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220B1 -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쑥부쟁이 쿠키 - Google Patents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쑥부쟁이 쿠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220B1
KR101959220B1 KR1020160063269A KR20160063269A KR101959220B1 KR 101959220 B1 KR101959220 B1 KR 101959220B1 KR 1020160063269 A KR1020160063269 A KR 1020160063269A KR 20160063269 A KR20160063269 A KR 20160063269A KR 101959220 B1 KR101959220 B1 KR 101959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e
powder
preparing
mixing
b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926A (ko
Inventor
이명엽
Original Assignee
이명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엽 filed Critical 이명엽
Priority to KR1020160063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220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80Past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sewhere, e.g. cakes, biscuits or cooki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20Partially or completely coated products
    • A21D13/22Partially or completely coated products coated before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24Organic nitrogen compounds
    • A21D2/26Proteins
    • A21D2/261Animal proteins
    • A21D2/262Animal proteins from egg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24Organic nitrogen compounds
    • A21D2/26Proteins
    • A21D2/261Animal proteins
    • A21D2/263Animal proteins from dairy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부쟁이의 유효성분을 온전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맛과 향 증진된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쑥부쟁이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믹싱볼에 밀가루, 베이킹파우더 및 베이킹소다를 혼합하고 체에 내려 기초분말을 만드는 단계; 쑥부쟁이분말과 우유를 혼합하여 쑥부쟁이 우유액을 만드는 단계; 믹싱볼에 액상 버터, 설탕, 달걀, 소금 및 바닐라액을 넣고 거품이 날 때까지 저어 액상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쑥부쟁이 우유액 및 액상혼합물을 혼합하여 저은 다음 기초분말을 글루텐이 형성되지 않도록 섞어가면서 반죽하여 쿠키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쿠키펜에 유산지를 깔고 메추리알 크기로 반죽을 떼어 놓은 다음 넓적하게 손바닥으로 눌러 아몬드, 땅콩, 호두 및 코코넛을 뿌려 오븐에 굽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쑥부쟁이 쿠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YOMENA ASTER COOKIE, AND THE YOMENA ASTER COOKIE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쑥부쟁이의 유효 성분을 온전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맛과 향 이 증진된,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쑥부쟁이분말과 쑥부쟁이나물을 이용하여 비타민 A 및 C와 식이섬유 등의 영양성분을 온전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쑥부쟁이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믹싱볼에 밀가루, 베이킹파우더 및 베이킹소다를 혼합하고 체에 내려 기초분말을 만드는 단계; 쑥부쟁이분말과 우유를 혼합하여 쑥부쟁이 우유액을 만드는 단계; 믹싱볼에 액상 버터, 설탕, 달걀, 소금 및 바닐라액을 넣고 거품이 날 때까지 저어 액상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쑥부쟁이 우유액 및 액상혼합물을 혼합하여 저은 다음 기초분말을 글루텐이 형성되지 않도록 섞어가면서 반죽하여 쿠키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쿠키펜에 유산지를 깔고 메추리알 크기로 반죽을 떼어 놓은 다음 넓적하게 손바닥으로 눌러 아몬드, 땅콩, 호두 및 코코넛을 뿌려 오븐에 굽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쑥부쟁이(yomena aster)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권영초, 왜쑥부쟁이, 가새쑥부쟁이라고도 하며 습기가 약간 있는 산과 들에서 자란다.
쑥부쟁이는 꽃이 없는 어린 상태에서 줄기에 붙어 있는 잎만 관찰하면 쑥 종류(Artemisisa spp.)와 흡사하지만, 완전히 다른 종류다.
쑥부쟁이는 높이가 30~100cm 정도이고, 잎의 길이는 5~6cm, 폭은 2.5cm~3.5cm인 타원형이며, 잎자루가 길고 잎 끝에 큰 톱니와 털이 있고 처음 올라온 잎은 꽃이 필 때 말라 죽는다. 쑥부쟁이의 꽃은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여러 송이가 달리며, 열매는 9~10월경에 달리고 종자 끝에 붉은빛이 도는 갓털이 달리며 길이는 2.5~3mm 정도이다.
쑥부쟁이는 원예 및 조경용으로 쓰이지만, 쑥부쟁이의 잎과 어린순은 식용으로 쓰인다.
쑥부쟁이 잎은 비타민 A 및 C가 풍부하고 소화를 잘되게 하며 혈압을 내리고, 기침과 천식에 좋아 즙을 내어 마시며 벌레 물린 곳에 사용하며 한방에서는 해열제와 이뇨제로 쓰인다. 또한, 꽃이 피었을 때 쑥부쟁이 잎과 줄기를 말려 감초를 넣고 달인 물을 하루 3회 공복에 마시면 어깨 결림에서 오는 심한 통증 및 복통을 가라앉힐 수 있다.
이와 같이 쑥부쟁이의 기능성이 밝혀짐에도 불구하고 쑥부쟁이를 이용한 식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제과류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쑥부쟁이를 이용하여 쑥부쟁이 쿠키를 만들되, 쑥부쟁이분말과 쑥부쟁이나물을 쿠키 반죽에 첨가함으로써 쑥부쟁이의 유효성분을 온전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밀가루 음식을 섭취했을 때 소화 불량이나 알레르기 등을 방지하기 위해 쿠키 반죽을 만들 때 글루텐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며, 색감 및 기호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쿠키 반죽에 쑥부쟁이나물과 아마란스 잎을 데친 물을 첨가하여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선행특허문헌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9341호 "자색 고구마 잎 분말의 황산화 활성을 이용한 쿠키 및 쿠키 제조방법"에는 자색 고구마 부위 중 항산화성이 높은 고구마 잎을 분말로 만들어 쿠키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6287호 "밀가루, 설탕 및 첨가제가 전혀 들어가지 않는 콩쿠키 및 이의 제조방법"에는 콩을 주재료로 이용하고 소금 및 다시마 가루 또는 기타 부재료를 첨가한 콩쿠키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쑥부쟁이분말과 쑥부쟁이나물을 쿠키 반죽에 첨가함으로써 쑥부쟁이의 유효성분을 온전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밀가루 음식을 섭취했을 때 소화 불량이나 알레르기 등을 방지하기 위해 쿠키 반죽을 만들 때 글루텐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며, 색감 및 기호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쿠키 반죽에 쑥부쟁이나물과 아마란스 잎을 데친 물을 첨가하여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선행특허문헌과는 상이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9341호 (2016.03.15.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6287호 (2016.02.15. 공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쑥부쟁이의 유효성분을 온전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맛과 향이 증진된,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쑥부쟁이나물을 첨가함으로써 쑥부쟁이 고유의 향긋한 향과 쫄깃하고 부드러우며 촉촉한 식감을 내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쿠키 반죽에 쑥부쟁이나물과 아마란스 잎을 데친 물을 혼합함으로써 고소한 맛과 향긋한 향 및 황녹색의 색을 낼 수 있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쑥부쟁이의 유효성분을 온전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맛과 향이 증진된,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쑥부쟁이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믹싱볼에 밀가루, 베이킹파우더 및 베이킹소다를 혼합하고 체에 내려 기초분말을 만드는 단계;
쑥부쟁이분말과 우유를 혼합하여 쑥부쟁이 우유액을 만드는 단계;
믹싱볼에 액상 버터, 설탕, 달걀, 소금 및 바닐라액을 넣고 거품이 날 때까지 저어 액상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쑥부쟁이 우유액 및 액상혼합물을 혼합하여 저은 다음 기초분말을 글루텐이 형성되지 않도록 섞어가면서 반죽하여 쿠키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쿠키펜에 유산지를 깔고 메추리알 크기로 반죽을 떼어 놓은 다음 넓적하게 손바닥으로 눌러 아몬드, 땅콩, 호두 및 코코넛을 뿌려 오븐에 굽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결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쑥부쟁이의 유효성분을 온전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맛과 향이 증진된,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쑥부쟁이나물을 첨가함으로써 쑥부쟁이 고유의 향긋한 향과 쫄깃하고 부드러우며 촉촉한 식감을 내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쿠키 반죽에 쑥부쟁이나물과 아마란스 잎을 데친 물을 혼합함으로써 고소한 맛과 향긋한 향 및 황녹색의 색을 낼 수 있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쑥부쟁이분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험예와 참고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쑥부쟁이분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쑥부쟁이분말 제조
1) 생쑥부쟁이를 15~20℃인 찬물에 3~4회 반복하여 씻는다.
2) 100~105℃의 끓는 물에 소금 1스푼을 넣고 저어 주면서 생쑥부쟁이를 1~2분간 삶는다.
3) 상기 삶아진 생쑥부쟁이를 15~20℃의 찬물에 1시간~1시간30분 정도 담가놓은 후 손으로 문질러 씻으면서 알싸한 맛을 우려낸다.
4) 상기 찬물로 씻어낸 생쑥부쟁이의 물기를 완전히 짜서 건조온도기의 온도를 40~60℃로 설정하여 9시간~11시간 동안 건조 시킨다.
5) 상기 건조된 생쑥부쟁이를 분쇄기에 넣어 분말을 완성한다.
이하에서, 채소를 삶을 때 소금을 넣는 이유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겠다.
채소를 삶을 때 소금을 넣는 이유는 물의 열전도율을 높여 채소를 단시간에 삶아내어 채소의 색감, 식감 및 신선함을 그대로 유지 시키키 위한 것이다.
실시예 2.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한 쑥부쟁이쿠키 제조
1) 재료준비
먼저, 본 발명에서는 쑥부쟁이분말이 첨가된 쑥부쟁이 쿠키를 제조하기 위해 소정의 시료를 아래와 같이 준비한다.
밀가루 500~700g, 베이킹파우더 5~10g, 베이킹소다 5~10g, 설탕 300~500g, 소금 2~7g, 우유 150~250ml,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쑥부쟁이분말 5~10g, 달걀 100~120g, 녹인버터 40~60g, 식용유 30~70ml, 바닐라액 5~10ml
2) 제조방법
① 믹싱볼에 밀가루 500~700g, 베이킹파우더 5~10g 및 베이킹소다 5~10g을 함께 넣고 체에 3~4회 내려 기초분말을 만든다.
②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쑥부쟁이분말 5~10g과 우유 150~250ml를 혼합하여 10~15분간 불려 쑥부쟁이 우유액을 만든다.
③ 믹싱볼에 중탕해서 녹인 버터 40~60g에 설탕 300~500g, 달걀 100~120g, 소금 2~7g 및 바닐라액 5~10ml를 넣고 거품이 날 때까지 저어 액상혼합물을 만든다.
④ 상기 쑥부쟁이 우유액 및 액상혼합물을 넣고 저은 다음 기초분말을 글루텐이 형성되지 않도록 섞어가면서 쿠키 반죽을 완성한다.
⑤ 쿠키펜에 유산지를 깔고 메추리알 크기로 반죽을 떼어 놓은 다음 넓적하게 손바닥으로 누르고 아몬드, 호두 및 코코넛을 뿌린다.
⑥ 160~165℃로 예열 된 오븐에 14~16분간 구워 쑥부쟁이 쿠키를 제조하였다.
이하에서, 글루텐에 대해 간략히 서술한다.
글루텐(Gluten)은 밀, 보리, 귀리 등에 들어 있는 글루테닌과 글리아딘이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성분으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 불용성 단백질의 일종이다.
밀의 경우 밀가루에 물을 가하여 반죽하면 물리적인 운동에 의해 글루테닌과 글리아딘이 서로 결합하면서 탄력성 있는 얇은 피막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것이 글루텐이다. 글루텐의 피막은 이스트나 베이킹 파우더에 의해 생성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빵이나 케이크 등을 부풀게 하고, 쫄깃한 면과 빵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밀을 섭취했을 때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들은 셀리약병을 포함하여 밀 알레르기와 글루텐 과민증을 가진 사람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쿠키 반죽시 글루텐의 형성을 방지하여 쿠키를 섭취했을 때 소화 불량이나 알레르기 등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시예 3. 쑥부쟁이나물을 첨가한 쑥부쟁이쿠키 제조
1) 쑥부쟁이 쿠키 제조
본 출원인은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쑥부쟁이 쿠키를 제조하되, 실시예 2의 ④의 과정에서 반죽시 생쑥부쟁이 20~70g을 끓는 물에 삶아 찬물에 담궈 1시간~1시간30분 동안 우린 후 쑥부쟁이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잘게 썬 쑥부쟁이나물을 쿠키 반죽에 첨가하여 쑥부쟁이 쿠키를 제조하였다.
2) 관능평가
상기 기재된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쿠키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쿠키를 10~50대의 남녀 30명에게 쑥부쟁이 쿠키의 맛 및 향의 종합적인 기호도에 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는 0~5점 척도를 사용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으며, 숫자가 클수록 양호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종합적인 기호도
실시예 2 3.4 3.7 3.5
실시예 3 3.7 4.1 3.9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쿠키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쿠키에 비하여 부드럽고 촉촉하며 쫄깃한 식감을 내고 쑥부쟁이의 향긋한 향을 냄으로써 맛 및 향의 종합적인 기호도가 다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쑥부쟁이나물 및 아마란스 잎을 데친 물을 첨가한 쑥부쟁이쿠키 제조
1) 쑥부쟁이 쿠키 제조
본 출원인은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쑥부쟁이 쿠키를 제조하되, 황녹색의 색상을 내기 위해 상기 실시예 2의 ④의 과정에서 반죽시 아마란스 잎을 데친 황색물과 상기 실시예 3에서 삶은 쑥부쟁이를 찬물에 우린 녹색물을 혼합하여 쑥부쟁이 쿠키를 제조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사용된 아마란스에 대해 간략히 서술한다.
아마란스(Amaranth)는 비름과(Amaranthus spp. L)에 속하는 일년생 비름과 식물로 다른 곡류에 비해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고 주 지방산은 리놀렌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마란스는 씨앗의 색에 따라 잎과 꽃의 색깔 또한 달라지는 것이 특징으로 자주색, 주황색, 노란색, 보라색, 녹색 및 검정색 등이 있다. 주로 아마란스의 종자를 곡물로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싹을 틔운 잎을 요리에 사용하기도 하고, 화려한 색의 꽃은 관상용으로 재배되거나 염료 및 식용색소로도 활용된다.
2) 관능평가
상기 기재된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쿠키와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쿠키를 10~50대의 남녀 30명에게 쑥부쟁이 쿠키의 맛과 향 및 색의 종합적인 기호도에 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는 0~5점 척도를 사용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으며, 숫자가 클수록 양호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종합적인 기호도
실시예 2 3.4 3.7 3.6 3.5
실시예 4 3.6 3.9 4.0 3.8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쿠키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쿠키에 비하여 고소한 맛과 향긋한 향 및 황녹색의 색을 냄으로써 맛과 향 및 색의 종합적인 기호도가 다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쑥부쟁이분말을 이용한 쿠키는 간식용, 영양식으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생쑥부쟁이를 찬물에 씻는 단계;
    찬물에 씻은 생쑥부쟁이를 끓는 물에 넣고 소금을 첨가하여 저어주면서 생쑥부쟁이를 삶는 단계;
    삶아진 쑥부쟁이를 찬물에 담가 놓은 후 손으로 문질러 알싸한 맛을 우려내는 단계;
    찬물로 씻어낸 쑥부쟁이의 물기를 제거하고 건조기에 건조 시키는 단계; 건조된 쑥부쟁이를 분쇄기에 넣어 쑥부쟁이분말 만드는 단계;
    상기 만든 쑥부쟁이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믹싱볼에 밀가루 500~700g, 베이킹파우더 5~10g 및 베이킹소다 5~10g를 혼합하고 체에 내려 기초분말을 만드는 단계;
    쑥부쟁이분말 5~10g과 우유 150~250ml를 혼합하여 쑥부쟁이 우유액을 만드는 단계;
    믹싱볼에 액상 버터40~60g에 설탕 300~500g, 달걀 100~120g, 소금 2~7g 및 바닐라액 5~10ml을 넣고 거품이 날 때까지 저어 액상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쑥부쟁이 우유액 및 액상혼합물을 혼합하여 저은 다음 기초분말을 글루텐이 형성되지 않도록 섞어가면서 반죽하여 쿠키 반죽을 만드는 단계;
    상기 쿠키 반죽에 쑥부쟁이나물 및 아마란스 잎을 데친 물을 첨가하여 자주색, 주황색, 노란색, 보라색, 녹색 및 검정색 색상을 추가하는 단계; 및
    쿠키펜에 유산지를 깔고 메추리알 크기로 반죽을 떼어 놓은 다음 넓적하게 손바닥으로 눌러 아몬드, 땅콩, 호두 및 코코넛을 뿌려 160~165℃로 예열 된 오븐에 14~16분간 오븐에 굽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쑥부쟁이 쿠키.


KR1020160063269A 2016-05-24 2016-05-24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쑥부쟁이 쿠키 KR101959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269A KR101959220B1 (ko) 2016-05-24 2016-05-24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쑥부쟁이 쿠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269A KR101959220B1 (ko) 2016-05-24 2016-05-24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쑥부쟁이 쿠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926A KR20170132926A (ko) 2017-12-05
KR101959220B1 true KR101959220B1 (ko) 2019-03-19

Family

ID=6092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269A KR101959220B1 (ko) 2016-05-24 2016-05-24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쑥부쟁이 쿠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2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231B1 (ko) * 2018-03-19 2021-11-30 이명엽 산수유 쌀쿠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3233B1 (ko) * 2018-03-19 2021-11-30 이명엽 쑥부쟁이 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쌀쿠키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쑥부쟁이 쌀쿠키
KR101984125B1 (ko) 2018-12-21 2019-05-31 주식회사 해살이뜰 커피 메밀 쿠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커피 메밀 쿠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114A (ko) * 2013-02-27 2014-09-04 김정원 아마란스를 함유하는 저장성이 향상된 조성물, 식품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517899B1 (ko) * 2013-04-09 2015-05-06 유병혁 식방풍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쿠키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6287A (ko) 2014-08-04 2016-02-15 신용문 밀가루, 설탕 및 첨가제가 전혀 들어가지 않는 콩쿠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29341A (ko) 2014-09-05 2016-03-15 주식회사 카페리바노 자색 고구마 잎 분말의 항산화 활성을 이용한 쿠키 및 쿠키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7114호(2014.09.04.)*
부지갱이나물&시야가레, 네이버 블로그(2011.09.25.), [2018.06.11. 검색], 인터넷(URL:https://blog.naver.com/kakugo/60141803597)*
이정애, 쑥부쟁이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 한국조리학회지: 2015년 4월, 제21권, 제2호, pp 141~15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926A (ko)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330B1 (ko) 식용곤충을 포함하는 쌀 찐빵의 제조방법
KR20170036410A (ko) 호두과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호두과자
KR101959220B1 (ko)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쿠키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쑥부쟁이 쿠키
KR101255434B1 (ko) 즉석식 기능성 호떡
KR101591646B1 (ko) 연근 쿠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090533A (ko) 염생식물인 함초 첨가 숙성법을 이용한 기능성 빵, 과자류의 제법
KR101428858B1 (ko) 모시잎을 함유한 피자 도우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59228B1 (ko)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머핀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쑥부쟁이 머핀
KR102075481B1 (ko) 찹쌀가루를 이용한 한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과
KR101084542B1 (ko) 연을 이용한 삼색 한과의 제조방법
KR101332567B1 (ko) 모싯잎 분말을 함유하는 호두과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H01502476A (ja) サツマイモ、カサバ、食用アルム、アマランス、ヤマノイモ、ハスより製造される粉、パン、ミルクなどの製品類
KR102621015B1 (ko) 도토리 꽃가루를 함유하는 빵 및 그 제조방법
KR101850698B1 (ko) 고로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로케
CN105795343A (zh) 一种薄纸锅巴的生产方法
KR101393488B1 (ko) 진피반죽 제조방법 및 진피반죽으로 만든 진피쿠키와 진피빵
KR101963498B1 (ko) 파스타치오와 고구마 및 치즈 찐빵의 제조방법
KR101320370B1 (ko) 복분자를 포함하는 호떡 프리믹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2916B1 (ko) 백년초 호두 찐빵 및 그 제조방법
KR101590300B1 (ko) 수삼 전병 제조방법
KR101069505B1 (ko) 백년초 열매를 이용한 찰보리케이크 제조방법
KR20040072060A (ko) 단감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첨가한 식빵
KR20210030598A (ko) 채소와 우리밀을 원료로 한 건강 기능성 머핀 및 이의 제조 방법
Sunwar Effect of flaxseed on the physi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of muffin as egg replacer
JP2007189901A (ja) ビルベリーピューレによる小麦粉加工食品の着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