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048B1 - 차량용 경량강철 도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경량강철 도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048B1
KR101947048B1 KR1020147011567A KR20147011567A KR101947048B1 KR 101947048 B1 KR101947048 B1 KR 101947048B1 KR 1020147011567 A KR1020147011567 A KR 1020147011567A KR 20147011567 A KR20147011567 A KR 20147011567A KR 101947048 B1 KR101947048 B1 KR 101947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material
window
frame members
steel
inn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146A (ko
Inventor
폴 슐터
티모시 림
폴 돌란
하메드 샤리피
Original Assignee
아르셀로미탈 인베스티가시온 와이 데사롤로 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셀로미탈 인베스티가시온 와이 데사롤로 에스엘 filed Critical 아르셀로미탈 인베스티가시온 와이 데사롤로 에스엘
Publication of KR20140072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7/00Making railway appurtenances; Making vehicle parts
    • B21K7/12Making railway appurtenances; Making vehicle parts parts for locomotives or vehicles, e.g. frames, under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5/0483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ightweight metal, e.g. aluminum, magnes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9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diago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3Conceptual assembling of door, i.e. how door frame parts should be fitted together to form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16Structural member making
    • Y10T29/49622Vehicular structural member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도어조립체는 앞 및 뒤 수직빔들에 의해 상호연결된 상부 및 하부 수평빔들에 의해 필수적으로 형성된 내부패널과, 내부패널에 부착된 외부패널을 포함한다. 프레임부는 연속하는 외주를 형성하도록 상부 및 하부 중간 프레임부재들에 의해 서로 분리-불가능하게 부착된 대향하는 앞 및 뒤 U-형상 측면 프레임부재들을 포함한다. 측면 프레임부재들은 제1 강철재료로 만들어지고, 중간 프레임부재들은 제1 강철재료와는 다른 제2 강철재료로 만들어진다. 내부패널의 제조방법은 제1 강철재료의 U-형상 시트들을 제공하는 단계, 제2 강철재료의 위 및 아래 시트들을 제공하는 단계, 블랭크를 형성하도록 위 및 아래 시트들에 U-형상 시트들을 분리-불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 및 블랭크를 프레임부속으로 스탬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경량강철 도어 및 그 제조방법{LIGHTWEIGHT STEEL DOOR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 도어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상호연결된 고강도 강철 등급으로 만들어진 부품을 사용하는 경량 차량 도어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차량 도어들은 강철재로 만들어진 지지내부패널을 포함한다. 이 내부패널에 외부패널이 부착된다. 종래의 내부패널은 연강으로부터 깊이-타발된다. 창문 아래에 벨트라인 기둥이 내부패널에 용접되고 창문의 바깥쪽으로 또는 안쪽으로 어느 쪽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차량도어는 내부패널이 만들어진 강철보다 고려할만하게 더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강철로 만들어진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확장하고 있는 측면충격보호빔을 포함한다. 충격보호빔은 내부패널에 용접되고 외부패널에 아주 가깝게 배치된다. 비교적 평평한 트림이 내부패널에 체결된다. 잠금장치, 창문안내기, 및 창문승강장치와 같은 내부 도어 부품들은 내부패널에 설치된다.
또한, 강철시트가 자동차 도어를 위한 원재료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져 왔다. 강철도어들은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하다. 그러나, 종래의 강철도어 설계들은 새롭게 설계된 알루미늄 도어의 전체에 비교하여 비교적 무겁다. 따라서, 자동차산업에 있어서 강철도어를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도어로 대체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 알루미늄도어는 비록 종래의 강철도어보다 더 가볍지만, 강철도어보다 더 비싸고 제조가 더 복잡하고 더 어려우며 더 비용이 많이 든다.
그러므로, 강철로 만들어진 차량도어는 그들의 성과, 비용 및 무게를 개선시킬 수 있는 개량점들에 민감하다. 이러한 생각과 함께, 알루미늄도어의 무게에 비교될 수 있는 감량된 무게를 갖고, 개량된 성과, 및 제조비용이 저렴한 고강도 강철로 만들어진 향상된 차량도어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신규의 경량 차량도어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 조립체는 앞 및 뒤 수직빔들에 의해 상호연결된 상부 및 하부 수평빔들에 의해 필수적으로 형성된 연속하는 외주를 갖는 실질적으로 사각 프레임부의 형태인 내부패널, 및 내부패널에 부착된 외부패널을 포함한다. 프레임부는 연속하는 외주를 형성하도록 상부 및 하부 중간 프레임부재들에 의해 서로 분리-불가능하게 부착된 대향하는 앞 및 뒤 U-형상 측면 프레임부재들을 포함한다. 측면 프레임부재들은 제1 강철재료로 만들어지고 중간 프레임부재들은 제2 강철재료로 만들어진다. 측면 프레임부재들의 제1 강철재료는 중간 프레임부재들의 제2 강철재료와는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조립체의 내부패널의 제조방법은 앞 및 뒤 U-형상 강철시트들의 각각이 교차부분과 이 교차부분으로부터 확장하는 한 쌍의 떨어져 있는 다리부분들을 포함하도록 제1 강철재료의 앞 및 뒤 평탄한 U-형상 강철시트들을 제공하는 단계, 제2 강철재료의 위 및 아래 평탄한 강철시트들을 제공하는 단계, 평탄한 도어 외주프레임블랭크를 형성하도록 위 및 아래 강철시트들의 해당하는 것에 각 U-형상 강철시트들의 다리부분들의 각각을 분리-불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 그리고 도어 외주프레임블랭크를 내부패널의 외주프레임부 속으로 스탬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앞 및 뒤 평탄한 U-형상 강철시트들의 제1 강철재료는 위 및 아래 평탄한 강철시트들의 제2 강철재료와는 다르다. 또한, 프레임부는 연속하는 외주를 형성하도록 상부 및 하부 중간 프레임부재들에 의해 서로 분리-불가능하게 부착된 대향하는 앞 및 뒤 U-형상 측면 프레임부재들을 포함한다. 측면 프레임부재들은 제1 강철재료로 만들어지고 중간 프레임부재들은 측면침범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강도 및 두께가 더 높은 제2 강철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 및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은 강철해법에 있어서도 알루미늄 해법의 것으로 접근하는 중량감소를 제공하고, 요구되는 강도와 단단함을 유지하면서, 총 제조비용도 알루미늄 해법의 것보다 실질적으로 더 저렴하다. 본 발명은 효과적인 구조를 개발하기 위하여 하중경로 최대화(즉, 중요한 하중경로를 따라 구조적 요소들을 배치함)를 채용한다. 이것은 효과를 최대화하고 도어조립체의 모든 부품들이 함께 각각 도어의 구조적 강도, 단단함, 및 객실침범보호 수행목표들을 달성하는데 다수의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료들, 발열 및/또는 냉각 스탬핑, 및 레이저용접의 새로운 적용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도어조립체는 다수-조각 레이저용접된 블랭크로부터 발열 또는 냉각 스탬프된 프레임부, 및 이 프레임부에 분리-불가능하게 연결된 개별적으로 발열 또는 냉각 스탬프 된 중간 수직빔 및 거싯빔을 포함하는 내부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발열스탬핑설계는 벨트라인 영역에 강도 및 단단함을 제공하고, 이 영역에 부가적 보강의 필요를 제거한다. 유리창문 판유리의 밖에 배치되고 외부패널에 의해 지지된 내부패널의 보강과 함께, 이 독특한 도어 설계양식은 향상된 강도와 측면침범방지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우측 앞 도어 조립체의 측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우측 앞 도어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우측 앞 도어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우측 앞 도어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우측 앞 도어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우측 앞 도어 조립체의 구성요소들의 분리된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우측 앞 도어 조립체의 내부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내부패널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내부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패널의 프레임부를 스탬핑하기 위한 다-조각 레이저 용접된 블랭크의 측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다-조각 레이저 용접된 블랭크로부터 스탬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패널의 프레임부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단면선들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패널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선 1-1에 따라 절취된 도 6의 내부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선 2-2에 따라 절취된 도 6의 내부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선 3-3에 따라 절취된 도 6의 내부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선 4-4에 따라 절취된 도 6의 내부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선 5-5에 따라 절취된 도 6의 내부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0에 도시된 선 6-6에 따라 절취된 도 6의 내부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0에 도시된 선 7-7에 따라 절취된 도 6의 내부패널의 단면도이고; 및
도 18은 도 10에 도시된 선 8-8에 따라 절취된 도 6의 내부패널의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들은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하에서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들에 참조번호를 붙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그 방법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 참조번호는 전 도면을 통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을 가르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시적 실시예들 및 방법들과 관련하여 개시되고 도시된 설명을 위한 실시예들, 특정한 상세의 대표적 장치들 및 방법들에 한정되지 않고 더 넓은 관점에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시적 실시예들의 개시는 전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고려되는 것으로서,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된다.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관련 용어들, 예를 들면, "수평", "수직", "앞(앞)", "뒤", "상부", "하부", "윗면(상면)", 및 "하부면(기저)"은 물론 그들의 파생어(예를 들면, "수평으로", "아래로", "위로", 등등)는 그때 개시된 것으로서 또는 설명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그리고 차량몸체에 관련된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들 상대적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일반적으로 특정방향이 요구되는 의도는 아니다. "연결된" 및 "상호연결된" 것과 같은, 부착, 체결 등에 관한 용어는 구조물들이, 달리 표현되지 않는 한 이동가능하거나 고정된 부착 또는 관계는 물론, 직접 또는 중간구조물을 통해 간접적으로 서로 체결되거나 부착되는 관계를 말한다. 용어 "작동가능하게 연결된"은 그 관계에 의해서 의도된 바와 같이 작동하는 적절한 구조물을 허락하는 그러한 부착, 체결 또는 접속을 말한다. 부가적으로, 청구항들에 사용된 바와 같은 "a"라는 단어는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도 1, 2a, 3,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특히, 중간 크기 차량)의 우측 앞 도어 조립체(10)를 설명한다. 도어 조립체(10)는 내부패널(12), 내부패널(12)의 플랜지에 부착되고 지지된 외부패널(14), 내부표면(즉, 자동차의 손님 객실과 마주하는)에 부착되고 지지되며, 사전-조립된 도어 모듈 단위부재를 수용하는데 사용된 모듈 확장부(16), 내부패널(12)과 모듈 확장부(16) 사이에 배치된 내부 벨트라인 소자(또는 기둥)(15)(도 4 및 도 5 참조), 내부패널(12)의 전단(12F)에 체결된 힌지보강부재(18), 내부패널(12)과 모듈 확장부(16) 사이의 도어 조립체(10) 내부에 형성된 공동(11)의 안과 밖에서 집어넣을 수 있게 가동가능한 창문패널(21)을 위한 창문프레임(20)(도 3 참조), 및 앞창문 안내부재(26)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8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패널(12)은 연속하는 외주를 갖는 거의 사각 외주 프레임부(28), 단단함과 오일 피복 이행을 향상하기 위한 내부패널(12)을 뻣뻣하게 하고, 측면 침입 보호를 제공하며, 얇은-치수 외부패널(14)을 지지하는 외주 프레임부(28)에 분리가능하지 않게 체결된 단일 중간 수직빔(구조 소자)(38) 및 단일 앞-횡(또는 거싯(gusset)) 빔(구조 소자)(40)을 포함하는 세-조각 스탬프된 하위부품이다. 중간 수직빔(38) 및 거싯빔(40) 각각은 모자-형상 윤곽의 개구를 갖고 외주 프레임부(28)와는 별도로 형성된다. 외주 프레임부(28), 중간 수직빔(38) 및 거싯빔(40)은 그 다음 내부패널(12)을 형성하기 위하여, 용접,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용접과 같이, 서로에 대하야 분리가능하지 않게 결합된다. 내부패널(12)의 이 외주 프레임부(28)는 상부 및 하부 수평빔들(30 및 32)에 의해 없어서는 안 되게 각각 형성되고, 전방 및 후방 수직빔들(34 및 36)에 의해 각각 상호연결된다.
도 6 및 도 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간 수직빔(38)은 상부 및 하부 수평 빔들(30 및 32) 사이에서 내부패널(12)의 프레임부(28)의 대략 중간을 통해 거의 수직으로 확장하고 있는 한편, 앞-횡 빔(40)은 상부수평빔(30) 및 전방 수직빔(34) 사이를 지나도록 각이 져 있다. 거싯빔(40)은 전방 수직빔(34)(그리고 힌지보강부재(18)) 및 창문프레임(20) 아래의 상부수평빔(30) 사이에 버팀대로서 역할을 한다. 이것은 단단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어조립체(10)를 보강한다. 한편, 내부패널(12)은, 거싯빔(40) 없이, 단지 단일 중간 수직빔(38)만 포함해도 좋다. 내부패널(12) 및 거싯빔(40)과 함께 수직빔(38)은 측면충격침입에 저항하는 효과적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조립체(10)의 내부패널(12)은 전방 및 후방 수직빔들(구조 소자들)(34 및 36) 사이에 거의 수평으로 확장하고 있는 종래의 수평 침범 빔(또는 측면 충격보호 빔)이 전혀 없다. 벨트라인 빔들(즉, 상부수평 빔(30) 및 내부 벨트라인 빔(15))이 단단함을 제공한다.
도어조립체(10)의 내부패널(12)은 고급고강도강철(AHSS)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조립체(10)의 내부패널(12)의 제조방법이 이하에서 기술된다. 우선,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하는 외주를 갖는 거의 사각이고, 평탄한, 단일 도어 외주 프레임 블랭크(50)는 내부패널(12)의 다-조각 프레임부(28)를 제조하기 위하여 네 조각의 강철시트로부터 필수적으로 형성된다. 강철시트 조각들은, 제1 고급고강도강철 재료의, 앞 및 뒤의 평탄한 U-형상 강철시트들(52F 및 52R)의 두 대향하는 시트들을 각각 포함하고, 그리고 제2 고급고강도강철 재료의 두 대향하는 거의 사각 위 및 아래의 평탄한 강철시트들(54T 및 54B)을 각각 포함하며, 여기서 제2 고급고강도강철 재료는 제1 강철 재료와는 다르고 측면침범에 대한 저항의 개선을 위하여 더 강도가 높고 두껍다.
뒤이어, 단일의 레이저 용접된 블랭크(50)는 발열 스탬핑 또는 냉각 스탬핑에 의해 내부패널(12)의 외주프레임부(28) 속으로 스탬프되어 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주 프레임 블랭크(50)를 냉각-스탬핑 하는 경우에, 제1 강철재료는 0.60 mm의 두께(또는 치수)를 갖는 등급 DP 780 강철인 반면, 제2 강철 재료는 1.00 mm의 두께를 갖는 등급 MS 1300 마텐자이트 강철이다. 강철재료는 등급(따라서, 강도) 및 두께(또는 치수)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만약 외주 프레임 블랭크(50)에 성형성이 증가될 필요가 있다면 TRIP 강철 등급이 등급 DP 780 고-강도 강철 대신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외주 프레임 블랭크(50)를 발열-스탬핑 하는 경우에 사용된 제1 및 제2 강철재료의 특정등급은 냉각-스탬핑 때 사용된 것들과는 다르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2 강철재료는 제1 강철재료와는 다르고 더 높은 강도와 두께를 갖는다.
앞 및 뒤 U-형상 강철시트들(52F, 52R) 각각은 교차부분(52FC, 52RC) 및 이 교차부분(52FC, 52RC)으로부터 확장하고 있는 한 쌍의 일정간격 떨어진 다리부분들(52F1 및 52F2, 52R1 및 52R2)을 포함한다. 강철 블랭크(50)를 형성하기 위하여, 앞 및 뒤 평탄한 U-형상 강철시트들(52F 및 52R)은 다리부분들(52F1 및 52F2, 52R1 및 52R2)이 정렬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지향된다. 다음, 위 및 아래 강철시트들(54T 및 54B)은 그들과 함께 정렬되도록 U-형상 강철시트들(52F 및 52R)의 다리부분들(52F1 및 52F2, 52R1 및 52R2) 사이에 배치된다. 뒤이어, U-형상 강철시트들(52F 및 52R)의 다리부분들(52F1 및 52F2, 52R1 및 52R2)의 각각은 강철블랭크(50)를 형성하도록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어떤 적합한 수단에 의해 각 위 및 아래 강철시트들(54T 및 54B)에 그들의 자유 단부가 분리가능하지 않게 연결된다(즉,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U-형상 강철시트들(52F 및 52R)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서와 같이 위 및 아래 강철시트들(54T 및 54B)에 솔기-용접되고, 따라서 단일 레이저 용접된 블랭크(50)를 형성한다. 결과로서, 단일 블랭크(50)는 다른 강철재료들, 즉 다른 등급 및/또는 치수의 고급고강도강철을 포함한다. 특히, 앞 및 뒤 평탄한 U-형상 강철시트들(52F 및 52R)의 다리부분들(52F1 및 52R1)은 각각 레이저 용접 연결부들(531 및 533)을 통해 위 강철시트(54T)의 말단에 솔기-용접되고, 한편 앞 및 뒤 평탄한 U-형상 강철시트들(52F 및 52R)의 다리부분들(52F2 및 52R2)은 각각 레이저 용접 연결부들(532 및 534)을 통해 아래 강철시트(54B)의 말단에 솔기-용접된다.
뒤이어, 단일 레이저 용접된 블랭크(50)는 발열-스탬핑 또는 냉각-스탬핑에 의해 내부패널(12)의 외주프레임부(28) 속으로 스탬프된다. 발열-스탬핑의 경우에 있어서, 평탄한 강철블랭크(50)는 우선 가열되고, 그 다음 프레임부(28)의 요구되는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형성연장 속으로 넣어지며, 그 다음 발열-스탬프된 프레임부(28)는 그것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급속 냉각되도록 연장 내에 남는다.
내부패널(12)의 스탬프된 프레임부(28)는, 도 9B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속되는 외주를 형성하도록, 서로 떨어져서, 상부 및 하부 중간 프레임부재(283 및 284)(위 및 아래 강철시트들(54T 및 54B)로부터 스탬프된)에 의해 서로 분리-불가능하게 고정된 앞 및 뒤 대향 U-형상 측면 부재들(281 및 282)(앞 및 뒤 평탄한 U-형상 강철시트들(52F 및 52R)로부터 스탬프된)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앞 및 뒤 측면프레임부재(281 및 282)의 다리부들은 레이저 용접 연결부(531, 532, 533 및 534)를 통해 상부 및 하부 중간 프레임부재(283 및 284)의 말단부에 솔기-용접된다. 따라서, 내부패널(12)의 프레임부(28)는 상부 및 하부 중간 프레임부재(283 및 284)에 의해 상호연결된 앞 및 뒤 대향 U-형상 측면 프레임부재들(281 및 282)에 의해 완전하게 형성된다.
또한,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주 프레임 블랭크(50)의 냉각-스탬핑의 경우에 있어서, 프레임부(28)의 측면 프레임부재들(281 및 282)은 0.60 mm의 두께를 갖는 DP 780 등급 강철로 만들어지는 한편, 상부 및 하부 중간 프레임부재(283 및 284)는 1.00 mm의 두께를 갖는 MS 1300 등급 마텐자이트 강철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측면 프레임부재들(281 및 282)의 강철재료는 상부 및 하부 중간 프레임부재(283 및 284)의 강철재료들과는 다르다(즉, 다른 등급 및/또는 치수를 갖는다).
다음, 중간 수직빔(38) 및 거싯빔(40) 각각은 프레임부(28)로부터 그리고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발열-스탬핑 또는 냉각-스탬핑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수직빔(38) 및 거싯빔(40) 각각은 단일-조각 발열 또는 냉각 스탬프된 부재이다. 중간 수직빔(38)은, 측면 프레임부재들(281 및 282)의 제1 강철재료 및 중간 프레임부재(283 및 284)의 제2 강철재료들과는 다른, 0.60 mm의 두께를 갖는 USIBOR® 1500P와 같은, 제3 강철재료의 고강도강철블랭크의 평편하고 매우 얇은 치수 시트로부터 스탬프된다. 유사하게, 거싯빔(40)도, 측면 프레임부재들(281 및 282)의 제1 강철재료 및 중간 프레임부재(283 및 284)의 제2 강철재료들과는 다른, 0.60 mm의 두께를 갖는 USIBOR® 1500P와 같은, 제4 강철재료의 고강도강철블랭크의 평편하고 매우 얇은 치수 시트로부터 스탬프된다.
현재, 발열 스탬프된 강철부분의 최소두께는 약 0.90 mm이다. USIBOR® 1500P는, 고강도가 요구될 때 자주 사용되는, 아르셀로미탈(ArcelorMittal)로부터 Al-Si 코팅으로 코팅된 경화성 붕소합금강철이다. 알루미늄-실리콘 코팅은 가열 동안 강철의 산화를 방지하고 부품의 부식보호를 제공한다. 발열-스탬핑 공정의 경우에 있어서, 제조는 가열된(900℃) 강철블랭크가 형성되고 그 다음 급속히 물-냉각 형성연장 내에서 실온으로 냉각(담금질)되는 프레스 담금질 라인에서 행하여 진다. 결과는 약 1100 MPa 항복강도 및 약 1500 MPa의 최대강도를 갖는 경화된 부분을 얻는다.
최종적으로, 프레임부(28), 중간 수직빔(38) 및 거싯빔(4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파트 내부패널(12)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탬핑 후 함께 분리-불가능하게 접합된다(용접되고,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용접된다).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수직빔(38)은 중간 수직빔(38)의 말단부가 상부 및 하부 중간 프레임부재(283 및 284)에 분리-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내부패널(12)의 외주프레임부(28)의 대략 중간을 통해 상부 및 하부 수평 빔들(30 및 32) 사이에 실질직으로 수직으로 확장하고 있다. 따라서, 중간 수직빔(38)은 프레임부(28)의 더 두꺼운 부분들 사이에서 확장하고 있다. 한편, 거싯빔(40)은 거싯빔(40)의 말단부가 프레임부(28)의 상부 중간 프레임부재(283) 및 앞 측면 프레임부재(281)에 분리-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부 수평 빔(30) 및 앞 수직빔(34) 사이에 확장하고 있다.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간 수직빔(38) 및 거싯빔(40) 각각은 프레임부(28)로부터 그리고 서로로부터 개별적으로 발열-스탬핑 또는 냉각-스탬핑된다. 한편, 내부패널(12)은 단일-조각 발열- 또는 냉각-스탬프된 부재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간 수직빔(38) 및 거싯빔(40)은 내부패널(12) 내에 세 개의 개구들(42, 44, 46)을 형성한다. 이 개구들(42, 44, 46)은 중간 수직빔(38) 및 거싯빔(40)에 의해 사각 프레임부(28)(수평빔들(30, 32) 및 수직빔들(34, 36)에 의해 형성된) 내에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1개구(42)는 상부 및 하부 수평 빔들(30 및 32), 뒤 수직빔(36) 그리고 중간 수직빔(38) 사이에 형성된다. 제2개구(44)는 거싯빔(40), 앞 수직빔(34), 하부 수평빔(32) 그리고 중간 수직빔(38) 사이에 형성된다. 제3개구(46)는 상부 수평빔(30), 거싯빔(40) 및 앞 수직빔(34) 사이에 형성된다. 한편, 거싯빔(40) 및 개구(46)는 제공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 도 12 내지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28)의 하부 수평빔(32), 앞 수직빔(34) 및 뒤 수직빔(36)은 각각 왕관부(33c, 35c, 및 37c)와 함께 하나의 개방된 모자-형상 윤곽, 및 왕관부로부터 차량의 내부(즉, 탑승객 칸)로부터 도어 조립체(10)의 외부패널(14)을 향하는 방향으로 확장하는 각각 한 쌍의 서로 떨어진 플랜지들(33F, 35F 및 37F)을 갖는다. 또한, 플랜지들(33F, 35F 및 37F) 각각은 그것의 말단부로부터 확장하는 립(lip)(33L, 35L 및 37L)이 제공된다. 이 립(33L, 35L 및 37L) 각각은 외부패널(14)의 내부표면과 만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다.
도 6-8, 10 및 18에 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수평빔(30)은 주부분(31M) 및 차량의 내부(즉, 탑승자 객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도어 조립체(10)의 외부패널(14)을 향하여 이 주부분(31M)으로부터 확장하는 플랜지(31F)를 포함한다. 이 플랜지(31F)는 그것의 말단부로부터 확장하는 립(31L)이 제공된다. 이 립들(31L)의 각각은 외부패널(14)의 내부표면과 만나기 위한 형상을 갖는다. 주부분(31M)은 프레임부(28)의 하부 수평빔(32), 앞 수직빔(34) 및 뒤 수직빔(36)의 왕관부(33c, 35c, 및 37c)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확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 11 및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수직빔(38) 및 거싯빔(40) 모두는 각각이 왕관부(39c 및 41c)를 각각 갖는 하나의 개방된 모자-형상 윤곽, 및 차량의 내부(즉, 탑승객 칸)로부터 달아나는 방향으로 그리고 도어 조립체(10)의 외부패널(14)을 향하여 왕관부(39c 및 41c)로부터 확장하는 각각 한 쌍의 서로 떨어진 플랜지들(39F 및 41F)을 갖는다. 또한, 플랜지들(39F 및 41F) 각각은 그것의 말단부로부터 확장하는 립(39L 및 41L)이 각각 제공된다. 이 립(39L 및 41L) 각각은 외부패널(14)의 내부표면과 만나는(접하는) 형상을 갖는다.
내부패널(12)의 전단부(12F)는 도어 조립체(10)가 힌지보강부재(18)를 통한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재에 의해 자동차 몸체의 앞힌지기둥(A-기둥)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내부패널(12)의 단부이다. 바람직하게는, 내부패널(12)은 두 힌지들에 의해 차량몸체의 앞힌지기둥(A-기둥)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그리고 내부패널(12)의 전단부(12F)에 용접된 통합된 힌지보강부재(18)를 갖는다. 내부패널(12)의 후단부(12R)는 도어 조립체(10)의 잠금장치가 자동차 몸체의 중간-기둥(B-기둥)과 협력하도록 제공되는 내부패널(12)의 단부이다.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보강부재(18)는 내부패널(12)의 전단부(12F)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힌지보강부재(1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통합적으로 고정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강도 강철시트의 세 개의 별도 조각들의 레이저 용접된 블랭크로부터 형성되는데: 주조각(181)은 0.60 mm의 두께를 갖는 DP 600과 같은 복합조직강으로 만들어지고 두 개의 수직으로 떨어진 보조조각들(182)은 각각 1.50 mm의 두께를 갖는 DP 980과 같은 복합조직강으로 만들어진다. 힌지보강부재(18)의 보조조각들(182) 각각은 3.50 mm의 두께를 갖는 DP 600과 같은 복합조직강으로 만들어진 두 와셔들(183)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힌지보강부재(18)는 다른 등급 및 치수의 강철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즉, 이 힌지보강부재(18)는 주강철조각(181) 및 단일 레이저 용접된 블랭크로 함께 솔기-용접된 두 보조강철조각들(182)을 포함하는 레이저 용접된 블랭크로부터 형성되고, 이것은 그 다음 다른 등급(또는 형태) 및 다른 두께의 강철을 포함하는 최종부분(힌지보강부재(18))으로 스탬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패널(14)은 내부패널(12)의 플랜지들(31F, 33F, 35F, 37F, 39F 및 41F)의 립들(31L, 33L, 35L, 37L, 39L 및 41L)에 끈끈하게 접착되고, 프레임부(28), 그리고 중간 수직 및 거싯빔(38 및 40)의 하부 수평빔(32), 앞 수직빔(34) 및 뒤 수직빔(36)의 모자-형상부를 폐쇄하며, 그리고 더 강하고 단단한 내부구조를 형성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접착제의 비드들(17)은 내부패널(12)의 립들(31L, 33L, 35L, 37L, 39L 및 41L) 및 외부패널(14) 사이에 증착된다. 이것은 외부패널(14)이 측면침범사건 동안 내부패널(12)의 플랜지들(31F, 33F, 35F, 37F, 39F 및 41F)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측면침범으로부터 도어 조립체(10)의 저항을 향상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제의 비드들(17)은 내부패널(12)의 립들(31L, 33L, 35L, 37L, 39L 및 41L)과 맞닿도록 외부패널(14)의 내부표면에 증착된다. 한편, 접착제의 비드들(17)은 내부패널(12)의 립들(31L, 33L, 35L, 37L, 39L 및 41L)에 직접 증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패널(12)에 외부패널(14)을 접착하는데 사용된 접착제는 외부패널(14)의 바깥 상에 "리드-스루(read-through)"효과를 끼치는 일 없이 내부패널(12)과 외부패널(14)을 접합하는데 충분한 결합강도를 갖는 구조적 접착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패널(14)은, 약 0.55 mm의 두께를 갖는, 아르셀로미탈(ArcelorMittal)의 노출된 품질의 복합조직 FF280DP 강철과 같은, 강철시트로 형성된다. 경량 얇은 치수 고강도 강철 외부패널(14)은 찌그러짐에 대한 저항의 타협이 없는 종래의 더 낮은 강도와 더 무거운 치수의 설계에 비해 차량도어의 중량을 감소시킨다. 0.55 mm FF280DP 등급 고-강도 강철로 만들어진 경량 외부패널(14)은 최소량에서 요구되는 찌그러짐 저항을 유지한다. 내부패널(12)에 구조적으로 접착된 외부패널(14)은 외부패널(14)이 이행 요구를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패널(12)과 상승작용하여 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확장부(16)는 0.50 mm의 두께를 갖는 DP500 등급과 같은 복합조직강으로, 또는 적절한 등급 및 치수의 강철로 형성된다. 내부벨트라인 빔(15)은 내부패널(12)의 상부 수평빔(30)과 모듈 확장부(16) 사이에 고정되고, 약 0.50 mm의 두께를 갖는 USIBOR® 1500P와 같은 발열-스탬핑된 고강도 강철로, 또는 다른 적절한 등급 및 치수의 강철로 형성된다. 벨트라인 내부 브라켓(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0.55 mm의 두께를 갖는 DP500 강철등급으로 만들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프레임(20)은 외부창문프레임부재(22) 및 차량의 탑승자 실과 마주하는 내부창문프레임부재(24)를 포함한다. 내외부창문프레임부재들(22 및 24)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또는 스폿 용접에 의해, 서로 그리고 내부패널(12)에 용접된다. 내외부창문프레임부재들(22 및 24)은, 창문프레임(20)의 내외부창문프레임부재들(22 및 24) 사이에 엇갈림식으로 용접된 레이저 용접 연결부와 함께, 필수적인 다수-조각 레이저 용접 블랭크들로부터 냉각- 또는 발열-스탬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내외부창문프레임부재들(22 및 24)은 롤(roll)-형성되어 져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창문프레임부재(22)는, 도 4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별개 조각들(221, 222 및 223)로 만들어지고, 이것은 레이저 용접 연결부(231 및 232)를 통한 레이저 용접에 의해서와 같이 서로 필수적으로 고정된다. 외부창문프레임부재(22)는 우선 서로 다른 제1, 제2 및 제3 외부창문 강철 재료들로 만들어진 제1, 제2 및 제3 평탄한 시트들을 각각 제공하면서 제조된다. 그 다음, 제1, 제2 및 제3 평탄한 시트들은 단일의 외부창문블랭크를 형성하도록 서로 분리-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그 다음, 외부창문블랭크는 단일의 외부창문프레임부재(22) 속으로 스탬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창문프레임부재(22)의 제1조각(221)은 0.50 mm의 두께를 갖는 BH210 등급강철(제1외부창문강철재료)로 만들어지고, 제2조각(222)은 0.55 mm의 두께를 갖는 DP500 등급강철(제2외부창문강철재료)로 만들어지며, 제3조각(223)(미러 플래그부)은 0.50 mm의 두께를 갖는 USIBOR® 1500P 등급강철(제3외부창문강철재료)로 만들어진다. 한편, 다른 적절한 등급 및 치수의 강철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창문프레임부재(24)는, 도 4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별개 조각들(241 및 242)로 만들어지고, 이것은 레이저 용접 연결부(25)를 통한 레이저 용접에 의해서와 같이 서로 필수적으로 고정된다. 내부창문프레임부재(24)는 우선 제1 및 제2 내부창문 강철 재료들로 만들어진 제1 및 제2 평탄한 시트들을 각각 제공하면서 제조된다. 그 다음, 제1 및 제2 평탄한 시트들은 단일의 내부창문블랭크를 형성하도록 서로 분리-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그 다음, 내부창문블랭크는 단일의 내부창문프레임부재 속으로 스탬프된다. 제1 및 제2 내부창문 강철재료는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창문프레임부재(24)의 제1조각(241)은 0.58 mm의 두께를 갖는 DP500 등급강철(제1내부창문강철재료)로 만들어지고, 제2조각(242)(미러 플래그부를 포함하는)은 0.76 mm의 두께를 갖는 복합조직 DP600 강철(제2내부창문강철재료)로 만들어진다. 한편, 다른 적절한 등급 및 치수의 강철이 사용될 수도 있다.
앞창문 안내부(26), 통상적으로 단지 유리고정을 위하여 사용된 부가물부품은, 미러 플래그에 대한 강도 및 상부창문프레임구조에 대한 강도를 제공하면서, 하나의 구성소자로서 현재의 설계에 이용된다. 또한, 앞창문 안내부(26)는 창문프레임(20)의 미러 플래그 영역을 강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앞창문 안내부(26)는 0.80 mm의 두께를 갖는 Drawing Quality Special Killed Steel DQSK(또는 다른 적절한 등급 및 치수의 강철)로 만들어진다. 창문안내 브라켓(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0.50 mm의 두께를 갖는 DP780 등급강철로 만들어진다.
도 2a,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패널(12)의 뒤 수직빔(36)은 내부창문프레임부재(24)와 접촉하는 깊은당김부(29)가 제공된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은당김부(29')는 더 용이한 제조와 더 좋은 구조적 이행을 위하여 창문프레임(20)의 내부창문프레임부재(24) 속으로 통합될 수 있다(즉, 내부창문프레임부재(24)와 단일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최대로 적합한 하중경로를 만듦에 의해 그리고 도어 조립체 내의 모든 부품이 다중 강도 및 굳은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함에 의해 새로운 차량용 경량강철 도어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조립체는 강철해법에 있어서도 알루미늄 해법의 것으로 접근하는 중량 감소를 제공하고, 요구되는 강도와 단단함을 유지하면서, 총제조비용도 알루미늄 해법의 것보다 실질적으로 더 저렴하다. 본 발명은 효과적인 구조를 개발하기 위하여 하중경로 최대화(즉, 중요한 하중경로를 따라 구조적 요소들을 배치함)를 채용한다. 이것은 효과를 최대화하고 도어조립체의 모든 부품들이 함께 각각 도어의 구조적 강도, 단단함, 및 객실침범 보호 수행목표들을 달성하는데 다수의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료들, 발열 및/또는 냉각 스탬핑, 및 레이저용접의 새로운 적용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도어조립체는 다수-조각 레이저용접된 블랭크로부터 발열 또는 냉각 스탬프된 프레임부, 및 이 프레임부에 분리-불가능하게 연결된 개별적으로 발열 또는 냉각 스탬프된 중간 수직빔 및 거싯빔을 포함하는 내부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발열스탬핑설계는 벨트라인 영역에 강도 및 단단함을 제공하고, 이 영역에 부가적 보강의 필요를 제거한다. 유리창문 판유리의 밖에 배치되고 외부패널에 의해 지지된 내부패널의 보강과 함께, 이 독특한 도어 설계양식은 향상된 강도와 측면침범방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한 설명은 특허법의 규정에 따른 설명의 목적을 위하여 개시되었다.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본 발명을 한정하거나 제한할 의도는 없다. 상기 기술의 관점에서 얼마든지 명백한 변경 또는 치환 등이 가능하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선택되었고,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개시된 원리를 따르는 한 다양한 변경들 및 다양한 실시예들의 실질적 응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상술한 기재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10: 도어조립체 12: 내부패널
14: 외부패널 18: 힌지보강부재
20: 창문프레임 28: 외주 프레임부
30: 상부 수평빔 32: 하부 수평빔
38: 중간 수직빔 40: 거싯빔
50: 외주 프레임 블랭크

Claims (35)

  1. 차량 도어조립체에 있어서,
    앞 및 뒤 수직빔들에 의해 상호연결된 상부 및 하부 수평빔들에 의해 필수적으로 형성된 연속하는 외주를 갖는 실질적으로 사각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연속하는 외주를 형성하도록 상부 및 하부 중간 프레임부재들에 의해 서로 분리-불가능하게 부착된 대향하는 앞 및 뒤 U-형상 측면 프레임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상부 및 하부 수평빔들 사이에 확장하고 있는 단일 중간 수직빔; 및
    상기 앞 U-형상 측면프레임부재 및 상기 상부 중간 프레임부재 사이를 지나도록 기울여진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에 분리-불가능하게 체결 단일 거싯빔을 포함하는 내부패널; 및
    상기 내부패널에 부착된 외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부재들은 제1 강철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은 제2 강철재료로 만들어지며;
    상기 측면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1 강철재료는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2 강철재료와는 다르고;
    상기 중간 수직빔은 그것의 말단부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에 분리-불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중간 수직빔은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2 강철재료와는 다른 제3 강철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거싯빔은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2 강철재료와는 다른 제4 강철재료로 만들어지는 차량도어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2 강철재료는 상기 측면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1 강철재료보다 더 두꺼운 차량도어 조립체.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1 강철재료는 상기 중간 수직빔의 상기 제3 강철재료와는 다른 차량도어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2 강철재료는 상기 측면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1 강철재료보다 그리고 상기 중간 수직빔의 상기 제3 강철재료보다 더 두꺼운 차량도어조립체.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1 강철재료는 상기 거싯빔의 상기 제4 강철재료와는 다른 차량도어 조립체.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수직빔의 상기 제3 강철재료는 상기 거싯빔의 상기 제4 강철재료와 동일한 차량도어 조립체.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2 강철재료는 상기 측면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1 강철재료보다, 상기 중간 수직빔의 상기 제3 강철재료보다, 그리고 상기 거싯빔의 상기 제4 강철재료보다 더 두꺼운 차량도어 조립체.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패널이 상기 외부패널 및 모듈 확장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내부패널에 부착된 모듈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도어 조립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확장부 및 상기 내부패널 사이에 배치된 집어넣을 수 있는 창문 판유리를 더 포함하는 차량도어 조립체.
  12.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내부패널에 고정된 외부창문프레임부재 및 내부창문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창문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차량도어 조립체.
  13. 차량도어 조립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사각 프레임부의 형태인 내부패널;
    상기 내부패널에 부착된 외부패널; 및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내부패널에 고정된 외부창문프레임부재 및 내부창문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창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연속하는 외주를 형성하도록 상부 및 하부 중간 프레임부재들에 의해 서로 분리-불가능하게 부착된 대향하는 앞 및 뒤 U-형상 측면 프레임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부재들은 제1 강철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은 제2 강철재료로 만들어지며;
    상기 측면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1 강철재료는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2 강철재료와는 다르고;
    상기 외부창문프레임부재는 서로 필수적으로 고정된 제1, 제2, 및 제3 외부창문조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외부창문조각은 상기 제1 외부창문조각 및 상기 제3 외부창문조각 사이에 배치되고 필수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 외부창문조각은 제1 외부창문 강철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2 외부창문조각은 제2 외부창문 강철재료로 만들어지며, 그리고 상기 제3 외부창문조각은 제3 외부창문 강철재료으로 만들어지고;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 외부창문 강철재료들은 서로 다른 차량도어 조립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창문 강철재료는 상기 제1 외부창문 강철재료 및 상기 제3 외부창문 강철재료 둘보다 더 두꺼운 차량도어 조립체.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창문프레임부재는 서로 필수적으로 고정된 제1 및 제2 내부창문조각들로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 내부창문조각은 상기 제1 내부창문 강철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2 내부창문조각은 제2 내부창문 강철재료로 만들어지며; 그리고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창문 강철재료들은 서로 다른 차량도어 조립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창문 강철재료는 상기 제1 내부창문 강철재료보다 더 두꺼운 차량도어 조립체.
  17. 앞 및 뒤 수직빔들에 의해 상호연결된 상부 및 하부 수평빔들에 의해 필수적으로 형성된 연속하는 외주를 갖는 실질적으로 사각 프레임부의 형태인 내부패널을 포함하는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각이 교차부분과 상기 교차부분으로부터 확장하는 한 쌍의 떨어져 있는 다리부분들을 포함하는, 제1 강철재료의 앞 및 뒤 평탄한 U-형상 강철시트들을 제공하고;
    제2 강철재료의 위 및 아래 평탄한 강철시트들을 제공하고;
    평탄한 도어프레임블랭크를 형성하도록 상기 위 및 아래 강철시트들의 해당하는 것에 상기 각 U-형상 강철시트들의 상기 다리부분들의 각각을 분리-불가능하게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블랭크를 상기 내부패널의 상기 프레임부로 스탬핑하고;
    상기 앞 및 뒤 평탄한 U-형상 강철시트들의 상기 제1 강철재료는 상기 위 및 아래 평탄한 강철시트들의 상기 제2 강철재료와는 다르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연속하는 외주를 형성하도록 상부 및 하부 중간 프레임부재들에 의해 서로 분리-불가능하게 부착된 대향하는 앞 및 뒤 U-형상 측면 프레임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부재들은 상기 제1 강철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은 상기 제2 강철재료로 만들어지는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2 강철재료는 상기 측면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1 강철재료보다 더 두꺼운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19.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2 강철재료와는 다른 제3 강철재료의 강철블랭크의 평탄한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강철블랭크의 평탄한 시트를 단일 중간 수직빔 속으로 스탬핑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수직빔을 그것의 말단부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에 분리-불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1 강철재료는 상기 중간 수직빔의 상기 제3 강철재료와는 다른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2 강철재료는 상기 측면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1 강철재료보다 그리고 상기 중간 수직빔의 상기 제3 강철재료보다 더 두꺼운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2 강철재료와는 다른 제4 강철재료의 강철블랭크의 평탄한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강철블랭크의 평탄한 시트를 단일 거싯빔 속으로 스탬핑하는 단계; 및
    상기 거싯빔을 그것의 말단부에서 상기 앞 U-형상 측면 프레임부재 및 상기 상부 중간 프레임부재에 분리-불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1 강철재료는 상기 거싯빔의 상기 제4 강철재료와는 다른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수직빔의 상기 제3 강철재료는 상기 거싯빔의 상기 제4 강철재료와 동일한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2 강철재료는 상기 측면 프레임부재들의 상기 제1 강철재료보다, 상기 중간 수직빔의 상기 제3 강철재료보다 그리고 상기 거싯빔의 상기 제4 강철재료보다 더 두꺼운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26. 제 17항에 있어서, 외부도어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도어패널을 상기 내부패널에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모듈 확장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듈 확장부를 상기 내부패널이 상기 외부도어패널과 상기 모듈 확장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내부패널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창문 판유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창문 판유리를 상기 모듈 확장부와 상기 내부패널 사이에 집어넣을 수 있게 탑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단일 외부창문프레임부재 및 단일 내부창문프레임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창문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창문프레임부재 및 상기 내부창문프레임부재를 서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창문프레임을 상기 내부패널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제2 및 제3 외부창문 강철재료들로 각각 만들어진 제1, 제2 및 제3 평탄한 시트들을 제공하는 단계;
    단일의 외부창문블랭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제2 및 제3 평탄한 시트들을 서로 분리-불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창문블랭크를 상기 단일의 외부창문프레임부재 속으로 스탬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외부창문 강철재료들은 서로 다른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창문 강철재료는 상기 제1 외부창문 강철재료 및 상기 제3 외부창문 강철재료 둘보다 더 두꺼운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32. 제 30항 또는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및 제2 내부창문 강철재료들로 각각 만들어진 제1 및 제2 평탄한 시트들을 제공하는 단계;
    단일의 내부창문블랭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평탄한 시트들을 서로 분리-불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창문블랭크를 상기 단일의 내부창문프레임부재 속으로 스탬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내부창문 강철재료들은 서로 다른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창문 강철재료는 상기 제1 내부창문 강철재료보다 더 두꺼운 차량도어조립체의 제조방법.
  3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패널과 상기 내부패널 사이에 배치된 접착물질의 비즈(beads)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조립체.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수평빔들 및 상기 앞 및 뒤 수직빔들의 각각은 왕관부를 갖는 개구형상과 상기 도어 조립체의 상기 외부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왕관부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수평빔들 및 상기 앞 및 뒤 수직빔들의 상기 플랜지들의 각각은 그들의 말단부로부터 확장하는 립(lip)이 구비되며; 상기 접착물질의 비즈는 상기 외부패널의 내표면과 상기 내부패널의 상기 립들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도어 조립체.


KR1020147011567A 2011-09-30 2012-10-01 차량용 경량강철 도어 및 그 제조방법 KR101947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41568P 2011-09-30 2011-09-30
US61/541,568 2011-09-30
PCT/US2012/058272 WO2013049801A1 (en) 2011-09-30 2012-10-01 Lightweight steel door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146A KR20140072146A (ko) 2014-06-12
KR101947048B1 true KR101947048B1 (ko) 2019-02-12

Family

ID=4702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567A KR101947048B1 (ko) 2011-09-30 2012-10-01 차량용 경량강철 도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8910999B2 (ko)
EP (1) EP2760687B1 (ko)
JP (1) JP6068480B2 (ko)
KR (1) KR101947048B1 (ko)
CN (1) CN104066606B (ko)
BR (1) BR112014007461B1 (ko)
CA (1) CA2850012C (ko)
ES (1) ES2638141T3 (ko)
HU (1) HUE036293T2 (ko)
IN (1) IN2014DN03400A (ko)
MX (1) MX344713B (ko)
PL (1) PL2760687T3 (ko)
RU (1) RU2598114C2 (ko)
UA (1) UA112663C2 (ko)
WO (1) WO2013049801A1 (ko)
ZA (1) ZA2014030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5496B1 (fr) * 2008-03-10 2015-02-06 Plastic Omnium Cie Ensemble d'un panneau d'ouvrant et d'elements de renfort.
US8787570B2 (en) 2011-08-31 2014-07-22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genenrating top level index files
UA112663C2 (uk) 2011-09-30 2016-10-10 Арселормітталь Інвестігасіон І Десаррольо, С.Л. Легкі сталеві двері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засобу і спосіб для їх виготовлення
DE102011056233A1 (de) * 2011-12-09 2013-06-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Trägerbauteil für einen Kraftfahrzeug-Fensterheber mit Versteifungsstruktur
DE102013001028A1 (de) * 2013-01-23 2014-07-24 Daimler Ag Zwischenschale für eine Kraftfahrzeugtü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Zwischenschale und Tür für ein Kraftfahrzeug
US10335890B2 (en) * 2013-06-25 2019-07-02 Honda Motor Co., Ltd. Seam welding method and vehicle body
US20150000086A1 (en) * 2013-06-28 2015-0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substrate having a pocket for isolating a fastener
CA2930313C (en) 2013-11-25 2022-05-31 Magna International Inc. Structural component including a tempered transition zone
US9809093B2 (en) * 2013-12-04 2017-11-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ner vehicle door panel including impact beam
CA2926914A1 (en) 2013-12-20 2015-06-25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Resistance spot welding method
JP2015202513A (ja) * 2014-04-15 2015-11-16 シロキ工業株式会社 金属板積層体のレーザ溶接方法、及び金属板積層体のレーザ溶接方法を用いた車両用ドアフレームの製造方法
ES2772801T3 (es) * 2014-06-30 2020-07-08 Nippon Steel Corp Viga de impacto de puerta
CN107074300B (zh) * 2014-09-22 2021-10-08 安赛乐米塔尔公司 车辆底部结构和车身
HUE042062T2 (hu) * 2014-09-22 2019-06-28 Arcelormittal Eljárás ajtó elõállítására
EP3197752B1 (en) * 2014-09-22 2018-12-19 Arcelormittal Methods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vehicle door frame inner reinforcement element, for producing a vehicle door frame and for producing a vehicle reinforcement structure
MX2017003759A (es) * 2014-09-22 2017-06-30 Arcelormittal Elemento de refuerzo para un vehiculo, metodo para producir el mismo y montaje de puerta.
DE102014117063A1 (de) * 2014-11-21 2016-05-2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
EP3243130B1 (en) 2015-01-06 2019-08-14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sharing content between devices
WO2016156896A1 (en) * 2015-03-31 2016-10-06 Arcelormittal Panel for vehicle comprising a coated steel sheet locally reinforced
KR102298866B1 (ko) * 2015-05-27 2021-09-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구조
USD779407S1 (en) * 2015-07-16 2017-02-21 Kia Motors Corporation Rear door panel for automobile
USD780082S1 (en) * 2015-07-17 2017-02-28 Kia Motors Corporation Front door panel for automobile
USD786763S1 (en) * 2015-10-30 2017-05-16 Hyundai Motor Company Rear door panel for automobiles
USD783483S1 (en) * 2015-10-30 2017-04-11 Hyundai Motor Company Front door panel for automobiles
JP6387982B2 (ja) * 2016-02-19 2018-09-1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構造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JP6413152B2 (ja) * 2016-02-25 2018-10-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ドア構造
US9758027B1 (en) * 2016-03-10 2017-09-12 Honda Motor Co., Ltd. Vehicle door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US9902243B1 (en) 2016-08-24 2018-0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onroof ring
JP7020755B2 (ja) * 2016-09-09 2022-02-16 テイジン オートモーティブ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ート成形化合物-樹脂トランスファ成形組立体によって形成された複合車両ドアコンポーネント
JP6764293B2 (ja) * 2016-09-26 2020-09-30 株式会社Subaru 車両用ドア
JP6764294B2 (ja) * 2016-09-26 2020-09-30 株式会社Subaru 車両用ドア
US20190039442A1 (en) * 2016-12-30 2019-02-07 Advanced Comfort Systems France Sas - Acs France Motor vehicle door, structural unit, glazed unit, corresponding manufacturing method and vehicle
JP7124302B2 (ja) * 2017-11-30 2022-08-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ドア
KR102109428B1 (ko) * 2018-12-06 2020-05-1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알루미늄 도어 조립용 지그장치
KR20210016990A (ko) * 2019-08-06 2021-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래그 타입 사이드 미러의 장착 구조 및 장착 방법
JP7443944B2 (ja) * 2020-06-10 2024-03-0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イドドア構造
US11975598B2 (en) 2022-05-19 2024-05-07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door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1770A (ja) 1998-08-31 2000-03-07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
US20070102955A1 (en) 2001-02-09 2007-05-10 Hans Bodin Vehicle door and a method to make such a door
JP2010221971A (ja) 2009-03-25 2010-10-07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ドア構造
JP2011143892A (ja) 2010-01-18 2011-07-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開閉蓋構造及び車両用開閉蓋に用いるインナパネ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04746A1 (ko) * 1968-03-26 1969-11-28 Daimler Benz Ag
JPS61169316A (ja) 1985-01-21 1986-07-31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ドア
US4794735A (en) 1987-08-25 1989-01-03 Itt Corporation Intrusion beam assembly for modular vehicle door
US4800638A (en) 1987-08-25 1989-01-31 The Budd Company Method of mounting an outer skin to an inner panel of a vehicle door
KR970005779B1 (ko) 1989-03-03 1997-04-21 아우토모빌 뿌조 차체의 문짝
US5325632A (en) 1992-10-21 1994-07-05 The Budd Company Composite door assembly
US5536060A (en) 1995-02-17 1996-07-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inforced vehicle door
US5581947A (en) 1995-06-07 1996-12-10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door assembly
US5924760A (en) 1996-11-29 1999-07-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One-piece corrugated anti-intrusion barrier and method
FR2761933B1 (fr) 1997-04-15 1999-07-09 Rockwell Lvs Module de porte de vehicule a deux panneaux etanches
DE59813386D1 (de) * 1997-11-13 2006-04-20 Schade Gmbh & Co Kg Rohbautür eines Fahrzeugs
DE19829457A1 (de) * 1997-11-13 1999-05-20 Schade Gmbh & Co Kg Rohbautür eines Fahrzeugs
DE19804781A1 (de) * 1998-02-06 1999-08-19 Illbruck Automotive Internatio Türinnenelement
DE19843824A1 (de) * 1998-09-24 2000-03-30 Volkswagen Ag Verbund-Karosserieteile aus Stahl und Leichtmetallen
US6164716A (en) 1998-12-18 2000-12-26 Daimlerchrysler Corporation Energy dissipating body panel assembly
JP2001088553A (ja) * 1999-09-21 2001-04-03 Mazda Motor Corp 車両の側部車体構造
US6176542B1 (en) 1999-09-30 2001-01-23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door
DE10060632A1 (de) 2000-12-06 2002-07-04 Gerald Fellner Fahrzeugtür
JP2003072375A (ja) * 2001-09-04 2003-03-12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用サッシュドア及びそれの製造方法
RU2208527C2 (ru) * 2001-10-08 2003-07-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Дверь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7422652B2 (en) 2001-10-10 2008-09-09 Ford Motor Company Method of making a body panel assembly
JP2003252057A (ja) * 2002-02-27 2003-09-09 Mazda Motor Corp 車両のドア構造
US6550846B1 (en) 2002-06-05 2003-04-2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luminum automotive door assembly
SE523377C2 (sv) * 2002-08-08 2004-04-13 Ssab Hardtech Ab Fordon och fordonsdörr
SE523365C2 (sv) 2002-08-08 2004-04-13 Ssab Hardtech Ab Fordon
SE522423C2 (sv) 2002-08-08 2004-02-10 Ssab Hardtech Ab Fordonsdörr och sätt att tillverka sådan
US6805397B1 (en) 2003-04-30 2004-10-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door
JP2004352083A (ja) * 2003-05-29 2004-12-16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ドア構造
CN100469611C (zh) 2003-10-14 2009-03-18 英提尔汽车系统公司 机动车门体和门组件
WO2005084247A2 (en) 2004-02-27 2005-09-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Mixed metal closure assembly and method
SE0400602L (sv) 2004-03-11 2005-06-07 Ssab Hardtech Ab Bärande del av fordonsdörr
JP2005335412A (ja) * 2004-05-24 2005-12-08 Hirotec Corp 車両用スライドドア
DE102005011076A1 (de) * 2005-03-08 2006-09-14 Acts Advanced Car Technology Systems Gmbh & Co.Kg Fahrzeugtür, Fahrzeugrahm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WO2006114973A1 (ja) * 2005-04-18 2008-12-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ドア構造
FR2888534B1 (fr) 2005-07-12 2010-09-17 Renault Sas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renforcee a l'egard des chocs lateraux.
DE102005061562B4 (de) * 2005-12-22 2008-04-24 Lisa Dräxlmaier GmbH Verbindung Fensterrahmen- Türkasten
SE532192C2 (sv) 2007-02-05 2009-11-10 Gestamp Hardtech Ab Fordonsdörr innefattande innerpanel med integrerad fönsterbåge
US8033592B2 (en) 2008-08-27 2011-10-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or assembly and method for a vehicle
UA112663C2 (uk) 2011-09-30 2016-10-10 Арселормітталь Інвестігасіон І Десаррольо, С.Л. Легкі сталеві двері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засобу і спосіб для їх виготовлення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1770A (ja) 1998-08-31 2000-03-07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
US20070102955A1 (en) 2001-02-09 2007-05-10 Hans Bodin Vehicle door and a method to make such a door
JP2010221971A (ja) 2009-03-25 2010-10-07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ドア構造
JP2011143892A (ja) 2010-01-18 2011-07-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開閉蓋構造及び車両用開閉蓋に用いるインナパネ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0687B1 (en) 2017-06-14
PL2760687T3 (pl) 2017-11-30
US20150101193A1 (en) 2015-04-16
UA112663C2 (uk) 2016-10-10
CN104066606B (zh) 2016-11-23
EP2760687A1 (en) 2014-08-06
BR112014007461B1 (pt) 2021-01-05
RU2598114C2 (ru) 2016-09-20
CN104066606A (zh) 2014-09-24
US9308577B2 (en) 2016-04-12
CA2850012C (en) 2020-07-21
MX2014003866A (es) 2014-10-17
JP2014528376A (ja) 2014-10-27
ES2638141T3 (es) 2017-10-18
MX344713B (es) 2017-01-03
BR112014007461A2 (pt) 2017-04-04
WO2013049801A1 (en) 2013-04-04
ZA201403034B (en) 2015-05-27
CA2850012A1 (en) 2013-04-04
US8910999B2 (en) 2014-12-16
IN2014DN03400A (ko) 2015-06-26
KR20140072146A (ko) 2014-06-12
JP6068480B2 (ja) 2017-01-25
US20130088037A1 (en) 2013-04-11
HUE036293T2 (hu) 2018-06-28
RU2014117631A (ru)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048B1 (ko) 차량용 경량강철 도어 및 그 제조방법
US11584464B2 (en) Methods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vehicle door frame inner reinforcement element, for producing a vehicle door frame and for producing a vehicle reinforcement structure
JP6652966B2 (ja) 車両底部構造および車両ボディ
US7021697B2 (en) Vehicle and a vehicle door
US7048323B2 (en) Vehicle
KR101936505B1 (ko) 차량의 센터필러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