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066B1 -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066B1
KR890001066B1 KR1019810005036A KR810005036A KR890001066B1 KR 890001066 B1 KR890001066 B1 KR 890001066B1 KR 1019810005036 A KR1019810005036 A KR 1019810005036A KR 810005036 A KR810005036 A KR 810005036A KR 890001066 B1 KR890001066 B1 KR 890001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hydraulic jack
elevator system
clamp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5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411A (ko
Inventor
에이. 카펜하겐 죠오지
에프.잭슨 레이
Original Assignee
웨스팅 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죠오지 메크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팅 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죠오지 메크린 filed Critical 웨스팅 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30007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4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이 절단된 제1도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후면도.
제3도는 신축형 유압잭이 완전히 연장된 상태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설명하는 제2도와 유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정면도.
제4도는 단일 스테이지(stage)의 유압잭이 완전히 연장된 상태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설명하는 제3도와 유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정면도.
제5도는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안정장치의 평면도를 설명 하는 제2도의 선 Ⅴ -Ⅴ선을 따라 절단한 터널 구조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 Ⅵ-Ⅵ를 따라 절단한 안정수단의 일부분의 정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선 Ⅶ-Ⅶ를 따라 절단한 안정수단의 일부분의 정면도.
제8도는 제5도에 도시된 안정수단의 가압수단의 분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엘리베이터 카 22 : 플래트 폼
24 : 캡(cab) 26,34,38,40 : 카프레임
20 : 유압잭 121 : 실린더
23 : 피스톤 124,126,128,130 : 측벽
132 : 단부판 180 : 안정수단
208 : 클램프 수단 194,196,198,200 : 로울러
236,250,252,254,256 : 가압수단 250,252,254,256 : 스프링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 특히 유압잭용 안정장치(stabilizing arangement)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장비(slenderness ratio)가 높은 유압식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유압잭과 신축형 잭(telescopic jack)은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동축정렬(coaxial alignment)를 향상시키고, 그리하여 굽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중간 지지체를 필요로 한다.
상기와 같은 중간 지지체가 필요한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피스톤과 외측 가이드 (예로써, 엘리베이터 안내 레일)사이에 연장한 아암을 사용한다. 예를들면, 엘리베이터 카가 상승 이동할때, 상기 지지아암은 피스톤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하강 이동할때,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승하는 엘리베이터 카가 예정된 높이에 도달할때, 피스톤과 결합하여 이 피스톤과 함께 운동하도록 작동 할수 있게 피스톤과 자동으로 결합하거나 해제되는 지지암을 사용한다.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219,103호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는 유압잭이 엘리베이터 카내의 터널 구조내에 설치된 유압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터널 구조는 카 프레임의 하부 비임으로부터 연장하거나 상부 비임의 특정 지점에 매달려 있어서 상기 유압잭을 수용하기 위한 지면의 구멍 천공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의 상단부는 터널 구조의 상단부에 있는 단부판과 접촉한다. 약 5m이상의 수직 운동이 필요하고, 잭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천공하지 않으려면 신축형태(telescopic type)의 유압잭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유압잭용 안정 수단을 구비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상승 운동할대, 유압잭의 동축 정렬 상태를 개선 하고, 그리하여 굽힘 변형을 방지하는 중간 지지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르는 본 발명은 플래트폼, 이 플래트폼상의 캡, 이 캡 및 상기 플래트폼을 지지하는 카프레임,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 및 적어도 하나의 상단부(135)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에 공정된 실린더를 구비한 유압잭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종축선을 가진 기다란 터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널이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 연장한 하나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있고 상기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잭의 종축선은 상기 터널의 종축선과 동축을 형성하며, 상기 유압잭은 상기 터널의 개방된 하단부내로 연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의 상단부는 상기 터널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상단부에 접촉하며, 상기 터널내의 안정수단은 상기 유압잭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안정수단은 상기 터널의 측벽부의 적어도 하나와 접촉함에 의해 상기 실린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및 상기 터널 사이의 동축정렬(coaxial alignment)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압식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 카를 상향 관통하는 터널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유압잭을 위한 구멍이 전혀 필요하지 않거나 그 구멍의 깊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유압잭과 안내 레일 사이에 안정화 아암과 같은 복잡한 부가적인 지지체를 설치하는 대신에, 본원 발명에서는 터널내에 안정수단을 설치하고 있는데, 이 안정수단은 항상 유압잭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터널은 엘리베이터 카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압잭이 최대로 연장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안정수단은 터널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터널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진행하는 중간 지지점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유압잭과 엘리베이터 안내 레일 사이에 안정수단에 의한 확고한 추가의 지지점이 형성된다. 상기 안정수단은 유압잭과, 카프레임에 영구 고정된 터널 구조와, 상기 카프레임에 영구 고정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수직이동 경로를 따라 안내 레일에 대해 회전하는 안내 로울러 조립체에 영구 고정된다. 이와 같은 확고한 추가 지지점은 엘리베이터 카의 상승시 추가 지지체를 동작시키고, 엘리베이터 카의 하강시 지지체의 동작중지를 위한 복잡한 동기(synchronizing)장치를 설치 않고도 형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원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원 발명에 따라 구성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사시도이며, 제2도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의 후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는 건물(16)에 형성된 승강 통로(hatch way)(14)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12)가 있다. 승강통로(14)의 바닥에 형성된 승강홈(hatch pit)(19)에 설치된 단일(single)유압잭(20)은 엘리베이터카 (12)의 동력 수단이 된다. 유압잭(20)으로서는 실린더(21), 실린더 헤드(25), 제1피스톤(23), 실린더 헤트(25′), 제2피스톤(23′)를 구비한 신축형 (telescopic)잭이나 종래의 단일 스테이지(single stage)잭을 사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12)에는 플렌트 폼(22) 이 플래트폼(22)위에 설치된 캡(cab) (24), 및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프래트 폼과 캡을 지지하는 구조적 지지수단, 즉 카프레임 (2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카프레임(26)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압잭을 수용하는 홈의 깊이를 감소시키거나 홈자체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유압잭(20)을 수용하도록된 기다란 금속제 터널구조(30)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터널구조(30)은 엘리베이터 카(12)의 최전면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카프레임(26)은 예로써, 하부 비임부재(34)와 상부 비임부재(36)과 같은 하부와 상부를 구비하며, 예로써, 수직부재(38)(40)과 같은 제1 및 제2측부를 구비한다. 하부 비임부재(34)는 제1단부(42)와 제2단부(44)를 구비하며 단면은 예로써 U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U자형 단면부는 제1레그부(46), 중간부 (47), 제2레그부(48)를 포함한다.
상부 비임부재(36)은 제1단부(50)와 제2단부(52)를 구비하며, 그 단면은 예로서 U자형 단면으로 되어 있다. 이 U 자형 단면부는 중간부(54), 제1레그부(56)와 제2레그부(58)을 구비한다.
상기 수직부재(38)(40)은, 예로써 제1단부(60)와 제2단부(62)와 같은 제1 및 제2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수직부재, 예로써 수직부재(38)는 중간부(64)와 제1 및 제2레그부(66)(68)을 구비한 U자형 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및 제2레그부의 각 단부에는 일체형 플랜지(70)(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랜지는 서로 나란히 배열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굽혀져 있다.
장착 브래킷은 단부(50)의 장착 브래킷(73)의 예와 같이 상부 비임부재(36)의 레그부 사이에 용접되어, 수직부재(38)(40)의 제2단부 및 대각선 방향의 버텀대(110 )(112)의 장착점을 형성한다.
터널(30)과 수직부재(38)(40)은 카프레임의 수직 구조 부재가 있다. 즉, 터널( 30)또는 수직부재(38)(40)이 제1차적인 수직 지지가능을 제공하거나 상기 터널과 두개의 수직부재가 공동으로 수직 지지기능을 분담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비임부재(34)의 너트와 볼트 조립체(80) 및 상부 비임부재(36)의 너트와 볼트 조립체(80)의 예와 같은 수직부재(38)(40)의 제1단부와 제2단부를 장착 브래킷에 연결하기 위한 적절한 너트 및 볼트 조립체를 사용할 수 있다.
하부 비임부재(34)와 상부 비임부재(36)의 중간부의 일측에는 슬로트가 형성되어 있는데, 예를들면 하부 비임부재(34)의 단부(42)내의 슬로트(84)와 상부 비임부재(36)의 양단부(50)(52)의 각 슬로트(86)(88)이 그것인데, 이 슬로트는 예로써 안내레일(88)(90)과 같은 안내 레일 돌출부(nose portion)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 비임부재(34)와 상부 비임부재(36)의 중간부의 상기 안내레일 슬로트 또는 안내 로울러 조립체에 인접한 부위에 다수의 길쭉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들면, 상부 비임부재(36)의 안내 레일 슬로트(86)에 인접 형성된 구멍(92)(94)(96)이 그것으로, 이들 길쭉한 구멍들은 제2도에 도시한 안내 로울러 조립체(98)을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프래트폼(22)은 카 프레임의 하부 비임부재(34)와 연결되게 제작하여 앨리베이터 카의 플래트폼(22)을 형성한다.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219,20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플래트폼(22)은 예로써 힌지 조립체(100)과 같은 힌지 조립체를 통하여 피봇이 가능하여 접거나 펄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대각선 방향의 버팀대부재(110)(112)는 카 프레임(26)과 플래트폼(22)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예로써 브래킷(73)과 프랫트폼(22)사이에 고정된다. 버팀대 부재(110)(112)는 프래트폼(22)을 접거나 펼칠수 있도록 구성된다. 플래트폼 (22)상에는 적절한 바닥부재(114)가 설치되고, 이 바닥부재(114)위에는 상기한 캡 (cab)(24)가 설치된다. 이 캡(24)은 측벽(116)(118), 후벽(120) 및 (122)를 포함한다.
기다란 터널구조(30)은 원형 혹은 비원형의 개구부를 구비하거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 개구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터널구조(30)은 하부 비임부재(34)내의 적절한 개구를 통해 연장된다. 터널의 길이에 따라, 이 터널은 상부 비임부재(36)의 관통연장할 수도 있다. 터널구조(30)의 정사각형 단면으로 하는 경우, 이 터널구조 (30)은 4개의 금속부재(124)(126)(128)(130)을 예로써 용접에 의해 적절히 결합시켜 형성할 수 있다. 터널구조(30)에는 피스톤(23)의 단부가 접촉하는 단부판(132)가 구비된다. 단부판(132)에는 피스톤(23)의 상부(135)를 수용하기 위한 소정의 개부 (133)이 있어, 피스톤(23)이 단부판(132)의 중심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한다. 핀 (139)는 피스톤의 상부(135)의 횡방향 개구내에 고정된다. 터널구조 혹은 단부판 또는 이들 양자에 육안 점검을 위한 개구 (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할 수 있다.
유압잭(20)은 수용하기 위한 수직홈을 제거하거나, 혹은 최소한 홈의 깊이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단부판(132)는 상부 비임부재(36)의 위쪽에 설치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단부판(132)는 카프레임(26)의 구조의 일부로서, 이것은 상부 비임부재(36 )과 하부 비임부재(34)에 터널 구조(30)의 금속 측벽(124)(126)(128)(130)중 적어도 하나를 용접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구조(30)와 상부 비임부재(36) 및 하부 비임부재(34)에 추가의 보강 리브(136)(138)을 용접할 수 있다. 단부판(132)는 대형 볼트등으로 터널구조(30)를 형성하는 금속 측벽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볼트(137)은 지지블럭(도시안됨)을 단부판 (132)에 고정시키며, 볼트(139′)는 터널(30)의 측면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지지블럭내의 나사 구멍내로 연장하여 단부판(132)를 터널(30)에 고정시킨다.
터널구조(30)는 상부 비임부재(36)로 부터 엘리베이터 카(12)를 완전히 관통하여 하부 비임부재(34)의 하부까지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터널의 유압잭(20)을 완전히 둘러싸서 보호하며, 유압잭(20)과 엘리베이터 카 (12)의 내부가 격리될 수 있다. 또한 카프레임의 하부와 상부 비임부재에 용접 이음된 강력한 강관 구조인 터널(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프레임(26)의 강도를 상당히 증진시킨다.
터널(12)를 엘리베이터 카(12)의 최전면에 설치하면 엘리베이터 카(12)내의 승객들의 시야로 부터 은폐될 수 있으며, 이 터널(12)는 캡(24)의 입구(138)과 카에 장착된 작동 제어장치(140)(예로써, 카 호출버튼(142) 및 카위치 표시기(144)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편리하다. 제1레그(148)과 제2레그(150)을 구비하는 L자형의 스윙 반전판(swing returnpanel)(146)의 제1레그(148)은 상기 작동제어장치가 장착되는 상기 캡의 내면을 형성하며, 제2레그(150)은 상기 캡의 입구(138)의 측벽을 형성한다. 횡부재(152)는 스윙 반전판(146)의 상부와 입구(138)의 상부에 설치되며, 이 횡부재 역시 터널 구조(30)를 은폐시켜 준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후면도로서, 엘리베이터 카(12)의 캡(24), 수직부재(38)(40)카 장착 작동 제어장치(140), 스윙 반전판(146)은 도시생략되어 있다. 유압잭(20)의 실린더(21)은 하부 클램프 조립체(156)를 포함하는 장방형의 구조 강프레임(154)을 통해 승강홈(19)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154)와 클램프 조립체(156)는 브래킷에 의해 홈(19)의 벽에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162)을 통해 승강홈의 벽에 고정된 상부 클램프 조립체(160)는 부가적으로 실린더(21)을 지지한다. 스프링 완충기(161)(163)은 프레임(154)에 장착된다.
터널(30)은 후술하는 목적을 위해 카프레임(12)의 하부 비임부재의 하부까지 연장된 하부부분(164)과, 카프레임(12)의 상부와 하부 비임부재 사이에 위치한 중간 부분(166)과, 상부 비임부재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부분(168)을 포함하고 있다. 하부부분(164)에는 엘리베이터 카(12)가 수직 운행 경로의 최하부에 있을때, 상부 클램프 조립체(160)와 장착 브래킷(162)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램프 조립체와 장착 브래킷 사이에 연장된 지지아암과 나란히 슬로트(170)를 구비할 수 있다.
안내로울러 조립체(98)외에도 엘리베이터 카(12)에는 안내 로울러 조립체(17 2)(174)(176)을 포함하고 있으며, 안내로울러 조립체(98)과 (174)는 안내 레릴(88)과 공동 작용하며, 안내 로울러 조립체(172)와 (176)는 안내 레일(90)과 공동 작용하여, 피스톤(23)의 상단부와 단부판(132)사이의 접촉을 통하여 엘리베이터가 카(12)가 상승 및 하강할때 엘리베이터 카(12)를 그 수직이동 통로내에서 정확하고 원활하게 안내하게 한다.
엘리베이터 카(12)의 동력수단은 엘리베이터 카(12)의 수직 돌출부 내에 위치한 단일 유압잭(20)이며, 또한 실린더(21)은 경비가 많이 드는 드릴구멍내에 설치할 필요없이 단지 승강홈(19)의 바닥부에 설치해도 엘리베이터 카(12)는 다수의 층사이에서 수직 작동할 수 있다. 층의 수는 터널(30)의 상부(168)의 높이와, 층 사이의 간격과, 잭이 단일 피스톤을 구비한는 것인가, 아닌가 혹은 신축형 잭인가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카프레임(26)의 요소는 선행 기술에서와 같은 압축상태의 부하를 받는 대신에 인장상태의 부하를 받게된다.
본 발명에 따라, 터널(30)내에는 안정수단(stabilizer means)(180)이 설치된다. 이 안정수단(180)은 피스톤의 최상단부의 직하의 유압잭(2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2, 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신축형 잭의 경우 안정수단(180)은 실린더(21)에 고정되어 있다.
안정수단(180)은 실린더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일예로, 제1,2,3도에 도시된 신축형 잭의 경우, 안정수단(180)은 실린더 헤드(25′)와 같은 스테이지(23)에 고정되며, 제4도의 단일 잭인 경우, 안정수단(180)은 실린더 헤드(25)에 고정된다. 따라서, 종래의 유압잭의 단일 피스톤이 후퇴한 경우와 신축형 잭의 스테이지들이 모두 후퇴한 경우에는 안정수단(180)은 단부판(132)에 인접 위치하게 된다.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안정수단(180)은 단부판(132)를 제거함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 제거 및 수리를 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터널(30)이 하부 비임부재(34)의 하측으로 상당히 연장되는 것이 중요하다. 터널(30)의 하부부분(164)의 치수(182)는 유압잭(20)이 완전히 연장되었을때의 안정수단(180)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잭(20)이 완전히 연장 되었을때, 안정수단(180)은 여전히 터널(30)내에 위치하고, 따라서 터널 구조의 하부부분(164)의 치수(182)는 이러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게 선택된다. 필요한 경우, 하부부분(164)와 실린더(21)의 임의의 버팀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부분(164)에 슬로트를 형성할 수 있다.
제3도는 신축형 잭(20)이 완전히 연장되었을때에도 여전히 안정수단(180)이 터널(30)내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한 제1도와 제2도의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도식도이다. 제4도는 제3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써, 완전히 연장된 단일 스테이지(single stage)신축형 잭(20′)를 나타낸다.
안정수단(18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관련된 유압잭의 소정 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터널(30)의 선택된 내부표면과 접촉한다. 접촉의 형태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회전 접촉이 바람직하며, 견실한 가압 접촉 및 균형 접촉이 바람직하다. 가압 접촉에 의해 견고한 안내점(guide point)이 제공되며, 균형 접촉에 의해 발생된 힘은 유압잭의 중심수선과 터널(30)의 중심수선을 동축 상에 유지시키도록 작동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터널(30)은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4개의 직각 모서리부는 안내 위치가 된다. 제5,6,7,8도는 터널(30)이 정사각형 단면인 경우의 안정수단(180)을 도시한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5도는 안정수단(180)의 위치의 바로 위에서 절취한 제 2도에 도시된 터널(30)의 단면도이다. 터널(30)은 한장의 강판을 정사각형으로 구부려 관형으로 만들어 용접함으로써 제작하거나 4개의 직각부재를 용접하여 제작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터널(30)에는 제1, 제2, 제3, 제4모서리부(184)(186)(188)(190)이 형성된다. 안정수단(180)에는 이 안정수단(180)을 유압잭(20)의 선택된 위치에 부착하기위한 장착수단(192), 이 장착수단에 부착된 안내로울러(194)(196)(198)(200), 및 이 안내로울러(194)(196)(198)(200)을 각기 그와 관련된 안내 모서리(184)(18 6)(188)(190)에 대해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202)이 구비된다.
장착 수단(192)는 단부판(132)를 제거했을때, 터널(30)의 상단부를 통하여 유압잭(20)에 착탈이 가능하다. 이때 엘리베이터 카(12)는 하강시켜 승강홈(19)에 위치한 스프링 완충기(161)(163)에 의해 지지시킨다. 장착수단(192)는 제1 및 제2클램프 (204)(206)을 구비하는 분할 클램프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 실린더 헤드(25)의 주위에 조립되고 클램프 수단(208)(210)에 의해 상호 클램프되어 있다.
제6도는 슬리이브 또는 칼러(collar)형태로 된 클램프(204)의 단면도로서 클램프의 내부 표면과 실린더 헤드(25)의 외부 표면은 클램프(204)(206)을 관련 클램프 헤드에 대해 확실히 위치시킬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안정수단의 설치가 용이해질 뿐 아니라 작동중에 조립체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클램프(204)에는 그 C자형 구조의 단부에 인접하여 용접 이음된 제1 및 제2쐐기 부재(212)(214)가 구비되어 있으며, 클램프(206)에는 C자형 구조의 단부에 인접하여 용접이음된 제1 및 제2쐐기 부재(216)(218)이 구비되어 있다. 클램프수단(208)은 제1쐐기 부재(212)(216), U자형 쐐기부재(220) 및 볼트(222)를 포함하고 있으며, 클램프 수단(210)은 제2쐐기부재(214)(218), U자형 쐐기 부재(224), 및(226)을 포함하고 있다. 제5도의 선 Ⅶ-Ⅶ에 따라 취한 클램프 수단(210)의 정면도인 제7도에 자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U자형 쐐기부재(224)는 제1 및 제2레그부 (228) (230), 및 중간부(232)를 포함하고 있다. 레그부재(228)(230)의 내부 표면은 쐐기부재(214)(218)의 외부표면이 긴밀한 미끄럼 접촉을 할 수 있도록 선택된 각도만큼 경사져 있다. 중간부(232)에는 볼트(226)이 삽입되는 나사구멍(2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쐐기부재(214)(218)의 마주보는 표면을 볼트(226)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한다. 유압잭(20)주위에 2개의 클램프(204)(206)을 조립하기 위해, 2개의 클램프는 제1쐐기 부재(212)(216)이 서로 인접하도록, 그리고 제2쐐기부재(214)(214)가 상호 인접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U자형 부재(220)(224)는 쐐기부의 하부에 조립되고, 볼트 (222)(226)은 조립된 쐐기 부재의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U자형 부재(22 0)(224)의 중간부의 나사구멍내에 나사 결합된다. 터널(30)의 상단부의 상부에서 볼트(222)(226)을 조이면, 상기 쐐기 부재의 경사진 내면이 상기 U자형 부재의 2개의 레그의 경상진 내부 표면을 밀고 내려감에 따라 쐐기 부재의 경사진 표면이 상호 근접됨으로써 두개의 클램프(204)(206)을 유압잭(20)의 주위에 확고하게 클램프 시키게 된다.
각 클램프에는 2개의 안내 로울러를 장착시키는 제1 및 제2장착수단이 포함되어 있다. 각 안내로울러 장착수단은 서로 유사하기 때문에, 안내 로울러(196)을 장착시키는 장착수단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는 제5도의 화살표 Ⅵ-Ⅵ방향에 따라 취한 장착수단(236)의 정면도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장착수단(236)은 피봇핀(238), 블럭부재(240), 이격된 제1 및 제2판부재(242)(244) 및 액슬볼트(axle bolt)(246)을 포함한다. 피봇핀(23 8)은 블럭부재(240)에 용접 이음으로 되어 있고, 블럭부재(240)은 클램프(204)에 용접이음되어 있다. 상호 이격된 제1 및 제2판부재(242)(244)에는 각기 피봇된(238)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개구부와, 액슬볼트(246)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가 있다. 액슬 볼트(246)은 로울러(196)을 판부재(242)(244)사이에 고정하고, 아울러 너트(248)이 액슬 볼트(246)에 조립될때 액슬볼트는 상기 판부재를 피봇핀에 고정시킨다.
가압수단(202)는 제1, 제2, 제3, 제4판 스프링 부재(250)(252)(254)(256)과 제1, 제2, 제3, 제4장력 조절수단(258)(260)(262)(264)를 포함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핀(238)에 의해 제공되는 판부재(242)(244)의 피봇축선은 판부재의 하단부를 향해 위치한다. 판부재의 상단부에는 예로써 판스프링(252)를 수용하기 위한 판부재(242)내의 노치(266)와 같은 판스프링 부재를 수용한 노치가 포함되어 있다. 판스프링 부재는 관련된 판부재의 노치를 통해 설치되며, 그 각 단부는 하나의 장력 조절수단이내로 연장되어 있다.
각 장력 조절수단이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장력조절 수단(258)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제8도는 장력 조절 수단(258)의 사시도로서, 이 도면은 제5도와 함께 후술하는 설명에서 참고할 것이다.
장력 조절수단(258)은 평행하게 이격된 제1 및 제2판부재(270)(272)를 포함하며, 이들 판부재는 원기둥 부재의 종푹선에 수직한 나사구멍(276)이 있는 원기둥부재(274)에 의해 상호 이격 유지된다. 상기 이격된 제1및 제2판부재(270)(272)사이에는 스톱부재(278)과 제1 및 제2핀부재(280)(282)가 연장된다. 나사(284)는 나사구멍(276)에 나사결합한다. 판스프링(250)의 일단부는 핀부재(280)과 원형 기둥부재 (274)사이에 연장하며, 또한 그 일단부는 스톱부재(278)과 접촉된다. 나사(284)의 헤드는 클램프(204)의 외측 표면에 대해 위치한다. 나사(284)를 전후로 이동 조절함으로서 판스프링의 단부위치를 조절하게 되고, 스프링 가압력을 조절하여 안내로울러와 이에 관련된 터널 구조의 측모서리 사이의 접촉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스프링 가압력 조절을 단부판(132)을 터널 구조(30)의 상부로 부터 제거한때 허용된다.
판스프링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안내레일(88)(9)으로부터 안내로울러 조립체(172)(174)(98)(176) 및 카프레임을 통해 카프레임의 일단부인 터널(30)까지 미치는 중앙집중력(centering force)이 상기 유압잭(20)상에 미치게 된다. 터널벽은 안정수단에 탄성적으로 장착된 안내 로울러를 통해 안정수단의 분할 클램프 수단으로 상기 중앙집중력을 가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분할 클램프 수단을 이 유압잭상에 중앙집중력을 가한다. 이 중앙집중력은 엘리베이터 카가 유압잭(20)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함에 따라 터널 구조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힘의 작용점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단부판(132)으로 부터 터널(30)의 접촉점까지의 거리, 즉 단부판 (132)안정수단(180)에 의해 형성되는 접점 사이의 거리가 증가된다. 중앙집중력은 최상부 피스톤과 이에 연속되는 하부 스테이지 사이의 연결 지점 사이에 연속적으로 작용하며, 하부 스테이지에 직접 작용함으로써 유압잭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실린더 헤드의 수명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안정화 작용은 복잡하고 비싼 동조 안정아암(synchr onized stabilizer arm)을사용하지 않고도 엘리베이터 카가 상승 및 하강할때 유압잭의 정확한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Claims (11)

  1. 플래트폼(22), 이 플래트 폼상의 캡(24), 이 캡 및 상기 플래폼을 지지하는 카 프레임(26,34,38,40),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 및 적어도 하나의 상단부(135)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제1-3도의 (23′) ; 제4도의(23)]에 고정된 실린더(21)을 구비한 유압잭(20)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카[제1도의(12)]를 포함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프레임이 상하 방향의 종축선을 가진 기다란 터널(30)을 포함하며, 상기 터널이 하단부(164)와 상단부(168)사이에 연장한 하나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측벽부(124,126,128,130)을 구비하며, 상기 상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인 폐쇄되어 있고 상기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잭의 종축선상은 상기 터널의 종축선과 동축을 형성하며, 상기 유압잭은 상기 터널의 개방된 하단부내로 연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의 상단부는 상기 터널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상단부에 접촉하며, 상기 터널내의 안정수단 제1-4도의(180)은 상기 유압잭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안정수단은 상기 터널의 측벽부[제5도의 (194,196,198,200)]의 적어도 하나와 접촉함에 의해 상기 실린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및 상기 터널 사이의 동축정렬(coaxial align ment)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잭이 단일 피스톤[제4도 (23)]과 단일실린더(21)로 되어 있고, 상기 안정수단이 상기 단일 실린더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잭이 하나 이상의 최상부 스테이지(stage)[제1-3도 (23)]와 이에 인접한 추가의 스테이지(23)로 되어 있는 신축형 잭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이 최상부 스테이지이고, 상기 안정수단이 상기 추가 스테이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터널의 적어도 일부분이 폐쇄된 상단부가 제거될 수 있는 단부판(132)을 포함하며, 상기 안정수단을 유압잭이 후퇴하고 상기 제거될 수 있는 단판이 제거되었을때 터널의 상단부를 통해 상기 안정수단에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수단은 상기 단부판을 제거한때에 상기 터널의 상단부를 통해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수단이 유압잭 주위에 위치하도록 제1클램프 제5도(204), 이와 유사한 제2클램프(206), 및 상기 유압잭 주위에 상기 제1 및 제2클램프가 조립되도록 클램핑 하는 클램프 수단(20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수단이 제1쐐기부재[제5도(212)(214)°]와 제2쐐기부재(216,2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터널의 측면부분이 제1, 제2, 제3, 제4모서리(184,186,188,190)를 구비한 정사각형의 단면 구조를 형성하며, 안정수단이 상기 제1, 제2, 제3, 제4모서리부에 접촉하는 제1, 제2, 제3, 제4로울러(194,196,198, 2 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로울러(194,196,198,200)를 각기 상기 제1, 제2, 제3, 제4, 모서리부(184,186,188,190)에 가압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제 5,6,8도(236,250,252,254,2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이 다수의 스프링 요소(250,252,254,256)과 상기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가압력의 크기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원형기둥부재[제5,8도 (274,2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고정된 지지수단[제2,3도(21′)]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이 엘리베이터 카하부로 하향으로 연장하고, 터널이 하부단이 상기 지지수단의 시발점을 지나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유압잭이 최대 연장시 안정수단이 터널과 접촉을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9810005036A 1980-12-22 1981-12-21 엘리베이터 시스템 KR890001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9,207 1980-12-22
US06/219,207 US4361209A (en) 1980-12-22 1980-12-22 Elevator system
US219.207 1980-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411A KR830007411A (ko) 1983-10-21
KR890001066B1 true KR890001066B1 (ko) 1989-04-22

Family

ID=2281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5036A KR890001066B1 (ko) 1980-12-22 1981-12-21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361209A (ko)
JP (1) JPS57126380A (ko)
KR (1) KR890001066B1 (ko)
CA (1) CA11774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6366U (ja) * 1982-10-21 1984-09-29 太陽鉄工株式会社 油圧式エレベ−タ
US4667775A (en) * 1986-04-30 1987-05-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Hydraulic elevator system
US4735291A (en) * 1986-12-11 1988-04-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Hydraulic jack assembly for a hydraulic elevator
JPH0557578U (ja) * 1991-12-30 1993-07-3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管フランジ接続部品
FR2721358B1 (fr) * 1994-06-21 1996-09-06 Parker Hannifin Rak Sa Vérin pour module de manipulation à piston fixe.
SG75168A1 (en) * 1998-05-08 2000-09-19 Inventio Ag Hydraulic elevator
US6354769B1 (en) * 1999-05-24 2002-03-12 Patrick Richard All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in-ground elevator cylinder casings
US6488129B2 (en) * 1999-10-27 2002-12-03 Inteventio Ag Cooling device for a drive means of an elevator
AU2001279988A1 (en) * 2000-07-27 2002-02-13 Daniel Hugo Bath A lift
JP4301837B2 (ja) * 2002-05-21 2009-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US10017358B2 (en) * 2014-06-10 2018-07-10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Hydraulic elevator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478A (en) * 1904-01-20 1904-10-25 Lendell A Conner Jr Plunger-elevator.
US827282A (en) * 1905-09-27 1906-07-31 James A Anderson Plunger-guide for elevators.
DE451033C (de) * 1926-11-06 1927-10-20 Albert Iiberg Stopfbuechsenloser Gegenzylinder fuer Schuettelrutschen o. dgl.
US3016992A (en) * 1957-10-24 1962-01-16 Wilson John Hart Stabilizer for fluid cylinder plungers of high slenderness ratio
US3271791A (en) * 1964-07-10 1966-09-13 Forest M Sarff Bathtub elevating seat
US3413767A (en) * 1967-02-13 1968-12-03 Wilson Mfg Co Stabilizers for fluid cylinder plungers
US3650356A (en) * 1969-12-18 1972-03-21 Rchard L Brown Hydraulically-actuatable elev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411A (ko) 1983-10-21
CA1177415A (en) 1984-11-06
JPS57126380A (en) 1982-08-06
JPS6261501B2 (ko) 1987-12-22
US4361209A (en) 198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06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US4404838A (en) System for straightening bent automobile bodies
KR890000741B1 (ko)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
KR101955929B1 (ko) 붐지지대
JP3177904B2 (ja) Pc斜張橋用移動式作業車
US20170043849A1 (en) Boat lift and design
US5653311A (en) Suspension arrangement for a hydraulic elevator
CN112900890B (zh) 用于桁架结构装配的调节装置以及调节方法
JP2001163550A (ja) エレベーター
JPH072454A (ja) ガイドレールの保持装置
JPH04317978A (ja) ガイドレールの取付装置
CN215594852U (zh) 一种用于超高层建筑施工的内顶外爬式模架施工平台
KR0134263Y1 (ko) 짐 운반용 사다리차
JP2566877Y2 (ja) 板状部材の吊下装置
KR100991331B1 (ko) 지게차 리프트 실린더 고정장치
CN212926972U (zh) 一种悬挑架立杆固定装置
JP2713013B2 (ja) エレベーター用敷居の取付構造
KR102380112B1 (ko) 자동차 정비용 엔진 서포트
JPH06219669A (ja) エレベータかご組構台
JP3358789B2 (ja) ポールリフター
KR102629971B1 (ko) 승강로 내벽 설치형 와이어 소켓 고정장치
CN210319170U (zh) 一种吊装结构的屏幕安装架
JP3833675B2 (ja) 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荷受台の最上昇位置決め装置
CN215249169U (zh) 吊装装置
CN219637722U (zh) 一种挂篮施工用防护吊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