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777B1 - 송풍 장치 - Google Patents

송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777B1
KR101955777B1 KR1020167005098A KR20167005098A KR101955777B1 KR 101955777 B1 KR101955777 B1 KR 101955777B1 KR 1020167005098 A KR1020167005098 A KR 1020167005098A KR 20167005098 A KR20167005098 A KR 20167005098A KR 101955777 B1 KR101955777 B1 KR 101955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louver
air
closed state
adjus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613A (ko
Inventor
야스마사 스즈끼
히로아끼 구보
기미아끼 도미모또
유끼마사 가나자와
요시히로 우라모또
겐이찌 이마제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6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분출구로부터의 풍향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송풍 장치를 제공한다. 송풍 장치는, 테두리부로 둘러싸인 분출구의 분출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축 주위로 회동하고, 분출구로부터의 풍향을 조정하는 풍향 조정판을 구비한다. 풍향 조정판은, 분출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을 이루는 폐쇄 상태 및 분출면에 대하여 소정의(predeterminder) 경사를 이루는 개방 상태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하고 있다. 송풍 장치는, 폐쇄 상태에서, 분출구의 축을 사이로 하여 대향하는 테두리부 각각과 풍향 조정판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송풍 장치{BLOWER}
본 발명은 분출구로부터의 풍향을 조정하는 풍향 조정판을 구비하는 송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습기 또는 공기 청정기 등의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를 구비하는 송풍 장치는, 예를 들어, 방의 건조나 제균, 또는 의류의 건조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분출구로부터의 풍향을 조정하기 위한 루버를 구비하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0-24097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2780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4319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93885호 공보 및 일본 특허 제3864792호 공보를 참조).
삭제
그러나, 종래의 제습기나 공기 청정기 등은, 밑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공기를 상방을 향하여 분출하는 것이 많다.
또한, 루버를 회전시켜서 풍향을 조정하는 제품도 개발되어 있지만, 공기의 흡입, 분출의 구조상, 풍향 범위는 제한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하우징) 내나 분출구의 형상에 따라 풍향 범위를 확장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분출구를 다수 설치하는 등 복잡한 구조로 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분출구로부터의 풍향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송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송풍 장치는, 분출구로부터의 풍향을 조정하는 풍향 조정판을 구비하고, 그 풍향 조정판의 중도에 설치된 축의 주위로 상기 풍향 조정판을 회동시키는 송풍 장치로서, 상기 풍향 조정판은, 상기 분출구의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하고 있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풍향 조정판의 상기 축을 사이로 하는 측연부의 일부 및 그 일부에 대응하는 타(他)부 각각과 상기 분출구와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 장치는, 상기 풍향 조정판에 의해 풍향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상기 측연부의 일부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 장치는, 상기 안내부는, 상기 폐쇄 상태에서 풍향을 안내하도록 하고 있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풍향을 안내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 장치는, 상기 풍향 조정판은, 상기 안내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풍향 조정판의 회동에 응동하여,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안내부를 상기 풍향 조정판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안내부를 상기 수용부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안내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 장치는, 상기 안내부는, 상기 풍향 조정판의 상기 측연부의 일부에 설치된 리브이며, 또한, 그 리브를 차폐하는 차폐부와, 상기 풍향 조정판의 회동에 응동하여,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리브를 노출시키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리브를 차폐하기 위해 상기 차폐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출구로부터의 풍향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로서의 제1 실시예의 제습기의 외관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제습기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제습기의 루버가 폐쇄 상태인 경우의 풍향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제습기의 루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제습기의 루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의 풍향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의 제습기의 루버의 주요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의 제습기의 루버가 폐쇄 상태인 경우의 풍향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의 제습기의 루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의 풍향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a는 제3 실시예의 제습기의 전방 루버의 주요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b는 제3 실시예의 제습기의 전방 루버의 주요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의 제습기의 루버가 폐쇄 상태인 경우의 풍향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의 제습기의 루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의 풍향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a는 제4 실시예의 제습기의 전방 루버의 주요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b는 제4 실시예의 제습기의 전방 루버의 주요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예의 제습기의 루버가 폐쇄 상태인 경우의 풍향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예의 제습기의 루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의 풍향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제5 실시예의 제습기의 전방 루버의 주요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로서의 제6 실시예의 공조기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로서의 제1 실시예의 제습기(100)의 외관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 장치의 예로서 제습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송풍 장치는, 제습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공기 청정기, 에어컨 등의 공조기, 기타 공기를 분출구로부터 분출함으로써 송풍하는 장치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기(100)는 방의 바닥 등에 설치할 수 있고, 제습기 본체(70)는 상자 형태를 이룬다. 제습기 본체(70)의 상면에는, 천장판(71)을 갖는다. 천장판(71)의 전방측(제습기(100)의 전방측, 정면측)에는, 테두리부(41, 42, 43, 44)로 둘러싸여 대략 직사각 형상의 분출구(30)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분출구(30)의 근방에는, 분출구(30)의 분출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축 주위로 회동하고, 분출구(30)로부터의 풍향을 조정하는 풍향 조정판으로서의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를 구비한다. 또한,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를 통합하여 루버라고도 칭한다. 또한, 천장판(71)의 후방측(제습기(100)의 후방측, 배면측)에는,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의 회동을 조작하는 조작 패널을 설치하고 있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제습기(100)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지면의 좌측은 제습기(100)의 전방측(정면측)이며, 지면의 우측은 제습기(100)의 후방측(배면측)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기 본체(70)의 내부에는, 저부 전방측에 컴프레서(압축기)(54)를 설치하고 있고, 저부 후방측에는, 드레인 탱크(58)를 설치하고 있다. 드레인 탱크(58)의 상방에는, 이배퍼레이터(증발기)(56) 및 콘덴서(응축기)(57)를 배치하고 있다. 제습기 본체(70)의 배면에는 흡기구(53)를 설치하고 있고, 흡기구(53)의 내측에는 필터(55)를 배치하고 있다.
분출구(30)에 연통하는 공기의 유로에는, 흡기구(53)로부터 흡기한 공기를 분출구(30)쪽으로 송풍하는 송풍 팬(51)을 설치하고 있고, 송풍 팬(51)의 중앙부에는, 송풍 팬(51)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 모터(52)를 설치하고 있다. 송풍 팬(51)을 회전시킴으로써, 공기를 분출구(30)쪽으로 향하여 상방으로 송풍할 수 있다.
분출구(30)의 근방에는, 분출구(30)의 분출면(33)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축(11) 주위로 회동하는 전방 루버(10), 및 분출면(33)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축(21) 주위로 회동하는 후방 루버(20)를 배치하고 있다. 즉, 전방 루버(10)의 중도에 축(11)을 설치하고 있고, 후방 루버(20)의 중도에 축(21)을 설치하고 있다.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는 루버 구동 모터(50)에 의해 회동할 수 있다. 전방 루버(10)의 하단부는, 테두리부(41)의 상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는 분출면(33)에 대하여 대략 평행을 이루고 있다. 또한, 분출구(30)의 테두리부(43, 44)가 만곡되어 있는 경우, 분출면(33)은 천장판(71)과 동일 평면, 또는 수평면으로 할 수 있다.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가 분출면(33)에 대하여 대략 평행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폐쇄 상태라고 칭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가 폐쇄 상태인 경우, 분출구(30)의 축(11, 21)을 사이로 하여 대향하는 테두리부(41, 42) 각각과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와의 사이에 간극(31, 32)을 설치하고 있다. 즉, 분출구(30)의 폐쇄 상태에서,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의 축(11, 21)을 사이로 하는 측연부의 일부 및 그 일부에 대응하는 타부 각각과 분출구(30)와의 사이에 간극(31, 32)을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축을 사이로 한다」란,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가 축(11, 21)의 주위로 회동할 경우에, 축(11, 21)을 중심으로 하여 간극(31, 32)의 개구 정도가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의 예에서는, 간극(31, 32)의 사이에, 도 2의 지면에 수직 방향의 축(11, 21)이 위치하고 있다. 즉, 도 2의 지면에 수직한 축(11, 21)의 좌우에 간극(31, 3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부에 대응하는 타부」란, 예를 들어, 축(11, 21)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략 선 대칭으로 되는 부분을 말한다. 즉,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의 측연부의 일부와 타부가, 축(11, 21)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선 대칭으로 되어 있다. 또한, 대략 선 대칭이란, 예를 들어, 전방 루버(10)의 전방 측연부의 형상과, 후방 루버(20)의 후방 측연부의 형상이, 동일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고 하는 취지이며, 예를 들어, 한쪽이 직선 형상이며, 다른쪽이 곡선 형상이어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분출구(30)의 폐쇄 상태에서, 전방 루버(10)와 후방 루버(20) 사이에는,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 각각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간극이 있지만, 그 간극으로부터는 거의 공기가 분출되지 않게 되어 있다.
즉, 전방 루버(10)가 폐쇄 상태인 경우, 전방 루버(10)의 전방 측연부와 분출구(30)의 테두리부(41) 사이에 간극(31)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후방 루버(20)가 폐쇄 상태인 경우, 후방 루버(20)의 후방 측연부와 분출구(30)의 테두리부(42) 사이에 간극(32)을 설치하고 있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제습기(100)의 루버가 폐쇄 상태인 경우의 풍향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가 폐쇄 상태인 경우,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는 분출구(30)의 분출면(33)에 대략 평행이 된다. 또한, 전방 루버(10)의 전방 측연부와 분출구(30) 사이에 간극(31)이 있고, 후방 루버(20)의 후방 측연부와 분출구(30) 사이에 간극(32)이 있다. 즉, 제습기(100)의 상면에 분출구(30)를 설치한 경우에는, 한쪽 간극(31)은 제습기(100)의 전방측(정면측)에 위치하고, 다른쪽 간극(32)은 제습기(100)의 후방측(배면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루버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는, 제습기(100)의 전방면에 공기를 분출할 수 있음과 함께, 제습기(100)의 후방측에도 분출할 수 있어, 분출구(30)로부터의 풍향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제습기(100)의 루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또한, 내부 구조는,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는 분출면(33)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이룬다.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는 예를 들어, 분출면(33)에 대하여 경사각이 대략 0도로부터, 소정의 최대 경사각(예를 들어, 45도, 60도 등)의 사이에서 회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제습기(100)의 루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의 풍향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가 분출면(33)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이루므로, 예를 들어,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습기(100)의 상면에 분출구(30)를 설치한 경우에는, 공기를 비스듬히 상방 방향으로 분출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루버(20)의 후방 측연부로부터의 공기를 비스듬히 뒤쪽 상방으로 분출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를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회동시킴으로써, 바람을 방 전체에 효율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은 제2 실시예의 제습기(100)의 루버의 주요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 중, 전방 루버(10)의 전방 측연부(111)에 안내부로서의 리브(12)를 설치하고 있다. 즉, 리브(12)를 분출구(30)의 대향하는 테두리부(41, 42)의 한쪽(전방측)의 테두리부(41)측의 전방 루버(10)의 전방 측연부(111)에 설치하고 있다. 리브(12)는 전방 루버(10)의 전방 측연부(111)를 따라 비스듬히 하방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브(12)는 전방 루버(10)에 대하여 풍향을 하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풍향을 하방으로 안내한다란, 하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비스듬히 하방으로 안내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7은 제2 실시예의 제습기(100)의 루버가 폐쇄 상태인 경우의 풍향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도 8은 제2 실시예의 제습기(100)의 루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의 풍향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는, 분출구(30)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전방 루버(10)에 의해 분출면(33)과 대략 평행하게 풍향이 바뀌고, 또한 안내부로서의 리브(12)에 의해 전방 루버(10)에 대하여 하방으로 풍향이 바뀌므로, 제습기(100)의 전방면의 간극(31)으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분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습기(100)가 놓인 바닥쪽으로 송풍할 수 있어 바닥(예를 들어, 카페트, 깔개 등)의 제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루버(10)에 대하여 풍향을 하방으로 안내한다란,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습기(100)를 바닥 등에 설치한 경우에, 분출구(3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가, 전방 루버(10)에 부딪혀서, 전방 루버(10)보다도 하방으로(즉, 바닥쪽으로) 안내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도 8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가 분출면(33)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이루므로, 제습기(100)의 상면에 분출구(30)를 설치한 경우에는, 공기를 비스듬히 상방 방향으로 분출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루버(20)의 후방 측연부로부터의 공기를 비스듬히 뒤쪽 상방으로 분출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9a 및 도 9b는 제3 실시예의 제습기(100)의 전방 루버(10)의 주요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a는 전방 루버(10)가 개방 상태인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9b는 전방 루버(10)가 폐쇄 상태인 경우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루버(10)의 전방 측연부(111)를 따라, 전방 루버(10)에 대하여 세워 설치한 리브(1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리브(12)는 전방 루버(10)에 대하여 하방으로 풍향을 안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적당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전방 루버(10)는 일면(하면측)이 오목 형상을 이루고, 안내부로서의 풍향판(13)을 수용하는 수용부(101)를 형성하고 있다. 전방 루버(10)의 하면측에는, 풍향판(13)의 일부가 입출하기 위한 개구를 가진 하부판(105)을 설치하고 있다.
풍향판(13)은 측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을 이루고, 지지판(132) 및 지지판(132)의 일단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 설치된 돌출판(131)을 갖는다. 지지판(132)의 중앙부에는, 구동부로서의 스프링(14)이 전방 루버(10)의 수용부(101)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4)은 지지판(132)을 가압함으로써, 돌출판(131) 전체가 수용부(101)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하부판(105)에는, 대략 원기둥 형상이며 구동부로서의 핀(15)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16)을 형성하고 있다. 핀(15)은 지지판(132)의 단부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루버(10)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스프링(14)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판(132)의 단부가 핀(15)의 일단부(상단부)를 밀어 내려서, 핀(15)은 하부판(105)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돌출판(131)은 수용부(101)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도 9a의 상태에서, 핀(15)은 삽입 관통 구멍(16)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루버(10)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는, 핀(15)의 타단부(하단부)가 후술하는 규제편(45)에 의해 규제되어, 핀(15)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지지판(132)의 단부도 핀(15)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서, 돌출판(131)은 하부판(105)으로부터 돌출된다. 즉, 안내부로서의 풍향판(13)이 전방 루버(1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다.
도 10은 제3 실시예의 제습기(100)의 루버가 폐쇄 상태인 경우의 풍향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도 11은 제3 실시예의 제습기(100)의 루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의 풍향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핀(15)은 규제편(45)에 의해 규제되어,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있다. 또한, 규제편(45)은 예를 들어, 테두리부(43, 44) 부근의 소정의 위치에 2군데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11의 예에서는, 핀(15)은 규제편(4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핀(15)은 하방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도 10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는, 분출구(30)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전방 루버(10)에 의해 분출면(33)과 대략 평행하게 풍향이 바뀌고, 또한 안내부로서의 풍향판(13)(돌출판(131))에 의해 전방 루버(10)에 대하여 하방으로 풍향이 바뀌므로, 제습기(100)의 전방면의 간극(31)으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분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습기(100)가 놓인 바닥쪽으로 송풍할 수 있어 바닥(예를 들어, 카페트, 깔개 등)의 제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가 분출면(33)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이루므로, 제습기(100)의 상면에 분출구(30)를 설치한 경우에는, 공기를 비스듬히 상방 방향으로 분출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루버(20)의 후방 측연부로부터의 공기를 비스듬히 뒤쪽 상방으로 분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는, 전방 루버(10)는 풍향판(13)을 수용하는 수용부(101)를 구비한다. 스프링(14) 및 핀(15)은 전방 루버(10)의 회동에 응동하여, 폐쇄 상태에서 풍향판(13)을 전방 루버(10)로부터 돌출시키고, 개방 상태에서 풍향판(13)을 수용부(101)에 수용하기 위해 풍향판(13)을 구동한다.
즉, 전방 루버(10)가 분출면(33)과 대략 평행이 되는 폐쇄 상태에서는, 풍향판(13)이 전방 루버(10)로부터 돌출되어, 전방 루버(10)에 대하여 풍향을 하방으로 안내하므로, 제습기(100)의 전방면의 간극(31)으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분출할 수 있다. 한편, 전방 루버(10)가 분출면(33)에 대하여 경사지는 개방 상태에서는, 풍향판(13)이 수용부(101)에 수용되므로, 분출구(30)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의 경사 각도에 따른 비스듬히 상방으로 원활하게 분출할 수 있다. 즉, 공기를 비스듬히 상방으로 분출할 경우에, 공기의 흐름이 풍향판(13)에 의해 어지럽혀질 일이 없다.
(제4 실시예)
도 12a 및 도 12b는 제4 실시예의 제습기(100)의 전방 루버(10)의 주요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a는 전방 루버(10)가 개방 상태인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12b는 전방 루버(10)가 폐쇄 상태인 경우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루버(10)의 전방 측연부(111)를 따라, 전방 루버(10)에 대하여 세워 설치한 리브(1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리브(12)는 전방 루버(10)에 대하여 하방으로 풍향을 안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적당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전방 루버(10)는 일면(하면측)이 오목 형상을 이루어, 차폐부로서의 차폐판(17)을 수용하는 수용부(101)를 형성하고 있다. 전방 루버(10)의 하면측에는, 차폐판(17)이 입출하기 위한 개구를 가진 하부판(105)을 설치하고 있다.
차폐판(17)의 중앙부에는, 구동부로서의 가압부(18)를 설치하고 있다. 도 12의 예에서는, 가압부(18)는 반구 형상이지만, 가압부(18)의 형상은, 규제편(45)에 의해 가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형상이어도 된다. 차폐판(17)의 단부에는, 구동부로서의 스프링(19)이 전방 루버(10)의 수용부(101)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9)은 차폐판(17)을 가압함으로써, 차폐판(17)과 하부판(105)이 거의 동일 평면 형상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루버(10)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스프링(19)의 가압력에 의해 차폐판(17)이 리브(12)를 숨겨서(차폐하여), 차폐판(17)과 하부판(105)이 거의 동일 평면 형상으로 된다.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루버(10)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는, 가압부(18)가 규제편(45)에 의해 규제되어, 가압부(18)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차폐판(17)도 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리브(12)가 노출되게 된다.
도 13은 제4 실시예의 제습기(100)의 루버가 폐쇄 상태인 경우의 풍향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도 14는 제4 실시예의 제습기(100)의 루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의 풍향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의 예에서는, 가압부(18)는 규제편(45)에 의해 규제되어,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있다. 이에 의해, 리브(12)가 노출된다. 또한, 규제편(45)은 예를 들어, 테두리부(43, 44) 부근의 소정의 위치에 2군데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14의 예에서는, 가압부(18)는 규제편(4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차폐판(17)은 리브(12)를 덮는다.
도 13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는, 분출구(30)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전방 루버(10)에 의해 분출면(33)과 대략 평행하게 풍향이 바뀌고, 또한 안내부로서의 리브(12)에 의해 전방 루버(10)에 대하여 하방으로 풍향이 바뀌므로, 제습기(100)의 전방면의 간극(31)으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분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습기(100)가 놓인 바닥쪽으로 송풍할 수 있어 바닥(예를 들어, 카페트, 깔개 등)의 제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가 분출면(33)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이루므로, 제습기(100)의 상면에 분출구(30)를 설치한 경우에는, 공기를 비스듬히 상방 방향으로 분출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루버(20)의 후방 측연부로부터의 공기를 비스듬히 뒤쪽 상방으로 분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서는, 안내부는, 전방 루버(10)의 측연부(111)에 설치된 리브(12)이다. 차폐판(17)은 루버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 리브(12)를 노출시키고, 루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 리브(12)를 차폐한다. 가압부(18) 및 스프링(19)은 전방 루버(10)의 회동에 응동하여, 차폐판(17)을 구동한다.
즉, 전방 루버(10)가 분출면(33)과 대략 평행이 되는 폐쇄 상태에서는, 안내부로서의 리브(12)가 노출되고, 리브(12)가 전방 루버(10)에 대하여 풍향을 하방으로 안내하므로, 제습기(100)의 전방면의 간극(31)으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분출할 수 있다. 한편, 전방 루버(10)가 분출면(33)에 대하여 경사지는 개방 상태에서는, 리브(12)가 차폐판(17)으로 차폐되므로, 분출구(30)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전방 루버(10)의 경사 각도에 따른 비스듬히 상방으로 원활하게 분출할 수 있다. 즉, 공기를 비스듬히 상방으로 분출할 경우에, 공기의 흐름이 안내부에 의해 어지럽혀질 일이 없다.
또한,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서는, 풍향판(13) 또는 리브(12)는 전방 루버(10)의 회동에 응동하여, 폐쇄 상태에서 풍향을 안내하도록 하고 있고, 개방 상태에서 풍향을 안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전방 루버(10)가 분출면(33)과 대략 평행이 되는 폐쇄 상태에서는, 풍향판(13) 또는 리브(12)가 전방 루버(10)에 대하여 풍향을 하방으로 안내하므로, 제습기(100)의 전방면의 간극(31)으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분출할 수 있다. 한편, 전방 루버(10)가 분출면(33)에 대하여 경사지는 개방 상태에서는, 풍향판(13) 또는 리브(12)가 전방 루버(10)에 대하여 풍향을 하방으로 안내하지 않으므로, 분출구(30)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전방 루버(10)의 경사 각도에 따른 비스듬히 상방으로 원활하게 분출할 수 있다. 즉, 공기를 비스듬히 상방으로 분출할 경우에, 공기의 흐름이 풍향판(13) 또는 리브(12)에 의해 어지럽혀질 일이 없다.
(제5 실시예)
도 15는 제5 실시예의 제습기(100)의 전방 루버(10)의 주요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루버(10)의 하부판(105)은 측연부(111)측에 만곡면(102)을 갖는다. 그리고, 전방 루버(10)의 측연부(111)측의 두께를 d1, 반대측의 두께를 d2로 하면, d1>d2가 되도록 되어 있다.
제5 실시예에서는, 전방 루버(10)가 분출면(33)과 대략 평행이 되는 폐쇄 상태에서는, 안내부로서의 만곡면(102)이 전방 루버(10)에 대하여 풍향을 하방으로 안내하므로, 제습기(100)의 전방면의 간극(31)으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분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6 실시예)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 장치로서 제습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송풍 장치는 제습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풍 장치는, 바닥 등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로서의 제6 실시예의 공조기(200)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공조기(200)는 예를 들어, 에어컨이며, 난방, 냉방, 제습, 살균 등의 공기 조화 기능을 구비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기(200)는 방의 벽 등에 설치되고, 전방면에 분출구(230)를 설치하고 있다.
하측 루버(210) 및 상측 루버(220)는 분출면(233)에 대하여 대략 평행을 이루는 폐쇄 상태 및 분출면(233)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이루는 개방 상태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하고 있다. 루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하측 루버(210) 및 상측 루버(220)가 분출면(233)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이루므로, 공기를 소정의 방향으로 분출할 수 있다.
하측 루버(210) 및 상측 루버(220)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는, 분출구(230)와 하측 루버(210)의 하방 측연부(211) 사이에 간극(231)을 설치하고 있고, 분출구(230)와 상측 루버(220)의 상방 측연부(221) 사이에 간극(232)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폐쇄 상태에서는, 하측 루버(210) 및 상측 루버(220)가 분출면(233)에 대하여 대략 평행을 이루므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에 분출구(230)를 설치한 경우에는, 한쪽 간극(231)은 공조기(200)의 하방에 위치하고, 다른쪽 간극(232)은 공조기(200)의 상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폐쇄 상태에서는, 공기를 공조기(200)의 하방 및 상방으로 분출할 수 있으므로, 분출구(230)로부터의 풍향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하측 루버(210) 및 상측 루버(220)를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회동시킴으로써, 바람을 방 전체에 효율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루버(풍향 조정판)로서, 전방 루버(10) 및 후방 루버(20)의 2매의 루버를 구비하는 구성이었지만, 루버의 매수는 2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매 이상이어도 되고, 1매여도 된다. 즉, 루버가, 더 분단되어서, 축이 3개 이상 있는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가장 앞열의 루버의 전방 측연부와 분출구 사이에 간극을 설치함과 함께, 가장 뒷열의 루버의 후방 측연부와 분출구 사이에 간극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 기재되어 있는 기술 특징은, 서로 조합하여 새로운 기술 방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는, 분출구(30)로부터의 풍향을 조정하는 풍향 조정판(10, 20)을 구비하고, 그 풍향 조정판의 중도에 설치된 축(11, 21)의 주위로 상기 풍향 조정판을 회동시키는 송풍 장치로서, 상기 풍향 조정판은, 상기 분출구의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하고 있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풍향 조정판의 상기 축을 사이로 하는 측연부의 일부 및 그 일부에 대응하는 타부 각각과 상기 분출구와의 사이에 간극(31, 32)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풍향 조정판(10, 20)은 분출구(30)의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하고 있다. 개방 상태에서는, 예를 들어, 풍향 조정판이 분출구의 분출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이루므로, 예를 들어, 송풍 장치(100)의 상면에 분출구를 설치한 경우에는, 공기를 비스듬히 상방 방향으로 분출할 수 있다. 폐쇄 상태에서, 풍향 조정판의 축(11, 21)을 사이로 하는 측연부의 일부(111) 및 그 일부에 대응하는 타부 각각과 분출구와의 사이에 간극(31, 32)을 설치하고 있다. 폐쇄 상태에서는, 예를 들어, 풍향 조정판이 분출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을 이루므로, 송풍 장치의 상면에 분출구를 설치한 경우에는, 한쪽 간극(31)은 송풍 장치의 전방측(정면측)에 위치하고, 다른쪽 간극(32)은 송풍 장치의 후방측(배면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폐쇄 상태에서는, 공기를 송풍 장치의 전방면에 분출할 수 있음과 함께, 송풍 장치의 후방측에도 분출할 수 있어, 분출구로부터의 풍향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풍향 조정판을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회동시킴으로써, 바람을 방 전체에 효율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는, 상기 풍향 조정판(10)에 의해 풍향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안내부(12, 13, 102)를 상기 측연부의 일부(111)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풍향 조정판(10)에 의해 풍향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안내부(12, 13, 102)를 풍향 조정판의 측연부의 일부(111)에 설치하고 있다. 폐쇄 상태에서는, 분출구(30)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풍향 조정판에 의해 분출면(33)과 대략 평행하게 풍향이 바뀌고, 또한 안내부에 의해 풍향 조정판에 대하여 풍향이 하방으로 바뀌므로, 송풍 장치의 전방면의 간극(31)으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분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송풍 장치가 놓인 바닥의 제습이나 제균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는, 상기 안내부(12, 13)는 상기 폐쇄 상태에서 풍향을 안내하도록 하고 있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풍향을 안내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안내부(12, 13)는 폐쇄 상태에서 풍향을 안내하도록 하고 있고, 개방 상태에서 풍향을 안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풍향 조정판(10)이 분출면(33)과 대략 평행이 되는 폐쇄 상태에서는, 안내부가, 풍향 조정판에 대하여 풍향을 하방으로 안내하므로, 송풍 장치의 전방면의 간극(31)으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분출할 수 있다. 한편, 풍향 조정판이, 분출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개방 상태에서는, 안내부가, 풍향 조정판에 대하여 풍향을 하방으로 안내하지 않으므로, 분출구(30)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풍향 조정판의 경사 각도에 따른 비스듬히 상방으로 원활하게 분출할 수 있다. 즉, 공기를 비스듬히 상방으로 분출할 경우에, 공기의 흐름이 안내부에 의해 어지럽혀질 일이 없다.
본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는, 상기 풍향 조정판(10)은 상기 안내부(13)를 수용하는 수용부(101)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풍향 조정판의 회동에 응동하여,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안내부를 상기 풍향 조정판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안내부를 상기 수용부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안내부를 구동하는 구동부(14, 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풍향 조정판(10)은 안내부(13)를 수용하는 수용부(101)를 구비한다. 구동부(14, 15)는 풍향 조정판의 회동에 응동하여, 폐쇄 상태에서 안내부를 풍향 조정판으로부터 돌출시키고, 개방 상태에서 안내부를 수용부에 수용하기 위해 안내부를 구동한다. 즉, 풍향 조정판(10)이 분출면(33)과 대략 평행이 되는 폐쇄 상태에서는, 안내부(13)가 풍향 조정판으로부터 돌출되어, 풍향 조정판에 대하여 풍향을 하방으로 안내하므로, 송풍 장치의 전방면의 간극(31)으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분출할 수 있다. 한편, 풍향 조정판이, 분출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개방 상태에서는, 안내부가, 수용부에 수용되므로, 분출구(30)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풍향 조정판의 경사 각도에 따른 비스듬히 상방으로 원활하게 분출할 수 있다. 즉, 공기를 비스듬히 상방으로 분출할 경우에, 공기의 흐름이 안내부에 의해 어지럽혀질 일이 없다.
본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는, 상기 안내부(12)는 상기 풍향 조정판의 상기 측연부의 일부(111)에 설치된 리브이며, 또한, 그 리브를 차폐하는 차폐부(17)와, 상기 풍향 조정판의 회동에 응동하여,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리브를 노출시키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리브를 차폐하기 위해 상기 차폐부를 구동하는 구동부(18, 1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안내부(12)는 풍향 조정판(10)의 측연부의 일부(111)에 설치된 리브이며, 리브를 차폐하는 차폐부(17)를 구비한다. 그리고, 구동부(18, 19)는 풍향 조정판의 회동에 응동하여, 폐쇄 상태에서 리브를 노출시키고, 개방 상태에서 리브를 차폐한다. 즉, 풍향 조정판(10)이 분출면(33)과 대략 평행이 되는 폐쇄 상태에서는, 안내부로서의 리브(12)가 노출되기 때문에, 풍향 조정판에 대하여 풍향을 하방으로 안내하므로, 송풍 장치의 전방면의 간극(31)으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분출할 수 있다. 한편, 풍향 조정판이, 분출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개방 상태에서는, 리브가 차폐부로 차폐되므로, 분출구(30)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풍향 조정판의 경사 각도에 따른 비스듬히 상방으로 원활하게 분출할 수 있다. 즉, 공기를 비스듬히 상방으로 분출할 경우에, 공기의 흐름이 안내부에 의해 어지럽혀질 일이 없다.
10: 전방 루버(풍향 조정판)
11: 축
12: 리브(안내부)
13: 풍향판(안내부)
14, 19: 스프링(구동부)
15: 핀(구동부)
16: 삽입 관통 구멍
17: 차폐판(차폐부)
18: 가압부(구동부)
20: 후방 루버(풍향 조정판)
21: 축
30, 230: 분출구
31, 32, 231, 232: 간극
33, 233: 분출면
41, 42: 테두리부
45: 규제편
101: 수용부
102: 만곡면(안내부)
105: 하부판
111, 211: 측연부(측연부의 일부)
210: 하측 루버
220: 상측 루버

Claims (5)

  1. 분출구로부터의 풍향을 조정하는 풍향 조정판을 구비하고, 그 풍향 조정판의 중도에 설치된 축의 주위로 상기 풍향 조정판을 회동시키는 송풍 장치로서,
    송풍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분출구는, 상기 송풍 장치 본체의 천장판에 설치된 테두리부로 둘러싸이고,
    상기 풍향 조정판은,
    상기 분출구의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의 사이에 회동하도록 하고 있고, 상기 축을 사이로 하여 전방 측연부와 후방 측연부를 갖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풍향 조정판의 상기 전방 측연부와 상기 테두리부 중 전방 측연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풍향 조정판의 상기 후방 측연부와 상기 테두리부 중 후방 측연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풍향 조정판의 하단부는, 상기 전방 측연부의 상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조정판에 의해 풍향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상기 측연부의 일부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폐쇄 상태에서 풍향을 안내하도록 하고 있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풍향을 안내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조정판은,
    상기 안내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풍향 조정판의 회동에 응동하여,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안내부를 상기 풍향 조정판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안내부를 상기 수용부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안내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풍향 조정판의 상기 측연부의 일부에 설치된 리브이며,
    또한, 그 리브를 차폐하는 차폐부와,
    상기 풍향 조정판의 회동에 응동하여,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리브를 노출시키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리브를 차폐하기 위해 상기 차폐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KR1020167005098A 2014-03-18 2014-07-31 송풍 장치 KR101955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55256 2014-03-18
JP2014055256 2014-03-18
PCT/JP2014/070265 WO2015141023A1 (ja) 2014-03-18 2014-07-31 送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613A KR20160036613A (ko) 2016-04-04
KR101955777B1 true KR101955777B1 (ko) 2019-03-07

Family

ID=5414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098A KR101955777B1 (ko) 2014-03-18 2014-07-31 송풍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72354B2 (ko)
KR (1) KR101955777B1 (ko)
CN (1) CN105531549B (ko)
WO (1) WO2015141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048B1 (ko) * 2015-11-02 2022-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CN110462303A (zh) * 2017-04-05 2019-11-15 夏普株式会社 摆叶及送风装置
EP3505844B1 (en) * 2017-12-28 2022-04-27 Panasonic Appliances Air-Conditioning Malaysia Sdn. Bhd. Air conditioner with plural vanes
JP7332341B2 (ja) * 2019-05-28 2023-08-23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7233300B2 (ja) * 2019-05-28 2023-03-06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7291042B2 (ja) * 2019-09-13 2023-06-1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清浄機
JP7291043B2 (ja) * 2019-09-13 2023-06-1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6705A (ja) * 2010-07-28 2012-02-09 Panasonic Corp 小型加湿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8109A (en) * 1979-07-24 1981-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ntrolling device for direction of flow
JPH05118637A (ja) * 1991-10-25 1993-05-14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風向調節装置
JP3384302B2 (ja) * 1997-10-31 2003-03-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
JPH11311430A (ja) * 1998-04-30 1999-11-09 Aiwa Co Ltd 空気清浄装置
JP5193838B2 (ja) * 2008-12-15 2013-05-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489756B2 (ja) * 2010-01-29 2014-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
JP2013245578A (ja) * 2012-05-24 2013-12-09 Sharp Corp 送風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6705A (ja) * 2010-07-28 2012-02-09 Panasonic Corp 小型加湿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72354B2 (ja) 2017-02-01
CN105531549A (zh) 2016-04-27
JPWO2015141023A1 (ja) 2017-04-06
WO2015141023A1 (ja) 2015-09-24
CN105531549B (zh) 2019-05-21
KR20160036613A (ko) 201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777B1 (ko) 송풍 장치
US10465697B2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EP2199695B1 (en) Ceiling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KR101315427B1 (ko) 공기조화기
KR20160038678A (ko) 공기조화기
KR20150005776A (ko) 제습기
KR20170063653A (ko) 스윙 루버를 구비한 스탠드형 에어컨
CN107407491B (zh) 空调装置的室内机
CN107208924B (zh) 空气调节机的室内机
KR20080081759A (ko) 공기조화기
KR20140092952A (ko) 공기조화기
TW201606244A (zh) 空氣清淨機
CN111886456B (zh) 扇叶、空气调节机以及除湿机
KR20180046070A (ko) 공기청정기
KR20150004991A (ko) 풍향조절장치
JP5994643B2 (ja) 送風装置
JP6078777B2 (ja) 空気清浄装置
KR2007003353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6064162B2 (ja) 空気清浄装置
JP5664290B2 (ja) 空気調和機の吹出口に備えたルーバー構造
JP3475116B2 (ja) 可搬式空気調和機
CN205448017U (zh) 分体落地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JP4049183B2 (ja) 空気調和機の取っ手構造
KR20150078558A (ko) 제습기
KR2019005167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