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929B1 - 붐지지대 - Google Patents

붐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929B1
KR101955929B1 KR1020180063652A KR20180063652A KR101955929B1 KR 101955929 B1 KR101955929 B1 KR 101955929B1 KR 1020180063652 A KR1020180063652 A KR 1020180063652A KR 20180063652 A KR20180063652 A KR 20180063652A KR 101955929 B1 KR101955929 B1 KR 101955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support
booms
loa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원
양동욱
한근우
Original Assignee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filed Critical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3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붐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소작업차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붐이 다단으로 삽입 조립되어 상하로 신축 동작하는 붐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붐지지대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하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중을 보강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붐; 상기 제1 붐 내측에 설치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며,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제2 붐 및 상기 제2 붐 내측에 설치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며,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제3 붐을 포함하는 붐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붐지지대{Boom support}
본 발명은 붐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붐지지대의 두께를 받는 하중에 따라 각각 다르게 하여 중량은 감소시키되 강도는 유지하도록 하고, 돌출부를 형성하여 하중을 버티는 힘을 보강하여 허용 하중을 향상시키고 형성 가능한 최종 길이가 증가된 붐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는 고층건물이나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신축가능한 다단의 신축식붐대의 끝에 사람이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는 탑승함(riding basket) 또는 작업대를 설치한 차량을 말한다.
또한, 고소작업차는 빌딩의 유리를 닦거나 건축 시공현장에서 높은 위치의 작업이 요구될 때 이용되는데, 그 크기와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고소작업차의 붐은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연장되거나 반대로 역순으로 인입되어 축소된다.
이와 같은 고소작업차를 사용시에는 다단의 붐이 적절한 길이로 신축하면서 승강 높이와 각도를 조절한 다음,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탑승함을 붐지지대를 따라 승, 하강시킴으로써 작업자를 지상 또는 고층으로 이송하고 고소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붐에는 탑승함에 탑승한 작업자와 작업자가 적재한 물품의 하중과 붐 및 탑승함의 자중이 더해짐으로써 상당한 크기의 하중이 가해지며, 그 결과 붐에 처짐이 생기거나 휨,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되며, 이 경우 탑승함의 원활한 승하강 동작이 어렵게 된다.
또한, 가장 하단에 있는 붐지지대의 붐에 하중이 집중되어 변형이 가장 많이 일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74049호에서는 내구성이 강한 금속인 강철로 제작하여 변형량을 최소화시키는 구성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강철로 제작된 붐은 그 무게가 무거워 차량에서 수평 또는 수직 회전 시, 하측을 지지하는 다른 구성부 역시, 내구성을 보강함에 따라 고소작업차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붐지지대가 인출된 상태에서 탑승함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붐의 중량이 커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는,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위치조절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과 직결되는 것으로, 종래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조절하고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붐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붐지지대의 두께를 받는 하중에 따라 각각 다르게 하여 중량은 감소시키되 강도는 유지하도록 하고, 돌출부를 형성하여 하중을 버티는 힘을 보강하여 허용 하중을 향상시키고 형성 가능한 최종 길이가 증가된 붐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붐이 다단으로 삽입 조립되어 상하로 신축 동작하는 붐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붐지지대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하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중을 보강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붐; 상기 제1 붐 내측에 설치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며,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제2 붐 및 상기 제2 붐 내측에 설치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며,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제3 붐을 포함하는 붐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붐은 양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하면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붐의 상면 및 하면을 이루고,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는 2개의 상하면 프레임 및 양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하면 절곡부와 연결되는 양측면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붐의 양측면을 이루는 2개의 양측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붐의 상면 또는 하면 일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붐의 상면 또는 하면과 수평되게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 붐의 상면 또는 하면 타측에 연결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붐은 하측방향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과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수직부; 상기 상부 수직부 상단에서 중심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 절곡부 및 상기 상부 절곡부를 연결하는 상부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수직부의 하단과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 수직부; 상기 하부 수직부 하단에서 중심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 절곡부 및 상기 하부 절곡부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붐은 모서리에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모서리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붐은, 두께가 3.8 내지 4.3T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붐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두께가 2.8 내지 3.3T, 상기 하부 프레임의 두께가 3.8 내지 4.3T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붐은, 두께가 2.8 내지 3.3T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붐지지대는 상기 복수개의 붐 중 하나 이상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측에 설치된 붐을 받쳐주는 동시에 구름 마찰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볼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붐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받침부는 붐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돌출부재에 설치되어 내측에 설치된 붐과 접하는 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붐지지대는 상기 붐 사이를 받쳐주도록 형성된 하중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중받침부는 상기 붐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 및 상단이 내측에 설치된 붐 외측면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레일에 연결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는 붐지지대의 두께를 받는 하중에 따라 각각 다르게 하여 중량은 감소시키되 강도는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인입 또는 인출,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성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를 형성하여 하중을 버티는 힘을 보강하여 허용 하중을 향상시키고 형성 가능한 최종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하중에 대해 받쳐주는 힘이 균형적으로 보강되어 붐의 휨, 비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가 인입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가 인입된 상태에서 절단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가 인출된 모습을 일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가 인입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가 인입된 상태에서 절단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는 고소작업차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붐이 다단으로 삽입 조립되어 상하로 신축 동작하는 붐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가장 하단에 있는 붐지지대의 붐에 하중이 집중되어 변형이 일어나거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붐지지대 전체가 강철로 제작되면 그 중량이 무거워 붐지지대의 인출 또는 인입이 용이하지 않고 이동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붐지지대의 두께를 받는 하중에 따라 각각 다르게 하여 중량은 감소시키되 강도는 유지하도록 하고, 돌출부를 형성하여 하중을 버티는 힘을 보강하는 것으로, 허용 하중을 향상시키고 형성 가능한 최종 길이가 증가된 붐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따른 붐지지대(1)는 복수개의 붐(10,20,30)을, 즉 제1 붐(10), 제2 붐(20) 및 제3 붐(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붐(10)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며, 붐지지대(1)의 가장 외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붐(10)이 2개 이상 구비될 경우, 2개 이상의 제1 붐(10)의 넓이는 각각 다 다르게 형성되어 가장 큰 것에서 작은 것 순에 따라 다단으로 삽입되고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붐(10)은 붐지지대(1)에서 가장 하단에 위치하게 되어 하중을 가장 많이 받게 되는 부분으로, 하중에 대한 받치는 힘을 보강하기 위해 상하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붐(10)은 상하면 프레임(100) 및 양측면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하면 프레임(100)은 2개가 한쌍으로 상하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1 붐(10)의 상면 및 하면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상하면 프레임(100)은 돌출부(101) 및 상하면 절곡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0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중에 대한 힘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경사부(1010), 수평부(1011) 및 제2 경사부(10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부(1010)는 제1 붐(10)의 상면인 상하면 프레임(100) 일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1011)는 일단이 제1 경사부(101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하면 프레임(100)과 수평되게 형성되고, 타단이 제2 경사부(101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경사부(1012)는 수평부(1011)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하면 프레임(100)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101)가 형성되어 제1 붐(10)의 강도를 보강하여 비틀림, 휨 등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하면 절곡부(102)는 상하면 프레임(100)의 양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하면 절곡부(102)는 양측면 절곡부(111)와 연결되어 제1 붐(10)의 모서리를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제1 붐(10)의 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강도가 취약해질 수 있는 모서리 부분을 모따기 형상과 같이 절곡된 형상으로 이중 연결하여 제1 붐(10)의 강도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양측면 프레임(110)은 2개가 한쌍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1 붐(10)의 양측면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양측면 프레임(110)은 양측면 절곡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양측면 절곡부(111)는 양측면 프레임(110)의 양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용접을 통해 상하면 절곡부(102)와 연결될 수 있으나, 연결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볼트 체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양측면 절곡부(111)는 외면이 상하면 절곡부(102)의 내면과 접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1 붐(10)은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이므로, 두께가 3.8 내지 4.3T로 형성될 수 있고, 4T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2 붐(20)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제1 붐(10) 내측에 설치되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것으로,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붐(20)은 제1 붐(10) 내측에 설치되기 위하여 제1 붐(10)보다 넓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또한, 제2 붐(20)이 2개 이상 구비될 경우, 2개 이상의 제2 붐(20)의 넓이는 각각 다 다르게 형성되어 가장 큰 것에서 작은 것 순에 따라 다단으로 삽입되고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붐(20)은 상부 프레임(200) 및 하부 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00)은 하측방향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상부 수직부(201), 상부 절곡부(202) 및 상부 수평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수직부(201)는 수직으로 좌우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절곡부(202)는 각각의 상부 수직부(201) 상단에서 중심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수평부(203)는 상부 절곡부(202)의 하단과 연결되는 상부 수직부(201)와 수직되도록 2개의 상부 절곡부(202)의 상단을 수평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10)은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하부 수직부(211), 하부 절곡부(212) 및 하부 수평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수직부(211)는 수직으로 좌우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절곡부(212)는 각각의 하부 수직부(211) 하단에서 중심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수평부(213)는 하부 절곡부(212)의 하단과 연결되는 하부 수직부(211)와 수직되도록 2개의 하부 절곡부(212)의 상단을 수평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부 프레임(200)의 상부 수직부(201)의 하단과 하부 프레임의 하부 수직부(211)의 상단을 용접으로 접하여 연결시키는 것으로 하나의 제2 붐(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붐(20)은 상부 프레임(200)에 상부 절곡부(202), 하부 프레임(210)에 하부 절곡부(212)를 포함하여, 강도가 취약해질 수 있는 모서리 부분을 모따기 형상과 같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2 붐(20)의 강도를 좀 더 향상시켜 비틀림, 휨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붐(20)은 붐지지대(1)에서 중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부 프레임(200) 및 하부 프레임(210)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붐(20)은 상부 프레임(200)의 두께가 2.8 내지 3.3T로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210)의 두께가 3.8 내지 4.3T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프레임(200)은 3T, 하부 프레임(210)은 4T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붐지지대(1)의 중단에 위치하게 되는 제2 붐(20)에서 하중을 덜 받는 상부 프레임(200)의 두께는 좀 더 얇게, 하중을 더 받는 하부 프레임(210)의 두께는 좀 더 두껍게 하여, 중량은 감소시키고 강도는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3 붐(30)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제2 붐(20) 내측에 설치되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것으로,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3 붐(30)은 제2 붐(20) 내측에 설치되기 위하여 제2 붐(20)보다 넓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또한, 제3 붐(30)이 2개 이상 구비될 경우, 2개 이상의 제3 붐(30)의 넓이는 각각 다 다르게 형성되어 가장 큰 것에서 작은 것 순에 따라 다단으로 삽입되고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3 붐(30)은 모서리 절곡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서리 절곡부(300)는 모서리에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강도가 취약해질 수 있는 모서리 부분을 모따기 형상과 같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3 붐(30)의 강도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3 붐(30)은 붐지지대(1)에서 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붐에 처짐이 생기거나 휨, 비틀림 등의 변형을 줄이고, 붐지지대(1)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두께가 2.8 내지 3.3T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께가 3T가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붐지지대(1)는 형성되어 강도가 보강되어 휨, 비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붐지지대(1)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제1 붐(10)의 두께를 3.8 내지 4.3T로, 제2 붐(20)의 상부 프레임(200)의 두께를 2.8 내지 3.3T로, 하부 프레임(210)의 두께를 3.8 내지 4.3T로, 제3 붐(30)의 두께를 2.8 내지 3.3T로 형성시킴으로써,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강도가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1)는 볼받침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받침부(40)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볼받침부(40)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볼받침부(40)는 붐지지대(1)의 복수개의 붐(10,20,30) 중 하나 이상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측에 설치된 붐을 받쳐주는 동시에 구름 마찰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받침부(40)와 접하는 내측에 설치된 붐을 받쳐주고 복수개의 붐(10,20,30) 사이 간에 이격거리를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붐지지대(1)의 비틀림, 휨 등의 변형을 좀더 방지 할 수 있고, 내측에 설치된 붐의 인입 또는 인출되기 위한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볼받침부(40) 제1 붐(10), 제2 붐(20) 및 제3 붐(30) 중 하나 이상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볼받침부(40)는 돌출부재(400) 및 볼(410)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재(400)는 붐(10,20,30)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볼(410)은 돌출부재(400)에 설치되어 내측에 설치된 붐과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410)이 내측에 설치된 붐과 접하여 내측에 설치된 붐이 이동하게 되면 볼(410)에 회전이 발생해 구름 마찰을 형성하게 되어 이동을 도와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볼받침부(40)를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도 4의 제1 붐(10a) 및 제1 붐(10b)을 예시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받침부(40)는 제1 붐(10a)의 내측면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제1 붐(10b)에 볼(410)이 접할 수 있다.
이때, 볼받침부(40)는 제1 붐(10a)의 양측면 절곡부(111a)에 형성되어 4개가 방사형으로 제1 붐(10b)을 잡아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붐(10a) 내측면에 다수개가 균형있게 잡아주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제1 붐(10b)을 제1 붐(10a)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받쳐줄 수 있어 제1 붐(10b)의 휨, 비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구름 마찰을 형성하여 제1 붐(10b)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제1 붐(10a) 및 제1 붐(10b)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붐지지대(1)는 복수개의 붐(10,20,30)으로, 즉 제1 붐(10), 제2 붐 및 제3 붐(30)으로 형성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붐(10,20,30)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볼받침부(40)는 하중받침부(50)와 같이 형성될 경우, 붐(10,20,30)의 내측면에서 상하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계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가 인출된 모습을 일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1)는 하중받침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중받침부(50)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하중받침부(50)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하중받침부(50)는 붐지지대(1)의 붐 사이를 받쳐주도록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취약할 수 있는 붐(10,20,30)간의 연결 부위를 보강해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붐(10,20,30) 내측면에서 모서리 방향으로 4개가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하중받침부(50) 제1 붐(10), 제2 붐(20) 및 제3 붐(30)이 다단으로 연결되는 부위마다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하중받침부(50)는 레일(500) 및 받침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500)은 붐(10,20,30)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일(500)은 내측에 설치된 붐이 내부로 인입되는 길이를 고려하여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재(510)는 상단이 내측에 설치된 붐 외측면 하단에 연결되고, 하단이 레일(500)에 연결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레일(500)에 따라 이동이 용이하도록 받침부재(510)는 하단에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내측에 설치된 붐이 외측의 붐에 인입될 경우 레일(500)을 따라 인입되고, 인출될 경우 레일(500)을 따라 받침부재(510)도 같이 인출되어 인출된 내측에 설치된 붐의 하단을 받쳐주고 잡아줄 수 있다. 이에 따라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이하, 하중받침부(50)를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도 5 내지 7의 제1 붐(10a) 및 제1 붐(10b)을 예시로 설명하도록 한다.
하중받침부(50)는 제1 붐(10a)와 제1 붐(10b) 사이에 4개가 방사형으로 모서리측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일(500)은 제1 붐(10a)의 내측면 양측면 절곡부(111a)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재(510)는 상단이 제1 붐(10b)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하단이 레일(50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붐(10a)에서 제1 붐(10b)가 인출되면 받침부재(510)가 제1 붐(10b)의 하단을 받쳐줘 제1 붐(10a)과 제1 붐(10b)가 연결되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시켜 휨, 쳐짐, 비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제1 붐(10a) 및 제1 붐(10b)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붐지지대(1)는 복수개의 붐(10,20,30)으로, 즉 제1 붐(10), 제2 붐 및 제3 붐(30)으로 형성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붐(10,20,30)이 연결되는 사이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는 붐지지대의 두께를 받는 하중에 따라 각각 다르게 하여 중량은 감소시키되 강도는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인입 또는 인출,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성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를 형성하여 하중을 버티는 힘을 보강하여 허용 하중을 향상시키고 형성 가능한 최종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하중에 대해 받쳐주는 힘이 균형적으로 보강되어 붐의 휨, 비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붐지지대를 제1 내지 제3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붐지지대
10: 제1 붐
100: 상하면 프레임
101: 돌출부
1010: 제1 경사부
1011: 수평부
1012: 제2 경사부
102: 상하면 절곡부
110: 양측면 프레임
111: 양측면 절곡부
20: 제2 붐
200: 상부 프레임
201: 상부 수직부
202: 상부 절곡부
203: 상부 수평부
210: 하부 프레임
211: 하부 수직부
212: 하부 절곡부
213: 하부 수평부
30: 제3 붐
300: 모서리 절곡부
40: 볼받침부
400: 돌출부재
410: 볼
50: 하중받침부
500: 레일
510: 받침부재

Claims (10)

  1. 고소작업차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붐이 다단으로 삽입 조립되어 상하로 신축 동작하는 붐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붐지지대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하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중을 보강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붐;
    상기 제1 붐 내측에 설치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며,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제2 붐 및
    상기 제2 붐 내측에 설치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며,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제3 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붐은,
    양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하면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붐의 상면 및 하면을 이루고,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는 2개의 상하면 프레임 및
    양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하면 절곡부와 연결되는 양측면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붐의 양측면을 이루는 2개의 양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붐지지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붐의 상면 또는 하면 일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붐의 상면 또는 하면과 수평되게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 붐의 상면 또는 하면 타측에 연결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는 붐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붐은,
    하측방향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과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붐지지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수직부;
    상기 상부 수직부 상단에서 중심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 절곡부 및
    상기 상부 절곡부를 연결하는 상부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수직부의 하단과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 수직부;
    상기 하부 수직부 하단에서 중심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 절곡부 및
    상기 하부 절곡부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부를 포함하는 붐지지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붐은,
    모서리에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모서리 절곡부를 포함하는 붐지지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붐은, 두께가 3.8 내지 4.3T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붐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두께가 2.8 내지 3.3T, 상기 하부 프레임의 두께가 3.8 내지 4.3T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붐은, 두께가 2.8 내지 3.3T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지지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지지대는,
    상기 복수개의 붐 중 하나 이상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측에 설치된 붐을 받쳐주는 동시에 구름 마찰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볼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붐지지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볼받침부는,
    붐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돌출부재에 설치되어 내측에 설치된 붐과 접하는 볼을 포함하는 붐지지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지지대는,
    상기 붐 사이를 받쳐주도록 형성된 하중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중받침부는,
    상기 붐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 및
    상단이 내측에 설치된 붐 외측면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레일에 연결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붐지지대.
KR1020180063652A 2018-06-01 2018-06-01 붐지지대 KR101955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652A KR101955929B1 (ko) 2018-06-01 2018-06-01 붐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652A KR101955929B1 (ko) 2018-06-01 2018-06-01 붐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929B1 true KR101955929B1 (ko) 2019-03-08

Family

ID=6580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652A KR101955929B1 (ko) 2018-06-01 2018-06-01 붐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9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660B1 (ko) * 2020-11-27 2021-07-09 임대우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KR102340733B1 (ko) 2020-11-11 2021-12-17 (주)미래클 다기종 호환 가능한 용접지그
WO2022114850A1 (ko) * 2020-11-27 2022-06-02 임대우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KR102671781B1 (ko) * 2023-06-02 2024-06-03 주식회사 제이비솔루션 고소 작업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100A (ja) * 2001-12-11 2003-06-24 Aichi Corp ブーム
JP2006021877A (ja) * 2004-07-08 2006-01-26 Tadano Ltd 伸縮ブーム
KR20150052375A (ko) * 2013-10-30 2015-05-14 주식회사 호룡 고소작업차용 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100A (ja) * 2001-12-11 2003-06-24 Aichi Corp ブーム
JP2006021877A (ja) * 2004-07-08 2006-01-26 Tadano Ltd 伸縮ブーム
KR20150052375A (ko) * 2013-10-30 2015-05-14 주식회사 호룡 고소작업차용 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733B1 (ko) 2020-11-11 2021-12-17 (주)미래클 다기종 호환 가능한 용접지그
KR102275660B1 (ko) * 2020-11-27 2021-07-09 임대우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KR102377476B1 (ko) * 2020-11-27 2022-03-22 임대우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WO2022114850A1 (ko) * 2020-11-27 2022-06-02 임대우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KR102671781B1 (ko) * 2023-06-02 2024-06-03 주식회사 제이비솔루션 고소 작업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929B1 (ko) 붐지지대
JP4415397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5110124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1702933B1 (ko) 스태커 크레인
KR20150042185A (ko) 등반 스크린용 개량 프레임
KR101479798B1 (ko) 지게차용 마스트 조립체
JP6223602B2 (ja) エレベータかご用部品の組立体、かご製造方法、及びエレベータのかご
EP2671783A2 (en) Cabin arrangement for a crane
US20100031600A1 (en) Load Bearing Frame
KR101288370B1 (ko) 터널용 작업대차
CN110681803A (zh) 一种墙体钢筋笼编制胎架
JP6579190B2 (ja) 物品搬送装置
KR89000106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JP6709115B2 (ja) 高所作業車および部材の施工方法
CN216921424U (zh) 一种超高锥形钢塔分段提升安装装置
CN109795934A (zh) 一种电梯井道
KR102528237B1 (ko) 길이가 신축되는 lng 화물창용 특수 족장
KR102105866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
KR20130000337U (ko) 높이 조절용 경사 사다리
JP2009215876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WO2022107300A1 (ja) ガイドレールの支持構造及びエレベーター
JP6287698B2 (ja) 物品搬送装置
KR102564268B1 (ko) 소방차의 사다리 구조체
TWI568383B (zh) 收納架的防震構造
CN211846803U (zh) 一种轿顶工作安装平台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