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476B1 -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 Google Patents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476B1
KR102377476B1 KR1020210052218A KR20210052218A KR102377476B1 KR 102377476 B1 KR102377476 B1 KR 102377476B1 KR 1020210052218 A KR1020210052218 A KR 1020210052218A KR 20210052218 A KR20210052218 A KR 20210052218A KR 102377476 B1 KR102377476 B1 KR 102377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auxiliary
main
ladder truck
main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우
안장숙
Original Assignee
임대우
안장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대우, 안장숙 filed Critical 임대우
Priority to KR1020210052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에 관한 것으로, 차량(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다단으로 신축 가능하게 연장되는 주붐대(11); 및 상기 주붐대(11)의 횡방향 양측면에 각각 다단으로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붐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주붐대를 양측방에서 보조붐대에 의해 보강할 수 있으므로, 붐대의 전체적인 굽힘강도 및 횡하중에 대한 강도를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Lateral Reinforcing Type Boom For Ladder Truck}
본 발명은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붐대의 측방에 보조붐대를 장착함으로써, 굽힘하중에 대한 강도는 물론, 대차로 인해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부분 하중에 대한 항복강도 및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횡하중에 대한 강도를 대폭 향상시킨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차는 다단으로 된 붐대를 신축함으로써, 지면에서 고소까지 대차 등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운반 높이를 결정하는 붐대의 강도가 성능을 좌우한다.
이와 같은 사다리차용 붐대는 그 하나로 예로 도 1에 도시된 사다리차 붐대(등록특허 제10-1763649호)를 들 수 있다. 이 붐대(110)는 도시된 것처럼, 차량(1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도조절 실린더(104)에 의해 승강 각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붐대(110)는 상방으로 신장된 때 대차(120)를 목적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소정의 용도로 활용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붐대(110)는 신축을 위한 구조적 한계로 인해 붐과 붐 사이에 절첩이 발생하며, 특히 각각의 붐들은 절첩되면서도 대차(1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횡단면 상 위로 열린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굽힘강도가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겉면에 절첩이 발생하지 않는 겉붐은 겉면에 충분한 보강을 할 수 있지만,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붐들은 절첩을 유지하기 위해 겉면에 어떠한 보강 수단도 마련할 수 없게 되며, 특히, 보강이 불가하면서도 가장 아래쪽에 있는 즉, 겉붐 바로 다음에 오는 두 번째 붐은 하중 부담이 가장 커지고, 강도 상으로 가장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붐 자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지만 중량이 증가하여 위와 같은 취약점이 배가되고, 고소까지 연장된 때 외력에 의한 예컨대, 옆에서 부는 바람이나 흔들림 등의 충격에 의한 횡하중을 받아 옆으로 휘어지거나 꺾이고 비틀려지는 것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76364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사다리차용 붐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주붐대의 측방 양쪽에서 보조붐대에 의해 보강함으로써, 붐대의 굽힘하중 특히, 길게 신장한 상태에서 선단에 걸리는 하중 및 자체의 중량으로 인한 굽힘하중에 대한 전반적인 강도를 향상시키는 한편, 위와 같이 붐대의 강성을 배가시킴으로써 붐대 자체의 중량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횡하중에 대한 붐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대차로 인해 주붐대에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하중을 보조붐대로 분산시킴으로써 주붐대의 국지적인 항복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다단으로 신축 가능하게 연장되는 주붐대; 및 상기 주붐대의 횡방향 양측면에 각각 다단으로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붐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조붐대는, 단면적이 점감하도록 절첩식으로 결합된 복수의 보조붐; 및 상기 주붐대 각각의 붐 선단의 측면에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대응하는 상기 보조붐의 선단 부분을 지지하는 복수의 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붐대의 붐 중 상기 차량에 연결되는 겉붐과 대응하는 보조겉붐은 상기 겉붐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보조붐은 각각 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보조붐은 각각 다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에 따르면, 위로 열린 주붐대의 양측방을 닫힌 모양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보조붐대에 의해 보강할 수 있으므로, 붐대의 전체적인 굽힘강도 특히, 길게 신장한 상태에서 선단에 걸리는 하중 및 자체의 중량으로 인한 굽힘하중에 대한 강도를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위와 같이 붐대 전체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따라서 주붐대의 두께를 낮추어도 붐대 자체나 보강 구조물에 의한 중량 증대를 피할 수 있으므로, 중량 증대로 인한 강도 저하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붐대를 주붐대의 측방으로 연속해서 배열하고 있으므로, 붐대를 신장시켜 고소에 배치함으로써 바람 등에 의한 횡력을 받더라도, 하중이 작용하는 횡방향으로 주붐대와 보조붐대가 굽힘 저항을 하게 되며, 따라서 보조붐대를 주붐대 아래쪽에 배치하는 것보다 횡하중에 대한 강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대차로 인해 주붐대에 국지적인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주붐대와 보조붐대가 하중을 나누어 받게 되므로, 주붐대의 국지적인 항복강도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사다리차용 붐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보강식 사라디차용 붐대가 적용된 차량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붐대를 신장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도 2에 도시된 붐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 확대도.
도 6는 도 4에서 어느 하나의 붐과 이에 대응하는 보조붐 및 브래킷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4의 B 부분 횡단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붐대의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붐대는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차와 같은 차량의 일부로서, 차량(10)에 신축 가능하게 연장 설치되어, 운반 시 도 2와 같이 절첩되고, 사용 시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차량(10)에 연결된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대차(3)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붐대(1)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주붐대(11)와 보조붐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주붐대(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대(1)의 본체로서 하단이 차량(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다단으로 신축 가능하게 연장되도록 복수의 붐(21,22,23,24,25,2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붐(21,22,23,24,25,26)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부(31)에 의해 위아래로 열린 직사각형의 프레임체 즉, ㄷ자 모양의 횡단면을 갖는 좌우 양측의 프레임체로 이루어지며, 아래쪽 개방부(31)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해 복수의 횡바(12)가 부착되어 강도를 보강한다.
상기 보조붐대(13)는 주붐대(11)의 양측단에서 주붐대(11)를 횡방향으로 보강하는 수단으로서,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붐대(11)의 횡방향 양측면에 각각 다단으로 신축 가능하게 주붐대(11) 좌우로 쌍을 이루어 결합되는 바, 각각은 하나의 독립된 절첩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보조붐대(13)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보조붐(41,42,43,44,45)과 복수의 브래킷(51,52,53,54,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각각의 상기 보조붐(41,42,43,44,45)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등 다각형 또는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트랙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통체로서, 신축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가 길이방향으로 포개져 있으며,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감하는 절첩식 구조를 갖는다. 단, 도 4, 도 7 및 도 8에 겉붐(21)과 보조붐(41)을 둘러싸도록 도시된 도면부호 15는 사용 중 붐대(1)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차가 지면까지 하강하게 하여 짐을 상하차하는데 용이하게 하는 연장사다리이다.
특히, 각각의 보조붐(41,42,43,44,45)은 횡단면 상 터진 부분 없이 위와 같은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바,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로 길고 좌우로 짧은 직사각형 통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횡단면적 대비 단면 2차 모먼트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51,52,53,54,55)은 대응하는 각각의 보조붐(41,42,43,44,45) 선단 즉, 상단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각각의 붐(21,22,23,24,25,26) 선단의 측면에 측방으로 돌출되어 결합되는 바, 제1 브래킷(51)은 붐대(1) 중 차량(10)에 연결되는 하단의 겉붐(21) 측면에, 제5 브래킷(55)은 제5 붐(25)에 각각 부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브래킷(51,52,53,54,55)은 제1 브래킷(51)이 보조겉붐(41)을, 제5 브래킷(55)은 제5 보조붐(45)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보조붐(41,42,43,44,45)의 선단 부분을 각각 지지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브래킷(51,52,53,54,55)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에 통공(57)이 형성되어 보조붐(41,42,43,44,45)의 선단 부분을 이 통공(57)에 끼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겉붐(21)과 대응하는 보조겉붐(41)은 전체가 겉붐(21)의 양측면에 부착됨으로써, 보조붐대(13)의 지지 강도를 높인다. 이때, 각각의 브래킷(51,52,53,54,55)은 속이 빈 후판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다만 조절공(58)을 통해 각 붐(21,22,23,24,25,26)의 횡변위를 조절하는 횡조절볼트(61)를 회전시킬 때 너트(62)를 외부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측면 모서리 중간 부분에 관통홈(59)이 절결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붐대(1)는 사용 중이 아닌 때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접힌 상태로 보관되나, 사용 시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붐대(1) 선단의 바퀴(17)가 목표지점에 이르도록 길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연장된 때, 붐대(1)는 주붐대(11) 자체로 굽힘응력에 대해 저항할 뿐 아니라, 보조붐대(13)를 통해서도 굽힘응력에 대해 저항하므로, 굽힘 강도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붐대(11)에 대한 강도보강이 요구되지 않으며, 보강 구조물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므로, 부하로 작용하는 중량도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보조붐대(13)는 작은 횡단면적에 대비하여 터진 부분 없는 직사각형의 횡단면 형상으로 인해 단면적 대비 단면 2차 모먼트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굽힘강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보조붐대(13)는 주붐대(11)와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대차(3)가 지나갈 때 발생하는 국부 하중을 주붐대(11)와 동시에 나누어 받기 때문에, 주붐대(11)의 하중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주붐대(11) 자체의 두께와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또 주붐대(11)에 대한 보강 구조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보조붐대(13)는 주붐대(11)에 대해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서는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주붐대(11)와 일렬로 배치되게 되므로, 보조붐대(13)를 주붐대(11) 아래쪽에 배치하는 것에 비해 바람이나 외력의 영향에 따른 횡하중에 대한 강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 : 붐대 3 : 대차
10 : 차량 11 : 주붐대
13 : 보조붐대 21, 22, 23, 24, 25, 26 : 붐
31 : 개방부 41, 42, 43, 44, 45 : 보조붐
51, 52, 53, 54, 55 : 브래킷

Claims (1)

  1. 차량(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다단으로 신축 가능하게 연장되도록 복수의 붐(21,22,23,24,25,26)으로 이루어지는 주붐대(11); 및
    상기 주붐대(11)를 횡방향으로 보강하도록 상기 주붐대(11)의 횡방향 양측면에 각각 다단으로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붐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KR1020210052218A 2020-11-27 2021-04-22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KR102377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18A KR102377476B1 (ko) 2020-11-27 2021-04-22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218A KR102275660B1 (ko) 2020-11-27 2020-11-27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KR1020210052218A KR102377476B1 (ko) 2020-11-27 2021-04-22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218A Division KR102275660B1 (ko) 2020-11-27 2020-11-27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476B1 true KR102377476B1 (ko) 2022-03-22

Family

ID=768649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218A KR102275660B1 (ko) 2020-11-27 2020-11-27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KR1020210052218A KR102377476B1 (ko) 2020-11-27 2021-04-22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218A KR102275660B1 (ko) 2020-11-27 2020-11-27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756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53308A1 (en) * 2020-11-27 2023-10-04 An, Jang Sook Lateral reinforcement type boom for ladder truck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100A (ja) * 2001-12-11 2003-06-24 Aichi Corp ブーム
KR200331396Y1 (ko) * 2003-07-01 2003-10-30 황일호 사다리차의 붐 구조
KR20170080758A (ko) * 2015-12-30 2017-07-11 임대우 고가 사다리차용 복합 신축 붐
KR101763649B1 (ko) 2016-03-30 2017-08-03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붐대
KR101955929B1 (ko) * 2018-06-01 2019-03-08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붐지지대
KR102146714B1 (ko) * 2019-06-28 2020-08-21 주식회사 코아스 다단식 붐대의 안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100A (ja) * 2001-12-11 2003-06-24 Aichi Corp ブーム
KR200331396Y1 (ko) * 2003-07-01 2003-10-30 황일호 사다리차의 붐 구조
KR20170080758A (ko) * 2015-12-30 2017-07-11 임대우 고가 사다리차용 복합 신축 붐
KR101763649B1 (ko) 2016-03-30 2017-08-03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붐대
KR101955929B1 (ko) * 2018-06-01 2019-03-08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붐지지대
KR102146714B1 (ko) * 2019-06-28 2020-08-21 주식회사 코아스 다단식 붐대의 안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660B1 (ko)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16826U1 (ru) Конструкц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повышенной прочностью крыши кузова
KR102377476B1 (ko)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US4160558A (en) Carrier frame for mobile crane
WO2009113539A1 (ja) 板状貨物の輸送用ウイング式コンテナ及びそれを積載するトレーラ
EP2671783A2 (en) Cabin arrangement for a crane
JP2021533051A (ja) 伸縮式クレーンの後部固定ライン用の支持体
US6712578B2 (en) Loadhandling equipment, a vehicle incorporating the equipment and a method of raising a load with the equipment
KR100942726B1 (ko) 광폭 판재의 적재가 용이한 트레일러
JP4833633B2 (ja) 重量物昇降装置
KR20030048361A (ko) 차량형 크레인용 신축식 지브
KR101448219B1 (ko) 사다리차용 고강도 신축 붐 조립체
EP4253308A1 (en) Lateral reinforcement type boom for ladder truck
KR200380856Y1 (ko)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적재프레임의 구조
JP5018746B2 (ja) 作業機械のタンクの取り付け構造
KR20210072891A (ko) 래싱 브리지
WO2020065116A2 (es) Accesorio para chasis y chasis con capacidad de carga variable
CN112897350B (zh) 一种岸桥
CN208413589U (zh) 一种大载重电梯轿架
JP7076913B2 (ja) 荷受台昇降装置を備えた車両
KR200331396Y1 (ko) 사다리차의 붐 구조
KR100513253B1 (ko) 고소작업차용 아웃트리거
GB2394465A (en) Containers having reduced section deck beams
CN116670064A (zh) 用于横向加强式云梯车的吊杆
KR101349458B1 (ko)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JPS5842051B2 (ja) ダンプカ−の荷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