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933B1 - 스태커 크레인 - Google Patents
스태커 크레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2933B1 KR101702933B1 KR1020130080748A KR20130080748A KR101702933B1 KR 101702933 B1 KR101702933 B1 KR 101702933B1 KR 1020130080748 A KR1020130080748 A KR 1020130080748A KR 20130080748 A KR20130080748 A KR 20130080748A KR 101702933 B1 KR101702933 B1 KR 1017029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members
- back side
- mast
- surfac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과제] 원하는 강성을 확보하면서 경량화가 가능한 마스트를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주행 대차(20)와, 주행 대차(20)에 세워서 설치된 마스트(30)와, 마스트(30)를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대(51)를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50)으로서, 승강대(51)는 제 1 롤러(55) 및 제 2 롤러(56)를 갖고, 마스트(30)는 제 1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제 1 롤러(55)가 접촉하는 제 1 접촉면(31a)과 제 2 롤러(56)가 접촉하는 제 2 접촉면(31b)이 형성된 롤러 접촉 부재(31)와, 제 2 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롤러 접촉 부재(31)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이면측 부재(35)와, 롤러 접촉 부재(31)와 이면측 부재(35)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40)로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판 형상의 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를 갖는 연결 부재(40)를 갖고, 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의 두께는 제 1 판재의 두께보다 얇다.
[해결 수단] 주행 대차(20)와, 주행 대차(20)에 세워서 설치된 마스트(30)와, 마스트(30)를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대(51)를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50)으로서, 승강대(51)는 제 1 롤러(55) 및 제 2 롤러(56)를 갖고, 마스트(30)는 제 1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제 1 롤러(55)가 접촉하는 제 1 접촉면(31a)과 제 2 롤러(56)가 접촉하는 제 2 접촉면(31b)이 형성된 롤러 접촉 부재(31)와, 제 2 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롤러 접촉 부재(31)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이면측 부재(35)와, 롤러 접촉 부재(31)와 이면측 부재(35)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40)로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판 형상의 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를 갖는 연결 부재(40)를 갖고, 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의 두께는 제 1 판재의 두께보다 얇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행 대차에 세워서 설치된 마스트를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대를 구비한 스태커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하물을 수용 가능한 랙으로의 하물의 수용 및 랙으로부터의 하물의 인출을 행하는 스태커 크레인이 존재한다.
스태커 크레인은, 예를 들면 랙을 따라 바닥면에 설치된 하부 레일 상을 주행하는 주행 대차와, 주행 대차에 세워서 설치된 마스트를 구비하고,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대에 설치된 이송 장치에 의해 랙과의 사이에서의 하물의 수수를 행한다.
특허문헌 1은 이러한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지주 부재로 구성된 마스트로서, 사다리 부재를 구비하는 마스트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는, 예를 들면 높이가 20m를 넘는 것도 있고, 또한 승강대로 승강시키는 하물의 중량이 3톤(t)을 넘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스태커 크레인의 마스트의 소재로서는 일반적으로 강성의 높음, 및 제작의 용이함 등의 관점에서 금속제 각파이프(square pipe)가 사용된다.
즉, 마스트의 소재로서 선택한 각파이프에 절단 및 연결 등의 가공을 가함으로써 원하는 높이, 원하는 강성을 갖는 마스트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각파이프는 규격에 의해 형상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각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커질수록 각파이프의 두께도 두꺼워지고, 또한 중량도 증가한다.
즉, 각파이프를 사용한 마스트의 경우 마스트에 요구되는 강성이 높을수록 마스트의 중량은 증가하고, 이것은 스태커 크레인에 요구되는 기동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고려하여 원하는 강성을 확보하면서 경량화가 가능한 마스트를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형태에 의한 스태커 크레인은 이하를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으로서, 주행 대차와, 승강하는 승강대로서, 상기 승강대는 상기 승강대가 상기 마스트에 가이드되어서 승강하기 위한 제 1 롤러 및 제2 롤러를 갖고, 제 1 롤러의 회전축과 제 2 롤러의 회전축은 서로 교차하는 승강대와, 상기 주행 대차에 세워서 설치되어 승강대를 안내하는 마스트로서, 상기 마스트는 제 1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제 1 롤러가 접촉하는 제 1 접촉면과 상기 제 2 롤러가 접촉하는 제 2 접촉면이 형성된 롤러 접촉 부재와, 제 2 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롤러 접촉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이면측 부재와, 상기 롤러 접촉 부재와 상기 이면측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판 형상의 제 1 연결면부 및 제 2 연결면부를 갖는 연결 부재를 갖는 마스트이고, 상기 제 1 연결면부 및 상기 제 2 연결면부의 두께는 상기 제 1 판재의 두께보다 얇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마스트가 서로 별체인 적어도 3개의 부재(롤러 접촉 부재, 이면측 부재, 연결 부재)로 구성된다. 그 때문에, 마스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크게 한 경우라도 각 부재의 두께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결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트에서는 연결 부재의 두께로서 롤러 접촉 부재의 두께보다 작은 값이 채용된다. 즉, 큰 부하가 가해지는 롤러 접촉 부재의 두께를 비교적 두껍게 하는 한편, 연결 부재의 두께를 비교적 얇게 한다.
즉, 간단하게 말하면 본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트에서는 높은 강성이 요구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에서 두께에 차를 갖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마스트 전체적으로 필요한 강성을 확보하면서, 마스트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3개의 부재(롤러 접촉 부재, 이면측 부재, 연결 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소정 단위분의 마스트가 완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용이하게 마스트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형태에 의한 스태커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는 복수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 복수의 상기 이면측 부재, 및 복수의 상기 연결 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는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상기 이면측 부재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마스트는 상기 복수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 중 적어도 2개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이고, 인접하는 상기 2개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를 접속시키는 접속 부재를 더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다양한 높이의 마스트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인접하는 롤러 접촉 부재끼리는 접속 부재에 의해 접속되기 때문에 접속 부재에 의한 보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형태에 의한 스태커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 상기 복수의 상기 이면측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상기 연결 부재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의 배열에 있어서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 사이의 경계 위치가 상기 높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이면측 부재 사이의 경계 위치 및 상기 연결 부재 사이의 경계 위치 중 적어도 한쪽과 동일하게 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마스트에 있어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롤러 접촉 부재의 이음매, 연결 부재의 이음매, 및 이면측 부재의 이음매 모두가 같은 높이 위치로 되지 않는 개소가 상기 마스트에 적어도 1개소 설치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마스트의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예를 들면 강도가 다른 것과 비교해서 낮아지는 개소가 높이 방향으로 분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형태에 의한 스태커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이면측 부재 중 적어도 2개의 상기 이면측 부재 중, 낮은 위치에 배치된 상기 이면측 부재의 두께는 높은 위치에 배치된 상기 이면측 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마스트의 자체 중량 및 모멘트를 포함해 큰 역학적인 부하가 가해지는 하부의 이면측 부재의 두께를 상부의 이면측 부재의 두께보다 두껍게 할 수 있다. 환원하면, 상부의 이면측 부재의 두께를 하부의 이면측 부재의 두께보다 얇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마스트에 있어서 보다 높은 강성이 요구되는 부분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마스트 전체의 중량의 경량화도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형태에 의한 스태커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이면측 부재의 각각은 상기 제 2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연결면부 및 상기 제 2 연결면부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복수의 이면측 부재의 두께가 아래로 갈수록 두꺼워지고 있는 경우라도 이들 복수의 이면측 부재 각각을 무리없이 제 1 연결면부 및 제 2 연결면부와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형태에 의한 스태커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이면측 부재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상기 이면측 부재 각각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와는 반대측의 면에 의해 평평한 면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이면측 부재 각각의 두께에 차가 있는 경우라도 마스트에 있어서 인접하는 이면측 부재간에 단차가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형태에 의한 스태커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연결면부 및 상기 제 2 연결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살빼기 가공에 의해 형성된 관통구멍과,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팽출되는 팽출부로서 상기 연결 부재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팽출부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살빼기 가공에 의해 연결 부재의 더욱 경량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팽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살빼기 가공에 의한 연결 부재의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형태에 의한 스태커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서로 별체인 상기 제 1 연결면부와 상기 제 2 연결면부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연결면부와 제 2 연결면부는 별체이고, 서로 독립하여 마스트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높이 방향에 있어서 제 1 연결면부와 제 2 연결면부가 교대로 되도록 배치한다라고 하는 것과 같은 마스트의 구성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동일한 복수의 판 형상 부재를 제 1 연결면부 및 제 2 연결면부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느 하나의 형태에 의한 스태커 크레인이 구비하는 마스트의 생산 방법으로서 실현할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원하는 강성을 확보하면서 경량화가 가능한 마스트를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자동 창고의 구성 개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트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트의 단면 구조 및 마스트와 승강대의 가이드 롤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롤러 접촉 부재, 이면측 부재 및 연결 부재 각각의 배열에 있어서의 경계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접속 부재의 롤러 접촉 부재에 대한 설치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b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접속 부재의 이면측 부재에 대한 설치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면측 부재의 높이 방향의 위치와 두께의 관계를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도 9a는 연결 부재에 형성된 팽출부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대응하는 A-A 단면도이다.
도 9c는 연결 부재에 형성된 팽출부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d는 도 9c에 대응하는 B-B 단면도이다.
도 10은 롤러 접촉 부재에 있어서의 제 3 접촉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마스트의 단면 구조의 복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 1 도면이다.
도 12는 마스트의 단면 구조의 복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 2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트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트의 단면 구조 및 마스트와 승강대의 가이드 롤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롤러 접촉 부재, 이면측 부재 및 연결 부재 각각의 배열에 있어서의 경계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접속 부재의 롤러 접촉 부재에 대한 설치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b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접속 부재의 이면측 부재에 대한 설치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면측 부재의 높이 방향의 위치와 두께의 관계를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도 9a는 연결 부재에 형성된 팽출부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대응하는 A-A 단면도이다.
도 9c는 연결 부재에 형성된 팽출부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d는 도 9c에 대응하는 B-B 단면도이다.
도 10은 롤러 접촉 부재에 있어서의 제 3 접촉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마스트의 단면 구조의 복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 1 도면이다.
도 12는 마스트의 단면 구조의 복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 2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스태커 크레인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은 모식도이고, 반드시 엄밀하게 도시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구체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내어지는 수치, 형상, 재료, 구성 요소, 구성 요소의 배치 위치 및 접속 형태, 조립 방법, 조립 순서 등은 일례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주지는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중 최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임의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된다.
우선,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자동 창고(100) 및 스태커 크레인(50)의 구성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자동 창고(100)의 구성 개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자동 창고(100)는 복수의 하물(90)을 수용 가능한 랙(80)과 스태커 크레인(50)을 구비한다.
스태커 크레인(50)은 하부 레일(12)을 따라서 주행하는 주행 대차(20)와, 주행 대차(20)에 세워서 설치된 마스트(30)와, 마스트(30)를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대(51)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대차(20)에는 2개의 마스트(30)가 구비되어 있고, 승강대(51)에는 제 1 롤러(55)를 포함한 복수의 가이드 롤러가 구비되어 있다.
2개의 마스트(30) 사이에 배치된 승강대(51)는 이들 가이드 롤러가 2개의 마스트(30)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마스트(3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승강한다.
또한, 도 1에서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지만, 2개의 마스트(30)의 상단부는 예를 들면 상부 레일을 따라서 주행하는 상부 대차와 접속되어 있다.
즉, 주행 대차(20)가 하부 레일(12)을 따라서 주행하고, 또한 상부 대차가 상부 레일을 따라서 주행함으로써 스태커 크레인(50) 전체로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스태커 크레인(50)이 구비하는 승강대(51)에는 이송 장치(52)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송 장치(52)는 슬라이드 포크에 의해 하물(90)의 이송을 행하는 이송 방법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송 장치(52)가 채용하는 이송 방법에 특별히 한정은 없다.
스태커 크레인(50)은 하부 레일(12)을 따라서 주행하고, 승강대(51)를 승강시키고, 또한 이송 장치(52)의 슬라이딩 포크를 들어가고 나오게 한다. 스태커 크레인(50)은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랙(80) 및 스테이션(58) 등과의 사이에서의 하물(90)의 수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58)은 하물(90)의 일시적인 적재 장소이고, 예를 들면 랙(80)에 수용되어 있는 하물(90)은 일시적으로 스테이션(58)에 놓여진 후에 자동 창고(100)의 외부로 반출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태커 크레인(50)은 마스트(30)의 구조에 특징을 갖는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절곡 등의 가공이 된 판금을 조합시킴으로써 마스트(30)가 제작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X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마스트(30)는 동일 구조상의 특징을 갖기 때문에, 이하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의 마스트(30)에 착안하고, 그 구조상의 특징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트(3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트(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트(30)의 단면 구조 및 마스트(30)와 승강대(51)의 가이드 롤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소정의 단위분 길이의 마스트(30)가 나타내어져 있고,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마스트(30)가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필요한 높이의 마스트(30)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스태커 크레인(50)이 설치되는 현장에서 상기 마스트(30)가 복수 연결됨으로써 상기 스태커 크레인(50)에 요구되는 높이의 마스트(30)가 조립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트(30)는 롤러 접촉 부재(31)와, 이면측 부재(35)와, 연결 부재(40)를 갖는다.
롤러 접촉 부재(31)는 제 1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제 1 롤러(55)가 접촉하는 제 1 접촉면(31a)과 제 2 롤러(56)가 접촉하는 제 2 접촉면(31b)이 형성된 부재이다.
또한, 제 1 롤러(55) 및 제 2 롤러(56)는 승강대(51)가 구비하는 가이드 롤러이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롤러(55)의 회전축(55a)과 제 2 롤러(56)의 회전축(56a)은 서로 교차하는 관계에 있다.
또한, 제 1 롤러(55)와 제 2 롤러(56)는 서로의 회전축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제 1 롤러(55) 및 제 2 롤러(56) 각각의 회전축의 높이 방향의 위치는 달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롤러(55)의 회전축(55a)과 제 2 롤러(56)의 회전축(56a)은 직교하는 관계에 있다. 즉, 제 1 판재를 직각(대략 직각도 포함한다)으로 절곡함으로써 제 1 접촉면(31a)과 제 2 접촉면(3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대(51)에는 이러한 제 1 롤러(55)와 제 2 롤러(56)가 마스트(30)를 사이에 두도록 도 4에 있어서의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대(51)에는 예를 들면 이들 4개의 가이드 롤러의 세트가 상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승강대(51)에는 1개의 마스트(30)에 접촉하는 가이드 롤러로서 합계 8개의 가이드 롤러가 구비되어 있다.
이면측 부재(35)는 제 2 판재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고, 롤러 접촉 부재(31)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40)는 롤러 접촉 부재(31)와 이면측 부재(35)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연결 부재(4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판 형상의 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마스트(30)는 이러한 각 부재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트(30)에 있어서 롤러 접촉 부재(31), 이면측 부재(35), 및 연결 부재(40)의 각각은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롤러 접촉 부재(31)는 제 1 접속 부재(34)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이면측 부재(35)는 제 2 접속 부재(3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판재, 제 2 판재, 연결 부재(40)의 소재인 판재로서는, 예를 들면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일종인 SS400(JIS 규격), 또는 SPHC(Steel Plate Hot Co㎜ercial)(JIS 규격) 등이 채용된다. 또한, 제 1 접속 부재(34) 및 제 2 접속 부재(36)의 소재인 판재도 마찬가지로 SS400 또는 SPHC 등이 채용된다. 물론, 소정의 강성이 얻어지는 것이라면 이들 부재의 재료로서 다른 종류의 재료가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롤러 접촉 부재(31) 및 연결 부재(40) 등의 각 부재 사이의 결합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 또는 리벳 등으로 실현되는 체결 부재(60)가 사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편면에서의 작업으로 체결 가능한 원사이드 볼트 또는 블라인드 리벳 등이 체결 부재(60)로서 채용된다.
또한, 마스트(30)에 있어서의 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의 두께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판재의 두께보다 얇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판재[롤러 접촉 부재(31)]의 두께를 t1이라고 하고, 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의 두께를 t2라고 했을 경우, t1이 예를 들면 5㎜이고, t2가 예를 들면 3㎜이다.
또한, 제 2 판재[이면측 부재(35)]의 두께를 t3이라고 했을 경우, t3은 예를 들면 3~5㎜이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트(30)에서는 부분적으로 두께를 다르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트(30)는 서로 별체인 롤러 접촉 부재(31), 이면측 부재(35), 및 연결 부재(40)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각 부재의 두께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대(51)의 복수의 가이드 롤러가 접촉함으로써 큰 하중이 가해지는 롤러 접촉 부재(31)의 두께는 비교적 두껍고, 연결 부재(40)의 두께는 비교적 얇다.
즉, 마스트(30)에 있어서 높은 강성이 요구되는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에서 두께를 다르게 하고 있다. 그 결과, 마스트(30) 전체의 필요한 강성을 확보하면서 마스트(3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트(30)와 같은 정도의 강성을 갖는 종래의 각 파이프와 비교했을 경우, 마스트(30)의 중량은 종래의 각파이프의 약 절반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마스트(30)를 채용함으로써 스태커 크레인(50)의 기동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스태커 크레인(50)에 요구되는 X축 방향의 이동의 가속, 감속, 및 정지 등의 동작을 종래보다 적은 에너지로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 1 연결면부(41)는 길이(높이 방향의 치수, 이하 동일)가 서로 다른 제 1 연결면부(41a)와 제 1 연결면부(41b)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 2 연결면부(42)도 마찬가지로 길이가 서로 다른 제 2 연결면부(42a)와 제 2 연결면부(42b)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접촉 부재(31)와 이면측 부재(35)의 길이는 동일(대략 동일도 포함함. 이하 동일)하고, 2개의 롤러 접촉 부재(31)의 길이의 합계와, 2개의 제 1 연결면부(41a) 및 1개의 제 1 연결면부(41b)의 길이의 합계는 동일하다. 또한, 2개의 롤러 접촉 부재(31)의 길이의 합계와, 2개의 제 2 연결면부(42a) 및 1개의 제 2 연결면부(42b)의 길이의 합계는 동일하다.
예를 들면, 롤러 접촉 부재(31), 이면측 부재(35), 제 1 연결면부(41b) 및 제 2 연결면부(42b)의 길이가 1.7m이고, 제 1 연결면부(41a) 및 제 2 연결면부(42a)의 길이가 0.85m이다. 이 경우,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마스트(30)의 길이(높이)는 3.4m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트(30)에 있어서 복수의 롤러 접촉 부재(31)의 배열에 있어서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 접촉 부재(31) 사이의 경계 위치가, 높이 방향에 있어서 이면측 부재(35) 사이의 경계 위치 및 연결 부재(40) 사이의 경계 위치 중 적어도 한쪽과 동일해지지 않도록 각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즉, 롤러 접촉 부재(31)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있는 이면측 부재(35) 및 연결 부재(40) 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1개소의 길이를 다르게 하고 있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롤러 접촉 부재(31), 이면측 부재(35) 및 연결 부재(40) 각각의 배열에 있어서의 경계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면부(41a)와 제 1 연결면부(41b)는 교대로 배치되고, 제 2 연결면부(42a)와 제 2 연결면부(42b)는 교대로 배치된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접촉 부재(31) 사이의 경계(B1)의 높이 방향의 위치는 제 1 연결면부(41a)와 제 1 연결면부(41b) 사이의 경계(B2), 즉 연결 부재(40) 사이의 경계(B2)의 높이 방향의 위치와는 다르다.
이렇게,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는 부재의 경계의 위치를 다른 부재의 경계의 위치와 높이 방향에 있어서 어긋나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마스트(30)의 조립 정밀도가 향상되고, 그 결과 마스트(30)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직선도가 향상된다. 또한, 예를 들면 강도가 다른 것과 비교해서 낮아지는 이들 경계 부분을 높이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마스트(30)의 굽힘 모멘트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롤러 접촉 부재(31) 사이의 경계(B1)의 높이 방향의 위치와, 이면측 부재(35) 사이의 경계(B3)의 높이 방향의 위치는 동일하지만, 이들 경계(B1)와 경계(B3)가 높이 방향으로 어긋나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마스트(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롤러 접촉 부재(31)를 접속시키는 제 1 접속 부재(34)와, 인접하는 2개의 이면측 부재(35)를 접속시키는 제 2 접속 부재(36)를 갖고 있다.
도 6a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접속 부재(34)의 롤러 접촉 부재(31)에 대한 설치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b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접속 부재(36)의 이면측 부재(35)에 대한 설치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 부재(34)의 Y축 방향의 폭은 롤러 접촉 부재(31)의 Y축 방향의 폭보다 좁다. 그 때문에, Y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제 2 롤러(56)의 제 2 접촉면(31b)을 따르는 이동이 제 1 접속 부재(34)에 의해 저해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제 1 접속 부재(34)는 인접하는 2개의 롤러 접촉 부재(31)의 경계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이들 2개의 롤러 접촉 부재(31)와, 복수의 체결 부재(60)에 의해 결합된다.
마스트(30)에 있어서, 이렇게 제 1 접속 부재(34)가 배치됨으로써 인접하는 2개의 롤러 접촉 부재(31) 사이의 경계 부분이 보강된다.
또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접속 부재(36)는 이면측 부재(35)와 체결 부재(60)에 의해 결합됨과 아울러 연결 부재(40)와도 체결 부재(60)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즉, 제 2 접속 부재(36)는 인접하는 2개의 이면측 부재(35)의 경계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이들 2개의 이면측 부재(35)와, 복수의 체결 부재(60)에 의해 결합된다. 이것에 의해, 인접하는 2개의 이면측 부재(35) 사이의 경계 부분이 보강된다.
또한, 제 2 접속 부재(36)는 연결 부재(40)와도 체결 부재(60)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2개의 이면측 부재(35)와 상기 연결 부재(40)의 결합에 있어서의 보강 부재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또한, 제 2 접속 부재(36)는 예를 들면 Y축에 평행한 1개의 부재와, X축에 평행한 2개의 부재로 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Y축에 평행한 1개의 부재만으로 하고, 연결 부재(40)와는 결합하지 않고 2개의 이면측 부재(35)와만 결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접촉 부재(31), 이면측 부재(35), 및 연결 부재(40)의 3종류의 부재에 있어서, 롤러 접촉 부재(31)의 두께(t1)는 연결 부재(40)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했다. 또한, 이면측 부재(35)의 두께(t3)는 예를 들면 연결 부재(40)의 두께(t2) 이상으로 했다.
여기에서, 이들 3종류의 부재의 각각에 있어서 예를 들면 높이 방향의 위치 에 따라서 두께가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이면측 부재(35)의 두께(t3)를 상기 이면측 부재(35)의 높이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다르게 해도 된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면측 부재(35)의 높이 방향의 위치와 두께의 관계를 설명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예를 들면, 높이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이면측 부재(35) 중 낮은 위치에 배치된 한쪽을 이면측 부재(35a)로 하고, 높은 위치에 배치된 이면측 부재(35b)로 한다. 또한, 이면측 부재(35a)의 두께를 t3a라고 하고, 이면측 부재(35b)의 두께를 t3b라고 한다.
이 경우, t3a를 t3b보다 크게 해도 좋다. 즉, 낮은 위치에 배치된 이면측 부재(35a)의 두께를 높은 위치에 배치된 이면측 부재(35b)의 두께보다 두껍게 해도 좋다.
즉, 마스트(30)의 자체 중량 및 모멘트를 포함해 큰 역학적인 부하가 가해지는, 마스트(30)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면측 부재(35)의 두께를 상부의 이면측 부재(35)의 두께보다 두껍게 한다. 환언하면, 상부의 이면측 부재(35)의 두께를 하부의 이면측 부재(35)의 두께보다 얇게 한다.
이것에 의해, 마스트(30)에 있어서 보다 높은 강성이 요구되는 부분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마스트(30) 전체의 중량의 경량화도 도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이면측 부재(35)의 각각은 제 2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예를 들면, 도 4 참조), 연결 부재(40)에 있어서의 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된 2개의 이면측 부재(35)(35a, 35b)의, 외측의 면[롤러 접촉 부재(31)와는 반대측의 면(X축 부측의 면)]이 단차가 없는 평평한 면을 형성하도록 2개의 이면측 부재(35)(35a, 35b)를 배치할 수 있다.
이것은 이면측 부재(35)가 높이 방향으로 3개 이상 배열되어 배치되는 경우도 같다. 즉, 3개 이상의 이면측 부재(35)의 두께를 상기 이면측 부재(35)의 높이 방향의 위치가 낮을수록 두껍게[상기 이면측 부재(35)의 높이 방향의 위치가 높을수록 얇게] 할 수 있고, 또한 이들 외측의 면이 단차가 없는 평평한 면을 형성하도록 3개 이상의 이면측 부재(35)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연결 부재(40)[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빼기 가공에 의해 형성된 관통구멍(45)을 복수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구멍(45)에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의 관통구멍(45a)과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의 관통구멍(45b)이 존재하지만, 관통구멍(45)의 형상에 특별하게 한정은 없다.
연결 부재(40)에 있어서, 이렇게 살빼기 가공을 할 경우 연결 부재(40)의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한 가공을 더 추가해도 좋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40)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얻어지는 팽출부를 가져도 좋다.
도 9a는 연결 부재(40)에 형성된 팽출부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대응하는 A-A 단면도이다.
도 9c는 연결 부재(40)에 형성된 팽출부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d는 도 9c에 대응하는 B-B 단면도이다.
또한, 도 9a~도 9d에서는 제 1 연결면부(41)에 형성된 관통구멍(45) 및 팽출부(46, 47)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 2 연결면부(42)에도 마찬가지로 관통구멍(45) 및 팽출부(46, 47)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45)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팽출부(46)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도 9c 및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45)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팽출부(47)을 형성해도 좋다.
어떤 경우라도 팽출부(46) 및 팽출부(47)는 연결 부재(40)의 일체물로서 용이하게 연결 부재(40)에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연결 부재(4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리브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제 1 연결면부(41)의 폭 방향(X축 방향)에 제 1 연결면부(41)의 전체 폭의 절반 이상의 크기를 갖는 팽출부(46) 또는 팽출부(47)를 형성함으로써 팽출부(46) 또는 팽출부(47)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보다 연결 부재(40)의 강도가 향상된다.
이렇게, 연결 부재(40)에 관통구멍(45)과 팽출부(46) 또는 팽출부(47)를 형성함으로써 연결 부재(40)의 중량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고, 또한 관통구멍(45)을 형성하는 것에 의한 연결 부재(40)의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트(30)의 단면에 있어서 롤러 접촉 부재(31)의 Y축 방향의 양단이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다.
이것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대(51)가 롤러 접촉 부재(31)에 접촉하는 가이드 롤러로서 제 3 롤러(57)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서 롤러 접촉 부재(31)에 제 3 접촉면(31c)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제 3 롤러(57)는, 예를 들면 롤러 접촉 부재(31)를 사이에 두고 제 2 롤러(56)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제 2 롤러(56)의 회전축(56a)과 평행한 회전축(57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이다.
예를 들면, 승강할 때의 승강대(51)의 지지를 2개의 마스트(30)가 아니라, 1개의 마스트에 부담시킬 경우 승강대(51)에 제 3 롤러(57)가 설치된다.
이렇게, 롤러 접촉 부재(31)가 제 3 접촉면(31c)을 가짐으로써 승강대(51)를 승강시키기 위한 가이드가 되는 지주가 1개인 스태커 크레인(50)에 있어서도 본 실시형태의 마스트(30)를 상기 지주로서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태커 크레인(50)과 같이 승강대(51)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지주로서 2개의 마스트(30)를 사용할 경우, 롤러 접촉 부재(31)는 Y축 방향의 양단이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것도 포함하여 마스트(30)는 다양한 단면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그래서, 마스트(30)의 단면 구조의 몇 개의 변형예를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마스트(30)의 단면 구조의 복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 1 도면이고, 도 12는 마스트(30)의 단면 구조의 복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 2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마스트(130)와 같이, 롤러 접촉 부재(31)는 Y축 방향의 양단이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즉, 상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제 1 판재의 양 단부를 절곡함으로써 2개의 제 1 접촉면(31a)과 1개의 제 2 접촉면(31b)을 구비하는 롤러 접촉 부재(31)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부재(40)에 있어서의 제 1 연결면부(41)와 제 2 연결면부(42)는 서로 별체이다. 그러나, 도 11의 (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면부(41)와 제 2 연결면부(42)는 일체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부재(40)는 제 3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제 1 연결면부(41)와 제 2 연결면부(42)를 일체로 가져도 좋다.
또한, 제 3 판재로서는 제 1 판재 등과 마찬가지로 SS400 또는 SPHC 등이 채용된다.
예를 들면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트(131)에 있어서 제 1 연결면부(41)와 제 2 연결면부(42)의 연결 부분이 이면측 부재(35)의 측에 위치하도록 연결 부재(40)를 배치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마스트(131)에 있어서의 외측[승강대(51)와는 반대측] 부분의 강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트(132)에 있어서 제 1 연결면부(41)와 제 2 연결면부(42)의 연결 부분이 롤러 접촉 부재(31)의 측에 위치하도록 연결 부재(40)를 배치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롤러 접촉 부재(31)와 연결 부재(40)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롤러 접촉 부재(31)와 연결 부재(40)를 보다 강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연결 부재(40)의 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의 각각은 롤러 접촉 부재(31)의 Y축에 평행한 부분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가져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의 롤러 접촉 부재(31) 측의 단부를 절곡함으로써 결합부(44a) 및 결합부(44b)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의 각각이 롤러 접촉 부재(31)의 Y축에 평행한 부분과 결합한 마스트(133)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면 결합부(44a) 및 결합부(44b)와 롤러 접촉 부재(31)를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60)에 의해 제 1 접속 부재(34)(도 3 및 도 6a 참조)와 롤러 접촉 부재(31)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의 결합부(44a) 및 결합부(44b)는 반대측의 단부를 절곡함으로써 결합부(44c) 및 결합부(44d)를 형성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의 각각이 이면측 부재(35)의 Y축에 평행한 부분과 결합한 마스트(134)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측 부재(35)는 롤러 접촉 부재(31)와 동일 또는 근사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이면측 부재(35)가 롤러 접촉 부재(31)와 같은 기능, 즉 승강대(51)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져도 좋다.
즉,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단면 형상의 마스트(134)를 2개 준비했을 경우, 이들 2개의 마스트(134)를 승강대(51)의 좌우(X축 정 및 부의 방향, 이하 동일)의 어느 쪽에나 배치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마스트(134)를 중심으로 해서 2대의 승강대(51)를 배치하고, 상기 1개의 마스트(134)에 이들 2대의 승강대(51)의 승강을 가이드시켜도 좋다.
또한, 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가 결합부(44c) 및 결합부(44d)를 가질 경우, 예를 들면 도 1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40)와 평판 형상의 이면측 부재(35)가 결합된 마스트(135)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스태커 크레인에 대해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당업자가 고안한 각종 변형을 본 실시형태에 실시한 것도, 또는 상기 설명된 복수의 구성 요소를 조합시켜서 구축되는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마스트(30)에 있어서의 각 부재간의 결합의 방법에 특별히 한정은 없다. 각 부재간의 결합의 방법으로서 체결 부재(60)에 의한 체결 대신에 또는 추가해서 용접 또는 접착재에 의한 결합이 채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착재와, 체결 부재(60)로서의 리벳을 병용하여 각 부재간의 결합이 이루어져도 좋다. 즉, 리벳에 의한 체결 및 접착재에 의한 접착 등의, 결합을 위한 방법의 복수의 조합에 의해 각 부재간이 결합되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연결 부재(40)는 마스트(30)에 있어서 높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치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연결 부재(40)가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제 1 연결면부(41)와 제 2 연결면부(42)가 별체일 경우 높이 방향에 있어서 제 1 연결면부(41)와 제 2 연결면부(42)가 교대로 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즉, 마스트(30)에 요구되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조건 하에서, 이산적으로 연결 부재(40)를 배치함으로써 마스트(30)가 더욱 경량화 가능하다.
또한, 연결 부재(40)에 살빼기 가공에 의해 관통구멍(45)을 형성할 경우 복수의 관통구멍(45)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즉, 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 중 적어도 한쪽에 적어도 1개의 관통구멍(45)이 형성되면 좋다.
또한, 마스트(30)에 있어서 제 1 접속 부재(34) 및 제 2 접속 부재(36)는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다. 즉, 제 1 접속 부재(34)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인접하는 2개의 롤러 접촉 부재(31)는 연결 부재(40)와 결합함으로써 연결 부재(40)를 통해서 높이 방향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 2 접속 부재(36)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라도 인접하는 2개의 이면측 부재(35)는 마찬가지로 연결 부재(40)를 통해서 높이 방향으로 접속된다.
또한, 마스트(30)는 제 1 접속 부재(34) 및 제 2 접속 부재(36) 중 한쪽만을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스태커 크레인(50)에 있어서의 승강대(51)를 중심으로 한 좌우의 구조가 동일해지도록 1쌍의 마스트(30)(도 1 참조)의 각각에 있어서 제 1 접속 부재(34) 및 제 2 접속 부재(36) 중 한쪽만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접속 부재가 2중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인접하는 2개의 롤러 접촉 부재(31)의 이음매를 사이에 두도록 2매의 제 1 접속 부재(34)가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이들 롤러 접촉 부재(31)의 이음매의 강도가 향상되고, 상기 이음매에 있어서의 변형량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이음매에 1매만 제 1 접속 부재(34)를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롤러 접촉 부재(31)와 제 1 접속 부재(34)를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60)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마스트(30)의 내하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각 이면측 부재(35)의 두께를 높이 위치에 따라서 변경하는 대신에 또는 추가해서 각 롤러 접촉 부재(31) 및 각 연결 부재(40) 중 적어도 한쪽의 두께를 높이 위치에 따라서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면, 각 롤러 접촉 부재(31)의 두께를 높이 위치에 따라서 변경할 경우, 본 실시형태의 이면측 부재(35)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롤러 접촉 부재(31)의 각각을 연결 부재(40)에 있어서의 제 1 연결면부(41) 및 제 2 연결면부(42)에 끼워지도록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롤러 접촉 부재(31)의 제 2 접촉면(31b)에 단차가 없는 평평한 면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 도 11 및 도 12 등을 이용하여,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트(30)의 단면 구조 및 그 변형예를 설명했지만, 이들 각종 단면 구조의 특징 부분을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단면 구조의 마스트를 제작해도 좋다.
본 발명의 스태커 크레인은 원하는 강성을 확보하면서 경량화가 가능한 마스트를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이다. 따라서, 공장 및 물류 창고 등에서 하물의 반송을 행하는 스태커 크레인 등으로서 유용하다.
12 : 하부 레일 20 : 주행 대차
30, 130, 131, 132, 133, 134, 135 : 마스트
31 : 롤러 접촉 부재 31a : 제 1 접촉면
31b : 제 2 접촉면 31c : 제 3 접촉면
34 : 제 1 접속 부재 35, 35a, 35b : 이면측 부재
36 : 제 2 접속 부재 40 : 연결 부재
41, 41a, 41b : 제 1 연결면부 42, 42a, 42b : 제 2 연결면부
44a, 44b, 44c, 44d : 결합부 45, 45a, 45b : 관통구멍
46, 47 : 팽출부 50 : 스태커 크레인
51 : 승강대 52 : 이송 장치
55 : 제 1 롤러 55a, 56a, 57a : 회전축
56 : 제 2 롤러 57 : 제 3 롤러
58 : 스테이션 60 : 체결 부재
80 : 랙 90 : 하물
100 : 자동 창고
30, 130, 131, 132, 133, 134, 135 : 마스트
31 : 롤러 접촉 부재 31a : 제 1 접촉면
31b : 제 2 접촉면 31c : 제 3 접촉면
34 : 제 1 접속 부재 35, 35a, 35b : 이면측 부재
36 : 제 2 접속 부재 40 : 연결 부재
41, 41a, 41b : 제 1 연결면부 42, 42a, 42b : 제 2 연결면부
44a, 44b, 44c, 44d : 결합부 45, 45a, 45b : 관통구멍
46, 47 : 팽출부 50 : 스태커 크레인
51 : 승강대 52 : 이송 장치
55 : 제 1 롤러 55a, 56a, 57a : 회전축
56 : 제 2 롤러 57 : 제 3 롤러
58 : 스테이션 60 : 체결 부재
80 : 랙 90 : 하물
100 : 자동 창고
Claims (8)
- 주행 대차,
승강하는 승강대로서, 상기 승강대가 마스트에 가이드되어서 승강하기 위한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를 갖고, 제 1 롤러의 회전축과 제 2 롤러의 회전축은 서로 교차하는 승강대, 및
상기 주행 대차에 세워서 설치되어 승강대를 안내하는 마스트로서, 제 1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제 1 롤러가 접촉하는 제 1 접촉면과 상기 제 2 롤러가 접촉하는 제 2 접촉면이 형성된 롤러 접촉 부재와, 제 2 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롤러 접촉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이면측 부재와, 상기 롤러 접촉 부재와 상기 이면측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판 형상의 제 1 연결면부 및 제 2 연결면부를 갖는 연결 부재를 갖는 마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연결면부 및 상기 제 2 연결면부의 두께는 상기 제 1 판재의 두께보다 얇으며,
상기 마스트는 복수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 복수의 상기 이면측 부재, 및 복수의 상기 연결 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는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상기 이면측 부재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마스트는 상기 복수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 중 적어도 2개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이고, 인접하는 상기 2개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를 접속시키는 접속 부재를 더 가지며,
상기 복수의 상기 이면측 부재의 각각은 상기 제 2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연결면부 및 상기 제 2 연결면부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 상기 복수의 상기 이면측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상기 연결 부재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의 배열에 있어서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간의 경계 위치가 상기 높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이면측 부재간의 경계 위치 및 상기 연결 부재간의 경계 위치 중 적어도 한쪽과 동일하게 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마스트에 있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이면측 부재 중 적어도 2개의 상기 이면측 부재 중 낮은 위치에 배치된 상기 이면측 부재의 두께는 높은 위치에 배치된 상기 이면측 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이면측 부재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상기 이면측 부재 각각의 상기 롤러 접촉 부재와는 반대측의 면에 의해 평평한 면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연결면부 및 상기 제 2 연결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살빼기 가공에 의해 형성된 관통구멍과,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팽출되는 팽출부로서 상기 연결 부재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팽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서로 별체인 상기 제 1 연결면부와 상기 제 2 연결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166294A JP5686121B2 (ja) | 2012-07-26 | 2012-07-26 | スタッカクレーン |
JPJP-P-2012-166294 | 2012-07-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3926A KR20140013926A (ko) | 2014-02-05 |
KR101702933B1 true KR101702933B1 (ko) | 2017-02-06 |
Family
ID=4999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0748A KR101702933B1 (ko) | 2012-07-26 | 2013-07-10 | 스태커 크레인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030051A1 (ko) |
JP (1) | JP5686121B2 (ko) |
KR (1) | KR101702933B1 (ko) |
CN (1) | CN103569568A (ko) |
TW (1) | TWI59953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45498B2 (ja) * | 2011-12-21 | 2014-07-09 | 株式会社ダイフク | 物品保管設備及び物品保管設備におけるメンテナンス方法 |
JP6318996B2 (ja) * | 2014-09-02 | 2018-05-09 | 株式会社ダイフク | 物品搬送装置 |
JP6287699B2 (ja) * | 2014-09-02 | 2018-03-07 | 株式会社ダイフク | 物品搬送装置 |
JP6256420B2 (ja) * | 2015-06-30 | 2018-01-10 | 村田機械株式会社 | スタッカクレーン |
JP2018070304A (ja) * | 2016-10-26 | 2018-05-10 | 村田機械株式会社 | スタッカクレーン、及び、スタッカクレーンの組立方法 |
CN107572450A (zh) * | 2017-09-25 | 2018-01-12 | 沈阳蓝英工业自动化装备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半钢胎胚库的高速堆垛机 |
WO2019056581A1 (en) * | 2017-09-25 | 2019-03-28 | Antwave Intellectual Property Limited |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ANTENNA IN ELECTRONIC DEVICES |
JP2022188782A (ja) * | 2019-11-22 | 2022-12-22 | 村田機械株式会社 | スタッカクレーン |
DE102020202438A1 (de) | 2020-02-26 | 2021-08-26 | Mias Maschinenbau, Industrieanlagen & Service Gmbh | Mastanordnung für ein regalbediengerät |
KR102410611B1 (ko) * | 2020-10-21 | 2022-06-20 |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 스태커 크레인 |
KR102410609B1 (ko) * | 2020-10-21 | 2022-06-20 |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 스태커 크레인 |
CN114074901B (zh) * | 2022-01-18 | 2022-04-01 | 广东友力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堆垛机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216957A1 (en) | 2001-06-13 | 2004-11-04 | Rudolf Hansl | Loading/unloading device for shelving |
US20110126484A1 (en) | 2009-01-20 | 2011-06-02 | Skidmore Owings & Merrill Llp | Precast wall panels and method of erecting a high-rise building using the panels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526774B1 (fr) * | 1982-05-11 | 1986-03-07 | Pichon Michel | Elevateur de chantier |
JP4079129B2 (ja) * | 2004-07-27 | 2008-04-23 | 村田機械株式会社 | スタッカークレーン |
CN1749132B (zh) * | 2005-09-14 | 2011-03-16 | 深圳怡丰自动化科技有限公司 | 一种板材用自动化立体仓库 |
JP2008074541A (ja) * | 2006-09-21 | 2008-04-03 | Murata Mach Ltd | 昇降装置 |
JP4415397B2 (ja) * | 2007-09-03 | 2010-02-17 | 村田機械株式会社 | スタッカークレーン |
JP2009057185A (ja) * | 2007-09-03 | 2009-03-19 | Murata Mach Ltd |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とそのマストの軽量化方法 |
JP2010052873A (ja) * | 2008-08-27 | 2010-03-11 | Ihi Corp | マスト構造 |
JP5110051B2 (ja) * | 2009-07-21 | 2012-12-26 | 株式会社Ihi | 昇降機構付き軌道走行台車 |
JP5110124B2 (ja) | 2010-07-15 | 2012-12-26 | 村田機械株式会社 | スタッカクレーン |
-
2012
- 2012-07-26 JP JP2012166294A patent/JP5686121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03-07 US US13/787,904 patent/US2014003005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05-29 CN CN201310205654.3A patent/CN103569568A/zh active Pending
- 2013-07-10 KR KR1020130080748A patent/KR10170293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7-24 TW TW102126463A patent/TWI599535B/zh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216957A1 (en) | 2001-06-13 | 2004-11-04 | Rudolf Hansl | Loading/unloading device for shelving |
US20110126484A1 (en) | 2009-01-20 | 2011-06-02 | Skidmore Owings & Merrill Llp | Precast wall panels and method of erecting a high-rise building using the panel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599535B (zh) | 2017-09-21 |
JP5686121B2 (ja) | 2015-03-18 |
JP2014024642A (ja) | 2014-02-06 |
CN103569568A (zh) | 2014-02-12 |
US20140030051A1 (en) | 2014-01-30 |
KR20140013926A (ko) | 2014-02-05 |
TW201418137A (zh) | 2014-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2933B1 (ko) | 스태커 크레인 | |
EP2548834B1 (en) | Tailor welded panel beam for construction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 |
US11794950B2 (en) | Structure for automated pallet storage and retrieval | |
JP5110124B2 (ja) | スタッカクレーン | |
US20170001800A1 (en) | Stacker crane | |
TWI511911B (zh) | Stacker | |
KR101479798B1 (ko) | 지게차용 마스트 조립체 | |
EP2810912B1 (en) | A truss device and an escalator or moving walk | |
EP3819226B1 (en) | Pallet | |
EP2984026B1 (en) | Boom and personnel hoist | |
WO2005070809A2 (en) | Travelator, moving ramp or escalator | |
CN214087224U (zh) | 一种超大载重电梯的拱式上梁 | |
CN215974499U (zh) | 加强型轿底托架 | |
JP7235575B2 (ja) | パレット及びエレベーターパーキング | |
CN216971914U (zh) | 一种叉车外门架及其上横梁 | |
JP3126853U (ja) | 作業台 | |
JP7074009B2 (ja) | 物品収納設備 | |
JP7318859B2 (ja) | 昇降機構及びその昇降機構を備えた立体自動倉庫 | |
JP6490300B2 (ja) | エレベータ用かご床、及びエレベータ用かご床の製造方法 | |
JP2021109658A (ja) | パレット | |
CN115923857A (zh) | 司机室骨架结构 | |
JP2020082987A (ja) | 積荷移動台車 | |
JPH04345491A (ja) | 乗客コンベアの主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