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008B1 -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008B1
KR101960008B1 KR1020180122435A KR20180122435A KR101960008B1 KR 101960008 B1 KR101960008 B1 KR 101960008B1 KR 1020180122435 A KR1020180122435 A KR 1020180122435A KR 20180122435 A KR20180122435 A KR 20180122435A KR 101960008 B1 KR101960008 B1 KR 101960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large box
article
packaged
transfer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영
서도찬
김대용
이윤우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효원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효원기계(주)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to KR102018012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08Forming three-dimensional containers from sheet material
    • B65B43/10Forming three-dimensional containers from sheet material by folding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2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5/024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for making containers from preformed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5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 B65B51/067Applying adhesive tape to the closure flaps of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00Labelling flat essentially-rigid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15Reciprocating stop, moving up or down in the path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자동 이송 시스템에서, 물품의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물품의 외부를 버블랩로 감싼 포장 물품을 적하부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품(P)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상에서 물품(P)의 외면을 버블랩(A)으로 포장한 포장 물품(P')을 적하부(800)로 이송하기 위한 포장 물품(P')의 적하부 이송 장치에 있어서, 제2 컨베이어(200)로부터 이송되는 포장 물품(P')을 잡아서 방향을 전환하여 제3 컨베이어(300) 또는 제4 컨베이어(400)로 공급하는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과, 상기 제3 컨베이어(300)는 제2 컨베이어(200)와 ㄱ자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제4 컨베이어(400)는 제2 컨베이어(200)와 T자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제3 컨베이어(300)와는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이 포장 물품(P)을 상기 제3 컨베이어(300)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포장 물품(P') 자체를 이송 방향만 바꾸어 공급하며,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이 포장 물품(P)을 상기 제4 컨베이어(400)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포장 물품(P')을 이송 방향을 바꾸면서 대형 상자(B)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물품(P')의 적하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PACKAGED GOODS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컨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자동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물품의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물품의 외부를 버블랩으로 감싼 포장 물품을 적하부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방향 전환 이송 로봇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두개 라인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포장 물품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포장 물품을 별도의 대형 상자에 포장하여 이송하는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품을 이송할 때, 이송 중에 물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 상자 내에서 물품이 움직이지 않고 또한 외부의 충격에 의해 물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포장 상자의 내부 공간에 물품과 함께 버블랩를 넣어 포장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물건의 종류에 따라서, 또한 이송 중의 포장체의 파손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물품을 외부에서 버블랩 등의 완충재로 포장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또한, 배송을 위한 사정 포장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을 하게 되면, 여러 명이 분담하여 소포장 물품의 포장을 한다고 해도 생산성 측면에서는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았다.
컨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포장 시스템의 종래기술로,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576831호(1998. 5. 1. 공개)에 기재된 포장장치에는, 반송 장치와, 그 반송 장치의 후방에 접속되는 반송 구역과, 반송 구역의 일측에 인접시켜 피포장물 포장재의 시일 절단 수단과, 상기 반송 구역과 시일 절단 수단 사이에 포장재 공급수단을 구비하여 물품을 포장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3-77817호(1993. 3. 30. 공개)에 기재된 슈링크 포장기의 자동 사이즈 교체 장치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제품 길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그 검출 신호에 의해 시일 폭 및 롤러 간격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시일 폭 조정구 및 롤러 폭 조정구를 구비하여 포장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보 제4355171호(2009.10.28. 공고)에 기재된 자동포장기의 스토퍼 장치에는, 피포장물의 크기에 따른 피포장물의 중앙 부위에 접촉하는 스토퍼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스토퍼 조정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8-297616호(1998. 11. 10. 공개)에 기재된 필름 용착, 절단 장치에는, 제1 시일대에 필름 포장기의 이송 방향에 떨어지게 마련된 한 쌍의 제1 시일부와, 이 한 쌍의 제1 시일부와 각각 마주하는 제2 시일부를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시일구 사이에 커터 수단을 구비하여 포장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공보 제1497142호(2015. 03. 03. 공고)에 기재된 로봇을 이용한 포장용 이송 시스템에는, 다수의 제품을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와, 공급 컨베이어와 교차 배치되는 어태치 컨베이어를 배치하고 진공 흡착을 통한 로봇팔을 이용하여, 박스에 물품을 공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576831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3-77817호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보 제4355171호 특허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8-297616호 특허문헌 5 : 특허공보 제149714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포장 시스템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컨베이어를 이용한 포장 물품 자동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버블랩으로 포장되어 이송되는 포장 물품을 적하부로 이송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포장 물품을 필요에 따라, 두개의 컨베이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포장 물품을 적하부로 이송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버블랩으로 포장되어 이송되는 포장 물품을 대형 상자로 공급하고, 포장 한 후에 대형 상자를 적하부에 공급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 물품을 대형 상자에 포장하는 경우에 포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향 전환 이송 로봇을 이용하는 경우에 포장 물품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흡착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최소한의 공간을 가지며, 포장 물품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최적의 컨베이어를 배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1] 물품(P)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상에서 물품(P)의 외면을 버블랩(A)으로 포장한 포장 물품(P')을 적하부(800)로 이송하기 위한 포장 물품(P')의 적하부 이송 장치에 있어서, 제2 컨베이어(200)로부터 이송되는 포장 물품(P')을 잡아서 방향을 전환하여 제3 컨베이어(300) 또는 제4 컨베이어(400)로 공급하는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과, 상기 제3 컨베이어(300)는 제2 컨베이어(200)와 ㄱ자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제4 컨베이어(400)는 제2 컨베이어(200)와 T자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제3 컨베이어(300)와는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이 포장 물품(P')을 상기 제3 컨베이어(300)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포장 물품(P') 자체를 이송 방향만 바꾸어 공급하며,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이 포장 물품(P')을 상기 제4 컨베이어(400)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포장 물품(P')을 이송 방향을 바꾸면서 대형 상자(B)에 적재하며, 상기 제4 컨베이어(400)의 시작부에는 제함기(410)가 설치되고, 상기 제함기(410)에서 제함된 대형 박스(B)가 제4 컨베이어(400)를 따라 이송되며, 상기 제함기(410)와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의 사이에는 제1 걸림판(420)과 제2 걸림판(430)을 설치하며, 상기 제1 걸림판(420)은, 상기 제함기(410)와 가까운 측에 설치되어, 제함기로부터 공급되는 상자를 한 개씩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측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제4 컨베이어(400) 상에서 상, 하 이동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제2 걸림판(430)은,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이 포장 물품(P')을 대형 대형 상자(B)에 투입하는 동안에 상자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제4 컨베이어(400) 상에 상, 하 이동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대형 상자(B)가 제2 걸림판(430)에 걸려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이 상기 대형 상자(B)에 포장 물품(P')을 투입할 때, 상기 포장 물품(P')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대형 상자(B)의 플랩을 벌려주는 대형 상자 플랩 벌림부(450)를 더 가지며, 상기 대형 상자 플랩 벌림부(450)는, 대형 상자(B)의 대각선 모서리 방향으로 2개 설치되며, 제함기(410)쪽의 플랩 벌림부(450)에는 대형 상자 유도 가이드(440)를 더 설치하여 대형 상자(B)가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제3 컨베이어(300)와 제4 컨베이어(400)는 선택적으로 가동되며, 상기 제3 컨베이어(300) 또는 제4 컨베이어(400)의 가동은,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의 운동 범위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은, 일측에 진공 흡착부(710)를 가지며, 제2 컨베이어(200)의 끝단부에서 상기 포장 물품(P')을 진공 흡착부(710)로 흡착하며, 상기 진공 흡착부(710)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높이가 다르고, 또한, 상기 진공 흡착부(710)의 흡착관에는 각각 스프링(72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4]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대형 상자(B)에 다수개의 포장 물품(P')이 적재된 후에는, 상기 제2 걸림판(430)이 제4 컨베이어(400)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대형 상자(B)가 제4 방향(D4)으로 대형 상자 포장 장치(460)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되는 대형 상자(B)는 대형 상자 포장 장치(460)에 포장되고, 적하부(800)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대형 상자 포장 장치(460)는, 이송되어 오는 대형 상자(B)를 제4 컨베이어(400)의 중앙부로 유도하는 중앙 유도부(461)와, 중앙으로 유도된 대형 상자(B)의 플랩을 접어주는 플랩 접음부(462)와, 접혀진 플랩을 테이핑하는 테이핑부(46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6]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대형 상자 포장 장치(460)의 후방에는 라벨 부착 장치를 설치하여, 대형 상자 포장 장치(460)에서 포장된 대형 상자(B)를 적하부(800)에 공급하기 전에 대형 상자(B)에 포장된 포장 물품(P')에 대한 정보를 라벨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하여, 컨베이어를 이용한 포장 물품 자동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버블랩으로 포장되어 이송되는 포장 물품을 적하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포장 물품을 필요에 따라, 두개의 컨베이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포장 물품을 적하부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블랩으로 포장되어 이송되는 포장 물품을 대형 상자로 공급하고, 포장 한 후에 대형 상자를 적하부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 물품을 대형 상자에 포장하는 경우에 포장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향 전환 이송 로봇의 흡착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포장 물품의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소한의 공간을 가지며, 포장 물품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최적의 컨베이어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포장 물품을 집중적으로 생산하여 저장하는 사전 포장 작업을 하거나, 또는 대형 박스에 포장 물품을 직접 투입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선택적으로 컨베이어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버블랩 포장 물품 자동 이송 시스템의 평면도.
도 2는 방향 전환 로봇 및 제3 컨베이어, 제4 컨베이어의 일부 평면도.
도 3은 제4 컨베이어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대형 상자 포장 장치의 상면도.
도 4는 대형 상자 플랩 벌림부 주변의 상면도.
도 5는 제2 컨베이어, 제4 컨베이어(대형 상자 플랩 벌림부 작동 전)의 측면도.
도 6은 제2 컨베이어, 제4 컨베이어(대형 상자 플랩 벌림부 작동 중)의 측면도.
도 7은 실시예 1의 방향 전환 이송 로봇의 흡착부가 제4 컨베이어 상에 위치한 경우의 측면도.
도 8은 실시예 1의 방향 전환 이송 로봇의 흡착부가 제2 컨베이어 상에 위치한 경우의 측면도.
도 9는 실시예 1의 방향 전환 이송 로봇의 흡착부의 상세도.
도 10은 실시예 1의 방향 전환 이송 로봇의 흡착부 한 개로 포장 물품을 흡착하여 이송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실시예 2의 방향 전환 이송 로봇의 흡착부가 제4 컨베이어 상에 위치한 경우의 측면도.
도 12는 실시예 2의 방향 전환 이송 로봇의 흡착부가 제2 컨베이어 상에 위치한 경우의 측면도.
도 13은 실시예 2의 방향 전환 이송 로봇의 흡착부의 상세도.
도 14는 실시예 2의 방향 전환 이송 로봇의 흡착부 세 개로 포장 물품을 흡착하여 이송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본 발명은, 물류센터에서 물품(P)을 배송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물품(P)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품(P)의 외면을 버블랩(A)으로 포장하고, 외면이 버블랩(A)으로 포장된 포장 물품(P')을 적하부(800)로 공급하는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포장 물품(P')을 대형 상자(B)에 다수개씩 포장하여 적하부(800)로 공급하는 장치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물품(P)은, 일반적으로 상품(내용물)을 포장한 상자체일 수 있다. 그렇지만, 상품(내용물) 그 자체인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물품(P)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재료로 버블랩(A)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반드시 버블랩(A)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품(P)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물건으로의 치환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포장 물품(P')의 적하부 이송장치에 의하여, 버블랩(A)으로 포장된 포장 물품(P')이 이송되어 적하부에 도달하게 되면, 적하부에 모아진 포장 물품(P')을 배송처로 보내기 위한 별도의 분류 작업이 다른 공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1 내지 도 14를 살펴보면서, 본 발명의 구성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물품(P)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상에서 물품(P)의 외면을 버블랩(A)으로 포장한 포장 물품(P')을 적하부(800)로 이송하기 위한 포장 물품(P')의 적하부 이송 장치에 있어서,
제2 컨베이어(200)로부터 이송되는 포장 물품(P')을 잡아서 방향을 전환하여 제3 컨베이어(300) 또는 제4 컨베이어(400)로 공급하는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과, 상기 제3 컨베이어(300)는 제2 컨베이어(200)와 ㄱ자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제4 컨베이어(400)는 제2 컨베이어(200)와 T자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제3 컨베이어(300)와는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이 포장 물품(P')을 상기 제3 컨베이어(300)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포장 물품(P') 자체를 이송 방향만 바꾸어 공급하며,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이 포장 물품(P')을 상기 제4 컨베이어(400)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포장 물품(P')을 이송 방향을 바꾸면서 대형 상자(B)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물품(P')의 적하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이루는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 컨베이어(100), 버블랩 포장 장치(500), 제2 컨베이어(200)]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나있는 제1 컨베이어(100)와 버블랩 포장 장치(500)를 필수구성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포장 물품(P')이 제2 컨베이어(200)로부터 공급되는 것이라면, 그 이전의 공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때, 상기 포장 물품(P')은 버블랩(A)으로 포장된 것이지만 라벨은 부착된 것일 수도 있으며, 라벨이 부착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도 1에는 제2 컨베이어(200)에 라벨 부착 장치(600)가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라벨 부착 장치(600)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 상기 라벨 부착 장치(600)를 제4 컨베이어(400)의 끝단부에 설치된 대형 상자 포장 장치(460)의 후방에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서의 제2 컨베이어(200)는 포장 물품(P')이 이송되는 컨베이어를 일컫는 것이다.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
본 발명의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예 1과, 도 11 내지 14에 나타내는 실시예 2로 나누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은, 제2 컨베이어(200)의 끝단부 주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 컨베이어(200) 상에서 버블랩(A)으로 포장된 포장 물품(P')을 제3 컨베이어(300) 또는 제4 컨베이어(400)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은,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상기 도면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은, 제2 컨베이어(200)로부터 포장 물품(P')을 진공 흡착하여 제3 컨베이어(300) 또는 제4 컨베이어(400)로 이송시킨다.
또한, 도 9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은 일측에 진공 흡착부(710)를 가지며, 도 8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2 컨베이어(200)의 끝단부에서 상기 포장 물품(P')을 진공 흡착부(710)로 흡착하며, 상기 진공 흡착부(710)는 적어도 2개를 구비하고, 진공 흡착부(710)는 각각 높이가 다르고, 또한, 상기 진공 흡착부(710)의 흡착관에는 각각 스프링(720)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72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진공 흡착부(710)의 상, 하 탄성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진공 흡착부(710)를 2개 이상으로 구비하는 이유는, 작은 포장 물품(P')의 경우에는 하나의 진공 흡착부(710)만을 사용하고, 큰 포장 물품(P')의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진공 흡착부(710)를 사용하여, 제3 컨베이어(300) 또는 제4 컨베이어(40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작은 포장 물품(P')을 한개의 진공 흡착부(710)만으로 흡착 이송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은, 도 11 내지 도 14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상기 도면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은, 제2 컨베이어(200)로부터 포장 물품(P')을 진공 흡착하여 제3 컨베이어(300) 또는 제4 컨베이어(400)로 이송시킨다.
또한, 도 1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은 일측에 진공 흡착부(710')를 가지며, 도 1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2 컨베이어(200)의 끝단부에서 상기 포장 물품(P')을 진공 흡착부(710')로 흡착하며, 상기 진공 흡착부(710')는 3개를 삼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같은 높이로, 또한, 상기 진공 흡착부(710')의 흡착관에는 각각 스프링(720)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72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진공 흡착부(710')의 상, 하 탄성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진공 흡착부(710')를 3개로 구비하는 이유는, 포장 물품(P')의 크기에 관계없이, 삼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같은 높이로 3개의 진공 흡착부(710)를 설치하므로, 포장 물품(P')을 균형이 잡힌 상태로 확실하게 흡착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는 포장 물품(P')을 3개의 진공 흡착부(710')로 흡착 이송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3 컨베이어(300)]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에 의하여, 제2 컨베이어(200)로부터 포장 물품(P')을 제3 컨베이어(300)로 이송하는 것이다. 상기 제3 컨베이어(300)에서는 포장 물품(P')을 제3 방향(D3)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컨베이어(300)의 끝단부에서는 이송되는 포장 물품(P')을 적하부(800)에 적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컨베이어(300)의 끝단부에서 적하된 포장 물품(P')은 배송처로 배송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는 다른 장치들에 의하여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컨베이어(400)]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에 의하여 포장 물품(P')을 제4 컨베이어(400)로 이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4 컨베이어(400)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상기 도면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4 컨베이어(400)는 상기 제3 컨베이어(300)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의 회전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컨베이어(400)는,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에 의하여 포장 물품(P')을 이송받아서, 제4 컨베이어(400)의 끝단부로 포장 물품(P')을 이송하고, 포장 물품(P')은 적하부(800)에 적하된다.
또한, 상기 적하된 포장 물품(P')은 배송처로 배송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는 다른 장치들에 의하여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컨베이어(400)의 시작부에는 제함기(410)를 설치하여, 제함된 대형 상자(B)들이 제4 방향(D4)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4 컨베이어(400)의 시작부에서 이송되어 오는 대형 상자(B)에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에 의하여 흡착된 포장 물품(P')이 투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4 컨베이어(400)는, 제함기(410)에 의하여 제함된 대형 상자(B)가 이송되는 경우에 방향 전환 이송로봇(700)측으로 접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일부 구간에서 이송 롤러들의 각도를 다르게 조정한다
또한, 상기 제함기(410)와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 사이에는 제함기(410)에서 제함된 대형 상자(B)가 하나씩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걸림판(420)을 설치한다.
상기 제1 걸림판(420)은, 제4 컨베이어(400) 상에서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대형 상자(B)를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걸림판(42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대형 상자(B)를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 측으로 이동시키기는 경우에는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1 걸림판(420)을 지나서 제4 컨베이어(400)로 대형 상자(B)가 이송되면,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에 의해 흡착된 포장 물품(P')이 대형 상자(B)에 투입되는 동안 대형 상자(B)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2 걸림판(430)을 설치한다. 이 때 상기 제2 걸림판(430)의 동작은 제1 걸림판(420)의 동작과 같은 방법으로 상, 하 이동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형 상자(B)에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이 흡착한 포장 물품(P')을 투입시키는데 있어서, 투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걸림판(430)에 의해 걸려 고정된 대형 상자(B)의 플랩을 벌린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대형 상자 플랩 벌림부(450)를 설치한다.
상기 대형 상자 플랩 벌림부(450)는, 대형 상자(B)의 대각선 측으로 양쪽에 설치되며, 끝 부분이 V자로 이루어지는 힌지팔을 갖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힌지팔이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상자의 플랩을 벌려주게 되어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에 의해 흡착된 포장 물품(P')이 대형 상자(B)에 투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대형 상자 플랩 벌림부(450)의 제함기(410)측 부분에는 대형 상자(B)가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대형 상자 유도 가이드(440)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대형 상자(B)에는 다수개의 포장 물품(P')이 채워지도록 하며, 다수개의 포장 물품(P')이 채워지면, 상기 포장 상자(B)는 제4 컨베이어(400)의 제4 방향(D4)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4 컨베이어(400)의 끝단부측에는, 대형 상자 포장 장치(460)가 설치된다.
상기 대형 상자 포장 장치(460)는, 상기 제4 컨베이어(400)에서 이송되는 대형 상자(B)를 제4 컨베이어(400)의 중앙측으로 유도하는 중앙 유도부(461)와, 상기 중앙 유도부(461)에 의하여 유도되는 상자의 플랩을 접어주는 상자 플랩 접음부(462)와, 접혀진 플랩 부분을 테이핑하여 포장을 완료하는 테이핑부(463)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형 상자 포장 장치(460)를 지나면 제4 컨베이어(400)의 끝단부에는, 이송되어 오는 대형 상자(B)를 적하하는 적하부(800)가 마련된다. 또한, 적하된 대형 상자(B)들은, 배송처로 배송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는 다른 장치들에 의하여 이송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4 컨베이어(400)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라벨 부착 장치(600)를 상기 대형 상자 포장 장치(460)의 후방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기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P : 물품
P' : 포장 물품
B : 대형 상자
100 : 제1 컨베이어
D1 : 제1 방향
200 : 제2 컨베이어
D2 : 제2 방향
300 : 제3 컨베이어
D3 : 제3 방향
400 : 제4 컨베이어
D4 : 제4 방향
410 : 제함기
420 : 제1 걸림판
430 : 제2 걸림판
440 : 대형 상자 유도 가이드
450 : 대형 상자 플랩 벌림부
460 : 대형 상자 포장 장치
461 : 중앙 유도부
462 : 상자 플랩 접음부
463 : 테이핑부
500 : 버블랩 자동 포장 장치
600 : 라벨 부착 장치
700 : 방향 전환 이송 로봇
710, 710' : 진공 흡착부
711, 711' : 제1 진공 흡착부
712, 712' : 제2 진공 흡착부
720, 720' : 스프링
721, 721' : 제1 스프링
722, 721' : 제2 스프링
723' : 제3 스프링
800 : 적하부

Claims (9)

  1. 물품(P)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상에서 물품(P)의 외면을 버블랩(A)으로 포장한 포장 물품(P')을 적하부(800)로 이송하기 위한 포장 물품(P')의 적하부 이송 장치에 있어서,
    제2 컨베이어(200)로부터 이송되는 포장 물품(P')을 잡아서 방향을 전환하여 제3 컨베이어(300) 또는 제4 컨베이어(400)로 공급하는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과,
    상기 제3 컨베이어(300)는 제2 컨베이어(200)와 ㄱ자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제4 컨베이어(400)는 제2 컨베이어(200)와 T자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제3 컨베이어(300)와는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이 포장 물품(P')을 상기 제3 컨베이어(300)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포장 물품(P') 자체를 이송 방향만 바꾸어 공급하며,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이 포장 물품(P')을 상기 제4 컨베이어(400)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포장 물품(P')을 이송 방향을 바꾸면서 대형 상자(B)에 적재하며,
    상기 제4 컨베이어(400)의 시작부에는 제함기(410)가 설치되고, 상기 제함기(410)에서 제함된 대형 박스(B)가 제4 컨베이어(400)를 따라 이송되며,
    상기 제함기(410)와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의 사이에는 제1 걸림판(420)과 제2 걸림판(430)을 설치하며,
    상기 제1 걸림판(420)은, 상기 제함기(410)와 가까운 측에 설치되어, 제함기로부터 공급되는 상자를 한 개씩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측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제4 컨베이어(400) 상에서 상, 하 이동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제2 걸림판(430)은,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이 포장 물품(P')을 대형 대형 상자(B)에 투입하는 동안에 상자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제4 컨베이어(400) 상에 상, 하 이동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대형 상자(B)가 제2 걸림판(430)에 걸려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이 상기 대형 상자(B)에 포장 물품(P')을 투입할 때, 상기 포장 물품(P')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대형 상자(B)의 플랩을 벌려주는 대형 상자 플랩 벌림부(450)를 더 가지며,
    상기 대형 상자 플랩 벌림부(450)는, 대형 상자(B)의 대각선 모서리 방향으로 2개 설치되며, 제함기(410)쪽의 플랩 벌림부(450)에는 대형 상자 유도 가이드(440)를 더 설치하여 대형 상자(B)가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컨베이어(300)와 제4 컨베이어(400)는 선택적으로 가동되며,
    상기 제3 컨베이어(300) 또는 제4 컨베이어(400)의 가동은,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의 운동 범위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이송 로봇(700)은, 일측에 진공 흡착부(710)를 가지며, 제2 컨베이어(200)의 끝단부에서 상기 포장 물품(P')을 진공 흡착부(710)로 흡착하며,
    상기 진공 흡착부(710)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높이가 다르고, 또한, 상기 진공 흡착부(710)의 흡착관에는 각각 스프링(72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상자(B)에 다수개의 포장 물품(P')이 적재된 후에는, 상기 제2 걸림판(430)이 제4 컨베이어(400)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대형 상자(B)가 제4 방향(D4)으로 대형 상자 포장 장치(460)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되는 대형 상자(B)는 대형 상자 포장 장치(460)에 포장되고, 적하부(800)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상자 포장 장치(460)는, 이송되어 오는 대형 상자(B)를 제4 컨베이어(400)의 중앙부로 유도하는 중앙 유도부(461)와, 중앙으로 유도된 대형 상자(B)의 플랩을 접어주는 플랩 접음부(462)와, 접혀진 플랩을 테이핑하는 테이핑부(46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상자 포장 장치(460)의 후방에는 라벨 부착 장치를 설치하여, 대형 상자 포장 장치(460)에서 포장된 대형 상자(B)를 적하부(800)에 공급하기 전에 대형 상자(B)에 포장된 포장 물품(P')에 대한 정보를 라벨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122435A 2018-10-15 2018-10-15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 KR101960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435A KR101960008B1 (ko) 2018-10-15 2018-10-15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435A KR101960008B1 (ko) 2018-10-15 2018-10-15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008B1 true KR101960008B1 (ko) 2019-03-19

Family

ID=6590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435A KR101960008B1 (ko) 2018-10-15 2018-10-15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00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7817A (ja) 1991-09-12 1993-03-30 Dainippon Printing Co Ltd シユリンク包装機の自動サイズ替え装置
JPH0592385A (ja) * 1991-03-18 1993-04-16 Bridgestone Corp 帯状部材の吸着具および吸着装置
JP2576831Y2 (ja) 1995-03-16 1998-07-16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包装装置
JPH10297616A (ja) 1997-04-23 1998-11-10 Tokyo Kikai Seisakusho Ltd フィルム溶着・切断装置
KR19990009241U (ko) * 1997-08-19 1999-03-15 윤종용 3단 스토퍼 롤러 컨베이어장치
JP4355171B2 (ja) 2003-05-22 2009-10-28 昌弘機工株式会社 自動梱包機のストッパー装置
KR101497142B1 (ko) 2013-09-02 2015-03-03 이익재 로봇을 이용한 포장용 이송 시스템
KR101502791B1 (ko) * 2014-11-13 2015-03-24 (주)로픽 물티슈가 포장된 낱개 포장용기를 운송박스에 적재하기 위한 자동화 설비
JP2016175649A (ja) * 2015-03-18 2016-10-06 株式会社イシダ 箱詰装置
US9481516B1 (en) * 2013-03-15 2016-11-01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Robotic sort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385A (ja) * 1991-03-18 1993-04-16 Bridgestone Corp 帯状部材の吸着具および吸着装置
JPH0577817A (ja) 1991-09-12 1993-03-30 Dainippon Printing Co Ltd シユリンク包装機の自動サイズ替え装置
JP2576831Y2 (ja) 1995-03-16 1998-07-16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包装装置
JPH10297616A (ja) 1997-04-23 1998-11-10 Tokyo Kikai Seisakusho Ltd フィルム溶着・切断装置
KR19990009241U (ko) * 1997-08-19 1999-03-15 윤종용 3단 스토퍼 롤러 컨베이어장치
JP4355171B2 (ja) 2003-05-22 2009-10-28 昌弘機工株式会社 自動梱包機のストッパー装置
US9481516B1 (en) * 2013-03-15 2016-11-01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Robotic sortation system
KR101497142B1 (ko) 2013-09-02 2015-03-03 이익재 로봇을 이용한 포장용 이송 시스템
KR101502791B1 (ko) * 2014-11-13 2015-03-24 (주)로픽 물티슈가 포장된 낱개 포장용기를 운송박스에 적재하기 위한 자동화 설비
JP2016175649A (ja) * 2015-03-18 2016-10-06 株式会社イシダ 箱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3240B2 (ja) 個体物品を筒状袋体包装ステーションに供給する装置ならびに方法
CA2255090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handling, in particular, soft film packs
KR102097364B1 (ko) 포장용 봉투 자동 패킹장치
JP7199686B2 (ja) 箱詰め装置
JPH0343323A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の小型パックのグループのハンドル形態をなす大型ユニット製品の製造装置
US11117749B2 (en) Apparatus for handling articles as well as method for exchanging at least one transport module and at least one work module of the apparatus
CN113272228B (zh) 用于将薄膜包装在物品周围的包装机
KR101960008B1 (ko) 포장 물품의 적하부 이송 장치
KR101960025B1 (ko) 버블랩 자동 포장 장치
KR101938813B1 (ko) 묶음 포장 장치
US5862649A (en) Method and device for packaging cans or tubes
KR101960013B1 (ko) 버블랩 포장 물품 자동 이송 시스템
JP6889034B2 (ja) 物品の取出し取扱い方法
JP7388983B2 (ja) 箱詰装置
KR20200089466A (ko) 제품 밴딩기
JP7465730B2 (ja) 持替装置
EP35973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flow pack packaging of long pasta
JP3907003B2 (ja) 包装装置
JP2003200904A (ja) 梱包装置
JP4563262B2 (ja) 容器への物品装着装置及び物品装着方法
JP6257311B2 (ja) フィルム材供給装置、それを有する食材包装装置およびフィルム材供給方法
JP7293751B2 (ja) 搬送装置
JP5964596B2 (ja) 搬送設備、及び、カートナー又は、段ボールケーサー
KR102469531B1 (ko) 자동 종이상자 포장장치
JPH0457707A (ja) 物品の集積箱詰装置における内外フラップ開放閉鎖方法および開放閉鎖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