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266B1 -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 - Google Patents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266B1
KR101960266B1 KR1020187021770A KR20187021770A KR101960266B1 KR 101960266 B1 KR101960266 B1 KR 101960266B1 KR 1020187021770 A KR1020187021770 A KR 1020187021770A KR 20187021770 A KR20187021770 A KR 20187021770A KR 101960266 B1 KR101960266 B1 KR 101960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ever member
case
postur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485A (ko
Inventor
코타로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교쿠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교쿠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교쿠토
Publication of KR20180130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72Devices for exchanging or removing electrodes or electrode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압력유닛(5)은, 수용 케이스(2) 내부의 수용통로(R1)에 수용된 복수의 전극(10)을 전극 취출구(20) 쪽으로 밀어준다. 레버부재(3)는, 한쪽으로 요동하면 선단측이 전극 취출구(20)의 일부를 차단하는 제 1 자세(X1)로 되고, 다른 쪽으로 요동하면 선단측이 전극 취출구(20)를 개방하는 제 2 자세(X2)로 된다. 제 1 코일 스프링(4)은, 레버부재(3)의 기단측과 수용 케이스(2)의 제 1 측면부(21) 사이에 배설되어, 레버부재(3)의 기단측을 수용 케이스(2)로부터 멀어지도록 부세한다.

Description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사용하는 스폿 용접용 전극을 용접 건의 샹크에 장착 가능한 상태로 격납해 두는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생산라인에서는, 복수의 프레스 성형품을 스폿 용접으로 연결함으로써 차체 프레임이 조립되며, 이 스폿 용접은 일반적으로, 산업용 로봇의 암 선단에 장착되어 용접 건으로 실시된다.
그런데, 용접 건의 샹크에는, 당해 샹크 선단이 전극의 감합 오목부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전극이 장착된다. 그리고, 전극은 스폿 용접을 반복 실시함에 따라 소모되므로, 정기적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극 교환 시에 전극을 효율적으로 용접 건의 샹크에 장착하기 위하여, 자동차 생산라인에는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1에 개시된 전극 하우징 장치는, 수용통로를 내부에 갖는 각통(角筒) 형태의 수용 케이스를 구비하고, 수용통로는 전극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형이면서 감합 오목부가 동일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전극을 복수 병설한 상태로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수용 케이스의 일단에는, 수용통로로 연통하는 전극 취출구가 형성되는 한편, 수용 케이스의 타단측 내부에는, 수용통로에 수용된 1개 또는 병설 상태의 복수 전극을 수용통로의 일단측에 탄성력으로 누르는 압력유닛이 설치된다. 수용 케이스의 일단측에는, 당해 수용 케이스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취출 규제 부재가 배설된다. 이 취출 규제 부재는, 코일스프링이 미는 힘에 따라 한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전극 취출구의 일부를 차단하여 전극 취출구로부터의 전극 취출을 규제하는 한편, 코일스프링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다른 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전극 취출구를 개방하여 전극을 전극 취출구로부터 취출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수용통로에 병설된 각 전극 중, 취출 규제 부재에 접하는 전극의 감합 오목부에 샹크 선단을 끼움과 동시에, 그 전극을 수용통로의 일단 측으로 이동시키면, 취출 규제 부재가 코일스프링의 미는 힘에 대항하여 다른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개방되는 전극 취출구에서 전극을 꺼낸 후, 취출된 전극에 인접한 전극이 압력유닛의 탄성력에 의해 수용통로의 일단측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코일스프링의 미는 힘에 의해 한쪽으로 이동한 취출 규제 부재에 접촉하여 전극 취출구로부터의 취출이 규제되도록 구성된다.
특허문헌1 : 일본 특허공표 2013-514182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1에서는, 가동부분인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부세(付勢)기구가 수용 케이스 외면에서 외측방으로 튀어 나오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다른 기기나 공구가 불시에 부세 기구에 접촉하여 취출 규제 부재의 동작이 멎어버리게 되고 장치로부터 전극을 꺼낼 수 없게 되어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1의 전극 하우징 장치는, 코일스프링이 수용 케이스 측방 위치에서 노출된 상태이므로, 외관이 좋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쉬이 고장나지 않으면서도 높은 디자인성을 갖는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취출 규제 부재를 요동하는 레버형태로 함과 더불어, 취출 규제 부재를 부세(付勢)하는 부세 수단의 배치를 강구하는 것에 중점을 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폿 용접용 전극을 복수 저장 가능한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를 대상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해결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제 1 발명에서는, 상기 전극을 그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형태이면서 용접 건의 샹크 선단에 끼움 결합되는 감합 오목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복수 병설한 상태로 수용 가능한 직선형 수용통로를 내부에 가지며, 당해 수용통로로 연통하는 전극 취출구가 일단에 형성된 수용 케이스와, 상기 수용통로에 수용된 상태의 1개 또는 병설 상태의 복수 전극을 상기 수용통로의 일단 쪽으로 누르는 압력수단과, 상기 수용통로에 수용된 상태인 상기 전극의 중심축과 동일 방향으로 이어지는 요동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상기 수용 케이스로 지지되며, 한쪽으로 요동하여 선단측이 상기 전극 취출구의 일부를 차단하는 제 1 자세와, 다른 쪽으로 요동하여 선단측이 상기 전극 취출구를 개방하는 제 2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한 레버부재와, 상기 레버부재의 기단측과 상기 수용 케이스의 한쪽 측면과의 사이에 배설되어, 상기 레버부재가 한쪽으로 요동하도록, 상기 레버부재의 기단측을 상기 수용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도록 부세하는 부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에는, 상기 레버부재를 상기 제 1 및 제 2 자세 사이의 중간자세에서 한쪽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규제 핀을 삽입 관통시킬 수 있는 핀 삽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의 일단측 측면에는, 상기 요동축을 따르는 방향에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 케이스를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판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양 돌출판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은, 제 1 내지 제 3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를 피설치체에 장착하는 브라켓을 구비하며, 이 브라켓은 상기 수용 케이스의 장착이 가능한 설치 오목부를 갖고, 이 설치 오목부에는, 상기 수용 케이스를 장착할 때 당해 수용 케이스를 안내하는 안내면이 형성되며, 이 안내면 및 상기 수용 케이스의 한쪽에는,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기 설치 오목부로의 설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안내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면 및 상기 수용 케이스의 다른 쪽에는, 상기 안내 홈에 끼움 결합 가능한 돌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서는, 코일스프링이 레버부재의 수용 케이스 측에 위치하므로, 설령 다른 기기나 공구가 장치에 접촉한다 해도, 가동부분인 코일스프링에 접촉하기 전에 레버부재에 접촉하게 되어, 다른 기기나 공구가 코일스프링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레버부재의 동작이 멈춰버리게 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이 레버부재의 외면 측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장치 전체의 외관이 좋아져, 디자인성 높은 장치로 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서는, 레버부재를 제 1 자세로 했을 때의 전극 취출구 개구 면적보다 전극 취출구의 개구 면적을 넓게 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전극 취출구에서, 사용 전 전극을 수용 케이스의 수용통로로 수동으로 수용시킬 때, 작업자의 손가락에 걸리는 부하가 줄어들어 전극 수용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서는, 레버부재가 양 돌출판부에 개재된 위치가 되므로, 설령 다른 기기나 공구가 장치에 접촉한다 해도, 레버부재에 접촉하기 전에 양 돌출판부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기기나 공구가 불시에 레버부재에 접촉하여 당해 레버부재가 다른 쪽으로 요동해 버려, 수용통로에 위치하는 사용 전 전극이 압력수단의 압력에 의해 전극 취출구에서 튀어 나와 버리는 등의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코일스프링이 양 돌출판부로 둘러싸이게 되므로, 코일스프링에 먼지 등이 부착함에 따른 고장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제 4 발명에서는, 돌조부를 안내홈에 대응시킴과 더불어, 돌조부를 따라 수용 케이스를 이동시키면, 돌조부가 안내홈에 끼움 결합됨과 더불어 수용 케이스가 브라켓의 설치 오목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브라켓 대한 수용 케이스의 설치 작업이 간단한 동시에 브라켓 대한 수용 케이스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II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레버 부분을 제 1 자세와 제 2 자세 사이의 중간자세로 한 상태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불과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1)를 나타낸다. 이 전극하우징 장치(1)는, 자동차 생산 라인에서의 차체 조립 통로 측방에 배치되어, 스폿 용접용 전극(10)을 용접 로봇이 파지하는 용접 건 샹크(11)(도 5 참조)에 장착 가능한 자세로 복수 저장해 두는 것이다.
전극 하우징 장치(1)는, 수평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거의 각통형의 수용 케이스(2)를 갖추고, 상기 수용 케이스(2)는 당해 수용 케이스(2)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 1 측면부(21) 및 제 2 측면부(22)와, 상기 제 1 측면부(21) 및 제 2 측면부(22)의 각 상단 둘레부를 연결하는 표면부(23)와, 상기 제 1 측면부(21) 및 제 2 측면부(22)의 각 하단 둘레부를 연결하는 이면부(24)를 구비한다.
제 1 측면부(21), 제 2 측면부(22), 표면부(23) 및 이면부(24)로 둘러싸이는 부분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10)을 복수 수용 가능한 직선형의 수용통로(R1)로 구성되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통로(R1)의 일단에 전극 취출구(2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통로(R1)의 바닥은, 당해 수용통로(R1)의 연장방향으로 이어지는 띠 형태의 평탄 저면(2a)과, 이 평탄 저면(2a)의 양 둘레부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 간격이 떨어지는 한 쌍의 경사면(2b)으로 이루어지며, 이 양 경사면(2b)은 전극(10) 선단측의 테이퍼면(10a)에 대응하는 각도를 이룬다.
그리고 수용통로(R1)는, 전극(10)을 그 중심축(C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형이면서 또, 샹크(11) 선단에 끼움 결합되는 감합 오목부(10b)가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복수 병설된 상태에서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1 측면부(21)의 일단측 상단(上端) 둘레부 및 하단(下端) 둘레부 쪽으로는, 제 1 측면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하로 대향하는 한 쌍의 돌출판부(21a)가 제 2 측면부(22)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각 돌출판부(21a)는 제 1 측면부(21)의 일단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수평방향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이룬다.
제 1 측면부(21)의 양 돌출판부(21a) 사이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통로(R1)로 연통하는 직사각형의 개구부(21b)가 형성되고, 제 1 측면부(21)의 개구부(21b)에 대응하는 부분의 하부 중앙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는 막대형의 규제 핀(P1)을 삽입시켜 통과 가능한 핀 삽통공(21d)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제 1 측면부(21)의 일단 쪽에 가까운 위치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측면부(22)의 반대쪽으로 개구하는 얕은 바닥의 제 1 수용 오목부(21c)가 형성된다.
제 2 측면부(22)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제 2 측면부(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슬릿(22a)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22a)은 수용통로(R1)로 연통된다.
표면부(23)의 길이방향 일단 측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표면부(23)의 길이방향 일단으로 개방되도록 노칭(notching) 가공하여 상기 전극 취출구(20)로 연속되는 샹크 출입구(23a)가 형성된다.
또, 표면부(23)의 길이방향 일단 쪽에 가까운 표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오목부(23b)가 형성된다.
이면부(24) 하면의 길이방향 일단 측에는, 당해 이면부(24)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안내홈(24a) 및 제 2 안내홈(24b)이, 이면부(24)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제 1 안내홈(24a)은 제 2 안내홈(24b)보다 홈 폭이 좁아진다.
양 돌출판부(21a) 사이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케이스(2)의 일단 측으로 연장되는 레버부재(3)가 배설된다.
상기 레버부재(3) 선단 측의 수용통로(R1) 측에는, 전극(1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곡면부(3a)가 형성되는 한편, 레버부재(3) 기단 측의 제 1 수용 오목부(21c)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제 2 수용 오목부(3b)가 형성된다.
레버부재(3)의 중간부는, 수용통로(R1)에 수용된 상태인 전극(10)의 중심축(C1)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축(30)에 의해 지지되고, 레버부재(3)는 (30)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레버부재(3) 기단 측과 제 1 측면부(21)와의 사이에는 제 1 코일스프링(4)이 배설된다.
제 1 코일스프링(4)의 일단측은 제 1 수용 오목부(21c)에 수용되는 한편, 제 1 코일스프링(4)의 타단측은 제 2 수용 오목부(3b)에 수용되고, 제 1 코일스프링(4)은 레버부재(3)가 한쪽으로 요동하도록, 레버부재(3)의 기단측을 수용 케이스(2)에서 멀어지도록 부세한다.
레버부재(3)는, 제 1 코일스프링(4)의 부세력에 의해 한쪽으로 요동하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측이 개구부(21b)를 통해 수용통로(R1)로 진입하여 전극 취출구(20)의 일부를 차단하는 제 1 자세(X1)로 되는 동시에, 곡면부(3a)가 전극(10)을 제 2 측면부(22)의 내면으로 밀어 부치는 한편, 제 1 코일스프링(4)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다른 쪽으로 요동하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측이 수용통로(R1)로부터 거리를 두고 전극 취출구(20)를 개방하는 제 2 자세(X2)로 됨과 동시에 곡면부(3a)가 전극(10)에서 멀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레버부재(3)는 전극(10)의 전극 취출구(20)로부터의 취출을 규제하는 제 1 자세(X1)와, 전극(10)의 전극 취출구(20)로부터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자세(X2)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레버부재(3)를 한쪽으로 요동시키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재(3)의 선단 측이 핀 삽통공(21d)의 개구 일부를 덮는 한편, 레버부재(3)를 다른 쪽으로 요동시키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재(3)의 선단 측이 핀 삽통공(21d)의 개구를 덮지 않는 위치가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레버부재(3)를 제 1 코일스프링(4)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다른 쪽으로 요동시키면서, 또, 핀 삽통공(21d)으로 규제 핀(P1)을 아래쪽에서 삽입 통과시키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핀(P1)이 레버부재(3)를 제 1 자세(X1)와 제 2 자세(X2)의 중간자세에서 한쪽으로 요동하지 않게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수용 케이스(2)의 길이방향 타단 측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 유닛(5)(압력수단)이 설치된다.
이 압력 유닛(5)은, 수용통로(R1)에 배치된 블록 형상의 누름부재(51)를 구비하고, 이 누름부재(51)는 수용통로(R1)를 따라 진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압력 유닛(5)은 저면을 갖는 원통형 실린더 커버(52)를 구비하고, 이 실린더 커버(52)의 개구 둘레가 상기 수용 케이스(2)의 길이방향 타단에 고정된다.
실린더 커버(52)의 내부에는 수용 케이스(2) 쪽으로 개구되는 중공부(52a)가 형성되며, 이 중공부(52a)에는 텔레스코픽 기구로 이루어지는 신축로드(53)가 배설된다.
상기 신축로드(53)의 선단은, 상기 누름부재(51)의 후단면 중앙 부분에 고정되어, 당해 누름부재(51)가 진퇴하면 신축로드(53)는 수용통로(R1)를 따라 신축하도록 구성된다 .
또한 실린더 커버(52)의 중공부(52a)에는 제 2 코일스프링(54)이 배설되고, 이 제 2 코일스프링(54)은 신축로드(53)에 감김 장착된 상태로 구성된다.
제 2 코일스프링(54)은, 일단이 누름부재(51)의 후단에 당접하는 한편, 타단이 실린더 커버(52)의 저면에 당접하여, 상기 누름부재(51)를 전진 방향으로 부세한다.
즉, 압력 유닛(5)은 수용통로(R1)에 수용된 상태의 1개 또는 복수의 전극(10)을 상기 수용통로(R1)의 일단 측으로 누르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용 케이스(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U자형의 브라켓(6)을 개재하고 팁 드레서(7)(피설치체)의 일 측면에 설치된다.
브라켓(6)은, 팁 드레서(7)에 고정되는 고정판부(61)와, 팁 드레서(7)에서 멀어지도록 고정판부(61)의 상연부 및 하연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판부(62)와 하판부(63)를 구비한다.
고정판부(61), 상판부(62) 및 하판부(63)로 둘러싸인 부분이 본 발명의 설치 오목부(6a)를 구성하며, 당해 설치 오목부(6a)에 상기 수용 케이스(2)가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
상기 상판부(62)에서의 길이방향 한 끝에 가까운 위치에는 인덱스 플런저(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판부(63)의 상기 상판부(62)에 대향하는 면은 본 발명의 안내면(64)을 구성한다.
이 안내면(64)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안내홈(24a) 및 제 2 안내홈(24b)에 각각 끼움 결합 가능한 제 1 돌조부(64a) 및 제 2 돌조부(64b)가 형성되며, 제 1 돌조부(64a)는 제 2 돌조부(64b)보다 폭이 좁은 형상을 이룬다.
상기 인덱스 플런저(8)를 끌어 올린 상태에서, 제 1 안내홈(24a) 및 제 2 안내홈(24b)을 제 1 돌조부(64a) 및 제 2 돌조부(64b)에 각각 대응시킴과 더불어, 안내면(64)을 따라 수용 케이스(2)를 이동시키면, 제 1 안내홈(24a) 및 제 2 안내홈(24b)에 제 1 돌조부(64a) 및 제 2 돌조부(64b)가 각각 끼움 결합되어 설치 오목부(6a)에 수용 케이스(2)가 설치되게 구성된다.
또한 설치 오목부(6a)에 수용 케이스(2)가 설치되면, 표면부(23)의 위치 결정 오목부(23b)가 인덱스 플런저(8)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며, 당해 인덱스 플런저(8)의 핀(8a)을 위치 결정 오목부(23b)에 끼움으로써, 수용 케이스(2)가 설치 오목부(6a)에 고정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브라켓(6)에 대한 수용 케이스(2)의 설치 작업이 간단함과 더불어, 브라켓(6)에 대한 수용 케이스(2)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안내홈(24a) 및 제 2 안내홈(24b)의 폭 치수, 그리고 제 1 돌조부(64a) 및 제 2 돌조부(64b)의 폭 치수를 각각 다른 치수로 설정하므로, 설치 오목부(6a)에 대한 수용 케이스(2)의 설치 방향의 오류를 없앨 수 있다.
다음으로, 전극 하우징 장치(1)로부터의 전극(10) 취출 작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용접 로봇이 파지하는 용접 건을 이동시켜, 당해 용접 건 샹크(11)의 선단을 샹크 출입구(23a)에 대응시킨다.
다음으로, 용접 건의 샹크(11)를 샹크 출입구(23a) 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재(3)에 접촉하는 전극(10)의 감합 오목부(10b)에 샹크(11) 선단이 끼움 결합된다.
이후, 샹크 (11) 선단에 장착된 전극(10)이 수용통로(R1)의 일단 측으로 이동하도록 용접 건을 이동시킨다. 그러면, 레버부재(3)가 제 1 코일스프링(4)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다른 쪽으로 요동하여 전극 취출구(20)가 개방되고, 전극(10)이 전극 취출구(20)로부터 배출된다.
샹크(11)에 장착된 전극(10)이 전극 취출구(20)를 통과하면, 수용통로(R1)에 병설된 다른 복수의 전극(10)이 압력 유닛(5)의 탄성력에 의해 수용통로(R1)의 일단 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레버부재(3)가 제 1 코일스프링(4)의 부세력에 의해 한쪽으로 요동하고, 곡면부(3a)가 배출된 전극(10)의 다음 전극(10)을 제 2 측면부(22)의 내면으로 밀어 부치는 동시에, 레버부재(3)의 선단 부분이 전극 취출구(20)의 일부를 차단하여 다음 전극(10)의 취출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수용 케이스(2)의 수용통로(R1)로의 전극(10) 수용 작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수용 케이스(2)의 수용통로(R1)에 수용된 전극(10)의 수가 적어지면, 작업자는 레버부재(3)를 제 1 코일스프링(4)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다른 쪽으로 요동시킴과 동시에,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핀(P1)을 핀 삽통공(21d)으로 아래쪽으로부터 삽입 통과시킨다. 그러면, 규제 핀(P1)이 레버부재(3)를 제 1 자세(X1)와 제 2 자세(X2)의 중간자세에서 한쪽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규제한다.
이후, 작업자는 사용 전의 전극(10)을 전극 취출구(20)로부터 압력 유닛(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수용통로(R1) 안쪽을 향해 밀어 넣는다. 그러면 레버부재(3)의 선단부분이, 밀어 넣을 전극(10)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레버부재(3)가 제 1 코일스프링(4)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다른 쪽으로 요동하여 전극 취출구(20)가 개방되고, 전극(10)이 수용통로(R1) 안으로 들어간다.
전극(10)이 수용통로(R1) 안으로 들어가면, 레버부재(3)의 선단 부분이 전극(10)의 외주면을 넘어가는 동시에 레버부재(3)가 제 1 코일스프링(4)의 부세력에 의해 한쪽으로 요동하여 곡면부(3a)가 사용 전 전극(10)을 제 2 측면부(22)의 내면으로 밀어 부친다.
이와 같이, 전극(10)을 밀어 넣는 작업을 반복 실시하여 수용통로(R1) 내에 복수의 전극(10)을 수용시킨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코일스프링(4)이 레버부재(3)의 수용 케이스(2) 쪽에 위치하므로, 설령 다른 기기나 공구가 전극 하우징 장치(1)에 접촉한다 하더라도, 가동부분인 제 1 코일스프링(4)에 접촉하기 전에 레버부재(3)에 접촉하게 되어, 다른 기기나 공구가 제 1 코일스프링(4)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레버부재(3)가 동작을 멈추어버리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코일스프링(4)이 레버부재(3)의 외면 쪽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전극 하우징 장치(1) 전체의 외관이 좋아져, 디자인성 높은 전극 하우징 장치(1)로 할 수 있다.
또, 핀 삽통공(21d)에 규제 핀(P1)을 삽입 통과시키면, 레버부재(3)를 제 1 자세(X1)로 했을 때의 전극 취출구(20) 개구 면적보다 전극 취출구(20) 개구 면적을 넓게 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전극 취출구(20)에서, 사용 전 전극(10)을 수용 케이스(2)의 수용통로(R1)로 수동으로 수용시킬 때, 작업자의 손가락에 걸리는 부하가 저감되므로, 전극(10) 수용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레버부재(3)가 양 돌출판부(21a)에 개재된 위치가 되므로, 가령 다른 기기나 공구가 전극 하우징 장치(1)에 접촉한다 하더라도, 레버부재(3)에 접촉하기 전에 양 돌출판부(21a)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기기나 공구가 불시에 레버부재(3)에 접촉하여 당해 레버부재(3)가 다른 쪽으로 요동해 버려, 수용통로(R1)에 위치한 사용 전 전극(10)이 압력 유닛(5)의 탄성력에 의해 전극 취출구(20)에서 튀어 나와 버리는 등의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코일스프링(4)이 양 돌출판부(21a)로 둘러싸이게 되므로, 제 1 코일스프링(4)에 먼지 등이 부착함에 따른 고장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브라켓(6)의 제 1 돌조부(64a) 및 제 2 돌조부(64b)를 수용 케이스(2)의 제 1 안내홈(24a) 및 제 2 안내홈(24b)에 대응시킴과 더불어, 수용 케이스(2)를 제 1 돌조부(64a) 및 제 2 돌조부(64b)를 따라 이동시키면, 제 1 돌조부(64a) 및 제 2 돌조부(64b)가 제 1 안내홈(24a) 및 제 2 안내홈(24b)에 끼워지는 동시에 수용 케이스(2)가 브라켓(6)의 설치 오목부(6a)에 장착된다. 따라서 브라켓(6)에 대한 수용 케이스(2)의 설치 작업이 간단함과 더불어, 브라켓(6)에 대한 수용 케이스(2)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안내홈(24a) 및 제 2 안내홈(24b)이 수용 케이스(2)에 형성되고, 제 1 안내홈(24a) 및 제 2 안내홈(24b)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 1 돌조부(64a) 및 제 2 돌조부(64b)가 브라켓(6)에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 1 안내홈(24a) 및 제 2 안내홈(24b)이 브라켓(6)에 형성되고, 제 1 안내홈(24a) 및 제 2 안내홈(24b)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 1 돌조부(64a) 및 제 2 돌조부(64b)가 수용 케이스(2)에 형성되어도 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사용하는 스폿 용접용 전극을 용접 건 샹크에 장착 가능한 상태로 저장해두는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에 적합하다.
1 :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 2 : 수용 케이스
3 : 레버부재 4 : 제 1 코일 스프링(부세수단)
5 : 압력 유닛(압력수단) 6 : 브라켓
6a : 설치 오목부 7 : 팁 드레서(피설치체)
10 : 전극 10b : 감합 오목부
11 : 샹크 20 : 전극 취출부
21a : 돌출판부 21d : 핀 삽통공
24a : 제 1 안내홈 24b : 제 2 안내홈
30 : 요동축 64 : 안내면
64a : 제 1 돌조부 64b : 제 2 돌조부
P1 : 규제 핀 R1 : 수용통로
X1 : 제 1 자세 X2 : 제 2 자세

Claims (4)

  1. 스폿 용접용 전극을 복수 저장 가능한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을 그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형이면서 용접 건의 샹크 선단에 끼움 결합되는 감합 오목부가 동일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복수 병설한 상태로 수용 가능한 직선형 수용통로를 내부에 가지며, 당해 수용통로로 연통하는 전극 취출구가 일단에 형성된 수용 케이스와,
    상기 수용통로에 수용된 상태의 1개 또는 병설 상태의 복수 전극을 상기 수용통로의 일단 쪽으로 누르는 압력수단과,
    상기 수용통로에 수용된 상태의 상기 전극의 중심축과 동일 방향으로 이어지는 요동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상기 수용 케이스로 지지되며, 한쪽으로 요동하여 선단측이 상기 전극 취출구의 일부를 차단하는 제 1 자세와, 다른 쪽으로 요동하여 선단측이 상기 전극 취출구를 개방하는 제 2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한 레버부재와,
    상기 레버부재의 기단측과 상기 수용 케이스의 한쪽 측면 사이에 배설되어, 상기 레버부재가 한쪽으로 요동하도록 상기 레버부재의 기단측을 상기 수용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도록 부세(付勢)하는 부세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에는, 상기 레버부재를 상기 제 1 자세 및 제 2 자세 사이의 중간자세에서 한쪽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규제 핀을 삽입시켜 관통 가능한 핀 삽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의 일단측 측면에는, 상기 요동축을 따르는 방향에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 케이스를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판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한 쌍의 돌출판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를 피설치체에 장착하는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용 케이스의 장착이 가능한 설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 오목부에는, 상기 수용 케이스를 장착할 때 당해 수용 케이스를 안내하는 안내면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면 및 상기 수용 케이스의 한쪽에는,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기 설치 오목부로의 설치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안내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면 및 상기 수용 케이스의 다른 쪽에는, 상기 안내 홈에 끼움 결합 가능한 돌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

KR1020187021770A 2017-05-15 2017-05-15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 KR101960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8174 WO2018211555A1 (ja) 2017-05-15 2017-05-15 スポット溶接用電極格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485A KR20180130485A (ko) 2018-12-07
KR101960266B1 true KR101960266B1 (ko) 2019-07-15

Family

ID=60417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770A KR101960266B1 (ko) 2017-05-15 2017-05-15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37524B1 (ko)
EP (1) EP3427884B1 (ko)
JP (1) JP6236192B1 (ko)
KR (1) KR101960266B1 (ko)
CN (1) CN108778600B (ko)
CA (1) CA2986291C (ko)
WO (1) WO2018211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8014568A (es) 2016-12-12 2019-06-13 Kyokutoh Co Ltd Aparato de alojamiento de electrodos de soldadura por puntos.
BR112020025320B1 (pt) * 2018-06-12 2023-05-16 Doben Limited Estação de soldagem e método de operar uma estação de soldagem
JP7365640B2 (ja) 2020-02-10 2023-10-20 株式会社キョクトー スポット溶接用電極格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4182A (ja) 2009-12-17 2013-04-25 ブロイアー システムテクニク ゲーエムベーハー 電極キャップのためのマガジン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0816B2 (ko) * 1974-04-18 1980-06-05
JPH0588779U (ja) * 1992-05-07 1993-12-03 小原株式会社 チップチェンジャ
JPH0615886U (ja) * 1992-07-22 1994-03-01 小原株式会社 チップチェンジャ
CN101873906B (zh) * 2007-09-10 2013-01-23 新光机器株式会社 点焊机用电极触头的存储盒
ITTO20130746A1 (it) * 2013-09-13 2015-03-14 Sinterleghe S R L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per capsule elettrodo.
CN105377389B (zh) * 2014-04-17 2018-12-14 株式会社极动 点焊用电极收纳装置
CN205129164U (zh) * 2015-11-04 2016-04-06 上海法信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焊枪电极的存储及自动推送装置
CN106563876A (zh) * 2016-10-20 2017-04-19 南京君哲工业自动化有限公司 卷式弹簧电极帽储存单元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4182A (ja) 2009-12-17 2013-04-25 ブロイアー システムテクニク ゲーエムベーハー 電極キャップのためのマガジン
KR101433814B1 (ko) 2009-12-17 2014-09-19 브뤄위어 시스템테히닉 게엠베하 전극 캡용 매거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485A (ko) 2018-12-07
EP3427884A4 (en) 2019-01-16
CN108778600A (zh) 2018-11-09
WO2018211555A1 (ja) 2018-11-22
EP3427884A1 (en) 2019-01-16
JPWO2018211555A1 (ja) 2019-06-27
EP3427884B1 (en) 2024-05-01
US10137524B1 (en) 2018-11-27
US20180326528A1 (en) 2018-11-15
JP6236192B1 (ja) 2017-11-22
BR112017026593A2 (pt) 2018-12-26
CN108778600B (zh) 2021-02-09
CA2986291A1 (en) 2018-01-16
CA2986291C (en)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266B1 (ko) 스폿 용접용 전극 하우징 장치
US8418347B2 (en) Wire termination tool and RJ jack for use therewith
US11837833B2 (en) Terminal holding device for crimp hand tool
CN108140980B (zh) 连接器嵌合构件及连接器嵌合构造
WO2021145171A1 (ja) コネクタ
US20210372020A1 (en) Feed dog mounting/unmounting mechanism and sewing machine
JP6387448B1 (ja) ハーネス側コネクタ及び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5617062B1 (ja) 端子台
CN109277629B (zh) 用于从载体条带移除端子的端子切割器
CA3024981C (en) Spot welding electrode housing apparatus
US20180241153A1 (en) Connector connecting device
JP7365640B2 (ja) スポット溶接用電極格納装置
WO2021145172A1 (ja) コネクタ
WO2021145173A1 (ja) コネクタ
JPH09102356A (ja) ゴム栓装着具
JP2015018623A (ja) コネクタ
JP4431165B2 (ja) コネクタ
JP2008059923A (ja) コネクタ接続構造
JP5646273B2 (ja) コネクタ
JP2018094581A (ja) スポット溶接用電極格納装置
JPH09134774A (ja) リテーナ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