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841B1 -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841B1
KR102284841B1 KR1020140191080A KR20140191080A KR102284841B1 KR 102284841 B1 KR102284841 B1 KR 102284841B1 KR 1020140191080 A KR1020140191080 A KR 1020140191080A KR 20140191080 A KR20140191080 A KR 20140191080A KR 102284841 B1 KR102284841 B1 KR 102284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
image
viewing
sub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9556A (ko
Inventor
안충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1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841B1/ko
Priority to CN201510674344.5A priority patent/CN105744253B/zh
Priority to EP15195792.5A priority patent/EP3038360A1/en
Priority to US14/971,988 priority patent/US10313662B2/en
Publication of KR20160079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wavelength separation, e.g. using anaglyph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02B30/29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lenticular array, e.g. slanted arrays, irregular arrays or arrays of varying shap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7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slanted parallax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8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with gaze detection, i.e. detecting the lines of sight of the viewer's eyes

Abstract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뷰잉 다이아몬드(viewing diamond)의 폭을 양안 간격의 a/n(a, n은 a < n 조건을 만족하는 자연수)배로 설정하는 동시에 뷰잉 다이아몬드를 중첩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스테레오(stereo) 형태의 영상 데이터 입, 출력이 가능한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영상 소오스 수를 줄임과 동시에 3D 크로스토크(cross talk)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D 영역의 일부가 겹치도록 뷰 데이터 렌더링을 적용함으로써 3D 시청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AUTO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입체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방식의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3D 디스플레이(display)란 간단히 정의를 내리자면 "인위적으로 3D 화면을 재생시켜 주는 시스템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이란 3D로 보여질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인 기술과 그 소프트웨어적 기술로 만든 컨텐츠를 실제로 3D로 구현해내는 하드웨어를 동시에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영역까지 포함시키는 이유는 3D 디스플레이 하드웨어의 경우 각각의 입체 구현방식마다 별도의 소프트웨어적 방식으로 구성된 컨텐츠가 따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가상 3D 디스플레이(이하, 입체영상표시장치라 함)는 사람이 입체감을 느끼는 여러 요인 중 우리 눈이 가로방향으로 약 65mm 떨어져 있어서 나타나게 되는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평면적인 디스플레이 하드웨어에서 말 그대로 가상적으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의 총체이다. 다시 말해 우리의 눈은 양안시차 때문에 똑같은 사물을 바라보더라도 각각 약간은(정확히 말하면 좌우의 공간적 정보를 약간씩 나눠 가지고 있는) 다른 화상을 보게 되고, 이 두 화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정확히 서로 융합시킴으로써 우리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데, 그것을 이용하여 2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좌우 화상 2개를 동시에 표시하여 각각의 눈으로 보내는 설계를 통해 가상적인 입체감을 만들어 내는 것이 바로 입체영상표시장치인 것이다.
이러한 입체영상표시장치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두 채널의 화상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경우 하나의 화면에서 가로나 세로의 한쪽 방향으로 줄을 한 줄씩 바꿔가며 한 채널씩 출력하게 된다. 그렇게 동시에 두 채널의 화상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면 하드웨어적 구조상 무안경 방식의 경우에는 오른쪽 화상은 그대로 오른쪽 눈으로 들어가고, 왼쪽 화상은 왼쪽 눈으로만 들어가게 된다. 또한,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각각의 방식에 맞는 특수한 안경을 통하여 오른쪽 화상은 왼쪽 눈이 볼 수 없게 가려주고, 왼쪽 화상은 오른쪽 눈이 볼 수 없게 각각 가려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사람이 입체감과 깊이감을 느끼는 요인으로 가장 중요하게는 두 눈 사이의 간격에 의한 양안시차를 들 수 있지만, 이외에도 심리적, 기억적 요인에도 깊은 관계가 있고, 이에 따라 입체 구현방식 역시 관찰자에게 어느 정도의 3차원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통상 부피표현방식(volumetric type), 3차원표현방식(holographic type), 입체감표현방식(stereoscopic type)으로 구분된다.
부피표현방식은 심리적인 요인과 흡입효과에 의해 깊이방향에 대한 원근감이 느껴지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투시도법, 중첩, 음영과 명암, 움직임 등을 계산에 의해 표시하는 3차원 컴퓨터그래픽, 또는 관찰자에게 시야각이 넓은 대화면을 제공하여 그 공간 내로 빨려 들어가는 것 같은 착시현상을 불러일으키는 이른바 아이맥스 영화 등에 응용되고 있다.
가장 완전한 입체영상 구현기술이라 알려져 있는 3차원표현방식은 레이저광 재생 홀로그래피(holography) 내지 백색광 재생 홀로그래피로 대표될 수 있다.
그리고, 입체감표현방식은 양안의 생리적 요인을 이용하여 입체감을 느끼는 방식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약 65㎜ 떨어져 존재하는 인간의 좌, 우안에 시차정보가 포함된 평면의 연관 영상이 보일 경우에 뇌가 이들을 융합하는 과정에서 표시면 전후의 공간정보를 생성해 입체감을 느끼는 능력, 즉 입체 사진술(stereography)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입체감표현방식은 크게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과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이 있다.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방식으로서 알려진 대표적인 것으로는 원통형의 렌즈를 수직으로 배열한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판을 영상패널 전방에 설치하는 렌티큘러 렌즈 방식과 패러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렌즈의 배면거리(S)와 시청거리(d)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2는 일반적인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광 프로파일(profile)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2에는 시청영역(또는 뷰잉 존)(viewing zone)을 형성하는 뷰잉 다이아몬드(viewing diamond) 및 광 프로파일과 뷰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는 상, 하부 기판과 그 사이에 액정이 충진된 액정패널(10), 액정패널(10)의 후면(後面)에 위치하여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및 입체영상의 구현을 위해 액정패널(10) 전면(前面)에 위치하는 렌티큘러 렌즈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렌티큘러 렌즈판(20)은 평평한 기판 상에, 그 상부 표면이 볼록렌즈 형상의 물질층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렌티큘러 렌즈(2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판(20)은 좌, 우안 영상을 나누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렌티큘러 렌즈판(20)으로부터 적정 3D 시청거리(d)에는 좌, 우안 각각으로 좌, 우안에 해당되는 영상들이 정상적으로 도달하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뷰잉 다이아몬드(정시영역)(30)가 형성되어 있다.
뷰잉 다이아몬드(30)의 하나의 폭은 시청자의 양안 간격(e) 크기로 형성되는데, 이는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시차가 있는 영상을 입력함으로써 입체영상으로 인식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각 뷰잉 다이아몬드(30)에는 대응되는 액정패널(10)의 서브-픽셀의 뷰 데이터, 즉 이미지가 형성된다.
뷰 데이터는 양안 간격(e)의 기준만큼 떨어진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는 액정패널(10)과 렌티큘러 렌즈판(20)이 기구물(미도시) 등에 의해 지지되어, 액정패널(10)과 렌티큘러 렌즈판(20) 사이가 소정 간격(배면 거리; S) 이격되어 있다.
이때, 일반적인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에서는 배면 거리(S)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갭 글라스(26)가 삽입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에서는 초기에 설계된 뷰-맵(view map)에 따라 형성되는 멀티-뷰(multi view) 방식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시청자는 정해진 뷰의 영역으로 들어갈 때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이때, 도 2를 참조하여 최적 시청거리(d)에서 측정된 광 프로파일을 보면, 뷰잉 다이아몬드(30)의 중앙에서 광의 세기(intensity)가 가장 높고 뷰잉 다이아몬드(30)의 끝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광의 세기의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의 차이를 휘도 편차(Luminance Difference; LD)(△L)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에서는 각 뷰에서 휘도 편차(△L)가 크게 나타나고 있어 화질 품위에 영향을 준다.
시청자가 뷰잉 다이아몬드(30)간에 위치 이동을 함으로써 인지되는 뷰간 영상 차이를 이미지 플리핑(image flipping)이라 하는데, 정시에서 역시, 역시에서 정시로 이동할 때 그 차이가 최대로 인식된다. 따라서, 뷰 수가 늘어날수록 첫 번째 뷰 데이터와 마지막 번째 뷰 데이터 사이에 영상의 차이가 커지고, 이에 따라 이미지 플리핑 현상 또한 심해진다.
한편, 기존에는 멀티-뷰를 구현하기 위해 다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멀티-뷰 영상을 영상 소오스로 사용하거나, 2D나 스테레오(stereo) 영상을 입력받아 멀티-뷰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멀티-뷰 영상을 직접 입력받는 경우에는 그 영상 제작에 많은 비용이 들며, 입체영상표시장치의 특성마다 뷰의 수 및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적용이 어렵다.
또한, 입력받은 2D나 스테레오 영상을 멀티-뷰로 변환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깊이 맵(depth map)과 멀티-뷰를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뷰 맵핑을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정보량 부재에 따른 화질 열화 및 이너-뷰(inner view) 생성에 따른 깊이 감소가 발생한다. 또한, 멀티-뷰 변환장치(multi view converter)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화질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로직(logic)이 많을수록 칩(chip) 및 시스템의 크기가 커지고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체영상의 3D 크로스토크(cross talk)와 휘도 편차 및 이미지 플리핑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입체영상의 깊이를 향상시키도록 한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테레오(stereo) 형태의 영상 데이터 입, 출력이 가능한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후술되는 발명의 구성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멀티-뷰로 설정된 영상패널을 포함하며, 이 영상패널은 스테레오 형태의 영상 데이터(또는 뷰 데이터)로 구동되어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영상패널은 m(m은 자연수)개의 서브-픽셀에 순차적으로 첫 번째 뷰 내지 m번째 뷰가 할당되어 스테레오(stereo) 형태의 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영상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출력된 뷰 데이터의 광축을 분리하여 시청거리에 제 1 뷰 영상 및 제 2 뷰 영상이 표시되는 뷰잉 다이아몬드를 형성하는 3D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뷰잉 다이아몬드의 폭을 양안 간격의 a/n(a, n은 a < n 조건을 만족하는 자연수)배로 설정하는 동시에 뷰잉 다이아몬드를 상호 중첩시킬 수 있다.
가장 인접한 동일한 뷰 3개를 기준으로 적, 녹 및 청색의 색상이 1:1:1로 설정되도록 뷰가 할당될 수 있다.
영상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스테레오 형태의 뷰 데이터는 선택적으로 2D 인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m개의 뷰를 이용할 때 입력 데이터를 (m-1)/2개씩 중첩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패널의 첫 번째 뷰 내지 (m-1)/2번째 뷰에 제 1 뷰 영상을 입력하고, 영상패널의 (m+1)/2번째 뷰 내지 m번째 뷰에 제 2 뷰 영상을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스테레오 형태의 영상 데이터 입, 출력이 가능한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영상 소오스 수를 줄임과 동시에 3D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이 절감되는 동시에 화질 품위가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뷰 변환장치에 의한 화질 열화를 제거하며, 2D 영역의 일부가 겹치도록 뷰 데이터 렌더링을 적용함으로써 3D 시청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광 프로파일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뷰 중첩 구조가 적용된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광 프로파일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NVD 기술이 적용된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광 프로파일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NVD 기술과 뷰 중첩 구조가 적용된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광 프로파일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NVD 기술과 뷰 중첩 구조가 적용된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광 프로파일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다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뷰 구조 및 뷰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뷰-맵이 기입된 픽셀 어레이 및 렌티큘러 렌즈 배치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픽셀 어레이에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안 및 우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과 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안 및 우안에서 인지되는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양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양안에서 인지되는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 우안이 인지하는 영상 및 3D 시청영역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뷰 구조 및 뷰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뷰-맵이 기입된 픽셀 어레이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다른 뷰 구조 및 뷰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뷰-맵이 기입된 픽셀 어레이 및 렌티큘러 렌즈 배치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픽셀 어레이에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 우안이 인지하는 영상 및 3D 시청영역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23a 및 도 23b는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안 및 우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과 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24a 및 도 24b는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안 및 우안에서 인지되는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25는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양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26은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양안에서 인지되는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뷰 구조 및 뷰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뷰-맵이 기입된 픽셀 어레이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다른 뷰 구조 및 뷰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뷰-맵이 기입된 픽셀 어레이 및 렌티큘러 렌즈 배치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픽셀 어레이에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32는 도 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 우안이 인지하는 영상 및 3D 시청영역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33a 및 도 33b는 도 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안 및 우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과 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34a 및 도 34b는 도 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안 및 우안에서 인지되는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35는 도 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양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도 36은 도 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양안에서 인지되는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크게 영상패널(110), 영상패널 구동부(111, 112), 3D 필터(120), 3D 필터 구동부(미도시), 타이밍 컨트롤러(11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전계발광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영상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t Display; EL) 등의 평판표시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영상패널(110)을 액정표시장치로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영상패널(110)에는 적, 녹 및 청색을 표시하는 다수의 서브-픽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서브-픽셀들은 3D 필터(120)와 작용하여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표시하는 좌안픽셀과 우안픽셀이 구분되어 있다.
일 예로, 영상패널(110)을 액정표시장치로 구성하는 경우, 본 발명은 액정 모드, 즉 트위스티드 네마틱(Twisted Nematic; TN) 모드, 인-플레인 스위칭(In Plane Switching; IPS) 모드, 프린지 필드 스위칭(Fringe Field Switching; FFS) 모드 및 수직배향(Vertical Alignment; VA) 모드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영상패널(110)은 크게 컬러필터(color filter) 기판과 어레이(array)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과 어레이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컬러필터 기판은 적, 녹 및 청의 색상을 구현하는 다수의 서브-컬러필터로 구성된 컬러필터와 서브-컬러필터 사이를 구분하고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 BM), 그리고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투명한 공통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레이 기판은 종횡으로 배열되어 다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G1, G2, G3,..., Gn)과 데이터라인(D1, D2, D3,..., Dm), 게이트라인(G1, G2, G3,..., Gn)과 데이터라인(D1, D2, D3,..., Dm)의 교차영역에 형성된 스위칭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영역에 형성된 화소전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라인(G1, G2, G3,..., Gn)에 연결된 게이트전극, 데이터라인(D1, D2, D3,..., Dm)에 연결된 소오스전극 및 화소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드레인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전극과 소오스/드레인전극 사이의 절연을 위한 게이트절연막 및 게이트전극에 공급되는 게이트 전압에 의해 소오스전극과 드레인전극간에 전도채널(conductive channel)을 형성하는 액티브층을 포함한다.
컬러필터 기판의 외면에는 상부 편광판이 부착되고, 어레이 기판의 외면에는 하부 편광판이 부착된다. 상부 편광판의 광투과축과 하부 편광판의 광투과축은 서로 직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컬러필터 기판과 어레이 기판의 내면에는 액정층의 프리틸트 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되는 한편, 컬러필터 기판과 어레이 기판 사이에는 액정패널의 셀 갭(cell gap)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영상패널(110)은 타이밍 컨트롤러(113)의 제어 하에 영상을 표시한다.
영상패널(110)은 타이밍 컨트롤러(113)의 제어 하에 2D 모드에서 2D 영상을 표시하고, 3D 모드에서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경우에는 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기존의 멀티-뷰 영상 데이터 대신에 2D나 스테레오 형태의 영상(이하에서는 2뷰 영상이라 함)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본적으로 입체영상의 뷰는 시청자의 양안 간격만큼 카메라들을 이격하고 객체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9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객체를 촬영하는 경우, 영상패널은 9뷰의 입체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멀티-뷰 변환장치(multi view converter)를 이용하여 입력받은 2D나 스테레오 영상을 멀티-뷰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뷰 영상을 직접 입력받는 경우에는 그 영상 제작에 많은 비용이 들며, 입체영상표시장치의 특성마다 뷰의 수 및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적용이 쉽지 않다. 또한, 입력받은 2D나 스테레오 영상을 멀티-뷰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보량 부재에 따른 화질 열화 및 멀티-뷰 변환장치의 사용으로 비용이 증가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멀티-뷰 영상 데이터 대신에 2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3D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는 NVD(narrow viewing diamond)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NVD 기술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출원 10-2014-0120366 등을 통해 제안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시차(disparity)가 있는 2개의 뷰 영상이 입력될 때 3D 영상으로 인식되나, 시청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뷰 수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NVD 기술을 이용하여 시청영역을 확보한 상태에서 입력받은 2뷰 영상 데이터만을 사용하여 3D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영상패널(110)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2뷰로 형성함에 있어 선택적으로 2D 인지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시청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즉, 실제의 경우 뷰간 크로스토크가 존재하기 때문에 좌, 우안에 시차가 있는 영상이 섞여서 인지되어 2D로 인지하지 못한다.
영상패널 구동부(111, 112)는 영상패널(110)의 데이터라인(D1, D2, D3,..., Dm)에 2D/3D 영상의 데이터전압들을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111)와 영상패널(110)의 게이트라인(G1, G2, G3,..., Gn)들에 스캔 펄스(또는 게이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112)를 포함한다. 영상패널 구동부(111, 112)는 3D 모드에서 입력된 좌안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영상패널(110)의 서브-픽셀들에 공간적으로 분산하여 기입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13)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도트 클럭(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게이트 구동부(111)와 데이터 구동부(11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GCS, DCS)을 발생한다.
즉, 타이밍 컨트롤러(113)는 호스트 시스템(114)으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RGB)와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소정의 프레임 주파수로 영상패널(110)을 구동시키고, 소정의 프레임 주파수를 기준으로 게이트 구동부 제어신호(GCS),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를 발생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13)는 게이트 구동부 제어신호(GCS)를 게이트 구동부(111)로 공급하고, 영상 데이터(RGB')와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112)로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111)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 제어신호(GCS)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및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at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는 첫 번째 게이트 펄스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은 게이트 스타트 펄스를 쉬프트 시키기 위한 클럭신호이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게이트 구동부(111)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데이터 구동부(112)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urce Output Enable), 극성제어신호 등을 포함한다. 소스 스타트 펄스는 데이터 구동부(112)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시점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 하여 데이터 구동부(112)의 샘플링 동작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 데이터 구동부(112)에 입력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가 mini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전송된다면, 소스 스타트 펄스와 소스 샘플링 클럭은 생략될 수 있다. 극성제어신호는 데이터 구동부(11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L(L은 자연수) 수평기간 주기로 반전시킨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데이터 구동부(112)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데이터 구동부(112)는 다수의 소스 드라이브 IC를 포함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은 타이밍 컨트롤러(11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GB')를 정극성/부극성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정극성/부극성 아날로그 데이터전압들을 발생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로부터 출력되는 정극성/부극성 아날로그 데이터전압들은 영상패널(110)의 데이터라인(D1, D2, D3,..., Dm)들에 공급된다.
게이트 구동부(111)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브 IC를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부(111)는 쉬프트 레지스터,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신호를 액정 셀의 TFT 구동에 적합한 스윙 폭으로 변환하기 위한 레벨 쉬프터 및 출력 버퍼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부(111)는 타이밍 컨트롤러(113)의 제어 하에 데이터 전압에 동기되는 게이트 펄스를 영상패널(110)의 게이트라인(G1, G2, G3,..., Gn)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호스트 시스템(114)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RGB)와 타이밍신호들 등을 타이밍 컨트롤러(113) 등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호스트 시스템(114)은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2뷰 영상 데이터를 타이밍 컨트롤러(113)에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밍신호들은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도트 클럭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3D 필터(120)는 이미지의 경로를 광학적으로 분리하는 매개체로서, 영상패널(110)의 좌안픽셀과 우안픽셀로부터 출력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투과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광투과 영역과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3D 필터(120)는 다음의 렌티큘러 렌즈 또는 배리어와 같이 기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와 배리어는 액정패널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스위처블 렌즈(switchable lens)나 스위처블 배리어(switchable barrier)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출원인은 미국출원 13/077565, 미국출원 13/325272, 대한민국 출원 10-2010-0030531 등을 통해 스위처블 렌즈나 스위처블 배리어를 제안한 바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는 다수의 서브-픽셀(R, G, B)이 배치되는 영상패널(110) 전면에 소정의 폭(w)을 갖는 다수의 렌티큘러 렌즈(125)를 포함하는 3D 필터인 렌티큘러 렌즈판(120)이 배치된다.
렌티큘러 렌즈판(120)은 평평한 기판 상에, 그 상부 표면이 볼록렌즈 형상의 물질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판(120)은 좌, 우안 영상을 나누어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렌티큘러 렌즈판(120)으로부터 적정 3D 시청거리에는 좌, 우안 각각으로 좌, 우안에 해당되는 영상들이 정상적으로 도달하는 뷰잉 다이아몬드(정시영역)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영상패널(110)을 투과한 영상 이미지는 렌티큘러 렌즈판(120)을 통과하여 최종 시청자의 좌, 우안으로 다른 이미지 그룹이 들어오게 하여, 3차원의 입체영상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는 영상패널(110)과 렌티큘러 렌즈판(120)이 기구물(미도시) 등에 의해 지지되어, 영상패널(110)과 렌티큘러 렌즈판(120) 사이가 소정 간격(배면 거리) 이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렌티큘러 렌즈(125)의 배열이 서브-픽셀(R, G, B)의 종 방향(y축 방향)에 대해 제 1 각도(θ)를 갖고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되고 있으며, 렌티큘러 렌즈(125)의 서브-픽셀(R, G, B)의 횡 방향(x축 방향)을 따르는 수평 폭(w)은 서브-픽셀(R, G, B)의 정수 배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는 렌티큘러 렌즈판(120)에 구비되는 렌티큘러 렌즈(125)가 서브-픽셀(R, G, B)의 종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각도(θ)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2D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패널(110)에 대해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판(120)의 기울어진 배치에 의해 3D 영상시청을 위한 뷰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판(120)에 있어서 렌티큘러 렌즈(125)의 서브-픽셀(R, G, B)의 종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제 1 각도 θ는 tan-1((M*Pa)/(N*Pb))라는 식으로 표현된다.
이때, Pa는 서브-픽셀(R, G, B)의 단축피치, Pb는 서브-픽셀(R, G, B)의 장축피치이며, M과 N은 각각 임의의 자연수로서 렌티큘러 렌즈(125)가 다수의 서브-픽셀(R, G, B)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고, 하나의 그룹을 정확히 대각방향으로 꼭지점을 관통했을 때의 그룹 내의 서브-픽셀(R, G, B)의 횡 방향으로의 서브-픽셀(R, G, B)의 개수 및 서브-픽셀(R, G, B)의 종 방향으로의 서브-픽셀(R, G, B)의 개수로 정의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M과 N은 M/N ≤ 2의 값을 만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하나의 그룹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서브-픽셀(R, G, B)에 부여된 숫자는 렌티큘러 렌즈판(120)의 렌티큘러 렌즈(125)를 제 1 각도(θ)로 기울여 배치한 입체영상표시장치의 3D 영상시청이 가능한 영역으로 정의되는 뷰의 개수를 의미하며, 각 뷰에 부여된 숫자는 각 뷰 영역에서 3D 영상시청 시 보여지는 서브-픽셀(R, G, B)이 된다.
이렇게 렌티큘러 렌즈판(120)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는 휘도 향상 측면에서 효과가 있다.
뷰 수의 증가는 렌티큘러 렌즈판(120)에 구비되는 렌티큘러 렌즈(125)를 서브-픽셀(R, G, B)의 종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한 구조 즉, 슬랜티드(slanted) 구조를 적용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슬랜티드 구조 적용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의 해상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뷰잉 다이아몬드를 인접한 뷰잉 다이아몬드와 중첩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입체영상의 휘도 편차를 개선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뷰 중첩 구조가 적용된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광 프로파일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5에는 시청영역을 형성하는 뷰잉 다이아몬드 및 광 프로파일과 뷰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참고로, 뷰 데이터는 해칭(hatching)을 이용하여 구분되어 있으며, 동일한 해칭은 동일한 뷰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영상패널(110) 및 입체영상의 구현을 위해 영상패널(110) 전면에 위치하는 3D 필터로써 렌티큘러 렌즈판(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영상패널(110)과 렌티큘러 렌즈판(120)이 기구물(미도시) 등에 의해 지지되어, 영상패널(110)과 렌티큘러 렌즈판(120) 사이가 갭 글라스(126)에 의해 소정 간격(배면 거리; S)만큼 이격 될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판(120)은 평평한 기판 상에, 그 상부 표면이 볼록렌즈 형상의 물질층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렌티큘러 렌즈(125)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D 필터는 렌티큘러 렌즈판(120) 이외에 배리어와 같이 기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판(120)은 좌, 우안 영상을 나누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렌티큘러 렌즈판(120)으로부터 적정 3D 시청거리(d)에는 좌, 우안 각각으로 좌, 우안에 해당되는 영상들이 정상적으로 도달하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뷰잉 다이아몬드(정시영역)(130)가 형성되어 있다.
즉, 렌티큘러 렌즈판(120)은 영상패널(110)의 각 서브-픽셀로부터 나온 광을 최종 시청자의 좌, 우안으로 다른 이미지 그룹이 들어오게 하여 최적 시청거리(d)에 시청영역을 형성한다. 이 모습이 대게 다이아몬드 형태이기 때문에 뷰잉 다이아몬드(130)라 한다.
뷰잉 다이아몬드(130)의 하나의 폭은 시청자의 양안 간격(e) 크기로 형성되는데, 이는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시차가 있는 영상을 입력함으로써 입체영상으로 인식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각 뷰잉 다이아몬드(130)에는 대응되는 영상패널(110)의 서브-픽셀의 뷰 데이터, 즉 이미지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9뷰로 구성된 경우 뷰잉 다이아몬드(130)에 각각 첫 번째 뷰부터 9번째 뷰까지 순차적으로 적용이 되며, 첫 번째 뷰 대비 두 번째 뷰가 상대적으로 오른쪽이나 왼쪽에 위치하며, 방향성을 가진다. 뷰잉 다이아몬드(130)는 해당 뷰 데이터가 반영되어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최적 시청거리(d)에서 측정된 광 프로파일을 보면, 뷰잉 다이아몬드(130)의 중앙에서 광의 세기가 가장 높고 뷰잉 다이아몬드(130)의 끝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뷰 중첩 구조의 경우에는 기존의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에 비해 뷰잉 다이아몬드(130)를 중첩시키도록 구성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휘도 편차(△L')가 크게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는 2중첩을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뷰잉 다이아몬드(130) 상호간 3뷰 이상의 중첩도 가능하다. 여기서, 2중첩은 인접하는 2개의 뷰잉 다이아몬드(130) 사이에 또 하나의 뷰잉 다이아몬드(130)가 삽입되는 구조이다.
이때, 각 뷰의 광 프로파일의 크기와 폭은 영상패널(110), 렌티큘러 렌즈판(120), 광원, 광학시트 등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며, 인접한 뷰잉 다이아몬드(130)에 해당하는 뷰의 광 프로파일과 겹친 영역의 크기가 3D 크로스토크(CT)에 해당한다.
즉, 이상적인 경우에는 뷰잉 다이아몬드(130)에 그 뷰의 정보만 눈에 보이게 되나(일 예로, 좌안에서 L-뷰만 볼 수 있고, R-뷰는 볼 수 없음), 뷰 중첩 구조의 경우에는 좌안에서 L-뷰 이외에 희미하게 R-뷰도 볼 수 있어, 3D 크로스토크(CT)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뷰 중첩 구조가 적용된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경우에는 기존에 비해 휘도 편차가 크게 줄어든 반면에 3D 크로스토크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휘도 편차와 3D 크로스토크는 서로 상충(trade off) 관계를 가진다.
또한, 3D 크로스토크가 증가함에 따라 시청자가 인지하는 3D 깊이 또한 열화되며, 영상이 흐릿하게(blur) 된다.
이 경우 시청자가 인지하는 3D 크로스토크를 줄이기 위해 인접 뷰의 뷰 데이터를 치환할 수 있으나, 뷰잉 다이아몬드(130)의 크기, 즉 폭이 안양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안을 기준으로 뷰 데이터를 치환할 경우 우안이 영향을 받게 되고, 우안을 기준으로 뷰 데이터를 치환할 경우 좌안이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뷰잉 다이아몬드의 폭을 양안 간격의 a/n(a, n은 a < n 조건을 만족하는 자연수)배와 같이 양안 간격보다 작게 설정(이하, NVD 기술이라 한다)하는 동시에 뷰잉 다이아몬드를 중첩시키도록 구성하게 되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입체영상표시장치의 시청거리(2.5H ~ 3H; H는 영상패널의 높이)는 입체영상표시장치의 영상패널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동일 시청거리에서 뷰잉 다이아몬드의 폭을 양안 간격보다 작게 하기 위해서는 크게 2가지 방법이 있으며, 이하에서는 2가지 방법 중 배면거리를 크게 하여 시청거리는 유지한 채 뷰잉 다이아몬드의 폭을 줄이는 방법을 예로 든다.
다른 방법으로는 렌즈 피치(pitch)를 미세 조정하여 시청거리는 유지한 채 뷰잉 다이아몬드의 폭을 줄이는 방법이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출원 10-2014-0120366 등에 기재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NVD(narrow viewing diamond) 기술이 적용된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광 프로파일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일 예로 뷰잉 다이아몬드의 폭을 양안 간격의 1/2배로 설정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NVD 기술과 뷰 중첩 구조가 적용된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광 프로파일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때, 도 7 및 도 8은 각각 2중첩 구조 및 3중첩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 도 7 및 도 8에는 시청영역을 형성하는 뷰잉 다이아몬드 및 광 프로파일과 뷰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뷰 데이터는 해칭을 이용하여 구분되어 있으며, 동일한 해칭은 동일한 뷰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영상패널(210) 및 입체영상의 구현을 위해 영상패널(210) 전면에 위치하는 3D 필터로써 렌티큘러 렌즈판(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영상패널(210)과 렌티큘러 렌즈판(220)이 기구물(미도시) 등에 의해 지지되어, 영상패널(210)과 렌티큘러 렌즈판(220) 사이가 갭 글라스(226)의 두께에 의해 소정 간격(배면 거리; 2S)만큼 이격 될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판(220)은 평평한 기판 상에, 그 상부 표면이 볼록렌즈 형상의 물질층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렌티큘러 렌즈(225)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D 필터는 렌티큘러 렌즈판(220) 이외에 배리어와 같이 기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판(220)은 좌, 우안 영상을 나누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렌티큘러 렌즈판(220)으로부터 적정 3D 시청거리(d)에는 좌, 우안 각각으로 좌, 우안에 해당되는 영상들이 정상적으로 도달하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뷰잉 다이아몬드(정시영역)(2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뷰잉 다이아몬드(230)는 NVD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하나의 폭이 시청자의 양안 간격(e)의 1/2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뷰잉 다이아몬드(230)의 폭을 양안 간격(e)의 a/n(a, n은 a < n 조건을 만족하는 자연수)배와 같이 양안 간격(e)보다 작게 설정하는 어떠한 경우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시청자 양안이 위치하는 뷰잉 다이아몬드(230) 상호간의 영향을 줄여줌으로써 3D 크로스토크의 제거 또는 감소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동일 시청거리(d)에서 뷰잉 다이아몬드(230)의 폭을 양안 간격(e)보다 작게 하기 위해 본 발명예서는 배면거리(2S)를 기존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일 예로 동일한 시청거리(d)에서 뷰잉 다이아몬드(230)의 폭을 1/2, 1/3, 1/4,...배 순서로 작게 할수록 배면거리는 2, 3, 4,...배로 증가하는 상충 관계를 가진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에서는 뷰잉 다이아몬드(230)를 2개 중첩 또는 3개 중첩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시청자 위치 이동에 의한 휘도 편차(△L", △L'") 또한 감소하게 된다.
이때, 각 뷰잉 다이아몬드(230)에는 대응되는 영상패널(210)의 서브-픽셀의 뷰 데이터, 즉 이미지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9뷰로 구성된 경우 뷰잉 다이아몬드(230)에 각각 첫 번째 뷰부터 9번째 뷰까지 순차적으로 적용이 되며, 첫 번째 뷰 대비 두 번째 뷰가 상대적으로 오른쪽이나 왼쪽에 위치하며, 방향성을 가진다. 뷰잉 다이아몬드(230)는 해당 뷰 데이터가 반영되어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최적 시청거리(d)에서 측정된 광 프로파일을 보면, 뷰잉 다이아몬드(230)의 중앙에서 광의 세기가 가장 높고 뷰잉 다이아몬드(230)의 끝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 도 7 및 도 8과 같이 뷰잉 다이아몬드(230)의 중첩되는 수가 2개, 3개로 증가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휘도 편차(△L", △L'")가 크게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특성의 광원을 사용할 경우, 뷰잉 다이아몬드(230)간의 간섭이 줄어들게 되어 전체적으로 누적되는 3D 크로스토크는 전술한 도 5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NVD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휘도 편차와 인지 3D 크로스토크 및 이미지 플리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멀티-뷰를 구현하기 위한 멀티-뷰 변환장치를 제거함으로써 멀티-뷰 변환장치에 의한 화질 열화를 제거하는 동시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가장 인접한 동일 뷰를 기준으로 적, 녹 및 청색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뷰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2D 영역의 일부가 겹치도록 뷰 데이터 렌더링을 적용함으로써 3D 시청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뷰 구조 및 뷰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9는 NVD 기술을 적용하지 않은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뷰 구조 및 뷰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9는 4뷰의 2중첩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때의 뷰 수는 4이며, NVD 기술을 적용하지 않아 뷰 간격(d1)은 양안 간격(e)의 1/2, 즉 32.5mm에 해당한다.
즉, 뷰잉 다이아몬드(130)의 크기는 양안 간격(e)과 동일하며, 2중첩 구조를 적용하기 때문에 뷰 간격(d1)은 양안 간격(e)의 1/2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2중첩 구조이기 때문에 시청자의 단안이 인지하는 서브-픽셀은 2개 뷰씩 입력된다. 따라서, 좌안이 첫 번째 뷰와 2번째 뷰를 인지할 경우 우안은 3번째 뷰와 4번째 뷰를 인지한다.
이때, 영상패널의 첫 번째 뷰와 2번째 뷰에 1번 뷰 데이터(즉, 제 1 뷰 영상)를 입력하고, 영상패널의 3번째 뷰와 4번째 뷰에 2번 뷰 데이터(즉, 제 2 뷰 영상)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뷰-맵이 기입된 픽셀 어레이 및 렌티큘러 렌즈 배치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10은 4개의 뷰를 이용하는 경우의 픽셀 어레이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전술한 뷰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0 상단에 표시된 R, G 및 B는 R, G 및 B 서브-픽셀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픽셀 어레이에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형태의 영상(즉, 2뷰 영상) 데이터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1 및 2는 각각 제 1 뷰 영상 및 제 2 뷰 영상을 나타낸다.
NVD 기술을 적용하지 않은 양안 간격 기반의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서 스테레오 형태의 영상 데이터 입, 출력이 가능한 뷰 구조는 뷰 수, 중첩 수 및 렌즈의 기울어진 각도 등에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m(m은 자연수)뷰를 이용하는 경우, 영상패널은 m개의 서브-픽셀들 단위로 m개의 서브-픽셀들에 순서대로 첫 번째 뷰 내지 m번째 뷰가 할당될 수 있다.
즉, 영상패널의 m개의 서브-픽셀들 중 제 k(k는 1 ≤ k ≤ m을 만족하는 자연수) 서브-픽셀에 k번째 뷰가 할당된다.
일 예로 4개의 뷰를 이용하는 경우, 제 1 서브-픽셀에 첫 번째 뷰(1st view)가 할당되고, 제 2 서브-픽셀에 2번째 뷰(2nd view)가 할당되며, 제 3 서브-픽셀에 3번째 뷰(3rd view)가 할당되고, 제 4 서브-픽셀에 4번째 뷰(4th view)가 할당된다.
이를 위해 3D 필터는 서브-픽셀들 대비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슬랜티드 구조의 렌티큘러 렌즈(125)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랜티드 구조의 렌티큘러 렌즈(125)는 서브-픽셀들의 장축 변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뷰-맵이란, 영상패널의 서브-픽셀에 반복적으로 매핑(mapping)되는 각각의 뷰의 데이터 순서 및 위치를 표현하는 것으로서, 시청영역에는 정시영역, 역시영역 및 시청불가 영역이 있다.
여기서, 정시영역은 시청자가 입체영상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시청자의 우안에는 우안영상이 맺히고, 좌안에는 좌안영상이 맺히는 영역을 말한다.
또한, 역시영역은 영상의 차이 정보가 전달되기 때문에, 시청자가 입체적으로 영상을 인식할 수는 있으나, 우안에는 좌안영상이 맺히고 좌안에는 우안영상이 맺히는 영역이기 때문에, 시청자가 눈의 피로를 보다 빨리 느끼게 되는 영역이다.
또한, 시청불가 영역은 입체영상의 시청 자체가 불가능한 영역을 말한다
즉, 뷰-맵에는 전술한 3가지 영역들이 표시되는 위치들에 대한 좌표정보(즉, 첫 번째 뷰 내지 m번째 뷰)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정시영역과 역시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시청불가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음으로, 뷰-맵에는 시청불가 영역에 대한 좌표정보가 생략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2뷰 구조에 뷰잉 다이아몬드의 중첩이 없는 스트라이프나 슬랜티드 구조의 경우, 시청영역이 양안 간격(약 65mm) 수준이며, 휘도 편차가 발생한다.
이에 시청영역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뷰 수를 확장시켜야 하며, 출력 데이터 또한 스테레오 형태로 유지하고 휘도 편차를 저감 또는 제거하기 위해서는 뷰잉 다이아몬드 또한 중첩되어야 한다.
따라서, 4뷰 2중첩 구조나 6뷰 3중첩 구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단, 뷰 수 및 중첩 수가 증가함에 따라 3D 크로스토크 또한 증가하는 상충(trade off) 관계가 형성된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뷰-맵 및 렌티큘러 렌즈(125) 배치는 영상패널 전체에 걸쳐 반복되어 적용된다.
이때, 가장 인접한 동일 뷰를 직선으로 연결해 보면 적, 녹 및 청색의 색상이 균형을 가지며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2중첩 구조이기 때문에 시청자의 단안이 인지하는 서브-픽셀은 2개 뷰씩 입력된다. 따라서, 좌안이 첫 번째 뷰와 2번째 뷰를 인지할 경우 우안은 3번째 뷰와 4번째 뷰를 인지한다.
이때, 영상패널의 첫 번째 뷰와 2번째 뷰에 1번 뷰 데이터(즉, 제 1 뷰 영상)를 입력하고, 영상패널의 3번째 뷰와 4번째 뷰에 2번 뷰 데이터(즉, 제 2 뷰 영상)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청자의 좌안은 1번 뷰를 인지하고 시청자의 우안은 2번 뷰를 인지하므로 양안 시차가 발생하여 입체영상을 볼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패널의 3번째 뷰와 4번째 뷰에 3번 뷰 데이터(즉, 제 3 뷰 영상)를 입력하면, 시청자의 좌안은 1번 뷰를 인지하고 시청자의 우안은 3번 뷰를 인지한다. 이 경우 전술한 예에 비해 시청자가 인지하는 객체간 깊이(depth)가 증가한다.
이와 같이 시청자가 3D를 인지할 수 있도록 뷰간 데이터를 변환하는 방식을 뷰 데이터 렌더링(view data rendering)이라 한다.
이와 같이 4개의 뷰를 이용할 때, 뷰잉 다이아몬드의 2중첩 구조이기 때문에 제 1 뷰 영상 내지 제 4 뷰 영상을 입력할 수도 있으나, 스테레오 형태로 유지하기 위해 입력 데이터를 2개씩 중첩시킨다. 이에 따라 제 1 뷰 및 제 2 뷰 영상만을 입력함으로써 단안 내 인지되는 영상간 차이가 줄어 인지 3D 크로스토크가 줄어든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안 및 우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과 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안 및 우안에서 인지되는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12a 및 도 13a는 좌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과 뷰 및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며, 도 12b 및 도 13b는 우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과 뷰 및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양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 및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인접하는 뷰 상호간에 3D 크로스토크가 없는 이상적인 경우, 뷰잉 다이아몬드의 2중첩에서 시청자가 인지하는 뷰는 단안 기준으로 2개이다. 따라서,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좌안과 우안이 인지하는 서브-픽셀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뷰잉 다이아몬드의 폭을 양안 간격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뷰잉 다이아몬드의 중첩이 없다면 좌안이 첫 번째 뷰를 인지할 경우 우안은 2번째 뷰를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2중첩의 경우에는 좌안과 우안 사이에 뷰잉 다이아몬드가 한 개 더 존재하게 됨에 따라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좌안이 첫 번째 뷰를 인지할 경우 우안은 3번째 뷰를 인지하게 된다(양안의 경우 도 14 참조).
이 경우 좌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 및 우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은 상호 인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뷰 데이터 렌더링 기술을 적용하면, 2중첩의 경우에는 도 13a 및 도 13b와 같이, 좌안이 제 1 뷰 영상을 볼 경우 우안은 제 2 뷰 영상을 보게 된다(양안의 경우 도 15 참조).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 우안이 인지하는 영상 및 3D 시청영역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패널의 첫 번째 뷰와 2번째 뷰에 1번 뷰 데이터(즉, 제 1 뷰 영상)를 입력하고, 영상패널의 3번째 뷰와 4번째 뷰에 2번 뷰 데이터(즉, 제 2 뷰 영상)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청자의 좌안은 1번 뷰를 인지하고 시청자의 우안은 2번 뷰를 인지하므로 양안 시차가 발생하여 입체영상을 볼 수 있다. 이때, 시청자가 이동하여 시청자의 좌안이 3번째 뷰나 4번째 뷰 영역에 위치할 경우에는 시청자의 좌안은 2번 뷰를 인지하고 시청자의 우안은 1번 뷰를 인지하여 역입체시를 볼 수 있다.
이때, 3D 시청영역을 역입체시와 역입체시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안 간격의 반이 된다. 즉, 정시영역의 비율은 전체의 50%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NVD 기술을 적용하여 3D 시청영역을 확장시킨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뷰 구조 및 뷰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17은 NVD 기술을 적용한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뷰 구조 및 뷰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17은 8뷰의 2중첩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와 같은 뷰 수 및 중첩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때의 뷰 수는 8이며, NVD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뷰 간격(d2)은 양안 간격(e)의 1/4, 즉 16.25mm에 해당한다.
즉, NVD 기술에서 뷰잉 다이아몬드(230)의 크기를 양안 간격(e)의 1/2로 설정(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NVD 1/2 기반이라 함)하는 경우, 2중첩 구조를 적용하기 때문에 뷰 간격(d2)은 양안 간격(e)의 1/4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2중첩 구조이기 때문에 시청자의 단안이 인지하는 서브-픽셀은 4개 뷰씩 입력된다. 즉, 적정 시청거리에 시청자가 위치한 경우, 좌안에서 우안 사이에는 4개의 뷰잉 다이아몬드(2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양안 간격 기반의 4뷰 2중첩 구조와 동일한 조건의 NVD 1/2 기반의 뷰 조건은 8뷰 2중첩이 될 수 있으며, 이때의 뷰-맵은 아래의 도 18과 같다.
이 경우 좌안이 첫 번째 뷰, 2번째 뷰, 3번째 뷰 및 4번째 뷰를 인지할 경우 우안은 5번째 뷰, 6번째 뷰, 7번째 뷰 및 8번째 뷰를 인지한다.
이때, 영상패널의 첫 번째 뷰, 2번째 뷰, 3번째 뷰 및 4번째 뷰에 1번 뷰 데이터(즉, 제 1 뷰 영상)를 입력하고, 영상패널의 5번째 뷰, 6번째 뷰, 7번째 뷰 및 8번째 뷰에 2번 뷰 데이터(즉, 제 2 뷰 영상)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뷰-맵이 기입된 픽셀 어레이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18은 8개의 뷰를 이용하는 경우의 픽셀 어레이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전술한 뷰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8 상단에 표시된 R, G 및 B는 R, G 및 B 서브-픽셀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예로 8개의 뷰를 이용하는 경우, 제 1 서브-픽셀에 첫 번째 뷰(1st view)가 할당되고, 제 2 서브-픽셀에 2번째 뷰(2nd view)가 할당되며, 제 3 서브-픽셀에 3번째 뷰(3rd view)가 할당되고, 제 4 서브-픽셀에 4번째 뷰(4th view)가 할당된다. 또한, 제 5 서브-픽셀에 5번째 뷰(5th view)가 할당되고, 제 6 서브-픽셀에 6번째 뷰(6th view)가 할당되며, 제 7 서브-픽셀에 7번째 뷰(7th view)가 할당되고, 제 8 서브-픽셀에 8번째 뷰(8th view)가 할당된다.
이를 위해 3D 필터는 서브-픽셀들 대비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슬랜티드 구조의 렌티큘러 렌즈(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뷰-맵 및 렌티큘러 렌즈 배치는 영상패널 전체에 걸쳐 반복되어 적용된다.
이때, 가장 인접한 동일 뷰를 직선으로 연결해 보면 적, 녹 및 청색의 색상이 고르지 않고, 특정 색상이 2번씩 반복해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입체영상표시장치가 형성될 경우, 그 배치에 따라 가로선, 세로선, 기타 색상 불량 등으로 인해 화질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변형된 형태의 뷰-맵 및 3D 필터를 형성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다른 뷰 구조 및 뷰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19는 NVD 기술을 적용한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뷰 구조 및 뷰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19는 전술한 도 17과는 달리 9뷰의 2중첩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즉, 도 19는 전술한 도 17에 비해 뷰 수를 하나 더 추가하여 9뷰 구조로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와 같은 뷰 수 및 중첩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9를 참조하면, 이때의 뷰 수는 9이며, 도 17과 동일한 NVD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뷰 간격(d2)은 양안 간격(e)의 1/4, 즉 16.25mm에 해당한다.
즉, NVD 기술에서 뷰잉 다이아몬드(230)의 크기를 양안 간격(e)의 1/2로 설정하는 경우, 2중첩 구조를 적용하기 때문에 뷰 간격(d2)은 양안 간격(e)의 1/4에 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2중첩 구조이기 때문에 시청자의 단안이 인지하는 서브-픽셀은 4개 뷰씩 입력된다. 즉, 적정 시청거리에 시청자가 위치한 경우, 좌안에서 우안 사이에는 4개의 뷰잉 다이아몬드(230)가 형성된다.
이때, 시청자의 좌안이 첫 번째 뷰 영역에 위치한 경우, 우안은 5번째 뷰 영역에 위치한다. 또한, 좌안이 5번째 뷰 영역에 위치할 경우, 우안은 9번째 뷰 영역에 위치한다.
이 경우 좌안이 첫 번째 뷰, 2번째 뷰, 3번째 뷰 및 4번째 뷰를 인지할 경우 우안은 5번째 뷰, 6번째 뷰, 7번째 뷰 및 8번째 뷰를 인지한다.
이때, 일 예로 영상패널의 첫 번째 뷰, 2번째 뷰, 3번째 뷰, 4번째 뷰 및 5번째 뷰에 1번 뷰 데이터(즉, 제 1 뷰 영상)를 입력하고, 영상패널의 6번째 뷰, 7번째 뷰, 8번째 뷰 및 8번째 뷰에 2번 뷰 데이터(즉, 제 2 뷰 영상)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뷰-맵이 기입된 픽셀 어레이 및 렌티큘러 렌즈 배치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20은 9개의 뷰를 이용하는 경우의 픽셀 어레이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전술한 뷰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20 상단에 표시된 R, G 및 B는 R, G 및 B 서브-픽셀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픽셀 어레이에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형태의 영상(즉, 2뷰 영상)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된 1 및 2는 각각 제 1 뷰 영상 및 제 2 뷰 영상을 나타낸다.
도 20을 참조하면, m(m은 자연수)뷰를 이용하는 경우, 영상패널은 m개의 서브-픽셀들 단위로 m개의 서브-픽셀들에 순서대로 첫 번째 뷰 내지 m번째 뷰가 할당될 수 있다.
즉, 영상패널의 m개의 서브-픽셀들 중 제 k(k는 1 ≤ k ≤ m을 만족하는 자연수) 서브-픽셀에 k번째 뷰가 할당된다.
일 예로, 9개의 뷰를 이용하는 경우, 제 1 서브-픽셀에 첫 번째 뷰(1st view)가 할당되고, 제 2 서브-픽셀에 2번째 뷰(2nd view)가 할당되며, 제 3 서브-픽셀에 3번째 뷰(3rd view)가 할당된다. 또한, 제 4 서브-픽셀에 4번째 뷰(4th view)가 할당되고, 제 5 서브-픽셀에 5번째 뷰(5th view)가 할당되며, 제 6 서브-픽셀에 6번째 뷰(6th view)가 할당된다. 또한, 제 7 서브-픽셀에 7번째 뷰(7th view)가 할당되고, 제 8 서브-픽셀에 8번째 뷰(8th view)가 할당되며, 제 9 서브-픽셀에 9번째 뷰(9th view)가 할당된다.
이를 위해 3D 필터는 서브-픽셀들 대비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슬랜티드 구조의 렌티큘러 렌즈(225)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랜티드 구조의 렌티큘러 렌즈(225)는 서브-픽셀들의 장축 변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이때, 뷰-맵 및 렌티큘러 렌즈(225) 배치는 영상패널 전체에 걸쳐 반복되어 적용된다.
이때, 가장 인접한 동일 뷰를 직선으로 연결해 보면, 전술한 도 18과는 달리 적, 녹 및 청색의 색상이 균형을 가지며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NVD 1/2 기반의 2중첩 구조이기 때문에 시청자의 단안이 인지하는 서브-픽셀은 4개 뷰씩 입력된다. 따라서, 좌안이 첫 번째 뷰, 2번째 뷰, 3번째 뷰 및 4번째 뷰를 인지할 경우 우안은 5번째 뷰, 6번째 뷰, 7번째 뷰 및 8번째 뷰를 인지한다.
이때, 일 예로 영상패널의 첫 번째 뷰, 2번째 뷰, 3번째 뷰, 4번째 뷰 및 5번째 뷰에 1번 뷰 데이터(즉, 제 1 뷰 영상)를 입력하고, 영상패널의 6번째 뷰, 7번째 뷰, 8번째 뷰 및 9번째 뷰에 2번 뷰 데이터(즉, 제 2 뷰 영상)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청자의 좌안은 1번 뷰를 인지하고 시청자의 우안은 2번 뷰를 인지하므로 양안 시차가 발생하여 입체영상을 볼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패널의 6번째 뷰, 7번째 뷰, 8번째 뷰 및 9번째 뷰에 3번 뷰 데이터(즉, 제 3 뷰 영상)를 입력하면, 시청자의 좌안은 1번 뷰를 인지하고 시청자의 우안은 3번 뷰를 인지한다. 이 경우 전술한 예에 비해 시청자가 인지하는 객체간 깊이가 증가한다.
이와 같이 9개의 뷰를 이용할 때, 뷰잉 다이아몬드의 2중첩 구조이기 때문에 제 1 뷰 영상 내지 제 9 뷰 영상을 입력할 수도 있으나, 스테레오 형태로 유지하기 위해 입력 데이터를 4개씩 중첩시킨다. 이에 따라 제 1 뷰 및 제 2 뷰 영상만을 입력함으로써 단안 내 인지되는 영상간 차이가 줄어 인지 3D 크로스토크가 줄어든다.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 우안이 인지하는 영상 및 3D 시청영역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패널의 첫 번째 뷰, 2번째 뷰, 3번째 뷰, 4번째 뷰 및 5번째 뷰에 1번 뷰 데이터(즉, 제 1 뷰 영상)를 입력하고, 영상패널의 6번째 뷰, 7번째 뷰, 8번째 뷰 및 9번째 뷰에 2번 뷰 데이터(즉, 제 2 뷰 영상)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청자의 좌안이 2번째 뷰 내지 5번째 뷰 영역에 위치할 경우, 시청자의 좌안은 1번 뷰를 인지하고 시청자의 우안은 2번 뷰를 인지하므로 양안 시차가 발생하여 입체영상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시청자가 이동하여 시청자의 좌안이 6번째 뷰 내지 9번째 뷰 영역에 위치할 경우, 시청자의 좌안은 2번 뷰를 인지하고 시청자의 우안은 1번 뷰를 인지하여 역입체시를 볼 수 있다.
또한, 도 21 및 도 22와 같이 스테레오 형태의 뷰 데이터로 뷰별 맵핑을 할 경우, 기본 단위보다 더 넓은 뷰 데이터 중첩 구간이 발생하며, 일 예로 영상패널의 첫 번째 뷰 위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시청자의 좌안이 영상패널의 첫 번째 뷰를 인지할 경우 우안은 영상패널의 5번째 뷰를 인지한다. 이때, 두 경우 모두 제 1 뷰 영상이 입력되므로 해당 위치에서는 양안간 영상 차이가 없어 2D 영상을 인지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의 경우 뷰간 크로스토크가 존재하기 때문에 좌안과 우안에는 시차가 있는 영상이 섞여서 인지되며, 그 영역 또한 매우 작기 때문에 시청자가 2D 영역으로 인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3D 시청영역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3D 시청영역의 비율은 전체의 65%에 해당한다.
도 23a 및 도 23b는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안 및 우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과 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4a 및 도 24b는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안 및 우안에서 인지되는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23a 및 도 24a는 좌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과 뷰 및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며, 도 23b 및 도 24b는 우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과 뷰 및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도 25 및 도 26은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양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 및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인접하는 뷰 상호간에 3D 크로스토크가 없는 이상적인 경우, NVD 1/2 기반의 뷰잉 다이아몬드의 2중첩에서 시청자가 인지하는 뷰는 단안 기준으로 2개이다. 즉, 단안에 인지되는 뷰의 수는 중첩 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23a 및 도 23b와 같이 좌안과 우안이 인지하는 서브-픽셀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뷰잉 다이아몬드의 폭을 양안 간격의 1/2를 기준으로 하고 있어, 뷰잉 다이아몬드의 중첩이 없다면 좌안이 첫 번째 뷰를 인지할 경우 우안은 3번째 뷰를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2중첩의 경우에는 좌안과 우안 사이에 뷰잉 다이아몬드가 3개 더 존재하게 됨에 따라 도 23a 및 도 23b와 같이, 좌안이 첫 번째 뷰를 인지할 경우 우안은 5번째 뷰를 인지하게 된다(양안의 경우 도 25 참조).
이 경우 좌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 및 우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은 최소한 하나의 서브-픽셀이상 이격되어 있다. 즉, 기존의 양안 간격 기반의 경우에는 좌안과 우안이 인지하는 영상패널의 서브-픽셀이 인접해 있기 때문에 3D 크로스토크에 취약하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나의 서브-픽셀이상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3D 크로스토크에 강하다. 또한, 입력되는 요소 영상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정시에서 역시, 역시에서 정시로 시청자가 이동할 때 발생하는 영상간 차이인 이미지 플리핑 또한 줄어든다.
참고로, 도 12a와 도 12b에 비해 도 23a와 도 23b의 경우에는 인지되는 서브-픽셀이 부분적으로 빠져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시청자가 인지하는 영상의 크기는 서브-픽셀이 렌티큘러 렌즈에 의해 확대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단안 해상도의 경우 뷰 수 및 중첩 수가 동일한 구조에서는 기존과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다.
다음으로,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뷰 구조 및 뷰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27은 NVD 기술을 적용한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뷰 구조 및 뷰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27은 12뷰의 3중첩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와 같은 뷰 수 및 중첩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7을 참조하면, 이때의 뷰 수는 12이며, NVD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뷰 간격(d3)은 양안 간격(e)의 1/6, 즉 10.83mm에 해당한다.
즉, NVD 1/2 기반에서 3중첩 구조를 적용하기 때문에 뷰 간격(d3)은 양안 간격(e)의 1/6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3중첩 구조이기 때문에 시청자의 단안이 인지하는 서브-픽셀은 6개 뷰씩 입력된다. 즉, 적정 시청거리에 시청자가 위치한 경우, 좌안에서 우안 사이에는 6개의 뷰잉 다이아몬드(3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양안 간격 기반의 4뷰 2중첩 구조와 동일한 조건의 NVD 1/2 기반의 뷰 조건은 12뷰 3중첩이 될 수 있으며, 이때의 뷰-맵은 아래의 도 28과 같다.
즉, 양안 간격 기반의 4뷰 2중첩 구조와 동일한 조건의 NVD 1/2 기반의 뷰 조건은 전술한 8뷰 2중첩 이외에도 12뷰 3중첩 및 16뷰 4중첩 등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좌안이 첫 번째 뷰, 2번째 뷰, 3번째 뷰, 4번째 뷰, 5번째 뷰 및 6번째 뷰를 인지할 경우 우안은 7번째 뷰, 8번째 뷰, 9번째 뷰, 10번째 뷰, 11번째 뷰 및 12번째 뷰를 인지한다.
이때, 영상패널의 첫 번째 뷰, 2번째 뷰, 3번째 뷰, 4번째 뷰, 5번째 뷰 및 6번째 뷰에 1번 뷰 데이터(즉, 제 1 뷰 영상)를 입력하고, 영상패널의 5번째 뷰, 6번째 뷰, 7번째 뷰, 8번째 뷰, 9번째 뷰, 10번째 뷰, 11번째 뷰 및 12번째 뷰에 2번 뷰 데이터(즉, 제 2 뷰 영상)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뷰-맵이 기입된 픽셀 어레이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28은 12개의 뷰를 이용하는 경우의 픽셀 어레이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전술한 뷰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28 상단에 표시된 R, G 및 B는 R, G 및 B 서브-픽셀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28을 참조하면, 일 예로 12개의 뷰를 이용하는 경우, 제 1 서브-픽셀에 첫 번째 뷰(1st view)가 할당되고, 제 2 서브-픽셀에 2번째 뷰(2nd view)가 할당되며, 제 3 서브-픽셀에 3번째 뷰(3rd view)가 할당되고, 제 4 서브-픽셀에 4번째 뷰(4th view)가 할당된다. 또한, 제 5 서브-픽셀에 5번째 뷰(5th view)가 할당되고, 제 6 서브-픽셀에 6번째 뷰(6th view)가 할당되며, 제 7 서브-픽셀에 7번째 뷰(7th view)가 할당되고, 제 8 서브-픽셀에 8번째 뷰(8th view)가 할당된다. 그리고, 제 9 서브-픽셀에 9번째 뷰(9th view)가 할당되고, 제 10 서브-픽셀에 10번째 뷰(10th view)가 할당되며, 제 11 서브-픽셀에 11번째 뷰(11th view)가 할당되고, 제 12 서브-픽셀에 12번째 뷰(12th view)가 할당된다.
이를 위해 3D 필터는 서브-픽셀들 대비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슬랜티드 구조의 렌티큘러 렌즈(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뷰-맵 및 렌티큘러 렌즈 배치는 영상패널 전체에 걸쳐 반복되어 적용된다.
이때, 가장 인접한 동일 뷰를 직선으로 연결해 보면, 도 18과 동일하게 적, 녹 및 청색의 색상이 고르지 않고, 특정 색상이 2번씩 반복해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입체영상표시장치가 형성될 경우, 그 배치에 따라 가로선, 세로선, 기타 색상 불량 등으로 인해 화질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변형된 형태의 뷰-맵 및 3D 필터를 형성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다른 뷰 구조 및 뷰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29는 적, 녹 및 청색의 색상간 균형이 맞게 형성된 구조로, 전술한 도 27의 12뷰 3중첩 구조에서 1뷰를 추가한 13뷰 3중첩 구조를 예로 들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와 같은 뷰 수 및 중첩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적, 녹 및 청색의 색상간 균형이 맞게 뷰 구조를 구성하면 되기 때문에 14뷰 3중첩이나 15뷰 3중첩 구조 또한 적용될 수 있으나, 단안 해상도 및 2D 겹침 영역에 의한 시청영역의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이때의 뷰 수는 13이며, 도 27과 동일한 NVD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뷰 간격(d3)은 양안 간격(e)의 1/6, 즉 10.83mm에 해당한다.
즉, NVD 1/2 기반에서 3중첩 구조를 적용하기 때문에 뷰 간격(d3)은 양안 간격(e)의 1/6에 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3중첩 구조이기 때문에 시청자의 단안이 인지하는 서브-픽셀은 6개 뷰씩 입력된다. 즉, 적정 시청거리에 시청자가 위치한 경우, 좌안에서 우안 사이에는 6개의 뷰잉 다이아몬드(330)가 형성된다.
이때, 시청자의 좌안이 첫 번째 뷰 영역에 위치한 경우, 우안은 7번째 뷰 영역에 위치한다. 또한, 좌안이 7번째 뷰 영역에 위치할 경우, 우안은 13번째 뷰 영역에 위치한다.
이 경우 좌안이 첫 번째 뷰, 2번째 뷰, 3번째 뷰, 4번째 뷰, 5번째 뷰 및 6번째 뷰를 인지할 경우 우안은 7번째 뷰, 8번째 뷰, 9번째 뷰, 10번째 뷰, 11번째 뷰 및 12번째 뷰를 인지한다.
이때, 일 예로 영상패널의 첫 번째 뷰, 2번째 뷰, 3번째 뷰, 4번째 뷰, 5번째 뷰 및 6번째 뷰에 1번 뷰 데이터(즉, 제 1 뷰 영상)를 입력하고, 영상패널의 7번째 뷰, 8번째 뷰, 9번째 뷰, 10번째 뷰, 11번째 뷰, 12번째 뷰 및 13번째 뷰에 2번 뷰 데이터(즉, 제 2 뷰 영상)를 입력할 수 있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뷰-맵이 기입된 픽셀 어레이 및 렌티큘러 렌즈 배치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30은 13개의 뷰를 이용하는 경우의 픽셀 어레이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전술한 뷰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30 상단에 표시된 R, G 및 B는 R, G 및 B 서브-픽셀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픽셀 어레이에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형태의 영상(즉, 2뷰 영상)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도 31에 도시된 1 및 2는 각각 제 1 뷰 영상 및 제 2 뷰 영상을 나타낸다.
도 30을 참조하면, m(m은 자연수)뷰를 이용하는 경우, 영상패널은 m개의 서브-픽셀들 단위로 m개의 서브-픽셀들에 순서대로 첫 번째 뷰 내지 m번째 뷰가 할당될 수 있다.
즉, 영상패널의 m개의 서브-픽셀들 중 제 k(k는 1 ≤ k ≤ m을 만족하는 자연수) 서브-픽셀에 k번째 뷰가 할당된다.
일 예로, 13개의 뷰를 이용하는 경우, 제 1 서브-픽셀에 첫 번째 뷰(1st view)가 할당되고, 제 2 서브-픽셀에 2번째 뷰(2nd view)가 할당되며, 제 3 서브-픽셀에 3번째 뷰(3rd view)가 할당된다. 또한, 제 4 서브-픽셀에 4번째 뷰(4th view)가 할당되고, 제 5 서브-픽셀에 5번째 뷰(5th view)가 할당되며, 제 6 서브-픽셀에 6번째 뷰(6th view)가 할당된다. 또한, 제 7 서브-픽셀에 7번째 뷰(7th view)가 할당되고, 제 8 서브-픽셀에 8번째 뷰(8th view)가 할당되며, 제 9 서브-픽셀에 9번째 뷰(9th view)가 할당된다. 또한, 제 8 서브-픽셀에 8번째 뷰(8th view)가 할당되고, 제 9 서브-픽셀에 9번째 뷰(9th view)가 할당되며, 제 10 서브-픽셀에 10번째 뷰(10th view)가 할당된다. 그리고, 제 11 서브-픽셀에 11번째 뷰(11th view)가 할당되고, 제 12 서브-픽셀에 12번째 뷰(12th view)가 할당된다.
이를 위해 3D 필터는 서브-픽셀들 대비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슬랜티드 구조의 렌티큘러 렌즈(325)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랜티드 구조의 렌티큘러 렌즈(325)는 서브-픽셀들의 장축 변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이때, 뷰-맵 및 렌티큘러 렌즈(325) 배치는 영상패널 전체에 걸쳐 반복되어 적용된다.
이때, 가장 인접한 동일 뷰를 직선으로 연결해 보면, 전술한 도 28과는 달리 적, 녹 및 청색의 색상이 균형을 가지며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NVD 1/2 기반의 3중첩 구조이기 때문에 시청자의 단안이 인지하는 서브-픽셀은 6개 뷰씩 입력된다. 따라서, 좌안이 첫 번째 뷰, 2번째 뷰, 3번째 뷰, 4번째 뷰, 5번째 뷰 및 6번째 뷰를 인지할 경우 우안은 7번째 뷰, 8번째 뷰, 9번째 뷰, 10번째 뷰, 11번째 뷰 및 12번째 뷰를 인지한다.
이때, 일 예로 영상패널의 첫 번째 뷰, 2번째 뷰, 3번째 뷰, 4번째 뷰, 5번째 뷰 및 6번째 뷰에 1번 뷰 데이터(즉, 제 1 뷰 영상)를 입력하고, 영상패널의 7번째 뷰, 8번째 뷰, 9번째 뷰, 10번째 뷰, 11번째 뷰, 12번째 뷰 및 13번째 뷰에 2번 뷰 데이터(즉, 제 2 뷰 영상)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청자의 좌안은 1번 뷰를 인지하고 시청자의 우안은 2번 뷰를 인지하므로 양안 시차가 발생하여 입체영상을 볼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패널의 7번째 뷰, 8번째 뷰, 9번째 뷰, 10번째 뷰, 11번째 뷰, 12번째 뷰 및 13번째 뷰에 3번 뷰 데이터(즉, 제 3 뷰 영상)를 입력하면, 시청자의 좌안은 1번 뷰를 인지하고 시청자의 우안은 3번 뷰를 인지한다. 이 경우 전술한 예에 비해 시청자가 인지하는 객체간 깊이가 증가한다.
이와 같이 13개의 뷰를 이용할 때, 뷰잉 다이아몬드의 3중첩 구조이기 때문에 제 1 뷰 영상 내지 제 13 뷰 영상을 입력할 수도 있으나, 스테레오 형태로 유지하기 위해 입력 데이터를 6개씩 중첩시킨다. 이에 따라 제 1 뷰 및 제 2 뷰 영상만을 입력함으로써 단안 내 인지되는 영상간 차이가 줄어 인지 3D 크로스토크가 줄어든다.
도 32는 도 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 우안이 인지하는 영상 및 3D 시청영역을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패널의 첫 번째 뷰, 2번째 뷰, 3번째 뷰, 4번째 뷰, 5번째 뷰 및 6번째 뷰에 1번 뷰 데이터(즉, 제 1 뷰 영상)를 입력하고, 영상패널의 7번째 뷰, 8번째 뷰, 9번째 뷰, 10번째 뷰, 11번째 뷰, 12번째 뷰 및 13번째 뷰에 2번 뷰 데이터(즉, 제 2 뷰 영상)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청자의 좌안이 1번째 뷰 내지 6번째 뷰 영역에 위치할 경우, 시청자의 좌안은 1번 뷰를 인지하고 시청자의 우안은 2번 뷰를 인지하므로 양안 시차가 발생하여 입체영상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시청자가 이동하여 시청자의 좌안이 8번째 뷰 내지 13번째 뷰 영역에 위치할 경우, 시청자의 좌안은 2번 뷰를 인지하고 시청자의 우안은 1번 뷰를 인지하여 역입체시를 볼 수 있다.
또한, 도 31 및 도 32와 같이 스테레오 형태의 뷰 데이터로 뷰별 맵핑을 할 경우, 기본 단위보다 더 넓은 뷰 데이터 중첩 구간이 발생하며, 일 예로 영상패널의 7번째 뷰 위치에 해당한다. 즉, 전술한 9뷰 2중첩 구조와 마찬가지로 1뷰만큼 뷰 데이터가 겹쳐서 발생하는 2D 영역이 생성된다.
따라서, 시청자의 좌안이 영상패널의 7번째 뷰를 인지할 경우 우안은 영상패널의 13번째 뷰를 인지한다. 이때, 두 경우 모두 제 2 뷰 영상이 입력되므로 해당 위치에서는 양안간 영상 차이가 없어 2D 영상을 인지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실제의 경우 뷰간 크로스토크가 존재하기 때문에 좌안과 우안에는 시차가 있는 영상이 섞여서 인지되며, 그 영역 또한 매우 작기 때문에 시청자가 2D 영역으로 인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3D 시청영역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3D 시청영역의 비율은 전체의 약 53.8%에 해당한다.
도 33a 및 도 33b는 도 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안 및 우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과 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4a 및 도 34b는 도 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좌안 및 우안에서 인지되는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33a 및 도 34a는 좌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과 뷰 및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며, 도 33b 및 도 34b는 우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과 뷰 및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도 35 및 도 36은 도 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있어, 양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 및 입력 데이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인접하는 뷰 상호간에 3D 크로스토크가 없는 이상적인 경우, NVD 1/2 기반의 뷰잉 다이아몬드의 3중첩에서 시청자가 인지하는 뷰는 단안 기준으로 3개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단안에 인지되는 뷰의 수는 중첩 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33a 및 도 33b와 같이 좌안과 우안이 인지하는 서브-픽셀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는 뷰잉 다이아몬드의 폭을 양안 간격의 1/2를 기준으로 하고 있어, 뷰잉 다이아몬드의 중첩이 없다면 좌안이 첫 번째 뷰를 인지할 경우 우안은 3번째 뷰를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3중첩의 경우에는 좌안과 우안 사이에 뷰잉 다이아몬드가 5개 더 존재하게 됨에 따라 도 33a 및 도 33b와 같이, 좌안이 첫 번째 뷰를 인지할 경우 우안은 7번째 뷰를 인지하게 된다(양안의 경우 도 35 참조).
이 경우 좌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 및 우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은 최소한 하나의 서브-픽셀이상 이격되어 있다. 즉, 기존의 양안 간격 기반의 경우에는 좌안과 우안이 인지하는 영상패널의 서브-픽셀이 인접해 있기 때문에 3D 크로스토크에 취약하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나의 서브-픽셀이상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3D 크로스토크에 강하다. 또한, 입력되는 요소 영상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정시에서 역시, 역시에서 정시로 시청자가 이동할 때 발생하는 영상간 차이인 이미지 플리핑 또한 줄어든다.
한편, 뷰잉 다이아몬드의 크기를 양안 간격의 1/2배로 설정하는 이외에 1/3, 1/4 등 a/n(a, n은 a < n 조건을 만족하는 자연수)배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좌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 및 우안에서 인지되는 서브-픽셀은 2개, 3개 등의 서브-픽셀만큼 이격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기본적인 뷰 구조는 영상패널의 해상도, 중첩 수, 시야각 등을 모두 고려하여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내용을 반영하여 다양한 형태의 뷰-맵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절한 뷰 데이터 렌더링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10 : 영상패널 120 : 렌티큘러 렌즈판
125,225,325 : 렌티큘러 렌즈 130,230,230 : 뷰잉 다이아몬드

Claims (8)

  1. 스테레오(stereo) 뷰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을 집합적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레오 뷰 데이터는 제 1 뷰 영상 및 제 2 뷰 영상을 정의하는 영상패널; 및
    상기 영상패널의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출력된 광의 일부를 시청거리에 있는 복수의 뷰잉 존에 선택적으로 향하게 하는 3D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뷰잉 존은 m개의 뷰잉 존의 반복 블록으로 분할되고, 상기 m은 4보다 큰 홀수 정수이며, 각 블록에서 출력된 광의 일부는 상기 m개의 뷰잉 존의 제1하위 집합에 제1뷰 영상의 요소를 형성하고, 상기 m개의 뷰잉 존의 제2하위 집합에 제2뷰 영상의 요소를 형성하고,
    상기 m개의 뷰잉 존의 상기 제1하위 집합은 [(m-1) / 2] 뷰잉 존을 가지고, 상기 m개의 뷰잉 존의 제2하위 집합은 [(m+1) / 2] 뷰잉 존을 가지며,
    상기 m개의 뷰잉 존은 서로 중첩되고, 각 뷰잉 존의 폭이 시청자의 양안 간격의 진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장 인접한 동일한 뷰 3개를 기준으로 적, 녹 및 청색의 색상이 1:1:1로 설정되도록 뷰가 할당되는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스테레오 뷰 데이터는 선택적으로 2D 인지 영역을 가지는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필터는 상기 서브-픽셀들 대비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슬랜티드 구조의 렌티큘러 렌즈로 구성되는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패널과 상기 3D필터 사이의 이격 거리를 정의하는 배면거리는 상기 뷰잉 존의 폭이 작아지는 것에 대응하여 증가하는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존의 폭이 1/b배일 때 상기 배면거리는 b배로 증가하고, 상기 b는 2 이상 정수인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20140191080A 2014-12-26 2014-12-26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2284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080A KR102284841B1 (ko) 2014-12-26 2014-12-26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CN201510674344.5A CN105744253B (zh) 2014-12-26 2015-10-16 自动立体三维显示设备
EP15195792.5A EP3038360A1 (en) 2014-12-26 2015-11-23 Auto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US14/971,988 US10313662B2 (en) 2014-12-26 2015-12-16 Glasses-free auto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080A KR102284841B1 (ko) 2014-12-26 2014-12-26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556A KR20160079556A (ko) 2016-07-06
KR102284841B1 true KR102284841B1 (ko) 2021-08-03

Family

ID=5470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080A KR102284841B1 (ko) 2014-12-26 2014-12-26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13662B2 (ko)
EP (1) EP3038360A1 (ko)
KR (1) KR102284841B1 (ko)
CN (1) CN1057442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4934B (zh) * 2012-10-04 2019-02-19 陈笛 无眼镜多观众三维显示的组件与方法
KR101756671B1 (ko) * 2016-02-15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7608084B (zh) * 2016-07-12 2020-09-04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立体显示装置
JP6859655B2 (ja) * 2016-10-12 2021-04-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装置
TWI661391B (zh) * 2018-01-12 2019-06-01 群睿股份有限公司 立體影像調整方法與顯示裝置
JP2020098291A (ja) * 2018-12-19 2020-06-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R3090908B1 (fr) * 2018-12-22 2020-12-2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stéréoscopiques
CN112925109A (zh) * 2019-12-05 2021-06-08 北京芯海视界三维科技有限公司 多视点裸眼3d显示屏、裸眼3d显示终端
CN111458898B (zh) * 2020-03-31 2022-05-17 吉林省广播电视研究所(吉林省广播电视局科技信息中心) 三维立体有机发光集成电路及成像方法
CN113923437B (zh) * 2020-07-09 2024-03-22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信息显示方法及其处理装置与显示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8589A1 (en) 1999-09-07 2001-03-15 3Ality, Inc. Systems for and methods of three dimensional viewing
KR100786861B1 (ko) 2002-10-02 2007-1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US20100315566A1 (en) 2009-06-10 2010-12-16 Au Optronics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display and three dimensional display system
US20110113101A1 (en) 2009-06-12 2011-05-12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in a Social Network
US20130329021A1 (en) 2011-02-25 2013-12-12 Franz Fidler Display device with movement elements for obtaining a high resolution and/or a 3d effec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9609A (en) * 1996-01-26 1997-07-30 Sharp Kk Observer tracking autostereoscopic directional display
US20060074727A1 (en) * 2000-09-07 2006-04-06 Briere Daniel D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on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over a computer network
AU2002354681A1 (en) * 2001-07-13 2003-01-29 Mems Optical, Inc. Autosteroscopic display with rotated microlens-array and method of displaying multidimensional images, especially color images
GB2470752B (en) * 2009-06-03 2015-01-07 Au Optronics Corp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KR101652471B1 (ko) * 2009-06-16 2016-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860435B1 (ko) * 2011-05-12 2018-06-29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자동 입체 영상 스크린 및 영상 정보를 재생하는 방법
KR101818253B1 (ko) * 2011-10-21 2018-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CN104221372B (zh) * 2012-01-26 2016-12-14 弗劳恩霍弗应用技术研究院 自动立体显示器及显示3d图像的方法
KR101316795B1 (ko) * 2012-02-02 2013-10-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시역 평탄화 및 동적 크로스토크 최소화를 위한 무안경식 3차원 영상표시장치
US8670285B2 (en) 2012-02-02 2014-03-11 Sandisk Technologies Inc. Reducing weak-erase type read disturb in 3D non-volatile memory
KR20140089860A (ko) * 2013-01-07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413244B1 (ko) * 2013-02-19 2014-06-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변형된 공통시역을 이용하는 다시점 3차원 영상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8589A1 (en) 1999-09-07 2001-03-15 3Ality, Inc. Systems for and methods of three dimensional viewing
KR100786861B1 (ko) 2002-10-02 2007-1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US20100315566A1 (en) 2009-06-10 2010-12-16 Au Optronics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display and three dimensional display system
US20110113101A1 (en) 2009-06-12 2011-05-12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in a Social Network
US20130329021A1 (en) 2011-02-25 2013-12-12 Franz Fidler Display device with movement elements for obtaining a high resolution and/or a 3d eff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8360A1 (en) 2016-06-29
CN105744253A (zh) 2016-07-06
CN105744253B (zh) 2018-08-28
US20160191904A1 (en) 2016-06-30
US10313662B2 (en) 2019-06-04
KR20160079556A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4841B1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US7825999B2 (en) Autostereoscopic display
KR102218777B1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US9224366B1 (en) Bendable 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JP2014512560A (ja) 多時点映像ディスプレイ装置
CN106576161A (zh) 可变屏障间距调整
KR20120013734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EP3225025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30141867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71579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74495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5621500B2 (ja) 立体表示装置および立体表示方法
KR102279816B1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2233116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102556963B1 (ko) 대면적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
US20150145976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KR102334031B1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190050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24283A (ko)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
KR20160021650A (ko)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957148B1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
KR102141555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993338B1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
KR102232462B1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981581B1 (ko) 편광안경 방식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