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654B1 - 고정 프레임 - Google Patents

고정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654B1
KR101959654B1 KR1020177028807A KR20177028807A KR101959654B1 KR 101959654 B1 KR101959654 B1 KR 101959654B1 KR 1020177028807 A KR1020177028807 A KR 1020177028807A KR 20177028807 A KR20177028807 A KR 20177028807A KR 101959654 B1 KR101959654 B1 KR 101959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frame
race
gripping member
fast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8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5962A (ko
Inventor
츠-신 자이
Original Assignee
츠-신 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신 자이 filed Critical 츠-신 자이
Publication of KR2017012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물건을 클램핑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 레이스 및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는 물건의 적어도 2개의 사이드들에 분리되게 배치되고 고정 위치와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단단하게 묶여지거나 느슨하게 될 수 있다. 프레임 본체가 릴리스 위치에 있을 때 물건은 릴리스되고, 프레임 본체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물건은 프레임 본체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레이스는 프레임 본체에 한정되게 꿰어진다.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는 레이스에 커플링된다. 프레임 본체는 릴리스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까지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에 의해 고정 방향을 따라 느슨하게 되고, 프레임 본체는 고정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까지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에 의해 릴리스되어 레이스를 느슨하게 한다.

Description

고정 프레임
본 개시는 물건을 클램핑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물건을 고정하기 위해 레이스(lace)를 감기 위한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고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물건을 클램핑하기 위해 프레임을 사용하는 고정 디바이스는 시장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프레임은 물건을 보호하거나 다른 부품들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고정 디바이스는 휴대폰 또는 룸미러의 보조 서포터의 보호 케이스일 수 있다. 물건과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더라도, 물건은 큰 충격이 주어지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물건과 프레임을 단단히 연결하기 위하여, 벨트 또는 스크류가 이용되어 물건과 프레임 사이의 연결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다양한 방식들과 부품들이 연결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프레임을 조립 또는 분리하기 곤란하다. 프레임을 조립 또는 분리하기 위해 많은 단계들을 거치거나 특수한 도구들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프레임의 사용은 제한된다.
프레임을 조립 또는 분리하기 위한 단계들을 간소화하기 위해 지그재그날(staggered tooth)을 가진 스트랩(strap)이 개발되었다. 치차들 사이의 거리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이 물건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없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레이스 및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고정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레이스는 고정 프레임을 물건에 단단하게 연결하기 위해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에 결합되고, 물건은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릴리스되지 않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단지 회전시킴으로써 물건에 조립되거나 물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레이스가 단계를 거치지 않고(stepless)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기술된 고정 프레임은 휴대폰 케이스와 같은 보호 케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룸미러, 사진 걸이 또는 TV 걸이와 같은 물건의 서포터(supporter)로서 사용될 수 있다. 물건은 특정 제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건은 휴대폰, 패드, 대쉬보드 카메라, 또는 GPS와 같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 LCD 또는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고정 디스플레이, 또는 그림 또는 포스터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제품일 수 있다.
물건을 클램핑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 레이스 및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는 물건의 적어도 2개의 사이드들 상에 분리되게 위치되고 고정 위치와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릴리스되거나 오므려진다(retracted). 프레임 본체가 릴리스 위치일 때 물건은 릴리스될 수 있고, 프레임 본체가 고정 위치일 때 물건은 프레임 본체에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레이스는 프레임 본체에 한정되게 꿰어진다(threaded).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는 레이스에 결합된다. 프레임 본체는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고정 방향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릴리스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까지 오므려지고, 프레임 본체는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회전시켜 레이스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고정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로 릴리스된다.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레이스는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스무스하게 오므려질 수 있고, 프레임은 고정 위치와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단계없이(stepless) 릴리스되거나 오므려질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은 물건이 프레임으로부터 릴리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건에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프레임과 물건을 고정하기 위해 특수한 도구(예, 스크류 드라이버)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일 예에서, 릴리스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레이스는 완전히 릴리스되거나 점차적으로 릴리스될 수 있다. 프레임은 릴리스 위치로 이동되어 물건이 릴리스되게 한다. 그러므로, 프레임은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물건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레이스가 점차적으로 릴리스될 수 있으면 고정 장력은 즉시 조절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는 릴리스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스는 릴리스 메커니즘을 작동시킴으로써 완전히 릴리스되거나 점차적으로 릴리스될 수 있다. 그러므로, 프레임은 릴리스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되어 물건을 릴리스시킬 수 있다.
일 예에서, 레이스는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에 분리되게 결합되고, 따라서, 끊어진 레이스 또는 파괴된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는 즉시에 교체될 수 있다.
물건을 클램핑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 레이스 및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는 물건의 적어도 2개의 사이드들 상에 분리 가능하게 위치되고 파지(clasping) 부재를 포함한다. 파지 부재는 프레임 본체 상에 슬라이딩되게 위치되고, 파지 부재는 고정 위치와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파지 부재가 릴리스 위치에 있을 때 물건은 릴리스될 수 있고, 파지 부재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물건은 프레임 본체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레이스는 프레임 본체와 파지 부재 사이에 한정되게 꿰어진다.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는 레이스 결합된다. 파지 부재는 고정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릴리스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까지 이동된다.
전술한 실시예를 통하여, 파지 부재는 레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 위치와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릴리스되거나 오므라들 수 있다. 그러므로, 프레임은 단단하고 신속하게 물건에 연결될 수 있고, 프레임의 조립이 더 쉬어진다.
일 예에서, 프레임 본체는 프레임 본체에 배치된 레일을 포함한다. 레일의 모양은 파지 부재에 상응하고, 파지 부재는 레일에 슬라이딩되게 배치된다. 그러므로, 파지 부재가 릴리스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무게 중심은 이동하지 않고, 물건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것이다.
일 예에서, 프레임 본체는 레이스가 프레임 본체를 통과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구멍들을 포함한다. 파지 부재는 레이스가 파지 부재를 통과하기 위한 안내 통로를 포함한다. 파지 부재는 레이스에 의해 링크되고 고정 위치와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레이스는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에 분리되게 결합된다. 레이스는 릴리스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한 고정 장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완전히 또는 점차적으로 릴리스될 수 있다.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는 릴리스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레이스는 릴리스 메커니즘을 작동시킴으로써 완전히 또는 점진적으로 릴리스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가 레이스와 조정될 때, 프레임 본체와 물건이 신속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본체가 물체를 보호할 수 있다.
2. 프레임 본체는 특수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조립 또는 분리될 수 있다.
3. 고정 프레임의 고정력과 고정 방법은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의 도움으로 물건의 형상에 따라 실시간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고정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고정 프레임의 부분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도 1의 고정 프레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도 4a의 고정 프레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도 5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고정 프레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기술될 것이다.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상세한 내용들이 아래에서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그러한 상세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상세한 내용은 불필요하다. 게다가, 도면들을 간소화시키기 위하여, 일부 앞선 구성요소들과 구조들은 도면들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예시될 것이고,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고정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고정 프레임의 부분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고정 프레임은 물건을 클램핑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100), 레이스(300) 및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400)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100)는 물건의 3개의 사이드들에 위치되어야 할 U-형상일 수 있거나, 프레임 본체(100)는 물건의 4개의 사이드들에 위치될 정사각-형상일 수 있으므로, 프레임의 형상은 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들(100)은 2개이고, 프레임 본체들(100)은 봉(rod)들로서 서로 평행하다. 그러나, 본 개시의 프레임 본체(100)는 봉-형상에 한정되어서는 안되고 프레임 본체들(100)은 갯수는 2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2개의 프레임 본체들(100)은 물건의 2개의 상응하는 사이드들 각각에 분리되게 배치된다. 프레임 본체들(100)은 고정 위치와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릴리스 또는 오므라들 수 있다. 프레임 본체들(100)이 릴리스 위치에 있을 때 물건은 릴리스될 수 있고, 프레임 본체들(100)이 고정 위치에 있을 때, 물건은 프레임 본체들(100)에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레이스(300)는 프레임 본체들(100)에 한정되게 꿰어진다.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400)는 레이스(300)에 결합된다. 프레임 본체들(100)은 고정 방향(T)을 따라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400)를 회전시킴으로써 릴리스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까지 오므라들고, 프레임 본체들(100)은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400)를 회전시켜 레이스(300)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고정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로 릴리스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들(100)의 각각은 2개의 레일들(110)과 2개의 파지 부재들(200)을 포함한다. 각각의 레일(110)은 각각의 파지 부재(200)에 상응하고, 각각의 파지 부재(200)는 각각의 레일(110)에 배치된다. 파지 부재(200)는 물건과 접촉하고, 프레임 본체들(200)은 고정 위치와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부재(200)는 슬라이딩 끝단(210)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끝단(210)은 I-형상이므로 파지 부재(200)는 분리되지 않으면서 레일(110) 상에 한정되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들(100)은 레이스(300)가 통과할 수 이TSms 다수의 관통 구멍들(120)을 포함한다. 파지 부재(200)는 레이스(300)가 파지 부재(300)를 통과하게 하는 안내 통로(220)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레이스(300)는 관통 구멍들(120)과 안내 통로(220)를 통해 프레임 본체들(100)과 파지 부재(200)를 링크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들(100)과 파지 부재(200)를 통과하는 레이스(300)는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400)에 분리되게 결합된다.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400)는 노브(410)와 하우징(420)을 포함한다. 레이스(300)는 고정 방향(T)을 따라 노브(410)를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420) 속으로 감겨질 수 있고, 프레임 본체들(100)은 레이스(300)에 의해 링크되어 릴리스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까지 이동될 것이고, 결과적으로, 프레임 본체들(100)이 물건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하우징(420)은 주변에 의한 간섭으로부터 레이스(30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노브(410)는 또한 릴리스 메커니즘일 수 있다. 릴리스 메커니즘의 작동에 따라, 릴리스 방향(L)을 따라 노브(410)의 회전을 포함하거나 레이스(300)를 완전히 또는 점진적으로 릴리스하기 위해 노브(410)를 잡아당기면, 릴리스(300)가 느슨하게 될 수 있다. 릴리스 메커니즘은 릴리스 기능을 달성하는 임의의 종류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한다. 도 4a는 도 1의 고정 프레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도 4a의 고정 프레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O)의 에지는 스무스하지 않고, 프레임 본체들(100)은 파지 부재(200)의 도움으로 물건(O)을 클램프할 수 있다.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400)가 고정 방향을 따라 회전될 때, 프레임 본체들(100)은 릴리스 위치(P1)로부터 고정 위치(P2)까지 이동한다. 물건(O)은 2개의 프레임 본체들(100) 사이에 클램프될 것이고, 파지 부재(200)는 프레임 본체들(100)과 물건(O)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물건(O)은 스무스한 에지들을 포함하는 휴대폰 또는 패드일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한다. 도 5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고정 프레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고정 프레임은 2개의 프레임 본체들(100), 레이스(300) 및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400)를 포함한다.
2개의 프레임 본체들(100)은 물건(O)의 2개의 사이드들에 분리되게 배치되고, 프레임 본체들(100)의 각각은 2개의 파지 부재(200)를 포함한다. 파지 부재(200)는 프레임 본체(100)에 슬라이딩되게 배치되고, 프레임 본체(100)는 2개의 인접 부재들(130)을 더 포함한다. 인접 부재들(130)은 파지 부재들(200)에 각각 상응한다. 파지 부재(200)는 고정 위치(P2)와 릴리스 위치(P1)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파지 부재(200)가 릴리스 위치에 있을 때 물건(O)이 릴리스되고, 파지 부재들(200)이 고정 위치에 있을 때 물건(O)은 인접 부재들(130)과 파지 부재들(200)에 의해 단단하게 클램프된다.
레이스(300)는 파지 부재(200)와 프레임 본체(100) 사이에서 한정되게 꿰어진다.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400)는 레이스(300)에 결합된다. 프레임 본체들(100)은 고정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400)를 회전시킴으로써 릴리스 위치(P1)로부터 고정 위치(P2)까지 오므라든다.
프레임 본체(100)는 2개의 레일들과 다수의 관통 구멍들을 포함한다. 파지 부재(200)가 레일에 슬라이딩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레일의 형상은 파지 부재(200)에 상응한다. 레이스(300)는 관통 구멍들을 통해 프레임 본체(100)를 통과한다. 게다가, 파지 부재(200)는 레이스(300)가 파지 부재(200)를 통과하게 하는 안내 통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파지 부재(200)는 레이스(300)에 의해 링크되어 프레임 본체(100)에 대하여 고정 위치(P2)와 릴리스 위치(P1)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의 관계는 도 2 및 도 3에서 기술된 실시예와 유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O)은 돌출 에지들을 포함하고, 물건은 고정 프레임의 프레임 본체(100)와 파지 부재(200)에 의해 고정된다.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400)가 고정 방향을 따라 회전될 때, 파지 부재(200)는 릴리스 위치(P1)로부터 고정 위치(P2)까지 이동할 것이고, 따라서, 물건(O)의 돌출 에지들은 프레임 본체(100)와 파지 부재(200) 사이에 클램프될 수 있고 프레임 본체(100)는 물건(O)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물건(O)은 사진 프레임, 사이드 미러 또는 룸미러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스(300)는 겹치지 않고 2개의 프레임 본체들(100)과 4개의 파지 부재에 꿰어지고, 레이스(300)는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400)에 결합된다.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400)가 고정 방향을 따라 회전될 때, 2개의 프레임 본체들(100)은 물건(O)의 2개의 사이드들에 신속하게 클램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스(300)는 프레임 본체들(100)의 어느 하나(제1 프레임 본체)의 꼭대기 사이드와 거기에 배치된 파지 부재 속으로 꿰이고 그 후, 페이스(300)는 다른 프레임 본체(100)(제2 프레임 본체)의 꼭대기 사이드와 거기에 배치된 파지 부재 속으로 꿰인다. 유사하게, 레이스(300)는 제1 프레임 본체(100)의 하부 사이드와 그것의 파지 부재(100)에 꿰인 후, 레이스(300)는 제2 프레임 본체(100)의 하부 사이드에 꿰인다. 그러므로,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400)가 고정 방향을 따라 회전될 때, 2개의 프레임 본체들(100)이 물건(O)의 2개의 사이드들을 신속하게 클램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4개의 파지 부재가 물건(O)에 동일한 힘을 줄 수 있으므로, 물건(O)은 불균형 하중 때문에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릴리스하지 않을 것이다. 고정 프레임은 물건의 4개의 코너들에 각각 배치된 4개의 프레임 본체들(100)을 포함할 수 있고, 물건(O)은 클램프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은 다른 디바이스 또는 요소를 물건(O)에 부착할 수 있는 보조 서포터일 수 있다.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400)는 사용 편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프레임 본체들(100)의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포함한다.
1.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가 레이스와 조정될 때, 프레임 본체와 물건이 신속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본체는 물건을 보호할 수 있다.
2. 프레임 본체는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특수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립 또는 분리될 수 있다.
3. 고정 프레임의 고정력과 방법은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의 도움으로 물체의 모양에 상응하게 실시간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개시는 그 특정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당히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거기에 한정되서는 아니된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개시의 범위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개시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과 개조들이 가능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관점에서, 본 개시는 이어지는 청구항들의 범위에 속하는 한 본 개시의 다양한 변경들과 개조들을 본 개시가 커버할 의도를 가진다.
100...프레임 본체
110...레일
120...관통 구멍
130...인접 부재
200...파지 부재
210...슬라이딩 끝단
220...안내 통로
300...레이스
400...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
410...노브
420...하우징

Claims (10)

  1. 물건을 클램핑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물건의 적어도 2개의 사이드들 상에 분리되게 위치되고, 고정 위치와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오므라들거나 릴리스되도록 되어 있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 상에 한정되게 꿰어진 레이스; 및
    상기 레이스에 결합된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가 릴리스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물건은 릴리스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본체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물건은 상기 프레임 본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고정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릴리스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까지 오므라들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회전시켜서 상기 레이스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상기 고정 위치로부터 상기 릴리스 위치까지 릴리스되고,
    상기 레이스는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에 분리되게 커플링된, 고정 프레임.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레이스는 느슨해지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점차적으로 릴리스되거나 완전히 릴리스되는, 고정 프레임.
  4. 청구항 1에서,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는 릴리스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스는 상기 릴리스 메커니즘을 작동시킴으로써 점차적으로 릴리스되거나 완전히 릴리스되는, 고정 프레임.
  5. 물건을 클램핑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물건의 적어도 2개의 사이드들 상에 분리되게 위치된 프레임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프레임 본체 상에 슬라이딩되게 위치되고, 고정 위치와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파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 부재가 릴리스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물건이 릴리스될 수 있고, 상기 파지 부재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물건이 상기 프레임 본체에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본체와 상기 파지 부재 사이에 한정되게 꿰어진 레이스; 및
    상기 레이스에 커플링된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지 부재는 고정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릴리스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까지 이동되는, 고정 프레임.
  6. 청구항 5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프레임 본체에 위치된 레일을 더 구비하고,
    상기 레일은 상기 파지 부재가 상기 레일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부재에 상응하게 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
  7. 청구항 5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레이스가 상기 프레임 본체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관통 구멍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 부재는 상기 레이스가 상기 파지 부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안내 통로를 구비하는, 고정 프레임.
  8. 청구항 5에서,
    상기 레이스는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에 분리되게 커플링된, 고정 프레임.
  9. 청구항 5에서,
    상기 레이스는 느슨해지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점차적으로 릴리스되거나 완전히 릴리스되는, 고정 프레임.
  10. 청구항 5에서,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 디바이스는 릴리스 메커니즘을 더 구비하고,
    상기 레이스는 상기 릴리스 메커니즘을 작동시킴으로써 릴리스되는, 고정 프레임.
KR1020177028807A 2015-04-08 2016-04-05 고정 프레임 KR101959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162707.7A CN106151780B (zh) 2015-04-08 2015-04-08 固定框架
CN201510162707.7 2015-04-08
PCT/CN2016/078445 WO2016161926A1 (zh) 2015-04-08 2016-04-05 固定框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962A KR20170125962A (ko) 2017-11-15
KR101959654B1 true KR101959654B1 (ko) 2019-03-18

Family

ID=5707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8807A KR101959654B1 (ko) 2015-04-08 2016-04-05 고정 프레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02248B2 (ko)
JP (1) JP6564055B2 (ko)
KR (1) KR101959654B1 (ko)
CN (2) CN106151780B (ko)
DE (1) DE112016001637B4 (ko)
WO (1) WO2016161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4274B2 (en) * 2016-12-14 2021-08-31 Volvo Truck Corporation Mirror assemblies for vehicles
WO2023172831A1 (en) * 2022-03-08 2023-09-14 Click Holdings, Llc Surface mount kits and related component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4230B2 (ja) * 1997-10-09 2000-04-17 サンポウロック販売株式会社 レバータンブラー方式のシリンダー錠
JP2001178524A (ja) 1999-12-27 2001-07-03 Masanobu Kitajima ノートパソコン用携帯具
US20120037783A1 (en) * 2010-08-11 2012-02-16 Christopher Alexander Adjustable Security Bracket
JP2012191179A (ja) 2011-03-11 2012-10-04 Kofukin Seimitsu Kogyo (Shenzhen) Yugenkoshi 支持スタンド
JP2013192085A (ja) 2012-03-14 2013-09-26 Fromwest Inc 携帯端末ホルダー
KR101502272B1 (ko) 2014-03-10 2015-03-12 맹용주 모바일 단말기용 가변형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66145A (ko) *
GB2090131A (en) * 1980-12-05 1982-07-07 Bourne Robert John Picture display apparatus
DE3626837A1 (de) * 1986-08-08 1988-02-11 Weinmann & Co Kg Drehverschluss fuer einen sportschuh, insbesondere skischuh
JPH0334230U (ko) * 1989-08-10 1991-04-04
JP2662852B2 (ja) * 1994-04-15 1997-10-15 北井 正雄 クレーンのハッカ
JP3034230U (ja) * 1996-07-31 1997-02-14 文 新 何 携帯電話機用スタンド
US7591050B2 (en) * 1997-08-22 2009-09-22 Boa Technology, Inc. Footwear lacing system
US7950112B2 (en) * 1997-08-22 2011-05-31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closure system
US6267390B1 (en) * 1999-06-15 2001-07-31 The Burton Corporation Strap for a snowboard boot, binding or interface
US6662986B2 (en) * 2001-10-05 2003-12-16 Nokia Corporation Mobile phone strap holder apparatus and method
US6708376B1 (en) * 2002-10-01 2004-03-23 North Safety Products Ltd. Length adjustment mechanism for a strap
JP4166094B2 (ja) * 2003-01-24 2008-10-15 戸田建設株式会社 玉掛けワイヤー装置
JP4874986B2 (ja) * 2004-10-29 2012-02-15 ボア テクノロジ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ケーブル締め付け機構およびその付勢方法
US20070128959A1 (en) * 2005-11-18 2007-06-07 Cooke John S Personal flotation device with adjustment cable system and method for tightening same on a person
WO2008033963A2 (en) * 2006-09-12 2008-03-20 Boa Technology, Inc. Closure system for braces, protective wear and similar articles
CN201465448U (zh) * 2009-06-19 2010-05-12 湖北三江航天双菱脚轮有限公司 行李手推车广告板固定框架
US8707486B2 (en) 2010-02-16 2014-04-29 Allen Medical Systems, Inc. Lacing system to secure a limb in a surgical support apparatus
CN202075823U (zh) * 2010-12-08 2011-12-14 杭州中瑞思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鞋类商品的防盗装置
DE102011053607A1 (de) * 2011-09-14 2013-03-14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Halter für ein elektronisches Gerät
DE102011054346B3 (de) * 2011-10-10 2013-04-04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Halter für ein elektronisches Gerät
US8695577B2 (en) * 2011-12-08 2014-04-15 Truglo, Inc. Bowstring release with adjustable wrist strap
JP5432296B2 (ja) 2012-02-01 2014-03-05 株式会社ティー・エス・シー カメラケース
CN202551576U (zh) * 2012-04-05 2012-11-21 湖南新亚胜科技发展有限公司 显示屏固定框
DE102012012881A1 (de) * 2012-06-28 2014-01-02 Bury Sp.Z.O.O Haltevorrichtung für eine tragbare Kommunikationseinrichtung
TW201405279A (zh) * 2012-07-20 2014-02-01 Ta Er Innovation Co Ltd 具有電源、解制雙工按鍵的行動通訊裝置保護夾制框
CN202935278U (zh) * 2012-07-25 2013-05-15 东莞市骏瑞五金制品有限公司 车上免持装置框架固定器
US20150151070A1 (en) * 2013-12-04 2015-06-04 Boa Technology Inc. Closure methods and devices for head restraints and masks
TWM479374U (zh) * 2013-12-06 2014-06-01 jin-mao Zhou 手機夾持桿
CN203708301U (zh) * 2014-01-10 2014-07-09 陈兆冰 手机金属保护框
US20160014243A1 (en) * 2014-07-12 2016-01-14 Luke Nathanael Snowden Carrier apparatus for mobile devic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4230B2 (ja) * 1997-10-09 2000-04-17 サンポウロック販売株式会社 レバータンブラー方式のシリンダー錠
JP2001178524A (ja) 1999-12-27 2001-07-03 Masanobu Kitajima ノートパソコン用携帯具
US20120037783A1 (en) * 2010-08-11 2012-02-16 Christopher Alexander Adjustable Security Bracket
JP2012191179A (ja) 2011-03-11 2012-10-04 Kofukin Seimitsu Kogyo (Shenzhen) Yugenkoshi 支持スタンド
JP2013192085A (ja) 2012-03-14 2013-09-26 Fromwest Inc 携帯端末ホルダー
KR101502272B1 (ko) 2014-03-10 2015-03-12 맹용주 모바일 단말기용 가변형 케이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34230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962A (ko) 2017-11-15
US20170284431A1 (en) 2017-10-05
CN106151780B (zh) 2018-11-02
US10502248B2 (en) 2019-12-10
CN109210320B (zh) 2021-08-10
JP2018521269A (ja) 2018-08-02
CN109210320A (zh) 2019-01-15
DE112016001637B4 (de) 2023-02-09
WO2016161926A1 (zh) 2016-10-13
DE112016001637T5 (de) 2018-02-22
JP6564055B2 (ja) 2019-08-21
CN106151780A (zh)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9151B1 (en) Adjustable mounting clip and system using same
US20150257288A1 (en) Support Assembly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4305486U (zh) 用于将附属装置联接到便携式电子装置的系统
CN106170026B (zh) 用于手持数码装置的整合范围扩展器及机械式保护器系统
US20150144668A1 (en) Multifunctional strap system for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20312936A1 (en) Holding device of tablet electronic device
KR101959654B1 (ko) 고정 프레임
US20150041622A1 (en) Rotating Mechanism for Computer or Similar Device
KR20060099811A (ko) 디스플레이장치
WO2012030391A1 (en) Tripod with legs that quickly convert from a folded to assembled condition
US7033088B2 (en) Camera rig
US10859894B2 (en) Transformable accessory for a handheld digital device
JP2004520619A6 (ja) カメラ用具
EP3543587B1 (en) Wearable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s
KR20190034643A (ko) 모바일 폰 및 신축 가능 셀카봉으로 변환 가능한 그 후방 패널
EP2933702B1 (en) Electronic tablet magnifiying case device
US20100252514A1 (en) Foldable baseball equipment rack
KR20150118720A (ko)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
TWI556710B (zh) 固定框架
JP2016142841A (ja) 撮影装置保持具および自撮り棒
US20180163916A1 (en) Tripod system and method
US20110220444A1 (en) Collapsible bag
KR200474429Y1 (ko) 손으로 잡는 휴대용 모바일 장치의 고정기
KR20140002642U (ko) 손으로 잡는 휴대용 모바일 장치 고정기의 포지셔닝 장치
US10779624B2 (en) Re-usable protective sheath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