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052B1 -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052B1
KR101956052B1 KR1020170091827A KR20170091827A KR101956052B1 KR 101956052 B1 KR101956052 B1 KR 101956052B1 KR 1020170091827 A KR1020170091827 A KR 1020170091827A KR 20170091827 A KR20170091827 A KR 20170091827A KR 101956052 B1 KR101956052 B1 KR 101956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inner tube
outer tube
tube
covering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898A (ko
Inventor
유종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091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0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링 셀프 케이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케이블과, 고리 형상의 걸이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일단부를 접어서 고정하기 위한 클립과, 클립이 고정된 케이블의 반대쪽 끝단에 고정되는 인너튜브와, 케이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웃터 튜브를 포함하되, 인너튜브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의 타단부를 커버링 셀프의 위쪽에서 커버링 셀프의 결합홀에 끼워 커버링 셀프의 하측으로 돌출시키고, 케이블에 끼워진 아웃터튜브를 분리한 후에, 케이블에 다시 끼워서 인너튜브의 외측에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케이블에 임시 고정된 상태로 공급되는 케이블 어셈블리로 커버링셀프를 연결할 때, 케이블에 임시 고정된 아웃터 튜브를 작업자가 손으로 분리한 후에 다시 결합함으로써, 커버링 셀프의 연결 작업을 작업자가 손으로 쉽게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 {Cable Connecting Structure of Covering Shelf}
본 발명은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링 셀프를 차량의 테일게이트나 실내에 연결하는 케이블 어셈블리를 하나의 부품 형태로 공급하고, 테일게이트를 케이블로 연결하는 작업을 공구 없이 할 수 있는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해치백 타입의 차량이나 SUV 치랑은 노치백 차량과는 달리 별도의 트렁크 룸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리어시트와 테일게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을 트렁크 룸으로 사용하고 있다.
해치백 타입의 차량에는 테일게이트의 개폐에 따라 트렁크룸의 공간을 개폐시키는 커버링 셀프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링 셀프(1)는 도 1과 같이, 전방 끝은 리어시트를 향하여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별도의 힌지 브래킷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후방 끝은 테일게이트 쪽을 향하여 테일게이트와 함께 개폐되도록 후방의 양끝이 테일게이트나 리어시트에 별도의 케이블 어셈블리(2)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케이블 어셈블리(2)는 일단부가 리어시트나 테일게이트에 완전히 고정되고, 타측단부가 커버링 셀프(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 어셈블리(2)와 커버링 셀프(1) 사이의 결합 구조는 도 2와 같이, 커버링 셀프(1)에 형성되는 결합홀(1a)에 케이블 어셈블리(2)의 일단부가 커버링 셀프(1)의 밑면에서 결합홀(1a)의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케이블 어셈블리(2)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케이블(2a)과, 케이블(2a)의 일단부에 압착 고정되는 인너튜브(2b)와, 인너튜브(2b)의 외측에 끼워지는 아우터튜브(2c)와, 케이블(2a)의 타단에 고정되는 클립(2d)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블 어셈블리(2)는 케이블 제작업체에서 케이블(2a)의 일단부에 인너튜브(2b)와 아우터튜브(2c)가 결합되고, 타단부에 고정되는 클립(2d)은 별도로 공급된다. 즉, 케이블 어셈블리(2)는 2개의 부품으로 분리되어 차량 조립 업체로 공급됨으로써, 부품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 어셈블리(2)로 커버링 셀프(1)를 차량에 결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단부에 인너튜브(2b)와 아우터튜브(2c)가 고정된 케이블(2a)에서 클립(2d)이 고정되는 케이블(2a)의 단부를 커버링 셀프(1)의 하측에서 결합홀(1a)에 끼워서 커버링 쉘프(1)의 위쪽으로 빼내서 아우터 튜브(2c)가 커버링셀프(1)의 밑면에서 결합홀(1a)에 걸리도록 한다. 그런 다음, 케이블(2a)의 타단부를 일부 접어서 클립(2d)으로 고정해야 하는데, 이 클립(2d)을 고정할 때, 별도의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38025(1998.09.1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케이블 어셈블리를 하나의 부품으로 공급하고, 케이블의 연결 작업을 별도의 공구 없이 수행함으로써 작업성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한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커버링 셀프를 케이블 어셈블리로 차량의 테일게이트나 차량 실내에 연결하는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에 있어서, 케이블 어셈블리는,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케이블과, 고리 형상의 걸이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일단부를 접어서 고정하기 위한 클립과, 클립이 고정된 케이블의 반대쪽 끝단에 고정되는 인너튜브와, 케이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웃터 튜브를 포함하되, 인너튜브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의 타단부를 커버링 셀프의 위쪽에서 커버링 셀프의 결합홀에 끼워 커버링 셀프의 하측으로 돌출시키고, 케이블에 끼워진 아웃터튜브를 분리한 후에, 케이블에 다시 끼워서 인너튜브의 외측에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너튜브는, 클립이 고정된 케이블의 반대쪽 끝단에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웃터 튜브는, 케이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케이블이 끼워지는 슬릿이 그 상단에서 하단까지 형성되되, 슬릿의 폭은 케이블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슬릿을 통하여 케이블이 끼워진 후에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아웃터 튜브와 인너튜브 사이에는, 인너튜브의 외주에 끼워져 결합되는 아웃터 튜브가 인너튜브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는, 인너튜브의 외주면 끝단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인너튜브의 외주에 끼워져 결합되는 아웃터 튜브의 내주면 끝단에 형성되고,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을 커버링 셀프에 걸리도록 하는 튜브가 케이블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한 상태로 구성하여 케이블 어셈블리를 하나의 부품으로 공급할 수 있어 부품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에 임시 고정된 상태로 공급되는 케이블 어셈블리로 커버링셀프를 연결할 때, 케이블에 임시 고정된 아웃터 튜브를 작업자가 손으로 분리한 후에 다시 결합함으로써, 커버링 셀프의 연결 작업을 작업자가 손으로 쉽게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커버링 셀프가 장착된 차량의 후방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도 3의 케이블 연결구조에서 케이블 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케이블 단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의 케이블 연결구조에서 케이블 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케이블 단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는, 커버링 셀프(1)를 케이블 어셈블리(100)로 차량의 실내나 테일 게이트에 연결하는 것으로,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케이블(110), 클립(120), 인너튜브(130), 아웃터 튜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케이블(110)은 나일론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되,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표면에 난연처리된 것을 사용한다.
케이블(110)은 그 양단부가 각각 커버링 셀프(1)와 테일 게이트에 연결되되, 커버링 셀프(1)에 연결될 때 후술하는 인너튜브(130)와 아웃터 튜브(140)에 의해 연결되고, 테일 게이트에 연결될 때 후술하는 클립(120)에 의해 연결된다.
클립(120)은 테일 게이트에 연결하기 위하여 케이블(110)의 일단부를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길이로 된 스틸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블(110)의 일단부가 절곡되어 고리 형상의 고리부(111)를 형성하도록 케이블(110) 일단부와 케이블(110)의 상단부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한 후에 판 형상으로 된 클립(120)을 공구로 말아서 케이블(110)의 일단부를 케이블(110)의 상단부 일부에 완전히 고정한다.
인너튜브(130)는 커버링 셀프(1) 쪽에 결합되는 케이블(110)의 타단부에 고정되되, 인너튜브(130)의 사출 성형시 케이블(110)의 타단부에 일체로 성형된다. 즉, 인너튜브 성형용 금형에 케이블(110)의 타단부를 인서트 한 후에 사출액을 인너튜브 성형용 금형에 주입하여 케이블(110) 타단부에 인너튜브(13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다.
아웃터 튜브(140)는 인너튜브(130)의 외주에 결합되어 커버링 셀프(1)의 결합홀에 케이블(110)의 타단부가 끼워져서 결합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아웃터 튜브(14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되, 양단부가 개구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 상단에서 하단까지 슬릿(141)이 형성된다. 아웃터 튜브(140)는 측면에 형성되는 슬릿(141)을 통하여 케이블(110)에 끼워져 임시 결합된다. 여기서, 슬릿(141)은 아웃터 튜브(140)가 케이블(110)에 끼워질 때 벌어진 후에 케이블(110)이 아웃터 튜브(140)에 완전히 끼워진 후에는 원상태로 복귀되어 케이블(110)이 이탈되지 않도록 그 폭이 케이블(11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아웃터 튜브(140)는 그 일측단부의 개구가 케이블(110)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케이블(110)의 외주에 끼워지고, 인너튜브(130)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인너튜브(130)의 단부가 아웃터 튜브(140)의 내측에서 걸리도록 구성된다.
한편, 인너튜브(130)와 아웃터 튜브(140) 사이에는 인너튜브(130)에 끼워져 결합되는 아웃터 튜브(1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50)가 구비된다.
이탈방지부(150)는 인너튜브(130)의 외주면 끝단에 돌출 형성되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51)와, 인너튜브(130)의 외주에 끼워지는 아웃터 튜브(140)의 내주면 끝단에 형성되며 걸림돌기(151)가 걸리는 걸림홈(15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아웃터 튜브(140)는 내경이 인너튜브(13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같게 형성되어 아웃터 튜브(140)가 케이블(110)에 끼워져 있다가 인너튜브(130)의 외주면에 끼워지면서 탄성력이 작용하여 인너튜브(130)에 더욱 타이트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케이블 어셈블리(110)는 케이블(110)의 일단부에 클립(120)으로 고정되어 고리부(1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인너튜브(130)가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일체로 성형되며, 케이블(110)에 아웃터 튜브(140)가 끼워져 임시로 고정되는 하나의 부품 형태로 구성된 후에, 케이블 제작 회사에서 출고되어 자동차 조립 회사로 납품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케이블 어셈블리로 커버링 셀프를 차량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커버링 셀프(1)와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각각 별도로 제작됨으로써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자동차 조립 회사에 납품된 후에 조립된다.
여기서,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케이블(110), 클립(120), 인너튜브(130), 아웃터 튜브(140)로 구성되되, 케이블(110)의 일단부에 클립(120)의 결합으로 고리부가 형성되고, 케이블(110)의 타단부에 인너튜브(1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케이블(110)의 중간에 아웃터 튜브(140)가 임시로 끼워져 고정된 상태인 하나의 부품 형태로 납품된다.
이렇게 납품된 부품으로 커버링 셀프(1)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서 하나의 부품 형태로 된 케이블 어셈블리(100)를 사용하게 된다.
아웃터 튜브(140)가 케이블(110)에 임시 고정된 상태로 납품된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케이블(110)에 임시 고정된 아웃터 튜브(140)를 일시적으로 분리하여 놓는다.
이후에 커버링 셀프(1)의 일단부(차량의 전방쪽)에 구비되는 힌지부를 차량의 실내측에 힌지 결합한 후에, 커버링 셀프(1)의 타단부(차량의 후방쪽)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00)를 이용하여 테이게이트나 리어시트 등에 연결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블(110)의 일단부에 클립(120)으로 인하여 형성된 고리부(111)를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걸어 연결한다. 그런 다음, 인너튜브(130)가 고정된 케이블(110)의 타단부를 커버링 셀프(1)에 형성된 결합홀에 끼워서 관통시킨다. 즉, 케이블(110)의 타단부인 인너튜브(130)를 커버링 셀프(1)의 위쪽에서 결합홀에 끼워서 커버링 셀프(1)의 하측으로 돌출시킨다.
그런 다음, 케이블(110)에서 분리된 아웃터 튜브(140)를 가져다가 결합홀에 끼워져 커버링 셀프(1)의 하측으로 돌출된 케이블(110)에 임시로 끼운다. 이후에, 케이블(110)에 끼워진 아웃터 튜브(140)를 인너 튜브(130) 쪽으로 당겨서 인너튜브(130)의 외주에 완전히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아웃터 튜브(140)는 이탈방지부(150)에 의해 인너튜브(13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커버링 셀프
100: 케이블 어셈블리
110: 케이블 111: 고리부
120: 클립
130: 인너튜브
140: 아웃터 튜브
150: 이탈방지부
151: 걸림돌기 152: 걸림홈

Claims (5)

  1. 커버링 셀프를 케이블 어셈블리로 차량의 테일게이트나 차량 실내에 연결하는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에 있어서,
    케이블 어셈블리는,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케이블과,
    고리 형상의 걸이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일단부를 접어서 고정하기 위한 클립과,
    클립이 고정된 케이블의 반대쪽 끝단에 고정되는 인너튜브와,
    케이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웃터 튜브를 포함하되,
    인너튜브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의 타단부를 커버링 셀프의 위쪽에서 커버링 셀프의 결합홀에 끼워 커버링 셀프의 하측으로 돌출시키고, 케이블에 끼워진 아웃터튜브를 분리한 후에, 케이블에 다시 끼워서 인너튜브의 외측에 결합하여 구성되고,
    아웃터 튜브는,
    케이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케이블이 끼워지는 슬릿이 그 상단에서 하단까지 형성되되, 슬릿의 폭은 케이블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슬릿을 통하여 케이블이 끼워진 후에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커버링 셀프 케이블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인너튜브는,
    클립이 고정된 케이블의 반대쪽 끝단에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링 셀프 케이블 연결 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아웃터 튜브와 인너튜브 사이에는,
    인너튜브의 외주에 끼워져 결합되는 아웃터 튜브가 인너튜브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커버링 셀프 케이블 연결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이탈방지부는,
    인너튜브의 외주면 끝단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인너튜브의 외주에 끼워져 결합되는 아웃터 튜브의 내주면 끝단에 형성되고,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버링 셀프 케이블 연결 구조.

KR1020170091827A 2017-07-20 2017-07-20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 KR101956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827A KR101956052B1 (ko) 2017-07-20 2017-07-20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827A KR101956052B1 (ko) 2017-07-20 2017-07-20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898A KR20190009898A (ko) 2019-01-30
KR101956052B1 true KR101956052B1 (ko) 2019-03-08

Family

ID=6527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827A KR101956052B1 (ko) 2017-07-20 2017-07-20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0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973B1 (ko) * 2019-09-05 2020-11-24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커버링 쉘프 케이블 유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7172A (ja) * 2007-09-12 2009-04-02 Honda Motor Co Ltd リアシェル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1157U (ja) * 1983-09-16 1985-04-10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リヤパッケ−ジトレイ
JPH04119739U (ja) * 1991-04-11 1992-10-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リヤシエルフボード
KR19980038025U (ko) 1996-12-18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용 커버링 셀프 센터 트림 행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7172A (ja) * 2007-09-12 2009-04-02 Honda Motor Co Ltd リアシェル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898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0310B2 (en) Hidden hinge
JPH0226736Y2 (ko)
US20070294865A1 (en) Clip comprising a pin and a bush
US20090007498A1 (en) Weather strip
JP2019504230A (ja) 面一ガラスデザイン用の、複数の部品からなるガラス側ガイド部材を備えるウィンドウリフタアセンブリ、および組立方法
KR101956052B1 (ko) 커버링 셀프의 케이블 연결 구조
CN107006960A (zh) 连接片
US20190219086A1 (en) Rivet fasten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593043B1 (ko) 커버링 셀프의 힌지 장치
US20170050589A1 (en) Electrical wire guide apparatus and sliding door electrical wire guide module
US20200164551A1 (en) Foam molding method, foam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oam molded article
JP6319339B2 (ja) 車両の外装構造
CN110667447A (zh) 一种拉手堵盖、拉手、b柱上饰板及汽车
KR101139818B1 (ko) 차량의 커버링 쉘프 힌지 브래킷
EP2604870A2 (en) An integrated clip
JPH05137227A (ja) 密封スリーブ
RU2715975C2 (ru) Деталь внутренней отделки (варианты), зам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деталей внутренней отделки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арианты)
KR100188295B1 (ko) 박스앵커 및 박스앵커를 구비한 부품
KR102522210B1 (ko) 적재함 리어도어 잠금장치
KR101886388B1 (ko) 차량용 커버링 쉘프
US11761474B2 (en) Control cable connection structure
JP2001138837A (ja) グロメット
JP6069743B1 (ja) 自動車用ドアプロテクター
KR101875746B1 (ko) 차량용 커버링 쉘프 힌지 구조
US20220213914A1 (en) Rivet fasten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