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2375A - 고소작업차용 붐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용 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2375A
KR20150052375A KR1020130130043A KR20130130043A KR20150052375A KR 20150052375 A KR20150052375 A KR 20150052375A KR 1020130130043 A KR1020130130043 A KR 1020130130043A KR 20130130043 A KR20130130043 A KR 20130130043A KR 20150052375 A KR20150052375 A KR 20150052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plate
sides
side plates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
김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to KR1020130130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2375A/ko
Publication of KR20150052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붐을 구성하는 수직의 측판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 돌출부를 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붐의 휨강도를 보강하는 고소작업차용 붐에 관한 것으로, 고소작업차의 붐대를 구성하는 다수의 붐에 있어서, 상기 붐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판이 형성되며, 하판의 양측에는 하판의 양측에서 상부로 수직 절곡되는 양 측판이 형성되는 하부 부재와; 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에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하단이 상기 하부 부재의 측판의 상단과 연결 용접부를 통해 연결되는 양 측판이 형성되며, 양 측판의 상단에는 양 측판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양 측판의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상판이 형성되는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 및 상부 부재의 측판에 절곡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붐의 양 측을 보강하는 보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소작업차용 붐{Boom for high place works car}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용 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붐을 구성하는 수직의 측판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 돌출부를 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붐의 휨강도를 보강하는 고소작업차용 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는 다단의 붐이 신장되는 붐대의 선단에 탑승함을 설치하여 빌딩의 외벽공사나 가로등과 신호등 또는 전신주의 보수작업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차량을 말한다.
종래의 고소작업차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1)의 적재대(102)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붐지지대(103)와, 다수개의 붐(201)이 안테나식으로 인출이 가능하게 상호 삽입되어 구성되고 제일 외측을 감싸는 붐(201)이 상기 붐지지대(103)에 설치되는 붐대(200)와, 붐대(200)를 구성하는 제일 내측에 삽입된 붐(201)의 인출 단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탑승함(203)과, 상기 붐대(200)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정실린더(204)와, 붐대(200)를 구성하는 붐(201)들을 신축시키는 신축실린더(미도시됨)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붐대(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붐(20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관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각관은 상,하판과 양 측판으로 구성되는데, 상,하판의 양측 단부에 수직의 양 측판이 용접부(W)를 통해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붐대(200)를 구성하는 붐(20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의 수직판으로 구성되는 육각형 형상의 다각관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육각형 형상의 다각관도 상술한 사각관과 마찬가지고 길이가 긴 판들을 용접부(W)를 통해 상호 연결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 사각관이나 육각관의 다각관으로 구성된 붐들을 상호 안테나식으로 삽입시켜 붐대를 제조하게 되면, 각각의 붐의 양 측판이 수직의 평판으로 구성됨에 따라 붐의 휨강도(bending strength)가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각 붐의 휨강도가 약함으로 인하여 붐들을 신장시켜 고소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각각의 붐들이 좌우방향(횡방향)또는 상하방향(종방향)으로 활처럼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붐대가 전체적으로 손상되는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붐 단면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힘강도를 확보하도록 붐을 제작하고 있으나, 이러한 붐 단면의 두께로 인하여 붐의 전체 중량이 필요이상으로 과중하게 됨으로 인해 실제 현장에서 작업을 하다 보면, 차체의 무게중심을 유지하기 위하여 차체를 받쳐주고 있는 아웃트리거를 차체의 폭 방향 또는 전ㅇ후 방향으로 넓게 펼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등 작업 반경을 필요이상으로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48051호 "고소작업차량의 붐 신축장치"(2012.05.0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붐을 구성하는 수직의 측판에 절곡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 돌출부를 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붐의 휨강도를 보강하여 붐들을 신장시켜 고소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붐이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도를 확보한 고소작업차용 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붐의 측판에 형성되는 보강 돌출부를 외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하여 보강 돌출부의 상,하부에 상호 대칭되는 방향의 경사 보강판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보강 돌출부를 통한 붐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차용 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붐의 하판을 양측이 높고 중앙이 낮게 만곡지게 하여 붐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킬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차용 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붐의 하판을 다수의 절곡부를 통해 형성되는 다수의 평판을 가지면서 양측이 높고 중앙이 낮게 만곡지게 형성하여 붐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차용 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의 측판을 연결하는 용접부의 내측에 내측 커버판을 더 구비함으로써, 용접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쇳물 등이 붐의 내부로 유입되어 붐의 내측면에 부착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차용 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붐의 상판을 양측이 낮고 중앙이 높게 만곡지게 형성하여 붐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킬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차용 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붐의 상판을 다수의 절곡부를 통해 형성되는 다수의 평판을 가지면서 양측이 낮고 중앙이 높게 만곡지게 형성하여 붐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차용 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부재의 측판과 상판의 연결 모서리부를 라운드부로 형성하여 붐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킬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차용 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용 붐"은, 고소작업차의 붐대를 구성하는 다수의 붐에 있어서, 상기 붐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판이 형성되며, 하판의 양측에는 하판의 양측에서 상부로 수직 절곡되는 양 측판이 형성되는 하부 부재와; 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에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하단이 상기 하부 부재의 측판의 상단과 연결 용접부를 통해 연결되는 양 측판이 형성되며, 양 측판의 상단에는 양 측판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양 측판의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상판이 형성되는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 및 상부 부재의 측판에 절곡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붐의 양 측을 보강하는 보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용 붐"의 상기 보강 돌출부는, 상기 측판의 외측으로 뾰족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하부에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용 붐"의 상기 하판은, 양측이 높고 중앙이 낮게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용 붐"의 상기 하판은, 좌우 간격을 두고 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절곡부를 통해 형성되는 다수의 평판을 가지면서 양측이 높고 중앙이 낮게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용 붐"의 상기 연결 용접부는, 상기 하부 부재의 측판의 상부 내측에 용접되어 하부 부재의 측판의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거나 상기 상부 부재의 측판의 하부 내측에 용접되어 상부 부재의 측판의 하단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붐의 길이방향으로 긴 내측 커버판과, 상기 하부 부재의 측판의 상단과 상부 부재의 측판의 하단을 용접으로 연결하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용 붐"의 상기 상판은, 양측이 낮고 중앙이 높게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용 붐"의 상기 상판은, 좌우 간격을 두고 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절곡부를 통해 형성되는 다수의 평판을 가지면서 양측이 낮고 중앙이 높게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용 붐"의 상기 상부 부재의 상판은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부재의 측판과 상판의 연결 모서리부는 원호형상의 라운드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붐을 구성하는 수직의 측판에 절곡으로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 돌출부를 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함에 따라, 붐의 휨강도를 보강하여 붐들을 신장시켜 고소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주변에 돌풍이 발생하거나 신장된 붐의 선단에 장착된 탑승함에 작업인원과 작업물품의 과중한 중량으로 인하여 신장된 붐이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휨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붐들의 휨으로 인해 붐대가 손상되는 고장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붐의 측판에 형성되는 보강 돌출부를 외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하여 보강 돌출부의 상,하부에 상호 대칭되는 방향의 경사 보강판이 형성되게 함에 따라, 보강 돌출부를 통한 붐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켜 고소작업시 붐의 휘어짐을 좀 더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붐의 하판을 양측이 높고 중앙이 낮게 만곡지게 형성하여 붐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킴으로써, 고소작업시 붐의 휘어짐을 좀 더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붐의 하판을 다수의 절곡부를 통해 형성되는 다수의 평판을 가지면서 양측이 높고 중앙이 낮게 만곡지게 형성하여 붐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킴으로써, 고소작업시 붐의 휘어짐을 좀 더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의 측판을 연결하는 용접부의 내측에 내측 커버판을 더 구비하여 용접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쇳물 등이 붐의 내부로 유입되어 붐의 내측면에 부착 잔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붐의 용접시 용접불량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붐의 상판을 양측이 낮고 중앙이 높게 만곡지게 형성하여 붐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킴으로써, 고소작업시 붐의 휘어짐을 좀 더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붐의 상판을 다수의 절곡부을 통해 형성되는 다수의 평판을 가지면서 양측이 낮고 중앙이 높게 만곡지게 형성하여 붐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킴으로써, 고소작업시 붐의 휘어짐을 좀 더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부재의 측판과 상판의 연결 모서리부를 라운드부로 형성하여 붐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킴으로써, 고소작업시 붐의 휘어짐을 좀 더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의 측판에 붐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절곡부와 보강돌출부를 갖추게 함으로써 단면상 동일한 두께라 하더라도, 붐의 종방향과 횡방향의 힘강도를 보다 확보할 수 있음으로 해서 붐 자체의 중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와, 이러한 효과로 인하여 차체의 무게중심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아웃트리거의 작업 반경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붐이 설치된 고소 작업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붐을 나타낸 단면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붐을 구성하는 하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붐을 나타낸 단면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붐을 구성하는 상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종래의 고소 작업차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로서 붐대를 구성하는 하나의 붐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붐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붐이 설치된 고소 작업차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붐을 나타낸 단면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붐을 구성하는 하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붐(1)은, 고소작업차(10)의 붐대(20)를 구성하는 것으로, 다수개가 안테나식으로 인출이 가능하게 상호 삽입되어 상기 붐대(20)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붐대(20)를 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붐(1)은, 붐(1)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부재(2)와, 하부 부재(2)의 상부에 용접을 통해 연결되는 상부 부재(3)와, 상기 하부 부재(2)와 상부 부재(3)의 측판(22)(31)에 형성되어 붐(1)의 휨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돌출부(5)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붐(1)을 구성하는 수직의 측판(22)(31)에 보강 돌출부(5)를 형성함에 따라 붐(1)의 휨강도를 보강함으로써 고소작업시 붐(1)이 활처럼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 부재(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1)의 길이방향인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붐(1)의 하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부재(2)는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판(21)과, 하판(21)의 양측에서 상부로 수직 절곡되게 형성되는 양 측판(22)을 포함한다.
상기 하판(21)은 붐(1)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양측이 높고 중앙이 낮게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판(21)은 좌우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절곡부(212)를 통해 형성되는 다수의 평판(211)을 가지면서 양측이 높고 중앙이 낮게 만곡지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절곡부(212)와 다수의 평판(211)들을 통해 붐(1)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킴으로써, 고소작업시 붐(1)의 휘어짐을 좀 더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기 하판(21)은 하판(21)을 용이하게 제작하면서 붐(1)의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양측이 높고 중앙이 낮게 곡선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 부재(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1)의 길이방향인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붐(1)의 상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부재(3)는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수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하단이 상기 하부 부재(2)의 측판(22)의 상단과 연결 용접부(4)를 통해 연결되는 양 측판(31)과, 양 측판(31)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양 측판(31)의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상판(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부재(3)의 상판(32)은 수평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 부재(3)의 측판(31)과 상판(32)의 연결 모서리부는 붐(1)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원호형상의 라운드부(33)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결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부(33)를 통해 붐(1)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킴으로써, 고소작업시 붐(1)의 휘어짐을 좀 더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 용접부(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부재(2)의 측판(22)의 상부 내측에 용접되어 하부 부재(2) 측판(22)의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상부 부재(3) 측판(31)의 하부 내측에 용접되어 상부 부재(3) 측판(31)의 하단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전후방향으로 긴 내측 커버판(41)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용접부(4)는 상기 하부 부재(2)의 측판(22)의 상단과 상부 부재(3)의 측판(31)의 하단을 용접으로 연결하는 용접부(42)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용접부(42)는 하부 부재(2)의 측판(22)의 상단과 상부 부재(3)의 측판(31)의 하단을 상호 맞대기용접을 하여 형성되는데, 이러한 맞대기용접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내측 커버판(41)은 하부 부재(2)와 상부 부재(3)의 측판(22)(31)을 상호 용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쇳물 등이 붐(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내측 커버판(41)을 통해 하부 부재(2)와 상부 부재(3)의 측판(22)(31)을 상호 용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쇳물 등이 붐(1)의 내측면에 부착 잔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붐(1)의 용접시 용접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강 돌출부(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부재(2) 및 상부 부재(3)의 측판(22)(31)에 절곡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붐(1)의 양 측을 보강함으로써, 붐(1)들을 신장시켜 고소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붐(1)이 활처럼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붐(1)들의 휨으로 인하여 붐대(20)가 손상되는 고장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보강 돌출부(5)는 상기 측판(22)(31)의 외측으로 뾰족하게 돌출 형성되어 보강 돌출부(5)의 상,하부에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보강판(51)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하부에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하부의 경사 보강판(51)은 보강 돌출부(5)의 상,하부를 동시에 보강함으로써, 붐(1)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켜 고소작업시 붐(1)의 휘어짐을 좀 더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붐을 나타낸 단면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붐을 구성하는 상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붐(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3)를 구성하는 상판(32)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붐(1)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붐(1)의 상부 부재(3)를 구성하는 상판(32)은 붐(1)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양측이 낮고 중앙이 높게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32)은 좌우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절곡부(322)를 통해 형성되는 다수의 평판(321)을 가지면서 양측이 낮고 중앙이 높게 만곡지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상기 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절곡부(322)와 다수의 평판(321)들을 통해 붐(1)의 휨강도를 좀 더 향상시킴으로써, 고소작업시 붐(1)의 휘어짐을 좀 더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붐(1)을 구성하는 상기 상판(32)은 상판(32)을 용이하게 제작하면서 붐(1)의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양측이 낮고 중앙이 높게 곡선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차용 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붐
2 : 하부 부재
21 : 하판
211 : 평판, 212 : 절곡부
22 : 측판
3 : 상부 부재
31 : 측판
32 : 상판
321 : 평판, 322 : 절곡부
33 : 라운드부
4 : 연결 용접부
41 : 내측 커버판
42 : 용접부
5 : 보강 돌출부
51 : 경사 보강판
10 : 고소작업차
20 : 붐대

Claims (8)

  1. 고소작업차(10)의 붐대(20)를 구성하는 다수의 붐(1)에 있어서,
    상기 붐(1)은,
    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판(21)이 형성되며, 하판(21)의 양측에는 하판(21)의 양측에서 상부로 수직 절곡되는 양 측판(22)이 형성되는 하부 부재(2)와;
    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에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하단이 상기 하부 부재(2)의 측판(22)의 상단과 연결 용접부(4)를 통해 연결되는 양 측판(31)이 형성되며, 양 측판(31)의 상단에는 양 측판(31)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양 측판(31)의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상판(32)이 형성되는 상부 부재(3)와;
    상기 하부 부재(2) 및 상부 부재(3)의 측판(22)(31)에 절곡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붐(1)의 양 측을 보강하는 보강 돌출부(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작업차용 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돌출부(5)는,
    상기 측판(22)(31)의 외측으로 뾰족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하부에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보강판(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작업차용 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21)은,
    양측이 높고 중앙이 낮게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용 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21)은,
    좌우 간격을 두고 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절곡부(212)를 통해 형성되는 다수의 평판(211)을 가지면서 양측이 높고 중앙이 낮게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용 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용접부(4)는,
    상기 하부 부재(2)의 측판(22)의 상부 내측에 용접되어 하부 부재(2)의 측판(22)의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거나 상기 상부 부재(3)의 측판(31)의 하부 내측에 용접되어 상부 부재(3)의 측판(31)의 하단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붐의 길이방향으로 긴 내측 커버판(41)과,
    상기 하부 부재(2)의 측판(22)의 상단과 상부 부재(3)의 측판(31)의 하단을 용접으로 연결하는 용접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용 붐.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32)은,
    양측이 낮고 중앙이 높게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용 붐.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32)은,
    좌우 간격을 두고 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절곡부(322)를 통해 형성되는 다수의 평판(321)을 가지면서 양측이 낮고 중앙이 높게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용 붐.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3)의 상판(32)은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부재(3)의 측판(31)과 상판(32)의 연결 모서리부는 원호형상의 라운드부(3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용 붐.
KR1020130130043A 2013-10-30 2013-10-30 고소작업차용 붐 KR20150052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043A KR20150052375A (ko) 2013-10-30 2013-10-30 고소작업차용 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043A KR20150052375A (ko) 2013-10-30 2013-10-30 고소작업차용 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375A true KR20150052375A (ko) 2015-05-14

Family

ID=5338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043A KR20150052375A (ko) 2013-10-30 2013-10-30 고소작업차용 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23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929B1 (ko) * 2018-06-01 2019-03-08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붐지지대
CN110733979A (zh) * 2019-11-19 2020-01-31 姚运文 上侧轻载荷单焊缝起重臂
WO2021105136A1 (en) * 2019-11-27 2021-06-03 Magni Telescopic Handlers S.R.L. Telescopic handl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929B1 (ko) * 2018-06-01 2019-03-08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붐지지대
CN110733979A (zh) * 2019-11-19 2020-01-31 姚运文 上侧轻载荷单焊缝起重臂
WO2021105136A1 (en) * 2019-11-27 2021-06-03 Magni Telescopic Handlers S.R.L. Telescopic hand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8968A1 (en) Reinforcement system for a vehicle
KR20150052375A (ko) 고소작업차용 붐
CN106121221A (zh) 建筑模板加固装置
KR20120111899A (ko) 곤돌라용 대차
US20180297825A1 (en) Operating machine boom
KR101077823B1 (ko) 건설현장의 가림판 설치구조
KR20140121228A (ko) 트럭 적재함의 플로어패널
CN204186065U (zh) 铝合金模板及铝合金模板组合
JP6299456B2 (ja) 車体側面構造
CN211052832U (zh) 横梁结构及激光切割装置
KR20150001390U (ko) 리프팅 러그
CN210618073U (zh) 车辆及其后防护结构
CN106516482B (zh) 罐式集装箱
KR20150026410A (ko) 최적형상의 레이더 마스트 및 그 레이더 마스트의 보강구조
CN208856730U (zh) 一种电梯绳头楔套组合
JP2009035198A (ja) 建機キャブ構造
CN218149738U (zh) 一种用于楼与楼之间狭小间隙的大钢模板与铝模连接结构
JP666716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フレー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204958073U (zh) 一种轿厢的轿底结构
KR101942213B1 (ko) 신축 붐의 장착 구조
CN212304579U (zh) 一种高强度c形桥架
CN211313098U (zh) 一种高速铁路装配式构件的钢筋定位工装
CN213234287U (zh) 一种铝框模板连接件
CN218489747U (zh) 一种混凝土泵车副车架斜梁安装结构
JP2010254414A (ja) クローラクレーンの旋回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