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574B1 -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574B1
KR101954574B1 KR1020180046005A KR20180046005A KR101954574B1 KR 101954574 B1 KR101954574 B1 KR 101954574B1 KR 1020180046005 A KR1020180046005 A KR 1020180046005A KR 20180046005 A KR20180046005 A KR 20180046005A KR 101954574 B1 KR101954574 B1 KR 101954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ell
core
coating layer
edibl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기
Original Assignee
김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기 filed Critical 김윤기
Priority to KR1020180046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574B1/ko
Priority to PCT/KR2019/004762 priority patent/WO2019203614A1/ko
Priority to US17/049,011 priority patent/US2021023571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2Aerated, foamed, cellular or porous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coated,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10Meat meal or powder; Granules, agglomerat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10Fish meal or powder; Granules, agglomerat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14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fruits, nuts, e.g. almonds, seeds, plants, plant extracts, essential o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먹기가 용이하여, 때와 장소에 상관없이 누구나 손쉽게 섭취할 수 있어, 밥 반찬이나 술 안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식습관에 따라 섭취가 용이하지 않은 사람, 또는 외국인, 노인, 아이들 또는 환자들과 같이 소비자의 입맛이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어, 그 응용이 용이한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3 three dimensional laver snack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먹기가 용이하여, 때와 장소에 상관없이 누구나 손쉽게 섭취할 수 있어, 밥 반찬이나 술 안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식습관에 따라 섭취가 용이하지 않은 사람, 또는 외국인, 노인, 아이들 또는 환자들과 같이 소비자의 입맛이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어, 그 응용이 용이한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 자체는 영양소가 많고, 독특한 맛과 풍미를 가지고 있으나, 그 사용 형태는 사각의 김이나, 반찬으로는 김자반 형태가 대부분이다.
또한, 김에 소금이나, 일부 여러 가지 풍미를 조미하여 맛을 조금 다르게 표현하였을 뿐 그 응용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밥 반찬 등으로만 이용될 뿐 김 자체를 간식으로 이용하기에는 그 맛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김자반은 작은 가루 형태로 가정 또는 식당에서 반찬의 한 종류로 소비되는 음식으로서, 가정이나 식당에서 소비될 뿐으로 그 소비가 식사 시간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이는 김이나 김자반은 작게 부서지거나 김가루가 날리는 등 손으로 먹기 불편하고, 손을 사용하여 먹을 경우 김가루나 기름 등 잔여물이 손에 묻게 되어 일반적 간식으로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영양소가 풍부하고 풍미가 좋은 김을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간식으로서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KR1020170085318 A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이 간편하며,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섭취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하게 구성되어 소비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이 간편하며,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섭취힐 수 있으며, 용도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곽을 둘러싸는 쉘;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김자반으로만 구성된 김자반코어층;과 상기 김자반코어층 내측에 식용접착제를 포함하는 맛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용 접착제를 김자반 위로 굴리거나, 식재료 및 식용 접착제를 혼합한 후 김자반 위로 굴려, 김자반으로만 구성된 김자반코어층과 상기 김자반코어층 내측에 식용접착제를 포함하는 맛층을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코어를 제조하는 제1 단계; 곡물 가루 또는 식물성 전분으로 반원형의 쉘을 2개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반원형의 쉘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코어를 넣고 다른 반원형 쉘을 합쳐 원 형상의 쉘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원형의 쉘층 위에 코팅을 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코팅층 위에 또는 상기 원형의 쉘층 위에 식용 접착제 또는 소스를 도포하여 커버층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5 단계 후에 상기 커버층 위에 김자반을 도포하여 김자반층을 형성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단계는 곡물 가루 또는 식물성 전분외에 김자반을 더 혼합한 혼합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곡물 가루 또는 식물성 전분으로 반원형의 쉘을 2개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반원형의 쉘 안쪽에 식용 접착제 또는 소스를 도포하여 제1 커버층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커버층 안쪽에 김자반을 채워 김자반코어층을 형성하고, 상기 김자반코어층 내측에 식재료 및 식용접착제 혼합물을 채워 맛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반원형의 쉘 2개를 합쳐 원형의 쉘층을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원형의 쉘층 위에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 위에 또는 상기 원형의 쉘층 위에 식용 접착제 또는 소스를 도포하여 제2 커버층을 형성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제2 커버층 위에 김자반을 도포하여 김자반층을 형성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은 휴대가 간편하고, 섭취가 용이하여, 산이나 바다 또는 비행기 안 등과 같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용이하게 휴대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은 기본 구성의 소스 및 식재료를 변경하여, 아이 또는 노인들의 입맛에 따라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어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은 비타민이나 치료제 등을 포함하여, 입맛을 잃은 환자들에게 용이하게 섭취하게 하면서도 치료의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은 반찬의 한 종류가 아니라 안주 시장으로도 확대될 수 있어, 기존 식품과 결합하여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코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쉘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쉘 내에 코어가 채워진 형상을 나타낸 단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가 채워진 쉘 위에 코팅층 또는 커버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단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의 단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쉘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곽을 둘러싸는 쉘;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김자반으로만 구성된 김자반코어층;과 상기 김자반코어층 내측에 식용접착제를 포함하는 맛층;을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쉘의 외곽을 둘러싸는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코팅층은 당류로 이루어진 당 코팅층; 김과 식용 접착제로 이루어진 김 코팅층; 당류 및 견과류로 이루어진 당-견과류 코팅층; 및 당류 및 김으로 이루어진 당-김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당류로 이루어진 당 코팅층으로 외곽이 구성된 김자반 스낵에 의하면, 사용자가 김자반 스낵을 집어 먹을 때 손에 김가루 등이 묻지 않고,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김과 식용 접착제로 이루어진 김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김자반 스낵은 단 것을 좋아하지 않는 어른 들이나, 당분을 피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좋다.
당류 및 견과류로 이루어진 당-견과류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김자반 스낵은 식감뿐만 아니라 견과류의 건강한 성분들을 함께 섭취할 수 있어, 건강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코팅층은 견과류, 말린 과일, 및 말린 육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김은 김으로 제조된 모든 형상의 식품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김자반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바람직하게는 일반 김자반, 파래 김자반, 돌김자반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김자반은 예를 들어 기름에 볶은 김자반과, 견과, 건새우, 건멸치, 건해산물 등을 곁들인 김자반 등 김자반으로 판매되고 있는 모든 상품을 포함한다.
또한, 기름에 볶은 김자반 형태가 아닌, 일본에서 많이 팔리는 "후리가케"(어분(魚粉), 김, 깨, 소금 등을 섞어서 만든 가루 모양의 식품, 기름에 볶지 않고 수분만 없앤 후 잘게 잘라 섞음) 형태의 김을 포함한 모든 제품(건식, 습식 포함)도 본 발명의 재료에 포함된다.
상기 김자반은 코어를 구성할 때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커버링에 사용될 수도 있다. 코어를 형성할 때의 김자반의 크기는 커버링에 사용되는 김자반의 크기보다 크며, 예를 들어 코어 형성할 때의 김자반의 크기는 가로, 세로 15mm - 20mm 정도이며, 커버링에 사용될 때 김자반의 크기 0.1mm - 0.2정도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a에 의하면 코어는 김층(20)과 식용 접착제(10)로 구성된 플레인 코어(2a)이다.
상기 식용 접착제(10)는 특유의 맛이 없거나 약한 전분 등과 같은 곡류나 식물의 전분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특별한 맛을 원하는 경우 다양한 맛의 소스일 수 있다. 상기 소스로는 데리야키 소스, 와사비 소스, 마늘 고추 소스(중식, 한식, 동남아식 등), 허니머스타드 소스, 베트남식 땅콩 소스, 마늘 버터 소스 등이 있다. 상기 소스의 형태는 제한하지 않고, 소비자의 식습관, 선호도, 알레르기 등을 고려하여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분은 쌀가루 전분,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 중 선택된 1 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식용 접착제는 설탕, 올리고당, 물, CMC(마이쉘, 홍조류에서 추출 무색, 무미, 무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는 김자반과 식용접착제를 혼합하여 원형의 형태로 제조하거나, '반구'의 틀에 넣은 김자반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코팅할 수도 있고, 빨리 굳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김자반과 섞어 원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여기에 견과류, 예를 들어 잣을 섞어 원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식용접착제로서 설탕 베이스의 식용접착제를 이용하여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외에, 건강상 이유나, 달지 않은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식용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쉘에 넣어 코어를 제조할 수도 있다. 다만, 식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코어를 제조하는 것은 양산이 용이하고, 제품의 보존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b에 의하면 코어는 김층(20)과 식용 접착제(10)외에 다양한 식품들을 더 포함한 맛 코어로서, 김(20)외에 견과류, 말린 과일, 말린 어류, 말린 육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맛층(30)을 포함하는 맛 코어(2b)를 나타낸다.
상기 맛층(20)은 도 1b에 의하면 김층(20)과 식용 접착제(10)로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김, 식용 접착체 및 맛 식품류가 혼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맛층은 김과 견과류; 김, 소스 및 견과류; 김과 말린 과일; 김, 소스 및 말린 과일; 김과 말린 어류; 김, 소스 및 말린 어류;등으로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견과류는 식품에 첨가되는 다양한 견과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땅콩, 피스타치오, 캐슈넛, 호두, 잣, 호박씨 및 해바라기씨 중 선택된 1 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선택된 김과 잘 어울리는 견과류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말린 과일은 식품에 첨가되는 다양한 말린 과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베리, 스트로베리, 포도, 체리, 망고, 사과, 배 및 감 중 선택된 1 종 이상의 과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선택된 김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맛을 내도록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건포도, 건블루베리, 건체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말린 어류는 식품에 첨가되는 다양한 말린 어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멸치, 청어, 꽁치 및 새우 중 선택된 1 종 이상이 건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말린 육류는 식품에 첨가되는 다양한 말린 육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및 오리 고기 중 선택된 1 종 이상이 건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로 하면, 김자반과 견과류로 구성된 맛층(20)과 이의 외면을 설탕 베이스로 코팅한 코팅층(11)로 코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설탕층으로 코팅하는 경우 완전한 밀봉을 이룰 수 있어서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견과류의 산패를 방지하여 장기 보관 및 맛의 항상성을 이룰 수 있다.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40)은 원하는 형태로 제조된 몰드(101, 102) 사이에 다양한 곡물 가루, 예를 들어 쌀, 현미, 밀가루 등의 곡물 가루나 전분 가루, 예를 들어, 옥수수, 감자, 고구마 또는 타피오카 전분등을 물, 오미미자차, 먹물 등과 같이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한 후 반죽을 부어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쉘은, 각 곡물이나 식물 등을 익힌 후 으깨어 몰드에 직접 넣어 가압 및 가열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흰 쌀밥을 제조한 후 몰드(101, 102) 사이에 쌀밥을 넣고 두께를 조절하면서 가압 및 가열하여, 쌀밥 맛 쉘(40)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누룽지 가루를 제조한 후 물과 혼합하여 상기 몰드(101, 102) 사이에 부어, 가압 및 가열하여 누룽지 맛 쉘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와플 베이스로 제조하여 와플 형상 및 맛의 쉘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감자 또는 옥수수 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반죽 베이스를 제조한 후 몰드(101, 102) 사이에 부어 가압 및 가열하여, 감자 또는 고구마 칩 맛의 쉘을 제조할 수 있다.
쉘의 두께는 천천히 가압하면서 조절하고, 가열시간에 따라 누룽지와 같은 불맛을 내거나, 바삭한 와플 식감, 감자칩 또는 고구마칩 식감 등을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쉘은 다른 곡물이나 가공된 형태로 만들 수 있고, 예를 들어 찹쌀을 이용하여 모나카의 피(껍질)을 만들거나, 밀가루, 계란, 버터 등을 사용하여 와플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또는, 시판되는 것들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분 베이스에 초콜렛 가루, 녹차 가루, 김가루 등을 섞어 제빵에서 흔히 사용되는 것처럼 다른 색의 쉘을 제조, 사용할 수 있다.
쉘의 형태 및 크기는 대상 수요자, 용도, 판매 전략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쉘의 형태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의 형태 뿐만 아니라, 육면체 형태, 또는 다른 구의 형태 등, 형태와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쉘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 입" 사이즈로 적당한 두 가지 크기를 정하여 재료의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제품의 크기는 15~50mm, 바람직하게는 25mm~28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완제품의 크기는 김자반 스낵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 쉘의 크기는 14~49mm, 바람직하게는 24mm~27mm 일 수 있고, 2개 이상의 쉘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층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원형의 형상이 제조가 용이하고, 섭취 및 보관 등이 용이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쉘의 두께는 식감과 제품 안정성을 고려하여, 1mm~2mm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쉘의 두께는 금형에 따라 조절가능하다.
도 3a 및 도 3b는 쉘(40) 안에 코어(2a, 2b)가 포함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a에 의하면, 김층(20)과 식용 접착제(10)로만 구성된 플레인 코어(2a)가 쉘(40)에 포함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3b에 의하면, 김층(20) 내에 식용 접착제(10)가 있으며, 그 가장 안쪽에 맛층(30)이 포함되어 있는 맛 코어(30)가 쉘(40)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코어(2a, 2b)가 포함된 쉘(40) 외층에 식용 접착제 또는 소스를 도포한 커버층(50)을 나타낸 것이다. 김외에 다른 맛을 원하지 않는 경우 식용 접착제만을 도포할 수 있으며, 다양한 맛을 원하는 경우 취향 또는 필요에 따라 선택된 소스를 도포할 수 있다.
커버층(50)은 식품 접착제, 예를 들어 설탕을 베이스로 한 식품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막(layer)"을 의미하며, 커버링은 이러한 막을 제조하는 공정을 말한다. 이 커버링은 코어를 만들 경우에도 사용되고, 두 개의 '반 구'가 결합한 쉘 위에 '막'을 만들어 공기, 습기를 차단하여 제품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링으로 사용하는 설탕, 올리고당, 물, CMC로 조합한 식품 접착제에 식초, 간장, 와사비, 데리야키 소스, 땅콩 소스, 라유, 두반장 등 다른 소스류를 첨가하여 다른 풍미의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버층은 설탕, 올리고당, 물, CMC로 구성된 설탕 베이스의 식품 접착제만을 사용하거나, 또는 이 설탕 베이스의 식품 접착제를 다른 제품과 조합(예를 들어, 고구마 맛탕(고구마, 설탕, 기름의 조합), 또는 설탕 및 물의 조합 등)으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버링은 쉘 위에 설탕 베이스의 식용접착체를 코팅하거나, 쉘 위에 설탕 베이스의 식용접착제에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은 다른 소스류를 혼합한 후 코팅하거나, 쉘 위에 설탕 베이스에 김자반을 혼합하여 코팅하거나, 쉘 위에 설탕베이스에 다른 소스류 및 김자반을 혼합하여 코팅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조합으로 커버링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링 방법은 또한, 쉘 위에 식용 접착제를 코팅한 후, 김자반 및/또는 다른 소스를 도포하는 방법, 식용 접착제에 김자반 및/또는 다른 소스를 혼합하는 방법, 또는 쉘 위에 식용 접착제를 코팅한 후, 다시 식용 접착제에 김자반 및/또는 다른 소스를 혼합하는 방법 등과 같이 식용 접착제 코팅 후 다른 재료를 연속해서 코팅하여 층 구조로 커버링하거나, 모든 재료를 혼합하여 커버링하거나, 층 구조 후 혼합 재료를 커버링하는 등과 같이,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자반 스낵(1a, 1b)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에 의하면, 김자반 스낵(1a)는 식용 접착제층(10), 제1 김층(20), 쉘(40), 커버층(50) 및 제2 김층(60)으로 구성되며, 도 5b에 의하면 김자반 스낵(1b)는 맛층(30), 식용 접착제층(10), 제1 김층(20), 쉘(40), 커버층(50) 및 제2 김층(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각 층 사이에 초콜릿층, 고추장층, 와사비층과 같이 필요와 취양에 따라 다양한 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김자반 스낵은 상기 층들에 비타민이나, 알레르기 치료제 등과 같은 다양한 건강 기능성 첨가제들을 더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성 스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용 접착제층(10) 및 커버층(50)에 각종 첨가제들을 더 포함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어린아이들의 건강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아이들이 좋아하는 치즈가루, 초콜릿 가루 등을 각 층 사이에 또는 최외각에 뿌려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김자반 스낵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용 접착제(10)를 제1 김(20) 위로 굴리거나, 식재료(30) 및 식용 접착제(10)를 혼합한 후 김(20) 위로 굴려 입체 형상의 코어를 제조하는 제1 단계; 곡물 가루 또는 식물성 전분으로 반다각형의 쉘(40)을 2개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반다각형의 쉘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코어(2a, 2b)를 넣고 다른 반다각형 쉘을 합쳐 다각형 형상의 쉘층(40)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다각형의 쉘층 위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코팅층은 당류로반 이루어진 당 코팅층; 김과 식용 접착제로 이루어진 김 코팅층; 당류 및 견과류로 이루어진 당-견과류 코팅층; 및 당류 및 김으로 이루어진 당-김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4 단계 후에 상기 다각형의 쉘층(40) 위에 식용 접착제 또는 소스를 도포하여 커버층(50)을 형성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커버층(50) 위에 김(60)을 도포하여 제2 김층(60)을 형성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코어는 김(20)과 식용 접착제(10)로만 구성된 플레인 코어(2a) 또는 다양한 식품들로 구성된 맛층(30)을 더 포함하는 맛 코어(2b)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쉘을 먼저 제조한 후 김자반 스낵을 제조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 가루 또는 식물성 전분으로 반다각형의 쉘(40)을 2개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반다각형의 쉘(40) 안쪽에 식용 접착제 또는 소스를 도포하여 식용 접착제층(10)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커버층 안쪽에 김자반(20)을 채워 코어를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반다각형의 쉘 2개를 합쳐 원형의 쉘층(40)을 형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쉘 층의 외부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1a, 1b, 1c)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각형의 쉘층(40) 위에 식용 접착제 또는 소스(50)를 도포하여 제2 커버층을 형성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제2 커버층 위에 제2 김을 도포하여 제2 김층(60)을 형성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1 김층 안쪽에 식재료, 또는 식재료 및 식용 접착제의 혼합물을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다음 표 1의 구성으로 하여 다음 제조 순서에 따라 제조하였다.
구성 요소 중량 (g) 크기(mm)
- 25~29mm(길이, 폭 동일)
0.1~0.2 길이 12~15, 폭 3~5
식용접착제 0.1 미만 -
김자반
(쉘 내부 충진)
- 15~20
커버층 - 0.2~0.5
김자반
(쉘 외부 충진)
- 0.1~0.2
제품에 사용한 김자반 한식(CJ 비비고), 양만김(동원), 노브랜드(이마트), 롯데마트
제조 순서
1. 준비된 쉘 (현미, 와플 사용) 내부에 김자반을 도포한다.
두 개의 반구 형태의 쉘 각각에 김자반을 도포한다(쉘 내부에 커버층도 가능하다)
2. 김자반이 들어 있는 두 개의 쉘 중 하나에 잣 3개를 추가하였다(다른 견과류도 가능하다)
3. 준비된 반 구 형태의 두 개의 쉘을 식용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한다.
본 제품에 사용된 식용접착제는 쉘룰로오스 계로 식초에서 추출한 아세틱 에시드(ACETIC ACID) 쉘룰로오스(CMC)를 사용하였다.
4. 결합한 구 형태에 커버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설탕+ 올리고당 + CMC(다른 응고제 사용 가능)+ 물을 약한 불에서 녹을 때까지(예를 들어 약 70℃에서 5분) 정도 가열한 후 식힌다. 설탕: 올리고당: CMC: 물은 400:100:12: 45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5. 기호에 따라 올리고당 + 설탕 + 식품 접착제외에, 와사비, 테리야키, 땅콩소스 등으로 다른 맛 구현이 가능하다.
6. 두 개의 쉘이 결합하여 구 형태가 된 반제품에 커버층(올리고당, 설탕 +식품 접착제, 다른 맛을 내고 싶을 경우 식품 접착제 + 올리고당 + 다른 소스로 커버층을 만든다)을 입히고, 응고하기 전, 곱게 간 김자반에 굴려 마무리한다. 내부를 채운 김자반보다 입자의 직경이 더 작은 것을 이용하여, 쉘 외부를 촘촘하게 덮을 수 있으면서도, 두께를 얇게 하였다.
7. 식품 접착제가 마를 때 까지 숙성하여 완성한다.
관능 평가
기존 조미김(양반김), 김자반(제조사나 상품명을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및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김스낵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10대 이하 10명(A집단), 20대에서 50대 10명(B 집단) 및 60대 이상 10명(C 집단)으로 총 30명을 대상으로 외관, 사용 편이성, 맛의 선호도, 및 식감을 5점 만점으로 하여 1: 좋지 않다, 2: 그저그렇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매우 좋다로 선정할 것을 제안하였고, 그 평균을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 조미김 김자반
A B C A B C A B C
사용
편이성
4.0 4.5 4.7 3.0 3.2 3.5 2.5 2.5 2.8
맛 선호도 4.4 4.6 4.8 2.5 3.5 3.6 1.8 2.0 2.8
식감 4.7 4.6 4.6 3.5 3.0 3.0 2.0 2.2 2.5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세대를 통해 사용 편의성과 맛, 식감등이 기존 김 제품에 비하여 모두 상승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김자반 스낵은 종래 김을 좋아하던 사람들뿐만 아니라 김을 좋아하지 않던 어린 아이들까지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가지고 다니면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낱개 포장등이 가능하며, 손가락만으로도 섭취가 용이하고, 특별히 밥의 보조 식품인 반찬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들과 어른들의 간식으로도 사용될 수 있어, 밥반찬 뿐만 아니라 간식, 술안주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그 층 구성의 일부 내용을 변경함에 따라 수 많은 응용이 가능하며, 외국으로 수출시 그 나라 사정에 맞게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코어: 2a, 2b 식용접착제: 10
김층: 20, 60 맛층: 30
쉘: 40 커버층: 50

Claims (19)

  1.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곽을 둘러싸는 쉘;
    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김자반으로만 구성된 김자반코어층;과 상기 김자반코어층의 내측에 식용접착제를 포함하는 맛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외곽을 둘러싸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당류로 이루어진 당 코팅층; 김과 식용 접착제로 이루어진 김 코팅층; 당류 및 견과류로 이루어진 당-견과류 코팅층; 및 당류 및 김으로 이루어진 당-김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견과류, 말린 과일, 및 말린 육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맛층은 견과류, 말린 과일, 말린 어류, 및 말린 육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접착제는 식물 전분이나, 식품의 소스일 수 있으며,
    상기 소스는 데리야키 소스, 와사비 소스, 마늘고추 소스, 허니머스타드 소스, 베트남식 땅콩 소스 및 마늘 버터 소스 중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견과류는 땅콩, 피스타치오, 캐슈넛, 호두, 잣, 호박씨 및 해바라기씨 중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말린 과일은 블루베리, 스트로베리, 포도, 체리, 망고, 사과, 배 및 감 중 선택된 1 종 이상의 과일이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말린 어류는 멸치, 청어, 꽁치 및 새우 중 선택된 1 종 이상이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육류는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및 오리 고기 중 선택된 1 종 이상이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곡물 가루 또는 식물 전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자반 스낵.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누룽지 형상 또는 와플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자반 스낵.
  13. 제6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전분은, 쌀가루 전분,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및 고구마 전분 중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14. 식용 접착제를 김자반 위로 굴리거나, 식재료 및 식용 접착제를 혼합한 후 김자반 위로 굴려, 김자반으로만 구성된 김자반코어층과 상기 김자반코어층 내측에 식용접착제를 포함하는 맛층을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코어를 제조하는 제1 단계;
    곡물 가루 또는 식물성 전분으로 반다각형의 쉘을 2개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반다각형의 쉘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코어를 넣고 다른 반다각형 쉘을 합쳐 다각형 형상의 쉘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다각형의 쉘층 위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당류로 이루어진 당 코팅층; 김자반과 식용 접착제로 이루어진 김자반 코팅층; 당류 및 견과류로 이루어진 당-견과류 코팅층; 및 당류 및 김자반으로 이루어진 당-김자반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후에 식용 접착제 또는 소스를 도포하여 커버층을 형성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커버층 위에 김자반을 도포하여 김자반층을 형성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
  17. 곡물 가루 또는 식물성 전분으로 반다각형의 쉘을 2개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반다각형의 쉘 안쪽에 식용 접착제 또는 소스를 도포하여 제1 커버층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커버층 안쪽에 김자반을 채워 김자반코어층을 형성하고, 상기 김자반코어층의 내측에 식재료 및 식용접착제 혼합물을 채워 맛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반다각형의 쉘 2개를 합쳐 다각형의 쉘층을 형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쉘층의 외부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 후에 상기 다각형의 쉘층 위에 식용 접착제 또는 소스를 도포하여 제2 커버층을 형성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제2 커버층 위에 김을 도포하여 김층을 형성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
  19. 삭제
KR1020180046005A 2018-04-20 2018-04-20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4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05A KR101954574B1 (ko) 2018-04-20 2018-04-20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9/004762 WO2019203614A1 (ko) 2018-04-20 2019-04-19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US17/049,011 US20210235718A1 (en) 2018-04-20 2019-04-19 Laver fried snack in three-dimensional shap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05A KR101954574B1 (ko) 2018-04-20 2018-04-20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574B1 true KR101954574B1 (ko) 2019-05-22

Family

ID=6667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005A KR101954574B1 (ko) 2018-04-20 2018-04-20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35718A1 (ko)
KR (1) KR101954574B1 (ko)
WO (1) WO20192036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252A1 (ko) * 2021-08-11 2023-02-16 씨제이제일제당 (주) 씹는 식감의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9048A (ja) * 1984-12-24 1986-07-07 Meiji Seika Kaisha Ltd 焼菓子の製造方法
JPS63177757A (ja) * 1987-01-19 1988-07-21 Morinaga & Co Ltd 多重球状中空焼菓子の製造法
KR20170016077A (ko) * 2015-08-03 2017-02-13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자반형 마른김을 이용한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46614A (ko) * 2017-03-17 2017-05-02 천지해영어조합법인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225B1 (ko) * 2006-04-29 2007-03-23 최순옥 김을 주재로 포함하는 스낵
KR101730478B1 (ko) * 2015-06-05 2017-04-26 오충헌 조미액을 도포한 조미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9048A (ja) * 1984-12-24 1986-07-07 Meiji Seika Kaisha Ltd 焼菓子の製造方法
JPS63177757A (ja) * 1987-01-19 1988-07-21 Morinaga & Co Ltd 多重球状中空焼菓子の製造法
KR20170016077A (ko) * 2015-08-03 2017-02-13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자반형 마른김을 이용한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46614A (ko) * 2017-03-17 2017-05-02 천지해영어조합법인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252A1 (ko) * 2021-08-11 2023-02-16 씨제이제일제당 (주) 씹는 식감의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35718A1 (en) 2021-08-05
WO2019203614A1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64334A1 (en) High protein egg product an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process
KR101954574B1 (ko) 입체 형상의 김자반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9220B1 (ko)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쑥부쟁이 쿠키
KR101444404B1 (ko) 현미를 비롯한 통곡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와플 및 그 제조방법
KR101944314B1 (ko) 쌀가루를 이용한 과실 와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1803B1 (ko) 옥수수 식빵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옥수수 식빵
KR101993589B1 (ko) 스트로이젤을 묻힌 튀김의 제조 방법
KR20180116871A (ko) 파스타치오와 고구마 및 치즈 찐빵의 제조방법
KR101402044B1 (ko) 프레첼 과자의 제조 방법
KR101477987B1 (ko) 호떡 및 호떡의 제조방법
TWM592230U (zh) 珍珠麻糬結構
KR101902204B1 (ko) 오징어볼의 제조방법
KR20130071513A (ko) 초코쉘떡 및 그 제조방법
KR102384686B1 (ko) 약과 쿠키 및 그 제조방법
ES2286584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on de galletas.
JP3163790U7 (ko)
CN105341115A (zh) 一种干果燕麦饼干及其制备方法
TWM521338U (zh) 具有多層次內餡與主食的甜筒
TWM517996U (zh) 炸粉圓結構
KR101529007B1 (ko) 비빔밥 와플
JP3029142U (ja) 可食性外皮付き食品及び練り食品
TWM655013U (zh) 酥脆餅皮糕餅結構
KR20190119283A (ko) 다겹의 뻥튀기 과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696730A (zh) 一种皮蛋芝麻球
KR20010088593A (ko) 튀김백미를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