는 위치 검출부(130)로부터 제공되는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 각각의 위치를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광투과 영역(LTA) 또는 광차단 영역(LBA)의 중심부가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에 정위치되도록 각 배리어 채널(BC)의 각 채널(C1 내지 C16) 각각에 인가되는 배리어 전압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제 1 전압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 1 전압 변경 정보는 각 배리어 채널(BC)의 각 채널(C1 내지 C16) 각각에 제 1 전압 또는 제 2 전압을 개별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제 1 전압 변경 정보는 광투과 영역(LTA) 또는 광차단 영역(LBA)의 중심부가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에 정위치되도록 광차단 영역(LBA)을 형성하는 10개의 채널(도 6에서 "■")에 인가되는 제 2 전압을 하나의 채널 단위로 쉬프트(Shift)시키기 위한 제 1 쉬프트 정보가 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8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에 따른 시청 위치(CP)가 광차단 영역(LBA)의 중심부(LBA_C)로부터 "+X"만큼 우측에 위치할 경우, 제어부(140)는, 도 8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에 따라 광차단 영역(LBA)의 중심부(LBA_C)를 "+X"만큼 우측으로 이동(LBA')시켜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CP)에 정위치시키기 위한 상기의 제 1 전압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다른 예로써, 도 8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에 따른 시청 위치(CP)가 광차단 영역(LBA)의 중심부(LBA_C)로부터 "-X"만큼 좌측에 위치할 경우, 제어부(140)는, 도 8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에 따라 광차단 영역(LBA)의 중심부(LBA_C)를 "-X"만큼 좌측으로 이동(LBA")시켜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CP)에 정위치시키기 위한 상기의 제 1 전압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상술한 배리어 모듈(120)의 배리어 구동부(124)는 제어부(14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전압 변경 정보에 대응되도록 각 배리어 채널(BC)의 각 채널(C1 내지 C16) 각각에 제 1 전압 또는 제 2 전압을 개별적으로 인가함으로써 각 배리어 채널(BC)의 각 채널(C1 내지 C16) 각각에 인가되는 배리어 전압의 상태를 변경한다. 이에 따라, 배리어 패널(122)의 각 배리어 채널(BC)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LTA) 또는 광차단 영역(LBA)의 중심부는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CP)에 정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10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D 표시 모드에서 3D 표시 모드로 전환되면,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표시되는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그런 다음, 검출된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배리어 모듈(120)에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한다. 즉, 배리어 패널(122)의 각 배리어 채널(BC)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LTA) 또는 광차단 영역(LBA)의 중심부가 시청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CP)에 정위치하도록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를 보정한다.
그런 다음,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고, 이와 동기되도록 위치 보정된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을 배리어 모듈(120)에 교번적으로 형성함으로써 광투과 영역(LTA)을 통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투과시킨다. 이에 따라, 시청자(101)는 배리어 모듈(120)의 광투과 영역(LTA)을 투과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인식하여 입체 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100) 및 그의 구동 방법은 3D 표시 모드 구동시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에 정위치되도록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불편함 없는 정확한 입체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투과시키거나 차단하는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배리어 모듈(120),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시청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130),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335), 및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초기 위치를 보정함과 아울러 움직임 정보에 따라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는 움직임 검출부(3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시청 위치 정보와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34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이하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먼저, 3D 표시 모드시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101)의 움직임 또는 시청자(101)에 의해 움직이거나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시청자(101)가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없게 되거나 어지러움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는 움직임 검출부(335)를 이용해 장치(30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움직임 검출부(335)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10) 또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340)에 제공한다. 이때,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의 움직임은 시청자(101)가 3D 시청하면서 이동하거나 3D 게임시에 발생될 수 있으며, 움직임 정보는 시청자(101)에 의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의 기울임 정도 및/또는 회전 정도에 대응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자(101)가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를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기울일 경우, 움직임 검출부(33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의 기울기(θ)에 대응되는 움직임 정보를 검출한다. 이를 위해, 움직임 검출부(335)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의 움직임에 따라 X, Y, Z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각속도를 측정하여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자이로(Gyro) 센서(Sensor) 모듈(3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340)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가 3D 표시 모드로 전환되면, 위치 검출부(130)로부터 제공되는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도 8a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 모듈(120)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의 초기 위치를 보정하거나 설정한다. 즉, 제어부(340)는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배리어 채널(BC)의 각 채널(C1 내지 C16) 각각에 인가되는 배리어 전압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제 1 전압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1 전압 변경 정보를 배리어 구동부(124)에 제공함으로써 광투과 영역(LTA) 또는 광차단 영역(LBA)의 중심부가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에 정위치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340)는 3D 표시 모드 동안 움직임 검출부(335)로부터 제공되는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배리어 패널(122)에 형성될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 각각의 위치를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40)는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300)의 회전 각도(θ)와 회전 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 각도(θ)와 회전 방향에 따라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제 2 전압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34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각도(θ)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거나, 연속적으로 변하는 복수의 회전 각도(θ)를 비교하여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 2 전압 변경 정보는 각 배리어 채널(BC)의 각 채널(C1 내지 C16) 각각에 제 1 전압 또는 제 2 전압을 개별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제 2 전압 변경 정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정보에 대응되는 회전 각도(θ0 내지 θ16)에 따라 각 배리어 채널(BC)의 광차단 영역(LBA)을 형성하는 10개의 채널("■")에 인가되는 제 2 전압을 하나의 채널 단위로 쉬프트(LBA', LBA")시키기 위한 제 2 쉬프트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40)는 움직임 정보에 대응되도록 제 2 쉬프트 정보가 맵핑된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쉬프트 정보는 각 배리어 채널(BC)을 구성하는 채널, 즉 하판 전극의 개수에 따라 설정된다. 일 예로써, 움직임 정보에 대응되는 회전 각도가 1°인 경우, 제 2 쉬프트 정보는 광차단 영역(LBA)을 한 개의 채널만큼 쉬프트시키기 위한 정보가 된다. 다른 예로써, 움직임 정보에 대응되는 회전 각도가 10°인 경우, 제 2 쉬프트 정보는 광차단 영역(LBA)을 10개의 채널만큼 쉬프트시키기 위한 정보가 된다.
결과적으로, 제어부(340)는,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가 소정의 회전 각도(θ)로 회전될 경우,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회전 각도(θ)에 대응되도록 광차단 영역(LBA)을 이동(LBA')시켜 광차단 영역(LBA)을 정위치로 보정하기 위한 상기의 제 2 전압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상술한 배리어 모듈(120)의 배리어 구동부(124)는 제어부(34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전압 변경 정보에 대응되도록 각 배리어 채널(BC)의 각 채널(C1 내지 C16) 각각에 제 1 전압 또는 제 2 전압을 개별적으로 인가함으로써 각 배리어 채널(BC)의 각 채널(C1 내지 C16) 각각에 인가되는 배리어 전압의 상태를 변경한다. 이에 따라, 배리어 패널(122)의 각 배리어 채널(BC)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LTA) 또는 광차단 영역(LBA)의 중심부는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CP)에 정위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배리어 구동부(124)는 제어부(34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압 변경 정보에 대응되도록 각 배리어 채널(BC)의 각 채널(C1 내지 C16) 각각에 제 1 전압 또는 제 2 전압을 개별적으로 인가함으로써 각 배리어 채널(BC)의 각 채널(C1 내지 C16) 각각에 인가되는 배리어 전압의 상태를 변경한다. 이에 따라, 배리어 패널(122)의 각 배리어 채널(BC)에 형성되는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를 항상 정위치로 보정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를 도 9 내지 도 14와 결부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청자의 선택 또는 입력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2D 표시 모드에서 3D 표시 모드를 구동한다(S100).
2D 표시 모드에서 3D 표시 모드로 전환되면, 위치 검출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표시되는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S200).
그런 다음, 검출된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배리어 모듈(120)에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를 보정한다(S300). 즉, 도 8a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 패널(122)의 각 배리어 채널(BC)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LTA) 또는 광차단 영역(LBA)의 중심부가 시청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CP)에 정위치하도록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를 보정한다.
그런 다음,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고, 이에 동기되도록 위치 보정된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을 배리어 모듈(120)에 교번적으로 형성함으로써 광투과 영역(LTA)을 통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투과시켜 입체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시청자(101)는 배리어 모듈(120)의 광투과 영역(LTA)을 투과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인식하여 입체 영상을 시청하게 된다(S400).
그런 다음,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에 입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움직임 검출부(335)를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의 움직임을 검출한다(S500).
그런 다음, 움직임 검출부(335)에 의해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의 움직임이 검출될 경우(S500의 "예"), 움직임 정보에 따라 배리어 패널(122)에 배리어 패널(122)에 형성되는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를 보정한다(S600).
움직임 정보에 따라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가 보정되면, 상술한 S400 단계 내지 S600 단계를 반복한다.
만약, S500 단계에서, 움직임 검출부(335)에 의해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S500의 "아니오"), 상술한 S400 단계 및 S500 단계를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300) 및 그의 구동 방법은 3D 표시 모드 구동시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에 정위치되도록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를 보정함과 아울러 장치(30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불편함 없는 정확한 입체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300: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10: 디스플레이 모듈
120: 배리어 모듈 122: 배리어 패널
124: 배리어 구동부 130: 위치 검출부
140, 340: 제어부 335: 움직임 검출부

Claims (13)

  1.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투과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배리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시청자의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시청자의 눈, 안구, 및 눈썹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여 상기 시청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모듈은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의 분자 배열 상태를 변경시키는 액정 구동 전극부를 가지는 배리어 패널; 및
    상기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리어 패널에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배리어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액정 구동 전극부에 인가하는 배리어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구동 전극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배치된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배리어 구동부로부터 배리어 전압이 개별적으로 어드레싱되는 복수의 하판 전극; 및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기판과 합착된 제 2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배리어 구동부로부터 공통 전압이 공통적으로 인가되는 상판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이 상기 시청자의 시청 위치에 정위치되도록 상기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하판 전극 각각에 인가되는 배리어 전압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제 1 전압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리어 구동부는 상기 제 1 전압 변경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하판 전극 각각에 개별적으로 인가되는 배리어 전압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가 보정되도록 상기 배리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가 보정되도록 상기 복수의 하판 전극 각각에 개별적으로 인가되는 배리어 전압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제 2 전압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리어 구동부는 상기 제 2 전압 변경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하판 전극 각각에 개별적으로 인가되는 배리어 전압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회전 각도와 회전 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 각도와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상기 제 2 전압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9.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투과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배리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시청자의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리어 모듈에 형성되는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을 통해 상기 입체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의 위치 정보는 상기 시청자의 얼굴, 눈, 안구, 및 눈썹 중 어느 하나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청 위치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광차단 영역 또는 상기 광투과 영역의 위치를 쉬프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 정보에 연동하여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정보에 연동하여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회전 각도와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회전 각도와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광차단 영역 또는 상기 광투과 영역의 위치를 쉬프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10067439A 2011-07-07 2011-07-07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461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39A KR101461186B1 (ko) 2011-07-07 2011-07-07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3/296,984 US9229241B2 (en) 2011-07-07 2011-11-15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W100145675A TWI459035B (zh) 2011-07-07 2011-12-09 立體影像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CN201110461287.4A CN102868895B (zh) 2011-07-07 2011-12-30 立体图像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39A KR101461186B1 (ko) 2011-07-07 2011-07-07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13A true KR20130005813A (ko) 2013-01-16
KR101461186B1 KR101461186B1 (ko) 2014-11-13

Family

ID=4743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439A KR101461186B1 (ko) 2011-07-07 2011-07-07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29241B2 (ko)
KR (1) KR101461186B1 (ko)
CN (1) CN102868895B (ko)
TW (1) TWI45903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851B1 (ko) * 2017-10-31 2019-03-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525A (ko) * 2012-04-18 2013-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956134B1 (ko) * 2012-06-15 2019-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476884B1 (ko) * 2012-06-22 2014-1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럴랙스 배리어 타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CN102798982B (zh) 2012-08-31 2015-11-25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一种立体显示设备及立体显示控制方法
WO2014054520A1 (ja) * 2012-10-03 2014-04-10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CN103118267B (zh) * 2013-01-25 2015-06-03 明基材料有限公司 自动调整三维影像显示视角的显示系统
CN103969833A (zh) * 2013-02-05 2014-08-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裸眼立体显示装置
JP6207355B2 (ja) * 2013-11-18 2017-10-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3次元表示装置
JP6200789B2 (ja) * 2013-11-27 2017-09-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20150193625A1 (en) * 2014-01-03 2015-07-09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TWI507015B (zh) * 2014-02-20 2015-11-01 Au Optronics Corp 三維影像之調整方法及採用此方法之三維顯示器
KR102199610B1 (ko) * 2014-09-03 2021-0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CN105511092B (zh) * 2014-10-11 2019-03-19 深圳超多维科技有限公司 立体显示装置的校正设备
JP6573467B2 (ja) * 2015-03-31 2019-09-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画像表示装置及び液晶パネル
GB2540377A (en) * 2015-07-14 2017-01-18 Sharp Kk Parallax barrier with independently controllable regions
CN105304677B (zh) * 2015-09-24 2019-09-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及显示装置、显示系统
US20180364488A1 (en) * 2015-12-28 2018-12-20 Sony Corporation Display device
CN112534338A (zh) * 2018-08-08 2021-03-19 京瓷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图像显示系统以及移动体
CN111144914A (zh) * 2018-11-05 2020-05-12 京东数字科技控股有限公司 用于输出信息的系统、方法和装置
TWI779842B (zh) * 2021-09-22 2022-10-01 宏碁股份有限公司 立體顯示裝置及其顯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9824B2 (ja) * 1995-11-15 2001-11-19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装置
JP4624587B2 (ja) 2001-03-29 2011-02-02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画像生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20060139447A1 (en) * 2004-12-23 2006-06-29 Unkrich Mark A Ey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a three-dimensional display
KR101108467B1 (ko) * 2004-12-30 2012-01-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입체영상표시방법
KR20060096844A (ko) * 2005-03-04 2006-09-13 주식회사 소디 가변형 패럴렉스 배리어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1249988B1 (ko) 2006-01-27 2013-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US7359105B2 (en) * 2006-02-07 2008-04-15 Sharp Kabushiki Kaisha Spatial light modulator and a display device
KR101222990B1 (ko) 2007-10-22 2013-0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전계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입체 표시 장치
TWI366035B (en) 2008-02-15 2012-06-11 Ind Tech Res Inst 3-d image display devices, 3d/2d switchable display devices and driving methods thereof
KR20120091585A (ko) * 2011-02-09 2012-08-20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삼차원 영상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851B1 (ko) * 2017-10-31 2019-03-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03367A (zh) 2013-01-16
US9229241B2 (en) 2016-01-05
CN102868895A (zh) 2013-01-09
US20130009859A1 (en) 2013-01-10
CN102868895B (zh) 2015-03-18
KR101461186B1 (ko) 2014-11-13
TWI459035B (zh) 201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186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6234686B2 (ja) タッチ感知および立体映像表示兼用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9013647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gradient-refractive-index liquid-crystal lens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groups
US7954967B2 (en) Directional backlight, display apparatus, and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KR101380517B1 (ko) 멀티 뷰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최적 시청 거리 제어 방법
US20170155893A1 (en) Variable barrier pitch correction
KR102199610B1 (ko) 영상 표시 장치
US8279270B2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US20110122329A1 (en) Display
TWI482999B (zh) 立體顯示裝置
WO2012047830A2 (en) 3d display system with active shutter plate
KR20120130397A (ko) 렌즈 모듈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20150249818A1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JP2012037808A (ja) 立体表示装置および液晶バリア装置
US10520778B2 (en) Liquid crystal lens and display device
KR2016012019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0354A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EP2806646A2 (en) Multi-view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shutter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02449A (ko) 분할 패럴랙스 배리어를 기반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JP2013015711A (ja) 表示装置
US20160195739A1 (en)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lens panel
KR102633407B1 (ko) 배리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1939795B1 (ko) 빔편향판을 통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US20140028812A1 (en) Three-dimensional video display apparatus
KR20160083344A (ko) 배리어 패널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