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610B1 -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610B1
KR102199610B1 KR1020140117290A KR20140117290A KR102199610B1 KR 102199610 B1 KR102199610 B1 KR 102199610B1 KR 1020140117290 A KR1020140117290 A KR 1020140117290A KR 20140117290 A KR20140117290 A KR 20140117290A KR 102199610 B1 KR102199610 B1 KR 102199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pixel
signal supply
barrier
electrode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8626A (ko
Inventor
손정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610B1/ko
Priority to CN201410790757.5A priority patent/CN105763862B/zh
Priority to US14/579,580 priority patent/US9900587B2/en
Publication of KR2016002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02B30/3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involving active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02B30/5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the 3D volume being constructed from a stack or sequence of 2D planes, e.g. depth samp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arrays of controllable light sources; using moving apertures or moving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7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forward-backward translational head movements, i.e. longitudinal mov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7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left-right translational head movements, i.e. lateral mov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viewing angle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화소 상에 형성하는 복수의 광투과 영역과 복수의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배리어 패널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표시 패널에 대한 시청자의 시청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화소 상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영역마다 개별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시청자의 시청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표시 패널의 전영역에 대해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현장감 있고 실감나는 영상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2차원(2D) 영상뿐만 아니라 3차원(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2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그 해상도와 시야각 등 표시 영상 품질 면에서 큰 발전을 하였으나, 2차원의 영상을 표시함에 따라 영상의 깊이(Depth) 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제약이 있다.
반면에,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을 2차원 평면이 아닌 3차원의 입체적으로 표시함으로써 2차원 표시 장치보다 훨씬 현실감 있고 실감나는 입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입체 안경을 이용하는 안경 방식과 입체 안경을 이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무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영상의 입체감을 준다는 측면에서는 안경 방식과 동일하지만, 입체 안경을 착용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무안경 방식으로는, 원통형의 렌즈 어레이를 이용해 좌안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는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과 배리어(Barrier)를 이용하여 좌안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는 배리어 방식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좌안 영상(LI)과 우안 영상(RI)을 분리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10), 및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광투과 영역(22)과 광차단 영역(24)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표시 패널(10)의 전면에 배치된 배리어 패널(20)을 구비한다.
시청자는 배리어 패널(20)의 광투과 영역(22)을 통해 표시 패널(10)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게 되는데, 시청자의 좌안(LE)과 우안(RE)은 동일한 광투과 영역(22)을 통해 표시 패널(10)의 다른 영역을 보게 된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광투과 영역(22)을 통해 인접하게 표시되는 좌안 영상(LI)과 우안 영상(RI)을 시청하게 되어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배리어 패널(20)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22)과 광차단 영역(24)의 상태에 따라 2D 표시 모드 또는 3D 표시 모드의 변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텔레비전,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넷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및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배리어 패널(20)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22)과 광차단 영역(24)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청자의 시청 위치(또는 거리)가 변경될 경우에는 표시 패널(10)의 일부 영역에서 시청자의 위치와 광투과 영역(22)이 서로 매칭되지 않아 표시 패널(10)의 일부 영역에서 입체 영상이 구현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시청자의 시청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표시 패널의 전영역에 대해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화소 상에 형성하는 복수의 광투과 영역과 복수의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배리어 패널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표시 패널에 대한 시청자의 시청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화소 상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영역마다 개별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시청자의 시청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표시 패널의 전영역에 대해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시청자의 시청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표시 패널의 전영역에 대해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역 단위로 화소별 전극 라인을 그룹화함으로서 화소별 전극 라인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공급 라인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배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입체 영상의 구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과 배리어 패널 및 렌즈 어레이 시트를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패널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패널의 전극 라인과 공통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1 영역에 포함된 화소별 전극 라인과 제 1 신호 공급 라인군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 패널에 대한 시청자의 시청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 패널에 대한 시청자의 시청 거리에 기초한 영역별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배리어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배리어 구동부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스위칭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 패널에 대한 시청자의 시청 거리에 기초한 제 1 및 제 2 영역의 가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입체 영상의 구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과 배리어 패널 및 렌즈 어레이 시트를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배리어 패널(200), 렌즈 어레이 시트(300), 위치 검출부(400), 표시 구동부(500), 및 배리어 구동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복수의 스캔 라인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화소(P)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인접한 적어도 3개의 화소(P)는 하나의 단위 화소를 구성하며, 각 단위 화소는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소(P)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소셀은 액정셀, 발광셀, 또는 전기 영동셀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2D 모드에 따라 2차원 영상을 표시하거나, 3D 모드에 따라 좌안 영상(LI)과 우안 영상(RI)을 분리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좌안 영상(LI)과 우안 영상(RI)은 표시 패널(100)의 수평 라인 단위로 교번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 영상(LI)은 표시 패널(100)의 기수번째 수평 라인에 표시되고, 우안 영상(RI)은 표시 패널(100)의 우수번째 수평 라인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평판 표시 패널, 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평판 표시 패널이 액정 표시 패널일 경우,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리어 패널(2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 위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리어 패널(200)은 2D 모드시 각 화소(P) 상에 광투과 영역(LTA)을 형성한다. 반면에, 배리어 패널(200)은 3D 모드시 각 화소(P) 상에 복수의 광투과 영역(LTA)과 복수의 광차단 영역(LBA)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패널(100)로부터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으로 진행하는 광의 진행 경로를 공간적으로 분리한다.
일 예에 따른 배리어 패널(200)은 제 1 기판(210), 화소별 N(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전극 라인(220), M개의 신호 공급 라인군(230), 제 2 기판(240), 복수의 공통 라인(250), 및 액정층(26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21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써 표시 패널(100) 위에 배치된다.
상기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은 표시 패널(100)에 형성된 각 화소(P)에 중첩되도록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각 화소(P)를 표시 패널(100)의 제 1 방향(Y)으로 N 등분한다. 즉,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은 개별적으로 어드레싱되는 구동 신호(또는 구동 전압)에 의해 해당 화소(P) 상에 복수의 광투과 영역(LTA)과 복수의 광차단 영역(LBA)을 형성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은 화소를 8등분하도록 8개의 전극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화소별 8개의 전극 라인(220)은 제 1 기판(21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형성되되, 절연막(212)을 사이에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리는 복층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화소별 8개의 전극 라인(220)은 절연막(212)을 사이에 두고 이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소별 8개의 전극 라인(220) 중 4개의 전극 라인(이하, "하층 전극 라인들"이라 함)은 제 1 기판(210) 상에 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전극 라인(이하, "상층 전극 라인들"이라 함)은 하층 전극 라인들을 덮도록 제 1 기판(210) 상에 형성되는 절연막(212) 상에 형성되되, 하층 전극 라인들 사이사이에 형성된다.
표시 패널(100)의 제 1 방향(Y)을 기준으로, 하층 전극 라인의 양측면은 상층 전극 라인의 양측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하층 전극 라인의 양측면과 상층 전극 라인의 양측면이 중첩될 경우, 하층 전극 라인과 상층 전극 라인의 중첩 영역을 투과하는 광이 하층 전극 라인과 상층 전극 라인 각각을 투과하는 광보다 상대적으로 적어짐에 따라 휘도 불균일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하층 전극 라인의 양측면과 상층 전극 라인의 양측면이 서로 이격될 경우, 하층 전극 라인과 상층 전극 라인의 이격 영역을 투과하는 광이 하층 전극 라인과 상층 전극 라인 각각을 투과하는 광보다 상대적으로 많아짐에 따라 휘도 불균일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하층 전극 라인의 양측면과 상층 전극 라인의 양측면은 휘도 균일도 향상을 위하여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이 복층 구조로 형성될 경우, 각 화소(P) 상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배리어 패널(200)은 각 화소(P)를 N 등분하기 위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가지므로, 배리어 패널(200)에는 표시 패널(100)의 수평 라인에 형성된 화소(P)의 전체 개수(X)와 화소별 전극 라인 개수(N)의 승산 연산 값(X*N)에 따른 X*N개의 전극 라인이 형성된다. 그리고, 화소별 전극 라인을 개별적으로 구동할 경우, 배리어 패널(200)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을 전극 라인별로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X*N개의 전극 라인을 배리어 구동부(600)에 연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영역별로 그룹화하고, 각 화소마다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전극 라인을 묶어 영역별 N개의 신호 공급 라인을 이용해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구동함으로써 신호 공급 라인의 개수를 감소시킨다.
상기 M개의 신호 공급 라인군(230) 각각은 상기 배리어 패널(200)에 정의된 M(단, M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영역(A1 내지 A4) 각각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에 연결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배리어 패널(200)에는 제 1 내지 제 4 영역(A1 내지 A4)이 정의되어 있고, M개의 신호 공급 라인군(230)은 제 1 내지 제 4 신호 공급 라인군(230a, 230b, 230c, 230d)인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먼저, 제 1 영역(A1)은 표시 패널(100)의 가운데 부분에 중첩되는 것으로,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2 영역(A2)은 제 1 영역(A1)에 접하도록 제 1 영역(A1)의 양측에 정의되고, 제 3 영역(A3)은 제 2 영역(A2)에 접하도록 제 2 영역(A2)의 양측에 정의되며, 제 4 영역(A4)은 제 3 영역(A3)에 접하도록 제 3 영역(A3)의 양측에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4 영역(A4)은 표시 패널(10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중첩된다. 그리고, 제 2 내지 제 4 영역(A2 내지 A4) 각각은 동일한 크기로 정의되며, 하나의 서브 영역은 제 2 내지 제 4 영역(A2 내지 A4) 각각과 동일한 크기로 정의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신호 공급 라인군(230a, 230b, 230c, 230d) 각각은 N개의 신호 공급 라인으로 이루어지며, i(단, i는 1 내지 N)번째 신호 공급 라인은 해당 영역(A1 내지 A4)에 포함된 화소별 i번째 전극 라인에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제 1 영역(A1)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과 제 1 신호 공급 라인군(230a)의 N개의 신호 공급 라인 간의 연결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신호 공급 라인군(230a)은 화소별 전극 라인과 동일한 N개, 즉 8개의 신호 공급 라인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신호 공급 라인(230-1)은 제 1 영역(A1)에 포함된 화소별 전극 라인(220) 각각의 제 1 전극 라인(220-1)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제 2 신호 공급 라인(230-2)은 제 1 영역(A1)에 포함된 화소별 전극 라인(220) 각각의 제 1 전극 라인(220-1)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며, 제 8 신호 공급 라인(230-8)은 제 1 영역(A1)에 포함된 화소별 전극 라인(220) 각각의 제 8 전극 라인(220-8)에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결국, 제 1 내지 제 4 신호 공급 라인군(230a, 230b, 230c, 230d) 각각에서, i(단, i는 1 내지 N)번째 신호 공급 라인은 화소별 i번째 전극 라인에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배리어 패널(200)이 4개의 영역(A1 내지 A4)으로 분할되고, 화소별 8개의 전극 라인(220)으로 이루어질 경우, 본 발명은 32개의 신호 공급 라인만이 필요하게 된다.
다시 도 4 내지 도 6에서, 상기 제 2 기판(240)은 제 1 기판(210)과 동일하게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2 기판(240)은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실런트(미도시)에 의해 액정층(260)을 사이에 두고 제 1 기판(210)과 대향 합착된다.
상기 복수의 공통 라인(250)은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과 교차하도록 표시 패널(100)의 제 1 방향(X)과 교차하는 제 2 방향(Y)을 따라 화소(P)별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공통 라인(250) 중 기수번째 공통 라인은 제 1 공통 신호 공급 라인(252)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제 1 공통 신호 공급 라인(252)을 통해 배리어 구동부(600)로부터 제 1 공통 신호를 공급받는다. 상기 복수의 공통 라인(250) 중 우수번째 공통 라인은 제 2 공통 신호 공급 라인(254)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제 2 공통 신호 공급 라인(254)을 통해 배리어 구동부(600)로부터 제 2 공통 신호를 공급받는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공통 신호는 각 화소(P) 상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이 표시 패널(100)의 제 1 방향(Y)을 따라 서로 엇갈리면서 표시 패널(100)의 제 2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도록 서로 다른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공통 신호는 7V의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고, 제 2 공통 신호는 0V의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액정층(260)은 제 1 및 제 2 기판(210, 24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트위스티드 네마틱(Twisted Nematic; TN), 또는 STN(Super Twisted Nematic) 액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액정층(260)은 전극 라인(22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와 공통 라인(250)에 인가되는 공통 신호에 따라 액정의 분자 배열이 변화되어 각 화소(P) 상에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을 형성함으로써 영상의 투과 또는 차단을 수행한다.
상기 배리어 패널(200)은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덮도록 제 1 기판(210)에 형성된 제 1 배향막(214) 및 복수의 공통 라인(250)을 덮도록 제 2 기판(240)에 형성된 제 2 배향막(24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배향막(214, 242) 각각은 액정층(260)을 사이에 두고 형성됨으로써 액정층(260)의 액정 분자들을 초기 배열 상태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배리어 패널(200)은 제 2 기판(240)의 상면(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부착된 편광 필름(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은 배리어 패널(200)에 형성된 광차단 영역(LBA)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는 않은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편광 필름은 배리어 패널(200)의 광투과 영역(LTA)을 투과하는 광만이 외부로 출사되도록 한다.
상기 렌즈 어레이 시트(300)는 배리어 패널(200)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표시 패널(100)의 제 1 방향(Y)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화소(P)와 중첩되도록 연장되면서 상기 제 1 방향(Y)과 교차하는 제 2 방향(X)으로 배열된 복수의 렌즈(31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렌즈(310)는 볼록한 반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렌즈(310) 각각의 피치(W)는 한 화소(P)의 폭(또는 피치)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렌즈 어레이 시트(300)에 의해 구현되는 입체 영상의 수평 해상도는 표시 패널(100)의 수평 해상도와 동일하게 된다. 여기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수평 라인 단위로 교대로 표시되기 때문에 렌즈 어레이 시트(300)에 의해 구현되는 입체 영상의 수직 해상도는 표시 패널(100)의 수직 해상도의 절반이 된다.
상기 위치 검출부(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에 표시되는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시청 위치 정보를 표시 구동부(50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위치 검출부(400)는 시청자 추종 카메라를 통해 시청자(101)의 눈, 안구, 및 눈썹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여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는 시청자(101)의 좌안과 우안 사이의 중심부와 표시 패널(100) 사이의 거리 정보(D1, D2)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검출부(400)는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모드가 2D 모드에서 3D 모드로 전환될 때에만 시청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D 모드 동안에도 소정 주기 단위로 시청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위치 검출부(400)는 시청자 추종 카메라를 통해 시청자(101)를 촬상하고, 촬상된 촬상 이미지만을 표시 구동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구동부(500)는 촬상 이미지에서 시청자(101)의 눈, 안구, 및 눈썹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여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구동부(5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신호와 디지털 영상 신호 및 타이밍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100)의 각 화소(P)를 구동함으로써 2D 모드에 따른 2차원 영상 또는 3D 모드에 따른 입체 영상을 표시 패널(100)에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 구동부(500)는 배리어 패널(200)을 M개의 영역(A1 내지 A4)으로 분할하고, 상기 위치 검출부(400)로부터 제공되는 시청자의 시청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화소(P) 상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를 M개의 영역(A1 내지 A4)마다 개별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ABD)를 생성해 배리어 구동부(60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일 예에 따른 표시 구동부(500)는 타이밍 제어부(510), 데이터 구동부(520), 및 스캔 구동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510)는 2D 모드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 및 타이밍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표시 패널(100)의 화소 배치 구조에 알맞도록 정렬하여 화소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부(520)에 제공하고, 타이밍 동기 신호를 기반으로 데이터 구동부(520)와 스캔 구동부(530)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510)는 2D 모드시 배리어 패널(200) 전체에 광투과 영역(LTA)이 형성되도록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ABD)를 생성해 배리어 구동부(600)에 제공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510)는 3D 모드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 및 타이밍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표시 패널(100)의 입체 영상 구현 방식에 알맞도록 정렬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부(520)에 제공하고, 타이밍 동기 신호를 기반으로 데이터 구동부(520)와 스캔 구동부(530)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510)는 3D 모드시 시청자의 시청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화소(P) 상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를 M개의 영역(A1 내지 A4)마다 개별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ABD)를 생성해 배리어 구동부(600)에 제공한다.
일 예로서, 3D 모드시 타이밍 제어부(510)는 시청 위치 정보에 따라 표시 패널(100)로부터 시청자(101) 간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 정보에 해당되는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ABD)를 생성한다. 이때, 타이밍 제어부(510)는 표시 패널(100)과 시청자(101) 간의 거리별로 각 화소(P)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룩 업 테이블(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해당되는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ABD)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3D 모드시 상기 타이밍 제어부(51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에 구현되는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변화를 검출하고, 변화된 시청 위치 변화에 따라 시청자의 위치와 광투과 영역(LTA)이 서로 매칭되지 않아 입체 영상이 구현되지 않는 영역(A3)(또는 2D 영역)을 선택하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영역(A3)에 입체 영상이 구현되도록 선택된 영역(A3)의 각 화소(P)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를 시청 위치 변화에 대응되도록 보정하기 위한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ABD)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타이밍 제어부(510)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영역의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ABD)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20)는 타이밍 제어부(51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제어 신호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1 수평 기간마다 표시 패널(100)의 각 수평 라인에 형성된 화소(P)에 공급한다.
상기 스캔 구동부(530)는 타이밍 제어부(510)로부터 공급되는 스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 패널(100)에 형성된 복수의 스캔 라인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스캔 구동부(530)는 화소(P)의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에 따라 표시 패널(100)에 내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구동부(600)는 표시 구동부(500), 즉 타이밍 제어부(510)로부터 제공되는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ABD)에 기초하여 영역별 구동 신호와 제 1 및 제 2 공통 신호를 생성해 배리어 패널(200)을 구동한다. 일 예에 따른 배리어 구동부(6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공급부(610)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공급부(610)는 배리어 패널(200)에 형성된 M개의 신호 공급 라인군(230) 각각의 N개의 신호 공급 라인에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신호 공급부(6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원(Vin)을 이용하여 2D 모드에 따라 타이밍 제어부(510)로부터 제공되는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ABD)에 대응되는 영역별 구동 신호(DS1 내지 DS4)와 제 1 및 제 2 공통 신호(CS1, CS2)를 생성해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 도 6 참조)과 공통 라인(250; 도 6 참조)에 인가함으로써 배리어 패널(200) 전체에 광투과 영역(LTA)을 형성한다. 그리고, 신호 공급부(6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원(Vin)을 이용하여 3D 모드에 따라 타이밍 제어부(510)로부터 제공되는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ABD)에 대응되는 영역별 구동 신호(DS1 내지 DS4)와 제 1 및 제 2 공통 신호(CS1, CS2)를 생성해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 도 6 참조)과 공통 라인(250; 도 6 참조)에 인가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의 각 화소(P) 상에 복수의 광투과 영역(LTA)과 복수의 광차단 영역(LBA)을 형성한다.
일 예에 따른 신호 공급부(610)는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ABD) 각각에 기초하여 영역마다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 각각에 개별적으로 공급될 영역별 구동 신호(DS1 내지 DS4)를 생성하여 해당 신호 공급 라인군(230)에 공급하는 영역별 구동 신호 생성부(미도시), 및 제 1 공통 신호(CS1)를 생성하여 제 1 공통 신호 공급 라인(252)에 공급함과 아울러 제 1 공통 신호(CS1)와 다른 제 2 공통 신호(CS2)를 생성하여 제 2 공통 신호 공급 라인(254)에 공급하는 공통 신호 생성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신호 공급부(610)는 시청자가 적정 시청 거리에 위치한 시청 위치 정보에 따른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ABD) 각각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100)의 제 2 방향(X)을 따라 인접한 전극 라인(220; 도 6 참조)에 서로 다른 구동 신호(DS1 내지 DS4)를 인가함과 아울러 표시 패널(100)의 제 1 방향(Y)을 따라 인접한 공통 라인(250; 도 6 참조)에 서로 다른 공통 신호(CS1, CS2)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구동 신호(DS1 내지 DS4)와 공통 신호(CS1, CS2)에 따라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액정층(260)의 액정 분자 배열이 변화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 패널(200)에는 상기 제 1 방향(Y)을 따라 서로 엇갈리면서 상기 제 2 방향(X)을 따라 교번되는 모자이크 패턴 형태를 갖는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을 모자이크 패턴 형태로 형성하여 좌안 영상(LI)과 우안 영상(RI)을 완벽하게 분리함으로써 3D 크로스토크(Crosstalk)를 최소화하여 입체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 라인(220)에 7V의 제 1 구동 신호, 상기 제 1 전극 라인(220)과 인접한 제 2 전극 라인(220)에 0V의 제 2 구동 신호, 상기 제 1 전극 라인(220)에 교차하는 기수번째 공통 라인(250)에 7V의 제 1 공통 신호, 및 상기 제 1 전극 라인(220)에 교차하는 우수번째 공통 라인(250)에 0V의 제 2 공통 신호가 각각 공급될 경우, 상기 제 1 전극 라인(220)과 기수번째 공통 라인(250)의 교차부에는 광투과 영역(LTA), 상기 제 1 전극 라인(220)과 우수번째 공통 라인(250)의 교차부에는 광차단 영역(LBA), 상기 제 2 전극 라인(220)과 기수번째 공통 라인(250)의 교차부에는 광차단 영역(LBA), 및 상기 제 2 전극 라인(220)과 우수번째 공통 라인(250)의 교차부에는 광투과 영역(LTA)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은 모자이크 패턴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신호 공급부(610)는 시청자가 적정 시청 거리에 위치하지 않는 시청 위치 정보에 따른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ABD) 각각에 기초하여 영역별 구동 신호(DS1, DS2, DS3, DS4) 또는 선택 영역의 구동 신호를 해당 영역의 화소별 전극 라인(220)에 공급하고, 인접한 공통 라인(250; 도 6 참조)에 서로 다른 공통 신호(CS1, CS2)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배리어 패널(200)에 형성되는 영역별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가 시청자의 시청 위치에 매칭되도록 보정됨과 아울러 표시 패널(100)의 제 1 방향을 따라 엇갈리도록 형성됨으로써 표시 패널(100)의 전영역에 대해 입체 영상이 구현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청자의 시청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좌안 영상(LI)과 우안 영상(RI)을 완벽하게 분리해 3D 크로스토크(Crosstalk)를 최소화하여 입체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배리어 패널(200)을 M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표시 패널(100)에 대한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화소 상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LTA)과 광차단 영역(LBA)의 위치를 M개의 영역마다 개별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표시 패널(100)의 전영역에 대해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영역 단위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그룹화하여 신호 공급 라인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배리어 구동부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스위칭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배리어 구동부와 이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배리어 패널(200)에 정의된 M개의 영역 중 표시 패널(100)의 가운데 부분에 중첩되는 제 1 영역(A1)은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제 1 영역(A1)은 표시 패널(100)의 가운데 부분에 중첩되는 제 1 서브 영역(SA1), 제 1 서브 영역(SA1)의 양측에 접한 제 2 서브 영역(SA2), 및 제 2 서브 영역(SA2)의 양측에 접한 제 3 서브 영역(SA3)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SA1, SA2, SA3) 중 일부의 서브 영역(SA1, SA2)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 도 6 참조)은 제 1 영역(A1)에 해당되는 제 1 신호 공급 라인군(230a)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SA1, SA2, SA3) 중 나머지 서브 영역(SA3)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은 제 1 영역(A1)에 해당되는 제 1 신호 공급 라인군(230a) 또는 제 1 영역(A1)에 인접한 제 2 영역(A2)에 해당되는 제 2 신호 공급 라인군(230b)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표시 구동부(500), 즉 타이밍 제어부(5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에 대한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D1, D2)를 기반으로 제 1 및 제 2 영역(A1, A2)의 크기를 가변하고, 가변된 제 1 및 제 2 영역(A1, A2) 각각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을 해당 영역의 신호 공급 라인군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스위칭 신호(SS1, SS2)를 추가로 생성한다. 일 예로서, 타이밍 제어부(510)는 표시 패널(100)에 대한 시청자(101)의 시청 거리(D1, D2)가 기준 시청 거리(D1)보다 가까워질 경우, 제 1 영역(A1)이 제 1 및 제 2 서브 영역(SA1, SA2)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영역(A1)이 제 3 서브 영역(SA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제 1 및 제 2 영역(A1, A2)의 크기를 가변하고, 가변된 제 1 및 제 2 영역(A1, A2) 각각에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스위칭 신호(SS1, SS2)를 생성한다. 다른 예로서, 타이밍 제어부(510)는 표시 패널(100)에 대한 시청자(101)의 시청 거리(D1, D2)가 기준 시청 거리(D1)로 변경될 경우, 제 1 영역(A1)이 제 1 내지 제 3 서브 영역(SA1, SA2, SA3)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영역(A1)이 제 3 서브 영역(SA3)을 포함하지 않도록 제 1 및 제 2 영역(A1, A2)의 크기를 가변하고, 가변된 제 1 및 제 2 영역(A1, A2) 각각에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스위칭 신호(SS1, SS2)를 생성한다.
상기 배리어 구동부(600)는 신호 공급부(610), 제 1 및 제 2 스위칭부(620, 6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 공급부(610)는 도 1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스위칭부(620)는 제 3 서브 영역(SA3)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제 1 영역(A1)에 해당되는 제 1 신호 공급 라인군(230a)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즉, 상기 제 1 스위칭부(620)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제어부(510)로부터 공급되는 스위치 온 상태의 제 1 스위칭 신호(SS1)에 따라 제 3 서브 영역(SA3)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상기 제 1 신호 공급 라인군(230a)에 연결한다. 반면에, 상기 제 1 스위칭부(620)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제어부(510)로부터 공급되는 스위치 오프 상태의 제 1 스위칭 신호(SS1)에 따라 제 3 서브 영역(SA3)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상기 제 1 신호 공급 라인군(230a)에 연결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스위칭부(620)는 상기 제 3 서브 영역(SA3)이 제 1 영역(A1)에 포함될 경우에만 제 3 서브 영역(SA3)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제 1 신호 공급 라인군(230a)에 연결한다. 이를 위해, 제 1 스위칭부(620)는 N개의 제 1 스위칭 소자(SW1-1 내지 SW1-N)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개의 제 1 스위칭 소자(SW1-1 내지 SW1-N) 각각은 타이밍 제어부(510)로부터 스위치 온 상태의 제 1 스위칭 신호(SS1)가 공급될 경우 제 3 서브 영역(SA3)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제 1 영역(A1)에 해당되는 제 1 신호 공급 라인군(230a)에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제 1 신호 공급 라인군(230a)에 공급되는 제 1 영역(A1)의 구동 신호(DS1)는 N개의 제 1 스위칭 소자(SW1-1 내지 SW1-N) 각각을 통해 제 3 서브 영역(SA3)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에 공급된다. 반면에, 상기 N개의 제 1 스위칭 소자(SW1-1 내지 SW1-N) 각각은 타이밍 제어부(510)로부터 스위치 오프 상태의 제 1 스위칭 신호(SS1)가 공급될 경우, 제 3 서브 영역(SA3)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제 1 신호 공급 라인군(230a)에 연결하지 않는다.
상기 제 2 스위칭부(630)는 제 3 서브 영역(SA3)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제 2 영역(A2)에 해당되는 제 2 신호 공급 라인군(230b)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즉, 상기 제 2 스위칭부(620)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제어부(510)로부터 공급되는 스위치 온 상태의 제 2 스위칭 신호(SS2)에 따라 제 3 서브 영역(SA3)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상기 제 2 신호 공급 라인군(230b)에 연결한다. 반면에, 상기 제 2 스위칭부(630)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제어부(510)로부터 공급되는 스위치 오프 상태의 제 2 스위칭 신호(SS2)에 따라 제 3 서브 영역(SA3)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상기 제 2 신호 공급 라인군(230b)에 연결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2 스위칭부(630)는 상기 제 3 서브 영역(SA3)이 제 2 영역(A2)에 포함될 경우에만 제 3 서브 영역(SA3)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제 2 신호 공급 라인군(230b)에 연결한다. 이를 위해, 제 2 스위칭부(630)는 N개의 제 2 스위칭 소자(SW2-1 내지 SW2-N)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개의 제 2 스위칭 소자(SW2-1 내지 SW2-N) 각각은 타이밍 제어부(510)로부터 스위치 온 상태의 제 2 스위칭 신호(SS2)가 공급될 경우, 제 3 서브 영역(SA3)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제 2 영역(A2)에 해당되는 제 2 신호 공급 라인군(230b)에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제 2 신호 공급 라인군(230b)에 공급되는 제 2 영역(A2)의 구동 신호(DS2)는 N개의 제 2 스위칭 소자(SW2-1 내지 SW2-N) 각각을 통해 제 3 서브 영역(SA3)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에 공급된다. 반면에, 상기 N개의 제 2 스위칭 소자(SW2-1 내지 SW2-N) 각각은 타이밍 제어부(510)로부터 스위치 오프 상태의 제 2 스위칭 신호(SS2)가 공급될 경우, 제 3 서브 영역(SA3)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220)을 제 2 신호 공급 라인군(230b)에 연결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배리어 구동부(600)의 변형 예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에 대한 시청자(101)의 시청 위치 정보(D1, D2)를 기반으로 제 1 및 제 2 영역(A1, A2)의 크기를 가변함으로써 시청자(101)의 시청 거리에 최적화되는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배리어 패널(200)에 정의되는 제 2 내지 제 4 영역(A2, A3, A4) 각각은 제 1 영역(A)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구조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리어 패널(200)은 제 1 내지 제 7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는데, 상기 제 1 영역(A1)의 일측에는 제 2 내지 제 4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A2)의 타측에는 제 5 내지 제 7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7 영역 단위로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이 개별적으로 형성되되, 시청자의 시청 위치 정보에 따라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가 보정됨으로써 시청자의 시청 위치에 보다 최적화되는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표시 패널 200: 배리어 패널
210: 제 1 기판 220: 전극 라인
230: 신호 공급 라인군 240: 제 2 기판
250: 공통 라인 260: 액정층
300: 렌즈 어레이 시트 400: 위치 검출부
500: 표시 구동부 510: 타이밍 제어부
520: 데이터 구동부 530: 스캔 구동부
600: 배리어 구동부 610: 신호 공급부
620: 제 1 스위칭부 630: 제 2 스위칭부

Claims (8)

  1.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복수의 광투과 영역과 복수의 광차단 영역을 상기 각 화소 상에 형성하는 배리어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복수의 화소와 중첩되도록 연장되면서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렌즈를 갖는 렌즈 어레이 시트;
    상기 배리어 패널을 M(단, M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 대한 시청자의 시청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각 화소 상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의 위치를 상기 M개의 영역마다 개별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 구동부; 및
    상기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별 구동 신호를 생성해 상기 배리어 패널을 구동하는 배리어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패널은,
    상기 각 화소를 상기 표시 패널의 제 1 방향으로 N(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 등분하도록 상기 각 화소에 중첩되는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
    상기 M개의 영역 각각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에 연결되는 M개의 신호 공급 라인군; 및
    상기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과 교차하도록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화소별로 형성된 복수의 공통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M개의 신호 공급 라인군 각각은 N개의 신호 공급 라인을 가지되, i(단, i는 1 내지 N)번째 신호 공급 라인은 해당 영역에 포함된 화소별 i번째 전극 라인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M개의 영역 중 상기 표시 패널의 가운데 부분에 중첩되는 제 1 영역은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일부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은 상기 제 1 영역에 해당되는 신호 공급 라인군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나머지 서브 영역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은 상기 제 1 영역에 해당되는 신호 공급 라인군 또는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한 제 2 영역에 해당되는 신호 공급 라인군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시청자의 시청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및 제 2 스위칭 신호를 더 생성하고,
    상기 배리어 구동부는,
    상기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역별 구동 신호를 생성해 상기 M개의 신호 공급 라인군 각각의 N개의 신호 공급 라인 각각에 개별적으로 인가하는 신호 공급부;
    상기 제 1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나머지 서브 영역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을 상기 제 1 영역에 해당되는 신호 공급 라인군에 연결하는 제 1 스위칭부; 및
    상기 제 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나머지 서브 영역에 포함된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을 상기 제 2 영역에 해당되는 신호 공급 라인군에 연결하는 제 2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별 N개의 전극 라인은 복층 구조로 형성되되, 인접한 전극 라인은 서로 엇갈리도록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된 영상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구동부는 상기 M개의 신호 공급 라인군 각각의 N개의 신호 공급 라인에 연결된 신호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공급부는 상기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M개의 영역별로 N개의 전극 라인 각각에 공급될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신호 공급 라인군에 인가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인접한 공통 라인에 서로 다른 공통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엇갈리는 영상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시청자의 시청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M개의 영역 중 시청자의 위치 변경에 해당되는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역에 형성되는 광투과 영역의 위치를 쉬프트시키기 위한 상기 영역별 어드레싱 배리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표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의 피치는 상기 화소와 동일한 영상 표시 장치.
KR1020140117290A 2014-09-03 2014-09-03 영상 표시 장치 KR102199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290A KR102199610B1 (ko) 2014-09-03 2014-09-03 영상 표시 장치
CN201410790757.5A CN105763862B (zh) 2014-09-03 2014-12-17 图像显示装置
US14/579,580 US9900587B2 (en) 2014-09-03 2014-12-22 Imag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290A KR102199610B1 (ko) 2014-09-03 2014-09-03 영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626A KR20160028626A (ko) 2016-03-14
KR102199610B1 true KR102199610B1 (ko) 2021-01-08

Family

ID=5540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290A KR102199610B1 (ko) 2014-09-03 2014-09-03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00587B2 (ko)
KR (1) KR102199610B1 (ko)
CN (1) CN1057638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1129B (zh) * 2014-12-29 2016-09-28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裸眼立体显示装置
KR102056677B1 (ko) * 2017-09-07 2019-1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960391B1 (ko) * 2017-09-08 2019-03-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2650950B1 (ko) 2017-09-29 2024-03-26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그것을 갖는 표시 장치
KR102444666B1 (ko) * 2017-12-20 2022-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3차원 입체 영상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436564B1 (ko) * 2017-12-29 2022-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N110557473B (zh) * 2018-05-31 2024-06-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模组和电子设备
JP7188981B2 (ja) * 2018-11-05 2022-12-13 京セラ株式会社 3次元表示装置、3次元表示システム、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及び移動体
KR102677147B1 (ko) * 2018-12-28 2024-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17017A (ko) * 2020-08-03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67950A (ko) * 2020-11-18 202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4567767B (zh) * 2022-02-23 2024-06-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光场采集方法、图像数据传输方法及相关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416B1 (ko) * 2002-11-23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의 선택적 디스플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US20130057790A1 (en) * 2010-03-19 2013-03-0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configuring Output of a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305A (en) * 1934-07-31 1935-08-13 Walton S Smith Method for recovery of tin and lead from scrap mixtures containing same
JP2002250895A (ja) * 2001-02-23 2002-09-06 Mixed Reality Systems Laboratory Inc 立体画像表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画像表示装置
KR100856414B1 (ko) * 2006-12-18 2008-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324440B1 (ko) 2009-02-11 2013-10-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의 뷰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표시장치
KR101772153B1 (ko) * 2010-03-17 2017-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회절 렌즈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TW201144041A (en) * 2010-06-09 2011-12-16 Hon Hai Prec Ind Co Ltd Sprue bushing and mold using the same
KR101461186B1 (ko) * 2011-07-07 2014-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28939B1 (ko) * 2011-11-30 2019-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2차원/3차원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80517A (ko) 2012-01-05 2013-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1476884B1 (ko) * 2012-06-22 2014-1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럴랙스 배리어 타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416B1 (ko) * 2002-11-23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의 선택적 디스플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US20130057790A1 (en) * 2010-03-19 2013-03-0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configuring Output of a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626A (ko) 2016-03-14
CN105763862B (zh) 2018-02-02
US20160065954A1 (en) 2016-03-03
US9900587B2 (en) 2018-02-20
CN105763862A (zh)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610B1 (ko) 영상 표시 장치
KR101461186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6234686B2 (ja) タッチ感知および立体映像表示兼用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CN104272733B (zh) 自动立体显示设备及驱动方法
CN102338953B (zh) 图像显示装置
TWI489144B (zh) 可切換式二維/三維顯示器
US9224366B1 (en) Bendable 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US8982196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KR102230549B1 (ko) 접촉 감지 기능을 가진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84841B1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KR20120034581A (ko) 배리어를 이용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EP253868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3-dimensional image
KR20120087647A (ko) 표시 장치
US9046695B2 (e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uxiliary display units in pixels for improving 2D/3D image display
US2015015648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30132062A (ko)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CN103033963B (zh) 立体图像显示器
KR102233116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10132051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30015936A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30000692A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20068440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633407B1 (ko) 배리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2232462B1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26771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