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899A - 곤돌라용 대차 - Google Patents

곤돌라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899A
KR20120111899A KR1020110135852A KR20110135852A KR20120111899A KR 20120111899 A KR20120111899 A KR 20120111899A KR 1020110135852 A KR1020110135852 A KR 1020110135852A KR 20110135852 A KR20110135852 A KR 20110135852A KR 20120111899 A KR20120111899 A KR 20120111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ndola
vertical
building
upper bea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건
김복규
김광염
Original Assignee
풍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풍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풍림산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11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2Arrangements for cleaning building fac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2Hoisting devices; Safety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4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characterised by supporting structures provided on the roo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Robotic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곤돌라용 대차는 하부 보, 곤돌라 지지부, 및 카운트 웨이트를 포함한다. 하부 보는 건물 옥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바퀴들이 설치되며 수평으로 배치된다. 곤돌라 지지부는 하부 보 상에 수직하게 설치된 수직 보와, 수직 보에 의해 받쳐져 수평으로 배치되며 건물 외부로 돌출된 단부에 승강 로프를 매개로 곤돌라와 연결되어 곤돌라를 지지하는 상부 보, 및 수직 보에 결합되어 수직 보와 결합된 전체 수직 높이를 증가시키거나 상부 보에 결합되어 상부 보와 결합된 전체 수평 길이를 증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 보를 구비한다. 카운트 웨이트는 하부 보 상에 설치되며 지지 로프에 의해 상부 보와 연결된다.

Description

곤돌라용 대차{Truck for gondola}
본 발명은 곤돌라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을 따라 승강하는 곤돌라(gondola)를 지지하기 위한 곤돌라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곤돌라는 건물의 외벽이나 창문의 보수, 청소, 도장, 운송 등을 위해 건물의 외벽을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건물의 옥상이나 중간층에 보가 가설되거나 훅이 부착되며, 보나 훅에 곤돌라와 연결된 와이어 로프가 설치된다. 와이어 로프는 와인더(winder)에 의해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곤돌라를 승강시키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건물 옥상 등에 보가 가설되거나 훅이 부착되는 경우, 건물 외벽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건물 외벽이 손상되지 않도록 곤돌라용 대차를 이용해서 곤돌라의 승강을 지지하기도 한다.
하지만, 기존의 곤돌라용 대차는 길이와 높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건물 옥상에 정원이나 냉각 팬 등의 장애물이 생기거나, 옥상의 패러핏(parapet)이 대차의 내민 보(overhanging beam)보다 높게 변화된 경우,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곤돌라용 대차는 각각의 부재를 분해하여 인력으로 옥상으로 운반한 후 조립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옥상 상황이 전술한 것처럼 변화되는 경우, 그에 맞게 새로운 대차로 대체하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허공개공보 제1993-0016338호(1993.08.26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옥상의 패러핏 근처에 정원이나 냉각 팬 등의 장애물이 있거나, 건물 옥상의 패러핏이 높아지더라도, 설치가 용이한 곤돌라용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곤돌라용 대차는, 건물 옥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바퀴들이 설치되며 수평으로 배치된 하부 보; 상기 하부 보 상에 수직하게 설치된 수직 보와, 상기 수직 보에 의해 받쳐져 수평으로 배치되며 건물 외부로 돌출된 단부에 승강 로프를 매개로 곤돌라와 연결되어 상기 곤돌라를 지지하는 상부 보, 및 상기 수직 보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 보와 결합된 전체 수직 높이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상부 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보와 결합된 전체 수평 길이를 증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 보를 구비한 곤돌라 지지부; 및 상기 하부 보 상에 설치되며 지지 로프에 의해 상기 상부 보와 연결된 카운트 웨이트(counter weight)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옥상의 패러핏 근처에 정원이나 냉각 팬 등의 장애물이 있거나, 건물 옥상의 패러핏이 높아지더라도,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곤돌라용 대차의 각 부재를 분해하여 옥상으로 운반한 후 조립하여 구성하는 경우, 새로운 대차로 대체하지 않고도 옥상 상황의 변화에 무관하게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용 대차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용 대차에 대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용 대차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곤돌라용 대차(100)는 하부 보(110)와, 곤돌라 지지부(120), 및 카운트 웨이트(counter weight, 130)를 포함한다.
하부 보(110)는 건물 옥상(11)에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바퀴(111)들이 설치되며 수평으로 배치된다. 바퀴(111)들은 하부 보(110)가 건물 옥상(11)의 패러핏(parapet, 12) 쪽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설치된다. 하부 보(110)는 상부에 곤돌라 지지부(120) 및 카운트 웨이트(130)를 장착하여 지지한다.
곤돌라 지지부(120)는 수직 보(121)와, 상부 보(122),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 보(123)를 포함한다. 수직 보(121)는 하부 보(110) 상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부 보(122)는 수직 보(121)에 의해 받쳐져 수평으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상부 보(122)는 내민 보(overhanging beam) 형태로 수직 보(121)에 의해 받쳐진다.
상부 보(122)는 일단부, 즉 건물(10) 외부를 향한 선단부가 건물(10) 외부로 돌출된다. 건물(10) 외부로 돌출된 상부 보(122)의 선단부는 승강 로프(21)를 매개로 곤돌라(20)와 연결됨으로써 곤돌라(20)를 지지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곤돌라(20)에는 승강 로프(21)를 감거나 풀어서 곤돌라(20)를 승강시키는 와인더가 설치될 수 있다.
연장 보(123)는 상부 보(122)에 결합되어 상부 보(122)와 결합된 전체 수평 길이(L1)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건물 옥상(11)의 패러핏(12) 근처에 정원이나 냉각 팬 등의 장애물이 있더라도, 상부 보(122)는 연장 보(123)에 의해 건물(10) 외부로 돌출되어 곤돌라(2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건물 옥상(11)의 패러핏(12) 근처에 정원이나 냉각 팬 등의 장애물(13)이 있게 되면, 하부 보(110)가 장애물(13)에 의해 패러핏(12)에 가깝게 접근하기 어렵게 된다. 이때, 상부 보(122)에 연장 보(123)가 결합되어 상부 보(122) 및 연장 보(123)를 포함한 전체 수평 길이(L1)가 증가된 상태이므로, 연장 보(123)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보다 하부 보(110)의 선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부 보(122)의 선단부까지 수평 길이가 증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부 보(122)의 선단부가 건물(10) 외부로 돌출되어 곤돌라(2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카운트 웨이트(130)는 하부 보(110) 상에 설치된다. 상부 보(122)에 곤돌라(20)가 지지된 상태에서, 카운트 웨이트(130)는 대차(100)의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카운트 웨이트(130)는 지지 로프(131)에 의해 상부 보(122)에 연결된다. 지지 로프(131)는 일단부가 카운트 웨이트(13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부 보(122)의 후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보(122)에 연장 보(123)는 2 이상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보(122)와 연장 보(123)는 모멘트 접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모멘트 접합은 상부 보(122)와 연장 보(123) 간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상부 보(122)와 연장 보(123)의 결합 부위에 판재를 덧대고 볼팅 또는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방식이다.
상부 보(122)와 연장 보(123)가 결합됨에 따라 상부 보(122) 및 연장 보(123)를 포함한 전체 수평 길이(L1)가 증가하게 되면, 모멘트가 증가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부 보(122) 또는 연장 보(123)는 브레이싱(bracing) 부재(124)에 의해 수직 보(121)에 연결되어 보강될 수 있다. 브레이싱 부재(124)는 곤돌라 지지부(120)의 보강을 위하여 상부 보(122)와 수직 보(121) 또는 연장 보(123)와 수직 보(121)에 비스듬이 붙여질 수 있다. 따라서, 곤돌라 지지부(120)의 단면 증가 없이, 상부 보(122)와 연장 보(123)를 포함한 전체 수평 길이를 기존에 비해 2~3배 증가시킬 수 있다.
상부 보(122) 및 연장 보(123)를 포함한 전체 수평 길이(L1)의 증가에 따른 대차(100)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 보(110)의 선단부로부터 카운트 웨이트(130)까지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부 보(122)와 연장 보(123)를 포함한 전체 수평 길이(L1)를 기존에 비해 2~3배 증가시킨다면, 하부 보(110)의 선단부로부터 카운트 웨이트(130)까지 거리를 기존에 비해 2~3배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부 보(110)에도 하부 연장용 보(112)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하부 보(110)와 하부 연장용 보(112)를 포함한 전체 수평 길이(L2)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하부 보(110)와 하부 연장용 보(112)는 모멘트 접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로프(131)에는 턴버클(turnbuckle, 140)이 설치될 수 있다. 턴버클(140)은 지지 로프(131)에 일정한 긴장력을 부여하여, 대차(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인다. 턴버클(140)은 버클 본체의 양쪽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 막대들을 갖는다. 여기서, 하나의 수나사 막대에는 오른 나사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수나사 막대에는 왼 나사가 형성된다. 수나사 막대들에 2개로 나뉜 지지 로프(131)들이 각각 결합된다. 버클 본체를 회전시키면 버클 본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수나사 막대들 사이가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진다. 수나사 막대들 사이를 서로 접근시키도록 버클 본체를 동작시키면, 지지 로프(131)가 당겨 죄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곤돌라용 대차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곤돌라용 대차(200)는, 건물 옥상(11)의 패러핏(12)이 높아지더라도, 상부 보(222)가 건물로 돌출되어 곤돌라(20)를 지지할 수 있는 곤돌라 지지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수직 보(221)에 연장 보(223)가 결합되어 수직 보(221)와 결합된 전체 수직 높이(H)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부 보(222)는 패러핏(12)보다 높게 위치되어, 선단부가 건물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건물(10) 외부로 돌출된 상부 보(222)의 선단부를 통해 곤돌라(20)가 지지될 수 있다. 연장 보(223)는 패러핏(12)의 높이에 따라 적절할 개수로 마련되어, 수직 보(221)에 결합됨으로써 자유롭게 전체 수직 높이(H)의 조절이 가능하다. 수직 보(221)와 연장 보(223)는 좌굴되지 않도록 모멘트 접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건물 옥상 12..패러핏
13..장애물 20..곤돌라
21..승강 로프 110..하부 보
120,220..곤돌라 지지부 121,221..수직 보
122,222..상부 보 123,223..연장 보
130..카운트 웨이트 140..턴버클

Claims (3)

  1. 건물 옥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바퀴들이 설치되며 수평으로 배치된 하부 보;
    상기 하부 보 상에 수직하게 설치된 수직 보와, 상기 수직 보에 의해 받쳐져 수평으로 배치되며 건물 외부로 돌출된 단부에 승강 로프를 매개로 곤돌라와 연결되어 상기 곤돌라를 지지하는 상부 보, 및 상기 수직 보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 보와 결합된 전체 수직 높이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상부 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보와 결합된 전체 수평 길이를 증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 보를 구비한 곤돌라 지지부; 및
    상기 하부 보 상에 설치되며 지지 로프에 의해 상기 상부 보와 연결된 카운트 웨이트(counter weight);
    를 포함하는 곤돌라용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보는 상기 상부 보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보와 결합된 전체 수평 길이를 증가시키는 경우,
    상기 상부 보 또는 상기 연장 보는 브레이싱(bracing) 부재에 의해 상기 수직 보에 연결되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용 대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로프에 일정한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턴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용 대차.
KR1020110135852A 2011-04-01 2011-12-15 곤돌라용 대차 KR201201118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30334 2011-04-01
KR1020110030334 2011-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899A true KR20120111899A (ko) 2012-10-11

Family

ID=4728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852A KR20120111899A (ko) 2011-04-01 2011-12-15 곤돌라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189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7773A (zh) * 2013-07-31 2013-11-20 无锡爱科换热器有限公司 一种可实现四角配重的吊篮支座
WO2018145226A1 (zh) * 2017-02-13 2018-08-16 高建文 应用于建筑物楼顶地面的模块式吊挂装置
WO2019080140A1 (zh) * 2017-10-29 2019-05-02 朱美馀 收放式楼宇外墙作业平台
KR20230023999A (ko) * 2021-08-11 2023-02-20 대한곤돌라주식회사 곤돌라의 와이어로프 지지대
KR102610123B1 (ko) * 2023-02-03 2023-12-06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브레이스형 이동식 대차지지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7773A (zh) * 2013-07-31 2013-11-20 无锡爱科换热器有限公司 一种可实现四角配重的吊篮支座
CN103397773B (zh) * 2013-07-31 2015-07-08 无锡爱科换热器有限公司 一种可实现四角配重的吊篮支座
WO2018145226A1 (zh) * 2017-02-13 2018-08-16 高建文 应用于建筑物楼顶地面的模块式吊挂装置
WO2019080140A1 (zh) * 2017-10-29 2019-05-02 朱美馀 收放式楼宇外墙作业平台
KR20230023999A (ko) * 2021-08-11 2023-02-20 대한곤돌라주식회사 곤돌라의 와이어로프 지지대
KR102610123B1 (ko) * 2023-02-03 2023-12-06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브레이스형 이동식 대차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1899A (ko) 곤돌라용 대차
CN103086227B (zh) 电梯设备
CN110528863B (zh) 一种用于外斜面施工的吊篮装置及施工方法
CN205804913U (zh) 一种适用于附着式脚手架的升降式卸料钢平台装置
KR20110014341A (ko) 안전펜스가 설치된 타워크레인 지지장치
US11279593B2 (en) Compensation line storing apparatus, jump lift and the usage method thereof
CN208249732U (zh) 一种工程门式起重机
CN103643791B (zh) 用于皮带廊的移动式脚手架装置
CN208249734U (zh) 一种筑路门式起重机
CN204001751U (zh) 超高层钢结构施工悬挑卸料平台
CN207551656U (zh) 一种大载重货梯轿架
CN102009930A (zh) 一种高处作业平台提升机安装架
CN104505771A (zh) 架空地线提升器
CN212689498U (zh) 一种建筑施工用多功能脚手架
CN108373126A (zh) 一种道路桥梁施工用工具快速提升设备
KR20130131540A (ko) 천정선회크레인 가다의 레일하중 받침과 주변 장치
CN208413589U (zh) 一种大载重电梯轿架
CN106006314A (zh) 一种电梯轿顶安全护栏
CN203569874U (zh) 自升降式物料平台
CN108639995A (zh) 一种房屋建筑施工安全升降机
CN206985544U (zh) 一种起重机起升结构组
JP2005155161A (ja) 衝突緩和構造
JP2009215876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CN105731239B (zh) 吊装设备装架的装置
CN201660377U (zh) 超长大吨位专用龙门吊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